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할라 (독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할라 (독일)는 독일 바이에른주 레겐스부르크 인근 도나우강변에 위치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독일의 위인들을 기리기 위해 바이에른 왕국의 루트비히 1세에 의해 건립되었다. 1842년 10월 18일에 낙성되었으며, 북유럽 신화의 발할라를 모티브로 하여 전사뿐 아니라 과학자, 예술가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기리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발할라에는 흉상과 명판이 전시되어 있으며, 독일어권 출신 인물 외에도 독일 문화에 기여한 다양한 국적의 인물들이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버팔츠현 - 피히텔산맥
    피히텔산맥은 독일과 체코에 걸쳐 있는 말굽 모양의 산맥으로, 독일의 중요한 수계 지역이자 유럽의 분수령을 이루며, 다양한 관광 활동과 지질학 연구의 중심지이다.
  • 1842년 완공된 건축물 - 마들렌 사원
    마들렌 사원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교회로, 프랑스 혁명으로 건설이 중단되었다가 가톨릭 교회로 최종 결정되어 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1842년에 완공되었으며, 52개의 코린트식 기둥이 외관을 둘러싸고 쥘-클로드 지글러의 프레스코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과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어 있다.
  • 독일의 기념물 - 플로센부르크 강제 수용소
    플로센부르크 강제 수용소는 나치 독일이 "비사회적" 개인과 "범죄자"의 노예 노동력 착취를 목적으로 1938년에 설립한 수용소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군수 물자 생산에 수감자들을 강제 동원하며 수많은 사망자를 낳았고, 연합군에 의해 해방된 후 기념관으로 운영 중이다.
  • 독일의 기념물 - 전승기념비 (라이프치히)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전승기념비는 독일 통일 염원과 민족주의 열망을 상징하며, 나치 시대와 동독 시대를 거쳐 현재는 관광 명소로 보존되고 있다.
발할라 (독일)

2. 역사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 제1제정에 의해 라인강북해를 따라 독일 지역이 병합되어, 라인 동맹이 결성되자 독일 제후들은 나폴레옹 측에 섰다. 그 결과 황제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을 정식으로 해체하고, 스스로는 오스트리아 황제가 되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과 나폴레옹 측과의 전투에서 독일은 양 진영으로 나뉘어 싸웠고, 다시 나폴레옹이 승리했다.

1807년, 새롭게 나폴레옹에게 중용된 바이에른 왕국의 20세 황태자 루트비히 1세는, 모든 독일 민족에게 독일의 위인들과 역사적 공유 재산을 상기시키고 싶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 그는 여러 조각가들에게 그가 선택한 저명인사들의 흉상을 조각하도록 했다. 1807년에 처음 완성된 흉상 중 하나가 요한 고트프리트 샤도우가 제작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흉상이다. 또한 조언을 얻기 위해 1808년에는 스위스의 역사가 요하네스 폰 뮐러와 접촉했다.

루트비히 1세가 1825년에 즉위식을 마치고 왕이 되었을 때에는, 60개의 흉상이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 1826년, 그는 레겐스부르크 근처 도나우강을 따라 솟은 언덕에 아테네파르테논 신전을 본뜬 신전 건설을 의뢰했다. 남쪽 페디먼트에는 1815년 독일 연방 결성을 묘사한 프리즈가, 북쪽에는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를 묘사한 프리즈가 있다.[2]

1842년 10월 18일 발할라 신전 낙성 당시, 96개의 흉상과 흉상을 조각할 초상 자료가 없는 인물이나 사건을 기록한 64개의 명판이 안치되어 있었다. "독일어를 말하는" 인물일 것이 선정 기준이었기 때문에, 현재의 스웨덴,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영국, 네덜란드, 러시아, 스위스, 발트 3국 출신자나 그들 국가에서 활약한 사람들도 포함되었다.

북유럽 신화의 발할라가 전사의 영혼의 관이었던 것과는 달리, 루트비히의 발할라 신전은 전사뿐만 아니라 과학자, 저술가, 성직자도 포함하여, 특히 남녀의 구분 없이 기리고 있다. 1871년 독일 제국이 성립되기 수십 년 전, "독일인"은 게르만족과 동의어였기 때문에, 고트족, 랑고바르드족, 앵글로색슨족, 네덜란드인, 스위스계 독일인 등도 포함되었으며, 독일 이외의 지역에서 활약한 인물도 포함되었다.

1853년, 뮌헨에 바이에른인 전용의 전당 루메스할레가 건설되었다. 이곳에 기려진 9명은, 후에 발할라 신전에도 기려졌다. 그 때문에, 루메스할레에 있던 흉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에 파괴되었지만, 재건되지 않았다. 그 대신 그들의 이름을 기록한 명판으로, 흉상이 발할라 신전에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게다가 루트비히 1세는 해방 기념관 등의 기념물도 건설하게 했으며, 자신도 발할라와 루메스할레 양쪽에 기려지고 있다.

2. 1. 건립 배경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 제1 제정에 의해 라인강북해를 따라 독일 지역이 병합되어 라인 동맹이 결성되자 독일 제후들은 나폴레옹 측에 섰다. 그 결과 황제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을 정식으로 해체하고, 스스로는 오스트리아 황제가 되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과 나폴레옹 측과의 전투에서 독일은 양 진영으로 나뉘어 싸웠고, 다시 나폴레옹이 승리했다.

1807년, 새롭게 나폴레옹에게 중용된 바이에른 왕국의 20세 황태자 루트비히 1세는, 모든 독일 민족에게 독일의 위인들과 역사적 공유 재산을 상기시키고 싶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 그는 여러 조각가들에게 그가 선택한 저명인사들의 흉상을 조각하도록 했다. 1807년에 처음 완성된 흉상 중 하나가 요한 고트프리트 샤도우가 제작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흉상이다. 또한 조언을 얻기 위해 1808년에는 스위스의 역사가 요하네스 폰 뮐러와 접촉했다.

루트비히 1세가 1825년에 즉위식을 마치고 왕이 되었을 때에는, 60개의 흉상이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 1826년, 그는 레겐스부르크 근처 도나우강을 따라 솟은 언덕에 아테네파르테논 신전을 본뜬 신전 건설을 의뢰했다. 남쪽 페디먼트에는 1815년 독일 연방 결성을 묘사한 프리즈가, 북쪽에는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를 묘사한 프리즈가 있다.[2]

1842년 10월 18일 발할라 신전 낙성 당시, 96개의 흉상과 흉상을 조각할 초상 자료가 없는 인물이나 사건을 기록한 64개의 명판이 안치되어 있었다. "독일어를 말하는" 인물일 것이 선정 기준이었기 때문에, 현재의 스웨덴,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영국, 네덜란드, 러시아, 스위스, 발트 3국 출신자나 그들 국가에서 활약한 사람들도 포함되었다.

북유럽 신화의 발할라가 전사의 영혼의 관이었던 것과는 달리, 루트비히의 발할라 신전은 전사뿐만 아니라 과학자, 저술가, 성직자도 포함하여, 특히 남녀의 구분 없이 기리고 있다. 1871년 독일 제국이 성립되기 수십 년 전, "독일인"은 게르만족과 동의어였기 때문에, 고트족, 랑고바르드족, 앵글로색슨족, 네덜란드인, 스위스계 독일인 등도 포함되었으며, 독일 이외의 지역에서 활약한 인물도 포함되었다.

1853년, 뮌헨에 바이에른인 전용의 전당 루메스할레가 건설되었다. 이곳에 기려진 9명은, 후에 발할라 신전에도 기려졌다. 그 때문에, 루메스할레에 있던 흉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에 파괴되었지만, 재건되지 않았다. 그 대신 그들의 이름을 기록한 명판으로, 흉상이 발할라 신전에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게다가 루트비히 1세는 해방 기념관 등의 기념물도 건설하게 했으며, 자신도 발할라와 루메스할레 양쪽에 기려지고 있다.

2. 2. 설계 및 건축

2. 3. 초기 헌액 인물

2. 4. 20세기 이후의 변화

3. 헌액 인물

3. 1. 흉상

발할라에는 여러 인물들의 흉상이 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독일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흉상은 각 인물의 사망 날짜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원래는 876년에 태어난 하인리히 1세부터 1832년에 사망한 괴테까지 전시되어 있었다. 1842년 개관 당시에는 총 96개의 흉상이 두 줄로, 연대순(사망 연도순)으로 배치되었다.[13] 윗줄에는 하인리히 1세부터 마리아 테레지아까지 총 70개의 흉상이, 아랫줄에는 레싱부터 괴테까지 근대 학자들의 26개의 흉상이 배치되었다.

[[File:Walhalla Halle5.jpg|thumb|위쪽 줄: 프리드리히 1세, 사자공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2세 "Stupor Mundi", 루돌프 1세 폰 합스부르크

아래쪽 줄: 에른스트 기데온 폰 라우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

유스투스 뫼저,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

루트비히 판 베토벤 (No. 65)


[[파일:Walhalla Säulen.jpg|thumb|발할라 신전의 열주]

3. 1. 1. 루트비히 1세 이전 헌액 흉상


  • 사냥꾼 하인리히 - 작센 공작이자 독일 왕 (1809)[13]
  • 오토 1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샤도우, 1809)
  • 프리드리히 1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슈반탈러, 1838)
  • 사자 하인리히 - 작센 및 바이에른 공작 (샤도우, 1811)
  • 프리드리히 2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티크, 1814)
  • 루돌프 1세 - 합스부르크의 루돌프 1세 (티크, 1832)
  • 에르빈 폰 슈타인바흐 -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건축가 (오마흐트, 1811)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활자 발명가 (마티아, 1835)
  • 얀 반 에이크 - 플랑드르 화가 (티크, 1817–1842)
  • 레기오몬타누스 (1476년 사망) -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로소우, 1842)
  • 한스 멤링 - 플랑드르 화가 (볼트렉, 1841)
  • 한스 폰 할빌 - 모라 전투의 스위스 사령관 (크리스텐, 1812)
  • 막시밀리안 1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P. 카우프만, 1811)
  • 요한 로이클린 - 독일 철학자이자 인문주의자 (임호프, 1835)
  • 울리히 폰 후텐 - 독일 기사이자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키르히마이어, 1811)
  • 알브레히트 뒤러 - 판화가이자 화가 (라흐, 1837)
  • 페터 피셔 - 독일 조각가 (F. 뮐러, 1839)
  • 요하네스 아벤티누스 (요한 게오르크 투르마이어) - 바이에른 학자이자 역사가 (호르슐러, 1841)
  • 에라스뮈스 - 네덜란드 인문주의자 (티크, 1813)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천문학자 (샤도우, 1807)[13]
  • 한스 홀바인 - 독일 화가 (로소우, 1840)
  • 아우구스투스 2세 - 작센 선제후이자 폴란드 국왕 (리체, 1840)
  • 요하네스 케플러 -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쇱프, 1842)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철학자이자 수학자 (샤도우, 1808)
  • 마르틴 루터 (1848) - 종교 개혁의 지도자, 독일어 성경 번역자

3. 1. 2. 루트비히 1세 이후 헌액 흉상

마르틴 루터종교 개혁 지도자로,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였다.[14] 요제프 라데츠키는 보헤미아 출신 군 사령관이다. 그레고어 요한 멘델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수사로, 유전학의 선구자이다. 빌헬름 1세는 독일 황제였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북독일 연방 수상이었고, 이후 독일 제국 재상을 역임했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오페라 작곡가였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작곡가이다. 프란츠 슈베르트는 오스트리아의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안톤 브루크너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였다. 막스 레거는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였다.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는 원수였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작곡가이다.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작곡가였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물리학자이다. 카롤리나 게르하르딩거는 노트르담 교육 수녀회 창립자이다. 콘라트 아데나워서독 초대 총리를 지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작곡가이다. 조피 숄나치 독일에 비폭력적으로 저항한 여성이다.[14]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수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였다. 에디트 슈타인은 철학자이자 성인이다. 하인리히 하이네는 시인이다.

3. 2. 명판



기념 명판은 조각상 모델을 만들 초상화나 설명이 없는 인물(또는 행위)을 위해 제작되었다. 연대기는 기원전 17년에 태어난 아르미니우스부터 1542년에 사망한 시계 제작자 페터 헨라인까지 이어진다. 2003년에는 나치 독일에 저항한 독일 저항 운동을 기념하는 명판이 추가되었다.

명판은 총 65개로, 1번부터 64번까지는 위쪽 줄과 아래쪽 줄에 차례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명판에는 해당 인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사망 연도가 로마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65번째 명판은 나치 독일에 저항한 저항을 기리기 위해 2003년에 추가되었다.

명판에 헌액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아르미니우스: 기원후 9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승리한 케루스키족의 지도자
  • 알라리크 1세: 서고트족의 왕
  • 성 보니파시오: 주교이자 성인
  • 샤를마뉴: 로마 황제
  • 익명의 니벨룽의 노래 시인
  • 저항: 나치 독일에 저항한 독일인 레지스탕스


이 외에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알보이노, 알프레드 대왕, 알쿠인, 아르눌프, 베다 베네라빌리스, 클로비스 1세, 에그버트, 아인하르트, 엘제베트, 프리티게른, 프리드리히 3세, 가이세리크, 하인리히 3세, 에르마나리크, 헤르만 폰 잘차, 힐데가르트 폰 빙겐, 로스비타, 카를 마르텔, 람브레흐트 폰 아샤펜부르크, 레오폴트 6세, 마르보두스, 오도아케르, 오토 2세, 프라이징 주교 오토, 오토 1세, 피핀 2세, 피핀 3세, 테오델린데, 테오도리크 1세, 테오도리크 대왕, 토티라, 울필라스,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파울루스 디아코누스, 비두킨트, 볼프람 폰 에셴바흐 등 다양한 인물들이 명판에 헌액되어 있다.

4. 건축적 특징

4. 1. 외관

4. 2. 내부

5. 한국과의 관계

5. 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

6. 현대적 의의

6. 1. 문화적 상징성

6. 2. 역사 교육

참조

[1] 간행물 Official Guide booklet 2002
[2] 간행물 Official Guide booklet 2002
[3] 웹사이트 German States BAVARIA 2 Thaler KM# 811 1842 https://www.ngccoin.[...]
[4] 웹사이트 Institute of Bavarian History https://www.hdbg.eu/[...]
[5] 서적 Hitlers Nibelungen Samples Grafenau 2015
[6] 논문 2011
[7] 뉴스 Max-Planck-Büste neu in der Walhalla https://www.welt.de/[...] Welt 2022-07-15
[8] 논문 2011
[9] 웹사이트 Gauß in die Walhalla! http://www.stmwfk.ba[...] 2023-11-24
[10] 문서
[11] 간행물 Official Guide booklet 2002
[12] 간행물 Official Guide booklet 2002
[13] 간행물 Official Guide booklet 2002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