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위치한 군으로, 과거 고성군의 일부와 통천군의 일부를 관할한다. 동해와 접하며, 금강산이 위치해 있다. 1952년 군면리 통폐합을 통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23리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며, 금강산청년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렴성역
    렴성역은 1932년 동해북부선 구간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폐지된 후 1996년 금강산청년선 개통으로 영업을 재개한 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원산시
    원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개항 이후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청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산물 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해주시
    해주시는 황해남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해주만을 접하고 산을 등진 지형적 특징으로 정치·군사적 요충지이자 국제 무역항으로 지정된 해주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북한 9대 공업지구 중 하나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 유적 및 문화재를 보유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도시이다.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국가북한
강원도
행정 구역 종류
지리
면적863 ㎢
위치 설명외금강 및 삼일포 위치
행정 구역
종류1읍 23리
고성읍
인구 통계
인구 (2008년)61,277명
인구 밀도71.3 명/㎢

2. 지리

1914년 이전의 고성군이었던 지역과 통천군 림남면이었던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금강산 해변.


군 면적의 대부분은 산지이며, 이곳의 산들은 태백산맥의 일부이다. 동해에 접한 동쪽 해안을 따라서는 평야가 펼쳐져 있다. 금강산의 일부가 고성군에 포함되어 있으며, 금강산은 고성군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군 내 외금강과 해금강 지역에는 금강산 관광 지구가 설정되어 있다.

서쪽으로는 금강군, 북서쪽으로는 통천군과 접한다.

3. 역사

고구려 시대에는 達忽|달홀한국어이라 불렸으며, 통일 신라 때 高城|고성한국어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강원도 소속의 군으로 자리 잡았다.

일제강점기에는 간성군에 통합되었다가 다시 고성군으로 개칭되는 변화를 겪었으며, 면 단위의 행정 구역 조정과 장전읍 설치 등이 이루어졌다.

1945년 광복 이후 38선 이북 지역이 되어 소련군정 하에 놓였고,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의 고성군이 형성되었다. 자세한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고대 ~ 조선 시대

현재의 고성군 지역은 고구려 시대에 이라 불렸는데, 이는 당시 지역 언어로 "높은 산악 마을"을 의미했다.[3] (한편, 현재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지역은 당시 수성(守城)이라 불렸다.) 568년에는 달홀현으로 개칭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인 748년에는 같은 의미의 한자어인 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고려 시대에는 초기에 삭방도에 속했다가 이후 동계(東界) 소속의 고성부로 편제되었다. 이 지역은 바위가 많아 이라고도 불렸다.[3]

조선 초기에는 강원도 관할 아래 간성군에 속한 고성부였으나, 세종대왕 재위 시기에 간성군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군으로 승격되었다. 1629년(인조 7년)에는 노비가 주인을 살해하는 사건으로 인해 현으로 강등되었으나,[2] 1638년(인조 16년)에 다시 고성군으로 복구되었다.[3]

3.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 들어 고성군은 강원도 관할의 간성군에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동면과 안창면은 고성면으로, 일북면과 이북면은 신북면(新北面)으로 합쳐졌으며, 남면은 수동면과 서면으로 나뉘었다. 이로써 간성군은 토성면, 현내면, 군내면, 죽왕면, 오대면, 수동면, 서면, 신북면, 고성면 등 9개의 을 관할하게 되었다.[3]

1927년, 간성군은 다시 고성군으로 개칭되었다. 동시에 죽왕면과 토성면은 양양군으로 편입되었고, 군내면은 간성면으로 개칭되었다.[3]

1937년, 신북면의 일부(장전리, 성북리, 사호리, 주험리)가 분리되어 장전읍이 설치되었다.[3] 이후 1939년경, 장전읍 지역의 대부분은 외금강면(外金剛面)으로 분리되었고, 장전읍의 나머지 지역(장전리와 송북리)은 그대로 장전읍으로 유지되었다. 같은 시기 오대면은 고진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19]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함께 고성군은 소련군정 하에 놓이게 되었다.[19] 당시 고성군은 2읍 6면 체제였다.[19]

3. 3. 해방 이후 ~ 현재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고성군은 소련군의 관리 하에 놓였다. 당시 고성군은 2읍 6면 체제였다. 1947년에는 기존의 고성읍과 장전읍이 각각 고성면과 장전면으로 강등되어 8면 체제가 되었다.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기존 고성군의 장전면, 외금강면, 서면 전체와 고성면, 수동면의 일부 지역, 그리고 통천군의 임남면을 통합하여 새로운 '''고성군'''이 설치되었다. 이때 장전면 지역을 중심으로 고성읍이 신설되었고, 원래의 고성읍 지역은 구읍리로 개편되었다. 이 개편으로 고성군은 1읍 25개 리로 구성되었다.[19]

  • '''신설된 읍·리 (1952년 12월):''' 고성읍, 장전리, 종곡리, 봉화리, 해방리, 장포리, 삼일포리, 주둔리, 금천리, 순학리, 월비산리, 유격리, 구읍리, 해금강리, 염성리, 운전리, 능동리, 두포리, 복송리, 신봉리, 주험리, 고봉리, 초구리, 성북리, 운곡리, 남애리


1953년 7월 한국 전쟁 정전 협정이 발효되면서,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된 대한민국 측 고성군 수동면의 일부 지역(민간인 통제 구역)이 북한 고성군에 편입되었다. 이로써 고성군은 1읍 38개 리로 확장되었다.

  • '''편입된 지역 (1953년 7월):''' 신대리, 덕산리, 외면리, 불당리, 사비리, 원전리, 고미성리, 원대리, 사천리, 신탄리, 하탄리, 내면리, 흑연리 (일부 리 포함)


같은 해 12월, 다시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다. 1952년에 신설되었던 고성읍은 온정리로 강등되었고, 장전리와 주험리 일부를 통합하여 새로운 고성읍이 설치(승격)되었다. 또한, 1953년 7월에 편입되었던 남측 수동면 지역 대부분(흑연리·하탄리·고미성리·원대리·사비리·원전리·신대리·내면리·신탄리·사천리·외면리·불당리)과 월비산리 일부가 유격리로 통합되었고, 금천리 일부는 주둔리에, 덕산리는 월비산리에 편입되는 등 일부 리들이 통폐합되면서 1읍 25개 리 체제로 재편되었다.

이후에도 행정 구역 변경이 있었다. 1961년 3월에는 유격리가 월비산리에 편입되었고 (1읍 24리), 1967년 10월에는 주험리가 고성읍에 편입되어 (1읍 23리)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경제

지역의 경제는 농업이 주를 이루지만 어업도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미역다시마, 조개류를 채취한다. 주요 농작물로는 , 옥수수, , , 보리가 있다. 특히 대나무를 이용한 죽세공품의 생산으로 유명하다.

5. 교통

금강산청년선 철도가 고성군을 지나며, 현재는 남측의 고성군과는 연결이 끊어진 상태이다. 주요 교통수단으로는 철도와 해상이 있다.

5. 1. 철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금강산청년선이 고성군을 지난다. 이 노선의 거의 절반 가량이 고성군에 위치하며, 금강산청년역까지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금강산청년역 이후 노선은 삼일포역감호역을 지나 비무장 지대를 가로질러 남쪽으로 이어진다. 이 역들은 정기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남쪽의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 동해북부선 제진역과 연결된다.[16]

금강산청년역과 제진역 사이 구간은 한국 분단 이후 오랫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07년 남측에서 금강산 관광특구로 가는 관광 열차 운행을 위해 재개통되었다. 하지만 2008년 조선인민군 군인에 의한 대한민국 관광객 피격 사건(박왕자 씨 피격 사건)이 발생한 이후 다시 폐쇄되어 현재까지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17]

고성군 내 금강산청년선 역은 다음과 같다.

5. 2. 해상

가장 가까운 주요 항구는 원산이다.

6.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은 1개 읍과 23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한자비고
고성읍高城邑군 인민위원회 소재지 (구 장전읍)
온정리溫井里금강산 관광 지구
금천리金川里
주둔리駐屯里
순학리順鶴里
월비산리月飛山里
봉하리烽下里
구읍리舊邑里원래 고성읍 소재지
삼일포리三日浦里
장포리長浦里
해방리解放里
운곡리雲谷里
종곡리種谷里
성북리城北里
남애리南涯里
운전리雲田里
두포리豆浦里
복송리福松里
렴성리濂城里
릉동리陵洞里
신봉리新峰里
해금강리海金剛里금강산 관광 지구 (해금강)
고봉리高峰里
초구리草邱里


  • 고성읍(高城邑): 현재의 고성읍은 일제강점기의 장전읍 지역이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는 외금강면의 온정리, 장대리, 양진리, 용연리 일대가 고성읍이었으나, 1953년 이 지역은 온정리로 개칭되고 장전리 지역이 고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주호리 일부가 편입되었고, 1967년 주호리 전체가 편입되었다. 금강산 관광 지구와 금강산청년선이 이곳을 지난다.[6] 원래 고성읍의 중심지는 현재의 구읍리이다.
  • 온정리(溫井里): 금강산 관광 지구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 곳이다. 1953년 이전에는 고성읍이었다.
  • 장포리(長浦里): 1952년 외금강면의 장도리, 포항리, 추옹리를 합쳐 만들었으며, 장도리와 포항리의 앞 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해초와 해삼이 유명하다.[7]
  • 초구리(草邱里): 과거 안창면 소속으로, 풀이 무성한 언덕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8]
  • 해방리(解放里): 한국 전쟁 중 고성군 인민유격대에 의해 해방된 것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1952년 외금강면의 영진리와 소아리를 합쳐 만들었다.[9]
  • 해금강리(海金剛里): 해금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고봉리(高峰里): 1914년 설치되었으며, 1949년 일부가 태흥리로 분리되었으나 1952년 다시 통합되었다.[10]
  • 렴성리(濂城里): 1952년 통천군 림남면의 내렴성리, 외렴성리, 동자원리를 합쳐 만들었다. 성 모양을 닮은 시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11] 렴성역이 위치한다.
  • 순학리(順鶴里): 1952년 수동면 초현리와 서면 전성리, 송탄리를 합쳐 만들었다. 한국 전쟁 중 351고지 전투에서 활약한 조선인민군 군인이자 공화국 영웅인 최순악의 이름을 땄다.[12]
  • 두포리(豆浦里): 두패리와 장룡포리를 합병하여 만들었다. 인근에 솔섬이 있다.[13]
  • 운곡리(雲谷里): 1914년 내운리, 외운리, 방옥리를 합쳐 만들었다. 예로부터 구름이 많은 곳으로 알려졌다.[14]
  • 월비산리(月飛山里): 월비산의 이름을 따왔으며, 1952년 서면 시랑리, 포현리와 수동면 종월리 일부를 합쳐 만들었다. 한때 일부가 육여리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쳐졌다. 꿀이 유명하다.[15]


금강산을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는 금강군, 북서쪽으로는 통천군과 접한다. 군 내 외금강과 해금강 지역에는 금강산 관광 지구가 설정되어 있다.

6. 1. 기후

고성역 (장전)의 기후 (1991년~2020년 평년값, 극값 1976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C)15.3°C19°C25.2°C31.2°C38.1°C38°C36°C38.2°C33.8°C29.9°C32°C24°C38.2°C
평균 최고 기온(°C)3.9°C5.2°C10°C16.4°C21.3°C24.2°C26.8°C27.4°C23.9°C19.4°C12.6°C6.2°C16.4°C
일평균 기온(°C)-0.3°C1.2°C5.9°C11.9°C16.7°C20.2°C23.6°C24.1°C20°C14.9°C8.5°C2.1°C12.4°C
평균 최저 기온(°C)-4.2°C-2.7°C1.7°C7.1°C12.1°C16.6°C20.6°C21.1°C16.4°C10.8°C4.3°C-1.8°C8.5°C
역대 최저 기온(°C)-19.5°C-18.8°C-14°C-4°C0.7°C1.8°C11.4°C10.1°C9°C-1°C-12°C-15°C-19.5°C
강수량(mm)39.7mm46.5mm49.9mm68.6mm90.5mm141.9mm303.4mm316.6mm191.4mm110mm95.1mm48.7mm1502.3mm
강수일수(≥ 0.1 mm)3.94.05.56.16.99.012.311.98.15.46.03.582.6
강설일수3.73.53.20.20.10.00.00.00.00.00.31.812.8
평균 상대 습도(%)61.061.963.763.370.180.985.186.481.972.366.261.771.2
출처: 기상청[4], NOAA (극값)[5]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고성군 https://encykorea.ak[...]
[3] 웹사이트 고성군역사 http://www.cybernk.n[...]
[4]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5]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2-02
[6] 웹사이트 고성읍 http://www.cybernk.n[...]
[7] 웹사이트 장포리개요 http://www.cybernk.n[...]
[8] 웹사이트 초구리 http://www.cybernk.n[...]
[9] 웹사이트 해방리 http://www.cybernk.n[...]
[10] 웹사이트 고봉리 http://www.cybernk.n[...]
[11] 웹사이트 염성리 http://www.cybernk.n[...]
[12] 웹사이트 순학리 http://www.cybernk.n[...]
[13] 웹사이트 두포리 http://www.cybernk.n[...]
[14] 웹사이트 운곡리개요 http://www.cybernk.n[...]
[15] 웹사이트 월비산리 http://www.cybernk.n[...]
[16]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17] 뉴스 ROK woman tourist shot dead at DPRK resort http://www2.chinadai[...] China Daily 2008-07-12
[18]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units, extended http://www.geohive.c[...] geohive.com 2018-02-07
[19] 웹사이트 강원도 고성군 역사 http://www.cybernk.n[...]
[20]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