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고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완전 고용은 근로자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일하지 못하거나, 기술 및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직무에 종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시간 부족, 기술 불일치,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개인의 기술 쇠퇴, 공공 자원 낭비, 사회적 불만 증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불완전 고용은 시간제 근로자, 학력 과잉, 이민자, 신규 졸업생 등 특정 집단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OECD 국가의 경우 자격 과잉으로 인한 불완전 고용이 평균 15%에 달한다. 불완전 고용은 경기 침체기에 심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부 정책, 기업의 노력, 개인의 역량 강화 등을 통해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업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실업 -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으로, 단기적으로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자연실업률 개념에 따라 상충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현대 경제학에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정된 형태로 사용된다. - 노동 문제 - 성희롱
성희롱은 원치 않는 성적 언동으로, 불쾌감, 굴욕감, 위협감을 주는 행위이며,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법적 개념으로 등장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성차별 및 인권 침해 문제로 인식되어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 노동 문제 - 일중독증
일중독증은 과도한 업무 시간과 일에 대한 강박적 몰두로 가족 및 사회적 관계를 소홀히 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긍정적인 헌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불안, 낮은 자존감, 가로시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고용 - 비정규직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달리 고용 불안정, 차별, 저임금 등의 문제를 겪는 고용 형태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기간제, 단시간, 파견, 용역, 특수고용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IMF 외환위기 이후 증가했다. - 고용 - 채용
채용은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전략적 인력 확보 과정으로, 직무중심주의, 기업풍토 적격주의, 잠재능력주의 원칙하에 직무 능력, 조직 적응력,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성, 효율성, 윤리적 기준 준수를 통해 균등한 기회 보장과 다양성 확보를 추구한다.
불완전 고용 | |
---|---|
개요 | |
정의 | 노동자의 기술, 교육 수준, 또는 잠재력이 현재의 직무 요구 사항보다 높은 상태 |
다른 이름 | 과잉 고용, 기술 불일치, 질적 불일치 |
유형 | |
기술적 불완전 고용 | 근로자가 자신의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 (예: 엔지니어가 단순 조립 작업 수행) |
교육적 불완전 고용 | 근로자가 자신의 교육 수준에 맞는 직무를 찾지 못하는 경우 (예: 대졸자가 고졸 직무 수행) |
시간적 불완전 고용 | 파트타임 근로자가 풀타임으로 일하고 싶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경우 |
소득적 불완전 고용 | 소득이 생활을 유지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
원인 | |
경제적 요인 | 경기 침체, 산업 구조 변화, 기술 발전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
개인적 요인 | 전공과 직무 간의 불일치, 경력 개발 실패, 정보 부족 |
사회적 요인 | 학력 인플레이션, 채용 시장의 불균형, 차별 |
영향 | |
개인적 영향 | 직무 불만족, 낮은 자존감, 스트레스, 건강 악화 |
조직적 영향 | 낮은 생산성, 높은 이직률, 조직 몰입도 감소 |
사회적 영향 | 인적 자원 낭비, 경제 성장 저해, 사회 불안 증가 |
해결 방안 | |
정부 차원 | 고용 창출 정책 직업 교육 및 훈련 강화 노동 시장 정보 제공 확대 차별 해소 정책 |
기업 차원 | 직무 재설계 교육 훈련 기회 제공 공정한 평가 및 보상 시스템 구축 직원의 의견 수렴 |
개인 차원 | 자기 개발 노력 적극적인 구직 활동 경력 목표 설정 및 관리 긍정적인 태도 유지 |
참고 자료 | |
관련 연구 | Baristas of the world unite: Why college grads may be stuck at Starbucks even longer than they thought (Washington Post) The lack of wage growth and the falling NAIRU (National Institute Economic Review) Feldman, Daniel C. (1996). "The Natur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nderemployment". Journal of Management. 22 (3): 385–407. Erdogan, Berrin; Bauer, Talya N. (2009).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outcomes: The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 (2): 557–565. |
관련 통계 | Gallup Global Employment Tracking (Gallup) |
관련 기관 | 국제 노동 기구 (ILO) 국제 노동 기구 결의안 |
2. 불완전 고용의 유형
불완전 고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시간에 따른 불완전 고용''':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싶어하는 경우.
- '''기술 및 능력에 따른 불완전 고용''': 자신의 능력보다 낮은 수준의 일을 하는 경우.
- '''경제적 여건에 따른 불완전 고용''': 지역 경제 상황으로 인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경우.
존 로빈슨은 취업 기회가 충분하지 못하여 실직자가 이전보다 낮은 수준의 직장에서 일하는 현상을 '''위장 실업'''(disguised unemployment)으로 설명하였다.[31]
불완전 고용은 경제 침체기(경기 침체 또는 불황)와 재정적 압박이 증가할 때 더 만연한다.[13] 1930년대의 대공황 동안, 고용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불완전 고용 상태였다.
2. 1. 시간에 따른 불완전 고용
시간에 따른 불완전 고용은 자신이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고, 현재의 노동 시간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해당된다.[29] 불완전 고용의 기준이 되는 노동 시간은 국가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전일제 근무를 원하지만 비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무를 하는 노동자는 시간에 따른 불완전 고용에 포함된다. 그러나 시간제 근무에 대한 국제적인 정의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경기 상황에 따라 전일제 근무자도 평소보다 짧게 일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제 근무가 불완전 고용의 필요조건은 아니다.[30]노동 통계에서 불완전 고용은 다음과 같이 반영된다.
유럽 연합의 경우,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는 현재 파트타임으로 고용되어 있지만, 더 많은 노동 시간을 원하고, 그것이 가능한 사람을 의미한다.[24] 2020년 유로스타트 기준으로,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는 확대 노동력의 3.0%였다.[25] (노동 시간 연장을 원하지 않는 파트타이머는 확대 노동력의 9.2%)[25]
일본에서는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비정규 고용으로 일하는 상태를 '불본의 비정규(ふほんいひせいき)'라고 부른다.[26] "어쩔 수 없이 형 프리터"[27]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2. 기술 및 능력에 따른 불완전 고용
존 로빈슨은 취업 기회가 충분하지 못하여 실직자가 이전보다 낮은 수준의 직장에서 일하는 현상을 '''위장 실업'''으로 설명하였다.[31]기술로 인한 불완전 고용은 교육 수준과 업무의 불일치로 일어난다.[30] 즉, 실제로 하고 있는 업무에 비해 과잉 학력으로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경우에 불완전 고용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교 학위를 가진 사람이 바텐더로 일하거나, 공장 조립 라인 노동자로 일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러한 불완전 고용은 실업뿐만 아니라 차별, 직업 자격증 또는 학위 (예: 고등학교 또는 대학교 졸업장) 문제, 장애 또는 정신 질환, 교도소 복역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이민자와 신규 졸업생은 불완전 고용을 초래할 수 있는 두 가지 일반적인 경우이다.[9] 숙련된 이민자가 새로운 국가에 도착하면, 그들의 외국 자격이 인정되지 않거나,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자격 재인증 과정을 거쳐야 할 수 있다. 신규 졸업생 또한 특정 분야에 대한 기술 교육을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경험이 부족하여 불완전 고용에 직면할 수 있다.
불완전 고용의 또 다른 예는 낮은 시장 수요에 비해 높은 기술을 가진 경우이다. 특히 인문학 분야의 많은 학위는 적절하게 고용될 수 있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졸업생을 배출한다.[10] 고용주들은 졸업생 과잉 공급에 대응하여 많은 직업의 학력 요건을 실제 업무 수행에 필요한 것보다 더 높게 올렸다.[11]
대학 졸업생이 장기간 불완전 고용 상태에 머무르면, 학위에서 얻은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 쇠퇴하거나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은 졸업할 때 고급 연구 및 작문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수년 동안 점원으로 일한다면 이러한 기술은 사용하지 않아 쇠퇴할 수 있다.
국립 대학교 또는 공립 대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고등 교육이 정부 자금으로 전부 또는 일부 보조되기 때문에, 최근 대학 졸업생의 불완전 고용은 공공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이 될 수도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성인 역량 조사(PIAAC) 참여 국가에서 평균 15%가 자격 과잉(Overqualification)인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3] 이는 ISCED 5A 또는 6의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ISCED 3 이하의 직업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23]
2. 3. 경제적 여건에 따른 불완전 고용
지역 계획에서 경제 활동률이 유난히 낮은 지역을 설명할 때 불완전 고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일자리 기회, 훈련 기회, 보육, 대중교통과 같은 서비스 부족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거주자는 정규 고용 전망이 매우 암울해 보여 실업으로 등록하거나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는 대신 경제적 비활동을 받아들인다. 이때 경제적 비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구직 단념자라고 부르며, 이들은 공식적으로 "실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4]일하지 않고 살아가는 경향(친척, 친구, 개인 저축, 기록되지 않은 경제 활동에 의존해 노동력에서 이탈)은 실업 급여를 받기 어려워지면 더욱 심화될 수 있다.[14]
3. 불완전 고용의 원인
불완전 고용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차별, 적절한 자격증이나 학위 부족, 장애나 정신 질환, 교도소 복역 경험 등이 있다. 숙련된 이민자의 경우, 외국 자격이 인정되지 않거나 재인증 절차가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 불완전 고용 상태에 놓일 수 있다.[9] 신규 졸업생 역시 경험 부족으로 인해 불완전 고용을 겪을 수 있다.[9]
구조적 요인으로는 이민자의 자격 불인정 문제와 신규 졸업생의 경험 부족 문제가 있다.[9]
노동 시장 요인으로는 낮은 시장 수요에 비해 높은 기술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경우,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 학위 취득자가 과잉 공급되는 현상이 불완전 고용을 야기할 수 있다.[10] 고용주들은 학력 인플레이션을 통해 직무 요건을 실제 필요한 것보다 높게 설정하기도 한다.[1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성인 역량 조사(PIAAC)에 따르면, 참여 국가 평균 15%가 자격 과잉인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23] 이는 ISCED 5A 또는 6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ISCED 3 이하 직업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잉글랜드와 일본은 25%가 넘는 노동자가 이러한 상황에 있다고 보고했다.[23]
ISCED 4 레벨 이수 | ISCED 5B 레벨 이수 | ISCED 5A,6 레벨 이수 | ||||||||||
---|---|---|---|---|---|---|---|---|---|---|---|---|
종사하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호주 | 48 | 40 | 8 | 5 | 39 | 10 | 37 | 13 | 14 | 3 | 10 | 73 |
오스트리아 | 29 | 59 | 6 | 6 | 26 | 11 | 46 | 17 | 10 | 7 | 7 | 76 |
캐나다 | 35 | 31 | 29 | 5 | 25 | 18 | 44 | 12 | 12 | 3 | 16 | 69 |
칠레 | 33 | 59 | 8 | 6 | 26 | 68 | ||||||
체코 | 20 | 5 | 75 | |||||||||
덴마크 | 17 | 1 | 71 | 12 | 10 | 1 | 15 | 74 | ||||
에스토니아 | 59 | 23 | 16 | 2 | 37 | 8 | 46 | 9 | 11 | 3 | 22 | 64 |
핀란드 | 42 | 23 | 35 | 21 | 4 | 75 | 9 | 1 | 90 | |||
프랑스 | 26 | 54 | 20 | 13 | 12 | 75 | ||||||
독일 | 78 | 13 | 9 | 29 | 54 | 17 | 13 | 7 | 80 | |||
그리스 | 49 | 41 | 7 | 3 | 24 | 9 | 57 | 10 | 13 | 4 | 8 | 74 |
아일랜드 | 40 | 46 | 10 | 4 | 28 | 17 | 40 | 16 | 13 | 5 | 13 | 68 |
이스라엘 | 40 | 44 | 16 | 17 | 7 | 77 | ||||||
이탈리아 | 24 | 74 | ||||||||||
일본 | 51 | 5 | 36 | 7 | 29 | 3 | 10 | 58 | ||||
대한민국 | 39 | 45 | 16 | 14 | 20 | 65 | ||||||
네덜란드 | 34 | 25 | 41 | 17 | 2 | 81 | ||||||
뉴질랜드 | 62 | 23 | 9 | 6 | 41 | 14 | 22 | 23 | 17 | 2 | 8 | 73 |
노르웨이 | 38 | 46 | 4 | 11 | 20 | 12 | 36 | 32 | 10 | 3 | 3 | 85 |
폴란드 | 54 | 21 | 25 | 16 | 3 | 81 | ||||||
슬로바키아 | 20 | 1 | 79 | |||||||||
슬로베니아 | 23 | 66 | 11 | 9 | 12 | 79 | ||||||
스페인 | 38 | 48 | 11 | 17 | 6 | 76 | ||||||
스웨덴 | 43 | 20 | 11 | 27 | 22 | 10 | 21 | 47 | 10 | 3 | 6 | 81 |
터키 | 43 | 45 | 13 | 9 | 6 | 85 | ||||||
미국 | 57 | 24 | 10 | 9 | 40 | 13 | 27 | 19 | 14 | 2 | 6 | 78 |
영국 잉글랜드 | 50 | 28 | 22 | 28 | 7 | 65 | ||||||
OECD 평균 | 32 | 10 | 44 | 20 | 15 | 3 | 10 | 75 |
기업 및 경제 구조 요인으로는 경쟁 압력으로부터 보호받는 일부 기업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정부의 독점권 부여나 시장 지배력 남용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노동법이나 노동 조합과 같은 관행 때문에 고용주가 과도한 직원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는 노동자 연대가 주주 권리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문화적 영향으로, 경제 침체기에도 장기 근속자를 계속 고용하는 전통이 있다. 중앙 계획 경제에서는 정리 해고가 제한되어 국영 기업이 필요 인원보다 많은 직원을 보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3. 1. 개인적 요인
차별, 적절한 직업 자격증 또는 학위(예: 고등학교 또는 대학교 졸업장) 부족, 장애 또는 정신 질환이 있거나, 교도소에서 복역한 경험 등은 개인의 불완전 고용을 야기할 수 있다.[9] 숙련된 이민자가 한 국가에 도착하면, 그들의 외국 자격이 새로운 국가에서 인정되지 않거나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자격 재인증 과정을 거쳐야 할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국가의 의사나 엔지니어가 이민을 오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일할 수 없어 잡무를 찾아야 할 수 있다. 신규 졸업생 또한 불완전 고용에 직면할 수 있는데, 이는 특정 분야에 대한 기술 교육을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분야에 좋은 일자리가 있음에도)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회계 또는 경영학 석사 학위를 가진 최근 졸업생은 전문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때까지 대학교 학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바리스타 또는 점원으로 낮은 임금을 받고 일해야 할 수 있다.[9]3. 2. 구조적 요인
이민자의 경우, 외국에서 취득한 자격이 새로운 국가에서 인정되지 않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자격 재인증 과정을 거쳐야 할 수도 있다.[9] 그 결과, 다른 국가의 의사나 엔지니어가 이민을 오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일할 수 없어, 다른 일자리를 찾아야 할 수 있다. 신규 졸업생 또한 불완전 고용에 직면할 수 있는데, 이는 특정 분야에 대한 기술 교육을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9] 회계 또는 경영학 석사 학위를 가진 최근 졸업생은 전문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때까지 대학교 학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바리스타 또는 점원으로 낮은 임금을 받고 일해야 할 수 있다.3. 3. 노동 시장 요인
낮은 시장 수요에 비해 높은 기술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경우 불완전 고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문학 분야에서 학위 취득자가 과잉 공급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0] 고용주들은 학력 인플레이션을 통해 직무 요건을 실제 필요한 것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11]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성인 역량 조사(PIAAC) 참여 국가에서 평균 15%가 자격 과잉(Overqualification)인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3] 이는 ISCED 5A 또는 6의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ISCED 3 이하의 직업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23] 상위 국가는 영국 잉글랜드와 일본으로, 25%가 넘는 노동자가 이러한 상황에 있다고 답했다.[23]
ISCED 4 레벨 이수 | ISCED 5B 레벨 이수 | ISCED 5A,6 레벨 이수 | ||||||||||
---|---|---|---|---|---|---|---|---|---|---|---|---|
종사하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ISCED 3 또는 이하 직업 | ISCED 4 필요 직업 | ISCED 5B 필요 직업 | ISCED 5A,6 필요 직업 |
호주 | 48 | 40 | 8 | 5 | 39 | 10 | 37 | 13 | 14 | 3 | 10 | 73 |
오스트리아 | 29 | 59 | 6 | 6 | 26 | 11 | 46 | 17 | 10 | 7 | 7 | 76 |
캐나다 | 35 | 31 | 29 | 5 | 25 | 18 | 44 | 12 | 12 | 3 | 16 | 69 |
칠레 | 33 | 59 | 8 | 6 | 26 | 68 | ||||||
체코 | 20 | 5 | 75 | |||||||||
덴마크 | 17 | 1 | 71 | 12 | 10 | 1 | 15 | 74 | ||||
에스토니아 | 59 | 23 | 16 | 2 | 37 | 8 | 46 | 9 | 11 | 3 | 22 | 64 |
핀란드 | 42 | 23 | 35 | 21 | 4 | 75 | 9 | 1 | 90 | |||
프랑스 | 26 | 54 | 20 | 13 | 12 | 75 | ||||||
독일 | 78 | 13 | 9 | 29 | 54 | 17 | 13 | 7 | 80 | |||
그리스 | 49 | 41 | 7 | 3 | 24 | 9 | 57 | 10 | 13 | 4 | 8 | 74 |
아일랜드 | 40 | 46 | 10 | 4 | 28 | 17 | 40 | 16 | 13 | 5 | 13 | 68 |
이스라엘 | 40 | 44 | 16 | 17 | 7 | 77 | ||||||
이탈리아 | 24 | 74 | ||||||||||
일본 | 51 | 5 | 36 | 7 | 29 | 3 | 10 | 58 | ||||
대한민국 | 39 | 45 | 16 | 14 | 20 | 65 | ||||||
네덜란드 | 34 | 25 | 41 | 17 | 2 | 81 | ||||||
뉴질랜드 | 62 | 23 | 9 | 6 | 41 | 14 | 22 | 23 | 17 | 2 | 8 | 73 |
노르웨이 | 38 | 46 | 4 | 11 | 20 | 12 | 36 | 32 | 10 | 3 | 3 | 85 |
폴란드 | 54 | 21 | 25 | 16 | 3 | 81 | ||||||
슬로바키아 | 20 | 1 | 79 | |||||||||
슬로베니아 | 23 | 66 | 11 | 9 | 12 | 79 | ||||||
스페인 | 38 | 48 | 11 | 17 | 6 | 76 | ||||||
스웨덴 | 43 | 20 | 11 | 27 | 22 | 10 | 21 | 47 | 10 | 3 | 6 | 81 |
터키 | 43 | 45 | 13 | 9 | 6 | 85 | ||||||
미국 | 57 | 24 | 10 | 9 | 40 | 13 | 27 | 19 | 14 | 2 | 6 | 78 |
영국 잉글랜드 | 50 | 28 | 22 | 28 | 7 | 65 | ||||||
OECD 평균 | 32 | 10 | 44 | 20 | 15 | 3 | 10 | 75 |
3. 4. 기업 및 경제 구조 요인
일부 기업은 경쟁 압력으로부터 보호를 받아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가 독점권을 부여했거나(예: 전화 또는 전기 유틸리티), 시장 지배력 남용 상황(예: 특정 산업에서 독점적 지위 유지)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노동력을 줄이라는 시장의 압력을 덜 받게 되어, 과도한 비용과 이윤 감소를 감수하면서도 과잉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또한, 노동법이나 노동 조합과 같은 관행 때문에 고용주가 과도한 직원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과 같은 국가에서는 노동자 연대가 주주 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문화적 영향이 크다. 일본에서는 근로자가 회사에 장기간 헌신하면, 회사는 경제 침체기에도 이들을 계속 고용한다는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
중앙 계획 경제에서는 정리 해고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국영 기업이 조직의 업무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인원보다 더 많은 직원을 보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4. 불완전 고용의 현황 및 통계
불완전 고용은 여러 국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각국의 노동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노동 통계에서 불완전 고용은 다음과 같이 반영된다.
- 미국 -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의 U6 지표.
- 일본 - 노동력 조사의 추가 취업 희망 취업자.
- 유럽 연합 - 유로스타트의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2020년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는 확대 노동력의 3.0%였다.[25] 일본에서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비정규 고용으로 일하는 상태를 불본의 비정규(ふほんいひせいき)라고 부른다.[26]
4. 1. 국제 비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성인 역량 조사(PIAAC)에 따르면, 참여 국가 평균 15%가 자격 과잉(Overqualification)인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23] 이는 ISCED 5A 또는 6 자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ISCED 3 이하 직업에 종사하는 것을 의미한다.[23] 영국 잉글랜드와 일본이 상위 국가로, 25%가 넘는 노동자가 이러한 상황에 있다고 답했다.[23]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는 현재 파트타임으로 고용되어 있지만, 더 많은 노동 시간을 원하고, 일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24]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2020년 불완전 고용 파트타이머는 확대 노동력의 3.0%였다.[25]
일본에서는 본인 의사에 반하여 비정규 고용으로 일하는 상태를 불본의 비정규(ふほんいひせいき)라고 부른다.[26]
5. 불완전 고용의 영향
불완전 고용은 개인에게 소득 감소, 경력 단절, 기술 쇠퇴, 심리적 불안정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으로는 생산성 감소, 인적 자원 낭비, 완전 고용 달성 실패, 비효율적인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5. 1. 개인적 영향
불완전 고용은 개인에게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선, 높은 기술 수준과 고등 교육을 받은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과 저임금 일자리에서 일하게 되면서 소득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대학교 학위를 가진 사람이 바텐더나 공장 조립 라인 노동자로 일하는 경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낮은 임금을 받게 된다.[9]또한, 불완전 고용은 경력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인문학 분야와 같이 학위를 취득하는 데 많은 돈과 시간이 들지만, 적절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경우 더욱 그렇다.[10] 고용주들은 졸업생 과잉 공급에 대응하여 학력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실제 업무 수행에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학력 요건을 요구하기도 한다.[11]
장기간 불완전 고용 상태에 머무르면 기술이 쇠퇴하거나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이 수년 동안 점원으로 일한다면, 고급 연구 및 작문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 쇠퇴할 수 있다.[12] 마찬가지로, 숙련된 기계공이 해고 후 오랫동안 자신의 기술에 상응하는 직책을 얻지 못하고 식당 서버로 일한다면 전문 기술을 활용할 기회를 잃게 된다.[12]
이 외에도 불완전 고용은 심리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자신의 능력과 교육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낮은 지위의 일자리에서 일하게 되면서 자존감이 저하되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5. 2. 사회적 영향
불완전 고용은 사회 전체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감소하고 인적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특히 공공 자원을 투입하여 양성한 인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자원 사용으로 이어진다.[14]거시 경제학적 관점에서 "불완전 고용"은 완전 고용 또는 자연 실업률(NAIRU)보다 높은 실업률, 즉 ''초과 실업'' 상태를 의미한다. 케인즈 경제학에서는 불완전 고용 균형을 언급하기도 한다. 경제학자들은 경기 조정을 거친 완전 고용 실업률을 계산하여 사회적 수준의 불완전 고용을 측정하는 척도로 삼기도 한다. 오쿤의 법칙에 따르면, 이는 잠재 GDP와 실제 GDP 간의 격차와 상관관계가 있다.
한편, "불완전 고용"은 "과잉 고용" 또는 "숨겨진 실업"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기업이나 경제 전체가 생산성이 낮거나 비효율적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관행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해고 및 정리 해고에 대한 법적, 사회적 제한이나, 업무의 계절성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화이트칼라 사무직에서는 권태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불완전 고용은 구조적 또는 경기 순환적 이유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노동법이나 관행, 또는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고용주가 과도한 직원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중앙 계획 경제에서는 정리 해고가 제한되어 국영 기업이 필요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기도 한다. 경기 순환적 불완전 고용은 경기 침체 시기에 기업의 설비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
관광 부문과 같이 계절적 수요에 직면하는 산업에서도 불완전 고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관광 부문에서는 비수기에도 숙련된 직원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6. 불완전 고용 해소를 위한 노력
불완전 고용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 기업, 개인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적극적인 노동 시장 정책을 펴고, 기업은 공정한 채용 절차를 마련해야 하며, 개인은 꾸준히 역량을 개발해야 한다.
6. 1. 정부 정책
정부는 노동 시장 수요가 매우 낮은 학위 분야(예: 순수 예술)에 대한 공립 대학교 입학을 제한하거나, 잠재적인 노동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 학위 비용 모델 변경 등을 통해 인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노동 시장 정책, 직업 교육 훈련 강화, 차별 해소, 사회적 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불완전 고용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제안이 있다.[10]6. 2. 기업의 역할
기업은 투명하고 공정한 채용 절차를 마련하고, 직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유연 근무제 도입, 비정규직 차별 해소 등을 통해 불완전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일부 경제학자들은 기업이 생산성이 낮거나 경제적 비효율적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과잉 고용" 또는 "숨겨진 실업" 상태를 불완전 고용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현상은 해고 및 정리 해고에 대한 법적, 사회적 제한이나, 업무의 계절성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1]
이러한 불완전 고용은 구조적 또는 경기 순환적 이유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기업은 경쟁 압력으로부터 보호받아 비효율적으로 성장하며, 이는 정부의 독점권 부여나 시장 지배력 남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줄이라는 시장 신호를 받지 못할 수 있다.[1]
노동 조합과 같은 노동법이나 관행으로 인해 고용주가 과도한 직원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과 같이 노동자 연대가 주주 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문화적 영향을 가진 국가에서는 경제 침체기에도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는 전통이 있다.[1]
경기 침체 또는 경제 대공황 시기에는 기업의 설비 가동률과 노동 수요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시기에는 근로자의 불완전 고용이 용인될 수 있으며, 직원을 해고했다가 다시 고용하는 데 드는 비용과 사기 저하를 고려할 때 현명한 사업 정책일 수 있다. 또한, 활용도가 낮은 간접비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것은 미래 생산 기여에 대한 투자로 간주될 수 있다.[1]
관광 부문과 같이 기상 조건과 관련된 명소가 있는 지역에서는 순환적인 수요에 직면한다. 일부 관광 부문에서는 직원을 쉽게 모집할 수 있지만, 특이하거나 찾기 어려운 기술을 가진 근로자가 필요한 경우 비수기에도 직원을 유지할 유인이 있을 수 있다.[1]
6. 3. 개인의 노력
개인은 변화하는 노동 시장 수요에 맞춰 지속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통해 불완전 고용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졸업 후 수년간 점원으로 일한다면, 고급 연구 및 작문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 해당 기술이 쇠퇴할 수 있다.[12] 따라서, 꾸준한 자기 계발과 적극적인 구직 노력이 필요하다.참조
[1]
웹사이트
Baristas of the world unite: Why college grads may be stuck at Starbucks even longer than they thought
https://www.washingt[...]
2014-11-19
[2]
논문
The natur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nderemployment.
https://www.scienced[...]
1996
[3]
논문
The lack of wage growth and the falling NAIRU
https://www.cambridg[...]
2018-08
[4]
뉴스
Young people worldwide fear a lack of opportunities, it's easy to see why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6-09-13
[5]
뉴스
Young, Educated and Underemployed: Are we Building a Nation of PhD Baristas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6-01-15
[6]
논문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outcomes: The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https://www.ncbi.nlm[...]
2009
[7]
간행물
Assessing the Extent of Labour Hoarding.
https://www.bankofen[...]
2003
[8]
웹사이트
Gallup Global Employment Tracking
http://www.gallup.co[...]
2014-10-15
[9]
논문
A scoping review to map the research on the mental health of students and graduates during their university-to-work transitions
2024-03-04
[10]
웹사이트
Why are Recent College Graduates Underemployed? : University Enrollments and Labor Market Realities
http://centerforcoll[...]
Center for College Affordability and Productivity
2013-01
[11]
뉴스
The Master's as the New Bachelor's
https://www.nytimes.[...]
2011-07-22
[12]
웹사이트
The Bad First Job's Lingering Impact
https://www.insidehi[...]
2018-05-23
[13]
논문
Financialization and the rise of atypical work
https://onlinelibrar[...]
2023
[14]
웹사이트
Application form example internship
https://www.applicat[...]
2019-11-11
[15]
웹사이트
Baristas of the world unite: Why college grads may be stuck at Starbucks even longer than they thought
https://www.washingt[...]
2014-11-19
[16]
논문
The Natur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nderemployment
SAGE Publications
[17]
웹사이트
不完全雇用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3-14
[18]
뉴스
Young people worldwide fear a lack of opportunities, it's easy to see why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6-09-13
[19]
뉴스
Young, Educated and Underemployed: Are we Building a Nation of PhD Baristas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6-01-15
[20]
논문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outcomes: The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21]
간행물
Assessing the Extent of Labour Hoarding.
https://www.bankofen[...]
2003
[22]
웹사이트
Gallup Global Employment Tracking
http://www.gallup.co[...]
2014-10
[23]
간행물
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2018-09
[24]
웹사이트
Glossary:Underemployed part-time worker
https://ec.europa.eu[...]
Eurostat
2021-04
[25]
웹사이트
Labour market slack – annual statistics on unmet needs for employment
https://ec.europa.eu[...]
Eurostat
2022-04
[26]
서적
労働経済白書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8
[27]
논문
大都市の若者の就業行動と意識の分化 ―「第4回 若者のワークスタイル調査」から―
https://www.jil.go.j[...]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17-10-20
[28]
웹인용
ILO home > Statistics and databases > Overview and topics > Underemployment > History
http://www.ilo.org/g[...]
국제 노동 기구
[29]
웹인용
Resolution concerning the measurement of underemployment and inadequate employment situations
http://www.ilo.org/g[...]
국제 노동 기구
[30]
저널 인용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the measurement of underemployment
IOS Press
[31]
서적 인용
勞動經濟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