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미앵 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미앵 신부는 1840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예수 마리아 성심회에 입회하여 사제가 된 후, 하와이로 파견되어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센병 환자들이 격리되어 고통받는 몰로카이 섬으로 자원하여 들어가, 환자들의 생활 환경 개선과 신앙생활을 돕는 데 헌신했다. 1884년 자신도 한센병에 걸렸지만, 1889년 사망할 때까지 환자들을 돌봤다. 다미앵 신부는 시성되었으며, 그의 헌신적인 삶은 전 세계적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다양한 기념 시설과 사회적 영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미앵 신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840년 1월 3일 |
출생지 | 벨기에 브라반트주 트레멜로 |
사망일 | 1889년 4월 15일 |
사망지 | 하와이 몰로카이섬 칼라우파파 |
축일 | 5월 10일 (가톨릭 교회, 하와이 필수, 미국 선택 사항); 4월 15일 (미국 성공회) |
공경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일부 성공회 교회; 개별 루터교 교회 |
![]() | |
직함 | 종교 사제 및 선교사 |
시복일 | 1995년 6월 4일 |
시복 장소 | 브뤼셀 코켈베르흐 성심 대성당 |
시복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시성일 | 2009년 10월 11일 |
시성 장소 | 바티칸 시국 |
시성자 | 교황 베네딕토 16세 |
수호 성인 | 나병 환자 |
주요 성지 | 벨기에 루벤 (유해); 하와이 몰로카이섬 (손 유해) |
![]() | |
기타 정보 | |
경력 | |
사제 서품 | 1864년 5월 21일 |
지도 정보 |
2. 생애
다미앵 신부는 1840년 1월 3일 벨기에 플랑드르 브라방트 주 트레멜로 마을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요셉이었다. 그의 형 오귀스트(팜필 신부)는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픽푸스 신부회)에 합류했고, 누나들은 수녀가 되었다. 요셉은 가족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13세에 학교를 그만두었다.[9] 이후 브레인르콩트의 대학에서 공부했지만, 1858년 종교적 소명을 느껴 루뱅에 있는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 수련원에 들어갔다. 이때 4세기 의사이자 순교자인 성 코스마스와 다미안 성인을 따라 다미앵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11] 1860년 10월 7일 수도 서원을 했다.
다미앵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사제직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으나, 형에게 라틴어를 배워 상급자들의 허락을 받아 사제가 될 수 있었다. 그는 선교사가 되기를 원했고, 3년 후 형이 질병으로 하와이에 갈 수 없게 되자 대신 선교사로 파견되었다.[13]
1863년 10월 독일 항구를 출발한 다미앵은 1864년 3월 19일 호놀룰루에 도착하여, 5월 21일 평화의 성모 대성당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하와이에서 8년간 활동하던 다미앵은 한센병 환자들이 몰로카이 섬 칼라우파파에 격리되어 아무런 돌봄 없이 죽어가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몰로카이 섬으로 파견을 요청하여 허락받고, 환자들을 위해 홀로 섬으로 향했다. 당시 몰로카이 섬에는 800명의 한센병 환자가 격리되어 있었고, 매년 142명이 사망하고 있었다.[8]
1873년 5월 9일 몰로카이 섬에 부임한 다미앵은 환자들의 생활 환경을 정비하고, "몰로카이의 영웅"으로 불리며 기부금을 모아 환경 개선에 힘썼다. 그러나 강한 성격으로 인해 교회 관계자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또한 환자들은 다미앵의 사랑을 "당신들 나병 환자"를 향한 것으로 여겨, 그를 외부인으로 생각했다. 다미앵은 이러한 간극 때문에 고뇌하며 환자들의 병든 부위를 만지는 것을 주저하지 않게 되었다.
다미앵은 브라스밴드를 시작하고 학교를 설립하는 등 장기적인 활동을 통해 몰로카이 섬 한센병 환자들의 환경을 크게 개선했다. 1881년 하와이 왕국 릴리우오칼라니 왕녀가 방문하면서 사람들은 한센병 환자들의 현실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884년 12월, 다미앵은 자신도 한센병에 걸렸음을 알게 되었다. 1885년 5월 에드워드 아닝 의사와 아서 모리츠 의사는 "나병 이외의 어떤 것도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우리 나병 환자"로서의 입장에 서게 되었다.
1886년 7월, 다미앵은 일본 한의사 고토 마사나오[71]의 치료를 받기 위해 호놀룰루를 방문했다.[72] 고토의 한방 치료와 온욕 요법으로 다미앵의 한센병은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다. 다미앵은 고토를 깊이 신뢰하며 "나는 서구 의사를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고토 의사에게 치료받고 싶다"는 말을 남겼다.[73]
그러나 병세는 악화되었고, 1889년 4월 15일, 다미앵은 마더 마리안 코프(2012년 로마 가톨릭 교회 성인이 됨)를 비롯한 수녀들과 협력자들의 간호 속에서 세상을 떠났다.
다미앵은 몰로카이 섬에 매장되었으나, 1936년 벨기에의 요구로 유해가 벨기에로 옮겨져 루뱅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1995년 시복을 계기로 유해의 오른손만 칼라우파파의 무덤으로 돌아왔다.
다미앵의 몰로카이 섬 정착, 한센병 발병, 사망은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1873년 "몰로카이 섬의 영웅", 1881년 "하와이의 영광"으로 보도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다미앵을 만나기 위해 몰로카이 섬을 방문했다.
2. 1. 초기 생애 (1840년 ~ 1864년)
1840년 1월 3일, 벨기에 루뱅 근교 트레미루에서 농부인 아버지 프랑스와 드 베스테르와 어머니 카타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다미앵의 두 누나는 로마 가톨릭 수녀였고, 형은 로마 가톨릭 사제일 정도로 그리스도 신앙이 있는 집안이었다. 어릴 적 다미앵은 호기심이 많아 지방 건축업자를 따라다니며 건축일을 배웠는데, 이는 훗날 몰로카이에서 한센인들을 섬기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부친의 권유로 르 콩 고등학교에서 불어를 공부했다.1859년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수도회에 입회하여 수사가 된 다미앵은 본래 이름 대신 성인 다미아노의 이름을 본떠 다미앵이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하였다. 학문을 좋아한 다미앵은 형에게 라틴어를 배웠는데, 의지력이 강한 성격 덕분에 성직자가 되기 위해 공부할 자격을 얻을 만큼 라틴어를 잘하게 되었다. 다미앵은 1860년에 라틴어, 그리스어, 철학, 신학을 공부할 정도로 학문이 뛰어났다.
1863년 교회의 결정으로 선교사가 된 다미앵은 1864년 호놀룰루 근교의 아피마뉴 신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원주민 말인 카나카 말도 배웠다. 그해 5월 호놀룰루 대성당에서 메그레 주교에 의해 로마 가톨릭 사제로 서품되었다.
2. 2. 하와이 선교 (1864년 ~ 1873년)
1863년 교회의 결정으로 선교사가 된 다미앵은 1864년 호놀룰루 근교의 아피마뉴 신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원주민 말인 카나카 말도 배웠다. 그 해 5월 호놀룰루 대성당에서 메그레 주교에 의해 로마 가톨릭 사제로 서품되었다.[77] 호놀룰루에서 9년간 선교사로 일했다. 이 시기에 다미앵은 직접 교회를 짓는 놀라운 손재주를 보여주었다. 지역주민들은 친절하고 부지런했지만, 그는 향수병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다.1864년 3월 19일, 다미앵은 호놀룰루 항에 있는 오아후섬에 도착했다. 그는 1864년 5월 21일, 현재 평화의 성모 대성당이 있는 곳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14]
1865년, 다미앵은 하와이섬의 하위의 성심 수도원에 배치되었다. 그가 오아후섬의 여러 본당에서 사역하는 동안, 하와이 왕국은 노동력 부족과 공중 보건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15] 많은 하와이 원주민 신자들은 나병(후에 한센병으로 알려짐), 천연두, 콜레라, 인플루엔자, 매독, 백일해와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이러한 질병들은 외국 상인, 선원, 이민자들에 의해 하와이 제도로 유입되었다. 수천 명의 하와이 원주민들이 이러한 질병으로 사망했는데, 그들은 이러한 질병에 대한 면역을 갖고 있지 않았다.[16]
하와이로의 중국인 이민 노동자들이 1830년대와 1840년대에 나병(후에 한센병으로 알려짐)을 섬으로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나병은 매우 전염성이 강하고 불치병으로 여겨졌다. 1865년, 이 전염병에 대한 공포로 인해 하와이 국왕 카메하메하 5세와 하와이 왕국 의회는 "나병 확산 방지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하와이의 나병 환자들을 격리하여 가장 심각한 환자들을 몰로카이섬의 칼라우파파 반도 동쪽 끝에 있는 칼라와오 정착지로 이주시키도록 규정했다. 나중에 칼라우파파 정착지가 개발되었다. 두 마을이 위치한 칼라와오 카운티는 가파른 산등성이로 몰로카이섬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되어 있다. 1866년부터 1969년까지 약 8,000명의 하와이 원주민들이 의료 격리 목적으로 칼라우파파 반도로 보내졌다.[17]
왕립 보건위원회는 처음에 격리된 사람들에게 음식과 기타 물품을 제공했지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인력과 자원이 부족했다.[8] 당시 문서에 따르면, 하와이 왕국은 이 정착지를 형무소로 만들 의도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국은 이들을 지원할 충분한 자원을 제공하지 않았다.[1] 하와이 왕국은 나병 환자들이 스스로를 돌보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계획했지만, 나병의 영향과 반도의 지역 환경 조건으로 인해 이는 비현실적이었다.
1868년까지, 1911년판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술 취하고 음란한 행위가 만연했습니다. 태평하고 성격이 좋은 사람들은 완전히 변한 것처럼 보였습니다."[18][19]
1873년 하와이에서는 한센인들을 몰로카이섬으로 쫓아내었다. 격리를 목적으로 한 한센인 추방은 한센병은 전염되지도, 유전되지도 않는 병이라는 사실을 몰랐던 무지가 낳은 비극이었다.[77] 몰로카이로 쫓겨난 한센인들의 삶은 비참했다. 그들이 살던 집은 나뭇가지 등으로 만든 초라한 집이었고, 병원이 없었으며, 먹을 것이 없어서 병으로 죽은 사람보다 굶주림으로 죽은 사람이 더 많은 지경이었다. 삶의 희망이 없으므로 싸움질, 도박, 술로 세월을 낭비했다. 몰로카이섬으로 쫓겨날 때에도 한센인들은 강제로 배에 태워지거나, 해안에 나뒹굴어 갖고 있던 물건을 모두 잃어버리는 일도 있었다.

2. 3. 몰로카이에서의 헌신 (1873년 ~ 1889년)
1873년 하와이에서는 한센인들을 몰로카이섬으로 추방했다. 이는 한센병이 전염되지도, 유전되지도 않는 병이라는 사실을 몰랐던 당시의 무지함이 낳은 비극이었다.[77] 몰로카이로 쫓겨난 한센인들의 삶은 비참했다. 그들은 나뭇가지 등으로 만든 초라한 집에 살았고, 병원도 없이 먹을 것조차 부족하여 굶어 죽는 사람이 더 많았다. 삶의 희망을 잃은 사람들은 싸움, 도박, 술에 빠져 살았다. 몰로카이섬으로 강제로 끌려가면서 물건을 모두 잃어버리는 일도 있었다.다미앵 신부는 한센인들의 비참한 삶에 가슴 아파하며 몰로카이섬에서 사회선교를 실천했다. 그는 로마 가톨릭 신부와 수녀들의 도움을 받아 한센인들에게 집을 지어주고, 장례를 치러주었으며, 성 필로메나 성당을 세워 미사를 집전했다. 미사 때 다미앵 신부는 "우리 한센인들은"이라고 말하며 차별 없이 그들과 함께하고자 했다. 이러한 다미앵 신부의 헌신은 성공회 신부가 천 파운드를 지원하고, 미국의 개신교 신자가 소녀들을 위한 집을 짓는 데 돈을 보내는 등 교회에도 영향을 주었다. 소녀들은 이 집에서 가톨릭 수녀들에게 교육을 받았다.
1873년 5월 10일, 다미앵 신부는 당시 600명의 한센인이 있던 칼라우파파(Kalaupapa)에 도착했다.[8] 그는 사제로서의 직무 외에도 주민들의 궤양을 치료하고, 저수지를 건설하고, 집과 가구를 만들고, 관을 만들고, 무덤을 파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10] 칼라와오(Kalawao)에 도착한 지 6개월 후, 그는 유럽에 있는 형제에게 "나는 모든 것을 예수 그리스도에게 얻기 위해 한센인들과 함께 한센인이 되었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
다미앵 신부는 한센인들을 돌보며 공동체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 그는 집을 칠하고, 농장을 조직하고, 예배당, 도로, 병원, 교회 건설을 조직하는 등 식민지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주민들의 옷을 입히고, 무덤을 파고, 관을 만들고, 한센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고, 파이프를 함께 피우는 등 그들과 동등하게 생활했다. 다미앵 신부는 한센인들에게 세상이 그들을 어떻게 생각하든 하나님의 눈에는 항상 귀중하다고 말했다.
칼라카우아 왕은 다미엔에게 "칼라카우아 왕실 훈장(Royal Order of Kalākaua)의 기사 사령관"이라는 칭호를 수여했다.[20] 릴리우오칼라니 왕세자비는 정착촌을 방문했을 때 주민들의 모습에 큰 충격을 받고 연설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녀는 다미엔의 노력을 칭찬했다.[21] 다미엔은 미국과 유럽에서 국제적으로 유명해졌고, 미국의 프로테스탄트들은 그의 선교 사업을 위해 많은 돈을 모금했다. 잉글랜드 교회(Church of England)는 정착촌에 식량, 의약품, 의류 및 물품을 보냈다.
한센인 중 한 명은 다미앵 신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그분은 우리를 극진히 돌보아주셨습니다. 손수 우리에게 집을 지어주시고, 우리중에 누가 병이 나면 차와 과자와 설탕을 주셨습니다. 그분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옷을 주셨으며, 가톨릭 신자와 개신교 신자를 차별하지도 않으셨습니다.[78]
2. 3. 1. 한센병 발병과 투병 (1884년 ~ 1889년)
1884년 12월, 다미앵 신부는 목욕을 준비하던 중 실수로 뜨거운 물에 발을 담갔지만 아무런 감각을 느끼지 못했다. 피부에 물집이 생겼지만 통증이 없었다. 11년 동안 한센인들과 함께 생활한 결과, 다미앵 신부 자신도 한센병에 걸린 것이었다. 이는 한센병 감염을 확인하는 일반적인 방법이었다.1885년, 일본의 한센병 전문가 고토 마사나오(後藤 昌直)가 호놀룰루에 와서 다미앵 신부를 치료했다. 고토는 한센병이 혈액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고 믿었으며, 영양가 있는 음식, 적당한 운동, 마비된 부위 마찰, 특수 연고 및 의료 목욕 등으로 치료했다. 이 치료법은 일부 증상을 완화시켰고, 하와이 환자들에게 인기가 많았다.[23][24][25] 다미앵 신부는 고토의 치료법을 신뢰하여 그에게만 치료받기를 원했으며,[26] 고토는 다미앵 신부의 좋은 친구가 되었다.
병세가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미앵 신부는 남은 생애 동안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는 가톨릭 신앙 전파와 한센인 치료를 계속하면서, 건축 프로젝트와 고아원 개선 사업 등 가능한 많은 일을 완수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다미앵 신부를 돕기 위해 4명의 자원봉사자가 칼라우파파에 도착했다. 벨기에 사제 루이 람베르트 콘라디, 미국 남북 전쟁 참전 용사 조셉 더튼, 시카고 출신 간호사 제임스 시넷, 그리고 뉴욕 시러큐스에 있는 프란체스코회 운영 세인트 조셉 병원 원장이었던 성녀 마리아나 코프 수녀였다.[27] 콘라디는 다미앵 신부의 사목 임무를, 코프 수녀는 병원 운영을, 더튼은 지역 사회 건물 건설 및 유지 관리를 담당했다. 시넷은 다미앵 신부가 병세가 악화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그를 간호했다.
다미앵 신부는 팔과 발에 붕대를 감고 다리를 절뚝거리는 등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았다. 1889년 3월 23일부터 침대에 누워 지냈으며, 3월 30일에는 고해성사를 했다.[28] 1889년 4월 15일 오전 8시, 다미앵 신부는 49세의 나이로 한센병으로 인해 별세했다.[29] 다음 날, 몰러스 신부가 성 필로메나 성당에서 장례 미사를 집전했고, 마을 전체가 장례 행렬을 따라 묘지로 향했다. 다미앵 신부는 몰로카이섬에 처음 도착했을 때 처음으로 잠을 잤던 판다누스 나무 아래에 묻혔다.[30]

3. 논란과 비판
다미엔 신부는 생전에 이미 국제적으로 유명해졌는데, 고통받는 원주민들을 돕는 데 삶을 바친 상징적인 기독교 인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상급자들은 다미엔 신부가 교육과 세련됨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지만, 그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열심히 하느님을 위해 일하는 성실한 농부"라고 여겼다.[33] 그의 사망 소식은 당시의 현대적인 통신 수단을 통해 전 세계에 빠르게 전해졌다.[34] 그의 업적에 대한 찬사가 쏟아진 후, 하와이에서 다른 목소리들이 들리기 시작했다.
하와이의 합동과 장로 교회 대표들이 그의 접근 방식을 비판했다. 호놀룰루의 장로교 목사인 찰스 맥이웬 하이드 목사는 다미엔 신부를 "거칠고 더러운 사람"이라고 언급하며, "부주의" 때문에 나병에 걸렸다고 말했다.[37][35] 하이드는 다미엔 신부가 보건위원회가 시행한 개혁에 대해 잘못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36]
1889년 후반, 스코틀랜드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결핵 치료를 위해 하와이에 도착했다. 다미엔 신부의 이야기에 감동한 그는 몰로카이에 8일 7박 동안 머물며[37] 다미엔 신부의 업적에 대해 더 자세히 알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는 하이드 목사에게 공개 서한을 써서 목사의 비판에 대해 반박했고, 자신의 비용으로 인쇄했다. 스티븐슨의 편지는 다미엔 신부에 대한 가장 유명한 기록이 되었으며, 그를 원주민을 돕는 유럽인의 역할로 부각시켰다.[37][38]
스티븐슨은 다미엔 신부를 극찬하며 하이드 목사에게 "만약 세상이 당신을 기억한다면, 몰로카이의 다미엔이 성인으로 추대되는 날, 그것은 당신이 H. B. 게이지 목사에게 보낸 편지 덕분일 것입니다."라고 썼다.[37]
마하트마 간디는 다미엔 신부의 업적이 인도에서 그의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39]
4. 유산과 영향
다미앵 신부는 생전에 이미 국제적으로 유명해졌는데, 고통받는 원주민들을 돌보는 데 삶을 바친 상징적인 기독교 인물로 여겨졌다.[33] 1889년 4월 15일, 그의 사망 소식은 당시의 현대적인 통신 수단을 통해 전 세계에 빠르게 전해졌다.[34] 그의 업적에 대한 찬사가 쏟아진 후, 하와이에서는 그의 접근 방식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하와이의 합동과 장로 교회 대표들은 그의 접근 방식을 비판했다. 호놀룰루의 장로교 목사인 찰스 맥이웬 하이드 목사는 다미앵 신부를 "거칠고 더러운 사람"이라고 언급하며, "부주의" 때문에 나병에 걸렸다고 말했다.[37][35]
1889년 후반, 스코틀랜드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결핵 치료를 위해 하와이에 장기 체류하면서 다미앵 신부를 둘러싼 논란에 관심을 가지고 몰로카이에 8일 7박 동안 머물렀다.[37] 그는 다미앵 신부의 업적에 대해 더 많이 알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과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를 바탕으로 하이드 목사에게 공개 서한을 써서 그의 비판에 대해 반박했다.[37][38]
스티븐슨은 자신의 편지에서 다미앵 신부의 결점을 찾고 있었지만, 그의 미덕과 영웅적인 모습에 대해 이미 충분히 알고 있었으며, 그의 굳건한 정직함, 관대함, 유쾌함에 감탄했다고 밝혔다.[37]
마하트마 간디는 다미앵 신부의 업적이 인도에서 그의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39]
2005년, 다미앵은 플랑드르 공영 방송국인 VRT가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벨기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벨기에인"으로 선정되었다.[59]
다미앵 신부의 시성은 그의 나병 환자 봉사를 강조하며, 그의 업적은 사회가 HIV/AIDS 환자를 섬겨야 하는 방식의 한 예로 인용되었다.[60]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다미앵 신부 시성을 기념하여 "병든 자를 치료하고 돌보라는 긴급한 요청에 응답하는 다미안 신부의 결의를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61]
나병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자선 단체 중에는 다미안 신부의 이름을 딴 다미안 나병 협회가 있다. 아일랜드의 다미안 하우스는 "상실, 스트레스, 폭력 및 기타 어려움으로 영향을 받는 가족과 개인을 위한 평화"를 위한 센터이다.[65]
그의 이름을 딴 학교로는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다미안 고등학교, 캐나다 캘거리의 세인트 다미안 초등학교, 그리고 하와이의 다미안 기념학교가 있다.[68]
- 하와이 주청사 계단에 있는 다미앵 신부 동상은 그를 기리고 있으며, 복제품은 미국 국회의사당의 국립 조각상 컬렉션에 전시되어 있다.[58]
- 호나우나(하와이)에 있는 세인트 베네딕트 가톨릭 교회 앞에는 기념비가 있다.
- 1952년, 피크푸스 수도회는 다미안이 태어나고 자란 벨기에 트레멜로에 Damien Museum|다미안 박물관nl을 개관했으며, 2017년에 완전히 개조되었다.
- 미시간주 폰티악에는 성 다미안 본당이 있다.[69]
- 몰로카이의 마리아나는 2012년 시성되었다.[70]
- 하와이 와이키키 해변에 있는 세인트 오거스틴 교회 건물 앞에는 다미안과 마리아네 기념관이 있다.
월요일 - 목요일 | 9:00 - 15:00 |
---|---|
금요일 | 9:00 - 12:00 |
토요일 | 9:00 - 12:00 및 16:00 - 19:00 |
일요일 | 7:00 - 12:00 |
4. 1. 시성
1977년, 바오로 6세는 다미앵 신부를 존경할 만한 인물로 선언했다. 1995년 6월 4일,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를 시복하여 복자라는 공식적인 영적 칭호를 얻게 했다. 1999년 12월 20일, 성무성 장관인 호르헤 메디나 에스테베스는 복자 다미앵을 선택 기념일의 지위로 국가 전례력에 포함시키는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의 결정을 승인했다. 다미앵 신부는 2009년 10월 11일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시성되었다.[6] 그의 축일은 5월 10일에 기념된다. 하와이에서는 그의 사망일인 4월 15일에 기념된다.시복 전에 두 가지 기적이 다미앵 신부의 사후 중재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졌다.
기적 내용 |
---|
1895년 프랑스의 심플리시아 휴 수녀가 오랫동안 지속된 장 질환으로 죽어가면서 다미앵 신부에게 노베나를 시작했고, 질병의 통증과 증상이 하룻밤 사이에 사라졌다고 한다.[40] |
희귀한 암에 걸린 하와이 여성 오드리 토구치가 몰로카이 섬에 있는 다미앵 신부의 무덤에서 기도한 후에 완화되었다. 1997년, 토구치는 지방육종 진단을 받았으나 1년 후 수술을 통해 종양이 제거되었지만 암은 폐로 전이되었다. 주치의는 "이 암을 이겨낸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당신을 죽일 것입니다."라고 말했지만, 토구치는 2016년에도 살아 있었다.[42][41][43] |
2008년 4월, 교황청은 두 가지 치유를 다미앵 신부의 성덕의 증거로 받아들였다. 2008년 6월 2일, 성인성시성성은 몰로카이 다미앵 신부를 성인으로 봉헌할 것을 권고하는 투표를 했다. 시성에 필요한 기적을 공식적으로 기록하고 확인하는 법령은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승인하고 추기경 조제 사라이바 마르틴스가 2008년 7월 3일에 공포했으며, 실제 시성식은 로마에서 열리고 벨기에와 하와이에서 기념 행사가 열렸다.[44] 2009년 2월 21일, 교황청은 다미앵 신부가 시성될 것이라고 발표했다.[6] 시성식은 2009년 10월 11일 로마에서 벨기에의 알베르 2세 국왕과 벨기에의 파올라 왕비, 벨기에 총리 허먼 반 롬푸이와 여러 각료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7][45] 워싱턴 D.C.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성 다미앵에 대한 그의 깊은 존경심을 확인하며, 그는 목소리 없는 자들에게 목소리를, 병든 자들에게 존엄성을 부여했다고 말했다.[46] 같은 날 다미앵 신부와 함께 지그문트 슈체스니 펠린스키, 장 주강, 프란시스코 콜 귀타르, 라파엘 아르나이스 바론이 시성되었다.[47]
다미앵은 마리안느 코프와 함께 미국 성공회의 전례력에서 4월 15일 축일을 가지고 기념된다.[48]
4. 2. 사회적 영향
다미엔 신부는 생전에 이미 국제적으로 유명해졌는데, 고통받는 원주민들을 돌보는 데 삶을 바친 상징적인 기독교 인물로 여겨졌다.[33] 1889년 4월 15일 그의 사망 소식은 당시의 현대적인 통신 수단을 통해 전 세계에 빠르게 전해졌다.[34] 그의 업적에 대한 찬사가 쏟아진 후, 하와이에서는 그의 접근 방식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하와이의 합동과 장로 교회 대표들은 그의 접근 방식을 비판했다. 호놀룰루의 장로교 목사인 찰스 맥이웬 하이드 목사는 다미엔 신부를 "거칠고 더러운 사람"이라고 언급하며, "부주의" 때문에 나병에 걸렸다고 말했다.[37][35]
1889년 후반, 스코틀랜드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결핵 치료를 위해 하와이에 장기 체류하면서 다미엔 신부를 둘러싼 논란에 관심을 가지고 몰로카이에 8일 7박 동안 머물렀다.[37] 그는 다미엔 신부의 업적에 대해 더 많이 알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과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를 바탕으로 하이드 목사에게 공개 서한을 써서 그의 비판에 대해 반박했다.[37][38]
스티븐슨은 자신의 편지에서 다미엔 신부의 결점을 찾고 있었지만, 그의 미덕과 영웅적인 모습에 대해 이미 충분히 알고 있었으며, 그의 굳건한 정직함, 관대함, 유쾌함에 감탄했다고 밝혔다.[37]
마하트마 간디는 다미엔 신부의 업적이 인도에서 그의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39]
2005년, 다미안은 플랑드르 공영 방송국인 VRT가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벨기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벨기에인"으로 선정되었다.[59]
다미안 신부의 시성은 그의 나병 환자 봉사를 강조하며, 그의 업적은 사회가 HIV/AIDS 환자를 섬겨야 하는 방식의 한 예로 인용되었다.[60]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다미안 신부 시성을 기념하여 "병든 자를 치료하고 돌보라는 긴급한 요청에 응답하는 다미안 신부의 결의를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61]
나병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자선 단체 중에는 다미안 신부의 이름을 딴 다미안 나병 협회가 있다. 아일랜드의 다미안 하우스는 "상실, 스트레스, 폭력 및 기타 어려움으로 영향을 받는 가족과 개인을 위한 평화"를 위한 센터이다.[65]
그의 이름을 딴 학교로는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다미안 고등학교, 캐나다 캘거리의 세인트 다미안 초등학교, 그리고 하와이의 다미안 기념학교가 있다.[68]
4. 3. 기념 시설
- 하와이 주청사 계단에 있는 다미앵 신부 동상은 그를 기리고 있으며, 복제품은 미국 국회의사당의 국립 조각상 컬렉션에 전시되어 있다.[58] 다미앵 신부를 기리는 동상은 투르네 대성당, 겐트의 성 바보 대성당, 이프르의 성 마르탱 대성당 등 벨기에의 많은 대성당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호나우나(하와이)에 있는 세인트 베네딕트 가톨릭 교회 앞에는 기념비가 서 있으며, 종종 레이로 장식된다.
- 2005년, 다미안은 플랑드르 공영 방송국인 VRT가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벨기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벨기에인"으로 선정되어 "De Grootste Belg"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9] 그는 프랑스어 방송 채널 RTBF의 여론 조사에서 "Le plus grand Belge"("벨기에 최고의 인물") 순위에서 3위를 차지했다.
- 1952년, 피크푸스 수도회(SS.CC)는 다미안이 태어나고 자란 벨기에 트레멜로에 Damien Museum|다미안 박물관nl을 개관했으며, 2017년에 완전히 개조되었다.
- 다미안 신부의 시성은 그의 나병 환자 봉사를 강조하며, 그의 업적은 사회가 HIV/AIDS 환자를 섬겨야 하는 방식의 한 예로 인용되었다.[60]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다미안 신부 시성을 기념하여 "전 세계 수백만 명이 질병, 특히 HIV/AIDS 팬데믹으로 고통받고 있는 오늘날, 우리는 병든 자를 치료하고 돌보라는 긴급한 요청에 응답하는 다미안 신부의 결의를 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61] 전국적으로 HIV/AIDS 환자를 위한 여러 클리닉과 센터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62] 세인트 토마스 사도 할리우드라는 감리교 교구에는 그의 이름을 딴 HIV/AIDS 환자들을 위한 예배당이 있다.[63][64]
- 다미안 나병 협회는 나병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자선 단체 중 하나이다. 아일랜드의 다미안 하우스는 "특히 북아일랜드에 중점을 두어 상실, 스트레스, 폭력 및 기타 어려움으로 영향을 받는 가족과 개인을 위한 평화"를 위한 센터이다.[65] 세인트 다미안 옹호자들은 고아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다미안 신부의 사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종교 자유 단체이다.[66][67]
- 그의 이름을 딴 학교로는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다미안 고등학교, 캐나다 캘거리의 세인트 다미안 초등학교, 그리고 하와이의 다미안 기념학교가 있다.[68]
- 2010년에 헌정된 오클라호마주 에드먼드의 성 다미안 오브 몰로카이 가톨릭 교회는 그의 시성 이후 미국 본토에서 처음으로 성 다미안의 이름을 딴 로마 가톨릭 교회로 여겨진다. 전통 라틴 미사 교회인 이 교회는 성 베드로 사제단(FSSP)이 운영하며, 2010년 오클라호마시 대주교인 유세비우스 J. 벨트란에 의해 승인되었다. 미시간주 폰티악(디트로이트 대교구 소속)에도 성 다미안 본당이 있다.[69]
- 몰로카이의 마리아나는 2012년 시성되었다.[70]
- 하와이 와이키키 해변에 있는 세인트 오거스틴 교회(St. Augustine By the Sea Catholic Church) 건물 앞에는 다미안과 마리아네 기념관(Damien and Marianne of Moloka'i Heritage Center)이 있다. 2012년 10월 21일에 성인이 된 마더 마리아네를 기념하고 있다. 입장은 무료이다.
월요일 - 목요일 | 9:00 - 15:00 |
---|---|
금요일 | 9:00 - 12:00 |
토요일 | 9:00 - 12:00 및 16:00 - 19:00 |
일요일 | 7:00 - 12:00 |
참조
[1]
뉴스
St. Damien's feast day not the customary date of death
2013-09-04
[2]
간행물
Congregation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 and of the Perpetual Adoration of the Blessed Sacrament of the Altar
[3]
서적
The Colony: The Harrowing True Story of the Exiles of Molokai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4]
웹사이트
FEAST OF SAINT DAMIAN OF MOLOKAI – 10th MAY
https://www.prayersa[...]
Prayers and Petitions
2022-07-01
[5]
웹사이트
Blessed Damien de Veuster, ss.cc.
https://web.archive.[...]
Congregation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
2012-08-02
[6]
웹사이트
'Apostle of the Lepers,' Spanish mystic among 10 to be canonized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10-07-21
[7]
웹사이트
Pope Proclaims Five New Saints
https://archive.toda[...]
Radio Vaticana
2010-07-21
[8]
간행물
Father Damien (Joseph de Veuster)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9]
웹사이트
Saint Damien de Veuster of Moloka'i
https://web.archive.[...]
2020-04-20
[10]
웹사이트
Saint Damien – Servant of God, Servant of Humanity
https://web.archive.[...]
2010-07-21
[11]
웹사이트
St. Damien of Molokai
http://www.catholic.[...]
2017-02-02
[12]
웹사이트
Blessed Damian De Veuster
http://www.ssccpicpu[...]
Congregation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
2009-02-21
[13]
웹사이트
Father Damien – Kalaupapa National Historic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14]
서적
Damiaan: De Definitieve Biografie
Davidsfond
[15]
논문
Blessed Damien of Moloka'i: The Critical Analysis of Contemporary Myth
https://www.jstor.or[...]
[16]
논문
Death in Hawaiʻi: the Epidemics of 1848–1849
http://hdl.handle.ne[...]
2001
[17]
서적
The Hawaiian Kingdom, Vol. 2: 1854-1874 Twenty Critical Years
http://ulukau.org/el[...]
University of Hawaii Press
[18]
간행물
Molokai
[19]
논문
Blessed Damien of Moloka’i: Critical Analysis of Contemporary Myth
https://www.jstor.or[...]
[20]
웹사이트
House Resolution 210
https://web.archive.[...]
Hawaii State Legislature
2012-08-02
[21]
뉴스
St. Damien Day Hawaii October 11
http://hawaiifreepre[...]
Hawaii Free Press
2012-08-02
[22]
웹사이트
Hawaii's Father Damien: From priesthood to sainthood
https://www.hawaiima[...]
2009-10-10
[23]
뉴스
The lepers of Molokai
https://timesmachine[...]
2010-07-21
[24]
서적
Holy Man: Father Damien of Moloka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5]
서적
Leprosy and Empire: A Medic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St. Damien of Molokai: Servant of God – Servant of Humanity
https://web.archive.[...]
St. Augustine-by-the-Sea
2010-07-21
[27]
웹사이트
Hawaii's Father Damien: From priesthood to sainthood
https://web.archive.[...]
Hawaii Magazine
2012-08-02
[28]
서적
Damien the Leper
http://www.ewtn.com/[...]
The Franciscans of St. Anthony's Guild
1974
[29]
웹사이트
Father Damien's Legacy
https://www.pbs.org/[...]
PBS
2015-09-11
[30]
웹사이트
Damien The Leper
http://www.ewtn.com/[...]
EWTN
2012-08-02
[31]
뉴스
The Life of Father Damien
2009-10-07
[32]
논문
Letters for Damien
http://evols.library[...]
[33]
서적
Holy Man: Father Damien
[34]
서적
Holy Man: Father Damien
[35]
논문
Blessed Damien of Molokai
[36]
서적
Holy Man: Father Damien
[37]
서적
The Works of Robert Louis Stevenson, Volume 15
https://books.google[...]
W. Heinemann in association with Chatto and Windus, Cassell and Longmans, Green
[38]
서적
Holy Man: Father Damien
[39]
서적
The Spirit of Father Damien
Ignatius Press
[40]
웹사이트
'Father Damian' among new Vatican saints
http://www.cnn.com/2[...]
[41]
뉴스
Tribunal to examine Blessed Damien miracle claim
http://www.hawaiicat[...]
Diocese of Honolulu
2003-03-28
[42]
웹사이트
Aiea woman excited for her saint in making
http://archives.star[...]
The Star-Bulletin
2008-07-04
[43]
웹사이트
88-year-old miracle recipient honored at Father Damien mass
https://www.kitv.com[...]
2020-08-06
[44]
웹사이트
Vatican Votes To Elevate Father Damien To Sainthood
http://www.kitv.com/[...]
kitv.com
2010-07-21
[45]
뉴스
Le Père Damien proclamé saint
http://www.lesoir.be[...]
2009-10-11
[46]
웹사이트
Obama Says St. Damien Gave Voice to Voiceless, Dignity to the Sick
http://www.uscatholi[...]
Catholic News Service
2009-10-14
[47]
뉴스
Benedict Canonizes 5 New Saints
https://www.nytimes.[...]
2009-10-11
[48]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
[49]
웹사이트
Molokai, la isla maldita (Molokai, the cursed island, 1959)
https://www.imdb.com[...]
2010-07-21
[50]
웹사이트
Father Damien: The Leper Priest (1980) (TV)
https://www.imdb.com[...]
2010-07-21
[51]
서적
The Spirit of Father Damien: The Leper Priest – A Saint for Our Times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010
[52]
웹사이트
The eighth circle of paradise: Father Damien of Molokai and Jonathan Napela in Kalaupapa
http://www.stltoday.[...]
2010-04-21
[53]
서적
Damien the Leper
Sheed and Ward
1937
[54]
뉴스
'Damien the Leper' Purchased by RKO; Robert Sisk to Be the Producer – Joseph Calleia Has Been Assigned to Title Role
https://query.nytime[...]
1939-05-17
[55]
간행물
Hollywood Buys 45 More Stories to Add to 1940 Feature Programs
https://archive.org/[...]
1939-07-01
[56]
서적
Father Damien – A Play
Longmans, Green and Co., London-New York-Toronto
[57]
웹사이트
About Bill Neary
http://www.billneary[...]
[58]
웹사이트
Father Damien
http://www.aoc.gov/c[...]
The Architect of the Capitol
2010-07-21
[59]
웹사이트
Pater Damiaan "de Grootste Belg aller tijden"
http://nos.nl/artike[...]
NOS
2005-12-02
[60]
웹사이트
Father Damien, Aid to Lepers, Now a Saint
https://www.cbsnews.[...]
Associated Press
2009-10-11
[61]
뉴스
Benedict Canonizes 5 New Saints
https://www.nytimes.[...]
2009-10-11
[62]
웹사이트
Damien Ministries – Washington, D.C.
http://www.damienmin[...]
[63]
웹사이트
Damien Chapel
http://www.saintthom[...]
St. Thomas the Apostle Hollywood
[64]
웹사이트
St. Thomas the Apostle, Hollywood » History
http://www.saintthom[...]
[65]
웹사이트
Damien House, Ireland
http://www.damienhou[...]
[66]
웹사이트
Home
http://saintdamienad[...]
Saintdamienadvocates.org
2012-06-08
[67]
웹사이트
On Second Anniversary of the Affordable Care Act Passage, Hawaii Residents Join 140 Cities Across the Nation to Rally Against Its Impact on Religious Freedom
http://www.hawaiirep[...]
Hawaii Reporter
2012-03-23
[68]
웹사이트
St. Damien School, CCSD
http://www.cssd.ab.c[...]
[69]
웹사이트
St. Damien of Molokai Parish, Pontiac MI
https://www.facebook[...]
[70]
웹사이트
Museum | St. Augustine by the Sea Parish
http://www.staugusti[...]
Staugustinebythesea.com
2013-04-23
[71]
웹사이트
Masanao Goto
http://hml.org/mmhc/[...]
Hawaii Medical Library
2019-03-12
[72]
서적
Leprosy and empire: a medic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nt, Canterbury
2006-11
[73]
서적
Holy Man
New York : Harper & Row
1973
[74]
웹사이트
Damien of Molokai, Servant of God - Servant of Humanity
http://staugustineby[...]
2019-03-12
[75]
웹사이트
THE LEPERS OF MOLOKAI.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889-05-26
[76]
웹사이트
Diocese of Honolulu
http://catholichawai[...]
Roman Catholic Diocese of Honolulu
2020-08-27
[77]
일반
[78]
서적
세계위인전 다미앙
중앙교육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