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공 (식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공은 식물 잎의 표피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흡수, 광합성으로 생성된 산소 배출, 증산 작용을 통한 수분 배출 등의 기능을 한다. 기공의 개폐는 빛, 수분 포텐셜, 식물 호르몬인 앱시스산 등에 의해 조절되며, C3, C4, CAM 식물 등 탄소 고정 방식에 따라 기공의 역할과 구조가 다르다. 기공은 병원균의 침입 경로가 되기도 하며, 기후 변화에 따라 기공 밀도와 크기가 변화하여 식물의 생존과 농업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 세포 - 기본 조직
    기본 조직은 식물체를 구성하는 유조직, 후각조직, 후막조직으로 나뉘며, 유조직은 대사 작용을, 후각조직은 구조적 지지력을, 후막조직은 단단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 식물 세포 - 공변 세포
    공변 세포는 식물의 기공을 둘러싼 특화된 세포로, 기공 개폐를 조절하여 증산 작용과 기체 교환을 제어하며, 빛,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식물 호르몬, 앱시스산(ABA), 칼슘 이온 농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반응하여 식물의 수분 손실을 조절하는 데 기여한다.
  • 식물해부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식물해부학 - 꽃자루
  • 식물생리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식물생리학 - 저분자
    저분자는 분자량이 900달톤 이하인 작은 분자로, 세포막 투과가 용이하여 의약품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표적 적용에 제한이 있고 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의약품 외에도 이차 대사산물, 연구 도구, 항게놈 치료제 등으로 활용된다.
기공 (식물학)
일반 정보
잎 단면도
잎의 단면도
학문 분야식물 해부학
구조
위치잎, 줄기
구성 요소공변세포
기능
역할기체 교환, 증산 작용 조절
조절 요인빛, 이산화탄소 농도, 수분 상태, 호르몬
추가 정보
복수기공 (氣孔)

2. 기공의 기능

기공은 식물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기능을 한다.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를 공기 중에서 흡수하고, 광합성 결과 생성된 산소를 배출한다. 또한 증산 작용을 통해 수증기를 공기 중으로 내보낸다.[5]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식물은 물을 잃게 되므로, 기공의 개폐는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배추(Brassica chinensis) 잎의 기공 전자 현미경 사진


공변세포는 삼투 현상으로 주변 세포에서 물을 받아 부풀어 오른다. 대부분의 속씨식물에서 공변세포의 세포벽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셀룰로오스 미세섬유가 배열되어 있어 공변세포가 부풀면 바깥쪽으로 휘어진다. 이로 인해 공변세포 사이의 구멍, 즉 기공이 커진다. 반대로 공변세포가 물을 잃으면 덜 휘어지면서 기공이 닫힌다.[5]

기공의 개폐는 빛이나 수분 포텐셜 등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식물은 물 부족 상태가 되면 기공을 닫아 증산 작용을 억제하고 체내 수분 감소를 늦춘다. 한편, 기공은 식물 내부 조직과 연결되어 있어 병원체의 감염 경로가 될 수도 있다.[41][42]

2. 1. 이산화탄소 흡수와 물 손실의 균형

C3 및 C4 식물(1)의 기공은 하루 종일 열려 있고 밤에는 닫힌다. CAM 식물(2)의 기공은 아침에 열리고 정오에 약간 닫혔다가 저녁에 다시 열린다.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는 대기 중에 약 400ppm의 농도로 존재한다. 대부분의 식물은 낮 동안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밤에는 닫아 증산 작용으로 인한 물 손실을 줄인다.[5]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얻기 위해 기공을 열지만, 이 과정에서 물도 함께 잃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잎 내부의 공기 공간에 직접 노출된 엽육 세포 내에서 RuBisCO 효소에 의해 리불로스 1,5-이중인산(RuBP)에 고정된다. RuBisCO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친화력이 낮고, 산소를 RuBP에 고정시켜 광호흡을 일으켜 에너지와 탄소를 낭비한다. 따라서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필요로 하며, 이는 넓은 기공을 통해 많은 물을 손실하게 만든다.

좁은 기공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인산에놀피루브산 카르복실화 효소(PEPcase)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 효소에서 탄소 고정 생성물을 회수하는 데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그래서 PEPCase는 물이 부족하지만 빛이 풍부하거나, 고온으로 인해 산소 용해도가 이산화탄소보다 높아져 RuBisCo의 산소화 문제가 심각해지는 경우에만 유리하다.

2013년에는 기공 개폐를 조절하는 PATROL1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이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인위적으로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 흡수를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45]

2. 1. 1. C3 식물

대부분의 식물은 루비스코 효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C3 광합성 방식을 사용한다. 리불로스-1,5-비스인산(RuBP) 고정은 리불로스-1,5-비스인산 카르복실라제/옥시제네이스(루비스코)라고 불리는 효소에 의해 수행된다(캘빈 회로). 이 탄소 고정은 공기에 직접 노출된 엽육 세포 (기공 안쪽)에서 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45] 루비스코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필요로 하므로 기공을 크게 열어야 하고, 이는 물 손실로 이어진다. 이처럼 캘빈 회로만으로 탄소 고정을 수행하는 식물을 C3 식물이라고 한다.(''루비스코 항목도 참조할 것'')

2. 1. 2. C4 식물

캘빈 회로 외에 이산화탄소 농축을 위한 C4 회로를 가진 식물을 C4 식물이라고 부른다. C4 식물은 이산화탄소와의 친화성이 높은 인산에놀피루브산 카르복실라아제(PEPC)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C4 회로에 의해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그 후 캘빈 회로에 들어간다. C4 식물에서 캘빈 회로의 효소는 주로 유관속초 세포에 국한되고, PEPC는 주로 엽육 세포에 국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이산화탄소와 친화성이 높은 PEPC가 엽육 세포에 존재함으로써 C4 식물은 C3 식물보다 낮은 기공 개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증산량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C4형 광합성'' 항목도 참조)

2. 1. 3. CAM 식물

크라술라세아산 대사(CAM, 크라술라과 식물에서 처음 발견됨)를 이용하는 식물은 밤에 기공을 열어 이산화 탄소를 고정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아 RuBisCO의 광호흡을 최소화한다. 이 방식은 액포에 고정된 탄소를 저장하는 능력에 의해 제한되므로 물이 매우 부족할 때만 선호된다.[45]

다육식물 대부분은 CAM형 광합성을 한다. CAM 식물은 밤에 기공을 열어 CAM 경로를 통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액포에 사과산 형태로 저장한다.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한 사과산에서 이산화 탄소를 꺼내 캘빈 회로에 사용하여 광합성을 한다. 이처럼 밤에 기공을 열고 낮에 닫으면 수분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사막처럼 물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CAM형 광합성 항목 참조'')

3. 기공 개폐 기작

기공의 개폐는 공변세포의 팽압 변화에 의해 조절된다. 공변세포는 삼투 현상을 통해 물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팽압을 조절한다. 공변세포의 세포벽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셀룰로오스 미세섬유가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팽압 변화에 따라 기공이 열리고 닫히는 방향을 결정한다.

애기장대의 기공. (위) 열린 기공, (아래) 닫힌 기공


대부분의 속씨식물에서 공변세포의 세포벽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셀룰로오스 미세섬유는 공변세포가 부풀었을 때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공변세포가 바깥쪽으로 휘면서 공변세포 사이의 구멍, 즉 기공이 크게 열린다. 반대로 공변세포가 물을 잃고 흐물흐물해지면 덜 휘면서 기공은 닫히게 된다.[6]

기공의 개폐


기공 개폐에는 일주성이 있지만, 빛, 습도, 이산화 탄소 농도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기공의 반응 기작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공변세포의 삼투압 조절을 통한 기본적인 기공 개폐 기작은 다음과 같다.

강한 빛이나 다습한 환경과 같이 기공이 열리는 조건에서는 양성자 펌프가 활성화되어 수소 이온(H+)을 공변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수소 이온 배출로 인해 막 전위가 과분극되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포플라스트에서 칼륨 이온(K+)이 세포 내로 유입된다. 그 결과 공변세포 내 삼투압이 상승하고,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의 부피와 팽압이 증가한다. 공변세포의 세포벽은 환상형 셀룰로스 미세 섬유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는 가로가 아닌 세로로 신장한다. 양쪽 끝은 인접한 표피 세포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 마주보는 두 개의 공변세포는 신장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공변세포 사이에 틈, 즉 기공이 열리게 된다.[47]

기공이 닫히는 과정은 앱시스산(ABA)에 의해 조절되는 기작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공변세포의 앱시스산 수용체인 PYR/PYL/RCAR 단백질[48]이 앱시스산을 인지하면, 음이온 통로가 활성화되어 염화물 이온(Cl-) 등이 세포 밖으로 방출되고, 막 전위가 탈분극된다. 앱시스산에 의한 세포막 탈분극은 세포막의 H+-ATPase 저해에 의해서도 촉진된다.[49] 이 탈분극은 전위 의존성 칼륨 이온 통로를 열어 칼륨 이온의 세포 외부 배출을 촉진한다. 이러한 이온들이 세포 밖으로 배출되면 공변세포의 삼투압이 낮아지고 세포 내의 물이 유출되어 세포의 부피와 팽압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공변세포가 쪼그라들어 공변세포 사이의 틈이 사라지면서 기공이 닫힌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기공 개폐를 조절하는 단백질로 SLAC1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이 단백질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공변세포에서 염화물 이온과 사과산을 배출하여 기공을 닫는 역할을 한다. SLAC1 단백질의 기질이 사과산임은 대사체학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50]

공변 세포는 다른 표피 세포보다 더 많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다. 그 기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9][10]

3. 1. 기공 개폐 자극

기공 개폐는 새벽에 기공이 열리는 데 필요한 최소 세 가지 시작 신호, 즉 빛, 이산화 탄소(CO2) 고갈, 공변세포 안의 생체 시계에 의해 조절된다.

  • 빛: 빛은 공변세포를 자극하여 칼륨 이온을 축적하게 한다.
  • 이산화탄소 농도: 잎의 공기층에 CO2가 고갈되면 기공이 열린다.
  • 생체 시계: 공변세포 안의 생체시계는 일주기 리듬에 따라 기공 개폐를 지속시킨다.
  • 수분 상태: 뿌리가 토양의 물 부족을 감지하면 앱시스산(ABA)이 방출되어 기공이 닫힌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기공은 증산 작용을 통해 물을 잃지 않고는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빛의 세기,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와 같은 변화하는 조건에 따라 낮 동안 기공을 열고 닫아야 한다.[5]

기공 개방에 유리한 조건(예: 높은 광도 및 높은 습도)에서는 양성자 펌프가 공변 세포에서 양성자(H+)를 배출시킨다. 이는 세포의 전위가 점점 더 음전하를 띠게 됨을 의미한다. 음전위는 칼륨 전압 개폐 채널을 열어 칼륨 이온(K+)의 흡수가 발생하게 한다. 칼륨 이온의 유입이 멈추지 않도록 내부 음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음이온이 칼륨의 유입 균형을 맞춘다. 어떤 경우에는 염화물 이온이 들어가고, 다른 식물에서는 유기 이온 말산이 공변 세포에서 생성된다. 이렇게 용질 농도가 증가하면 세포 내부의 수분 포텐셜이 낮아져 삼투 현상을 통해 물이 세포 안으로 확산된다. 이는 세포의 부피와 팽압을 증가시킨다. 공변 세포의 폭이 팽창하는 것을 막는 셀룰로오스 미세 섬유 고리 때문에 여분의 팽압은 공변 세포를 늘리는 데만 사용되며, 그 끝은 주변의 표피 세포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두 공변 세포는 서로 멀어지며 구부러져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열린 기공을 만든다.[6]

공변 세포는 다른 표피 세포보다 더 많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다.[9][10]

3. 1. 1. 빛

빛은 공변세포를 자극하여 칼륨이온을 축적하고 부풀어 오르게 한다. 이러한 반응은 공변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청색광 수용체가 빛을 받으면 시작된다.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공변세포의 세포막에서 양성자 펌프가 활성화되어 칼륨이온(K+) 흡수가 촉진된다.[6] 특히 청색광은 기공 개구에 높은 효과를 가지며, 약한 빛에서도 유효하다. 반면 적색광은 강한 빛에서만 작용한다. 적색광은 엽록소에 흡수되어 활성화됨으로써 공변세포의 광합성 반응에 의존하는 반면, 청색광은 청색광 수용체에 흡수되어 신호로 작용한다. 청색광 수용체로는 크립토크롬, 포토트로핀 등이 알려져 있지만, 제아잔틴이 기공 개구에 관여하는 청색광 수용 색소로 유력하게 여겨진다.[46]

강한 빛을 받으면 프로톤 펌프가 활성화되어 수소 이온(H+)을 공변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이로 인해 휴지막 전위가 과분극되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포플라스트에서 칼륨 이온(K+)이 세포 내로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공변세포 내 삼투압이 상승하고, 물이 세포 내로 흘러들어 세포의 부피와 팽압이 상승한다. 공변세포의 세포벽은 환상형 셀룰로스 미세 섬유를 형성하고 있어, 부피가 커지면 세포는 세로로 늘어난다. 양쪽 끝은 인접한 표피 세포에 고정되어 있어, 마주보는 두 공변세포는 늘어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틈이 열리게 된다.[47]

3. 1. 2. 이산화탄소 농도

광합성 결과 잎의 공기층에 이산화 탄소(CO2)가 고갈되면 기공이 열린다. 낮 동안에는 CO2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충분한 물이 잎에 공급된다면 점진적으로 기공이 열린다.[5] 광합성의 기질인 이산화 탄소대기 중 농도는 2008년 3월 현재 약 384ppm이다. 많은 식물은 낮 동안 기공을 열고 밤에는 닫는 등 일주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이는 빛이 비치는 낮 동안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를 많이 흡수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지만, 한편으로는 기공이 열림으로써 잎으로부터의 증산량도 증가하게 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반응하여 기공 개폐를 조절하는 단백질로 SLAC1 단백질이 밝혀졌다. 이 단백질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공변 세포에서 염화물 이온과 사과산을 배출하여 기공을 닫는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의 기질이 사과산임은 대사체학에 의해 밝혀졌다.[50]

3. 1. 3. 생체 시계

식물은 생체 시계를 가지고 있어, 일정한 주기로 기공을 열고 닫는다. 이 주기는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유지된다.[1] 모든 진핵생물은 주기적 생체현상을 제어하는 내부 생체시계를 갖고 있다.[1] 대략 24시간의 간격을 갖는 주기를 일주기성 리듬이라 한다.[1]

3. 1. 4. 수분 상태

뿌리가 토양의 물 부족을 감지하기 시작하면, 앱시스산 (ABA)이 방출된다.[7] ABA는 공변 세포의 세포질 막과 세포질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하여, 먼저 세포의 세포질 pH를 높이고 세포 외부로부터의 유입과 소포체액포와 같은 내부 저장소로부터의 Ca2+ 방출로 인해 세포질에서 자유 Ca2+의 농도를 증가시킨다.[8] 이렇게 되면 염화물(Cl)과 유기 이온이 세포에서 빠져나간다. 둘째, 이것은 세포 내로의 추가 K+의 흡수를 중단시키고, 이어서 K+의 손실을 막는다. 이러한 용질의 손실은 수분 포텐셜의 증가를 일으키고, 이는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다시 확산되게 한다. 이로 인해 세포가 원형질 분리되어 기공이 닫히게 된다.

식물은 물 부족에 노출되어 수분 포텐셜이 저하되면 체내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기공을 닫아 증산량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 호르몬 중 하나인 앱시스산은 기공을 닫는 작용을 하며, 물 부족에 대응하여 식물체 내에서 합성되어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잎의 표피에 외부에서 앱시스산을 주면 많은 식물에서 기공 폐쇄가 관찰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앱시스산은 물 부족에 대응한 기공 폐쇄를 유도하는 핵심 신호 물질이다.

기공의 폐쇄에는 압시스산을 통한 기구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공변 세포에서 압시스산 수용체인 PYR/PYL/RCAR 단백질[48]이 압시스산을 수용하면, 음이온 통로가 활성화되어 염화물 이온 (Cl-) 등의 세포 외부로의 방출을 일으키고, 막 전위가 탈분극된다. 압시스산에 의한 세포막의 탈분극은 세포막의 H+-ATPase의 저해에 의해서도 촉진되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49] 이 탈분극에 의해 전위 의존성 칼륨 이온 통로가 개구하고, 칼륨 이온의 세포 외부로의 배출도 촉진된다. 이러한 이온들이 세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변 세포의 삼투압이 저하하고 세포 내의 물이 유출되기 때문에, 세포의 부피와 팽압이 저하한다. 결과적으로 공변 세포가 쪼그라드는 형태가 되어, 공변 세포 사이의 틈이 사라지게 된다(기공이 폐쇄된다).

4. 기공의 발생

표피 세포는 , 포장 세포, 공변세포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며, 모두 줄기 정단 분열조직의 가장 바깥쪽(L1) 조직층인 원표피 세포에서 유래한다. 이들은 무작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원표피 세포에서는 비대칭 세포 분열이 발생하여 포장 세포가 될 큰 세포와, 기공을 둘러싸는 공변세포로 분화될 작은 세포인 분열조직 유사세포를 생성한다. 분열조직 유사세포는 공변세포모세포로 분화되기 전에 비대칭적으로 1~3번 분열한다. 그 후 공변세포모세포는 대칭 분열을 하여 한 쌍의 공변세포를 형성한다.[17] 일부 세포에서는 세포 분열이 억제되어 기공 사이에 항상 최소한 하나의 세포가 존재한다.[18]

기공 패턴 형성은 ''EPF'' (표피 패턴 형성 인자), ''ERL'' (ERecta Like) 및 ''YODA'' (추정되는 MAP 키나아제 키나아제 키나아제)와 같은 많은 신호 전달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어된다.[18] 이들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중 하나라도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표피의 기공 발달이 변경될 수 있다.[18] 예를 들어, 한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기공이 더 많이 모여 발생하므로 Too Many Mouths (''TMM'')라고 불린다.[17] 반면, ''SPCH'' (SPeecCHless) 유전자가 파괴되면 기공 발달이 완전히 억제된다.[18] EPF1이 활성화되면 기공 생성이 억제될 수 있는데, EPF1은 TMM/ERL을 활성화하고, 이들은 함께 YODA를 활성화한다. YODA는 SPCH를 억제하여 SPCH 활성을 감소시키고, 기공 형성을 시작하는 비대칭 세포 분열을 막는다.[18][19] 기공 발달은 스토마젠이라는 세포 펩타이드 신호에 의해서도 조절되는데, 이는 SPCH의 활성화를 신호하여 기공의 수를 증가시킨다.[20]

환경 및 호르몬 요인도 기공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빛은 식물의 기공 발달을 증가시키지만, 어둠 속에서 자란 식물은 기공의 양이 적다. 옥신은 ERL 및 TMM 수용체와 같은 수용체 수준에서 발달에 영향을 미쳐 기공 발달을 억제한다. 그러나 낮은 농도의 옥신은 공변세포모세포의 균등 분열을 허용하고 공변세포 생성 가능성을 증가시킨다.[21]

대부분의 피자식물 나무는 잎의 하부 표면에만 기공을 가진다. 미루나무버드나무는 양쪽 표면에 기공이 있다. 잎이 양쪽 잎 표면에 기공을 발달시킬 때, 하부 표면의 기공이 더 크고 더 많은 경향이 있지만, 종과 유전자형에 따라 크기와 빈도에 큰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미국 물푸레나무와 자작나무 잎은 기공의 수가 적지만 크기가 더 컸다. 반면에 설탕 단풍나무와 은단풍나무는 작고 더 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었다.[22]

표피 세포는 트리콤(모상 돌기), 일반적인 표피 세포, 공변 세포의 세 종류로 크게 분류된다. 이들 세포는 줄기 선단 분열 조직의 같은 층에서 발생하며, 정해진 패턴으로 표피에 배열된다. 공변 세포는 전표피 세포(protodermal cells)가 부등 분열을 하면서 발생한다. 부등 분열로 생긴 큰 세포는 일반적인 표피 세포가 되지만, 작은 세포는 메리스테모이드(분열 조직상 세포)라고 불리는 세포가 된다. 이 메리스테모이드는 공변 모세포가 되고, 최종적으로 공변 세포로 분화한다. 메리스테모이드는 공변 모세포가 되기 전에 1~3회의 부등 분열을 한다. 형성된 공변 모세포는 1회의 등 분열을 한 후, 한 쌍의 공변 세포가 되어 기공이 형성된다.[51]

5. 기공의 유형

기공은 형태와 주변 세포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1889년 쥘리앵 조제프 베스크(Julien Joseph Vesque)가 처음 제시하고, 이후 Metcalfe과 Chalk가 발전시킨 분류가 널리 사용된다. 이 분류는 공변 세포를 둘러싼 부세포의 크기, 모양, 배열을 기준으로 한다.[23][24]

쌍떡잎식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방사상'''(별 모양 세포): 기공은 별 모양의 원을 이루는 최소 5개의 방사상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감나무과에서 발견되는 드문 유형이다.
  • '''부등세포성'''(불균등한 세포): 기공은 두 개의 더 큰 부세포와 하나의 뚜렷하게 작은 부세포 사이에 위치한다. 십자화과, 가지과, 돌나물과 등 30개 이상의 과에서 발견되며, "십자화과 유형"이라고도 한다.
  • '''비정세포성'''(불규칙한 세포): 기공은 주변 표피 세포와 동일한 크기, 모양, 배열을 가진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협죽도과, 지치과, 명아줏과, 박과 등 100개 이상의 과에서 발견되며, "미나리아재비과 유형"이라고도 한다.
  • '''교차세포성'''(교차 세포): 기공은 두 개의 부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부세포는 기공의 한쪽 끝을 둘러싸고 기공 중앙에서 서로 접촉한다. 석죽과, 쥐꼬리망초과 등 10개 이상의 과에서 발견되며, "석죽과 유형"이라고도 한다.
  • '''반평행세포성''': 기공은 주변 표피 세포와 다른 단 하나의 부세포로 경계를 이루며, 부세포의 길이는 기공 개구부에 평행하다. 갯과와 번행초과에서 나타난다.
  • '''평행세포성'''(평행 세포): 기공은 공변 세포 사이의 개구부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부세포를 갖는다. 꼭두서니과, 메꽃과, 콩과 등 100개 이상의 과에서 발견되며, "꼭두서니과 유형"이라고도 한다.


외떡잎식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나타난다.

  • '''벼과 또는 사초과'''(풀과 유사함): 기공은 두 개의 렌즈 모양 부세포로 둘러싸인 두 개의 공변 세포를 갖는다. 공변 세포는 중앙이 좁고 각 끝이 둥글며, 중앙 부분은 강하게 두꺼워진다. 부세포의 축은 기공 개구부에 평행하다. 벼과사초과를 포함한 외떡잎식물 과에서 발견된다.[25]
  • '''육세포성'''(6개의 세포): 기공은 두 개의 공변 세포 주위에 6개의 부세포를 갖는다. 기공의 각 끝에 하나, 각 공변 세포에 인접한 하나, 마지막 부세포와 표준 표피 세포 사이에 하나가 있다. 일부 외떡잎식물 과에서 발견된다.
  • '''사세포성'''(4개의 세포): 기공은 4개의 부세포를 갖는다. 개구부의 각 끝에 하나, 각 공변 세포 옆에 하나가 있다. 많은 외떡잎식물 과에서 발생하며, 피나무와 몇몇 박주가리과와 같은 일부 쌍떡잎식물에서도 발견된다.


양치식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의 기공이 구별된다.

  • '''하세포성''': 기공은 일반적인 표피 세포만 있는 한 층에 두 개의 공변 세포를 갖지만, 표피의 바깥 표면에 두 개의 부세포가 있으며, 공변 세포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기공 개구부 위에 구멍이 있다.
  • '''주세포성''': 기공은 하나의 연속적인 부세포(도넛 모양)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두 개의 공변 세포를 갖는다.
  • '''결합세포성''': 기공은 끝이 합쳐지지 않은 하나의 부세포(소시지 모양)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두 개의 공변 세포를 갖는다.
  • '''다극세포성''': 기공은 하나의 부세포에 의해 크게 둘러싸여 있지만 일반적인 표피 세포와도 접촉하는 두 개의 공변 세포(U자 또는 말굽 모양)를 갖는다.

6. 기공 함입부

일부 식물은 기공 함입부라는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 물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기공 함입부는 잎 표피 안쪽에 위치하며, 기공과 함께 털이나 왁스 등을 포함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한다.[26] 기공 함입부는 가뭄 및 건조한 기후 조건에 대한 적응일 수 있지만, 건조한 기후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협죽도, 구과 식물, ''Hakea''[26] 및 운제과는 구름 숲에서 발견되는 식물 종으로 기공 함입부 또는 전실을 가지고 있다.[27]

7. 기공과 병원균

기공은 병원균이 침입할 수 있는 통로이다. 하지만 식물은 병원균의 존재를 감지하고 기공을 닫아 방어할 수 있다.[28] 그러나 애기장대 잎에 적용된 병원성 세균은 기공을 다시 열리도록 유도하는 화학 물질인 코로나틴을 방출하기도 한다.[29]

8. 기공과 기후 변화

이산화 탄소광합성의 주요 반응물이며, 대부분의 식물은 낮 동안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그러나 기공이 열리면 증산 작용을 통해 수증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식물은 물을 동시에 잃지 않고는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없다.[5] 기공의 개폐는 환경 요인에 의해 조절되는데, 특히 기공 밀도와 구경(기공 길이)은 대기 CO2 농도, 광도, 기온 및 광주기(주간 지속 시간)와 같은 여러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34][35]

8. 1. 기공의 환경 요인 반응

기공은 빛, 이산화 탄소 농도, 온도, 습도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반응하여 개폐를 조절한다. 이러한 반응은 식물의 생존과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30]

  • : 기공은 빛에 반응하며, 특히 청색광은 적색광보다 기공 반응을 유발하는 데 거의 10배 더 효과적이다.[31] 가드 세포(공변 세포)의 제아잔틴은 기공 개방을 매개하는 청색광 광수용체 역할을 하며, 청색광의 영향은 제아잔틴을 이성화시키는 녹색광에 의해 반전된다.[33]
  • 이산화 탄소 농도: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기공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36] 이는 식물의 증산 작용과 광합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0][37]
  • 습도: 낮은 습도는 가드 세포에 스트레스를 주어 팽압 손실을 유발하고, 이는 기공 폐쇄를 유발한다.
  • 가뭄: 가뭄은 앱시스산 (ABA)의 방출을 유발하며, ABA는 공변 세포의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하여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는 염화물과 유기 이온의 유출, 칼륨 이온 흡수 중단 및 손실을 초래하여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확산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세포가 원형질 분리되어 기공이 닫히게 된다.[7][8]


기공의 개폐는 잎의 기체 교환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기공 저항 (또는 기공 전도도)은 증산 속도와 습도 기울기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공이 다양한 환경 조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11]

8. 2.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식물은 기공의 형태와 기능을 변화시켜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39]

기공 밀도와 구경(기공 길이)은 대기 CO2 농도, 광도, 기온 및 광주기(주간 지속 시간)와 같은 여러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34][35] 식물은 대기 CO2 농도([CO2]atm) 증가에 반응하여 기공 밀도를 감소시킨다.[36]

대기 중 [CO2]atm 농도는 2100년까지 500~1000 ppm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30] 지난 40만 년 동안 96%는 280 ppm 미만의 CO2 농도를 경험했다. 따라서 오늘날 식물의 유전자형은 산업화 이전의 친척과 상당히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30]

''HIC''(high carbon dioxide, 고농도 이산화 탄소) 유전자는 식물에서 기공 발달의 음성 조절 인자를 암호화한다.[39]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를 이용한 ''HIC'' 유전자 연구에서, 우성 대립 유전자에서는 기공 발달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야생형’ 열성 대립 유전자에서는 대기 중 CO2 농도 상승에 대한 반응으로 기공 발달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9] 이러한 연구는 식물의 변화하는 CO2 농도에 대한 반응이 유전학에 의해 크게 통제됨을 시사한다.

8. 3. 농업적 영향

기공은 식물의 광합성, 수분 수송 및 기체 교환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30] 특히,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atm) 농도 변화에 따라 기공 밀도와 구경이 달라지는데, 이는 식물의 증산 작용과 광합성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30][37]

대기 중 [CO2]atm 농도는 2100년까지 500~1000 ppm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 40만 년 동안의 평균 농도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30]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식물은 기공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통해 적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HIC''(high carbon dioxide) 유전자는 기공 발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애기장대 연구에서 이 유전자의 열성 대립 유전자는 대기 중 CO2 농도 상승에 반응하여 기공 발달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9]

자유 공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FACE) 실험에 따르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광합성을 증가시키고, 증산 작용을 감소시키며, 물 이용 효율 (WUE)을 증가시킨다.[36] FACE 실험에서는 생물량 증가는 550ppm의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작물 수확량이 5–20%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40] 잎의 광합성 속도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두 배로 증가했을 때 C3 탄소 고정 식물에서는 30–50%, C4 탄소 고정 식물에서는 10–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0]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후 변화에 대한 식물의 적응 능력을 이해하고, 미래 식량 안보를 위해 기공 기능을 최적화하는 품종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육종가와 농부들은 내열성 및 가뭄 저항성 작물 품종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36]

참조

[1] 서적 Anatomy of Seed Plants https://archive.org/[...] Wiley and Sons
[2] 서적 Methods in stomatal research Longman Group UK Ltd. 1990
[3] 서적 Stomata Springer
[4] 서적 Stomata https://books.google[...] Springer Netherlands 2016-06-15
[5] 간행물 Stomata http://www.eoearth.o[...] Encyclopedia of Earth.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Washington DC 2010
[6] 논문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Stomata on the Primary Root of Ceratonia siliqua L. 2002-01
[7] 논문 Sensitivity of Stomata to Abscisic Acid (An Effect of the Mesophyll)
[8] 논문 The role of ion channels in light-dependent stomatal opening 2001-10
[9] 웹사이트 Guard Cell Photosynthesis http://6e.plantphys.[...] 2015-10-04
[10] 논문 The Guard Cell Chloroplast: A Perspectiv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2002-03
[11] 논문 Carbon sinks threatened by increasing ozone 2007-07-26
[12] 웹사이트 Calculating Important Parameters in Leaf Gas Exchange http://4e.plantphys.[...] Sinauer 2013-02-24
[13] 논문 A system for measuring leaf gas exchange based on regulating vapour pressure difference 1986-01
[14] 간행물 Portable Gas Exchange Fluorescence System GFS-3000. Handbook of Operation http://www.walz.com/[...] 2014-10-20
[15] 논문 Stomata in early land plants: an anatomical and ecophysiological approach
[16] 서적 Evolutionary theory and processes : modern horizons : papers in honour of Eviatar Nevo Kluwer Acad. Publ.
[17] 논문 Stomatal Development and Pattern Controlled by a MAPKK Kinase http://www.sciencema[...] 2004-07-04
[18] 논문 Stomatal Development in Arabidopsis 2013-06-06
[19] 논문 Environmental regulation of stomatal development 2010-02-01
[20] 논문 Stomagen positively regulates stomatal density in Arabidopsis 2010-01-14
[21] 논문 Auxin represses stomatal development in dark-grown seedling via Aux/IAA proteins
[22] 논문 Physiology of Woody Plants 1983
[23] 서적 Anatomy of Dicotyledons
[24] 논문 A Classification of Stomatal Types
[25] 논문 Form, development and function of grass stomata 2020-02
[26] 논문 The evolutionary relations of sunken, covered, and encrypted stomata to dry habitats in Proteaceae 2008
[27] 논문 Stomatal crypts have small effects on transpiration: A numerical model analysis.
[28] 논문 Plant Stomata in innate immunity against bacterial invasion 2006
[29] 논문 Plant pathogens trick guard cells into opening the gates 2006
[30] 논문 The effect of subambient to elevate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on vascular function in Helianthus annuus: implications for plant response to climate change
[31] 서적 Photobiology of Higher Plants Wiley 2003
[32] 서적 Principles of Plant Nutrition Springer 2001
[33] 서적 Plant Physiology: Theory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4] 논문 Modelling stomatal conductance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factors
[35] 논문 Stomatal density of grapevine leaves (Vitis Vinifera L.) responds to soil temperature and atmospheric carbon dioxide
[36] 논문 Plant breeding and climate changes
[37] 논문 Coping with human CO2 emissions
[38] 서적 Principles of Plant Nutrition Springer 2001
[39] 논문 The ''HIC'' signalling pathway links CO2 perception to stomatal development
[40] 논문 Crop and pasture response to climate change
[41] 웹사이트 Guard Cell Photosynthesis http://4e.plantphys.[...] 2008-06-30
[42] 논문 The Guard Cell Chloroplast: A Perspectiv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43] 문서 『生物学データブック』 丸善
[44] 서적 数値でみる生物学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2007
[45] 뉴스 朝日新聞 2013-08-01
[46] 논문 Sensory transduction of blue light in guard cells.
[47] 논문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Stomata on the Primary Root of ''Ceratonia siliqua'' L.
[48] 논문 Abscisic Acid: Emergence of a Core Signaling Network
[49] 논문 Light Regulation of Stomatal Movement
[50] 논문 CO2 regulator SLAC1 and its homologues are essential for anion homeostasis in plant cells.
[51] 간행물 Stomatal Development and Pattern Controlled by a MAPKK Kinase http://www.sciencema[...] 2004-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