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육부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육부제는 중국의 중앙 행정 조직으로, 진나라와 한나라의 삼공구경 제도를 계승하여 발전했다. 당나라에서 체계화된 3성 6부제는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의 3성과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의 6부로 구성되어 입법, 심사, 행정의 역할을 분담했다. 이 제도는 발해와 고려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각 국가의 상황에 맞게 변형되어 운영되었다. 삼성육부제는 이후 중국 왕조와 동아시아 여러 국가의 행정 체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성육부 - 상서성
    상서성은 중국 진나라 시대에 기원하여 황제의 명령을 실행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발전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외교 문서 관장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 삼성육부 - 중서성
    중서성은 중국 왕조에서 황제의 비서 기관으로 시작하여 행정, 재상 기능을 수행했으며 시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변화하다가 명나라 홍무제에 의해 폐지되었다.
  • 수나라 - 소그디아
    소그디아는 아무다리야강과 시르다리야강 사이 제라흐샨 강 유역을 중심으로 실크로드의 요충지였던 고대 지역으로 현재의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에 걸쳐 있으며 아케메네스 제국을 시작으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이슬람화되었고, 소그드인들은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 수나라 - 견수사
    7세기 초 왜국이 수나라에 파견한 사절단인 견수사는 수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 정치 체제를 정비하는 데 기여했으나 외교적 마찰도 있었다.
삼성육부제
개요
명칭삼성육부 (三省六部)
한글삼성육부제 (三星六部制)
로마자 표기Sam Seong Yuk Bu
중국어 병음Sān Shěng Liù Bù
베트남어Tam tỉnh lục bộ
구조
삼성육부 구조도
삼성육부 구조도
내용
정의중국, 한국, 베트남 제국 왕조의 행정 구조
구성중서성 (中書省)
문하성 (門下省)
상서성 (尙書省)
이부 (吏部)
호부 (戶部)
예부 (禮部)
병부 (兵部)
형부 (刑部)
공부 (工部)

2. 기원과 초기 역사

3성 6부제의 기원은 진나라한나라의 중앙 행정 조직인 삼공구경(三公九卿) 제도에서 찾을 수 있다. 한무제 시대에 상서성은 황제의 조언자들과 소통하는 창구 역할을 하며 중요성이 커졌다. 후한 시대에는 자문 및 검토를 담당하는 관청도 설치되었다. 위 문제 시대에 중서성이 정식으로 창설되어 황제의 칙령을 작성하고 상서성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3. 당나라의 3성 6부

당나라 정부 계층 구조


당나라에서는 3성 6부제가 체계화되었다. 3성은 황제를 보좌하는 기관으로, 중서성(中書省), 문하성(門下省), 상서성(尙書省)을 말한다. 6부는 상서성 아래에 있는 실무 기관으로,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를 말한다.[1]

진나라한나라의 중앙 행정 조직인 삼공구경(三公九卿) 제도가 삼성육부제 이전의 형태였다. 상서성진나라 (기원전 221–206년)에서 문서 보관 업무를 수행하는 관청으로 시작되었다. 한 무제 (재위 기원전 141-87년) 치세 동안 상서성은 황제의 조언자들과 정부 전체 간의 소통 채널 역할을 했다. 후한 (25–220) 시대에는 자문 및 검토를 담당하는 관청도 설치되었다. 위 문제 (재위 220–226) 치세 동안에는 황제의 칙령을 작성하고 강력한 상서성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중서성이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중서성은 서진 (266–420)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남북조 시대 (420–589)까지 이어져 중앙 정부에서 가장 강력한 관청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 (618~907) 시대에 상서성의 영(令) 직책은 대부분 공석으로 유지되었으며, 채워질 경우 이세민 (재위 626~649) 또는 당 덕종 (재위 779~804)과 같은 태자가 임명되었다. 실질적인 기관의 수장이었던 보야(僕射)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그 직책은 좌우 보야로 나뉘었고, 전자가 선임이었다. 때때로 보야는 재상과 권력이 동등하거나 심지어 그를 능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당나라 중반에 재상들이 다시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상서성 보야들은 정책 결정 논의에 참여하기 위해 특별한 지위를 가져야 했다. 그 후 상서성은 순수한 행정 기관이 되었다. 육부는 공식적으로 육부로 나뉘었고, 각 부서는 상서(尚書)가 수장이었다. 여섯 개의 부서는 지방의 주(州) 수준으로 복제되었고, 각 부서는 중앙 정부의 해당 부서에 직접 보고했다. 육부 외에도 상서성은 구시와 삼사를 관할했다. 상서성은 정부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였으며 많은 관료들에게 수입과 직위를 제공했다. 이 기관은 원나라 (1271~1368)까지 존속했으며, 이후의 명나라에서는 다시 설치되지 않았다.[3]

당나라 중기부터 문하성의 권한이 점차 약화되어 당나라 후반에는 거의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문하성은 귀족의 이해를 대표하며 국정을 감시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황제 독재가 강화되자 중서성에 실권을 빼앗기게 되었다. 그러나 당나라 말기에는 중서령까지 명예직화하여 하급 관료에게 재상급의 권한을 주어 실무를 보게 하였다. 이를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라고 부른다.[1]

3. 1. 3성 (三省)

중서성(中書省), 문하성(門下省), 상서성(尙書省)은 황제를 보좌하는 세 기관이었다.

각 성의 역할은 다음과 같았다.

  • 중서성: 황제와 상의하여 아래에서 올라온 상소 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법안 문서를 만들었다.
  • 문하성: 중서성에서 만든 법안을 심사하고, 필요하면 중서성으로 돌려보냈다. 중서성과 함께 입법 기능을 담당했다.
  • 상서성: 문하성의 심사를 통과한 법안을 실제 행정으로 옮겼다.


각 성의 장관은 다음과 같았다.

  • 중서성: 수나라 때는 내사령(内史令), 당나라 때는 중서령(中書令)이라고 불렀으며, 정원은 2명이었다.
  • 문하성: 수나라 때는 납언(納言), 당나라 때는 시중(侍中)이라고 불렀으며, 정원은 2명이었다.
  • 상서성: 상서령(尙書令)이라고 불렀으나, 당나라에서는 태종이 황제가 되기 전에 이 직책을 맡았기 때문에 공석으로 두고, 차관인 좌복야와 우복야가 실질적인 장관 역할을 했다.


재상은 상설 직책은 아니었지만, 중서령, 문하시중, 좌복야·우복야가 재상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1]

3. 2. 6부 (六部)

상서성 관할의 실무 기관으로 육부가 있었다. 각 부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1]

부서역할
이부관료의 인사 담당.[4]
호부재정과 지방 행정 담당.[4]
예부예제(禮制, 교육·윤리)와 외교 담당. 1861년 총리각국사무아문이 설립되기 전까지 중국의 외교 관계를 처리했으며, 과거 제도를 관리.[4]
병부군무 담당.[4]
형부사법과 경찰 업무(치안) 담당.[4]
공부공공 공사 담당.[4]



육부의 장관은 상서(尙書)라고 불렸다.

3. 3. 3성 6부의 변화 (당나라 중기 이후)

당나라 중기부터 문하성의 권한이 점차 약화되어 당나라 후반에는 거의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문하성은 귀족의 이해를 대표하며 국정을 감시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황제 독재가 강화되자 중서성에 실권을 빼앗기게 되었다. 그러나 당나라 말기에는 중서령까지 명예직화하여 하급 관료에게 재상급의 권한을 주어 실무를 보게 하였다. 이를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라고 부른다.[1]

4. 송나라의 3성 6부

송나라에서도 동중서문하평장사가 재상의 위치를 차지했고, 그 부속기관을 중서문하성이라고 불렀다. 삼사(三司)와 추밀원(樞密院) 등의 기관이 신설되어 중서문하성은 주로 고급 관료의 인사를 담당했다. 원풍개혁 이후에는 6부가 중서문하성과 삼사 등의 권한을 흡수하여 실권을 담당하게 되었다. 재상은 상서좌복야 겸 문하시랑, 상서우복야 겸 중서시랑으로 불렸으며, 3성의 재상급 명칭과 6부의 집행을 맡은 관직을 겸하는 형식이 되었다.

5. 원나라의 3성 6부

원나라중서성당나라의 중서성과는 그 의미가 달랐다. 몽골의 직속 무장이 맡는 집정관을 중국어로 승상이나 중서령이라 불렀고, 그가 통솔하는 기관도 중서성이라 칭했다.[10] 중서성에서 군무기관인 추밀원과 재정기관인 상서성이 독립하였다.[10]

원나라 제도는 당나라의 3성 6부 명칭을 사용했지만, 그 내용은 전혀 달랐다.[10] 중서령은 황족이 맡거나 공석이었고, 실제 업무는 좌우 재상이 수행했다.[10] 재상 아래에는 네 명의 평장정사와 좌우 승상이 있었는데, 이들을 통칭 재상(宰執)이라 불렀다.[10] 재상 아래에는 문서 작업을 담당하고 결정에 참여하는 네 명의 참의중서성사가 있었다.[10] 중서성은 육부를 통제하여, 기능적으로 정부의 핵심이었다.[10] 현재의 산둥 성, 산시 성, 허베이 성, 내몽골 자치구 지역은 중서성에 직접 종속되었다.[10]

6. 명나라와 청나라의 6부

명나라 주원장은 원나라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서령을 두었으나, 황제 독재를 위해 3성을 혁파하고 중서령을 폐지하였다. 6부는 재상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당나라에 준하는 기관으로 설치되었고, 각 부에 상서를 두어 황제 직속으로 삼았다. 내각대학사(內閣大學士)가 실권을 잡게 되자, 실질적인 재상으로서 6부를 통솔하였다. 이 6부는 청나라 말기에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다.

7. 한국의 3성 6부

고려발해 이전의 한국 역사에서는 3성 6부와 관련된 제도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7. 1. 발해

발해의 제도를 수용했으나, 명칭과 운영에서 독자성을 유지했다. 3성은 정당성(상서성),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서성)으로 구성되었다. 정당성의 장관은 대내상이며, 좌사정은 충(忠)·인(仁)·의(義)부를, 우사정은 지(智)·예(禮)·신(信)부를 관할했다. 발해의 6부 명칭은 유교적인 영향을 받았다. 정당성은 귀족회의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1]

7. 1. 1. [[발해의 중앙 관제]] 구조

발해의 제도를 수용하였으나, 그 명칭과 운영은 발해의 독자성을 유지하였다. 발해의 3성은 정당성(상서성에 해당),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서성)으로 구성되었다. 정당성의 장관은 대내상이며 그 밑으로 좌사정이 충부(이부)·인부(호부)·의부(예부)의 3부를, 우사정은 지부(병부)·예부(형부)·신부(공부)를 관할하였다. 당의 상서성이 6부를 전부 관할하는 점에서 발해는 독자적인 형태를 보였다. 또한 발해의 각 6부 명칭은 관료적 성격의 당나라 명칭과는 달리 유교적인 영향을 받았다. 3성의 대표인 정당성은 귀족회의의 성격을 띄고 있었으며, 당시 신라의 화백회의와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1]

국왕
선조성정당성중대성
충부인부의부지부예부신부


7. 2. 고려

고려는 당의 3성 6부를 수용했으나, 중서성문하성을 통합한 중서문하성으로 운영하여 2성 6부가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서긍의 고려도경에는 중서성과 문하성의 건물이 따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3성 6부제를 채택했다는 학설도 존재한다.[1]

7. 2. 1. [[고려의 중앙 관제]] 구조

고려 때에는 당나라의 3성 6부를 수용하였으나, 중서성문하성을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중서문하성이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서긍의 고려도경에는 중서성과 문하성의 건물이 따로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전시과에 따른 녹봉이 중서성과 문하성에 각각 따로 지급되는 등, 고려 역시 3성 6부제를 채택했다는 학설도 있다. 고려 때 중서성과 문하성은 따로 있었다가 하나로 합쳐져 중서문하성이 되면서 '''2성 6부'''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hangshusheng 尚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 웹사이트 shangshusheng 尚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3] 웹사이트 shangshusheng 尚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4] 웹사이트 liubu 六部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5]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6]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7]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8]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9]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0] 웹사이트 zhongshusheng 中書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1] 웹사이트 neige 内閣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2] 웹사이트 menxiasheng 門下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3] 웹사이트 menxiasheng 門下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4] 웹사이트 menxiasheng 門下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5] 웹사이트 menxiasheng 門下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6] 웹사이트 menxiasheng 門下省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