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포 (법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포(公布)는 법률, 조약, 헌법 개정안 등 법적 효력을 가지는 사항을 널리 알리는 행위이다. 일본에서는 1886년 공문식에 의해 법령을 관보로 공포하도록 규정되었으며, 이후 공식령을 거쳐 1947년 공식령 폐지 이후에는 관보 게재를 통해 공포해왔다. 2022년 전자 관보 도입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공포 절차는 헌법 개정의 경우 국민투표, 법률은 양원 가결, 정령은 각의 결정, 조약은 관련 절차 완료 후 관보 게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도 법률 공포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공포는 법령의 효력 발생 요건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문법 - 밀라노 칙령
    밀라노 칙령은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공표한 문서로, 로마 제국 내 모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기독교 재산 반환을 명시하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 성문법 - 맥주 순수령
    맥주 순수령은 1516년 바이에른 공국에서 물, 보리, 홉, 효모만을 사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도록 규정한 법령으로, 빵의 원료 보호와 맥주 품질 유지를 위해 제정되었으며, 현대에는 예외 조항이 생겼지만 독일 맥주 제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행정법 - 국가배상법
    국가배상법은 공무원의 불법행위로 국민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배상 책임을 지는 법률로, 공무의 위탁을 받은 자도 포함되며 외국인의 청구는 상호주의에 따라 제한될 수 있고, 특정 직무 수행 중인 군인 등은 다른 법률에 의해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 국가배상 청구가 제한될 수 있으며, 영조물 하자에 대한 국가 책임과 국가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배상심의회 절차, 그리고 국가이중배상금지에 대한 헌법 규정의 합헌성을 규정한다.
  • 행정법 - 공권력
    공권력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당하고 합법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적이고 유형적인 힘을 의미하며, 1789년 프랑스 인권 선언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경찰이나 군대를 지칭하기도 한다.
공포 (법률)
법률 공포
정의법률의 효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법률 제정 후 공식적으로 선포하는 행위
관련 용어법률
상세 내용
절차법률이 제정된 후 헌법 또는 법률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대통령 또는 국가 원수가 법률의 명칭, 제정일, 공포 번호 등을 기재하고 서명하여 관보에 게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효력 발생
시기공포된 날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름

2. 공포의 방법

공포는 국회 등에서 가결되어 성립된 법령의 내용을 국민이나 주민이 알 수 있도록 하는 행위이다. 법령이 현실적으로 구속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공포 절차를 거쳐야 한다. 공포 방법은 주로 정부나 공공 기관지에 게재하는 경우와 특정 게시판에 게재하는 경우가 있다. 후자는 중소 규모의 지방 자치 단체의 명령에 많이 나타난다.

각국의 공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국가별 공포 방법
국가공포 방법추가 설명
일본관보 게재일본국 헌법에 따라 천황국사행위로서 공포. 2023년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관보 게재 의무화.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 공화국 관보 게재대통령이 법안 제정 및 공표
벨기에벨기에 공식 관보 게재벨기에 국왕이 법령 공포, 칙령과 조례는 각 지역 및 공동체 정부가 공포
캐나다캐나다 관보 게재연방 의회 법률, 내각 명령, 선포, 공고, 공식 임명, 정부 제안 규정 공포. 각 주 및 준주는 자체 간행물 보유
교황청사도좌 관보 게재가톨릭 교회의 교회법 공포. 기본적으로 공포 후 3개월 후 시행
프랑스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프랑스 대통령이 공포 (의회에 법 재고 요청 가능)
독일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대통령이 법률 공포 및 발행 (명백한 위헌 시 제외)
홍콩홍콩 정부 관보 게재홍콩 행정장관 서명 및 공포
헝가리머저르 쾨즐뢰니 게재헝가리 대통령 서명 및 공포
인도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인도 대통령이 긴급 법령 공포 (국회법과 동일 효력)
아일랜드아이리스 오이피기일 고지아일랜드 대통령 발행
맨 섬틴월드 야외 회의 공포성 요한 축일(6월 24일) 틴월드 언덕에서 개최
이탈리아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이탈리아 대통령 공포
케냐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대통령 수행
룩셈부르크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룩셈부르크 대공 공포
마카오보렐팀 오피셜 게재마카오 행정장관 서명 및 공포
몰타몰타 정부 관보 게재몰타 대통령 동의 후 효력 발생
멕시코연방 관보 게재의회 승인 및 대통령 서명 후 효력 발생
폴란드관보 게재폴란드 대통령 공포
포르투갈Diário da República 게재포르투갈 대통령 공포 후 효력 발생
루마니아모니토룰 오피셜 게재루마니아 대통령 공포
스페인국가 관보 게재스페인 국왕 재가 및 공포
스웨덴스웨덴 법률집 게재스웨덴 정부 공포
튀르키예레스미 가제테 게재공화국 대통령 공포
영국관보 게재 (명시되지 않음)영국 군주 재가 후 공포
미국연방 관보 게재미국 대통령 서명 또는 의회 3분의 2 찬성으로 효력. 연방 규정은 공청 기간 후 공포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 헌법에는 법률안 성립 절차가 서술되어 있으며, 공포 절차는 법령 등 공포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다.[37]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은 정부에 이송되어 15일 이내에 대통령이 공포한다.[37] 법령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공포가 있어야 하며 법령의 효력 발생 요건 중 하나이다.[36] 대통령의 재가를 받은 법률안이나 대통령령은 법제처에서 공포 번호를 부여하여 행정안전부관보 게재 요청을 통해 공포하며, 공포를 통해 해당 법률과 대통령령이 성립되게 된다.[38]

공표(公表)와 공포(公布)는 다른데, 공표는 여러 사람에게 널리 드러내어 알린다는 뜻으로,[39] 법적 효력을 가지는 행위는 아니다.[40]

2. 2. 일본

일본국 헌법에서는 헌법 개정, 법률, 정령, 조약의 공포를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따라 천황국사행위로서 수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일본국 헌법 제7조 제1호).[24] 그 외의 법령에 대해서는, 그 제정 기관이 공포한다.

공포 형식에 관해서는, 1947년 5월 3일에 공식령이 폐지된 후에는 일부 법령을 제외하고 특별한 규정은 없었다. 따라서 선례에 의해 관보에 게재하는 방법으로 행해져 왔지만, 2023년 12월 13일 레이와 5년 법률 제85호로 공포된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에 의해[25] 늦어도 2025년까지 행해질 예정인 동법의 시행 후에는[26] 법률에 근거하여 "공포는 관보에 의해 행한다"가 된다.[27]

관보에 게재하여 공포하는 방법은 1886년에 칙령으로 제정된 공문식에 의해 처음 규정되었다. 이 칙령은 법령은 관보로써 공포되며, 각 부현마다 정한 "관보 도달 일수"의 7일 후부터 각 지역에서 시행된다고 하였다. 그 후 1907년에 공문식을 대신하여 공식령이 제정되어, 이것에도 관보에 게재하는 방법에 따르도록 규정되었다.

일본국 헌법 시행일인 1947년 5월 3일에 공식령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체할 법령은 제정되지 않았다. 그 후에도 관보에 법령을 게재하는 것이 계속되었지만, 근거 법령이 없었기 때문에 어떤 상태가 되면 법령이 공포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되었다.

이에 대해, 제45대 내각총리대신 요시다 시게루는 사무차관 회의에 "공식령 폐지 후의 공문의 방식 등에 관한 건"을 만들도록 지시하고, 그 제5항에 "법령 기타 공문의 공포는 종전대로 관보로 한다"는 문구를 넣게 했다.

최고재판소판례는 법령의 공포는 종전대로 관보로 행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해석하며(최대판 쇼와 32년 12월 28일 형집 11권 14호 3461호), 공포 시기에 대해서는 일반인이 관보를 열람·구독하려고 하면 할 수 있었던 최초의 시점(최대판 쇼와 33년 10월 15일 형집 12권 14호 3313페이지)으로 하고 있다.[31]

2022년 12월, 경제계의 요구에 따라 "메이지 이래 종이로 발행되어 온 관보를 전자화"하는 방침이 결정되었다. 관보 발행법안이 국회에서 가결 성립됨으로써,[24] 공식령 폐지 이래 76년 만에 관보에 게재해야 할 사항으로 관보에 의한 공포 등이 정해졌다.

지방자치법 16조 4항은 조례의 공포에 관해 필요한 사항은 조례로 정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며, 도도부현이나 시정촌은 "공고식 조례", "조례 등의 공포에 관한 조례"라는 명칭의 조례로, 조례의 공포 방식을 정하고 있다. 도도부현은 그 공보에 게재하는 것에 의해, 시정촌은 소정의 게시장에 게시하는 것에 의해, 조례를 공포한다고 정하고 있는 예가 많다.

2. 3. 기타 국가


  • 아르메니아 대통령은 법안을 제정하고, 이를 ''아르메니아 공화국 관보(Hayastani Hanrapetutyun)''에 공표한다.
  • 벨기에 법령은 벨기에 국왕[2]에 의해 공포되고 ''벨기에 공식 관보''에 게재된다. 칙령과 조례는 각 지역 및 공동체 정부에 의해 공포되고 벨기에 공식 관보에 게재된다.
  • 캐나다 캐나다 연방 의회의 법률, 내각 명령, 선포, 공고, 공식 임명 및 캐나다 정부의 제안된 규정은 ''캐나다 관보''(프랑스어: ''Gazette du Canada'')에 공포된다.[3] ''캐나다 관보''는 별도로 발행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부는 공고, 공식 임명 및 제안된 규정을 공포하고, 제2부는 규정을 공포하며, 제3부는 의회 법률을 공포한다.[4] 각 주 및 준주는 자체 법률, 규정 및 기타 법정 문서를 공포하는 자체 간행물을 가지고 있다.

캐나다의 주별 관보[5]
간행물
앨버타[https://www.qp.alberta.ca/Alberta_Gazette.cfm 앨버타 관보]
브리티시 컬럼비아[https://www.crownpub.bc.ca/Home/Gazette 브리티시 컬럼비아 관보]
매니토바[https://gazette.gov.mb.ca/ 매니토바 관보 / Gazette du Manitoba]
뉴브런즈윅[https://www2.snb.ca/content/snb/en/sites/royal_gazette.html 로열 관보 / Gazette royal]
뉴펀들랜드 래브라도[https://www.gov.nl.ca/dgsnl/printer/gazette/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관보]
노스웨스트 준주[https://www.justice.gov.nt.ca/en/northwest-territories-gazette/ 노스웨스트 준주 관보 / Gazette des Territoires du Nord-Ouest]
노바스코샤로열 관보
누나부트누나부트 관보 / Gazette du Nunavut
온타리오'온타리오 관보 / La Gazette de lOntario''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https://www.princeedwardisland.ca/en/royalgazette 로열 관보]
퀘벡퀘벡 공식 관보
서스캐처원[https://publications.saskatchewan.ca/#/categories/1511 서스캐처원 관보]
유콘[https://legislation.yukon.ca/2020_yukon_gazette.html 유콘 관보 / La Gazette du Yukon]


  • 교황이 반포한(또는 공의회나 성에서 반포한 법의 경우 교황의 동의를 얻은)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은 ''사도좌 관보''에 공포될 때 반포되며, 기본적으로 공포 후 3개월 후에 법적 효력을 갖는다.[6] 주교와 특별 공의회가 반포한 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포되지만, 기본적으로 공포 후 1개월 후에 효력이 발생한다.[7]
  • 프랑스 법률은 프랑스 대통령이 공포한다(대통령은 의회에 법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지만, 이는 한 번만 가능하다).
  • 독일 대통령은 법률을 적절하게 공포하고 발행할 의무가 있으며, 대통령이 해당 법률이 "명백히 위헌"이라고 간주하지 않는 한 그렇다.
  • 홍콩 법안은 행정장관의 서명과 공포를 거쳐야 하며, 관보를 통해 정부에서 공표해야 한다.
  • 헝가리에서 통과된 법안은 법적 효력을 갖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관보인 머저르 쾨즐뢰니에 공포되어야 한다.
  • 인도에서 인도 의회가 휴회 중일 때, 인도 대통령은 연방 내각의 권고에 따라 긴급 법령을 공포할 수 있으며, 이는 국회법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 아일랜드에서 오이어흐타스에서 통과된 모든 법률은 아일랜드 헌법에 따라 아일랜드 대통령이 발행하는 ''아이리스 오이피기일''의 고지를 통해 공포된다.[12]
  • 맨 섬의 입법 기관인 틴월드의 법률은 일반적으로 성 요한 축일(6월 24일)에 세인트 존스에 있는 틴월드 언덕에서 열리는 틴월드의 야외 회의에서 "공포"된 후에 발효되었다.
  • 이탈리아에서 대통령은 법을 공포한다.
  • 일본에서 일본 천황국회에서 통과된 법률을 공포한다. 천황은 법률 공포를 거부할 수 없다.
  • 케냐에서 공포는 대통령이 수행한다.
  • 룩셈부르크에서 새로운 법률이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 대공이 이를 '공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마카오에서 법안은 입법회에서 승인하고, 행정장관이 서명하고 공포해야 한다. 법안은 관보 ''보렐팀 오피셜''에 게재되어야 한다.
  • 몰타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해당 법안은 몰타 대통령에게 제출되어 그의 동의를 받게 된다. 의회 법은 이후 ''몰타 정부 관보''에 게재되며, 이렇게 하여 효력이 발생한다.
  • 멕시코의 법률은 의회에서 승인되고 대통령이 서명하며, 연방 관보(Diario Oficial de la Federaciónes)에 게재됨으로써 효력을 갖는다.
  • 폴란드에서 법률은 ''관보''에 게재되어야 하며, 대통령에 의해 공포되어야 한다.
  • 포르투갈에서 법률(의회에서 제정된 법)과 법령(정부에서 제정된 법)은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 대통령의 공포를 받아야 한다. 공포 후 법률은 ''Diário da República''(관보)에 게재된다.
  • 루마니아에서 법안은 대통령이 공포하고, 이후 관보인 ''모니토룰 오피셜''에 게재되어야 한다.
  • 스페인에서 법안이 ''코르테스 헤네랄레스''를 통과하면, 통과 후 2주 이내에 스페인 국왕의 재가를 받아야 한다. 국왕은 그 후 법안을 공포하고 즉시 관보인 ''국가 관보''에 게재한다.
  • 스웨덴에서 법과 하위 법규는 스웨덴 정부에 의해 공포되며, 스웨덴 법률집(Svensk författningssamlingsv)에 게재된다.
  • 튀르키예에서 법안은 공화국 대통령에 의해 공포되고 관보인 ''레스미 가제테''에 게재된다.
  • 영국에서 영국 의회법은 영국에서 영국 군주의 재가를 받으면 공포된다.
  • 미국에서 의회법은 미국 대통령이 서명하거나, 대통령이 수령 후 10일 이내(일요일 제외)에 서명하거나 거부하지 않고 의회가 회기 중일 때, 또는 미국 상원미국 하원 모두에서 각 의회의 3분의 2 다수 투표로 대통령의 거부권을 회기 중에 무효화할 때 법적 효력을 갖는다.[21] 미국 행정법에서 연방 규정은 ''연방 관보''에 게재되고 공청 기간이 종료되면 공식적으로 공포되었다고 할 수 있다.
  • 미국 헌법 수정안은 "의회가 제안할 수 있는 비준 방식에 따라 각 주의 4분의 3의 입법부 또는 4분의 3의 협약에 의해 비준될 때" 법적 효력을 갖는다.[22]

3. 공포 절차


  • '''헌법 개정'''은 국민투표에서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성 투표 수가 투표 총수의 2분의 1을 초과하면 성립된다. 내각총리대신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총무대신을 통해 통지를 받은 후 즉시 헌법 개정 공포 절차를 밟는다. 내각총리대신은 헌법 개정을 각의에 부친 후, 천황에게 주상하고, 천황은 서명하고 어새를 찍게 하며, 헌법 개정은 다시 각의에 부쳐진다. 여기서 내각총리대신과 국무대신이 헌법 개정에 서명하고 관보에 게재하여 공포한다.

  • '''법률'''은 일반적으로 양 의원에서 가결되었을 때 성립한다. 예외적으로 참의원이 법률안을 부결했을 때(중의원에서 출석 의원의 3분의 2 이상의 다수로 재가결된 경우), 또는 "하나의 지방공공단체에만 적용되는 특별법" (지방자치 특별법)에 대해 해당 지방공공단체의 주민 투표에서 과반수의 동의를 얻었을 때 성립한다. 법률이 성립된 후, 마지막 의결이 있었을 경우에는 그 의원의 의장으로부터, 중의원의 의결이 국회의 의결이 된 경우에는 중의원 의장으로부터, 내각을 경유하여 천황에게 주상된다.[33] 법률의 공포는 각의 결정 사항이지만, 공포를 결정하는 각의에서 주임 국무대신의 서명 및 내각총리대신의 연서도 이루어진다. 그 후, 천황은 법률에 서명하고 어새를 찍게 하며, 법률은 법률 번호가 부여되어, 관보에 게재되어 공포된다.

  • '''정령'''은 각의에서 결정된 후, 천황에게 주상되고, 관보에 게재되어 공포된다. 정령 결정 각의에서 공포에 대해서도 함께 결정한다.

  • '''조약'''은, 2국간 조약인 경우, 통상 일본어가 정본으로 작성되므로 일본어 정본이 공포된다. 다자간 조약이며 일본어가 정본이 아닌 경우나, 2국간 조약이더라도 공통 언어로서 영어를 정본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조약에서의 정본(영어프랑스어 등)이 외무성에 의한 번역과 함께 관보에 게재되어 공포된다. 외국어 정본이 2개 이상 있는 경우라도 관보에 게재하는 것은 그 중 하나뿐이다.[34] 해석에 의문이 있는 경우의 해석은 정본에 따르지만, 일본국 헌법 시행 후 10년 가까이, 정본인 외국어는 공포되지 않았으므로, 법적으로 정본인 외국어 그대로 공포해야 한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다.


조약 공포 시기는, 2국간 조약의 경우, 비준서 교환 또는 이에 준하는 국내 절차 완료 통지 교환이 발효 요건인 경우에는, 비준서 교환 등의 시점에서 공포되며, 그 시점에서 발효일도 확정되므로, 공포와 동시에 발효일에 대한 외무성 고시가 이루어진다.

다자간 조약에서, 모든 체약국의 비준 또는 일정 수의 체약국의 비준이 필요한 경우나, 2국간 조약이라도, 절차 종료 통지가 각 당사국이 행하는 경우 등은, 일본의 절차가 종료된 단계에서는 발효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공포 시기에 대해서는, 2018년에 국회 승인된 환태평양 파트너십에 관한 포괄적 및 선진적인 협정에서는, 2018년 7월 6일에 효력 발생을 위한 통보를 일본이 했지만, 공포 및 발효 고시는, 발효가 확정된 후의 2018년 12월 27일이었다.[35]

  • '''조례'''는, 보통 지방 공공 단체의 장이, 재의 기타 조치를 강구한 경우를 제외하고, 송부를 받은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공포해야 한다. (지방자치법 제16조 제2항).

4. 공포와 관련된 쟁점

1947년 공식령이 폐지되면서 일본에서는 법령 공포의 근거 법령이 없어 어떤 상태가 법령의 공포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28] 이는 법령의 효력 발생 시점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였다.

최고재판소판례를 통해 공식령 폐지 후에도 법령 공포를 관보로 하는 종전의 방법이 행해져 온 것을 현저한 사실로 인정하고, 국가가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법령을 공포하지 않는 한, 관보로 공포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해석했다.(최대판 1957년 12월 28일 형집 11권 14호 3461호) 또한, 공포 시점은 일반인이 관보를 열람·구독할 수 있었던 최초의 시점으로 보았다.(최대판 1958년 10월 15일 형집 12권 14호 3313페이지)[30]

요시다 시게루는 사무차관 회의에 "공식령 폐지 후의 공문의 방식 등에 관한 건"을 만들도록 지시하여 "법령 기타 공문의 공포는 종전대로 관보로 한다"는 문구를 넣게 했다.

이러한 상황은 2023년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늦어도 2025년까지 시행될 예정이며, 이후에는 법률에 근거하여 "공포는 관보에 의해 행한다"라고 명시됨으로써 해결될 예정이다.[26]

4. 1. 전자 관보 도입

1886년(메이지 19년) 칙령으로 제정된 '''공문식'''(메이지 19년 칙령 제1호)에 의해 처음으로 법령을 관보로써 공포하는 방법이 규정되었다.[27] 이후 1907년(메이지 40년) 공식령(메이지 40년 칙령 제6호)이 제정되어 관보 게재를 통한 공포 방식이 이어졌다.

그러나 일본국 헌법 시행일인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에 공식령이 폐지되면서, 관보를 통한 법령 공포의 근거 법령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었다. 최고재판소 판례는 관보를 통한 공포 방식을 인정했지만,[29] 경제계에서는 종이 관보의 한계를 지적하며 전자화를 요구했다.[32]

이에 2023년(레이와 5년) 12월 13일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24] 2025년(레이와 7년)까지 시행될 예정인 동법에 의해 관보의 전자화 및 발행 방법이 법률로 명문화될 예정이다.[25][26]

4. 2. 공포 시점 논란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공식령이 폐지되면서 일본에서는 법령 공포의 근거 법령이 없어 어떤 상태가 법령의 공포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28] 이는 법령의 효력 발생 시점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였다.

최고재판소판례를 통해 공식령 폐지 후에도 법령 공포를 관보로 하는 종전의 방법이 행해져 온 것을 현저한 사실로 인정하고, 국가가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법령을 공포하지 않는 한, 관보로 공포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해석했다.(최대판 쇼와 32년 12월 28일 형집 11권 14호 3461호) 또한, 공포 시점은 일반인이 관보를 열람·구독할 수 있었던 최초의 시점으로 보았다.(최대판 쇼와 33년 10월 15일 형집 12권 14호 3313페이지)[30]

제45대 내각총리대신 요시다 시게루는 사무차관 회의에 "공식령 폐지 후의 공문의 방식 등에 관한 건"을 만들도록 지시하여 "법령 기타 공문의 공포는 종전대로 관보로 한다"는 문구를 넣게 했다.

이러한 상황은 2023년 (레이와 5년) 관보 발행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늦어도 2025년까지 시행될 예정이며, 이후에는 법률에 근거하여 "공포는 관보에 의해 행한다"라고 명시됨으로써 해결될 예정이다.[26]

참조

[1] 웹사이트 Promulgate Law & Legal Definition http://definitions.u[...] US Legal, Inc. 2015-10-28
[2] 문서 Article 109 of the Belgian Constitution
[3] 웹사이트 Understand the Canada Gazette http://www.gazette.g[...] 2018-08-08
[4] 간행물 The Canada Gazette http://www.revparl.c[...] 1994-Summer
[5] 웹사이트 Canada Gazette resources http://www.gazette.g[...] 2019-07-24
[6] 문서 can. 8 §1, ''CIC'', 1983
[7] 문서 can. 8 §2, ''CIC'', 1983
[8] 문서 Canon 7, 1983 CIC
[9] 뉴스 Govt points to Ordinance route for crucial bills http://www.business-[...] 2015-11-17
[1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Thirty-eighth Amendment) Act, 1975, The Constitution of India http://indiacode.nic[...]
[11] 문서 List of ordinances 1950–2014 http://loksabhaph.ni[...]
[12] 문서 Articles 13.3.2° and 25.4.2°
[13] 문서 Statutes of the Isle of Man
[14] 문서 Statutes of the Isle of Man
[15] 문서 Statutes of the Isle of Man
[16] 문서 Statutes of the Isle of Man
[17] 문서 Promulgation Act 1988 sections 2, 3 and 5
[18] 문서 Statutes of the Isle of Man
[19] 문서 Interpretation Act 1976 section 10
[20] 문서 Promulgation Act 1988 section 3
[21] 웹사이트 1 U.S. Code § 106a - Promulgation of laws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LII) 2015-10-28
[2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rticle V https://www.archives[...] 2016-08-15
[23] USPL USPL|98|497
[24] Egov law 官報の発行に関する法律 505AC0000000085
[25] Egov law 官報の発行に関する法律(附則第1条) 505AC0000000085
[26] Egov law 官報の発行に関する法律(第3条) 505AC0000000085
[27] 문서 内閣官報局 『法令全書』 NDLDC|787968/216 国会図書館 1887
[28] 문서 官報電子化の基本的方針(案) https://www.cao.go.j[...] 内閣府
[29] 문서 裁判所判例検索システムより 昭和二三年政令第二〇一号違反等被告事件 https://www.courts.g[...]
[30] 문서 裁判所判例検索システムより 覚せい剤取締法違反被告事件 https://www.courts.g[...]
[31] 문서 参議院法制局 法制執務コラム https://houseikyoku.[...]
[32] 웹사이트 官報電子化の基本的考え方 https://www.cao.go.j[...] 内閣府 2023-10-25
[33] 문서 この「30日」は国会法133条の規定により、奏上の当日から起算される。
[34] 웹사이트 日本-条約の調べ方(日本語資料を用いた調べ方) https://rnav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23-12-22
[35] 웹사이트 環太平洋パートナーシップに関する包括的及び先進的な協定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12-30
[36] 웹인용 공포 https://terms.naver.[...] 법문북스 2016-01-20
[37] 웹인용 법령 등 공포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 2018-10-16
[38] 웹인용 입법과정안내 < 정부입법 < 법제업무정보 : 법제처 https://www.moleg.go[...]
[39] 웹인용 공표 https://stdict.korea[...]
[40] 웹인용 공포 / 공표 / 반포 http://world.kbs.co.[...] 2008-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