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 커피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커피 기구(ICO)는 커피 무역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 기구이다. 각국의 커피 생산량을 기준으로 투표권을 배분하며, 생산국과 소비국에 각각 50%의 투표권을 할당한다. ICO는 국제 커피 협정을 통해 커피 수출입을 추적하고 쿼터를 관리하며, 쿼터 감시 및 제한 설정을 통해 커피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고 커피 농장 노동자에게 공정한 조건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최고 권위 기구인 국제 커피 협의회는 커피 관련 사안을 논의하고 전략 문서를 승인하며, 재정 및 행정 위원회와 공동 위원회를 통해 기구 운영을 지원한다. 2022년 2월 2일 기준으로 42개의 생산 회원국과 7개의 수입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의 단체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런던의 단체 -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왕립합동군사연구소는 1831년 웰링턴 공작에 의해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 안보 씽크탱크로, 군사 교리,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안보 문제를 연구하며 영국 정부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적인 연구기관이다.
  • 커피 - 커피콩
    커피콩은 커피나무 열매 속 씨앗으로, 볶아서 커피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생두와 볶은 콩으로 나뉘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이다.
  • 커피 - 디카페인
    디카페인은 커피나 차에서 카페인을 제거한 제품을 의미하며, 유기 용매, 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을 이용한 탈카페인 기술로 제조되거나 카페인 없는 커피나무를 재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국제 커피 기구
국제 커피 기구
국제 커피 기구 로고
국제 커피 기구 로고
기구 유형무역 블록
회원국
수출국앙골라
볼리비아
브라질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쿠바
콩고 민주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가봉
가나
과테말라
온두라스
인도
인도네시아
케냐
라이베리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멕시코
네팔
니카라과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르완다
시에라리온
탄자니아
태국
동티모르
토고
우간다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
수입국유럽 연합
일본
노르웨이
러시아
스위스
튀니지
영국
행정
본부 위치런던, WC1, 영국
사무총장바누시아 노게이라
언어
공식 언어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설립
설립일1963년
경제
통화미국 달러/파운드
웹사이트국제 커피 기구 공식 웹사이트

2. 목적

국제 커피 기구(ICO)는 커피 무역의 감시자 역할을 하며 각국의 커피 생산량을 기준으로 투표권을 배분한다. 국가들은 생산국과 소비국으로 나뉘며, 각 진영에 50%의 투표권을 할당한다.[8] 커피 수출국 중 최대인 브라질은 생산국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커피 수입국 중 최대인 미국은 소비국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할당받았다.[8]

ICO는 1962년 ICA(국제 커피 협정)에 따라 수출입을 추적하고 쿼터를 관리함으로써 감시자 역할을 수행한다.[8][9] 수입은 ICA의 원 수입 회원국에 의해 감시되고 ICO에 보고되며, ICO는 생산국에 쿼터 기반의 스탬프를 발급한다.[9] 소비국들은 스탬프가 없는 커피를 받지 않기로 합의하여 쿼터를 유지했다.[9] 쿼터 감시 및 제한 설정은 커피 생산에 대한 공정한 임금을 유지하면서 가격 상승을 방지하는 균형을 만들어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8] 또한 생산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커피 농장 노동자에게 공정한 조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8]

3. 구조

국제 커피 협의회는 기구의 최고 권위 기구이며, 각 회원 정부의 대표로 구성된다.[10] 협의회는 커피 관련 사안을 논의하고, 전략 문서를 승인하며, 자문 기구 및 위원회의 권고를 검토하기 위해 3월과 9월에 회의를 개최한다.[10] 협의회의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루어진다.[10]

국제 커피 협의회 외에, 재정 및 행정 위원회가 있으며, 이는 ICC에 행정 예산 승인 및 기구의 연간 계정과 같은 재정 문제에 대한 권고를 제공한다.[10] 공동 위원회는 ICA 2007에서 ICA 2022로의 전환 과정에서 프로젝트, 통계, 홍보 및 시장 개발 위원회에서 이전에 고려했던 문제를 처리한다.[10]

4. 협정의 연혁

1963년 7월 1일, 1962년 협정이 발효되면서 수출 할당 제도가 채택되었다.[12] 1968년 10월 1일에는 1968년 협정이 발효되었으나,[12] 1969년1972년브라질의 흉작으로 국제 커피 가격이 폭등하면서 1973년에 수출 할당 제도가 붕괴되었다.[12] 이에 1973년 10월 1일, 1968년 협정에서 수출 할당 제도를 삭제한 연장된 1968년 협정이 발효되었다.[12]

1976년 10월 1일 발효된 1976년 협정에서는 1980년에 시세에 따라 수출 할당 제도를 정지하거나 재도입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12] 1983년 10월 1일에는 1983년 협정이 발효되었고, 1982년 3월 시세 상승으로 수출 할당 제도가 정지되었다가 1987년 10월에 재도입되었다.[12] 1989년 10월 1일에는 수출 할당 제도를 정지한 채로 연장된 1983년 협정이 발효되었다.[12]

1994년 10월 1일, 수출 할당 제도 조항을 삭제한 1994년 협정이 발효되었고,[12] 1999년 10월 1일에 연장되었다.[12] 2001년 10월 1일 발효된 2001년 협정에서는 민간 부문 자문 위원회 설치, 소비 진흥, 생산국 생활 수준 개선, 커피 생산 노동자 노동 조건 개선 등의 조항이 추가되었다.[12]

2011년 2월 2일, 2007년 국제 커피 협정이 발효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2] 이 협정은 커피 산업의 모든 참가자를 위해 시장 원리에 기반한 상황에서 세계적인 규모의 커피 산업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확대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5. 회원국

2022년 2월 2일 기준으로 42개의 생산 회원국과 7개의 수입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6][7]

;수출 회원국

앙골라

볼리비아

브라질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쿠바

콩고 민주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가봉

가나

온두라스

인도

인도네시아

케냐

라이베리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멕시코

네팔

니카라과

나이지리아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르완다

시에라리온

탄자니아

태국

동티모르

토고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

;수입 회원국

유럽 연합

일본

노르웨이

러시아

스위스

튀니지

영국

총 가맹국 수는 75개국이다. 커피를 수출하는 45개국(수출 회원국)과 수입하는 30개국(수입 회원국)으로 나뉜다.

5. 1. 수출 회원국

; 아프리카

앙골라베냉부룬디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콩고 공화국코트디부아르에티오피아가봉가나기니케냐마다가스카르말라위나이지리아르완다탄자니아토고우간다잠비아짐바브웨

; 아메리카

볼리비아브라질콜롬비아코스타리카쿠바도미니카 공화국에콰도르엘살바도르과테말라아이티온두라스자메이카멕시코니카라과파나마파라과이베네수엘라

; 아시아

캄보디아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파푸아뉴기니필리핀태국베트남

5. 1. 1. 아프리카

앙골라베냉부룬디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콩고 공화국코트디부아르에티오피아가봉가나기니케냐마다가스카르말라위나이지리아르완다탄자니아토고우간다잠비아짐바브웨

5. 1. 2. 아메리카

볼리비아브라질콜롬비아코스타리카쿠바도미니카 공화국에콰도르엘살바도르과테말라아이티온두라스자메이카멕시코니카라과파나마파라과이베네수엘라

5. 1. 3. 아시아

캄보디아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태국

베트남

인도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필리핀태국베트남

5. 2. 수입 회원국

국제 커피 기구는 2022년 2월 2일 기준으로 7개의 수입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6][7]

유럽 연합 회원국으로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라트비아, 아일랜드,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슬로바키아,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등이 있다. 북미 지역에서는 미국이,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이 수입 회원국에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ico.org/i[...]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2015-09-28
[2] 논문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Coffee Agreement on Producing Countries http://www.jstor.org[...] 1990
[3] 웹사이트 About Us {{!}}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s://ico.org/what[...] 2024-11-07
[4] 웹사이트 Executive Director https://icocoffee.or[...]
[5]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www.ico.org/d[...] 2018-04-03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s://www.ico.org/[...] 2022-08-01
[7] 웹사이트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s://www.ico.org/[...]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2022-01-21
[8] 논문 The International Coffee Agreement and the Production of Coffee in Guatemala, 1962-1989 http://www.jstor.org[...] 2010
[9] 논문 Regulating the Coffee Commodity Chain: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Coffee Cartel http://www.jstor.org[...] 1995
[10] 웹사이트 Governance Office Holders {{!}}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s://ico.org/gove[...] 2024-11-07
[11] 문서 2015年(平成27年)7月23日外務省告示第269号「二千七年の国際コーヒー協定への日本国の加入に関する件」
[12] PDF 二千七年の国際コーヒー協定の説明書 https://www.mofa.go.[...] 외무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