맨위로가기

한신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신 본선은 오사카 우메다역과 고베 모토마치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05년 개통되었다. 고베 고속선을 포함하여 39개의 역이 있으며, 다양한 열차 운행 형태와 타사와의 직통 운행을 특징으로 한다. 쾌속급행, 특급, 보통 등 8종류의 열차가 운행되며, 한신 난바 선, 산요 전기 철도, 긴키 닛폰 철도 등과 직통 운전을 통해 다양한 노선으로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신 전기 철도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한신 전기 철도 - 한신 타이거스
    한신 타이거스는 1935년 창단된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소속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 6회, 일본 시리즈 2회 우승에 빛나며, 간사이 지역의 인기, 독특한 구단 디자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라이벌리, '롯코오로시' 응원가 등으로 유명하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한큐 한신 홀딩스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한큐 한신 홀딩스 - 한신 타이거스
    한신 타이거스는 1935년 창단된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소속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 6회, 일본 시리즈 2회 우승에 빛나며, 간사이 지역의 인기, 독특한 구단 디자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라이벌리, '롯코오로시' 응원가 등으로 유명하다.
한신 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한신 본선
원어 이름阪神本線
원어 이름 (언어)ja
노선 색상#ff4500
로고Number prefix Hanshin line.svg
로고 폭21px
한신 5700계 전동차
노선 종류통근 철도
위치오사카부효고현
시작 역오사카우메다역
종착 역니시다이역
역 개수39
개업일1905년 4월 12일
운영자한신 전기 철도
차량 기지아마가사키
노선 길이32.1 km
선로 수2
궤간1,435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106 km/h
노선 정보 (일본어 문서)
노선 이름[[파일:Hanshin-logo.svg|35px|link=한신 전기 철도]] 본선
노선 색상#1f64b1
로고Number prefix Hanshin line.svg
로고 크기40px
오모노역에 진입하는 5700계 전동차에 의한 보통
소재지오사카부, 효고현
기점오사카우메다역
종점모토마치역
역 개수33역
노선 기호HS
개업일1905년 4월 12일
전 구간 개통일1936년 3월 18일
소유자한신 전기 철도
운영자한신 전기 철도
차량 기지아마가사키 차고, 이시야가와 차고
사용 차량사용 차량의 절을 참조
노선 거리32.1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한신형 ATS
최고 속도106 km/h
노선도Hanshin Electric Railway Linemap.svg
노선 정보 (한국어 문서)
노선 이름[[파일:Hanshin-logo-black.png|25px]] 한신 본선
노선 종류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기점우메다역
오사카시 기타구
종점모토마치역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역 개수33
개통일1906년 12월 21일
소유자한신 전기 철도
운영자한신 전기 철도
영업 거리32.1km
궤간1435mm
선로전 구간 복선
전철화전 구간 직류 1500V
영업 최고 속도106km/h

2. 역사

한신 본선은 1905년 4월 12일에 데이리바시 - 고베 구간(초기에는 고베쿠모이도리로 안내)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했다.[3] 당시 궤도법에 따라 최고 속도가 12.9km/h로 제한되었지만, 한신 전기 철도는 속도계를 설치하지 않고 이를 초과하는 속도로 운행했다. 개통 초기부터 평균 속도 20.4km/h로 운행하여 데이리바시 역 - 고베쿠모이도리 역 구간을 1시간 30분 만에 연결했다. 이는 당시 국철의 동일 구간 소요 시간(50분)보다 편리성이 뛰어났고, 국철 승객이 약 1/3으로 감소했다는 기록이 있다.[84]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이 이루어졌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906년 12월 21일: 우메다 - 데이리바시 구간 연장 개통으로 오사카 측 기점이 우메다 역이 되었다.
  • 1912년 11월 1일: 고베 측 종점이 산노미야에서 가노초(다키미치)까지 연장되고, 고베 역이 설치되었다. 기존 고베 역(고베쿠모이도리)는 산노미야 역으로 개칭되었다.
  • 1921년 1월 5일: 오와다 역과 쓰쿠다 역을 통합하여 지부네 역이 개업하였다.
  • 1924년 8월 1일: 나루오 - 이마즈(현재의 구스가와) 구간에 임시역으로 고시엔역이 개업하였다.
  • 1925년 5월 30일: 히에지마 역을 히메지마역으로 개칭하였다.
  • 1926년: 고시엔역이 임시역에서 일반역으로 승격(7월 16일)되었고, 이마즈 역(초대)를 구스가와 역으로 개칭하고, 구스가와 - 니시노미야히가시구치 구간에 한큐 전철 이마즈 선에 접속하는 역으로 이마즈 역(2대)이 개업(12월 19일)하였다.
  • 1927년 7월 1일: 한신 고쿠도 전궤(후의 한신 전기 철도 고쿠도 선. 1975년 폐지)의 개통에 따라 본선의 오이시 - 이와야 구간에 고쿠도 전궤의 접속역으로 니시나다역이 개업하였다.
  • 1929년 7월 27일: 도묘 - 오이시 구간의 (구)신자이케 역이 폐지되었다. 미카게 역은 고가화로 이전되었다.
  • 1930년 2월 11일: 도묘 역을 (신)신자이케 역으로 개칭하였다.
  • 1933년 6월 17일: 고베 측 지하 신선(이와야 - 고베 구간) 개통으로 이와야 - 산노미야 - 고베(다키미치) 구간 지상선 영업이 폐지되었다. 쇼센 산노미야 부근 지하에 새로운 고베 측 종점인 고베 역이 설치되었다.
  • 1934년 5월 1일: 이와야 - 고베 구간에 가스가노미치 역이 개업하였다(한편 지하 신선 개통 이전의 구선에도 같은 이름의 역이 존재했다).
  • 1936년 3월 28일: 고베 측 종점을 모토마치까지 연장하고, 고베 역을 산노미야 역으로 개칭하였다.
  • 1939년 3월 21일: 우메다 역 지하화로 노선이 0.3km 연장되었다.
  • 1945년: 후쿠시마 역 휴지,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 영업 중단(3월 28일) 및 재개(11월 3일) 등 전쟁으로 인한 변화가 있었다.
  • 1948년 10월 26일: 후쿠시마 역 영업 재개, 우메다 - 후쿠시마 구간의 데이리바시 역 폐지.
  • 1952년 9월 14일: 데야시키 - 무코가와 구간에 임시역으로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역이 개업하였다.
  • 1963년 12월 1일: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역이 임시역에서 일반역으로 승격되었다.
  • 1965년 9월: 니시오사카 선에 직통하는 니시오사카 선 특급을 모토마치 - 니시쿠조 구간에서 운전 개시했다.
  • 1967년: 이시야가와 - 니시나다 구간 고가화 공사 완료 및 오이시 역 이전(7월 2일), 가선 전압을 600V에서 1500V로 상승(11월 12일)시켰다.
  • 1968년 4월 7일: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와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되었다. 니시오사카 선 특급의 고베 측 발착을 모토마치에서 산노미야로 변경하였다.
  • 1974년 12월 1일: 니시오사카 선 특급을 이용 저조로 인해 폐지하였다.
  • 1977년 12월 27일: 전 노선이 궤도법에서 지방철도법에 기초한 철도로 변경되었다.
  • 1993년 9월 5일: 우메다 - 노다 구간 지하 신선 대체, 후쿠시마 역 지하화.
  •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전 구간 불통되었다가 복구되었다.
  • 1월 18일: 우메다 - 고시엔역 구간 복구.
  • 1월 26일: 고시엔역 - 아오키역 구간 복구.
  • 2월 1일: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 복구(운전 구간은 고속 고베까지).
  • 2월 7일: 미카게 역에서 탈선한 열차를 아마가사키 차고로 회송 중, 아마가사키 역 구내 분기기에서 4량이 탈선하는 사고 발생.
  • 2월 11일: 아오키역 - 미카게 구간 복구.
  • 2월 20일: 이와야 - 산노미야 구간 복구.
  • 3월 1일: 니시나다 - 이와야 구간 복구.
  • 6월 26일: 미카게 - 니시나다 구간 복구로 전 구간 개통.
  • 1996년 3월 20일: 이시야가와 차고가 재건되어 완전 복구되었다.
  • 1998년 2월 15일: 우메다 - 산요 히메지 구간 직통특급 운전 개시. 낮 시간대 쾌속급행이 우메다 - 니시노미야 구간(토요일과 공휴일에는 고시엔역)에서 급행으로 대체.
  • 2001년: 고로엔 역 개칭, 니시노미야 역 이전 및 고가화(3월 3일), 직통특급 정차역 확대 및 구간급행 폐지(3월 10일)가 이루어졌다.
  • 2006년 10월 28일: 하행 준급의 고시엔역 이서 운전 폐지, 구간급행 부활, 산요 히메지 행 직통특급 최종편 발차 시각 변경.
  • 2009년 3월 20일: 한신 난바 선(구 니시오사카 선) 니시쿠조 - 오사카난바 구간 개통으로 본선과 한신 난바 선, 긴테쓰 난바선, 긴테쓰 나라선 간 직통 운전 개시. 쾌속급행은 한신 난바 선 직통 열차로 변경, 준급은 한신 난바 선 내 운전으로 한정.


2. 1. 개요

한신 본선은 오사카우메다역에서 고베 산노미야역을 경유하여 모토마치역까지 이르는 노선이다. 1905년에 개통된 오래된 노선으로, 일본에서 도시 간 전기 철도(인터어반)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3] 처음에는 사설철도법이 아니라 궤도법에 따라 건설된 노면전차로 개업했으며, 이 노선을 시작으로 궤도법에 기반한 사철 노선이 일본 전국에서 잇따라 개업했다.

니시나카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난바선과 함께 한신의 주요 노선이며, 한신난바선을 경유하여 난바도톤보리 등 오사카 미나미의 번화가에도 접근할 수 있다. 노선상의 고시엔역 앞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본거지인 한신 고시엔 구장(효고현니시노미야시)가 있으며,[4]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때는 많은 이용객으로 혼잡하다.[5]

오사카 우메다와 고베 산노미야 사이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는 JR 고베선(동해도 본선)과 한큐 고베 본선이 있지만, 본 노선은 한신을 잇는 철도 노선 중에서 가장 바다 쪽을 지나며, 노선 설치의 경위로 선형이 그다지 좋지 않고, 역 수도 가장 많다.[6] 따라서 보통열차 차량은 후속 급행열차를 따돌리기 위해 가감속 성능이 높아져, 제트카라고 불린다. 평균 폐색 구간 간격은 일본 대형사철 중 가장 짧은 240m이다.

모토마치역에서는 한신 고베 고속선과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의 산요히메지역까지 직통하는 직통특급을 운행하고 있다. 종점인 모토마치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터미널 기능이 약하며, 거의 모든 열차가 고베고속선으로 직통하기 때문에,[7] 실질적으로는 중간역과 같은 취급이다. 또한, 한신난바선을 경유하여 오사카난바역에서 긴테쓰 난바선·나라선과도 상호직통운전을 하고 있으며, 고베 산노미야역에서 긴테쓰나라역까지 직통하는 쾌속급행을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노선을 경유한 산요 전기 철도긴테쓰의 상호 직통 운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8]

혼잡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연속입체교차사업이 활발하며, 기점 측의 오사카우메다역 - 후쿠시마역 사이, 및 종점 측의 이와야역 - 모토마치역 사이는 지하화되었고, 그 이외 구간에서도 거의 모든 구간이 고가화되어 있다. 지상 구간으로 되어 있는 곳은 무코가와역 전후와 호리키리 신호장 - 미야가와 직전(우치데역보다 고베 쪽 바로), 아시야역 전후, 니시나다역 - 이와야역 사이뿐이다.[10] 따라서, 건널목은 전선에서도 니가키시의 무코가와역 동쪽 이웃에 있는 무코가와 제방 도로와 교차하는 무코가와역 건널목과, 아시야 시내의 7곳[11], 그리고 전술한 니시나다역 - 이와야역 사이에 있는 이와야 건널목의 총 9곳뿐이다.

국토교통성에 대한 신고상의 노선명은 '한신'을 붙이지 않은 '본선'이다.[12]

2. 2. 연표


  • 1905년
  • * 4월 12일 : 데이리바시 - 고베 구간(초기에는 고베쿠모이도리로 안내)이 개통되었다.[3]
  • * 5월 23일 : 데야시키 - 무코가와(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는 당시 미개통) 구간의 요모가와 역이 폐지되었다.
  • * 7월 10일 : 신이쿠타카와 - 고베 구간의 아사히도리 역이 폐지되었다.
  • 1906년 12월 21일 : 우메다 - 데이리바시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오사카 측의 기점이 우메다 역이 되었다.
  • 1907년
  • * 2월 20일 : 니시노미야 - 우치데 구간(고로엔 역은 당시 미개업)의 에비스 역이 폐지되었다.
  • * 4월 1일 : 니시노미야 - 우치데 구간에 고로엔 역이 개업하였다.
  • 1908년
  • * 이 노선을 노래한 한신 전차 창가가 작곡되었다.
  • * 11월 27일 : 이와야 - 가스가노미치 구간에 와키하마 역이 개업하였다.
  • 1912년 11월 1일 : 고베 측의 종점이 구모이도리(산노미야)로부터 가노초(다키미치)까지 연장되었다. 가노초(다키미치)에 새로운 고베 역이 설치되었고, 종래의 고베 역(고베쿠모이도리)는 산노미야 역으로 개칭되었다. 고베 역은 시덴의 전차명을 따라 다키미치라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 1921년 1월 5일 : 오와다 역과 쓰쿠다 역을 합쳐 지부네 역으로 개업하였다.
  • 1924년 8월 1일 : 나루오 - 이마즈(현재의 구스가와) 구간에 임시역으로 고시엔역이 개업하였다.
  • 1925년 5월 30일 : 히에지마 역을 히메지마역으로 개칭하였다.
  • 1926년
  • * 7월 16일 : 고시엔 역이 임시역에서 일반역으로 승격되었다.
  • * 12월 19일 : 이마즈 역(초대)를 구스가와 역으로 개칭하고, 구스가와 - 니시노미야히가시구치 구간에 한큐 전철 이마즈 선에 접속하는 역으로 이마즈 역(2대)이 개업하였다.
  • 1927년 7월 1일 : 한신 고쿠도 전궤(후의 한신 전기 철도 고쿠도 선. 1975년 폐지)의 개통에 따라 본선의 오이시 - 이와야 구간에 고쿠도 전궤의 접속역으로 니시나다역이 개업하였다.
  • 1929년 7월 27일 : 도묘 - 오이시 구간의 (구)신자이케 역이 폐지되었다. 미카게 역은 고가화로 이전되었다.
  • 1930년 2월 11일 : 도묘 역을 (신)신자이케 역으로 개칭하였다.
  • 1933년 6월 17일 : 고베 측의 지하 신선(이와야 - 고베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와야 이서를 지하선으로서의 이와야 - 산노미야 - 고베(다키미치) 구간의 지상선의 영업이 폐지되었다. 쇼센 산노미야 부근의 지하에 새로운 고베 측 종점인 고베 역이 설치되었다.
  • 1934년 5월 1일 : 이와야 - 고베 구간에 가스가노미치 역이 개업하였다(한편 지하 신선 개통 이전의 구선에도 같은 이름의 역이 존재했다).
  • 1936년 3월 28일 : 고베 측 종점을 모토마치까지 연장하였다. 동시에 고베 역을 산노미야 역으로 개칭하였다.
  • 1939년 3월 21일 : 우메다 역이 지하화되어 노선이 0.3km 연장되었다.
  • 1945년
  • * 후쿠시마 역이 휴지되었다.
  • * 3월 28일 : 전화(戰禍)에 의해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의 영업이 폐지되었다.
  • * 11월 3일 :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의 영업이 재개되었다.
  • 1948년 10월 26일 : 후쿠시마 역의 영업이 재개되었다. 우메다 - 후쿠시마 구간의 데이리바시 역이 폐지되었다.
  • 1952년 9월 14일 : 데야시키 - 무코가와 구간에 임시역으로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역이 개업하였다.
  • 1963년 12월 1일 :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역이 임시역에서 일반역으로 승격되었다.
  • 1965년 9월 : 니시오사카 선에 직통하는 니시오사카 선 특급을 모토마치 - 니시쿠조 구간에서 운전 개시했다.
  • 1967년
  • * 7월 2일 : 이시야가와 - 니시나다 구간의 고가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오이시 역이 이전되었다.
  • * 11월 12일 : 가선전압을 600V에서 1500V로 상승시켰다.
  • 1968년 4월 7일 :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되었다. 니시오사카 선 특급의 고베 측 발착을 모토마치에서 산노미야로 변경하였다.
  • 1974년 12월 1일 : 니시오사카 선 특급을 이용 저조로 인해 폐지하였다.
  • 1977년 12월 27일 : 전 노선을 궤도법에 기초한 궤도로부터 지방철도법에 기초한 철도로 변경하였다.
  • 1993년 9월 5일 : 우메다 - 노다 구간을 지하 신선으로 대체하였다. 후쿠시마 역이 지하화되었다.
  • 1995년
  • * 1월 17일 :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해 본선이 전 구간 불통 상태가 되었다.
  • * 1월 18일 : 우메다 - 고시엔역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
  • * 1월 26일 : 고시엔역 - 아오키역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
  • * 2월 1일 :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운전 구간은 고속 고베까지였다).
  • * 2월 7일 : 지진으로 미카게 역에서 탈선한 열차를 아마가사키 차고로 회송하던 중, 아마가사키 역 구내의 분기기에서 12량 중 앞에서부터 6호차부터 9호차까지의 4량이 탈선하였다. 시발 열차로부터 정오까지 전 구간이 대폭 운휴했다.
  • ** 사고 열차는 미카게 역 구내에서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8000계 6량 편성 두 대를 연결한 12량으로, 두 대 중 피해에 의해 자력주행이 불가능했던 6량(8219F)를 앞의 6량(8215F)에 연결하여 당일 미명의 미카게에서 수리를 위해 아마가사키 차고까지 10km/h로 회송할 예정이었으나, 후방의 고장 열차 대차의 공기가 빠지는 사고가 일어나 제동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때문에 분기기 통과 중에 고장 차량이 이상 동요를 일으켜 탈선하였다. 결국 후부 차량은 크레인으로 철거되었고, 정오 10시까지 전차의 출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 * 2월 11일 : 아오키역 - 미카게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
  • * 2월 20일 : 이와야 - 산노미야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
  • * 3월 1일 : 니시나다 - 이와야 구간이 복구되어 개통되었다.
  • * 6월 26일 : 미카게 - 니시나다 구간이 복구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 다만, 이 단계에서는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가 전 구간 복구되지 않은 상황이라 산요의 차량이 세 대 정도가 신카이치 이동에 갇혀 있었다. 이들 차량은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의 고소쿠나가타 - 신카이치 구간이 복구된 9월 13일까지 오이시·롯코(한큐 고베 본선) - 신카이치 구간의 운전에 충당되었다.
  • 1996년 3월 20일 : 이시야가와 차고가 재건되어 완전 복구되었다.
  • 1998년 2월 15일 : 우메다 - 산요 히메지 구간에 직통특급 히메지 하리나와 오사카 라이너의 운전이 개시되었다. 낮 시간대의 쾌속급행이 우메다 - 니시노미야 구간(토요일과 공휴일에는 고시엔역)에서 급행으로 대체되어 운행하였다.
  • 2001년
  • * 3월 3일 : 전후에 약자표기된 고로엔 역(香枦園駅일본어)에서 구자체를 사용한 고로엔 역(香櫨園駅일본어)으로 개칭하였다. 니시노미야 역을 200m 동쪽(우메다 방향)으로 이설 및 고가화에 따라서 이마즈 - 니시노미야 구간의 니시노미야히가시구치 역을 폐지하였다.
  • * 3월 10일 : 니시노미야 역의 고가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직통특급을 아마가사키와 우오자키역에 종일 정차시키고 낮 시간대에는 니시모토마치다이카이에도 정차하는 열차를 신설하였다. 구간급행이 폐지되었다.
  • 2006년 10월 28일 : 하행 준급의 고시엔역 이서 운전을 폐지하고 구간급행을 부활시켰다. 산요 히메지 행의 직통특급의 최종편의 발차 시각을 23:00로 하는 등 다이어 개정이 이루어졌다.
  • 2009년 3월 20일 : 한신 난바 선(구 니시오사카 선) 니시쿠조 - 오사카난바 구간의 개통에 따라 본선과 한신 난바 선·긴테쓰 난바선·나라 선에 직통하는 열차의 운전을 개시했다. 동시에 본선의 쾌속급행의 우메다 - 아마가사키 구간에서 운전하던 것과 급행의 니시노미야 - 산노미야 구간의 운전을 휴지하고, 쾌속급행은 한신 난바 선 직통용 열차로 하였다. 또한 준급의 운전을 한신 난바 선 내에서의 운전에만 한정하고 본선에서의 운전을 휴지하였다.

3. 운행 형태

한신 본선은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며, 다른 회사 노선과의 직통 운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베 방면으로는 1968년부터 고베 고속선을 경유하여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이하 산요 방면)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으며, 열차 종별은 "직통특급"이나 "특급" 등으로 한정하여 속달성을 확보하고 있다.[115] 산노미야 - 모토마치 구간에는 산요 전기 철도의 S특급과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오사카 방면으로는 니시노미야에서 분기하는 한신 난바선을 경유하여 킨테쓰(이하 킨테쓰 방면)와 2009년부터 상호 직통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열차 종별은 매우 다양하며, 상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일부 하위 종별이 상위 종별 정차역을 통과하는 경우(지도리 정차)도 있다. 또한, 시간대에 따라 정차역이 다른 열차가 많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2009년 3월 한신 난바선 연장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열차 종별이 정리되어 현재는 비교적 단순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도리 정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을 중심으로 직통특급, 쾌속급행, 구간특급, 구간급행에서 실시되고 있다.[21]

차량은 "특급", "급행" 등에 사용되는 적동차와, 높은 가감속 성능을 가진 "보통" 전용 제트카의 두 종류가 있다.

평일 주간 각 구간별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

하루 중 운행 패턴
종별\역명우메다아마가사키니시노미야산노미야모토마치직통 목적지운행 횟수
운행 범위직통특급colspan="11" style="background-color:OrangeRed" |산요 히메지2회
(산노미야·산요스마 구간 각역정차)산요 히메지2회
특급colspan="11" style="background-color:OrangeRed" |스마우라 공원2회
쾌속급행긴테쓰 나라←colspan="6" style="background-color:LightCyan"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3회
급행colspan="6" style="background-color:Coral"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white"|3회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Coral" |colspan="9" style="background-color:white"|3회
보통colspan="11" style="background-color:DodgerBlue" |고속 고베6회



일부 열차는 산요 본선을 경유하여 고베 신속 철도를 통해 모토마치 종착역을 지나 효고현 히메지시의 산요 히메지역까지 운행한다.

2009년 3월에는 한신 난바 선의 개업에 따라, 산노미야에서 난바, 그리고 긴테쓰 난바선·나라선을 거쳐 나라 방면과의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되었다.

2022년 12월 23일과 2023년 1월 6일·13일·20일(모두 금요일)에는 한신에서 처음으로 유료 좌석 정원제 열차를 시험 운행했다. ‘야간 유료 임시 열차(라쿠얀 라이너)’라고 명명하여, 각 일 모두 오사카우메다 발 아오키행 임시 열차를 2편 운행했다.[82]

3. 1. 개요

한신 본선은 다른 회사 노선과의 직통 운행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다. 고베 방면으로는 1968년부터 고베 고속선[18]을 경유하여 산요 전기철도 본선(산요 방면)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이 경우, 「직통특급」이나 「특급」등의 상위 종별로 한정하여 속달성을 확보하고 있다. 고베 산노미야역 - 모토마치역 간에는 산요 전기철도의 S특급과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오사카 방면으로는 니시노미야역에서 분기하는 한신 난바선을 경유하여 킨테쓰(킨테쓰 방면)와 2009년부터 상호 직통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2014년 3월 22일부터는 킨테쓰 특급도 단체 임시 열차로 본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19][20](특정 토요일・휴일에 운행).

과거에는 열차 종별이 매우 많고, 타사와의 상호 직통 운행으로 인해 다이아가 복잡했다. 특히, 일부 하위 종별은 상위 종별이 정차하는 역을 통과하는 경우(「참새 정차」)도 있었고, 같은 종별이라도 운행 방향, 요일, 시간대에 따라 정차역이 달라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주었다[21]. 그러나 2009년 3월 한신 난바선 연장 개업에 따른 다이아 개정으로 열차 종별이 정리되어 현재는 비교적 단순해졌다. 다만, 참새 정차는 현재도 많이 설정되어 있으며, 평일 아침 출근 시간대를 중심으로 직통특급[22]・쾌속급행[23]・구간특급[24]・구간급행[25]에서 실시되고 있다. 또한, 평일 아침 출근 시간대 오사카 우메다행 우등 열차는 기본적으로[26] 오사카 우메다역까지 먼저 도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간특급을 니시노미야역・노다역에도 정차시키는 등, 혼잡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수도권 대형 사철 회사들이 도입하고 있는 유료 좌석 정원제 열차는 한신의 경우 특급의 탑승 시간이 짧고 운행 편수가 많아 설정이 보류되어 왔다. 그러나 2022년 12월 말부터 2023년 1월 말까지 금요일 야간에 시험적으로 오사카 우메다 발 아오키행 야간 유료 임시 열차 '''라쿠얀 라이너'''를 운행했다(후술).

차량은 주로 「특급」이나 「급행」등에서 사용하는 6량 편성의 적동차와, 높은 가감속 성능을 요구하는 「보통」한정으로 사용하는 4량 편성의 청동차(제트카)의 2종류로 나뉜다.

평일 주간 각 구간의 1시간당 기본적인 운행 편수는 아래 표와 같다.

평일 주간의 운행 패턴
종별\역명오사카우메다니시노미야니시노미야고베산노미야모토마치직통선비고
운행 범위직통특급2본→산요히메지
2본→산요히메지고베고속선내는 각역에 정차
특급2본→스마우라코엔
쾌속급행킨테쓰나라←2본[27]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
급행4본[27]colspan="6" style="background-color:white"|
2본[27]colspan="9" style="background-color:white"|
보통6본→고속고베



평일 아침 출근 시간에는 직통특급, 구간특급(상행만), 쾌속급행, 구간급행, 보통을 12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정차역이 많은 구간특급이나 구간급행을 설정하여, 주간에는 우등 열차가 통과하는 역에도 우등 열차를 정차시켜 편리성을 높이고, 통근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그 외, 평일에는 주간부터 야간, 토요일・휴일에는 아침부터 저녁에 걸쳐 각각 10분 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아침이나 야간은 12분 간격으로 운행하여 쾌속급행의 니시노미야역에서의 연결・분리 작업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3. 2. 열차 종별

한신 본선은 일본 철도 중에서도 가장 많은 8종류의 열차를 운행한다. 이는 특히 아침 러시아워에 오사카(우메다 역) 방면의 짧은 EMU 열차 길이와 복선만 있는 몇 안 되는 선로 때문에 각 열차의 부하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부분도 있다.[1] 2009년 3월 20일 한신 난바선의 니시쿠조-오사카난바 연장에 따라 한신 전철의 운행 계획이 개정되었다.[1]

과거에는 하나의 노선으로서 열차 종별이 매우 많아, 타사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는 것도 더해져 다이어는 복잡한 것이었다. 특히, 이 열차 종별은 단순한 상하 관계가 아니라, 일부 하위 종별은 상위 종별이 정차하는 역을 통과하는 것도 있고(「참새 정차」라고 불린다) 동일 종별이라도 상행과 하행・요일・시간대에 따라 정차역이 다른 경우가 많아,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알기 어려웠다.[21] 그러나 2009년 3월의 한신 난바선 연장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에서는 본선에서는 준급을 휴지시키는 등 열차 종별이 정리되어, 현재는 비교적 심플한 다이어가 되고 있다. 다만, 참새 정차는 현재도 많이 설정되어 있어, 평일 아침 러시 시간을 중심으로, 직통특급[22]・쾌속급행[23]・구간특급[24]・구간급행[25]에서 실시되고 있다. 또, 그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서도 오사카우메다행의 우등 열차는 기본적으로[26] 오사카우메다 역까지 선착하는 다이어가 짜여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고시엔 역을 출발하면 오사카우메다 역까지 무정차였던 구간특급을 니시노미야 역・노다 역에도 정차시키는 등, 혼잡의 평준화가 도모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특히 수도권의 대형 사철 각사에서 도입이 진행되고 있는 유료 좌석 정원제 열차에 대해서는, 한신의 경우, 특급은 본선 구간에서의 탑승 시간이 길어도 30분대이고, 주간을 포함하여 운행 편수가 많기 때문에 설정은 보류되어 왔지만, 2022년 12월 말부터 2023년 1월 말에 걸쳐 금요일 야간에, 시험적으로 오사카우메다 발 아오키행 야간 유료 임시 열차 「'''라쿠얀 라이너'''」를 운행했다.

차량은 주로 「특급」이나 「급행」등에서 사용하는 6량 편성의 적동차와, 높은 가감속 성능을 요구받는 「보통」한정으로 사용하는 4량 편성의 청동차(제트카)의 2종류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신 본선 열차 종별
종별설명
普通|보통일본어 (Local)러시아워에는 신카이치까지, 비수기에는 고베 고속선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急行|급행일본어 (Express)오사카 우메다와 니시노미야 또는 오사카 우메다와 아마가사키 간을 운행한다. 또한, 심야에 미카게까지 제한 정차하는 급행 열차 1편이 운행된다.
区間急行|구간급행일본어 (Regional Express)평일 아침 러시아워에 고시엔과 오사카 우메다 간을 운행한다. 또한, 오기에서 오사카 우메다까지 2편이 운행된다. 한신의 공식 노선도에서는 "급행"으로 약칭한다.
快速急行|쾌속급행일본어 (Rapid Express)한신 난바 선과 긴테쓰 나라 선을 잇는 직통 열차이다. 평일 비수기에는 무코가와 역과 이마즈 역에 정차하고, 주말 및 공휴일에는 종일 정차하지만, 주말 및 공휴일에는 아시야 역을 통과한다. 매일 고베 산노미야에서 회송하는 열차 외에도, 주말 및 공휴일에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 발 긴테쓰 나라 행 열차 3편이 운행된다.
阪神特急|한신 특급일본어 (Hanshin Limited Express)평일 주간과 심야, 공휴일 오후 이후에 스마우라코엔까지 운행한다. 한신의 공식 노선도에서는 "특급"으로 약칭한다.
直通特急|직통특급일본어 (Direct Limited Express)오사카 우메다와 산요 히메지 간을 운행한다. 행선 안내판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열차는 고베 고속선의 니시모토마치 역, 다이카이 역, 니시다이 역에 정차한다. 평일 아침에는 동쪽으로 향하는 7편의 열차가 고시엔을 통과한다. 한신의 공식 노선도에서는 "특급"으로 약칭한다.
区間特急|구간특급일본어 (Regional Limited Express)평일 아침 러시아워에 미카게에서 오사카 우메다까지 운행하며, 미카게에서 오사카 우메다행 보통 열차와 환승한다. 한신의 공식 노선도에서는 "특급"으로 약칭한다.



평일 주간 각 구간의 1시간당 기본적인 운행 편수는 아래 표와 같다.

평일 주간의 운행 패턴
종별오사카
우메다
아마가사키니시노미야고베
산노미야
모토마치직통선비고
직통특급2편→산요히메지
2편→산요히메지고베고속선내는 각역에 정차
특급2편→스마우라코엔
쾌속급행킨테쓰나라←2편[27]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
급행4편[27]colspan="6" style="background-color:white"|
2편[27]colspan="9" style="background-color:white"|
보통6본→고속고베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는 직통특급, 구간특급(상행만), 쾌속급행, 구간급행, 보통을 12분 사이클로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정차역이 많은 구간특급이나 구간급행을 설정함으로써, 주간은 우등 열차가 통과하는 역에도 우등 열차를 정차시킴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꼼꼼한 통근 수요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외, 평일에서는 주간부터 야간에 걸쳐, 토요일・휴일에서는 아침부터 저녁에 걸쳐 각각 10분 사이클로 운행하고 있지만, 아침이나 야간은 12분 사이클로 운행하여 쾌속급행의 니시노미야 역에서의 연결・분리 작업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직통특급'''(直通特急)은 1998년에 설정된 종별로 "직특"이라고 약칭되기도 한다. "특급"과 마찬가지로 최상위 종별로 취급되며, 승차권만으로 탑승이 가능하다. 중간 정차역은 아마가사키 역, 고시엔 역, 니시노미야 역, 아시야 역, 우오자키 역, 미케 역, 고베산노미야 역이다. 본선 내 정차역은 "특급"과 같지만, 예외적으로 평일 아침 러시 시간대 일부 오사카우메다 행이 고시엔 역을 통과한다(대신 그 시간대에는 구간특급이 고시엔 역에 정차한다).

거의 종일 운행되며(오사카우메다 역 발 최종 열차는 22:36), 낮에도 1시간에 4편(10분 또는 20분 간격)이 운행된다. 모든 열차가 산요 방면으로 직통하며, 기본적으로 오사카우메다 역 - 산요히메지 간을 운행하지만, 본선 내에서는 새벽에 니시노미야 역·미케 역을 시발, 심야에 미케 역을 종착으로 하는 열차도 있다. 차량은 한신·산요의 6량 편성이 사용된다.

산요 5000계 5702F에 의한 직통특급(적)(고자에노 역)


9300계 9503F에 의한 직통특급(황)(오오모노 역)


'''특급'''(特急)은 종일 운행되며,[28] 본선 전 구간을 통과 운전하여 앞서 설명한 “직통특급”과 함께 본선의 최상위 종류를 구성한다. 낮 시간대에는 앞뒤의 “직통특급” 사이에 1시간에 2회(30분 간격) 운행되며, 특급 계통은 “직통특급”과 합쳐 10분 간격의 다이어 구성이 된다.

1954년 9월 다이어 개정으로 등장했다. 등장 당시에는 낮 시간대에 20분 간격으로, 중간에 고베 산노미야 역에만 정차하여 우메다 역 - 모토마치 역 간을 27분 만에 연결했다. 1960년 9월 15일부터 니시노미야 역, 아시야 역, 미케 역에도 정차했고,[29] 그 대신 급행은 기본적으로 우메다 역 - 니시노미야 역 간으로 단축됨으로써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체계가 되었다.

이 종류도 산요 방면과의 직통이 기본이지만, “직통특급”과는 달리 산요 측의 종착역은 스마우라코엔 역까지이며, 고베 산노미야 역 - 스마우라코엔 역 간은 각역정차하는 것이 다르다. 오사카 우메다 역 - 스마우라코엔 역 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 일부 오사카 우메다 역 - 히가시스마 역 간도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베 고속선 내 발착 열차로 오사카 우메다 역 - 고속고베 역 또는 신카이치 역 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으며, 선내 운전으로 심야 하행에는 오사카 우메다 발 고베 산노미야 행이, 토요일・휴일 새벽 상행에는 고베 산노미야 발 오사카 우메다 행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한신의 차량을 사용하지만, 일부 특급은 직통특급의 회차 운용의 편의상 산요의 차량을 사용한다.

2001년 다이어 개정까지, 2000계 이전의 차량에 의한 특급 운용 시에 한해 전용 마크를 내걸고 운행되었다. 현재는 고등학교 야구 개최 기간 중의 특급 충당 차량에 전용 표식판을 게시하고 있다(2013년 봄까지는 산요 전철의 차량 운용에 의한 한신 특급을 제외). 고시엔 구장에서 한신 타이거스의 주최 경기가 개최될 때는, 타이거스의 마크가 그려진 표식판을 한신(직통특급 및 한신 특급 운용 시)・산요 전철의 차량에 각각 게시한다.

그 외, 2016년 3월 다이어 개정까지는, 토요일・휴일을 중심으로 고베 산노미야 역 - 고속고베 역・신카이치 역・히가시스마 역・스마우라코엔 역에서 구간 운전하는 “특급”이 있었다. 이 특급은 회차에 의한 운용이며, 동 구간에서는 각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보통”이었지만, 표시막이 대응하지 않았기 때문에[30] 감히 “특급”으로 운행되었다.

2025년 2월 22일 다이어 개정으로, 심야에 후술하는 오사카 우메다 발 미케 행 급행 후에 오사카 우메다 발 고베 산노미야 행을 1편 증발한다.[45]

날개 모양의 특급 마크. 2000계의 전차 폐차 직전까지 사용되었다.


고등학교 야구 개최 중에만 사용된 특별한 특급 마크.


9000계 9207F에 의한 특급 (오오모노 역)


'''구간특급'''(区間特急)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직통특급”과 함께 운행되는 종류로, 상행선에만 7편이 설정되어 있다. 모든 열차가 고야 출발 오사카우메다 행으로 운행되며, 오사카우메다 역 1번선에 도착 후 회송으로 되돌아간다. 러시아워에 운행되는 우등 열차이기 때문에 혼잡하므로, 오사카 측 4량째에 한신 전철에서 유일하게 여성전용차량이 설정되어 있다.

현행 다이어에서는 이름 그대로, 각 역에 연속 정차하는 구간과 통과 운행을 하는 구간이 있다. 후자에서는 상위 종류인 직통특급·특급의 정차역을 통과하는 “치도리 정차(간이 정차)”가 있으며, 직통특급이 정차하는 니시노미야 역을 통과한다. 2012년까지는 노다 역도, 2016년까지는 아마가사키 역도 각각 통과했다.

모든 열차가 고야 역에서 고베산노미야 방면에서 온 보통 열차와 접속하고, 아오키 역에서는 후속의 쾌속급행과 직통특급의 대피를 한다. 차량은 한신 차량의 6량 편성을 사용한다.

1981년 다이어 개정으로 아시야 역을 시발역으로 하여 1편이 설정된 것이 시작이다. 그 후 고베 측 시발역을 산노미야 역으로 변경하여 운전 구간을 연장한 것 외에도, 여러 차례 증편이나 정차역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전 구간에서 통과 운행을 하였고, 현재처럼 연속 정차하는 구간은 없어, 거의 한신 본선 전선을 달리기 때문에 “구간특급”이라는 명칭에는 어색한 운행 형태였다. “특급”과 다른 정차 패턴으로 운행되었던 것은 변함없이 (아시야 역만 양쪽이 정차), 특급보다 정차역이 적었던 때도 있다. 2009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구간특급과 직통특급과의 속행 다이어에서, 아시야 역과 고시엔 역에서 다음 쾌속급행과 연락하는 다이어로 변경되어, 시발역이 아오키 역이 된 것 외에, 운전 구간이 단축되어 연속 정차 구간이 나타났다. 그 후, 2012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노다 역에도 정차하게 되었고[31], 2016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운전 구간이 확대되어 시발역을 고야 역으로 변경, 우오자키 역·아마가사키 역이 정차역에 추가되는[32] 등, 열차의 취지에도 약간의 변화가 보인다.

평일이지만 연말이기 때문에 토요일·휴일 다이어로 된 2014년 12월 29일에는, 통근 수송에도 배려하여 처음으로 임시 구간특급을 4편 운행했다.

'''구간급행'''(区間急行)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급행을 대신하여 오사카우메다 역 - 고시엔 역 구간 및 아오키 역 → 오사카우메다 역 구간에 설정되는 종별이다. 정차역은 급행의 정차역에 후쿠시마 역, 센센 역, 나루오·무코가와죠시다이마에 역이 추가된다.[47] 아오키 역 발 오사카우메다 역 행 2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고시엔 역 발착이다. 상행은 오사카우메다 역까지 선착한다. 하행은 아마가사키 역에서 쾌속급행과 접속하며, 아마가사키 역부터 쾌속급행을 이용함으로써 후속의 직통특급보다 고베산노미야 역에 선착할 수 있다. 또한, 종착역인 고시엔 역에서는 직통특급과 접속한다.

구간급행 종별 자체는 2001년 3월 1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일단 폐지되었지만, 2006년 10월 28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부활한 것이다.

한신 난바선 개업 직전에는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고시엔 역 발 우메다 역 행이 8편 운행되었고, 도중에 나루오 역·무코가와 역·아마가사키 역·노다 역에 정차하여, 일부를 제외하고 아마가사키 역에서 구간특급에, 노다 역에서 직통특급에 추월당하는 다이어를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2001년에 일단 폐지될 때까지는 히메지마 역에도 정차했다. 같은 시간대에 운행하고 있던 급행과는 약간 달리, 나루오 역에 정차한 대신 후쿠시마 역은 통과했지만, 아침 통근 시간대의 상행 급행의 혼잡 완화와 고시엔 역으로부터의 착석 서비스를 도모하는, 다른 회사에서 말하는 “통근 급행”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

2009년 3월 2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후쿠시마 역·센센 역이 정차역에 추가되었고, 해당 구간의 급행을 대체하는 형태로 우메다 역 발 하행도 설정되었다.

2020년 3월 14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의 상행 오사카우메다 역 행 급행 2편이 구간급행으로 대체되어 아오키 역 발이 되었고, 정차역에 아시야 역, 니시노미야 역, 이마즈 역이 추가되었다.[42]

2022년 12월의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의 오사카우메다 역 발 급행 2편이 구간급행으로 대체되었다.

5001형 5021F에 의한 보통 열차 (향리원 역)


'''보통'''(普通)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종별이다. 차량은 원칙적으로 가감속 성능이 높은 4량 편성의 쾌속전철(제트카)이 사용되지만, 일부 시간대에 운행되는 고베산노미야 역 - 신카이치 역·히가시스마 역·스마우라코엔 역 간 열차에는 급행 계열 차량이 사용된다. 이러한 급행 계열 차량을 사용하는 열차는 앞서 설명한 대로 특급의 회차 운용에 따른 것으로, 오랫동안 각역정차의 「특급」으로 운행되어 왔지만, 2016년 3월 19일의 다이어 개정에 맞춰 급행 계열 차량에도 새롭게 '''보통''' 고베산노미야 등의 표시막을 추가하여 「보통」으로 통일되었다.[48]

종일, 원칙적으로 오사카우메다 역 - 고속고베 역 간에 운행되지만, 일중 일부 열차는 아마가사키 역에서 차량 교환을 실시한다. 옛날에는 모토마치 역에서 회차 운행을 하고 있었지만, 1998년 2월 15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고속고베 역까지 연장되었다(단, 그 이전인 1991년 개정부터 이미 저녁 러시 시간대에 고속고베 역에서 회차하는 운용도 설정되어 있었다). 연장된 이유는 운행 편수 증가에 따라 모토마치 역에서의 회차 시간에 여유가 없어진 것, 그 다이어 개정으로 운행 개시한 직통 특급의 일부가 니시모토마치 역을 통과 취급으로 한 것, 고속고베 역에서 신카이치 방면의 열차 접속을 하기 위한 등이다. 또한, 시간대에 따라 중간의 아마가사키 역·니시노미야 역·미카게 역·고베산노미야 역·모토마치 역을 시발역·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 참고로, 이시야가와 역 행은 2022년 12월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완급 접속은 기본적으로 아마가사키 역에서 급행·쾌속급행(평일 아침 오사카우메다 역행은 구간급행, 새벽·심야 시간대는 직통특급·특급)에, 센센 역과 아마가사키센터풀앞 역에서 특급·직통특급의, 미카게 역에서 쾌속급행의 각각 통과 대기를 실시한다. 니시노미야 역에서는 새벽·심야의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직통특급·특급과 쾌속급행 또는 니시노미야 역 발착 급행에, 미카게 역과 고속고베 역에서 각각 직통특급·특급에 접속한다. 덧붙여 내리는 편은 노다 역에서 급행(평일 아침 러시 시간대는 센센 역에서 구간급행)에 접속하는 외에, 새벽·야간에 코시엔 역에서 직통특급·특급에 접속하는 열차, 오사카우메다 역 발 코시엔 역행 급행에서 접속을 받는 열차도 있다.

2009년 3월 2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2006년 10월 28일의 개정부터 실시되고 있던 제트카에 의한 산요 전철 히가시스마 역까지의 직통 운용이 폐지되었다. 그러나 신카이치 역까지의 운행은 계속되고 있다(새벽부터 아침에 걸쳐 평일 3편, 토일공휴일 2편과 토일공휴일 야간에 1편).

5700계나 5500계 리노베이션 차량에는 승강문 옆에 자동문 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으로 운용하는 열차 중 완급 접속이나 통과 열차의 대피로 장시간(2분 이상) 정차하는 역에서는, 차내 온도 유지를 위해 승하차객이 문을 개폐하는 반자동 취급으로 하고 있다.[49] 참고로, 반자동 취급을 한 경우, 발차 직전에 자동 취급으로 전환하여 일단 문을 전개폐한다.

'''S특급'''(S特急)은 한신 본선 구간에서는 고베산노미야 역 - 모토마치 역 구간에서만 운행하며, 상행선은 아침에, 하행선은 심야에 운행된다. 하행선은 고베산노미야 출발 산요히메지 행이, 상행선은 다카사고 출발 고베산노미야 행이 운행된다. 산요의 차량만으로 운행된다.

'''산요특급'''(山陽特急)은 한신 본선 구간에서는 고베산노미야 역 - 모토마치 역 구간만 운행하며, 아침과 저녁 이후에는 고베산노미야 역 - 산요히메지 역 구간에서 운행된다. 고베산노미야 역 출발 열차는 산요히메지 행 외에도, 히가시스마 행, 히가시니미 행, 카자마 행(평일 한정)도 있다. 고베산노미야 행 열차는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고베산노미야 역 도착 후 오오이시 역까지 회송되어, 해당 역에서 회차한다. 산요 전철의 차량이 사용된다.

'''준급'''(準急)은 본선에서는 2009년 3월 20일 개정으로 운행이 중지된 종별이다. 중지 직전에는 평일 아침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만 운행되는 종별이었다. 아침 러시 시간대에는 주로 하행은 우메다 발 아마가사키·코시엔 행, 상행은 이시야가와 역·미카게 역·니시노미야 역·코시엔 발 우메다 행이 운행되었고, 저녁 러시는 우메다 역 - 아마가사키 역·코시엔 역 간에 운행되었다. 그 이전에는 하행 오오이시 역 시발도 있었지만, 이것은 오오이시 역에서 히가시스마 역까지의 각역정차였으며, 급행계 차량 사용이라는 이유로 준급의 종별 표시로 운행되었다.

아침 저녁 러시 시간대의 보통 열차를 보완하는 종별로, 제트카보다 가감속 성능이 낮은 급행계 차량으로 운행되었기 때문에 일부 역을 통과했지만, 탑승 기회 확보를 위해 정차역이 많았다. 우메다 역 - 니시노미야 역 간에서는 요도가와 역·오오모노 역·아마가사키센터풀마에 역(단, 평일 아침 우메다 행은 정차)·쿠스가와 역·니시노미야히가시구치 역(후에 폐지) 이외의 역에는 모두 정차했고, 2역 연속으로 통과하는 구간은 없었다. 니시노미야 역 이후는 다이아 개정 때마다 정차역이 재검토되어 일정하지 않았지만, 홈 유효장이 4량분뿐이었던 스미요시 역은 통과했다. 급행계 종별과 엇갈려 정차했다.

2006년 10월 28일 다이아 개정부터 상행 준급이 우치데 역에 정차하고, 코우로엔 역이 통과가 되었다(우치데 역의 홈이 연장되어 6량 편성 대응이 된 것과, 코우로엔 역에 구간 특급이 정차하게 된 때문). 이때의 통과역은 요도가와 역, 오오모노 역, 아마가사키센터풀마에 역(상행은 정차), 쿠스가와 역, 코우로엔 역, 아시야 역, 아오키 역, 스미요시 역뿐이었다. 또한, 개정 전에는 최장 산요 전철 히가시스마 역까지 운행되었던 하행 준급은 모두 아마가사키 역·코시엔 역까지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3. 3. 운행 패턴

타사 선과의 직통 운행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고베 측에서는 1968년부터 고베 고속선[18]을 경유하여 고베 시를 횡단하고, 그 앞의 산요 전기 철도 본선(이하 산요 방면)과도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이 경우 열차 종별은 "직통특급"이나 "특급" 등의 상위 종별로 한정하여 속달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고베 산노미야 역 - 모토마치 역 간에는 산요 전기 철도의 S특급과 보통이 운행된다. 오사카 측에서는 니시노미야 역에서 분기하는 한신 난바선을 경유하여 킨테쓰(이하 킨테쓰 방면)와의 상호 직통 운행을 2009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나아가 한신 난바 선을 경유하여 킨테쓰 특급도 2014년 3월 22일부터 단체 임시 열차로 본 노선의 운행을 시작했다.[19][20] (운행은 특정 토요일・휴일뿐이며, 아침 8시대에 고베 산노미야 역 발, 저녁에 고베 산노미야 역 도착으로 운행).

과거에는 하나의 노선으로서 열차 종별이 매우 많아, 타사 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는 것도 더해져 다이어는 복잡했다. 특히, 이 열차 종별은 단순한 상하 관계가 아니라, 일부 하위 종별은 상위 종별이 정차하는 역을 통과하는 것도 있고("참새 정차"라고 불린다) 동일 종별이라도 상행과 하행・요일・시간대에 따라 정차역이 다른 경우가 많아,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알기 어려웠다.[21] 그러나 2009년 3월의 한신 난바 선 연장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에서는 본선에서는 준급을 휴지시키는 등 열차 종별이 정리되어, 현재는 비교적 심플한 다이어가 되고 있다. 다만 참새 정차는 현재도 많이 설정되어 있어, 평일 아침 러시 시간을 중심으로, 직통특급[22]・쾌속급행[23]・구간특급[24]・구간급행[25]에서 실시되고 있다. 또 그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서도 오사카 우메다 행의 우등 열차는 기본적으로[26] 오사카 우메다 역까지 선착하는 다이어가 짜여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고시엔 역을 출발하면 오사카 우메다 역까지 무정차였던 구간특급을 니시노미야 역・노다 역에도 정차시키는 등, 혼잡의 평준화가 도모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특히 수도권의 대형 사철 각사에서 도입이 진행되고 있는 유료 좌석 정원제 열차에 대해서는, 한신의 경우 특급은 본선 구간에서의 탑승 시간이 길어도 30분대이고, 주간을 포함하여 운행 편수가 많기 때문에 설정은 보류되어 왔지만, 2022년 12월 말부터 2023년 1월 말에 걸쳐 금요일 야간에 시험적으로 오사카 우메다 발 아오키 행 야간 유료 임시 열차 "'''라쿠얀 라이너'''"를 운행했다.

차량은 주로 "특급"이나 "급행" 등에서 사용하는 6량 편성의 적동차와, 높은 가감속 성능을 요구받는 "보통" 한정으로 사용하는 4량 편성의 청동차(제트카)의 2종류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평일 주간 각 구간의 1시간당 기본적인 운행 편수는 아래 표와 같다.

평일 주간 운행 패턴
종별\역명오사카
우메다
아마가사키니시노미야고베
산노미야
모토마치직통선비고
운행 범위직통특급2회→ 산요히메지
2회→ 산요히메지고베 고속선 내 각역 정차
특급2회→ 스마우라코엔
쾌속급행킨테쓰나라←2회[27]colspan="3" style="background-color:white"|
급행4회[27]colspan="6" style="background-color:white"|
2회[27]colspan="9" style="background-color:white"|
보통6회→ 고속고베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는 직통특급, 구간특급(상행만), 쾌속급행, 구간급행, 보통을 12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정차역이 많은 구간특급이나 구간급행을 설정함으로써 주간에 우등 열차가 통과하는 역에도 우등 열차를 정차시켜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꼼꼼한 통근 수요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외 평일에는 주간부터 야간에 걸쳐, 토요일・휴일에는 아침부터 저녁에 걸쳐 각각 1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지만, 아침이나 야간은 12분 간격으로 운행하여 쾌속급행의 니시노미야 역에서의 연결・분리 작업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종일 운행되는 종류[28]이며, 본선 전 구간을 통과 운전하여 앞서 설명한 “직통특급”과 함께 본선의 최상위 종류를 구성한다. 낮 시간대에는 앞뒤의 “직통특급” 사이에 1시간에 2회(30분 간격) 운행되며, 특급 계통은 “직통특급”과 합쳐 10분 간격의 다이어 구성이 된다.

1954년 9월 다이어 개정으로 등장했다. 등장 당시에는 낮 시간대에 20분 간격으로, 중간에 고베 산노미야 역에만 정차하여 우메다 역 - 모토마치 역 간을 27분 만에 연결했다. 1960년 9월 15일부터 니시노미야 역, 아시야 역, 미케 역에도 정차했고,[29] 그 대신 급행은 기본적으로 우메다 역 - 니시노미야 역 간으로 단축됨으로써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체계가 되었다.

이 종류도 산요 방면과의 직통이 기본이지만, “직통특급”과는 달리 산요 측의 종착역은 스마우라코엔역까지이며, 고베 산노미야 역 - 스마우라코엔 역 간은 각역정차하는 것이 다르다. 오사카 우메다 역 - 스마우라코엔 역 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 일부 오사카 우메다 역 - 히가시스마 역 간도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베 고속선 내 발착 열차로 오사카 우메다 역 - 고속고베 역 또는 신카이치 역 간 열차가 설정되어 있으며, 선내 운전으로 심야 하행에는 오사카 우메다 발 고베 산노미야 행이, 토요일・휴일 새벽 상행에는 고베 산노미야 발 오사카 우메다 행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한신의 차량을 사용하지만, 일부 특급은 직통특급의 회차 운용의 편의상 산요의 차량을 사용한다.

2001년 다이어 개정까지, 2000계 이전의 차량에 의한 특급 운용 시에 한해 전용 마크를 내걸고 운행되었다. 현재는 고등학교 야구 개최 기간 중의 특급 충당 차량에 전용 표식판을 게시하고 있다(2013년 봄까지는 산요 전철의 차량 운용에 의한 한신 특급을 제외). 고시엔 구장에서 한신 타이거스의 주최 경기가 개최될 때는, 타이거스의 마크가 그려진 표식판을 한신(직통특급 및 한신 특급 운용 시)・산요 전철의 차량에 각각 게시한다.

그 외, 2016년 3월 다이어 개정까지는, 토요일・휴일을 중심으로 고베 산노미야 역 - 고속고베 역・신카이치 역・히가시스마 역・스마우라코엔 역에서 구간 운전하는 “특급”이 있었다. 이 특급은 회차에 의한 운용이며, 이 구간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보통”이었지만, 표시막이 대응하지 않았기 때문에[30] “특급”으로 운행되었다.

2025년 2월 22일 다이어 개정으로, 심야에 후술하는 오사카 우메다 발 미케 행 급행 후에 오사카 우메다 발 고베 산노미야 행을 1편 증편한다.[45]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직통특급”과 함께 운행되는 종류로, 상행선에만 7편이 설정되어 있다. 모든 열차가 고야 출발 오사카 우메다 행으로 운행되며, 오사카 우메다 역 1번선에 도착 후 회송으로 되돌아간다. 러시아워에 운행되는 우등 열차이기 때문에 혼잡하므로, 오사카 측 4량째에 한신 전차에서 유일하게 여성전용차량이 설정되어 있다.

현행 다이어에서는 이름 그대로, 각 역에 연속 정차하는 구간과 통과 운행을 하는 구간이 있다. 후자에서는 상위 종류인 직통특급·특급의 정차역을 통과하는 “치도리 정차(간이 정차)”가 있으며, 직통특급이 정차하는 니시노미야 역을 통과한다. 2012년까지는 노다 역도, 2016년까지는 아마가사키 역도 각각 통과했다.

모든 열차가 고야 역에서 고베 산노미야 방면에서 온 보통 열차와 접속하고, 아오키 역에서는 후속의 쾌속급행과 직통특급의 대피를 한다. 차량은 한신 차량의 6량 편성을 사용한다.

1981년 다이어 개정으로 아시야 역을 시발역으로 하여 1편이 설정된 것이 시작이다. 그 후 고베 측 시발역을 산노미야 역으로 변경하여 운전 구간을 연장한 것 외에도, 여러 차례 증편이나 정차역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전 구간에서 통과 운행을 하였고, 현재처럼 연속 정차하는 구간은 없어, 거의 한신 본선 전선을 달리기 때문에 “구간특급”이라는 명칭에는 어색한 운행 형태였다. “특급”과 다른 정차 패턴으로 운행되었던 것은 변함없이 (아시야 역만 양쪽이 정차), 특급보다 정차역이 적었던 때도 있다. 2009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구간특급과 직통특급과의 속행 다이어에서, 아시야 역과 고시엔 역에서 다음 쾌속급행과 연락하는 다이어로 변경되어, 시발역이 아오키 역이 된 것 외에, 운전 구간이 단축되어 연속 정차 구간이 나타났다. 그 후, 2012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노다 역에도 정차하게 되었고[31], 2016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운전 구간이 확대되어 시발역을 고야 역으로 변경, 우오자키 역・아마가사키 역이 정차역에 추가되는[32] 등, 열차의 취지에도 약간의 변화가 보인다.

평일이지만 연말이기 때문에 토요일・휴일 다이어로 된 2014년 12월 29일에는, 통근 수송에도 배려하여 처음으로 임시 구간특급을 4편 운행했다.

4. 역 목록

우메다●●긴테쓰 나라 선 직통●●●후쿠시마●|↑||노다●●↑||요도가와||↑||히메지마||↑||지부네●|↑||구이세||↑||다이모쓰|||↑||아마가사키●●●↑●●데야시키|||↑||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무코가와●●▲↑||나루오●||↑||고시엔●●●●●▲구스가와rowspan="19"|||↑||이마즈●▲●||니시노미야●●↑●●고로엔rowspan="16"||●||우치데|●||아시야▲●●●후카에|●||오기|●||우오자키●rowspan="11"|●●스미요시|||미카게|●●이시야가와|||신자이케|||오이시|||니시나다|||이와야|||가스가노미치|||산노미야●●●모토마치rowspan="1"|●●

범례






역명일본어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오사카 우메다梅田일본어한큐 전철 교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고베 본선,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미도스지 선, 도카이도 본선(JR 교토 선, JR 고베 선), JR 다카라즈카 선, 오사카 순환선(오사카역), JR 도자이 선(기타신치역),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다니마치 선(히가시우메다 역),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요쓰바시 선(니시우메다 역)0.00.0오사카부오사카시기타구
후쿠시마福島일본어오사카 순환선, JR 도자이 선(신후쿠시마역), 게이한 전기 철도 나카노시마 선(나카노시마 역)1.11.1후쿠시마구
노다#野田일본어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센니치마에 선(노다한신 역), JR 도자이 선(에비에역)1.22.3
요도가와淀川일본어rowspan="4"|1.03.3
히메지마姫島일본어1.14.4니시요도가와구
지부네#千船일본어1.55.9
구이세杭瀬일본어0.96.8효고현아마가사키시
다이모쓰大物일본어한신 난바 선1.28.0
아마가사키#尼崎일본어한신 난바 선0.98.9
데야시키出屋數일본어rowspan="2"|1.210.1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尼崎センタープール前일본어0.710.8
무코가와武庫川일본어한신 전기 철도 무코가와 선1.212.0
무코가와 신호장武庫川信号場일본어rowspan="4"|--니시노미야시
나루오鳴尾일본어1.213.2
고시엔#甲子園일본어0.914.1
구스가와久寿川일본어0.714.8
이마즈今津일본어한큐 전철 이마즈 선0.615.4
니시노미야#西宮일본어rowspan="7"|1.316.7
고로엔香櫨園일본어1.117.8
호리키리 신호장堀切信号場일본어--
우치데打出일본어1.219.0아시야시
아시야芦屋일본어1.220.2
후카에深江일본어1.321.5고베시히가시나다구
오기#靑木일본어1.122.6
우오자키魚崎일본어고베 신교통 롯코 아일랜드 선1.223.8
스미요시住吉일본어rowspan="8"|0.824.6
미카게#御影일본어0.525.1
이시야가와石屋川일본어0.625.7
신자이케新在家일본어0.926.6나다구
오이시#大石일본어1.027.6
니시나다西灘일본어0.628.2
이와야岩屋일본어0.628.8
가스가노미치春日野道일본어1.129.9주오구
산노미야三宮일본어도카이도 본선(JR 고베 선), 한큐 전철 고베 본선, 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 선, 고베 시 교통국 지하철 세이신·야마테 선, 고베 시 교통국 지하철 가이간 선(산노미야·하나도케이구치 역)1.331.2
모토마치元町일본어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직결 운행), 도카이도 본선(JR 고베 선)0.932.1






본선은 고베 고속선을 포함하여 39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간 간격이 매우 좁은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고베 산노미야역은 우메다역에서 한큐 고베 본선으로 16번째 역이며, 모토마치역오사카역에서 JR 고베선으로 15번째 역이다.


참조

[1] 보도자료 阪神なんば線【3月20日(金・祝)】の開通に伴うダイヤ改正の実施! http://www.hanshin.c[...] 2009-01-16
[2] 서적 2020ハンドブック阪神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1-08-09
[3]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阪神本線が開業 「都市と都市を結ぶ電車」は日本初 https://trafficnews.[...] 2021-04-12
[4] 웹사이트 交通アクセス https://www.hanshin.[...] 2023-01-18
[5] 웹사이트 阪神・甲子園駅の野球ファン輸送は「神業」だ https://toyokeizai.n[...] 2016-09-19
[6] 문서 전33역 중 오사카부에 있는 역이 6개, 효고현에 있는 역이 27개로 효고현 쪽이 역 수가 많다.
[7] 웹사이트 元町駅 https://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3-01-24
[8] 문서 이벤트에 따른 임시열차로 본선을 경유하여 산요전철과 킨키닛폰철도 간에 직통운전을 한 적이 있다.
[9] 웹사이트 鉄道が高架化される意義 ~阪神電鉄の高架事業に思う~ https://news.yahoo.c[...] Yahoo!japanニュース 2019-12-01
[10] 웹사이트 安全報告書2009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公式ホームページ
[11] 문서 실제로 아시야 시내에서도 대부분의 구간이 입체 교차화(본선은 성토 고가, 도로는 언더패스)되어 있다.
[12] 문서 경한 본선·난카이 본선은 각각 회사명을 冠한 노선명이 정식 명칭이다. 또한, 연계 노선인 산요 전기철도 본선도 '산요'를 冠하지 않는 '본선'이 정식 명칭이다. 한편, 한신 난바선은 '한신'을 포함하여 정식 명칭이 되어 있다(킨키닛폰철도의 '난바선'과 구별하기 위해).
[13]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7-09
[14] 문서 킨키닛폰철도 교토본선·킨키닛폰철도 타카라즈카본선·킨키닛폰철도 고베본선
[15] 문서 본선의 개업은 오사카 환상선(당시는 세이세이 철도)보다 뒤이기 때문에 오사카 환상선이 고가화된 1964년까지는 지금과는 반대로 본선이 오사카 환상선을 넘어가고 있었다. 현재의 본선과 국도 2호 사이에 있는 보도가 이전 본선의 자리에 해당한다.
[16] 문서 아마가사키 역의 고가화는 1963년이지만 오오모노 역의 고가화는 1978년이다.
[17] 보도자료 阪神本線住吉・芦屋間連続立体交差事業 11月30日始発から魚崎駅~芦屋駅間上り線を高架に切替え ~これにより、神戸市内の11か所の踏切がなくなり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11-01
[18] 문서 2010년 10월 1일에 운영 형태가 변경되기 전에는 "고베 고속철도 동서선".
[19] 웹사이트 阪神三宮から近鉄沿線の観光地へ 近鉄特急車両(22600系)による団体向け臨時列車を3月22 日から運行開始します http://holdings.hank[...] 阪神電気鉄道 2014-01-23
[20] 뉴스 三宮―賢島間に初の直通列車 阪神と近鉄、観光シフ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3-22
[21] 문서 한산 시간대는 패턴이 일정하며, 정차역이 다른 경우는 정기적인 이용자가 많은 러시 시간대에 거의 한정되었다. 예전에 있었던 예로는, 특급의 고시엔 역 정차는 평일은 야간에만·휴일은 저녁 이후, 급행의 무코가와 역·이마즈 역 정차는 평일은 야간에만·휴일은 저녁 이후, 하행 준급은 특급 정차역인 아시야 역을 통과, 상행 준급은 아침에만 아마가사키 센터풀마에 역에도 정차 등이 있다. 따라서, 예전의 역 표준 출발 시각표에는 수많은 기호(●이나◇등)가 붙어 있었다.
[22] 문서 구간 특급이 운행되는 시간대에만 상행 열차가 고시엔 역을 통과한다.
[23] 문서 특급 정차역인 아시야 역과 미코게 역을 통과한다(아시야 역은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만 정차). 또한, 평일 아침 러시 시간 이외에는 무코가와 역과 이마즈 역에도 정차한다.
[24] 문서 특급 정차역인 니시노미야 역을 통과한다. 또한, 쾌속급행이 통과하는 시간대인 평일 아침 러시 시간에 이마즈 역에 정차한다.
[25] 문서 구간 특급 정차역인 후카에 역·우치데 역·코자에노 역을 통과한다.
[26] 문서 현행에서는 구간 급행을 포함하여, 승차한 열차가 오사카우메다 역에 선착하는 다이야를 짜고 있다. 단, 구간 특급은 2016년 3월의 다이야 개정으로 미코게 역 발착으로 변경되었을 때, 아오키 역에서 후속의 직통 특급과 쾌속 급행을 대피하게 되었다.
[27] 문서 토요일·휴일은 3편
[28] 문서 평일 아침 러시 시간은 거의 "직통 특급"이지만, 8시대와 9시대에서 오사카우메다 발 히가시스마 행 특급이 2편 있다.
[29] 뉴스 阪神でダイヤ改正 交通協力会 1960-09-14
[30] 문서 돌발적인 운용에 대응하기 위해 '보통'만 적힌 표시막은 갖추고 있었지만, 행선지까지 적힌 보통의 표시막은 갖추고 있지 않았다.
[31] 웹사이트 3月20日(火・祝)全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http://holdings.hank[...] 阪神電気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2-01-20
[32] 웹사이트 3月19日(土) 全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http://www.hanshin.c[...] 阪神電気鉄道 2016-01-20
[33] 웹사이트 【平日ダイヤ】天理教祭典日の運転について https://rail.hanshin[...] 2022-12-16
[34] 문서 실제로 킨테츠선 내와 한신난바선 내에서는 아마가사키 행 보통으로 운전하고, 아마가사키 역에서 고베산노미야 행 쾌속급행으로 변경한다.
[35] 문서 아마가사키 역에서 종별을 보통으로 변경.
[36] 문서 평일 운행, 오사카난바역에서 보통으로 변경
[37] 문서 평일 운행, 야마토니시다이지역에서 급행으로 천리역까지 연장 운행 (2021년 6월까지 연장 운행은 평일 천리교 제전일만, 臨時快速急行 항목도 참조)
[38] 보도자료 ~訪日外国人のお客様にも快適にご利用いただける阪神電車を目指して~ 車内多言語自動放送の導入など、インバウンド施策を進め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03-18
[39] 문서 야간 아마가사키행은 오사카난바행으로 변경. 평일 아침과 야간에 설정되어 있는 오사카난바행은 오사카난바역에서 급행, 준급, 보통 중 하나로 변경하여 킨테츠선으로 직통
[40] 문서 본선에서의 영업 열차에서 8량 편성의 운행은 개업 이래 처음
[41] 문서 평일 운행, 이후 현재는 평일 아침 운행
[42] 보도자료 3月14日(土)全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0-01-21
[43] 문서 니시노미야역은 고가화 시에 홈 유효장을 200m 정도로 하였고, 직통 운행 개시 시에는 이미 대응 완료. 고시엔역과 고베산노미야역은 역 개량 공사 시에 겸하여 일부 홈을 연장하여 대응. 그 외, 2018년부터 2020년 봄에 걸쳐, 홈의 연장 공사를 무코가와역(서쪽 개찰구로의 연락 통로의 일부를 홈으로 전용), 이마즈역(고가화 시에 160m 정도로 되었지만 오사카 측으로 재연장), 우오자키역(직통 운행 개시 전에 130m 정도로 되었지만 오사카 측으로 재연장) 각 역에서 실시. 아시야역은 홈의 양단이 건널목에 끼어 있기 때문에 연장 공사를 실시할 수 없었다.
[44] 보도자료 2022年12月17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朝・夕ラッシュ時間帯の利便性向上とご利用状況に応じた運転本数の見直しを行い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2-10-12
[45] 보도자료 2025年2月22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快速急行」の増発・所要時間の短縮、深夜時間帯の「特急」新設などの見直しを通じて利便性を向上し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4-12-05
[46] 문서 매년 7월부터 9월 상순의 고시엔 구장에서의 한신 타이거스 공식전은 더위 대책으로 토요일・휴일을 포함하여 모두 나이트 게임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경기 종료 전후의 고시엔역의 인상선은 (아마가사키 차고에서 출고한) 당역 발차의 임시 특급이 사용하기 때문에, 고시엔역 발착의 급행을 연장하여 니시노미야역 발착으로 변경(이마즈역에도 정차)
[47] 문서 아오키 발 오사카우메다행 열차는 이것에 더하여 아시야역, 니시노미야역, 이마즈역에 정차
[48] 문서 고베산노미야역과 모토마치역의 홈에서는 통상의 시간표와는 별도로, 급행 계열 차량을 사용하는 보통만의 시간표가 게시되어 있다(6량 편성으로의 운용 때문에)
[49] 문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대 방지를 위해, 2020년 3월 하순 이후는 반자동 취급을 중지하고 있으며, 코로나 감염증의 분류가 5류 상당으로 인하된 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50] 보도자료 阪神なんば線【3月20日(金・祝)】の開通に伴うダイヤ改正の実施! http://www.hanshin.c[...] 阪神電気鉄道 2009-01-16
[51] 보도자료 野球開催に伴う臨時列車の運転について(5/12~14) https://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3-05-12
[52] 문서 2016년 9월 22일(미즈키 나나의 콘서트 개최에 따른 것)은 고시엔행이 운행되지 않았던 한편, 우메다행이 5편 운행(5편째는 1편째의 차량이 우메다역에 도착 후, 고시엔까지 회송되어 운행) 등 예외도 존재
[53] 뉴스 お家芸(1)阪神ファンを「神業」輸送 試合展開で決める臨時特急、車内通り抜け乗り継ぎ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8-09-24
[54] 뉴스 阪神・甲子園駅の野球ファン輸送は「神業」だ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16-09-19
[55] 문서 단, 보통 열차 이외의 선행 열차는 추월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8000계의 「일본 제일 특별 래핑 열차」를 정류하고 있던 이시야가와 차고 앞에서 감속하는 등으로 조정
[56] 보도자료 「兵庫・大阪連携 阪神タイガース、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優勝記念パレード」 開催時に「元町、神戸三宮から大阪梅田までノンストップ」の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3-11-21
[57] 뉴스 帰りは乗り換えを 甲子園発臨時電車は梅田行き http://www.kobe-np.c[...] 神戸新聞社 2009-04-07
[58] 문서 실제로는 한신 난바선 방면으로의 임시 열차를 운행하려면 상호 직통 운행을 하고 있는 킨테츠와의 조정・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행되지 않는다.
[59] 보도자료 沿線の花火大会(8/6)・夏の高校野球大会期間中(8/7から15日間の土休日ダイヤ運行日)に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PDF/295KB)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6-07-29
[60] 보도자료 沿線の花火大会における特別運転及びお盆期間の運転ダイヤについて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07-17
[61] 문서 2009년은 아마가사키역 발 최종(21:52발)을, 2010년과 2011년은 그것에 더하여 아마가사키역 발 20:51발을 각각 고베산노미야역 발로 변경・연장. 2012년 이후는 아마가사키역 발 최종의 연장과 그 1편 전에 아마가사키행(아마가사키부터 보통 야마토니시다이지행)을 운전
[62] 보도자료 「神戸ルミナリエ」開催期間中の土・日曜(12/5・6・12・13)に、神戸三宮発の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今年は快速急行を大幅増発!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5-11-25
[63] 보도자료 「神戸ルミナリエ」開催中の土・日曜(12/3・4・10・11)は、神戸三宮発の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神戸三宮発臨時快速急行なら、阪神なんば線へ乗換不要! お帰りの際も悠々楽々!!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6-11-25
[64] 보도자료 神戸ルミナリエ特別運転について http://www.hanshin.c[...] 阪神電気鉄道 2009-12-01
[65] 보도자료 「神戸ルミナリエ」開催時の土・日曜日(12/7・8・14・15)に神戸三宮発の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https://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11-26
[66] 문서 이 중 고베 루미나리에는 2024년 1월에 부활했지만 임시 급행은 설정되지 않았다.
[67] 보도자료 阪神三宮駅→近鉄天理駅 臨時直通列車の運転について 〜4月18日(月)運転〜 https://www.hankyu-h[...] 阪神電気鉄道 2011-04-11
[68] 뉴스 阪神三宮発,天理行の臨時列車運転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1-04-19
[69] 보도자료 神戸三宮-近鉄天理間の臨時直通列車の運転について https://www.tenrikyo[...] 天理教公式サイト 2020-03-03
[70] 문서 오사카우메다역 - 고시엔역 간의 급행은 평일 새벽・야간(일부)과 토요일・휴일의 야간(23시대의 오사카우메다역 발 제외)만 운행
[71] 보도자료 1月11日(土)に急行を延長運転します ~西宮神社『十日えびす』ご参詣に便利です~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0-01-07
[72] 문서 null
[73] 뉴스 さながら“清宮電車”!? 阪神電鉄が13日早朝から臨時電車運行 早実戦で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8-12
[74] 웹사이트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の臨時列車について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7-08-10
[75] 뉴스 阪神,早朝時間帯に臨時急行列車を運転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8-08-14
[76] 웹사이트 第101回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の臨時列車について https://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08-08
[77] 웹사이트 第101回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の臨時列車について https://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9-08-16
[78] 뉴스 【阪神】「高校野球」に伴う臨時急行運転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7-08-22
[79] 웹사이트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の臨時列車について http://rail.hanshin.[...] 阪神電気鉄道 2017-08-10
[80] 뉴스 【阪神】「高校野球」に伴う臨時急行運転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7-08-22
[81] 문서 null
[82] 웹사이트 阪神初の「課金列車」に長蛇の列 「らくやんライナー」200円で”絶対座れる阪神”大盛況の現場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2-12-24
[83] 보도자료 【期間限定】夜間有料臨時列車(らくやんライナー)の運行について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2022-12-01
[84] 서적 日本の電車物語 旧性能電車編 創業時から初期高性能電車まで JTBパブリッシング 2007
[85] 간행물 null
[86] 신문기사 阪神、阪急の序幕戦 (一〜三) null
[87] 문서 null
[88] 뉴스 大戦末期、神戸中心部に地下軍需工場 秘密裏に阪神電鉄の線路接収 http://www.kobe-np.c[...] 2015-08-14
[89] 뉴스 高架仮下り線を15日から使用へ 交通協力会 1983-01-13
[90] 웹사이트 市のあゆみ https://www.nishi.or[...] 西宮市 2019-01-13
[91] 웹사이트 ABOUT | ふくまる通り57 https://www.hanshin.[...] 阪神電気鉄道
[92] 뉴스 阪神武庫川-尼崎間 上り線も立体化完了 来月使用開始 交通新聞社 1993-12-25
[93] 뉴스 阪神電鉄・梅田-野田間 来月5日から地下新線に 6踏切除去 交通渋滞を大幅解消へ 交通新聞社 1993-08-23
[94] 뉴스 阪神間の鉄道分断状態 交通新聞社 1995-01-19
[95] 뉴스 神戸市内へ乗り入れ 震災後初めて 阪神、青木まで運転再開 交通新聞社 1995-01-27
[96] 학술지 阪神大震災から1年 鉄道ジャーナル社 1996-04
[97] 뉴스 回送列車が脱線 阪神尼崎駅構内 交通新聞社 1995-02-08
[98] 뉴스 空気バネ作動せず 阪神脱線事故原因 交通新聞社 1995-02-09
[99] 뉴스 阪神電鉄 3月20日ダイヤ改正 被災の施設、車両全て復旧 交通新聞社 1996-02-27
[100] 뉴스 阪神山陽電鉄 直通特急の運転開始 交通新聞社 1998-02-17
[101] 학술지 Railway Topics 鉄道ジャーナル社 2001-05-01
[102] 학술지 関西私鉄 王国復権の道(1.姫路直通を大増発した阪神) 鉄道ジャーナル社 2001-05
[103] 학술지 鉄道記録帳2002年11月 鉄道友の会 2003-02-01
[104] 뉴스 阪神・住吉-魚崎間高架化 9日から切り替え http://www.kobe-np.c[...] 2002-11-07
[105] PDF 阪神「三宮」を「神戸三宮」に駅名変更のうえ、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全てのお客さまに分かりやすい駅を目指します http://holdings.hank[...] 阪急阪急ホールディングス 2013-04-30
[106] 웹사이트 阪神本線連続立体交差事業(鳴尾工区) / 最新トピックス http://web.pref.hyog[...] 兵庫県 2016-01-13
[107] 보도자료 阪神本線 住吉・芦屋間連続立体交差事業 魚崎駅 - 芦屋駅間下り線を高架に切替え 2015年12月12日始発から http://www.hanshin.c[...] 阪神電鉄 2015-11-10
[108] 웹사이트 阪神本線 住吉・芦屋間連続立体交差事業 http://www.city.kobe[...] 神戸市 2015-11-10
[109] 보도자료 阪神本線連続立体交差事業(鳴尾工区) 2017年3月18日始発から、甲子園駅 - 武庫川駅間上り線を高架に切替え 甲子園・武庫川駅間の線路が全て高架となります http://www.hanshin.c[...] 阪神電鉄 2016-12-27
[110] 보도자료 10月1日から「梅田」と「鳴尾」の駅名を変更します https://www.hanshin.[...] 阪神電鉄 2019-07-30
[111] 문서 평일일중이후와 토휴일전시간대
[112] 문서 운전계통으로서의 「교토본선」。동선의 정식적인 기점은 「[[십삼역]]」
[113] 문서 오사카난바행은 오사카난바역에서 준급 또는 보통으로 변경하여, 킨테츠나라선까지 직통운전.
[114] 문서 다만, 평일 아침의 보통 아마가사키행의 일부에, 아마가사키역에서 쾌속급행 고베산노미야행으로 변경하여 본선에 직통하는 열차가 있다.
[115] 문서 2010년 10월 1일부터 이루어진 운행 형태의 변화에 따라, 이 구간은 한신 선으로 취급되는 고베 고속선과는 다르다.
[116] 보도자료 한신 난바 선(3월 20일 금요일)의 개통에 따른 다이어 개정의 실시! http://www.hanshin.c[...] 한신 전기 철도 2009-01-16
[117] 보도자료 프로야구 나이터 임시 버스 호평 운행중! http://www.hanshin-b[...] 한신 버스
[118] 문서 2009년에는 아마가사키 시발의 최종 열차(21:52발)을, 2010년에는 거기에 더해 아마가사키 20:51발 열차를 산노미야 시발로 변경하였다.
[119] 보도자료 고베 루미나리에 특별운전에 관해 http://www.hanshin.c[...] 한신 전기 철도
[120] 웹사이트 덴리 교 교조 탄생제에 따른 임시열차의 운전에 관해 http://www.kintetsu.[...]
[121] 문서 고베 루미나리에 개최중의 토요일과 일요일에 관해서는, 고시엔 20:55발 - 21:31발의 네 편을 산노미야까지 연장 운행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