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섭정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섭정 시대는 조지 3세가 정신 질환으로 인해 섭정 왕세자 조지 4세가 1811년부터 1820년까지 섭정으로 통치한 시기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나폴레옹 전쟁, 사회 변화, 산업 혁명, 예술과 건축의 발전을 특징으로 한다. 섭정 시대는 예술과 건축의 화려함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젠시 양식이 유행했다. 사회적으로는 계층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었고, 빈곤과 사회 불안이 존재했다. 정치적으로는 토리당이 장기 집권했으며, 사회 개혁 운동이 전개되었다. 문화적으로는 제인 오스틴, 바이런 경, 존 컨스터블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활동했으며, 문학, 미술, 음악, 건축 등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섭정 시대는 오늘날까지도 대중문화에서 빈번하게 다루어지는 매력적인 시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섭정시대
시대 개요
명칭섭정 시대
시작1795년경
종료1820년/1837년
이전 시대조지 시대
다음 시대빅토리아 시대
관련 주제건축
문학
패션
통치자
군주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섭정조지 왕세자
정치 지도자
수상윌리엄 피트 (소 피트)
헨리 애딩턴 (초대 시드머스 자작)
윌리엄 그렌빌 (초대 그렌빌 남작)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제3대 포틀랜드 공작)
스펜서 퍼시벌
로버트 젠킨슨 (제2대 리버풀 백작)
조지 캐닝
프레더릭 로빈슨 (초대 고드리치 자작)
아서 웰즐리 (초대 웰링턴 공작)
찰스 그레이 (제2대 그레이 백작)
윌리엄 램 (제2대 멜버른 자작)
로버트 필
이미지
조지 4세
조지 4세, 토머스 로렌스 그림 (1814년경)

2. 역사적 배경

섭정 시대는 미술과 건축의 우아함과 성취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는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으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은 영국 본토와 유럽 국가들의 경제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많은 희생이 있었지만, 동시에 문화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세련된 시대로 여겨졌으며, 영국 사회 구조 전체를 변화시켰다.[63]

섭정 왕태자(이후 조지 4세)는 예술과 건축의 후원자였다. 소규모 문화적 르네상스 속에서 영국의 상류 사회는 번성했다. 섭정 왕태자는 브라이턴 파빌리온의 건조와 개조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등 미술 분야의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이었다. 또한, 칼턴 하우스를 비롯한 많은 건물의 건설에 투자했다 (존 내시, 제임스 버튼, 데시머스 버튼 참조). 섭정 왕태자(이후 국왕)의 사치스러운 성향으로 왕실 경비는 모두 소진되었고, 결국 국고에서 자금을 지원받아야 했다.[63]

당시 잉글랜드는 아름다움과 패션을 자랑했지만, 사회는 고도로 계급화되어 어두운 면도 존재했다. 런던의 빈민 지역에서는 절도, 불륜, 도박, 슬럼의 존재, 술에 취한 사람들이 만연했다.[64] 인구도 크게 증가하여 1801년에는 100만 명에 가까웠던 인구가 1820년에는 125만 명 정도로 늘어났다.[64] 이러한 인구 증가는 혼란스러웠지만, 역동적이고 활기 넘치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로버트 사우디에 따르면, 사회 계층 간의 차이는 매우 컸다.

이러한 변화는 돈과 청년기의 반항심뿐만 아니라 기술의 진보도 이끌었다. 1814년, 타임스 지가 증기식 인쇄기를 도입하면서 시간당 200부도 인쇄하지 못했던 것이 5배 이상인 1,100부까지 증가하여 생산 능력과 수요가 크게 늘었다.[66] 증기식 인쇄기를 통해 출판사들은 당시 큰 인기를 끌었던 사교계 소설에서 부유층과 귀족들의 이야기, 소문, 과시적인 이야기를 퍼뜨릴 수 있었다. 때로는 그러한 이야기의 주인공을 암시하기도 했다. 사회 계층 간의 큰 격차로 인해 하류층 시민들은 상류 사회를 현실에 존재하지만 손이 닿지 않는 존재로 인식하면서 기묘하고 공상적인 픽션으로 여겼다.

2. 1. 섭정법 성립 과정

조지 3세는 1760년 왕위에 올랐으며, 1765년과 1811년 두 차례에 걸쳐 섭정법 제정에 관여했다.[2] 1765년까지 세 명의 어린 자녀가 왕위 계승 순위에 오르자, 의회는 1765년 왕위 계승 미성년자 법을 통과시켜 필요할 경우 샬롯 왕비 또는 작센-고타의 아우구스타 공주가 섭정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했다.[2]

조지 3세는 1788년 여름에 오랜 기간 정신 질환을 앓았다. 의회는 1789년 섭정 법안을 제안하여 하원에서 통과되었으나, 상원 논의 전에 국왕이 회복되어 법안은 철회되었다.[3]

1810년, 조지 3세의 정신 건강이 악화되자 의회는 1811년 섭정법을 통과시켰다.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의 직무를 정지당했고, 웨일스 공 (조지 4세)은 1811년 2월 5일에 섭정으로 직무를 시작했다.[4] 처음에는 의회가 섭정의 권한을 일부 제한했지만, 그 제약은 법안 통과 후 1년 후에 만료되었다.[5]

1830년, 조지 4세가 사망한 후 의회는 1830년 섭정법을 통과시켰다. 윌리엄 4세의 추정 상속인은 켄트의 빅토리아 공주였다. 새 법은 윌리엄 4세가 빅토리아 공주의 18번째 생일 전에 사망할 경우, 그녀의 어머니인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주가 섭정이 되도록 규정했다.

2. 2. 조지 4세의 섭정 통치 (1811-1820)

George Augustus Frederick영어[51]은 9년간의 섭정 시대를 시작하여 "섭정 공"으로 알려졌다. 조지 시대의 이 하위 기간은 공식적인 섭정 시대를 시작했다. 웰링턴 공작반도 전쟁에서 푸엔테스 데 오뇨로와 알부에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했다. 섭정 공은 1811년 6월 19일 오후 9시에 섭정 취임을 기념하여 칼턴 하우스에서 칼턴 하우스 축제를 열었다. 러다이트 운동 발생. 글래스고에서 직조공들이 폭동을 일으켰다.

; 1812년: 스펜서 퍼시벌 총리 암살은 영국 하원에서 일어났다. 엘긴 마블의 마지막 선적이 영국에 도착했다. 사라 시돈스가 무대에서 은퇴했다. 선박 및 영토 분쟁으로 영국과 미국의 1812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영국군은 살라망카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가스 회사(가스 라이트 앤드 코크 컴퍼니)가 설립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작가이자 사회 비평가인 찰스 디킨스가 1812년 2월 7일에 태어났다.

; 1813년: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이 출판되었다. 윌리엄 헤들리의 퍼핑 빌리는 초창기 증기 기관차로 매끄러운 레일을 달렸다. 퀘이커의 감옥 개혁가 엘리자베스 프라이가 뉴게이트 감옥에서 사역을 시작했다. 로버트 사우디가 계관 시인이 되었다.

; 1814년: 동맹군의 프랑스 침공으로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나폴레옹 전쟁 중 하나가 종결되었다. 나폴레옹은 퇴위하여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 웰링턴 공작은 런던 벌링턴 하우스에서 표창을 받았다. 영국 군인들이 백악관을 불태웠다. 마지막 템스 강 결빙 축제가 열렸으며, 이것이 강이 얼어붙은 마지막 해였다. 가스등이 런던 거리에 도입되었다.

; 1815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1세는 제7차 대프랑스 동맹에 의해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했다. 나폴레옹은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영국의 곡물법은 곡물 수입을 제한했다. 험프리 데이비 경이 광부용 안전 램프 특허를 받았다. 존 로던 맥아담의 도로 건설 방법이 채택되었다.

; 1816년: 소득세가 폐지되었다. 1815년 탐보라 화산 폭발로 인해 "여름이 없는 해"가 뒤따랐다. 메리 셸리는 ''프랑켄슈타인''을 썼다. 윌리엄 코벳은 자신의 신문을 팸플릿으로 발행했다. 영국은 인도네시아를 네덜란드에 반환했다. 런던의 리젠트 운하가 건설의 첫 번째 단계를 시작했다. 보 브럼멜은 채권자들을 피해 프랑스로 도망쳤다.

; 1817년: 앙토냉 카렘은 섭정 공을 위해 브라이튼의 로열 파빌리온에서 화려한 연회를 열었다. 섭정 공의 딸인 웨일스 공주 샬럿의 출산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산부인과 진료를 변화시켰다. 엘긴 마블이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블라이 선장이 사망했다.

; 1818년: 샬럿 여왕이 에서 사망했다. 맨체스터 면직공들이 파업을 시작했다. 카운티 더럼 스탠호프에서 납광부와 더럼 주교의 사람들 사이에 웨어데일 게임 권리를 놓고 폭동이 일어났다. 런던에 피카딜리 서커스가 건설되었다. ''프랑켄슈타인''이 출판되었다. 에밀리 브론테가 태어났다.

; 1819년: 피터루 학살. 알렉산드리아 빅토리아 공주(미래의 빅토리아 여왕)가 켄싱턴 궁전에서 세례를 받았다. 월터 스콧의 ''아이반호''가 출판되었다. 영국 행정관인 스탬퍼드 래플스 경이 싱가포르를 설립했다. 최초의 증기 추진 선박(SS ''사바나'')이 대서양을 횡단하여 조지아주 서배너에서 리버풀에 도착했다.

; 1820년: 조지 3세가 사망하고 "섭정 공"이 조지 4세로 즉위했다. 귀족원은 조지 4세에게 캐롤라인 여왕과의 이혼을 허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여론의 압력으로 인해 법안이 폐기되었다. 존 컨스터블은 ''건초 마차'' 작업에 착수했다. 카토 스트리트 음모가 실패했다. 왕립 천문학회가 설립되었다. ''밀로의 비너스''가 발견되었다.

섭정 시대는 미술과 건축의 우아함, 그리고 두 분야에서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대는 사회, 정치, 경제의 대변혁기였으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등과의 전쟁은 본국과 유럽 국가의 경제와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한 살육이 있었지만, 동시에 문화적으로 크게 진보한 세련된 시대로 여겨졌으며, 영국 전체의 사회 구조를 바꾸었다.

섭정 왕태자 (후의 조지 4세) 자신도 미술과 건축의 후원자였다. 소규모 문화적 르네상스 속에서 영국의 상류 사회는 번성했다. 섭정 왕태자는 미술 분야의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으로서, 아름답고 이국적인 브라이턴 파빌리온의 건조와 개조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건축에서는 화려한 칼턴 하우스 등 많은 건물의 건설에 투자했다 (존 내시, 제임스 버튼, 데시머스 버튼 참조). 섭정 왕태자, 후에 국왕의 사치스러운 성향으로 왕실 경비는 다 소진되었고, 결국 국고에서도 돈을 내게 되었다.[63]

3. 사회

섭정 시대는 미술과 건축에서의 업적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나폴레옹 전쟁은 본국과 유럽 국가의 경제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으로 인한 피해도 있었지만, 문화적으로는 크게 발전하였고, 영국의 사회 구조를 바꾸었다.[63]

섭정 왕태자(후의 조지 4세)는 예술건축의 후원자였다. 그는 아름답고 이국적인 브라이턴 파빌리온의 건조와 개조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존 내시, 제임스 버튼, 데시머스 버튼과 같은 건축가들과 협력하여 화려한 칼턴 하우스 등 많은 건물을 건설했다. 섭정 왕태자의 사치스러운 성향으로 왕실 경비가 바닥나자 국고에서도 돈을 지원해야 했다.[63]

당시 잉글랜드는 아름다움과 패션으로 유명했지만, 사회는 엄격하게 계층화되어 있었고, 어두운 면도 존재했다. 런던의 빈민 지역에서는 절도, 불륜, 도박, 슬럼 등이 만연했다.[64] 인구도 크게 증가하여 1801년에는 100만 명에 가까웠던 인구가 1820년에는 125만 명 정도가 되었다.[64] 로버트 사우디는 사회 계층 간의 큰 차이를 언급했다.

1814년, 타임스 지는 증기식 인쇄기를 도입하여 시간당 인쇄 부수를 200부에서 1,100부로 5배 이상 늘렸다.[66] 이로 인해 출판사들은 사교계 소설을 통해 부유층과 귀족들의 이야기를 빠르게 퍼뜨릴 수 있었다.

당시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제목설명
{{lang
{{lang
타임스
옵저버
코벳의 주간 신문 『{{lang』
{{lang


3. 1. 사회 계층과 양극화

섭정 시대 영국은 엄격한 계급 사회였다. 귀족과 상류층은 예술건축을 후원하며 화려한 생활을 누렸다. 왕세자 섭정은 이국적인 브라이튼 궁전, 화려한 칼턴 하우스 등 값비싼 건축물 건설 및 개조를 명령했다. 이러한 사치는 일반 국민을 희생하여 추구되었다.[11]

반면, 빈민층은 빈곤과 열악한 환경에 시달렸다. 런던의 빈민가(러커리)는 범죄, 매춘, 도박 등이 만연한 곳이었다.[13] 세인트 자일스가 대표적인 예시였다. 로버트 사우디는 빈민가의 비참함과 섭정 시대 상류층의 화려함을 비교했다.[14] 1801년 1백만 명 미만에서 1820년 125만 명으로 증가한 인구 증가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심화시켰다.[13]

3. 2. 사회 변화와 개혁 운동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 구조가 변화하고, 노동자 계급의 권익 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러다이트 운동(1811-1812), 피털루 학살(1819) 등 사회 불안을 보여주는 사건들이 발생했다. 노예 제도 폐지, 감옥 개혁, 선거 제도 개혁 등 사회 개혁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64]

이 시기 잉글랜드는 고도로 계급화된 사회였으며, 런던의 빈민 지역에서는 절도, 불륜, 도박, 슬럼 등이 만연했다. 인구 또한 1801년 100만 명에서 1820년 125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64] 로버트 사우디는 사회 계층 간의 현격한 차이를 지적했다.

이러한 사회 변화는 돈과 청년기의 반항심뿐만 아니라 기술 발전도 영향을 미쳤다. 1814년, 타임스 지는 증기식 인쇄기를 도입하여 시간당 인쇄 부수를 200부에서 1,100부로 5배 이상 늘렸다. 이로 인해 출판사들은 사교계 소설을 통해 부유층과 귀족들의 이야기를 빠르게 퍼뜨릴 수 있었고, 하류층 시민들은 상류 사회를 동경하면서도 현실과 동떨어진 환상으로 여기게 되었다.[66]

4. 정치

1811년 섭정법에 따라 섭정 공은 1811년 2월 5일에 섭정 직무를 시작했다.[4] 초기에는 의회가 섭정의 권한을 일부 제한했지만, 이 제약은 법안 통과 후 1년 뒤에 만료되었다.[5]

토리당휘그당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1783년부터 1830년까지는 토리당이 장기 집권했으나, 1806년 2월부터 1807년 3월까지는 휘그당이 이끈 국가 연합 정부가 존재했다. 휘그당은 선거 제도 개혁 등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1812년 스펜서 퍼시벌 총리가 영국 하원에서 암살당하는 사건(스펜서 퍼시벌 암살)은 당시 정치적 불안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18]

다음은 섭정 시대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인물 목록이다.

인물설명
헨리 애딩턴 (제1대 시드머스 자작)
윌리엄 그렌빌 (제1대 그렌빌 남작)
찰스 그레이 (제2대 그레이 백작)
로버트 젠킨슨 (제2대 리버풀 백작)
스펜서 퍼시벌암살됨
로버트 스튜어트 (캐슬레이 자작)
아서 웰즐리 (제1대 웰링턴 공작)토머스 로렌스 작, 1814년. --
조지 4세웨일스 공, 섭정 왕세자, 국왕


5. 경제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한 경제 봉쇄와 전후 불황은 영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10] 전쟁은 국내외 상업에 큰 영향을 미쳐, 대규모 실업빈곤을 초래했다.[10] 1816년에는 여름 없는 해로 흉작이 발생하여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0] 인구 증가 또한 빈곤 문제를 심화시키는 한 요인이었다.[10]

1815년 곡물법 시행으로 곡물 수입이 제한되자 식량 가격이 폭등했고, 이는 빈민층의 고통을 가중시켰다.[10]

산업 혁명으로 면직물 공업 등 일부 산업이 발전했지만, 한편으로는 대량 실업과 빈곤 문제를 야기했다.

6. 문화

섭정 시대는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은 시기였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은 영국과 유럽 각국의 경제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록 나폴레옹 전쟁으로 많은 희생이 있었지만, 이 시기는 문화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세련된 시대로, 영국 사회 구조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왔다.[63]

섭정 왕태자(훗날의 조지 4세)는 미술과 건축의 열렬한 후원자였다. 그는 브라이턴 파빌리온 건설 및 개조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등, 소규모 문화적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왕실 경비가 소진되자 국고에서 자금을 지원받기도 했다.[63]

화려한 겉모습과는 달리, 섭정 시대 영국 사회는 계급화가 심했고 어두운 면도 존재했다. 런던의 빈민 지역에서는 절도, 불륜, 도박, 슬럼 등이 만연했다.[64] 1801년 100만 명에 가까웠던 인구는 1820년에 125만 명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64]

로버트 사우디는 섭정 시대 사회의 화려함과 그 이면에 숨겨진 비참함 사이의 극명한 대조를 지적했다. 빈곤에 대한 대책은 거의 없었으며, 조지 3세 퇴위 후 섭정 시대는 보다 경건하고 보수적인 사회에서 경박하고 허영심 많은 사회로 변화했다. 섭정 왕태자는 정치와 군사에서 멀어져 쾌락과 아버지에 대한 반항에 몰두했다.[65]

1814년 타임스 지는 증기식 인쇄기를 도입하여 시간당 인쇄 부수를 200부에서 1,100부로 5배 이상 늘리는 혁신을 이루었다.[66]

6. 1. 건축

섭정 시대는 건축 분야에서 독특한 양식, 즉 리젠시 양식(Regency style)이 발전한 시기였다. 존 내시, , 등은 섭정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가로, 리젠트 파크, 리젠트 스트리트 등 런던의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다.[63]

6. 2. 문학

제인 오스틴, 월터 스콧, 바이런 경 등 낭만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이 시대에 활동했다.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1818) 등 고딕 소설도 인기를 끌었다.[66] 증기식 인쇄기의 발달로 출판사들은 당시 유행하던 사교계 소설을 통해 부유층과 귀족들의 이야기, 소문 등을 퍼뜨릴 수 있었다.

6. 3. 미술

존 컨스터블과 J. M. W. 터너는 섭정 시대의 대표적인 풍경화가로, 영국의 아름다운 자연을 화폭에 담았다.[10] 토마스 로렌스와 마틴 아처 시는 영국 왕립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한 저명한 초상화가로, 귀족과 유명 인사들의 모습을 주로 그렸다.[10] 1824년에는 런던에 내셔널 갤러리가 설립되어 대중에게 미술 작품을 공개하는 계기가 되었다.[10]

6. 4. 패션

섭정 시대 남성 패션은 멋쟁이 브러멜로 대표되는 댄디즘(dandyism)의 영향을 받아 세련되고 우아한 스타일이 유행했다. 여성 패션은 엠파이어 스타일(Empire style)이 유행했으며, 하이 웨이스트 라인과 가벼운 소재의 드레스가 특징이었다.

7. 과학과 기술

1814년 더 타임스는 증기 인쇄를 채택하여 시간당 1,100장을 인쇄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이전 시간당 200장 인쇄 속도의 5.5배에 달하는 발전이었다.[24] 이러한 인쇄 기술의 발전은 은수저 소설의 유행을 가능하게 했다.[25] 또한, 증기 인쇄기의 도입은 출판사들이 당시 인기 있었던 사교계 소설에서 부유층과 귀족들의 이야기, 소문 등을 퍼뜨리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66]

8.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섭정 시대에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은 사회 계층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상류층은 무도회를 포함하여 사냥, 경마, 크리켓, 조정 등을 즐겼다.[33][47] 특히 크리켓의 경우, 1787년 메릴본 크리켓 클럽(MCC)이 설립되어 스포츠 규칙을 제정하고 로즈 크리켓 경기장을 주요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33] 경마는 5개의 클래식 경주가 모두 시작되어 1814년부터 매년 개최될 정도로 인기 있었다.

조지 고든 바이런과 같은 유명 인사도 스포츠에 참여했는데, 바이런은 1805년 로즈 경기장에서 열린 첫 이튼 칼리지 대 해로우 스쿨 크리켓 경기에 해로우 스쿨 소속으로 출전하기도 했다.[36]

일반 대중은 권투, 축구, 육상 경기 등을 관람하거나 참여했다. 축구는 선수 수 제한 없이 마을 전체가 참여하는 형태였으며, 참회 화요일과 같은 축제일에 주로 경기가 열렸다.[37][38] 19세기 초 퍼블릭 스쿨에서 군중 축구를 조직적인 팀 스포츠로 바꾸려는 노력이 있었고, 이튼 칼리지(1815년)와 알데넘 학교(1825년)에서 초기 축구 규칙이 기록되었다.[39]

육상 경기는 19세기 초 학교, 대학교, 군대 등에서 경쟁 형태로 개최되었으며, 로열 슈루즈베리 학교 사냥 클럽(1819년 설립)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달리기 클럽으로 알려져 있다.[49][50]

스코틀랜드에서 축구 경기


여성들은 춤, 승마, 산책 등 제한적인 신체 활동을 즐겼다. 당시에는 여성의 에너지 수준이 제한적이라는 믿음 때문에 과도한 활동은 자제하는 분위기였다.[26][27]

9. 주요 인물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토머스 로렌스 작, 1814년.


바이런 경


존 내시


조지프 뱅크스


마리아 에지워스 by 존 다운만 1807


에드워드 제너


사라 소피아 차일드 빌리어스, 저지 백작부인 (결혼 전 성씨는 페인), by 알프레드 에드워드 샬론


요크 공작의 초상화'' by 토머스 로렌스.


호레이쇼 넬슨


월터 스콧

  • 조지 4세: 섭정 왕태자이자 국왕으로, 예술과 건축을 후원하고 화려한 생활을 즐겼다.[11]
  • 아서 웰즐리, 제1대 웰링턴 공작: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격파한 영국의 군사 지도자.[62]
  •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엠마'' 등 소설을 통해 섭정 시대 사회상을 묘사한 작가.[62]
  • 바이런 경: 낭만주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자유주의 사상을 옹호하고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여했다.[62]
  • 존 내시: 리젠트 파크, 리젠트 스트리트 등 런던의 주요 건축물을 설계한 건축가.[63]
  • 험프리 데이비: 데이비 램프를 발명한 화학자.[62]
  • 루돌프 아커만
  • 아서 에이킨
  • 헨리 애딩턴, 제1대 시드머스 자작
  • 윌리엄 아든, 제2대 앨번리 남작
  • 엘리자베스 아미스테드
  • 찰스 배비지
  • 조지프 뱅크스
  • 리처드 배리, 제7대 배리모어 백작
  • 헨리 배서스트, 제3대 배서스트 백작
  • 윌리엄 비치
  • 윌리엄 블레이크
  • 보 브럼멜
  • 메리 브런턴
  • 프레더릭 보클레르 경
  • 헨리에타 폰슨비, 베스버러 백작부인
  • 마르그리트 가디너, 블레싱턴 백작부인
  • 주니우스 브루투스 부스
  • 보우 스트리트 러너스
  • 마르크 이잠바르 브루넬
  • 브라운슈바이크의 캐롤라인
  • 프랜시스 버니
  • 제임스 버튼
  • 데키무스 버튼
  • 조지 캠벨, 제6대 아가일 공작
  • 아멜리아 스튜어트, 캐슬레이 자작부인
  • 로버트 스튜어트, 캐슬레이 자작
  • 조지 캐닝
  • 조지 케일리
  • 조지아나 캐번디시, 데번셔 공작부인
  • 웨일스 공주 샬럿 오거스타
  • 존 클레어
  • 메리 앤 클라크
  • 윌리엄 코벳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패트릭 콜퀀
  • 존 컨스터블
  • 엘리자베스 코닝햄, 콘닝햄 후작부인
  • 톰 크리브
  • 존 윌슨 크로커
  • 조지 크루크샹크
  • 존 돌턴
  • 존 디즈니
  • 데이비드 더글러스
  • 마리아 에지워스
  • 피어스 이건
  • 토머스 브루스, 제7대 엘긴 백작
  • 그레이스 엘리엇
  • 마리아 피츠허버트
  • 엘리자베스 프라이
  • 데이비드 개릭
  • 제임스 길레이
  • 프레데릭 로빈슨, 제1대 고더리치 자작
  • 윌리엄 그렌빌, 제1대 그렌빌 남작
  • 찰스 그레이, 제2대 그레이 백작
  • 엠마 해밀턴 부인
  • 윌리엄 하코트, 제3대 하코트 백작
  • 앤 해턴
  • 윌리엄 해즐릿
  • 윌리엄 헤들리
  • 리 헌트
  • 이사벨라 잉그램-세이모어-콘웨이, 허트퍼드 후작부인
  • 워싱턴 어빙
  • 존 잭슨
  • 에드워드 제너
  • 사라, 저지 백작부인
  • 도로테아 조던
  • 에드먼드 킨
  • 찰스 켐블
  • 존 필립 켐블
  • 스티븐 켐블
  • 마이클 켈리
  • 존 키츠
  • 캐롤라인 램 부인
  • 찰스 램
  • 에밀리 램, 카우퍼 백작부인
  • 토머스 로렌스 경, PRA
  • 리벤 공주
  • 메리 린우드
  • 로버트 젠킨슨, 제2대 리버풀 백작
  • 허드슨 로
  • 에이다 바이런 러브레이스
  • 윌리엄 매크레디
  • 존 로든 맥애덤
  • 멜버른 경
  • 토머스 무어
  • 해나 모어
  • 호레이쇼 넬슨, 제1대 넬슨 자작
  • 엘리자베스 오닐
  • 오렌지 공 윌리엄
  • 조지 오머로드
  • 헨리 파젯, 제1대 앵글시 후작
  • 토머스 페인
  • 존 팔머, 왕립 우편
  • 로버트 필 경
  • 스펜서 퍼시벌
  • 윌리엄 피트 (젊은이)
  • 제인 포터
  • 헤르만, 퓌르스트 폰 퓌클러-무스카우
  • 토머스 드 퀸시
  • 토머스 레이크스
  • 험프리 렙턴
  • 새뮤얼 로저스
  • 토머스 로울런슨
  • 제임스 새들러
  • 월터 스콧
  • 리처드 "대화" 샤프
  • 마틴 아처 쉬
  • 퍼시 비시 셸리
  • 메리 셸리
  • 리처드 브린슬리 셰리던
  • 사라 시돈스
  • 존 손
  • 애덤 세지윅
  • 존 웨지우드
  • 리처드 웰즐리, 제1대 웰즐리 후작
  • 아멜리아 스튜어트, 캐슬레이 자작부인
  • 토머스 텔포드
  • 벤저민 톰슨, 럼포드 백작
  •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 헨리 배설-폭스, 제3대 홀랜드 남작
  • 벤저민 웨스트
  • 윌리엄 윌버포스
  • 윌리엄 울라스턴
  • 윌리엄 워즈워스
  • 제프리 와이어트빌
  • 토머스 영

10. 섭정 시대 관련 장소

제임스 길레이의 본드 스트리트 변화 (1795년)

  • 아델피 극장[68]
  • 알마크스 - 런던의 클럽
  • 앤젤로스(Angelo's영어) - 펜싱 팔러
  • 애슬리 원형 극장
  • 애팅엄 파크(Attingham Park영어)[69]
  • 배스 (잉글랜드)
  • 로열 파빌리온
  • 브라이턴 앤 호브
  • 브룩스 - 신사 클럽
  • 벌링턴 아케이드
  • 버리 세인트 에드먼즈
  • 칼턴 하우스
  • 세인트 제임스 채플 로열
  • 첼트넘
  • 순회 도서관 (1801년 - 1825년)[70]
  • 코벤트 가든
  • 런던 독스의 세관 사무소
  • 돈캐스터 레이스(Doncaster Races영어)[71]
  • 드루리 레인
  • 플로리스 오브 런던
  • 포트넘 & 메이슨
  • 그레트나 그린[72]
  • 잭슨 신사 살롱 - 베어 너클 복싱 챔피언 존 잭슨의 복싱 선수 팔러
  • 해처스
  • 헤이마켓 극장
  • 히즈 마제스티즈 극장
  • 홀랜드 하우스
  • 국회의사당
  • 하이드 파크
  • 저민 스트리트
  • 켄싱턴 가든[73]
  • 킹 오브 클럽스
  • 런던 신사 클럽
  • 로이즈 오브 런던
  • 런던 독스
  • 런던 연구소
  • 런던 우체국[72]
  • 라임 레지스
  • 마셜시 - 1811년에 폐쇄된 감옥. 같은 해에 전 화이트 라이언 감옥으로 이전. 주로 채무자들의 감옥이었지만, 치안 방해자나 정치범도 수감되었다.
  • 메이페어
  • 뉴게이트 감옥
  • 뉴마켓 경마장
  • 올드 베일리 - 법원
  • 구 본드 스트리트 (현 본드 스트리트 남부)
  • 오페라 하우스[74]
  • 펄 멜
  • 더 판테온
  • 라닐라 가든
  • 리젠트 파크
  • 리젠트 스트리트
  • 로열 서커스[74]
  • 로열 오페라 하우스
  • 런던 로열 파크
  • 런델 & 브리지 - 보석 회사
  • 새빌 로
  • 세인트 조지스
  • 세인트 제임스
  • 배스, 시드니 가든[73]
  • 세인트 제임스 파크, 템플 오브 콩코드(Temple of Concord영어)
  • 태터솔스
  • 템스 터널
  • 로열 턴브리지 웰스
  • 복스홀 가든
  • 웨스트 엔드 오브 런던
  • 와티어스 - 신사 클럽
  • 화이츠 - 신사 클럽

11. 대중문화 속 섭정 시대

제인 오스틴의 소설과 그 각색 작품들, 예를 들어 오만과 편견, 엠마, 센스 앤 센서빌리티 등은 섭정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77] 넷플릭스 드라마 브리저튼 또한 섭정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77]

참조

[1]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The Regency before the 20th century https://royalcentral[...] Royal Central 2021-03-10
[3] 논문 Henry Grattan, the Regency Crisis and the Emergence of a Whig Party in Ireland, 1788–9 http://www.jstor.org[...] 2001
[4] 간행물 London Gazette 1811-02-05
[5] 문서 1915
[6] 문서 1915
[7] 서적 Jane Austen: A Compan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1
[8] 서적 Victorian Literature: A Sourcebook Palgrave Macmillan 2012
[9] 서적 Trollope: A Commentary Constable & Co.
[10] 학술지 Why the Notion of Victorian Britain Does Make Sense http://muse.jhu.edu/[...] 2017-05-23
[11] 서적 George IV: Inspiration of the Regency St. Martin's Press 2001
[12] 서적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Since the Accession of George the Third, 1760–1860 https://books.google[...]
[13] 서적 The Regency Underworld Sutton 1999
[14] 문서 George IV Yale University Press 1999
[15] 서적 Augustus Pugin Versus Decimus Burton: A Victorian Architectural Duel Cassell Publishers Ltd
[16]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https://library.eb.c[...] 2022-06-30
[17] 웹사이트 ZSL's History http://www.zsl.org/i[...]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22-07-01
[18] 웹사이트 20 novels that shaped the Victorian era https://www.penguin.[...] 2024-03-05
[19] 학술지 Was There a Regency Literature? 1816 as a Test Case https://www.jstor.or[...] 2012
[20] 서적 Beethoven Norton & Company 1983
[21] 서적 Mendelssohn: a life in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2] 웹사이트 A Walk Through The Regency Era https://wentworthwoo[...] 2024-03-05
[23] 간행물 Jane Austen’s Regency World Magazine
[24] 서적 Manners, Morals, and Class in England, 1774–1859 St. Martin's Press 1994
[25] 서적 A Companion to Romantic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6] 학술지 The home education of girls in the eighteenth-century novel: 'the pernicious effects of an improper education' http://www.tandfonli[...] 2015-07-04
[27] 웹사이트 A History of Women in Sport Prior to Title IX http://thesportjourn[...] The Sport Journal, United States Sports Academy 2018
[28]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7-03
[29] 웹사이트 The Cyber Boxing Zone Encyclopedia presents The Bare Knuckle Heavyweight Champions of England http://www.cyberboxi[...] Cyber Boxing Zone 2022-07-02
[30] 서적 Pugilistica: the history of British boxing containing lives of the most celebrated pugilists https://archive.org/[...] John Grant 2017-07-02
[31] 서적 Boxiana 1813
[32] 서적 Writing the Prizefight: Pierce Egan's Boxiana World
[33] 서적 Lord's 1787–1945 Harrap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The oldest fixture of them all: the annual Eton vs Harrow match http://content-uk.cr[...] Wisden Group 2008-07-23
[37] 서적 Sport Matters: Sociological Studies of Sport, Violence and Civilisation https://archive.org/[...] Routledge
[38] 서적 Sports in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9] 서적 Encyclopedia of British Football Routledge
[40] 서적 The history of the St Leger stakes, 1776–1901 https://archive.org/[...] Hutchinson & Co.
[41] 서적 The Daily Telegraph Chronicle of Horse Racing Guinness Publishing
[42] 문서 Barrett, p. 12
[43] 문서 ''Sporting Magazine'' (1830), May and July editions.
[44] 웹사이트 And they're off – a brief history of Aintree racecourse and the Grand National https://www.ageconce[...] 2019-04-09
[45] 웹사이트 The Birth of The Grand National: The Real Story http://www.tbheritag[...] Thoroughbred Heritage 2020-07-09
[46] 웹사이트 An early history of Aintree racecourse https://www.timeform[...] 2020-04-03
[47] 웹사이트 The Boat Race origins http://theboatrace.o[...] The Boat Race Limited 2022-07-01
[48] 웹사이트 Icons, a portrait of England 1820–1840 http://www.icons.org[...] 2022-07-02
[49] 웹사이트 History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2020-07-02
[50] 간행물 On the Scent of History 1998-12
[51] 웹사이트 George IV (r. 1820–1830) http://www.royal.gov[...] The Royal Household 2015-04-12
[52] 서적 Britain in the Hanoverian Age, 1714-1837: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3] 웹사이트 The Adelphi Theatre, 1806–1900 http://www.emich.edu[...]
[54] 웹사이트 Attingham Park: History http://www.nationalt[...] National Trust 2015-04-12
[55] 뉴스 Roman, Regency and really nearby https://www.telegrap[...] 2006-04-14
[56] 웹사이트 Explore the Regency spa town of Cheltenham https://www.visiteng[...] 2013-12-06
[57] 웹사이트 Circulating Libraries, 1801–1825 http://www.r-alston.[...] 2015-04-12
[58] 웹사이트 Jane Austen: Sports http://www.printsgeo[...] 2015-04-12
[59] 웹사이트 Jane Austen: Places http://www.printsgeo[...] 2015-04-12
[60] 웹사이트 Jane Austen: Gardens http://www.printsgeo[...] 2015-04-12
[61] 웹사이트 Jane Austen: Theatre http://www.printsgeo[...] 2015-04-12
[62] 서적 Britain in the Hanoverian Age, 1714-1837: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3] 문서 Parissien, Steven. ''George IV: Inspiration of the Regency''.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1. p. 117.
[64] 문서 Low, Donald A. ''The Regency Underworld''. Gloucestershire: Sutton, 1999. p. x.
[65] 문서 Smith p. 14.
[66] 문서 Morgan, Marjorie. ''Manners, Morals, and Class in England, 1774–1859''. New York: St. Martin's Press, 1994. p. 34.
[67] 웹사이트 George IV (r. 1820–1830) http://www.royal.gov[...] The Royal Household 2015-04-12
[68] 웹사이트 The Adelphi Theatre, 1806–1900 http://www.emich.edu[...] 2017-07-29
[69] 웹사이트 Attingham Park: History http://www.nationalt[...] National Trust 2015-04-12
[70] 웹사이트 Circulating Libraries, 1801–1825 http://www.r-alston.[...] 2015-04-12
[71] 웹사이트 Jane Austen: Sports http://www.printsgeo[...] 2015-04-12
[72] 웹사이트 Jane Austen: Places http://www.printsgeo[...] 2015-04-12
[73] 웹사이트 Jane Austen: Gardens http://www.printsgeo[...] 2015-04-12
[74] 웹사이트 Jane Austen: Theatre http://www.printsgeo[...] 2015-04-12
[75] 웹사이트 British Journalists 1750–1820 http://spartacus-edu[...] Spartacus Educational 2015-04-12
[76] 웹사이트 Newspapers and publishers at dawn of 19th century http://www.georgiani[...] 2015-04-12
[77]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British Regency Period http://www.perioddra[...] PeriodDramas.com 2015-04-12
[78]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