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라 (이슬람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라(Mullā)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이슬람 용어로, 이슬람교의 종교 지도자를 지칭한다. 역사적으로는 중앙아시아 유대인, 중국 유대인 등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주로 시아파 이슬람교 성직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현대에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 이슬람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서 종교 교육을 받은 지도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마드라사 졸업생에게 부여되기도 한다. 물라는 모스크 지도, 종교 교육, 종교 의식 수행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정치에도 관여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교 -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나 이슬람교를 창시하고 최종 예언자로 여겨지며, 610년경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고 메디나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건설, 아라비아 반도 통일에 기여했으나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 이슬람교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물라 (이슬람교)
직함
개요
역할 및 지위
교육 및 훈련
역사적 맥락
추가 정보

2. 어원

"물라"는 페르시아어 단어 "몰라"(mullā, ملاf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인"과 "수호자"를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마울라"(mawlā, مولىar)에서 차용되었으며, 첫 번째 단모음이 변형되었다.[1]

3. 역사적 용법

책을 읽고 있는 물라(이슬람 학자)의 그림. 19세기 경 인도 예술가의 과슈


이 용어는 페르시아 유대인, 부하라 유대인, 아프가니스탄 유대인, 그리고 다른 중앙아시아 유대인들 사이에서 공동체의 종교적 및/또는 세속적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국 카이펑에서 회당을 관리하는 역사적인 중국 유대인들을 "물라"라고 불렀다.

4. 현대적 용법

물라는 이란, 터키,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4], 동부 아라비아, 발칸반도 및 아프리카의 뿔과 같은 이슬람 세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종교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을 수 있는 마을 또는 이웃 모스크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마그레브와 같이 다른 지역에서는 ''이맘''과 같은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4]

우르두어로 자주 사용되며, 인도 아대륙에서는 시아파수니파 등 종파에 관계없이 울라마(이슬람 율법 학자)를 지칭하는 호칭으로 사용된다. 또한 러시아 및 구 소련 국가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아랍어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셰이크 (정식 이슬람교 지식을 갖춘 사람), 이맘 (지도자, 모범이 되어야 할 사람) 또는 울라마와 같은 단어가 사용된다. 수니파 세계에서는 "성직자"의 개념이 제한적이며, 종교 제도 내에서 권위가 비교적 분산되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이슬람교 성직자가 스스로를 물라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영어권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다. 이는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배하던 시대에 우르두어에서 영어로 차용되어 널리 퍼진 결과이다.

4. 1. 이란

물라는 이란에서 종교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을 수 있는 마을 또는 이웃 모스크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4] 20세기 초까지 이란에서 ''물라''는 세미나리에서 아슈라 이야기를 가르치거나 파트와를 발행하는 대신 전문적으로 말하는 하위 계층의 성직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시아파 성직자들 사이에서 ''루하니''(영적인)라는 용어가 물라와 ''아쿤드''의 대안으로 비하적인 함의 없이 홍보되었다.[13]

이 호칭은 주로 이란의 주류인 시아파 성직자에게 적용되는 호칭이다. 역사적으로 정치에 참여해 왔지만, 실제로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이란에서는 1979년 시아파 이슬람주의 세력이 권력을 획득하면서 부터이다.

4. 2.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에서 물라는 마드라사(이슬람 학교) 졸업생에게 주어지는 칭호이다. 이들은 모스크 지도자, 종교 학교 교사, 마을 또는 도시의 지역 판사, 종교 의식 수행 등을 담당한다.[5] 마드라사 학생으로 아직 졸업하지 않은 사람은 ''탈리브''라고 불린다. 1994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은 마드라사를 졸업했거나 다닌 남성들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스스로를 ''탈리반''(''탈리브''의 복수, "학생"을 의미)이라고 불렀다. 탈레반 지도자 중 다수가 ''물라'' 칭호를 받았지만, 모두 마드라사 교육을 마친 것은 아니었다.[5] 대학원 종교 교육을 마치면 더 높은 칭호인 마울라위를 받는다.[6]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종교적인 성향이 있는 사람을 통칭하는 데 물라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4. 3. 기타 지역

물라는 이란, 터키,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4], 동부 아라비아, 발칸반도 및 아프리카의 뿔과 같은 이슬람 세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종교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을 수 있는 마을 또는 이웃 모스크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마그레브에서 ''이맘''과 같은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4]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에서는 이 칭호가 마드라사 또는 이슬람 학교 졸업생에게 주어지며, 이들은 모스크 지도자, 종교 학교 교사, 마을 또는 도시의 지역 판사가 되거나 종교 의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직 마드라사 학생이고 졸업하지 않은 사람은 ''탈리브''이다. 1994년 아프간 탈레반은 마드라사를 졸업했거나 적어도 다닌 남성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탈리반'', 즉 ''탈리브''의 복수 또는 "학생"이라고 불렀다. 탈레반 지도자 중 다수는 ''물라''라는 칭호를 받았지만 모두 마드라사 교육을 마치지는 않았다.[5] 대학원 종교 교육을 마치면 더 높은 칭호인 마울라위를 받는다.[6]

이란에서는[12] 20세기 초까지, ''물라''라는 용어는 세미나리에서 아슈라 이야기를 가르치거나 파트와를 발행하는 대신 전문적으로 말하는 하위 계층의 성직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시아파 성직자들 사이에서 ''루하니''(영적인)라는 용어가 물라와 ''아쿤드''의 대안으로 비하적인 함의 없이 홍보되었다.[13] 이 호칭은 주로 이란의 주류인 시아파 성직자에게 적용되는 호칭이다. 또한, 파키스탄의 언어인 우르두어로 자주 사용되며, 인도 아대륙에서는 시아파수니파 등 종파에 관계없이 울라마 (이슬람 율법 학자)를 지칭하는 호칭으로 사용된다. 또한 러시아 및 구 소련 국가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아랍어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아랍어에서 비슷한 단어로는 셰이크 (정식 이슬람교 지식을 갖춘 사람을 의미), 이맘 (지도자, 모범이 되어야 할 사람을 의미, 시아파의 "최고 지도자"와는 다른 용법에 주의) 또는 울라마가 있다. 수니파 세계에서는 "성직자"의 개념이 제한적인 유용성만 가지며, 종교 제도 내에서 권위가 비교적 분산되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이슬람교 성직자가 스스로를 물라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영어권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다.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서 지배하던 시대에, 우르두어에서 영어로 차용되어 널리 퍼졌다.

물라는 역사적으로 정치에 참여해 왔지만, 실제로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이란에서는 1979년 시아파 이슬람주의 세력이,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90년대에 탄생한 탈레반 정권 하에서 정치적 권력을 획득했다.

5. 교육 및 의무

이상적으로 훈련된 물라는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이슬람 학문을 공부해야 한다.

분야내용
고전 아랍어
나흐우(Nahw)문법
사르프(Sarf)단어 형태론
발라가(Balaaghah)수사학
시르(Shi'r)
아다브(Adab)문학
타리크(Tarikh)역사
이슬람 율법(피크)
이슬람 전통(하디스)
아키다 (이슬람 신조)
만티크(Mantiq)논리학
일름 울 칼람(Ilm-ul-Kalaam)철학
꾸란
타사우프 (수피즘)



일부 물라는 위와 같은 기초 연구를 마친 후 특정 분야를 전공한다. 일반적인 전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이프타(Iftah) – 이 과정을 거치면 무프티 자격을 얻고 파트와 (법적 판결)를 내릴 수 있다.
  • 타카수스 필 하디스(Takhasus fil Hadith) – 하디스 연구 전공
  • 타카수스 필 아키다(Takhasus fil Aqidah) – 아키다 연구 전공


이러한 인물들은 종종 꾸란을 암송하며 역사적으로는 자신이 공부한 모든 책을 암송하곤 했다. 그러나 현대 시대에는 대신 각 분야의 기본 서적(암기를 돕기 위해 시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함)을 암송한다.

교육을 받지 못한 시골 주민들은 이슬람 교육을 덜 받은 문맹 무슬림을 "물라" 또는 종교 성직자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수준의 훈련을 받은 물라들은 모스크에서 기도를 인도하고, 종교 설교를 하며, 출생 의식 및 장례 의식과 같은 종교 의식을 수행한다. 또한 마드라사로 알려진 일종의 이슬람 학교에서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이슬람 텍스트(예: 꾸란, 하디스 등)를 샤리아, 즉 이슬람 율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해석할 때 세 가지 종류의 지식이 가장 자주 적용된다.

물라들은 정치에 자주 관여해 왔지만, 시아 이슬람주의 이란 혁명이 1979년 이란에서 권력을 잡은 이후에야 권력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6. 복장

물라의 복장은 보통 터번(عمامه|ammāmefa), 수단과 비슷한 소매와 단추가 달린 긴 코트(قبا|qabāfa), 앞이 트인 긴 로브 또는 망토(عبا|abāfa)로 구성된다. '아바'는 보통 갈색 양모 또는 검은 무명으로 만들어진다. 소매는 없지만 팔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시아파에서는 터번이 보통 흰색이지만, 전통적으로 무함마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검은 터번을 착용한다.[14] 수니파 물라들은 일반적으로 중립적인 색상의 터번을 착용하며, 일부 수피교도들은 녹색을 선호하는 색으로 선택한다.

물라들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7. 정치 참여

물라는 역사적으로 정치에 참여해 왔지만, 실제로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란에서는 1979년 시아파 이슬람주의 세력이,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90년대에 탄생한 탈레반 정권 하에서 정치적 권력을 획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slamic Mullah https://www.thoughtc[...] 2019-10-16
[2] 웹사이트 Rabbinic Succession in Bukhara 1790–1930 http://www.jewishgen[...]
[3] 서적 Chinese and Japanese repository of facts and events in science, history and art, relating to Eastern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s.n. 2011-07-06
[4] 서적 The Failure of Political Islam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Taliban Phenomenon: Afghanistan 1994–1997 https://books.google[...] OUP 1999
[6] 서적 My Life with the Taliban https://books.google[...] C. Hurst 2010
[7] 웹사이트 Words like Katuwa, Mullah, Atankwadi by BJP MP were also for global Muslim leaders too whom Modi hugs https://enewsroom.in[...] 2023-09-29
[8] 문서 1975, Area Handbook for Bangladesh, Page 117.
[9] 간행물 Authoritarian and Populist Influences in the New Media https://books.google[...]
[10] 간행물 Religion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1995
[11] 간행물 The Blasphemy Law https://books.google[...] 2017
[12] 문서 Algar 1987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Shi'i Islam Yale University Press 1985
[14] 웹사이트 Tarīkhche-ye Lebās-e Rūhānīat (The History of Clerical Dress) https://www.mehrnews[...] 1394
[15] 서적 The Failure of Political Islam Harvard University Press
[16] 문서 An Introduction to Shi'i Islam Yale University Press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