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루스티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루스티우스는 기원전 86년경에 태어난 로마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다. 그는 기원전 55년에 퀘스토르, 기원전 52년에 호민관을 역임했으나, 부도덕함으로 원로원에서 제명되기도 했다. 이후 카이사르 편에 서서 내전에 참전했으며, 아프리카 속주 총독을 지냈다. 정계 은퇴 후에는 역사 저술에 전념하여, 로마 공화정 말기의 부패와 도덕적 타락을 주제로 한 《카틸리나 전쟁》, 《유구르타 전쟁》, 《역사》 등을 저술했다. 그의 간결하고 독특한 문체는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적 평가에서는 편견과 도덕주의적 시각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4년 사망 - 두완
    두완은 전한의 관료로 흉노 정벌에 참여한 후 태상까지 올랐으나 면직되었고, 건평후에 봉해졌으며, 신중한 옥사 처리와 검소한 생활로 칭송받아 효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기원전 34년 사망 - 유평 (세향후)
    유평은 전한 원제의 아들이자 조나라 효왕 유여의의 후손으로, 세향후에 봉해졌으나 정신병으로 자결하여 전한 왕족 사회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기원전 1세기 역사가 - 티투스 리비우스
    티투스 리비우스는 《로마 건국사》를 저술한 로마의 역사가로, 파타비움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활동하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친분을 맺었고, 그의 작품은 로마 영웅주의를 강조하는 서사적 특징을 지닌 라틴 문학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1세기 역사가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역사가로, 3부 40권의 역사서 《역사총서》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선대 역사가들의 저서를 종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살루스티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살루스티우스의 상상 초상화
살루스티우스의 상상 초상화
이름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
로마자 표기Gaius Sallustius Crispus
출생기원전 86년경
출생지아미테르눔
사망기원전 35년경
사망 원인알려지지 않음
국적로마
민족사비니인
직업정치인, 군인, 역사가
가문살루스티우스 씨족
친척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시엔우스 크리스푸스 (고종손 및 입양 아들)
정치 경력
관직평민 호민관 (기원전 52년)
재무관 (기원전 55년)
법무관 (기원전 46년)
정당카이사르 파벌
군사 경력
소속카이사르 파벌
계급레가투스
법무관
프로콘술
전쟁카이사르의 내전 (기원전 49–44년)
기타 정보
저서《카틸리나의 음모》
《유구르타 전쟁》
《역사》 (단편)

2. 생애와 경력

살루스티우스는 젊은 시절 방탕한 생활을 한 후 공직에 입문하여, 기원전 55년에 재무관을 역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4] 기원전 52년에는 평민 호민관으로 활동하며 밀로를 기소하고 키케로를 압박하는 등 격렬한 정치 활동을 펼쳤다.[16] 또한 카이사르가 부재중에 집정관에 출마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기원전 50년, 살루스티우스는 감찰관에 의해 원로원에서 추방되었으나, 이후 카이사르 파에 합류하였다. 내전 기간 동안 일리리쿰에 파견되어 군단을 지휘하기도 했고,[9][18] 카이사르의 아프리카 원정에 동행하여 케르케나 제도에서 물자 조달을 담당하는 등 카이사르를 보좌했다.[21] 이러한 공로로 아프리카 노바프로콘술로 임명되기도 했다. 그러나 총독 재임 중 부정을 저질러 고발당하기도 했지만, 카이사르의 도움으로 무사할 수 있었다.

카이사르 암살 이후 정계에서 은퇴한 살루스티우스는 살루스티우스 정원Horti Sallustiani|살루스티우스 정원la에서 역사 저술에 몰두하며 여생을 보냈다.[2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살루스티우스는 기원전 86년 이탈리아 중부 아미테르눔에서 태어났다.[3][4][5] 그의 가문은 사비니족 출신의 지방 귀족으로, 기사 계급에 속했으며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4][5][12] 사회 전쟁 동안 살루스티우스의 부모는 아미테르눔이 반란을 일으킨 이탈리아 부족의 포위 위협을 받자 로마로 피신했기 때문에, 살루스티우스는 어린 시절 로마에서 성장하며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10][13][4] 그는 그리스 문학에도 박식했다.

2. 2. 정치 경력

살루스티우스는 방탕한 청년 시절을 보낸 후 공직 생활에 입문하여 기원전 55년에 퀘스토르(재무관)로 선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4] 그러나 증거가 불분명하며, 일부 학자들은 그가 이 직책을 맡은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5][15] 그의 경력에 대한 가장 확실한 정보는 기원전 52년, 밀로의 추종자들이 클로디우스를 살해한 해에 그가 평민 호민관으로 재직한 것이다. 살루스티우스는 이 해에 밀로에 대한 기소를 지지했다.[16] 그는 또한 키케로에게 대중적 압력을 가하기 위해 "격렬한 거리 시위"를 조직하여 재판에서 밀로를 변호할 때 키케로를 위협, "미흡한 변론"을 하도록 만들었고, 밀로가 도시를 떠나 망명하도록 했다. 이 해에 그는 다른 10명의 호민관들과 함께 카이사르가 부재 중에도 두 번째 집정관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지지했다.

살루스티우스의 초기 정치적 연관성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50년에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당시 감찰관으로 재직)에 의해 원로원에서 추방된 후 카이사르에 합류했다. 그는 부도덕함으로 인해 제거되었지만, 이는 그의 호민관 재임 기간 동안 밀로에 대한 반대에 대한 구실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2. 3. 카이사르 내전 참전

기원전 49년부터 기원전 45년까지 벌어진 로마 내전에서 살루스티우스는 카이사르 편에 섰다. 그러나 그의 군사적 역량은 뛰어나지 않아, 카이사르의 ''내전기''에는 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았다.[18] 플루타르코스는 살루스티우스가 카이사르, 히르티우스, 오피우스, 발부스, 술피키우스 루푸스와 함께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넌 다음 날 밤 식사를 했다고 기록했다.[19]

기원전 49년, 살루스티우스는 일리리쿰으로 파견되어 최소 한 개 군단을 지휘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와 가이우스 안토니우스의 실패 이후였기 때문에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9][18]

기원전 46년, 살루스티우스는 프라이토르로 복무하며 카이사르의 아프리카 원정에 동행했다. 그는 군사 작전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케르케나 제도를 점령하여 군수품 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공로로 살루스티우스는 아프리카 노바프로콘술로 임명되었다.[21]

2. 4. 누미디아 총독 재임

카이사르의 후원으로 두 번째 재무관을 거쳐 프라이토르(법무관)가 되었고, 누미디아 속주 총독이 되었지만, 임기 종료 후 불법 소득으로 고발되었으나 카이사르의 도움으로 무죄가 되었다.

2. 5. 정계 은퇴와 역사 저술

기원전 44년 카이사르가 암살되자, 살루스티우스는 정계에서 은퇴했다.[22] 은퇴 후에는 핀초 언덕의 사저에 은거하며 역사 저술에 전념했다. 이 사저의 정원은 훗날 살루스티우스 정원으로 불리며 관광 명소가 되었다.[24]

3. 저작 활동

살루스티우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부패와 도덕적 타락을 주제로 역사서를 저술했다. 그의 저서로는 『카틸리나 전쟁』(Bellum Catilinarium, 기원전 43년?), 『유구르타 전쟁』(Bellum Jugurthinum, 기원전 41년?)이 대표적이다.

『카틸리나 전쟁』은 기원전 63년 카틸리나가 로마 국가 전복을 기도했던 사건을, 『유구르타 전쟁』은 누미디아유구르타와의 전쟁(기원전 111년-기원전 106년)을 다루고 있다. 살루스티우스는 이전의 연대기적 작가들과 달리 연대순에 따르지 않고 하나의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는 박력 있는 문체를 사용하고, 고상한 용어를 선택하여 역사 기술의 문학적 수준을 높였다. 또한, 사건의 원인과 인간 행위의 동기를 설명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도입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1]

주요 저서인 『역사』는 은퇴 후 라틴어로 쓰인 대작이었지만, 대부분 유실되었다. 술라 사후부터 자신의 시대까지를 다룬 것으로 추정된다.[25]

살루스티우스는 현장감 있는 묘사로 라틴어 황금기 작가 중에서도 뛰어난 작가로 평가받는다. 르네상스 이후 라틴어 산문의 전형으로 널리 읽혔으며, 4세기제롬은 그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작가"로 평가했다. 그의 저서들은 중세에도 인기가 있었으며, 1470년 베네치아에서 인쇄되어 출판되었다. 16세기 이후에는 사본 간의 검증과 보주 작업이 이루어져 19세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널리 읽혔다.[1]

3. 1. 카틸리나 전쟁 (Bellum Catilinarium)

이 단행본은 아마도 기원전 42년에 쓰여졌을 것이다.[1] 그러나 일부 역사가들은 이보다 더 이른 시기, 아마도 기원전 50년경에 내전 이후 개정되어 출판된 미발표 팜플렛으로 보기도 한다.[2] 살루스티우스가 당시 군 복무로 도시 밖에 있었음을 시사하는, 음모에 대한 개인적인 기억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3] 이 작품은 제2차 삼두정치 시대의 재산 몰수령 동안 "상식을 위한 탄원"으로 쓰여졌을 수 있으며, 사형을 반대하는 카이사르의 묘사는 당시의 학살과 대조를 이룬다.[4]

이 책은 살루스티우스가 처음으로 출판한 작품으로, 기원전 63년에 카틸리나로마 공화국을 전복하려 했던 시도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살루스티우스는 카틸리나를 법, 질서, 도덕의 의도적인 적으로 묘사하며, 그의 견해와 의도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카틸리나는 살루스티우스가 반대했던 술라의 당을 지지했다). 테오도어 몸젠은 살루스티우스가 특히 자신의 후원자인 카이사르가 음모에 연루된 모든 혐의를 벗어나도록 하려 했다고 주장했다.[5]

카틸리나의 음모에 관해 썼을 때, 살루스티우스의 어조, 문체, 귀족의 행동에 대한 묘사는 "카르타고 몰락 이후 시작되어 술라의 독재 이후 가속화되었고, 방탕한 귀족에서 모든 로마 정치로 퍼져나간 로마의 정치적, 도덕적 타락"을 보여준다.[6] 그는 카틸리나의 타락한 성격과 악독한 행위에 대해 비난하면서도, 그가 많은 고귀한 특성을 지녔음을 언급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특히 살루스티우스는 카틸리나가 그의 마지막 전투에서 깊은 용기를 보여주었다는 점을 보여준다.[7] 그는 의심의 여지없이 음모자들을 비난하는 이야기를 제시하는데, 아마도 키케로의 ''De consulatu suo''(De consulatu suo|그의 [키케로의] 집정관직la)를 음모의 세부 사항에 대해 의존했을 것이다.[8] 그러나 그의 이야기는 카이사르와 소 카토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그들은 마지막 부분에서 음모자 처벌에 대한 논쟁을 묘사하는 긴 연설을 통해 "''virtus'' ('탁월함')의 두 가지 예시"로 묘사된다.[9][10]

3. 2. 유구르타 전쟁 (Bellum Jugurthinum)

살루스티우스의 ''유구르타 전쟁''(Bellum Jugurthinumla)은 기원전 111년부터 106년까지 누미디아의 왕 유구르타에 맞서 벌인 전쟁에 대한 기록이다. 살루스티우스는 이 작품에서 로마 귀족 계급의 부패와 무능을 비판하고,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술라의 등장을 통해 로마 정치의 변화를 조명한다.[1] 그는 카이사르나 그 이전의 연대기적 작가처럼 연대순에 따르지 않고 하나의 사건을 추구한 최초의 역사가이다.[1] 효과적이고 박력 있는 문체를 사용하고, 평범한 표현을 피하고 고상한 용어를 선택함으로써 역사 기술의 문학적 수준을 높였다. 동시에 과학적인 방법을 도입해서 사건의 원인과 인간 행위의 동기를 의식적으로 설명한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이다.[1]

이 작품의 진정한 가치는 마리우스와 술라를 로마 정치 무대에 소개하고 그들의 경쟁 관계를 시작하는 데 있다. 살루스티우스가 아프리카 노바의 총독으로 재임한 기간 동안 작가는 전쟁에 대한 탄탄한 지리적, 민족지적 배경을 구축할 수 있었어야 하지만, 주제에 대한 일탈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살루스티우스의 ''유구르타 전쟁''과 ''카틸리나의 음모''의 우선 순위는 로마의 도덕과 정치의 점진적인 파괴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사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490년경의 ''유구르타 전쟁'' 필사본

3. 3. 역사 (Historiae)

살루스티우스의 마지막 작품인 《역사》는 기원전 78년 술라의 죽음 이후부터 살루스티우스 자신의 시대까지를 다룬 대작이었으나, 5권의 단편(기원전 67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실되었다.[25] 현존하는 단편들을 통해 술라 이후의 도덕적 타락과 폼페이우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역사가들은 이 작품의 소실을 안타까워하는데, 세르토리우스 전쟁(기원전 72년 사망), 루쿨루스의 폰토스의 미트라다테스 6세에 대한 원정(기원전 75-66년), 폼페이우스의 동방에서의 승리(기원전 66-62년) 등 매우 다사다난했던 시기에 대한 많은 정보를 이 작품이 제공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3. 4. 기타 저작

카이사르에게 보낸 정치적 조언과 충고의 편지 두 통(《공화국 정비에 관한 두 서한》)과 키케로를 비판하는 글(《비난》 또는 《키케로에 대한 변론》)은 살루스티우스의 작품으로 자주 여겨졌지만, 현대 학자들은 기원후 1세기의 수사학자의 위작으로 추정하며, 키케로에게서 비롯된 반박문도 마찬가지이다.[25] 한때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라트로가 가짜 살루스티우스 작품의 저자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이 견해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4. 문체와 영향



살루스티우스는 로마의 쇠퇴를 주요 주제로 삼았으며, 역사 철학은 투키디데스의 영향을 받았다.[27] 그는 로마의 막대한 권력으로 인한 정치적, 도덕적 부패 때문에 쇠퇴가 "끔찍하고 불가피"하다고 보았다. 살루스티우스는 로마가 외부 위협 없이 정복과 부를 얻으면서 내전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 파괴와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이후 동방으로부터 부가 유입된 것을 공화정 말기의 결정적 순간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는 기원전 146년 이전의 공화국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자유로운 덕"을 지닌 시기로 묘사하며 낭만적으로 그리기도 했다.

그의 주요 저서인 『역사』는 은퇴 후 라틴어로 쓴 대작이었으나, 대부분 유실되었다. 술라 사후부터 자신의 시대까지를 다룬 것으로 추정된다. 『카틸리나의 음모』와 『유구르타 전쟁』은 대부분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이 작품들은 공화정 로마의 정치 부패를 기록하고 있으며, 타키투스와 마찬가지로 살루스티우스도 공화주의자로 여겨진다. 사건을 다루는 형식은 투키디데스의 영향을 받았지만, 각 사건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느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데모스테네스, 플라톤, 크세노폰, 폴리비오스, 포세이도니오스 등의 작품에도 정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4. 1. 문체적 특징

살루스티우스의 문체는 로마에서 잘 알려져 있었으며, 동시대의 카이사르나 특히 키케로의 글과는 달랐다. 간결함과 흔치 않은 단어 및 어구 사용이 특징으로, 그의 작품은 당대 일상적인 라틴어와는 거리가 있었다.[28]

그는 고어(古語)를 사용했는데,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루키우스 아테이우스 프라에텍스타투스(필롤로구스)가 살루스티우스가 고어를 수집하는 것을 도왔다고 한다.[29] 로널드 심은 살루스티우스의 문체와 특정 단어 선택이 경쟁자이자 기원전 1세기 라틴 문학의 유행을 선도한 키케로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고 보았다. 현대 학자들도 이에 동의하며 살루스티우스의 문체를 "반(反) 키케로적"이라고 묘사하는데, 키케로 문장의 조화로운 구조 대신 짧고 갑작스러운 설명을 사용했다.

살루스티우스는 동시대 로마 정치가들의 연설에서 자주 사용되던 ''honestas''(honestas|호네스타스la), ''humanitas''(humanitas|후마니타스la), ''consensus''(consensus|콘센수스la)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30] 몇몇 경우에는 잘 알려진 단어의 드문 형태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libido''(libido|리비도la) 대신 ''lubido''(lubido|루비도la), ''maximum''(maximum|막시뭄la) 대신 ''maxumum''(maxumum|막수뭄la)을 사용했고, 접속사 ''ut''(ut|우트la) 대신 ''quo''(quo|쿼la)를 사용했다. 또한 완료 직설법 3인칭 복수형에서 일반적인 ''-erunt''(-에룬트) 대신 덜 흔한 어미 ''-ere''(-에레)를 사용했고, 제3변화 (남성 또는 여성) 형용사와 명사의 대격 복수형으로 ''-es''(-에스) 대신 ''-is''(-이스)를 사용했다. 살루스티우스가 사용한 ''antecapere''(antecapere|안테카페레la), ''portatio''(portatio|포르타티오la), ''incruentus''(incruentus|인크루엔투스la), ''incelebratus''(incelebratus|인켈레브라투스la), ''incuriosus''(incuriosus|인쿠리오수스la)와 같은 일부 단어는 이전의 다른 글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들이다. 이들은 신조어이거나 고어를 의도적으로 되살린 것으로 여겨진다.[31] 살루스티우스는 또한 반어법, 두운 및 교차법을 자주 사용했다.[32]

이러한 문체는 "이상화된 고대 로마인의 검소한 삶을 상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가치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것이었다. 고어와 갑작스러운 문체는 키케로의 "장식"과 대조되었고, 현재의 타락은 고대 덕과 대비되었다. 그의 작품의 핵심 주제는 쇠퇴였지만, 로마 정치에 대한 그의 처리는 "종종 조잡"했으며, 역사 철학은 투키디데스의 영향을 받았다.[27] 그는 쇠퇴에 대해 "만연한 비관주의"를 느꼈는데, 이는 "끔찍하고 불가피"했으며, 로마의 막대한 권력으로 인한 정치적, 도덕적 부패의 결과였다.

주요 저서인 『역사』는 은퇴 후의 저작으로, 라틴어로 쓰인 대작이었지만 대부분 유실되었다. 술라 사후부터 자신의 시대까지를 다룬 것으로 추정된다. 『카틸리나의 음모』(''Bellum Catilinae'')와 『유구르타 전쟁』(''Bellum Iugurthinum'')의 대부분은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공화정 로마의 정치 부패를 기록하고 있지만, 타키투스와 마찬가지로 공화주의자로 여겨진다. 각 사건을 다루는 형식은 투키디데스를 본뜬 것으로 보이며, 문체에서도 그 영향을 엿볼 수 있지만, 그보다 각 사건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을 보인다. 그 외에도 데모스테네스, 플라톤, 크세노폰, 폴리비오스, 포세이도니오스 등의 작품에 대해서도 자세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라틴어 황금기의 작가 중에서도 현장감이라는 측면에서 뛰어난 작가였으며, 르네상스 이후 라틴어 산문의 전형으로 널리 읽히며, 문화적인 영향력도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4세기제롬에 의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작가"로 평가받았고, 『카틸리나의 음모』와 『유구르타 전쟁』은 중세에도 인기가 있었다. 1470년베네치아에서 인쇄되어 출판되었다. 16세기 이후, 사본 간의 검증이 이루어져 보주가 붙여지면서, 19세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널리 읽혔다.

4. 2. 후대에 미친 영향

살루스티우스는 라틴어 황금기의 작가 중 현장감 있는 묘사가 뛰어났으며, 그의 작품 스타일은 로마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 동시대인인 카이사르, 특히 키케로의 글과는 다른 특징을 보였다. 간결함, 드문 단어 및 어구 사용으로 인해 그의 작품은 당대 일상 라틴어와 거리가 있었다.[28]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루키우스 아테이우스 프라에텍스타투스 (필롤로구스)가 살루스티우스가 고어(古語)를 수집하는 것을 도왔다고 한다.[29] 로널드 심은 살루스티우스의 스타일과 특정 단어 선택이 키케로에 대한 반감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정한다.

살루스티우스는 ''honestas'', ''humanitas'', ''consensus'' 같은 로마 정치가들의 연설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를 피했다.[30] 대신 ''libido''를 ''lubido''로, ''maximum''을 ''maxumum''으로 쓰는 등 잘 알려진 단어의 드문 형태를 사용하거나, ''ut'' 대신 접속사 ''quo''를 사용했다. 완료 직설법 3인칭 복수형 어미 ''-erunt'' 대신 ''-ere''를, 제3변화 형용사 및 명사의 대격 복수형 어미 ''-es'' 대신 ''-is''를 사용했다. ''antecapere'', ''portatio'', ''incruentus'', ''incelebratus'', ''incuriosus'' 등은 이전 글에서 발견되지 않는 단어로, 신조어이거나 의도적으로 부활시킨 고어로 여겨진다.[31] 또한 반어법, 두운, 교차법을 자주 사용했다.[32]

이러한 스타일은 "이상화된 고대 로마인의 검소한 삶을 상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가치로의 회귀"를 요구했으며, 고어와 갑작스러운 문체는 키케로의 "장식"과 대비되어, 현재의 타락과 고대의 덕을 대조시켰다.

르네상스 이후 살루스티우스는 라틴어 산문의 전형으로 널리 읽혔으며, 문화적 영향력도 컸다. 4세기 제롬은 그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작가"로 평가했고, 『카틸리나의 음모』와 『유구르타 전쟁』은 중세에도 인기가 있었다. 1470년 베네치아에서 인쇄, 출판되었으며, 16세기 이후 사본 검증과 보주 작업이 이루어져 19세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널리 읽혔다.

5. 평가

살루스티우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 사회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부패와 도덕적 타락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보여주었으며, 간결하고 박력 있는 문체로 역사 서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 그러나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역사를 왜곡하고, 지나치게 도덕주의적 관점에서 역사를 해석하였으며, 지리, 연대기적 오류도 발견된다는 비판도 받는다.[26]

5. 1. 긍정적 평가

라퀼라에 있는 살루스티우스의 동상


살루스티우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 사회상을 생생하게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부패와 도덕적 타락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보여주었으며,[3] 간결하고 박력 있는 문체로 역사 서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

5. 2. 부정적 평가

살루스티우스는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역사를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6] 지나치게 도덕주의적 관점에서 역사를 해석했다는 지적도 있으며,[26] 지리, 연대기적 오류도 발견된다.

6. 가족 관계

자신에게 자녀는 없었으며, 동족으로부터 동명의 양자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를 맞이했다. 이 양자는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의 사적인 측근의 지위를 얻었다.

그는 아그리파 포스투무스 살해에 관여한 것으로 여겨지며, 20년경에 사망했다. 그의 양자 역시 루키우스 파시에누스 루푸스에게서 양자를 들였으며,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 파시에누스라고 칭하고, 칼리굴라의 총애를 받아 집정관을 두 번 역임했다.

7. 연표

연도나이사건
기원전 112년 ~ 기원전 106년유구르타 전쟁
기원전 86년0세이탈리아 아미테르눔에서 출생
기원전 63년23세카틸리나 음모 사건
기원전 55년31세재무관 선출
기원전 52년34세호민관 선출
기원전 50년36세원로원에서 추방
기원전 49년37세카이사르 군에 종군
기원전 47년39세재무관 복귀 및 원로원 복귀
기원전 46년40세법무관 선출, 아프리카 노바 속주 총독 임명
기원전 44년42세카이사르 암살 후 정계 은퇴
기원전 35년51세사망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8] 서적 Гай Саллюстий Крисп. Сочинения Наука
[9] 간행물 "Sallustius (4)", ''Der Kleine Pauly''
[10] 서적
[11] 문서 Annals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The crowd in Rome in the late Republic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8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The Epic Saga of Julius Caesar's Tenth Legion and Rome https://archive.org/[...] Wiley
[20] 서적
[21] 서적
[22] 문서 Adversus Jovinianum http://www.documenta[...]
[23] 논문 Sallust's Wife https://www.jstor.or[...] 1978
[24] 서적 History of the War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1916
[25]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Stefano Ciufferpebble 2007-09-08
[26] 서적 The Gardens of Sallust: A Changing Landsca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7] 서적
[28]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29] 문서 On Famous Grammarians and Rhetoricians
[30]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31] 서적 C Sallustius Crispus, Bellum Catilinae : a commentary https://www.worldcat[...] Brill 1977
[32] 서적 Гай Саллюстий Крисп. Сочинения Москва: Наука
[33] 문서 Annals
[34] 인용
[35] 논문 Review of: The Breakdown of the Roman Republic: From Oligarchy to Empire https://bmcr.brynmaw[...]
[36] 논문 Review of "The Political Thought of Sallust" by DC Earl https://www.cambridg[...] 1963
[37]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2002
[38] 서적 История анти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Учпедгиз 1946
[39] 문서 On Famous Grammarians and Rhetoricians
[40] 문서 Noctes Atticae
[41] 문서 Institutio Oratoria https://penelope.uch[...]
[42]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2002
[43] 서적 Twilight of the Idols https://www.gutenber[...] TN Foulis 1911
[44] 서적 История рим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Греко-латинский кабинет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