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타네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타네스주는 루손 해협에 위치한 바탄 제도로 구성된 필리핀의 최북단 주이다. 10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 약 190km 떨어진 곳에 타이완이 위치한다. 주도는 바스코이며, 6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뉜다.

지리적으로는 언덕과 산악 지형이 많고, 열대 기후를 보인다. 이바탄족이 거주하며, 이바탄어와 이바야텐어를 사용한다. 이 지역은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으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역사적으로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로 시작되었고, 스페인 식민 시대를 거쳐 미국 식민 시대를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에 점령되기도 했다.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며, 이바탄족의 문화 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타네스주 - 이바탄족
    이바탄족은 필리핀 바타네스 제도에 거주하며 대만, 루손섬 등과 연관성이 제시되는 민족으로, 바타네스 제도 기후에 적응한 주거 형태, 전통 의상, 아니투 숭배를 포함한 토착 신앙 등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바타네스주 - 마부리스섬
    마부리스섬은 필리핀 바타네스주에 속한 섬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타이완과 루손섬 사이에 위치하고, 필리핀 정부는 섬의 개발과 안보 강화를 위해 여러 시설을 건설하고 대만 유사시에 대비한 민간 항구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 카가얀밸리 지방 - 카가얀주
    필리핀 루손섬 북동부에 위치한 카가얀주는 풍부한 선사 시대 문명과 카가얀강을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2023년 미군 기지 건설 발표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 카가얀밸리 지방 - 이사벨라주
    이사벨라주는 필리핀 루손섬 카가얀 밸리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왕령에 의해 1856년 설립되었으며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하고, 옥수수와 쌀 생산량이 높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풍부한 산림 자원과 어장을 보유하고 있고, 일라간 시를 주도로 34개의 지방 자치 단체, 2개의 구성 도시 및 1개의 독립 구성 도시로 나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바타네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사방 바타네스
사방 바타네스
바타네스 사방 섬의 차바얀
바타네스 사방 섬의 차바얀
이라야 산
이라야 산
필리핀 바타네스 섬의 푼다시온 파시타
필리핀 바타네스 섬의 푼다시온 파시타
바타네스 언덕
바타네스 언덕
바람의 섬 바타네스
바탄 섬 해안의 바위 절벽
설명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대로 사방 섬의 등대, 사방의 차바얀 해변, 이라야 산, 바탄 섬, 마하타오의 말보로 컨트리 및 바탄 섬의 해안 바위 절벽.
기본 정보
이름바타네스
원어 이름 (이바탄어)Provinsiya nu Batanes
원어 이름 (필리핀어)Lalawigan ng Batanes
로마자 표기Batanes
위치필리핀 내 위치
국가필리핀
지역카가얀 밸리 지방
설립일1783년 6월 26일
중심지바스코
면적203.22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81 / 81위
해발고도 (최고)1,009 미터
해발고도 (최고 지점)이라야 산
인구 (2020년)17,246 명
인구 추정 (2020년)17,875 명
인구 순위81 / 81위
인구 밀도auto
인구 밀도 순위73 / 81위
행정 구역독립 도시: 0
구성 도시: 0
자치체: 6
바랑가이: 29
선거구: 바타네스 선거구
언어이바탄어
이트바야텐어
이사무롱엔어
일로카노어
타갈로그어
영어
시간대PHT
UTC 오프셋+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가아름다운 바타네스 제도
정치
주지사마릴루 카이코 (PFP)
부주지사이그나시오 C. 빌라 (LP)
입법부바타네스 지방 의회

2. 지리

바타네스주는 루손 해협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219.01km2이다. 타이완에서 약 190km 남쪽에 위치하며, 10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바탄섬, 이바야트섬, 삽탕섬만이 사람이 거주하는 유인도이다.

필리핀 최북단 섬인 마불리스섬(야미 섬)을 비롯하여 미상가(또는 노스 섬), 디타렘, 시안섬, 디오고섬(디넴 섬), 이부호스섬, 데케이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루손 화산호의 일부이다.

바타네스 주의 거의 절반은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탄섬은 북부와 남동부에 산악 지형을 가지며, 섬 내부에 분지가 있다. 이바야트섬은 서쪽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며, 북부와 동부 해안을 따라 산악 지형과 언덕 지형을 가진다. 삽탕섬은 산들이 중앙 부분을 덮고 있어 섬이 해안 쪽으로 경사져 있다.

이 섬들은 바시 해협과 발린탕 해협 사이의 넓은 해역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태평양과 남중국해가 만난다. 이 지역은 필리핀, 일본, 중국, 홍콩, 타이완 사이의 해상 항로이며,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바다 산호를 포함하여 풍부한 해양 자원을 가지고 있다.

바타네스 주는 언덕과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평평하거나 완만한 지형은 전체 면적의 7.1%(1631.5ha)에 불과하다. 78.2%는 구릉 지대에서 가파르고 매우 가파른 지형까지 다양하며, 42%는 가파르거나 매우 가파른 토지이다. 이러한 지형 특성상 배수가 잘 이루어져 장기간의 홍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바탄 섬은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한 토지를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바야트와 사방이 그 뒤를 잇는다. 이바야트는 완만하게 구르는 언덕과 20m에서 70m 높이의 절벽으로 둘러싸인 반 고원 지대에 거의 평평한 지역이 있으며, 해안선은 없다. 삽탕은 해안에 작은 평평한 지역이 드문드문 있으며, 내륙은 가파른 산과 깊은 협곡이 대부분이다. 바탄 섬과 삽탕에는 모래 해변과 바위 해안선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바타네스 언덕


바타네스 석조 주택

2. 1. 기후

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Am'')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6°C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22°C에서 7월 28.5°C 사이로, 대만 남부와 유사하다. 연중 강수량이 풍부하다. 강우량이 가장 많은 달은 8월이고, 가장 건조한 달은 4월이다. 11월부터 2월까지가 가장 추운 달이다.

바타네스는 필리핀 최북단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를 보유하고 있어 필리핀 지역으로 진입하는 모든 태풍의 기준점이 되기 때문에 태풍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된다. 따라서 바타네스가 항상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는 오해가 있다. 2016년 9월, 태풍 므란티가 이바야트에 상륙하면서 이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23]

2. 2. 행정 구역

바타네스 주는 6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 단일 하원 선거구에 속한다. 바타네스 주는 총 29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주도는 바스코이다.

지방 자치체인구 (2020년)면적 (km2)인구 밀도 (/km2)바랑가이 수
바스코9,51733.67km22806
이타바야트3,12883.13km2385
이바나1,40716.54km2854
마하타오1,70312.9km21304
삽탕1,69640.7km2426
우유간1,38016.28km2854


3. 역사

1969년 대통령 선거 당시 바타네스에서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동맹인 루피노 안토니오 주니어를 바타네스 단독 선거구의 필리핀 하원 대표로 만들기 위해 "스즈키 보이즈"라는 오토바이를 탄 폭력배들이 공포와 협박을 일삼았고, 필리핀 경찰 특수부대는 이를 방관했다.[17] 이에 필리핀 대법원은 "민주주의 유린"을 비난하며 1970년 안토니오의 승리를 무효화하고 호르헤 아바드에게 의원직을 넘겨주었다.[17]

1993년 바타네스는 보호 경관 및 해경관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필리핀 잠정 목록에 포함되었다.[19] 1997년 필리핀 의회에서 원주민 권리법(IPRA)이 통과되어 이바탄족의 원주민 영토 권리 주장이 가능해졌다.[20]

3. 1. 초기 역사

오늘날 이바탄의 조상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후손으로, 신석기 시대인 4,000년 전에 이 섬으로 이주해 왔다.[3][4][5][6] 이들은 이드장이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산악 지역에 살았으며 사탕수수로 만든 와인인 ''팔렉''을 마셨다. 금을 화폐로 사용했으며 농사를 지었다. 또한, 항해자이자 배 건조 기술자였다. 바타네스는 해상 옥로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이는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운영된 선사 시대 세계에서 단일 지질 물질을 기반으로 한 가장 광범위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 중 하나였다.[3][4][5][6]

3. 2. 스페인 식민 시대

1687년, 영국의 탐험가이자 사략선 선원이며 박물학자인 윌리엄 댐피어가 이 섬들을 방문하여 저명한 네덜란드와 영국의 인물들을 기려 이름을 지었다. 이타바야트는 오렌지의 윌리엄을 기려 "오렌지 섬"으로, 바탄은 그래프턴 섬으로, 사브탕 섬은 몬머스 섬으로 명명되었다.[7]

1783년, 스페인은 총독 호세 바스코 이 바르가스의 통치 하에 필리핀의 일부로 바타네스를 주장했다. 바타네스는 ''카가얀 주''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바시 해협은 잉글리시 동인도 회사의 선박에 의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고, 스페인 당국은 영국 통제 하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섬들을 직접 행정 관할 하에 두었다.[8] 이바탄족은 한동안 그들의 ''이드장'' 요새-성채에 남아 있었다. 1790년, 이바탄족이 저지대에 거주하고 그들의 외딴 ''이드장''을 떠나도록 포고했다. 영웅 아만 단갓을 중심으로 한 망푸스, 즉 토착 이바탄 지도자들이 스페인 침략자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9]

스페인은 총기를 사용하여 혁명을 종식시키고 아만 단갓과 다른 여러 이바탄 지도자들을 살해했다.[9] 바스코와 이바나는 스페인의 완전한 통제 하에 세워진 최초의 마을이었다. 마하타오는 바스코가, 우유간과 사브탕은 이바나가 관할했다. 이타바야트는 1850년대까지 정비되지 않았으며, 해안은 능선이었다. 곧 일로카노인들이 섬으로 와서 지역 주민들과 통합되었다.

이 시기에 도로, 항구, 다리, 교회 및 정부 건물이 건설되었다. 스페인이 사용한 석회암 기술이 섬으로 퍼져 다리가 튼튼해지고 강화되었다. 이 다리 중 일부는 여전히 이바나와 마하타오에 남아 있다. 1890년까지 많은 이바탄족이 마닐라에 있었고, ''일루스트라도스''가 되어 카티푸난의 혁명 사상을 고향으로 가져왔다. 당시 스페인 통치에 불만을 품었던 이 이바탄족은 통치자 포르테아 장군을 살해하고 스페인 통치의 종식을 선언했다.

3. 3. 미국 식민 시대

1909년, 미국 당국은 법률 제1952호의 승인을 통해 바타네스를 독립적인 주로 조직했다.[13] 미국 식민지 시대에는 공립 학교가 건설되었고, 이바탄족은 필리핀 내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더 잘 인식하게 되었다.

1920년에는 최초의 무선 전신이 설치되었고, 1930년에는 비행장이 건설되었다. 새로운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바타네스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3. 4. 일본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바타네스 제도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일본 제국군에 의해 점령된 최초의 지점 중 하나였다.[14] 1941년 12월 8일 아침, 대만에서 온 바탄 특임대가 바탄 제도에 상륙했으며, 이곳은 일본에 의해 점령된 최초의 미국 영토가 되었다. 바스코 외곽의 작은 비행장을 확보하기 위한 침략 목적은 저항 없이 달성되었다. 바스코에서 온 일본 전투기는 다음 날 클라크 공군 기지를 급습하는 데 참여했다. 며칠 동안 클라크 비행장에 대한 일본군의 폭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바스코 기지는 불필요해졌고, 1941년 12월 10일 해군 전투 부대는 철수하여 카미긴 섬 침공에 참여했다.

1942년부터 1944년까지 바타네스 주는 행정 개편의 일환으로 카가얀 주의 자치구로 격하되었다.[15][16] 1945년 초, 필리핀 연방군 제1 및 제12 보병 사단에 의해 섬이 해방되었다.

3. 5. 필리핀 독립

1969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바타네스는 정치적 폭력에 시달렸다. 당시 필리핀 경찰 특수부대는 "스즈키 보이즈"라는 오토바이를 탄 폭력배들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동맹인 루피노 안토니오 주니어를 바타네스 단독 선거구의 필리핀 하원 대표로 만들기 위해 공포와 협박 캠페인을 벌이는 것을 허용했다. 그 결과, 항의가 빗발치자 필리핀 대법원은 이 지역의 "민주주의 유린"을 비난하고 1970년 안토니오의 승리를 그의 경쟁자인 호르헤 아바드에게 무효화했다.[17]

1993년에는 바타네스 보호 경관 및 해경관이 지정되었고, 이는 미래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필리핀 잠정 목록에 포함되었다.[19]

1997년, 필리핀 의회에서 원주민 권리법(IPRA)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이바탄족의 원주민 영토 권리를 위한 길을 열었다.[20]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바타네스주의 인구는 18,831명이었다.

원주민은 이바탄족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바부얀 제도의 바부얀 섬과 오키드 섬의 타오족과 선사 시대의 문화적, 언어적 공통점을 공유한다.

바타네스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바탄과 삽탕 섬에서 사용되는 이바탄어이다. 이바야텐어는 주로 이바야트 섬에서 사용된다. 이 지방에서 우세한 이바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 하나로 간주된다.[24] 대학 수준부터 초등학교 수준까지 이 언어가 널리 사용된다. 이바탄족은 일로카노어(북부 루손의 ''공용어''), 필리핀어영어를 널리 사용하고 이해한다.

5. 경제

이바탄 주민의 약 75%는 농부와 어부이며, 나머지는 정부 및 서비스 부문에 종사한다. 마늘는 주요 현금 작물이다. 이바탄족은 고구마, 카사바, 토란 및 독특한 종류의 흰색 우비를 재배한다. 사탕수수는 일종의 토착 와인과 식초인 "팔렉"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28]

최근 기술 부족으로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고용 기회가 부족하여 교육받은 이바탄족의 대부분은 도시 중심지로 이주하거나 해외로 나갔다. 2004년에는 풍력 디젤 발전소가 가동되었다.

거리와 악천후는 경제 성장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 청량 음료, 휘발유와 같은 특정 상품은 마닐라 소매 가격보다 75%에서 100% 더 비싸다.

5. 1.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바타네스주의 빈곤율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30]

6. 생태

바타네스 주는 독특한 구과 식물 종인 ''Podocarpus costalis''의 서식지이다. 이 종은 루손, 카탄두아네스 해안 및 심지어 타이완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도 자란다고 보고되었지만, 완전한 개화와 결실은 바타네스에서만 관찰된다. 섬에서의 결실 능력은 여전히 미스터리이지만, 기후, 토양 및 섬의 기질 유형과 같은 여러 요인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종의 조류, 박쥐, 파충류 및 양서류가 이 섬에 서식한다. 이 중 많은 종이 필리핀 고유종이다. 이 섬은 철새들이 북반구에서 겨울을 나는 동안의 조류 보호 구역이다. 바타네스 군도는 인근 바부얀 제도와 함께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타이완 녹색 비둘기, 류큐 수리부엉이 및 짧은 볏 제비나비, 통과하는 중국 해오라기, 겨울을 나는 노랑 멧새의 상당한 개체 수를 지원하기 때문이다.[27]

7. 교통

바타네스 주는 바스코 공항과 이타바야트 공항을 통해 항공편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필리핀 항공마닐라에서 바탄 섬의 바스코 공항으로 매일 항공편을 운항하며, 2024년 기준으로 스카이 파사다는 투게가라오 시(카가얀 주)에서 항공편을 운항한다. 이 두 항공사는 바탄 섬을 본토에서 항공편으로 접근 가능하게 한다. 이전에는 다른 지역 항공사들도 바스코 공항에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운항을 중단했다. 2024년 기준으로, PAL 익스프레스는 2013년 5월부터 바타네스로 운항하고 있다. 바타네스 주의 섬 자치구인 이타바야트는 바스코 공항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본토에서 이타바야트로 가는 직항편은 없다. 이타바야트는 바스코에서 페리선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한편, 이타바야트와 마찬가지로 섬 자치구인 삽탕은 바탄 섬의 이바나 항구에서 페리선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8. 문화

이바탄족은 필리핀에서 가장 평등주의적인 사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문화적 가치는 자연과 모든 사람을 존중하는 식민지 이전 신념 체계에서 비롯되었다. 이바탄족은 노인과 젊은 세대 모두에서 국내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가장 높다.

이바탄족은 노인뿐만 아니라 파도, 바닷바람, 번개, 천둥, 지진, 야생 동물 무리와 같은 자연 현상의 위대함에 대해서도 높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피부색, 민족적 기원, 성적 지향, 성 정체성, 나이 및 자연에 대한 전통을 근거로 누군가를 차별하는 것은 이바탄의 가치관에서 용납되지 않는다. 토지 강탈은 이바탄 사회에서 심각한 범죄이며, 원주민 권리법(IPRA법)이 제정된 이후 조상 토지 인증은 이바탄 법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3]

8. 1. 유산

바타네스 주 전체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 등재를 위한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3] 필리핀 정부는 2001년부터 박물관 건립과 보존 프로그램을 통해 유적 등재를 마무리하고 있다.[3] 2012년에는 이바탄의 무형 유산 7가지가 필리핀 정부의 초기 목록에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되기 위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3]

8. 1. 1. 유형 유산


  • '''사브탕 섬'''은 가파른 산과 깊은 협곡, 백사장이 특징이다. 바탄 섬 남서쪽에 위치하며, 이바나의 라디완 항구에서 배를 타면 닿을 수 있다.
  • '''이타바야트 섬'''은 거대한 바위와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선이 없다. 바탄 섬 북쪽에 위치하며, 경비행기나 배를 이용하여 갈 수 있다.
  • '''바탄 섬'''은 바스코, 이바나, 우유간, 마하타오의 4개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인 바스코를 포함하여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이다.
  • '''이라야 산'''은 높이 1517m의 휴화산으로, 등산, 트레킹, 길찾기에 적합하다.
  • '''마불리스 섬'''은 필리핀 최북단 섬으로, 날씨가 맑은 날에는 대만을 볼 수 있다.
  • '''디-아타이 해변'''은 다채로운 바위와 백사장이 있는 만이다.
  • '''송송'''은 아름다운 일몰 풍경으로 유명하다.
  • '''나이디 언덕'''은 바스코에서 도보 거리에 있다.
  • '''차와 동굴'''은 자연 소금층이 있는 동굴이다.
  • '''라쿠자-이데'''는 어부 마을로, 카파이바누바 축제가 열린다.
  • '''나카부앙 동굴'''은 사브탕에 위치한 동굴이다.
  • '''마타렘 산'''은 해발 495m의 사화산이다.
  • '''화이트 비치'''는 마하타오에 위치한 해변이다.
  • '''폭풍 방지 돌집'''은 재해에 대한 이바탄족의 힘과 탄력성을 상징한다.
  • '''레이더 투콘'''은 미국의 기상 관측소였던 곳으로, 현재는 필리핀 최북단의 기상 관측소이다.
  • '''올드 로란 기지'''는 미국 해안 경비대 주둔지였다.
  • '''송송 유적지'''는 해일 이후 버려진 돌집들이 모여 있는 유령 바랑가이이다.
  • '''산 호세 교회'''는 이바나에 위치한 교회로, 성벽과 같은 모양의 종탑이 있다.
  • '''카니우얀 해변 & 항구'''는 마닐라에서 물품을 운송하는 화물선의 기항지이다.
  • '''산 카를로스 보로메오 교회'''는 마하타오에 위치한 교회로, 수백 년 된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 '''이디앙'''은 원주민 이바탄족의 조상들이 방어 목적으로 사용했던 요새화된 돌 요새이다.
  • '''푼다시온 파시타'''는 이바탄 시각 예술가 파시타 아바드가 소유했던 곳으로, 현재는 숙박 시설과 레스토랑으로 운영된다.
  • '''라디완 포인트'''는 카티푸네로스가 상륙한 곳이며, 사브탕 섬과 이트바야트 섬으로 가는 페리 정류장이다.

8. 1. 2. 무형 유산

2012년,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NCCA)와 유네스코의 ICHCAP는 ''Pinagmulan: Enumeration from the Philippine Invento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를 출판했다.[29]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은 이 책의 초판에는 필리핀 무형 문화 유산으로서 중요성을 보여주는 다음 목록이 포함되어 있었다.[29]

번호무형 유산
1Laji (전통 서정시)
2Kapayvanuvanuwa 낚시 의례
3Kapangdeng 의례
4바타네스의 전통 배
5Sinadumparan Ivatan 가옥 유형
6Ivatan 바구니 세공
7Ivatan (Salakot) 모자 짜기



바타네스 지방 정부는 NCCA와 협력하여 이 7가지 독특한 요소를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할 권한을 가진다.[29]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20-03-05
[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08-27
[3]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4]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5]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6] 간행물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7] 서적 4000 Years of Migration and Cultural Exchange ANU Press
[8] 간행물 The Eastern Passage and Its Impact on Spanish Policy in the Philippines, 1758–1790 1985
[9] 서적 The Philippine Revolution and Beyond: Papers from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entennial of the 1896 Philippin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hilippine Centennial Commission,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1998
[10] 웹사이트 Bashi Strait: a lesson in geography https://www.taipeiti[...] 2004-09-23
[11] 웹사이트 Batan isles have never been part of Philippines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3-05-25
[12] 학술지 The Pending Territorial Sovereignty of the Batanes Islands: A Taiwan Perspective https://www.worldsci[...] 2021-09
[13] 법률 An Act to Provid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e of Batanes; to Amend Paragraph Seven of Section Sixty-eight of Act Numbered Eleven Hundred and Eighty-nine in Certain Particulars; to Authorize the Provincial Board of the Province of Batanes, With the Approval of the Governor-General, to Extend the Time for the Payment Without Penalty of Taxes and Licenses; to Amend Section Five of Act Numbered Fifteen Hundred and Eighty-two, Entitled "the Election Law,"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elegates to the Philippine Assembly to Eighty-one, and for Other Purposes https://elibrary.jud[...] 1909-05-20
[14] 웹사이트 The First Landings http://www.ibiblio.o[...] 2014-03-18
[15] 서적 Official Gazette Philippines, 1942 https://books.google[...] 1942-08-31
[16] 문서
[17] 웹사이트 Blood and money, not gold and honey, birthed Solid North https://www.rappler.[...] 2022-06-26
[18] 웹사이트 Pacita Abad: Woman of Color https://www.pacitaab[...]
[19] 웹사이트 Batanes Protected landscapes and seascapes https://whc.unesco.o[...]
[20] 웹사이트 Pacita Abad Biography – Pacita Abad on artnet http://www.artnet.co[...]
[21] 뉴스 Manila's weak claim to the Batanes https://www.taipeiti[...] 2007-12-23
[22] 학술지 The Eastern Passage and Its Impact on Spanish Policy in the Philippines, 1758-1790 http://www.jstor.org[...]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3] 뉴스 Eye of typhoon Meranti passes over Philippines' Itbayat http://www.channelne[...] 2016-09-14
[24] 웹사이트 www.BatanesOnline.com http://www.bataneson[...]
[25] 웹사이트 Final Report Batanes Biodiversity Survey http://www.quantum-c[...]
[26]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 Tentative Lists https://whc.unesco.o[...]
[27] 웹사이트 Batanes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
[28] 웹사이트 Vinegar https://www.hsph.har[...] 2017-12-13
[29] 웹사이트 ICHCAP - e-Knowledge Center http://www.ichcap.or[...]
[3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1] 문서 2000
[32] 문서 2003
[33] 문서 2006
[34] 문서 2012
[35] 문서 2015
[36] 간행물 위키데이터 2018
[37] 간행물 위키데이터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