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자유 무역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자유 무역 협정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 다양한 국가 및 국가 연합과 체결한 무역 협정을 의미한다. 칠레와의 FTA를 시작으로, 싱가포르, 유럽 자유 무역 연합, 아세안, 인도, 유럽 연합, 페루, 미국, 튀르키예,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랜드, 베트남, 콜롬비아, 중앙 아메리카, 영국, 아랍에미리트, 걸프 협력 회의 등과 FTA를 체결했다. 또한, 중국, 일본, 메르코수르, 러시아,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등과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디지털 경제 동반자 협정, CPTPP 가입 등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주요 FTA로는 한미 FTA, 한-EU FTA, 한-중 FTA, 한-인도 CEPA 등이 있으며, FTA 체결은 경제적 효과와 함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및 과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무역 협정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FTA를 체결한 5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무역 협정으로, 관세 인하, 투자 증대, 역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표로 하며, 2020년 15개국이 서명하고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효되었다.
  • 자유 무역 협정 - 세계 거버넌스
    세계 거버넌스는 세계 정부 없이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비공식 제도, 메커니즘, 관계, 과정의 복합체로서, 다양한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집단적 이익을 추구하고 권리와 의무를 확립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체계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일기본조약
    한일기본조약은 1965년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청구권 문제,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한국이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과거사 청산 미흡과 경제적 양보 논란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양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자유 무역 협정

2. 대한민국 FTA 체결 현황

수출 의존도가 높은 대한민국은 다양한 국가 및 국가 연합과의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통해 해외 시장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대한민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 및 지역

2. 1. 발효 중인 FTA



발효 중인 자유 무역 협정 목록
순번[1]국가/지역협상 개시공식 서명완전 발효비고
1칠레1999년 12월 14일2003년 2월 15일2004년 4월 1일대한민국 최초의 자유 무역 협정
2싱가포르2004년 1월 27일2005년 8월 4일2006년 3월 2일
3유럽 자유 무역 연합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2005년 1월 18일2005년 12월 15일2006년 9월 1일대한민국과 지역 블록 간 최초의 자유 무역 협정
4ASEAN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2005년 2월 23일2006년 8월 24일 (상품)2007년 6월 1일 (상품)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상품, 서비스 및 투자에 대한 협약이 순차적으로 서명됨;
2007년에 상품 협정 발효, 2009년에 서비스 및 투자 협정 발효
2007년 11월 21일 (서비스)2009년 5월 1일 (서비스)
2009년 6월 2일 (투자)2009년 9월 1일 (투자)
5인도2006년 3월 23일2009년 8월 7일2010년 1월 1일대한민국-인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
6유럽 연합 및 회원국2007년 5월 7일2010년 10월 6일2015년 12월 13일 (완전 발효)
(2011년 7월 1일 잠정 발효)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 참조;
2011년부터 잠정 발효, 2015년부터 완전 발효;[2]
환경 및 노동 조항이 포함된 EU 최초의 무역 협정[3]
7페루2009년 3월 16일2011년 3월 21일2011년 8월 1일대한민국-페루 자유 무역 협정 참조
8미국2006년 6월 5일2007년 6월 30일2012년 3월 15일대한민국-미국 자유 무역 협정 참조;
오바마 행정부 하에서 서명[4],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개정[5]
2018년 1월 5일 (개정 협상 개시)2018년 9월 24일 (개정 서명)2019년 1월 1일 (개정 발효)
9튀르키예2010년 4월 26일2012년 8월 1일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2013년 5월 1일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발효 후, 서비스 및 투자 협정 추가 발효
2015년 5월 26일 (서비스 및 투자)2018년 8월 1일 (서비스 및 투자)
10호주2009년 5월 19일2014년 4월 8일2014년 12월 12일대한민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 참조
11캐나다2005년 7월 28일2014년 9월 22일2015년 1월 1일대한민국-캐나다 자유 무역 협정 참조
12중국2012년 5월 14일2015년 6월 1일2015년 12월 20일대한민국-중국 자유 무역 협정 참조
13뉴질랜드2009년 6월 8일2015년 3월 23일2015년 12월 20일
14베트남2012년 8월 6일2015년 5월 5일2015년 12월 20일대한민국-베트남 자유 무역 협정 참조
15콜롬비아2009년 12월 7일2013년 2월 21일2016년 7월 15일
16중앙 아메리카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2015년 6월 18일2018년 2월 21일2021년 3월 1일국가별 발효 시점 상이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2019년 10월 1일, 파나마: 2021년 3월 1일).
과테말라는 2024년 1월 가입 서명 완료, 발효 예정.[13]
17영국2017년 2월 24일2019년 8월 22일2021년 1월 1일EU 규정으로 인해 별도 "협상" 없이 진행;
브렉시트 이전 EU-대한민국 FTA 하의 무역 관계 유지를 목표로 함[6], 2년 내 재협상 조건 포함[7]
18RCEP (ASEAN 10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2013년 5월 9일2020년 11월 15일2022년 2월 1일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
대한민국에 대해 2022년 2월 1일 발효[8]
19인도네시아2012년 7월 7일2020년 12월 18일2023년 1월 1일 [9]대한민국-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
20이스라엘2016년 6월 27일2021년 5월 12일2023년 1월 1일대한민국 최초의 중동 국가와의 FTA이자 이스라엘 최초의 아시아 국가와의 FTA[10]


2. 2. 협상 중 또는 관심 표명 중인 FTA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우루과이)2018년 9월 11일메르코수르 회원 자격이 정지된 베네수엘라는 제외[20]3러시아2019년 6월 21일서비스 및 투자에 관한 협상4말레이시아2019년 7월 11일5우즈베키스탄2021년 4월 26일STEP (지속 가능한 무역 및 경제 파트너십 협정)6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2021년디지털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21]7태평양 동맹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페루)2022년 시작 목표[22]블록의 준회원 자격으로[23]8멕시코2006년 2월 7일
2022년 시작 목표*[24]2006년에 첫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2008년에 중단됨[25]9영국2023년 11월 21일[26]대한민국-영국 자유 무역 협정 참조



번호현재 회원국관심 표명비고
1칠레, 뉴질랜드싱가포르2021[27]DEPA (디지털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
2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일본,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페루, 싱가포르베트남2021[28]CPTP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참조


3. 주요 FTA별 상세 내용

대한민국이 최초로 맺은 자유무역협정은 칠레와의 협정이다. 2002년 10월에 체결된 이 협정은 핸드폰, 자동차 등에 대한 칠레 측 관세 폐지와 포도 등에 대한 한국 측 관세 폐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며, 2004년4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 FTA 체결 직전 해 양국의 교역량은 16억달러였으나, 2010년에는 72억달러로 약 4.5배 증가했다.

싱가포르와의 FTA는 1999년 9월 APEC 정상회담에서 당시 싱가포르 고촉통 총리가 김대중 대통령에게 제안하면서 논의가 시작되었다. 2003년 10월부터 협상을 시작하여 2004년 11월에 타결되었고, 2005년 8월 4일 공식 서명했다. 2005년 양국 교역량은 127억달러였으며, FTA 발효 후인 2010년에는 231억달러로 증가했다.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의 FTA는 2004년 5월 한-EFTA 통상장관회담에서 공동 연구 개시에 합의하면서 시작되었다. EFTA는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 4개국으로 구성된다. 2004년 12월 16일 공식 협상 개시를 선언하고, 2005년 1월부터 7월까지 5차례 협상을 거쳐 2005년 7월 12일 중화인민공화국 다롄에서 타결을 선언했다. 2006년 6월 30일 국회 비준 동의를 거쳐 9월 1일 협정이 발효되었다. 한-EFTA 교역량은 2005년 29억달러에서 FTA 발효 후인 2011년 92억달러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페루와의 FTA 논의는 2008년 5월 30일 양국 통상 관계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2009년 1월 준비교섭이 시작되었다. 협상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자주요 내용장소
2009년 3월 16일-20일제 1차 회담서울
2009년 5월 11일-14일제 2차 회담리마
2009년 6월 29일-7월 3일제 3차 회담서울
2009년 7월 22일통상 고위공직자 회담싱가포르
2009년 10월 19일-22일제 4차 회담리마
2009년 11월 12일양국 정상 "조속한 타결" 합의-
2010년 1월 14일-15일중간 회담워싱턴 D.C.
2010년 6월 4일고위공직자 회담삿포로
2010년 8월 30일FTA 체결 발표리마



콜롬비아와의 FTA는 2013년 2월 21일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과 세르히오 디아스 그라나도스 콜롬비아 통상산업관광장관이 서명하여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한국이 주로 공산품을, 콜롬비아가 광물 자원을 수출하는 상호 보완적인 구조를 가진다. 콜롬비아에게는 아시아 국가와 맺은 첫 자유 무역 협정이다.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와 그 부품, 합성수지, 화물 자동차, 타이어 등이며, 주요 수입 품목은 무연탄, 커피, 합금철, 비철금속 스크랩 등이다. 협상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자주요 내용
2009년 12월한-콜롬비아 FTA 협상 출범 선언
2012년 6월 25일한-콜롬비아 FTA 협상 타결 선언 및 가서명
2013년 2월 21일한-콜롬비아 FTA 공식 서명


3. 1. 한-미 FTA (KORUS FTA)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4월 2일,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되었다. 당시 한미 FTA가 체결되면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와 EU 다음으로 거대한 자유무역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협정 타결 이후 양국 의회의 비준 동의 절차만 남겨두었으나, 미국에서는 재협상 요구가 있었고 대한민국 내에서는 비준 절차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는 등[29] 비준 동의안 처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여러 과정을 거쳐 2012년 3월 15일에 협정이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한-미 FTA 추진 및 발효 과정의 주요 일지는 다음과 같다.

일자주요 내용
2005년 10월한미 FTA 4대 선결조건 중 하나인 약값 재평가 제도 개정 중단 선언
2005년 11월한미 FTA 4대 선결조건 중 하나인 배출가스 강화 기준 수입차 적용 유예안 발표
2006년 1월한미 FTA 4대 선결조건 이행 (미국산 쇠고기 금수조치 해제, 스크린쿼터 146일에서 73일로 축소)
2006년 2월한미 FTA 공식 협상 개시 선언
2006년 5월한미 FTA 1차 협상 (미국 워싱턴)
2006년 7월한미 FTA 2차 협상 (대한민국 서울)
2006년 9월한미 FTA 3차 협상 (미국 시애틀)
2006년 10월한미 FTA 4차 협상 (대한민국 제주도)
2006년 12월 4일 ~ 12월 8일한미 FTA 5차 협상 (미국 몬태나주)
2007년 1월 15일 ~ 1월 19일한미 FTA 6차 협상 (대한민국 서울)
2007년 2월 11일 ~ 2월 14일한미 FTA 7차 협상 (미국 워싱턴)
2007년 3월 8일 ~ 3월 12일한미 FTA 8차 협상 (대한민국 서울)
2007년 4월 2일한미 FTA 협상 타결
2007년 5월 25일한미 FTA 협정문 공개[30][31]
2007년 6월양국 협정 서명 (향후 양국 의회 비준 후 발효 조건)
2007년 6월 29일추가 협상 타결
2008년 12월 18일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임시국회에서 회의장을 봉쇄한 채 한미 FTA 비준 동의안 상정[32]
2009년 4월 22일외교통상통일위원회 박진 위원장,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
2010년 12월 4일추가 협상 타결
2012년 3월 15일한미 FTA 공식 발효
2018년 9월 24일한미 FTA 개정협정 서명


3. 2. 한-EU FTA

대한민국과 유럽연합(EU) 간의 자유무역협정(FTA)은 2003년 초 참여정부 시기 로드맵 구축을 시작으로 추진되었다. 2006년 7월 예비협상을 거쳐, 2007년 5월 7일 서울에서 제1차 협상이 시작되었다.

1차 협상에서는 전체 상품의 95% 이상 개방과 공산품 관세 철폐 등에 합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측의 자동차, 반도체 시장과 EU 측의 환경, 노동 분야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EU는 서비스통신 분야 시장 개방에도 관심을 보였다. 한편, 논란이 될 수 있는 투자자 국가 분쟁 해결(ISDS), 쇠고기 수입 문제, 방송 시장 개방 등은 논의에서 제외하기로 합의하여, 한미 FTA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원만한 타결이 예상되었다. 2차 협상은 2007년 7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2010년 10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양측 대표가 협정문에 서명하였고, 한-EU FTA는 2011년 7월 1일 공식 발효되었다. 세계 최대 경제권인 EU와의 교역 증가는 향후 10년간 한국의 GDP를 5.6% 증가시키고, 선진국과의 경쟁을 통해 한국 산업의 고도화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발효 즉시 9,195개 품목의 관세가 철폐되어 유럽산 자동차, 의류, 와인 등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EU와의 시장 개방으로 경제 교류가 확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최대 25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향후 15년간 EU와의 무역에서 연평균 3.61억달러의 흑자가 예상되며, 특히 자동차, 전기전자, 섬유 등 제조업 분야 수출은 연평균 25.2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발효를 하루 앞둔 2011년 6월 30일, 토마스 코즐로프스키 주한 EU 대사는 기자회견에서 "한-EU FTA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며, 유럽과 아시아, 유럽과 한국의 거리를 단축시켜 재화, 서비스,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전달되는 고속도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또한 FTA가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케이팝 공연 등 한국 문화가 유럽에 알려지고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연합뉴스 2011년 6월 30일 보도

FTA 발효 후 첫 보름간(7월 1일~13일)의 성과를 보면, 대 EU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4.8억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액 역시 16% 증가한 16.5억달러였다. 특히 전체 수출액 중 FTA 혜택을 받은 품목의 비중(FTA 활용률)은 55%에 달했는데, 이는 한-아세안 FTA(2007년 발효, 활용률 약 30%) 등 다른 FTA 사례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한국일보 2011년 7월 17일 보도

피터 한센 주한 덴마크 대사도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덴마크산 돼지고기 수입이 늘고 있으며, FTA 이후 제약 분야, 그린에너지 분야에서 양측이 서로 윈-윈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33]

3. 3. 한·중 FTA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양국 정상은 2007년 4월 회담에서 양국의 FTA 추진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였고, 준비 단계로서 FTA 체결 시 영향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2008년 12월 12일, 한국은행중국인민은행과 1800억위안(260억달러 상당)의 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40억달러에서 300억달러로 확대된 규모이다. 또한 한국은행은 일본은행과의 통화 스와프 규모도 기존 130억달러에서 300억달러로 확대하는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08년 12월 13일, 일본 후쿠오카(福岡)에서 제1회 한중일 정상회담이 열렸으며, 이 자리에서 3국 정상은 매년 정기적으로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 회담에서 중국과 일본 정상은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던 이명박에게 FTA 체결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후 2014년 11월 10일, 중국 주석 시진핑과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가 한중 FTA 협정 타결을 선언했다. 2015년 2월 25일 FTA 가서명 절차를 마쳤으며, 같은 해 6월 3일 정식으로 서명했다.[34]

3. 4. 한·인도 CEPA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은 상품 교역, 서비스 교역, 투자, 경제협력 등 경제 관계 전반을 포괄하는 내용의 협정을 말한다. 본질적으로는 자유 무역 협정(FTA)과 동일한 성격을 지니지만, 주로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교역을 핵심으로 하는 자유무역협정(FTA)에 비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은 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인도는 2009년 8월 7일 정식 서명을 통해 양국 간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으며, 이 협정은 2010년 1월 1일부터 정식 발효되었다. 이 협정에는 상품 무역과 원산지 규정, 무역 원활화 및 관세 협력, 서비스 무역, 통신시장 개방, 인력 이동, 투자, 지적재산권, 무역 분쟁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3. 5. 한·영국 FTA

브렉시트 이후 한국영국이 별도로 체결한 자유 무역 협정이다.

4. FTA의 경제적 효과 및 과제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려면 원본 자료가 필요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TA 강국, KOREA https://www.fta.go.k[...] 2021-03-14
[2] 웹사이트 South Korea - Trade - European Commission https://ec.europa.eu[...] 2021-12-12
[3] 웹사이트 Press corner https://ec.europa.eu[...] 2021-07-09
[4] 웹사이트 The U.S.-ROK Free Trade Agreement https://www.csis.org[...] 2021-03-16
[5] 웹사이트 Trump's First Trade Deal: The Slightly Revised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ttps://www.cato.org[...] 2019-06-13
[6] 뉴스 UK and South Korea sign 'continuity' trade agreement https://www.bbc.com/[...] 2021-03-14
[7] 웹사이트 UK and South Korea to sign 'continuity free trade agreement' https://www.ft.com/c[...] 2021-03-18
[8] 웹사이트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greement will enter into force in South Korea https://www.meti.go.[...] 2021-12-12
[9] 웹사이트 한-인도네시아 CEPA https://www.fta.go.k[...] 2023-05-31
[10] 웹사이트 Israel and South Korea to sign free trade pact https://www.reuters.[...] 2021-05-10
[11] 웹사이트 Energy {{!}}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ttp://english.motie[...] 2021-07-09
[12] 뉴스 Ecuador looking to increase China trade by 35%, minister says https://www.reuters.[...] 2022-03-03
[13] 웹사이트 우리나라의 FTA https://www.ftatex.o[...]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24-04-21
[14] 웹사이트 GCC-South Korea sign free trade deal in boost to Gulf-Asia economic ties https://www.reuters.[...] 2023-12-18
[15] 웹사이트 S. Korea, Gulf Nations Agree to Resume FTA Talks after 12-Year Hiatus http://world.kbs.co.[...] 2022-01-20
[16]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ceive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in Riyadh https://www.gcc-sg.o[...] 2022-01-20
[17] 웹사이트 한-캄보디아 FTA 정식 서명…신남방정책 발표 후 메콩 첫 협정 https://www.fnnews.c[...] 2021-10-26
[18] 웹사이트 DTI confirms PH, Korea free trade agreement conclusion https://cnnphilippin[...] 2021-10-26
[19] 웹사이트 Korea-Singapore Digital Partnership Agreement (KSDPA) https://www.mti.gov.[...] 2022-01-23
[20] 뉴스 Mercosur suspends Venezuela over trade and human rights https://www.bbc.com/[...] 2021-12-12
[21] 웹사이트 S. Korea starts process to join DEPA https://en.yna.co.kr[...] 2022-01-23
[22] 웹사이트 Pacific Alliance to start FTA negotiations with South Korea https://www.opportim[...] 2022-01-28
[23] 웹사이트 Moon hopes for free trade deal with Mexico https://en.yna.co.kr[...] 2022-01-28
[24] 웹사이트 Mexico to Restart Free-Trade Talks with South Korea https://www.marketwa[...] 2022-03-03
[25] 뉴스 한-멕시코 FTA 협상 14년 만에 재개…공급망 협력도 강화 https://www.mk.co.kr[...]
[26] 뉴스 South Korea's Yoon to Talk AI in UK as Trade Negotiations Begin https://www.bloomber[...] 2023-11-20
[27] 웹사이트 Korea to officially deliver intention to join DEPA https://www.koreatim[...] 2022-05-15
[28] 웹사이트 South Korea moves to join CPTPP free trade pact as China fears ease https://www.kedgloba[...] 2022-05-15
[29] 뉴스 "<야권.시민단체 \"한미FTA 졸속비준 반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2-26
[30] 문서 외교통상부 2007. 5. 25일자 협정문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 자유무역협정(국문) http://www.mofat.go.[...]
[31] 문서 외교통상부 2007. 5. 25일자 협정문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 자유무역협정(영문) http://www.mofat.go.[...]
[32] 뉴스 한나라, 회의장 원천봉쇄 '한-미FTA 날치기'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12-18
[33] 저널 한국-덴마크, 한-EU FTA 이후 건강 제약산업 분야 협력 가속화 미래한국 2011-08-16
[34] 문서 http://www.ft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