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는 일본 프로 야구를 목표로 2005년 창설된 일본의 독립 야구 리그이다. 리그는 시코쿠 4개 현을 연고로 하는 4개 구단(에히메 만다린 파이리츠, 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고치 파이팅 독스,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에는 3번째 연간 종합 우승을 에히메 만다린 파이리츠가 차지했다. NPB(일본 프로 야구)에 선수 공급을 목표로 하며,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총 76명의 선수를 NPB에 지명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야구 리그 -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는 1949년 태평양 야구 연맹으로 출범하여 198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난카이, 니시테쓰, 한큐, 세이부 등의 강세 시대를 거쳐 스즈키 이치로, 마쓰자카 다이스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돔 구장 시대, 지역 밀착 정책, 리그 재편, 그리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왕조 시대를 거쳐 1975년부터 지명 타자 제도를 운영하며 센트럴 리그와의 교류전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한다.
  • 일본의 야구 리그 -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는 1949년 일본 프로야구 재편으로 출범하여 팀 합병과 해체를 거쳐 현재 6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통해 일본 시리즈 진출팀을 결정하는 일본 프로야구의 핵심 리그이다.
  • 200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V-리그 (대한민국)
    V-리그는 2005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 리그로,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기업 구단들이 정규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하며 외국인 선수 제도를 운영하고, 승부조작 위기를 극복하며 한국 프로 스포츠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 200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USL 퍼스트 디비전
    USL 퍼스트 디비전은 2005년 출범하여 시애틀 사운더스가 초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나이키 지분 매각 후 팀 탈퇴와 리그 통합 과정을 거쳐 2011년 USL Pro로 통합되면서 해산되었다.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기본 정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로고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로고
스포츠야구
창립2005년
참가 팀 수4
국가일본
CEO가기야마 마코토
최근 우승 팀고치 파이팅 독스
최다 우승 팀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7회)
법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IBLJ
영문 회사명(미제공)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비상장
약칭IBLJ
우편 번호760-0028
본사 위치가가와현다카마쓰시가지야정 6번지 11
설립일2004년4월 23일
업종서비스업
사업 내용야구 흥행
대표자바군 겐
자본금415,500,000엔 (4억 1550만 엔)
발행 주식 수11,610주
매출액(미제공)
종업원 수(미제공)
결산기(미제공)
주요 주주(미제공)
주요 자회사(미제공)
관련 인물(미제공)
공식 웹사이트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2. 역사

리그는 원래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로 알려졌으며, 전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이시게 히로미치가 IBLJ Inc.( "일본 독립 야구 리그"의 약자)의 기업 소유 하에 설립했다. 2005년 4월 29일에 리그의 첫 경기가 열렸고, 2005년 11월 10일, 고치 파이팅 독스가 첫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7년 12월 1일, 리그는 후쿠오카 레드 워블러스와 나가사키 세인츠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으며, 세인츠규슈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리그는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시코쿠-큐슈 아일랜드 리그일본어로 이름을 변경했다.

=== 2000년대 ===


  • 2004년 9월 30일 설립 구상이 발표되었다.
  • 2005년
  • * 1월 28일 리그의 애칭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로 결정되었고, 참가하는 4개 구단의 명칭도 발표되었다.([#리그 구성 구단]] 참조).
  • * 2월 7일 각 구단 사무소가 개설되었다.
  • * 4월 29일 첫 시즌 리그가 개막했다.
  • * 6월 1일 IBLJ 본사가 도쿄도 메구로구에서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오기마치 1초메 25번 52호로 이전했다.
  • * 10월 10일 고치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초대 우승 구단이 되었다.
  • * 10월 16일 첫 시즌 리그가 폐막했다.
  • * 10월 28일 올리브 스타디움(가가와현)에서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올스타즈"와 미국 독립 리그의 재팬 사무라이 베어스와의 교류전을 개최했다. 다음 날인 29일에도 도쿠시마 나루토 야구장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비로 인한 그라운드 컨디션 불량으로 경기 중지되었다.
  • * 12월 1일 NPB 드래프트 회의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니시야마 미치타카와 나카타니 츠바사가 리그 소속 선수로서 처음 NPB로부터 지명을 받았다.[10]
  • 2006년
  • * 3월 6일 각 구단의 분사화가 발표되었다(IBLJ의 100% 출자).
  • * 4월 1일 2006년 시즌이 개막했다.
  • * 6월 3일 고치의 타카나시 아츠시가 가가와전에서 리그 첫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 * 6월 29일 고치가 전기 우승을 했다.
  • * 7월 5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의 선발팀이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서브 구장에서 서패스(오릭스 버팔로즈 2군)와 대전했다. NPB 소속 구단과의 교류전에서 첫 승리했다.
  • * 8월 1일 가가와·도쿠시마·에히메 3개 구단의 주식을 IBLJ에서 새로운 출자자에게 매각한 것을 발표했다.
  • * 9월 22일 - 10월 12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3A 새크라멘토 리버 캣츠 소속의 타다노 카즈토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도쿠시마에 특별 참가했다. 첫 MLB 경험자 수용이 되었다.
  • * 9월 24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을 했다.
  • * 10월 15일 가가와가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여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 11월 21일 NPB 드래프트 회의(대학·사회인·일반 대상)에서 후카자와 카즈호와 스미나카 카츠야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이토 히데노리가 지명되었다.
  • 2007년
  • * 3월 10일 이시게 히로미치가 IBLJ 사장직을 퇴임하고, 커미셔너 직으로 남았다.
  • * 3월 31일 2007년 시즌이 개막했다.
  • * 6월 24일 가가와가 전기 우승을 했다.
  • * 8월 7일 이시카와현립 구장, 8월 28일 봇찬 스타디움에서 독립 리그·호쿠신에츠 BC 리그 선발팀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의 교류전을 가졌다.(IL의 1승 1무)
  • * 9월 28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을 하여, 전기·후기 연패를 했다.
  • * 10월 6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 10월 8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이 미야자키에서 열리는 가을 교육 리그인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에 첫 참가했다.
  • * 10월 22일 공모했던 고치 구단의 새로운 경영자를 발표했다.
  • * 10월 24일 2008년 시즌부터 규슈의 2개 구단을 더해 리그명을 "시코쿠·규슈 아일랜드 리그"로 한다는 것을 발표했다.
  • * 10월 28일 가가와와 BC 리그 우승의 이시카와 미리온 스타즈와의 사이에서 열린 일본 독립 리그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1패로 우승했다.
  • * 11월 1일 규슈의 신규 가입 구단을 위한 분배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했다(11월 9일에 결과를 공표).
  • * 11월 19일 NPB 드래프트 회의(대학·사회인·일반 대상)에서 미와 마사요시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카지모토 타츠야·오야마다 타카오·미야모토 유지·코바야시 노리유키·시라카와 다이스케가 지명되었다.
  • * 11월 22일 2008년부터 가입하는 후쿠오카 구단의 팀명이 "후쿠오카 레드 워블러스"로 결정되었다.
  • * 12월 1일 "시코쿠·규슈 아일랜드 리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 12월 31일 이시게 히로미치 커미셔너가 퇴임했다.
  • 2008년
  • * 3월 28일 첫 리그 토너먼트전인 "아난 시장배"를 개최했다(3월 30일까지 예정이었으나 30일은 우천 중지되어, 결승에 진출한 고치와 에히메가 양 팀 우승).
  • * 3월 26일 심판부 설치를 발표했다.
  • * 3월 29일 가가와의 마츠오 코우가가 보스턴 레드삭스 (MLB)와 마이너 계약을 체결한 것을 발표했다.
  • * 4월 1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시코쿠 오피스)을 다카마쓰시 마루가메초의 구 후지 은행 빌딩[11]으로 이전했다.
  • * 4월 5일 2008년 시즌이 개막했다.
  • * 4월 12일 에히메 대 후쿠오카전(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에서, 리그 사상 처음으로 1경기 관객수 1만 명대(10288명)를 기록했다.
  • * 6월 18일 가가와가 4기 연속 전기 우승을 했다.
  • * 9월 21일 에히메가 첫 후기 우승을 했다.
  • * 10월 4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3년 연속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 * 10월 28일 가가와와 BC 리그 우승의 도야마 선더버즈와의 사이에서 열린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2패로 2년 연속 우승했다.
  • * 10월 30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니시카와 마사토·김무영이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모리타 타케시·츠카모토 코지·우부야마 히로토·도조 하야토가 지명되었다.
  • 2009년
  • * 1월 30일 후쿠오카시의 리그 규슈 오피스를 폐쇄하고, 다카마쓰시의 시코쿠 오피스로 일원화했다.
  • * 3월 20일 시코쿠 4개 구단 총 당첨에 의한 프리 시즌 매치를 3월 22일까지, 도쿠시마현영 조본 야구장과 요시노가와 운동 공원 야구장에서 개최했다. 가가와·에히메·고치의 3팀이 2승 1패로 우승했다.
  • * 4월 4일 2009년 시즌이 개막했다.
  • * 4월 27일 에히메의 한국인 선수 1명이 강간 치상으로 체포되는 불상사가 발각되어, 해당 선수는 같은 날 해고되었다. 리그는 다음 날 불상사에 대한 "재발 방지책 긴급 검토 위원회" 설치를 발표했다.
  • * 5월 7일 첫 재발 방지 검토 회의를 열어, 에히메 구단에 대한 엄중 주의와 불상사 전말서 제출 및 감독의 13경기 출장 정지(이미 구단 내 처분 등으로 출장하지 않았던 경기를 포함)의 처분과 재발 방지책의 개요를 발표했다.
  • * 6월 21일 나가사키가 첫 전기 우승을 했다. 규슈 세력은 이것이 첫 스테이지 우승이다.
  • * 9월 20일 고치가 후기 우승을 했다. 반기 우승은 3년 만이다.
  • * 10월 3일 고치가 나가사키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4년 만의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전기·후기 제도가 되고나서는 처음이다.
  • * 10월 29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다 타케히로·아라바리 유지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2차(육성) 드래프트에서 마츠이 히로지가 지명되었다.
  • * 10월 30일 후쿠오카가 다음 시즌 리그전에 참가하지 않고, 2010년은 5개 구단으로 리그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2개 카테고리 신설도 함께 발표되어, 후쿠오카와 미야자키가 "준 가맹 구단" 카테고리에, 오카야마구마모토가 "준비실 개설 단계 구단" 카테고리에 각각 참가한다고 발표되었다.[12] 또한, 후쿠오카 소속 선수 중 희망자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했다.
  • * 11월 3일 고치와 BC 리그 우승의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와의 사이에서 열린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고치가 3승 2패로 첫 우승했다. 아일랜드 리그로서는 3연패를 달성했다.
  • * 12월 1일 2010년의 시즌은, 새롭게 발족하는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 (JFBL)와의 사이에서 총 60경기의 교류전을 실시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 * 12월 10일 2010년도부터의 후쿠오카·미야자키 각 구단의 준 가맹을 정식으로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 2010년대 ===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시코쿠・큐슈 아일랜드 리그일본어로 명칭이 변경된 후, 2010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규슈에서 리그전에 참가하는 팀이 없어졌다. 2011년부터는 혼슈의 미에 스리 애로우즈가 새롭게 참가하여 시코쿠 4팀, 혼슈 1팀 체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2011년 1월 27일, 2월 1일부터 리그 명칭을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변경했다.[5] 그러나 2011년 공식전 종료 후인 9월 24일, 2012년부터는 시코쿠 4개 현 팀으로 공식전을 치르며, 미에는 불참・탈퇴하기로 발표되었다.[5] 2012년 이후에는 시코쿠 4개 팀으로 공식전을 치르는 형태로 돌아갔다.

2014년 여름에는 일본 독립 야구 리그 기구가 결성되었다.[3]

2015년 6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 팀이 북미의 독립 리그인 캔-암 리그의 모든 팀과 경기를 가졌다. 그들은 6승 10패를 기록했다. 올스타 팀은 2016년 캔-암 리그 시즌에 다시 참가하여 8승 12패를 기록했다.[4]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리그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팀 수전반기후반기정규 시즌
2010년5가가와가가와가가와 (4)
2011년5도쿠시마가가와도쿠시마
2012년4가가와에히메가가와 (5)
2013년4가가와도쿠시마도쿠시마 (2)
2014년4도쿠시마도쿠시마도쿠시마 (3)
2015년4가가와에히메에히메
2016년4에히메에히메에히메 (2)
2017년4도쿠시마가가와도쿠시마 (4)
2018년4가가와에히메가가와 (6)
2019년4도쿠시마에히메도쿠시마 (5)



=== 2020년대 ===


  • '''2010년'''
  • * 2월 26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을 다카마쓰시도키와초로 이전.
  • * 3월 10일 도쿠시마의 주요 출자자인 유세이 홀딩스가 3월 말로 구단의 운영·경영에서 철수할 것을 발표. 4월 이후는 리그가 직접 운영·경영을 하면서 새로운 출자자를 모집하게 되었다.
  • * 4월 1일 다른 독립 리그 3단체와 공동으로 독립 리그 연락 협의회(JIBLA)를 설립.
  • * 4월 3일 2010년 시즌 개막.
  • * 7월 2일 리그 사상 최초로 "최종전에서의 우승 결정전"이 된 가가와 대 고치전이 무승부가 되어, 가가와가 4기 만에 전기 우승.
  • * 9월 25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 3년 만의 전·후기 연패.
  • * 9월 29일 리그 이사회에서 나가사키의 리그 철수가 정식으로 결정. 리그 발족 후, 완전히 철수하는 첫 구단이 되었다.
  • * 10월 10일 가가와가 고치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의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 전·후기 제패와 합쳐 완전 우승은 3년 만.
  • * 10월 13일 해산이 결정된 나가사키의 선수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 희망자 16명 중 8명이 다른 팀의 지명을 받았다. 그 중 7명은 10월 28일까지 지명처로의 입단이 내정되었지만, 1명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임의 은퇴가 되었다.
  • * 10월 28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하라 준야·겐모토 유키·쓰루오카 겐지로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기시 게이스케·야스다 게이스케·우에노 게이스케가 지명되었다.
  • * 10월 31일 가가와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1패로 2년 만에 3번째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 4연패.
  • * 11월 4일 리그 이사회에서 미에 스리 애로우즈의 가맹이 정식으로 결정.

  • '''2011년'''
  • * 1월 27일 리그의 명칭을 2월 1일부터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변경한다고 발표.
  • * 2월 1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명칭 변경.
  • * 4월 2일 2011년 시즌 개막.
  • * 6월 29일 도쿠시마가 첫 전기 우승.
  • * 9월 2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가가와가 우승.
  • * 9월 23일 가가와가 2년 연속 4번째 후기 우승.
  • * 9월 24일 다음 시즌의 공식전을 시코쿠 4개 팀으로 실시하는 것과 미에의 불참·리그 탈퇴를 발표.[5]
  • * 10월 2일 도쿠시마가 가가와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첫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
  • * 10월 19일 리그를 탈퇴하는 미에의 선수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하여, 4명의 선수가 지명을 받았다( 11월 2일에 전원의 입단이 내정).
  • * 10월 22일 도쿠시마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이시카와가 3승 0패로 우승.
  • * 10월 27일 NPB 드래프트 회의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토미나가 하지메·토미타 고스케·가메자와 교헤이·나카무라 마사타카·니시모리 쇼지·쓰치다 미즈키·이다 가즈야가 지명을 받았다. 지배하 선수 틀에서의 지명이 없었던 것은 2005년 이후.

  • '''2012년'''
  • * 2월 20일 리그 직영이 된 도쿠시마의 새로운 경영 주체로서, 리그 스폰서인 세이아 등이 출자하는 신회사 "퍼블릭 베이스볼 클럽 도쿠시마"가 2012년도부터 운영에 임할 것이 발표되었다.
  • * 3월 1일 NPB의 실행 위원회에서, 당 리그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로의 육성 선수 파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 * 4월 1일 2012년 시즌 개막.
  • * 6월 20일 가가와가 2기 연속인 전기 우승.
  • * 9월 16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전년에 이어 가가와가 우승.
  • * 9월 26일 에히메가 4년 만의 후기 우승.
  • * 10월 6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에 5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20일 가가와와 BC리그 우승팀인 니가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니가타가 3승 0패로 우승.
  • * 10월 25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호시노 유다이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미즈구치 다이치가 지명되었다. 지배하 등록 틀에서의 지명자는 2년 만.

  • '''2013년'''
  • * 1월 21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을 다카마쓰시 가사이히가시초로 이전.
  • * 4월 7일 2013년 시즌 개막 (당초 일정에서는 4월 6일에 개막이었지만, 예정되었던 2경기가 모두 강우 중지).
  • * 6월 23일 가가와가 2년 연속인 전기 우승.
  • * 8월 7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도쿠시마가 우승.
  • * 9월 14일 도쿠시마가 후기 우승. 반기 우승은 5기 만이며, 후기는 처음.
  • * 10월 5일 도쿠시마가 가가와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에 2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9일 도쿠시마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이시카와가 3승 1패로 우승.
  • * 10월 24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또요시 가쓰키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히가시 히로아키가 지명되었다.

  • '''2014년'''
  • * 3월 29일 고치현 오치정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고치와, 무승부 후 추첨으로 진출한 에히메에 의해 30일에 결승전(및 가가와와 도쿠시마에 의한 3위 결정전)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우천 중지되었다.
  • * 4월 5일 2014년 시즌 개막.
  • * 6월 28일 도쿠시마가 2기 연속인 전기 우승. 우승 매직을 1로 해두었던 가가와가 최종의 에히메전에 패배하여 도쿠시마와 동률이 되었지만, 직접 대전 성적이 우위인 팀이 우승한다는 규정에 의해, 도쿠시마의 우승이 결정되었다. 선두 팀이 복수 발생하여 리그 규정에 의해 우승이 결정된 것은 처음.
  • * 9월 1일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의 합동 조직으로서 일반 사단 법인 일본 독립 리그 야구 기구가 발족하여, 리그의 가기야마 마코토 CEO가 회장으로 취임했다.[13]
  • * 9월 10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전년에 이어 도쿠시마가 우승.
  • * 9월 14일 도쿠시마가 3기 연속인 후기 우승으로, 전·후기 우승을 달성. 리그에서 전·후기 우승을 달성한 것은 가가와에 이어 2번째 팀.
  • * 9월 28일 도쿠시마가 에히메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연속 연간 종합 우승. 가가와에 이어, 전·후기 제패와 합쳐 완전 우승을 달성한 팀이 된다.
  • * 10월 13일 도쿠시마가 BC리그 우승팀인 군마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1패 1무로 첫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으로서 4년 만에 독립 리그 일본 제일이 된다.
  • * 10월 24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데라다 테쓰야·이리노 다카히로·야마모토 마사시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시노하라 신페이가 지명되었다.[14] 지배하 선수 틀에서의 3명 지명은 4년 만이며, 동일 구단에서 복수의 지배하 선수 틀 지명자가 나온 것은 처음.
  • * 12월 13일 다카마쓰시 내에서 리그 발족 10주년 기념식 "SHIKOKU ISLAND LEAGUE PLUS 10th ANNIVERSARY"를 개최. 식전에서, 가기야마 마코토 CEO로부터 2015년도의 리그 운영 구상(레귤러 시즌 기간의 단축과, 북미 독립 리그로의 선발팀 파견)이 발표되었다.

  • '''2015년'''
  • * 3월 28일 전년에 이어 오치초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에히메와 도쿠시마에 의해 29일에 결승전(및 가가와와 고치에 의한 3위 결정전)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우천으로 인해 전년과 마찬가지로 중지되었다.
  • * 4월 4일
  • ** 2015년 시즌 개막.
  • ** 일본 야구 연맹의 지방 대회인 JABA 시코쿠 대회에 가가와가 독립 리그 팀으로서 처음 참가 (예선 리그 3패로 결승에는 진출하지 못함).
  • * 5월 25일 가가와가 4기 만의 전기 우승.
  • * 5월 29일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의 경기를 갖는 북미 원정 선발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ALLSTARS"의 멤버가 발표되었다.
  • * 6월 12일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 선발팀의 공식전 16경기를 6월 27일(현지 시간)까지 실시. 성적은 6승 10패였다.
  • * 6월 29일 대만 프로 야구 CPBL 드래프트 회의에서 장지현·린저쉔이 지명되었다.
  • * 9월 12일 에히메가 3년 만의 후기 우승.
  • * 9월 27일 에히메가 가가와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첫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2일 에히메가 BC리그 우승팀인 니가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2패로 첫 우승하여, 아일랜드 리그로서 연패를 달성.
  • * 10월 22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마쓰모토 나오아키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오키 다카시·마스다 다이키·아카마쓰 고스케·요시다 다카시·마쓰자와 유스케가 지명되었다.[15]
  • * 12월 1일 운영 조직을 개편하여, 집행 임원(CEO/CFO/COO)을 폐지.[17]

  • '''2016년'''
  • * 3월 26일 전년에 이어 오치초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고치와 도쿠시마에 의한 결승전과, 가가와와 에히메에 의한 3위 결정전이 27일에 개최되어, 각각 고치와 가가와가 승리하여, 고치가 우승했다.<

2. 1. 2000년대


  • 2004년 9월 30일 설립 구상이 발표되었다.
  • 2005년
  • * 1월 28일 리그의 애칭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로 결정되었고, 참가하는 4개 구단의 명칭도 발표되었다.([#리그 구성 구단]] 참조).
  • * 2월 7일 각 구단 사무소가 개설되었다.
  • * 4월 29일 첫 시즌 리그가 개막했다.
  • * 6월 1일 IBLJ 본사가 도쿄도 메구로구에서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오기마치 1초메 25번 52호로 이전했다.
  • * 10월 10일 고치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초대 우승 구단이 되었다.
  • * 10월 16일 첫 시즌 리그가 폐막했다.
  • * 10월 28일 올리브 스타디움(가가와현)에서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올스타즈"와 미국 독립 리그의 재팬 사무라이 베어스와의 교류전을 개최했다. 다음 날인 29일에도 도쿠시마 나루토 야구장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비로 인한 그라운드 컨디션 불량으로 경기 중지되었다.
  • * 12월 1일 NPB 드래프트 회의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니시야마 미치타카와 나카타니 츠바사가 리그 소속 선수로서 처음 NPB로부터 지명을 받았다.[10]
  • 2006년
  • * 3월 6일 각 구단의 분사화가 발표되었다(IBLJ의 100% 출자).
  • * 4월 1일 2006년 시즌이 개막했다.
  • * 6월 3일 고치의 타카나시 아츠시가 가가와전에서 리그 첫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 * 6월 29일 고치가 전기 우승을 했다.
  • * 7월 5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의 선발팀이 고베 종합 운동 공원 서브 구장에서 서패스(오릭스 버팔로즈 2군)와 대전했다. NPB 소속 구단과의 교류전에서 첫 승리했다.
  • * 8월 1일 가가와·도쿠시마·에히메 3개 구단의 주식을 IBLJ에서 새로운 출자자에게 매각한 것을 발표했다.
  • * 9월 22일 - 10월 12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3A 새크라멘토 리버 캣츠 소속의 타다노 카즈토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도쿠시마에 특별 참가했다. 첫 MLB 경험자 수용이 되었다.
  • * 9월 24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을 했다.
  • * 10월 15일 가가와가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여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 11월 21일 NPB 드래프트 회의(대학·사회인·일반 대상)에서 후카자와 카즈호와 스미나카 카츠야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이토 히데노리가 지명되었다.
  • 2007년
  • * 3월 10일 이시게 히로미치가 IBLJ 사장직을 퇴임하고, 커미셔너 직으로 남았다.
  • * 3월 31일 2007년 시즌이 개막했다.
  • * 6월 24일 가가와가 전기 우승을 했다.
  • * 8월 7일 이시카와현립 구장, 8월 28일 봇찬 스타디움에서 독립 리그·호쿠신에츠 BC 리그 선발팀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의 교류전을 가졌다.(IL의 1승 1무)
  • * 9월 28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을 하여, 전기·후기 연패를 했다.
  • * 10월 6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 10월 8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이 미야자키에서 열리는 가을 교육 리그인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에 첫 참가했다.
  • * 10월 22일 공모했던 고치 구단의 새로운 경영자를 발표했다.
  • * 10월 24일 2008년 시즌부터 규슈의 2개 구단을 더해 리그명을 "시코쿠·규슈 아일랜드 리그"로 한다는 것을 발표했다.
  • * 10월 28일 가가와와 BC 리그 우승의 이시카와 미리온 스타즈와의 사이에서 열린 일본 독립 리그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1패로 우승했다.
  • * 11월 1일 규슈의 신규 가입 구단을 위한 분배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했다(11월 9일에 결과를 공표).
  • * 11월 19일 NPB 드래프트 회의(대학·사회인·일반 대상)에서 미와 마사요시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카지모토 타츠야·오야마다 타카오·미야모토 유지·코바야시 노리유키·시라카와 다이스케가 지명되었다.
  • * 11월 22일 2008년부터 가입하는 후쿠오카 구단의 팀명이 "후쿠오카 레드 워블러스"로 결정되었다.
  • * 12월 1일 "시코쿠·규슈 아일랜드 리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 12월 31일 이시게 히로미치 커미셔너가 퇴임했다.
  • 2008년
  • * 3월 28일 첫 리그 토너먼트전인 "아난 시장배"를 개최했다(3월 30일까지 예정이었으나 30일은 우천 중지되어, 결승에 진출한 고치와 에히메가 양 팀 우승).
  • * 3월 26일 심판부 설치를 발표했다.
  • * 3월 29일 가가와의 마츠오 코우가가 보스턴 레드삭스 (MLB)와 마이너 계약을 체결한 것을 발표했다.
  • * 4월 1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시코쿠 오피스)을 다카마쓰시 마루가메초의 구 후지 은행 빌딩[11]으로 이전했다.
  • * 4월 5일 2008년 시즌이 개막했다.
  • * 4월 12일 에히메 대 후쿠오카전(마쓰야마 중앙 공원 야구장)에서, 리그 사상 처음으로 1경기 관객수 1만 명대(10288명)를 기록했다.
  • * 6월 18일 가가와가 4기 연속 전기 우승을 했다.
  • * 9월 21일 에히메가 첫 후기 우승을 했다.
  • * 10월 4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3년 연속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 * 10월 28일 가가와와 BC 리그 우승의 도야마 선더버즈와의 사이에서 열린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2패로 2년 연속 우승했다.
  • * 10월 30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니시카와 마사토·김무영이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모리타 타케시·츠카모토 코지·우부야마 히로토·도조 하야토가 지명되었다.
  • 2009년
  • * 1월 30일 후쿠오카시의 리그 규슈 오피스를 폐쇄하고, 다카마쓰시의 시코쿠 오피스로 일원화했다.
  • * 3월 20일 시코쿠 4개 구단 총 당첨에 의한 프리 시즌 매치를 3월 22일까지, 도쿠시마현영 조본 야구장과 요시노가와 운동 공원 야구장에서 개최했다. 가가와·에히메·고치의 3팀이 2승 1패로 우승했다.
  • * 4월 4일 2009년 시즌이 개막했다.
  • * 4월 27일 에히메의 한국인 선수 1명이 강간 치상으로 체포되는 불상사가 발각되어, 해당 선수는 같은 날 해고되었다. 리그는 다음 날 불상사에 대한 "재발 방지책 긴급 검토 위원회" 설치를 발표했다.
  • * 5월 7일 첫 재발 방지 검토 회의를 열어, 에히메 구단에 대한 엄중 주의와 불상사 전말서 제출 및 감독의 13경기 출장 정지(이미 구단 내 처분 등으로 출장하지 않았던 경기를 포함)의 처분과 재발 방지책의 개요를 발표했다.
  • * 6월 21일 나가사키가 첫 전기 우승을 했다. 규슈 세력은 이것이 첫 스테이지 우승이다.
  • * 9월 20일 고치가 후기 우승을 했다. 반기 우승은 3년 만이다.
  • * 10월 3일 고치가 나가사키와의 챔피언십에서 승리하여, 4년 만의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전기·후기 제도가 되고나서는 처음이다.
  • * 10월 29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다 타케히로·아라바리 유지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2차(육성) 드래프트에서 마츠이 히로지가 지명되었다.
  • * 10월 30일 후쿠오카가 다음 시즌 리그전에 참가하지 않고, 2010년은 5개 구단으로 리그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2개 카테고리 신설도 함께 발표되어, 후쿠오카와 미야자키가 "준 가맹 구단" 카테고리에, 오카야마구마모토가 "준비실 개설 단계 구단" 카테고리에 각각 참가한다고 발표되었다.[12] 또한, 후쿠오카 소속 선수 중 희망자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했다.
  • * 11월 3일 고치와 BC 리그 우승의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와의 사이에서 열린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고치가 3승 2패로 첫 우승했다. 아일랜드 리그로서는 3연패를 달성했다.
  • * 12월 1일 2010년의 시즌은, 새롭게 발족하는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 (JFBL)와의 사이에서 총 60경기의 교류전을 실시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 * 12월 10일 2010년도부터의 후쿠오카·미야자키 각 구단의 준 가맹을 정식으로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2. 2. 2010년대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일본어로 명칭이 변경된 후, 2010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규슈에서 리그전에 참가하는 팀이 없어졌다. 2011년부터는 혼슈의 미에 스리 애로우즈가 새롭게 참가하여 시코쿠 4팀, 혼슈 1팀 체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2011년 1월 27일, 2월 1일부터 리그 명칭을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변경했다.[5] 그러나 2011년 공식전 종료 후인 9월 24일, 2012년부터는 시코쿠 4개 현 팀으로 공식전을 치르며, 미에는 불참・탈퇴하기로 발표되었다.[5] 2012년 이후에는 시코쿠 4개 팀으로 공식전을 치르는 형태로 돌아갔다.

2014년 여름에는 일본 독립 야구 리그 기구가 결성되었다.[3]

2015년 6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 팀이 북미의 독립 리그인 캔-암 리그의 모든 팀과 경기를 가졌다. 그들은 6승 10패를 기록했다. 올스타 팀은 2016년 캔-암 리그 시즌에 다시 참가하여 8승 12패를 기록했다.[4]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리그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팀 수전반기후반기정규 시즌
20086가가와에히메가가와 (3)
20096나가사키고치고치 (2)
20105가가와가가와가가와 (4)
20115도쿠시마가가와도쿠시마
20124가가와에히메가가와 (5)
20134가가와도쿠시마도쿠시마 (2)
20144도쿠시마도쿠시마도쿠시마 (3)
20154가가와에히메에히메
20164에히메에히메에히메 (2)
20174도쿠시마가가와도쿠시마 (4)
20184가가와에히메가가와 (6)
20194에히메도쿠시마도쿠시마 (5)


2. 3. 2020년대


  • '''2010년'''
  • * 2월 26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을 다카마쓰시도키와초로 이전.
  • * 3월 10일 도쿠시마의 주요 출자자인 유세이 홀딩스가 3월 말로 구단의 운영·경영에서 철수할 것을 발표. 4월 이후는 리그가 직접 운영·경영을 하면서 새로운 출자자를 모집하게 되었다.
  • * 4월 1일 다른 독립 리그 3단체와 공동으로 독립 리그 연락 협의회(JIBLA)를 설립.
  • * 4월 3일 2010년 시즌 개막.
  • * 7월 2일 리그 사상 최초로 "최종전에서의 우승 결정전"이 된 가가와 대 고치전이 무승부가 되어, 가가와가 4기 만에 전기 우승.
  • * 9월 25일 가가와가 후기 우승. 3년 만의 전·후기 연패.
  • * 9월 29일 리그 이사회에서 나가사키의 리그 철수가 정식으로 결정. 리그 발족 후, 완전히 철수하는 첫 구단이 되었다.
  • * 10월 10일 가가와가 고치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의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 전·후기 제패와 합쳐 완전 우승은 3년 만.
  • * 10월 13일 해산이 결정된 나가사키의 선수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 희망자 16명 중 8명이 다른 팀의 지명을 받았다. 그 중 7명은 10월 28일까지 지명처로의 입단이 내정되었지만, 1명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임의 은퇴가 되었다.
  • * 10월 28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하라 준야·겐모토 유키·쓰루오카 겐지로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기시 게이스케·야스다 게이스케·우에노 게이스케가 지명되었다.
  • * 10월 31일 가가와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가가와가 3승 1패로 2년 만에 3번째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 4연패.
  • * 11월 4일 리그 이사회에서 미에 스리 애로우즈의 가맹이 정식으로 결정.

  • '''2011년'''
  • * 1월 27일 리그의 명칭을 2월 1일부터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변경한다고 발표.
  • * 2월 1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로 명칭 변경.
  • * 4월 2일 2011년 시즌 개막.
  • * 6월 29일 도쿠시마가 첫 전기 우승.
  • * 9월 2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가가와가 우승.
  • * 9월 23일 가가와가 2년 연속 4번째 후기 우승.
  • * 9월 24일 다음 시즌의 공식전을 시코쿠 4개 팀으로 실시하는 것과 미에의 불참·리그 탈퇴를 발표.[5]
  • * 10월 2일 도쿠시마가 가가와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첫 리그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
  • * 10월 19일 리그를 탈퇴하는 미에의 선수에 대한 구제 드래프트를 비공개로 실시하여, 4명의 선수가 지명을 받았다( 11월 2일에 전원의 입단이 내정).
  • * 10월 22일 도쿠시마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이시카와가 3승 0패로 우승.
  • * 10월 27일 NPB 드래프트 회의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토미나가 하지메·토미타 고스케·가메자와 교헤이·나카무라 마사타카·니시모리 쇼지·쓰치다 미즈키·이다 가즈야가 지명을 받았다. 지배하 선수 틀에서의 지명이 없었던 것은 2005년 이후.

  • '''2012년'''
  • * 2월 20일 리그 직영이 된 도쿠시마의 새로운 경영 주체로서, 리그 스폰서인 세이아 등이 출자하는 신회사 "퍼블릭 베이스볼 클럽 도쿠시마"가 2012년도부터 운영에 임할 것이 발표되었다.
  • * 3월 1일 NPB의 실행 위원회에서, 당 리그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로의 육성 선수 파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 * 4월 1일 2012년 시즌 개막.
  • * 6월 20일 가가와가 2기 연속인 전기 우승.
  • * 9월 16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전년에 이어 가가와가 우승.
  • * 9월 26일 에히메가 4년 만의 후기 우승.
  • * 10월 6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에 5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20일 가가와와 BC리그 우승팀인 니가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니가타가 3승 0패로 우승.
  • * 10월 25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호시노 유다이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미즈구치 다이치가 지명되었다. 지배하 등록 틀에서의 지명자는 2년 만.

  • '''2013년'''
  • * 1월 21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을 다카마쓰시 가사이히가시초로 이전.
  • * 4월 7일 2013년 시즌 개막 (당초 일정에서는 4월 6일에 개막이었지만, 예정되었던 2경기가 모두 강우 중지).
  • * 6월 23일 가가와가 2년 연속인 전기 우승.
  • * 8월 7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도쿠시마가 우승.
  • * 9월 14일 도쿠시마가 후기 우승. 반기 우승은 5기 만이며, 후기는 처음.
  • * 10월 5일 도쿠시마가 가가와와의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만에 2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9일 도쿠시마와, BC리그 우승팀인 이시카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이시카와가 3승 1패로 우승.
  • * 10월 24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또요시 가쓰키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히가시 히로아키가 지명되었다.

  • '''2014년'''
  • * 3월 29일 고치현 오치정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고치와, 무승부 후 추첨으로 진출한 에히메에 의해 30일에 결승전(및 가가와와 도쿠시마에 의한 3위 결정전)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우천 중지되었다.
  • * 4월 5일 2014년 시즌 개막.
  • * 6월 28일 도쿠시마가 2기 연속인 전기 우승. 우승 매직을 1로 해두었던 가가와가 최종의 에히메전에 패배하여 도쿠시마와 동률이 되었지만, 직접 대전 성적이 우위인 팀이 우승한다는 규정에 의해, 도쿠시마의 우승이 결정되었다. 선두 팀이 복수 발생하여 리그 규정에 의해 우승이 결정된 것은 처음.
  • * 9월 1일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의 합동 조직으로서 일반 사단 법인 일본 독립 리그 야구 기구가 발족하여, 리그의 가기야마 마코토 CEO가 회장으로 취임했다.[13]
  • * 9월 10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정기 교류전(소프트뱅크컵)에서 전년에 이어 도쿠시마가 우승.
  • * 9월 14일 도쿠시마가 3기 연속인 후기 우승으로, 전·후기 우승을 달성. 리그에서 전·후기 우승을 달성한 것은 가가와에 이어 2번째 팀.
  • * 9월 28일 도쿠시마가 에히메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연속 연간 종합 우승. 가가와에 이어, 전·후기 제패와 합쳐 완전 우승을 달성한 팀이 된다.
  • * 10월 13일 도쿠시마가 BC리그 우승팀인 군마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1패 1무로 첫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으로서 4년 만에 독립 리그 일본 제일이 된다.
  • * 10월 24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데라다 테쓰야·이리노 다카히로·야마모토 마사시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시노하라 신페이가 지명되었다.[14] 지배하 선수 틀에서의 3명 지명은 4년 만이며, 동일 구단에서 복수의 지배하 선수 틀 지명자가 나온 것은 처음.
  • * 12월 13일 다카마쓰시 내에서 리그 발족 10주년 기념식 "SHIKOKU ISLAND LEAGUE PLUS 10th ANNIVERSARY"를 개최. 식전에서, 가기야마 마코토 CEO로부터 2015년도의 리그 운영 구상(레귤러 시즌 기간의 단축과, 북미 독립 리그로의 선발팀 파견)이 발표되었다.

  • '''2015년'''
  • * 3월 28일 전년에 이어 오치초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에히메와 도쿠시마에 의해 29일에 결승전(및 가가와와 고치에 의한 3위 결정전)을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우천으로 인해 전년과 마찬가지로 중지되었다.
  • * 4월 4일
  • ** 2015년 시즌 개막.
  • ** 일본 야구 연맹의 지방 대회인 JABA 시코쿠 대회에 가가와가 독립 리그 팀으로서 처음 참가 (예선 리그 3패로 결승에는 진출하지 못함).
  • * 5월 25일 가가와가 4기 만의 전기 우승.
  • * 5월 29일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의 경기를 갖는 북미 원정 선발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ALLSTARS"의 멤버가 발표되었다.
  • * 6월 12일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 선발팀의 공식전 16경기를 6월 27일(현지 시간)까지 실시. 성적은 6승 10패였다.
  • * 6월 29일 대만 프로 야구 CPBL 드래프트 회의에서 장지현·린저쉔이 지명되었다.
  • * 9월 12일 에히메가 3년 만의 후기 우승.
  • * 9월 27일 에히메가 가가와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첫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2일 에히메가 BC리그 우승팀인 니가타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2패로 첫 우승하여, 아일랜드 리그로서 연패를 달성.
  • * 10월 22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마쓰모토 나오아키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오키 다카시·마스다 다이키·아카마쓰 고스케·요시다 다카시·마쓰자와 유스케가 지명되었다.[15]
  • * 12월 1일 운영 조직을 개편하여, 집행 임원(CEO/CFO/COO)을 폐지.[17]

  • '''2016년'''
  • * 3월 26일 전년에 이어 오치초에서 4개 구단에 의한 "오치초 컵 스프링 토너먼트"를 개최. 첫날 경기에 승리한 고치와 도쿠시마에 의한 결승전과, 가가와와 에히메에 의한 3위 결정전이 27일에 개최되어, 각각 고치와 가가와가 승리하여, 고치가 우승했다.[18] 개막 전의 프리 시즌 매치에서 우승 팀이 결정된 것은 2009년 이후.
  • * 3월 31일 가기야마 마코토가 IBLJ의 대표 이사를 퇴임하고, 리그 이사장 전임이 된다.[19] 후임 IBLJ 대표 이사로 모리모토 미유키가 취임.[19]
  • * 4월 2일 2016년 시즌 개막.
  • * 5월 19일 올해의 북미 원정 팀의 멤버가 발표되었다.
  • * 5월 28일 에히메가 전년 후기에 이어 전기 우승을 달성.
  • * 6월 9일 2년차인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 선발팀의 공식전 19경기를 6월 30일 (모두 현지 시간)까지 실시. 성적은 8승 11패였다.
  • * 8월 6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의한 디지털 티켓 판매의 도입을 발표.[20]
  • * 9월 15일 에히메가 3기 연속인 후기 우승으로, 전·후기 제패를 달성. 전·후기 제패는 리그에서 3번째 팀이 된다.
  • * 9월 21일 에히메가 도쿠시마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2년 연속 연간 종합 우승을 달성. 전·후기와 합친 완전 우승은 팀 처음이며, 리그에서 3번째 팀이 된다.
  • * 10월 1일 에히메와, BC리그 우승팀인 군마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군마가 3승 2패로 우승(10월 10일까지).
  • * 10월 20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나가 하루고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기노시타 유스케·마쓰자와 유스케가 지명되었다.[21]

  • '''2017년'''
  • * 2월 15일 IBLJ 본사 및 리그 사무국을 다카마쓰시 오에초로 이전.[22]
  • * 3월 24일 가기야마 마코토가 리그 이사장을 퇴임하고, 같은 날 IBLJ 사장이 된 나카무라 토시히로가 이사장으로 취임.[23]
  • * 4월 1일 2017년 시즌 개막.
  • * 5월 22일 도쿠시마가 5기 만의 전기 우승.[24]
  • * 7월 3일 대만 프로 야구 CPBL 드래프트 회의에서 陳品捷|천핀제중국어·羅國華 (1992年出生)|뤄궈화중국어·林逸翔|린이샹중국어이 지명되었다.[25]
  • * 9월 20일 가가와가 5기 만의 후기 우승.[26]
  • * 10월 1일 도쿠시마가 가가와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3년 만에 4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8일 도쿠시마가 BC리그 우승팀인 시나노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2패로 승리하여, 4년 만에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으로서 2년 만에 독립 리그 일본 제일이 된다.
  • * 10월 26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이토 쇼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오쿠라 아키토가 지명되었다.[27]

  • '''2018년'''
  • * 2월 1일 이 날짜로, 리그 사무국장 사카구치 히로아키가 리그 이사장으로 취임 (발표는 5일).[28]
  • * 3월 31일 2018년 시즌 개막.
  • * 5월 31일 가가와가 2기 연속인 전기 우승.[29]
  • * 9월 10일 대한민국 프로 야구 KBO 리그의 드래프트 회의에서, 하재훈(제프훈)이 지명되었다.[30]
  • * 9월 19일 리그 사상 2번째 "최종전에서의 우승 결정전"에서 도쿠시마에 승리한 에히메가, 역전으로 2년(4기) 만의 후기 우승.[31]
  • * 10월 2일 가가와가 에히메와의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하여, 6년 만에 6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7일 가가와와, BC리그 우승팀인 군마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을 개최. 군마가 3승 1무로 우승 (10월 14일까지).
  • * 10월 25일 NPB 드래프트 회의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가마다 미쓰키가 지명되었다.[32]

  • '''2019년'''
  • * 3월 26일 올해부터 설치가 결정된 대표팀 전임 감독으로, 전 도쿠시마 감독 야부 데쓰의 취임을 발표(GM도 겸임).[33]
  • * 3월 31일 2019년 시즌 개막 (개막 경기는 30일에 2경기 예정되어 있었지만, 모두 강우로 인해 중지 또는 노 게임이 되었다[34])
  • * 6월 4일 도쿠시마가 2년 만의 전기 우승.
  • * 6월 14일 3년 만의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 선발팀의 공식전 19경기를 7월 4일 (모두 현지 시간)까지 실시. 성적은 7승 12패였다.
  • * 9월 10일 에히메가 2년 연속인 후기 우승.
  • * 9월 23일 도쿠시마가 2년 만에 5번째 연간 종합 우승.
  • * 10월 15일 도쿠시마가 BC리그 우승팀인 도치기와의 그랜드 챔피언십에서, 3승 2패로 승리하여, 2년 만에 우승. 아일랜드 리그 세력으로서 2년 만에 독립 리그 일본 제일이 된다.
  • * 10월 17일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우에마 도와·기시 준이치로가 지명되었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히라마 하야토·우네 아키마사가 지명되었다.[35]
  • * 11월 1일 이 날짜로 IBLJ 사장에 마고리 겐이 취임, 기존의 사장이었던 사카구치 히로아키는 회장이 된다.[36]

3. 리그 구성 구단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는 2005년에 에히메 만다린 파이렛츠, 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고치 파이팅 독스,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의 4개 구단으로 창설되었다.[49] 2008년에는 후쿠오카 레드 와블러스와 나가사키 세인츠가 합류했고,[69] 2024년에는 타이세이 인터네트가 리그에 참가했다.

각 구단은 선수 22명, 코치 2명, 감독 1명으로 구성된다.

리그 우승전반기 우승
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713
고치 파이팅 독스34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67
에히메 만다린 파이레이츠27
나가사키 세인츠01
후쿠오카 레드 워블러스00
미에 쓰리 애로우즈00


3. 1. 가맹 구단

창단연고지경기장팀 색상
에히메 만다린 파이렛츠2005년에히메현봇찬 스타디움style="background-color: #ff4500;"
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스2005년가가와현렉섬 스타디움style="background-color: #9acd32;"
고치 파이팅 독스2005년고치현고치 시립 야구장style="background-color: #000000;"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2005년도쿠시마현JA 뱅크 도쿠시마 스타디움style="background-color: #4169e1;"
후쿠오카 레드 와블러스2008년후쿠오카현
나가사키 세인츠2008년나가사키현
타이세이 인터네트2024년


  • 각 팀은 선수 22명, 코치 2명, 감독 1명으로 구성된다.

3. 2. 과거에 존재했던 가맹 구단

창단연고지
후쿠오카 레드 워블러스2008년후쿠오카현
미에 쓰리 애로우즈2009년미에현
나가사키 세인츠2008년나가사키현


4. 경기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는 지명 타자 제도를 사용한다. 원래 각 팀은 시즌당 90경기(홈 45경기, 원정 45경기)를 치렀으나, 2008년 확장을 통해 연간 80경기(홈 40경기, 원정 40경기)로 변경되었다. 팀들은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경기를 편성하려고 하며, 금요일 경기는 야간 경기이다. (2011년 시즌까지 고치 파이팅 독스는 조명 장비 부족으로 모든 홈 경기를 낮에 치러야 했다.)[141]

리그는 경기를 치르는 지역과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시코쿠 출신 선수들이 자신의 고향 팀에서 뛰도록 하고 있다. 정규 선수가 아니더라도 지명 타자, 대타, 구원 투수, 교체 선수로 자주 출전한다.[141]

4. 1. 리그 운영 방식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는 지명 타자 제도를 사용한다. 리그가 경기를 치르는 지역과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시코쿠 출신 선수들이 자신의 고향 팀에서 뛰도록 하고 있다. 정규 선수가 아니더라도 지명 타자, 대타, 구원 투수, 교체 선수로 자주 출전한다.[141]

원래 각 팀은 시즌당 90경기(홈 45경기, 원정 45경기)를 치렀으나, 2008년 확장을 통해 연간 80경기(홈 40경기, 원정 40경기)로 변경되었다. 팀들은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경기를 편성하려고 하며, 금요일 경기는 야간 경기이다. (2011년 시즌까지 고치 파이팅 독스는 조명 장비 부족으로 모든 홈 경기를 낮에 치러야 했다.)[141]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경기 수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2005년 ~ 2007년: 홈 45경기, 원정 45경기, 총 90경기 (2005년과 2006년에는 우천 취소 경기 발생)[141][142]
  • 2008년 ~ 2009년: 리그 확장으로 인해 총 80경기
  • 2010년: 76경기 (전후기 각 38경기) +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와 교류전 12경기
  • 2011년: 64경기 (전후기 각 32경기)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 정기 교류전 (전후기 각 4경기)
  • 2012년 ~ 2014년: 리그전 72경기 (전후기 각 36경기) + 정기 교류전 (전후기 각 4경기, 교류전 승패를 공식전 순위에 포함)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경기 수는 다음과 같다.

  • 2015년: 전후기 각 34경기, 총 68경기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 4경기 포함)[146]
  • 2016년: 전기 31경기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 교류전 3경기,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 4경기 포함)
  • 2017년: 전기 34경기, 후기 31경기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 교류전 후기 실시)[149]
  • 2018년: 전기 36경기, 후기 30경기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 교류전 전후기 각 2경기)[150]
  • 2019년: 전기 34경기, 후기 36경기, 총 70경기[151] (소프트뱅크 3군과 전후기 각 4경기,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 후기 2경기 교류전)[151]
  • 2020년: 당초 총 76경기 예정이었으나,[15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해 1시즌제로 변경,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 4경기, 총 76경기 실시[41]
  • 2021년: 2시즌제 복귀, 전후기 각 34경기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 전후기 각 4경기 포함),[153] 규슈 아시아 리그와 연습 경기 (각 팀 전후기 각 2경기, 비지터, 승패 미반영)[153]
  • 2022년 ~ 2024년: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을 포함한 경기 수는 이전과 동일[155][156][157]


경기 일정은 2011년까지는 금요일~일요일 주 3경기 페이스였으나, 리그 확장 이후 연전 중심으로 변경되었다. 금요일은 야간 또는 박명 경기, 토·일·공휴일은 4~6월 주간 경기, 7~10월 야간 경기를 중심으로 편성했다. 고치는 조명 시설 부족으로 주최 경기는 주간 경기만 가능했다.

2012년 이후 소프트뱅크 3군과 교류전으로 인해 월~목요일 평일 경기(주로 야간)가 증가했고,[158] 홈 앤드 어웨이 방식에 가깝게 돌아갔다. 2015년부터는 평일 경기가 더욱 증가했다.[159]

정규 시즌은 9회 종료 후 동점 시 무승부, 연장전은 없다. 고치시 야구장 야간 경기는 9회 이전이라도 21시 30분 초과 시 새 이닝에 들어가지 않고 무승부 처리된다.[162][163]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 정기 교류전은 예비일 미설정으로 경기 중지 또는 노 게임 시 무승부 처리된다.[164]

우천 중지 경기 대체로 더블헤더가 실시되기도 한다(2013년 제외). 2022년과 2023년에는 전기 각 팀 3회, 6경기씩 더블헤더가 설정되었다.[155][156]

2019년에는 공식전 일부에 7이닝제가 도입되었다.[244] 더블헤더, 우천 대체 경기, 후기 공식전 각 팀 홈 3경기에 적용되었고, NPB 3군과 교류전은 제외되었다.[166]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한시적 특별 규칙이 적용되었고,[40] 7이닝제는 유지되었다.[170]

2021년부터 우천 대체 경기는 양 팀 합의 시 9이닝 개최가 가능해졌다(더블헤더 제외).[188] 2022년 이후에도 동일하다.[174][175]

선발 예고를 실시하며, 경기 전날 발표된다(전날 경기 시 7회 종료 시점 발표). 소프트뱅크 컵에서는 선발 예고를 하지 않는다.

2009년부터 반발력을 강화한 볼을 사용했고,[176] 2021년부터는 일본 독립 리그 야구 기구(IPBL) 채용 통일구를 사용한다.[49]

4. 2. 우승 결정 방식

2006년부터 2019년까지와 2021년에는 전·후기 종합 순위에서 종합 우승은 리그 챔피언십을 제패한 결과이다.

2007년 및 2010년의 가가와와 2014년의 도쿠시마, 2016년의 에히메는 레귤러 리그 전·후기 완전 우승하여 1승 어드밴티지가 있었기 때문에 2승으로 종합 우승이 되었다.

2014년 전기의 도쿠시마·가가와 및 2016년 후기의 가가와·고치는 동률 승률이었다. 직접 대전 성적이 우위인 팀이 상위라는 규정에 의해 순위가 결정되었다. 무승부 경기를 제외한 승률(2012년 이후는 NPB 3군과의 정기 교류전 포함)로 결정한다.[82] 최고 승률이 같은 팀이 복수 발생한 경우에는,

# 최고 승률 구단 간의 대전 승률

# 당기 득실점 차

# 당기 총 득점수

의 순서로 우열을 비교하여 우위인 팀이 우승이 된다.[82] 2014년 전기에는 도쿠시마와 가가와가 최고 승률로 동률을 이루어 처음으로 이 규정이 적용되어 직접 대전 성적이 우위였던 도쿠시마가 우승했다.[178]

또한, 2시즌제가 시작된 2006년 당시에는 최고 승률이 같은 팀이 발생한 경우에는 양 팀에 의한 플레이오프 1경기를 실시하여 우승팀을 결정한다는 규정이 존재했지만[179], 적용 실적 없이 현행 규칙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이후의 2시즌제에서는 전기・후기 각각의 우승팀이 연간 우승을 걸고 리그 챔피언십을 다툰다. 전기, 후기 모두 같은 팀이 우승하는 경우에는 연간 승률 2위 팀과의 리그 챔피언십이 된다[180]。 또한, 2시즌제의 제약으로 전후기 우승팀이 다른 경우에도 연간 우승팀이 연간 승률 1위가 아닌 경우가 발생한다.

리그 챔피언십에서의 연장전 처리는 연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또한, 실제로 처음으로 연장전이 실시된 것은 2009년(제2전)이다.

  • 2006년과 2009년부터 2023년까지 - 원칙적으로 실시하지만, 사용 구장의 조건에 따라 특정 시간 이후에는 새로운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 2007년・2008년 - 첫 경기부터 어느 한 쪽이 승리를 거둘 때까지는 레귤러 시즌과 마찬가지로 연장전을 하지 않는다. 승리를 거둔 후부터 연장전을 실시(단, 사용 구장의 조건에 따라 제한 있음).
  • 2024년 - 타이브레이크 (시작 설정은 무사 1・2루)로 실시하고, 15회까지 실시하여 결착이 나지 않을 경우에는 무승부[181]


또한, 2009년의 리그 챔피언십부터 우승 조건이 세분화되어,

  • 5경기 종료 시 무승부 등으로 인해 어느 한 쪽이 3승을 하지 못하더라도 그 시점의 승패로 우승을 결정
  • 5경기 종료 시 대전 성적이 5할인 경우에는 예비일에 1경기를 실시하여 그 승패로 우승을 결정
  • 우천 등으로 예비일을 포함하여 일정을 종료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시점의 승패로 우승을 결정
  • 예비일을 포함하여 대전 성적이 5할인 경우에는 다음 순서대로 유리한 팀이 우승
  • 챔피언십의 실점률 (총 실점 ÷ 총 이닝 수)
  • 당기 공식전 연간 통산 승률
  • 당기 공식전의 해당 카드 대전 성적


으로 정해졌다. 이 조건은, 경기 수 변경 후에도 (챔피언십의 실시 경기 수・승리 수 부분을 제외하고)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187]

2019년에 개최 경기 수나 개최 구장에 변경이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2018년까지와 2019년 이후 (2020년은 제외)로 나누어 설명한다.

; 2007년 - 2018년

총 5경기 3선승제. 전후기를 연패한 경우, 전기, 후기 두 스테이지 모두 우승한 팀에게 1승의 어드밴티지가 주어지므로, 연간 1위 팀은 경기에서 2승을 하면 연간 종합 챔피언이 되었다. 전후기 우승팀과 연간 승률 2위 팀의 대전이 되는 경우의 주최 경기에 대해서는, 2012년까지는 연간 승률 2위 팀이 제1전, 전후기 우승팀이 제2전 이후로 양 팀이 반드시 1경기는 개최하는 방식이었지만[182], 2013년부터는 전후기 우승팀이 첫 2경기, 연간 승률 2위 팀이 제3전 이후를 개최하는 형태로 변경되어, 연간 승률 2위 팀은 연패하면 홈 경기를 할 수 없게 되었다 (실제로 적용된 것은 2014년이 처음)[183]。 2016년도의 리그 챔피언십은 전후기 우승한 에히메가 2승 0패로 제압하여, 처음으로 1팀의 홈 경기만으로 종료되었다[184]。 전기를 도쿠시마가 제패한 2017년은, 후기 우승팀 결정 전인 9월 2일 시점에서, 첫 경기는 도쿠시마 홈이면서, 에히메가 출장하는 경우에 한해 제2전・제3전을 에히메 홈, 제4전 이후를 도쿠시마 홈에서 실시한다고 발표되었다[185]。 실제로는 가가와가 후기 우승했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았다.

; 2019년 이후

2019년 5월 30일 리그 발표에서, 2019년의 챔피언십 개최 요강이 밝혀졌다[186]。 그것에 따르면, 총 3경기 2선승제가 된다[186]。 전후기를 연패한 팀에게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1승의 어드밴티지가 있어, 경기에서 1승을 하면 연간 종합 우승이 된다[187]

개최 구장은, 제1전은 전기 우승팀, 제2전은 후기 우승 또는 연간 승률 2위 팀 (전후기 연패한 팀이 출전하는 경우), 제3전은 출전 팀 중 연간 승률이 높은 팀의 홈에서 개최된다[186]

2시즌제로 복귀한 2021년도 2019년과 대략 같지만, 제2전의 개최 구장은 "후기 우승팀"뿐이며, 전후기 우승팀 대 연간 승률 2위 팀의 경우에는 전후기 우승팀만 홈 경기를 실시하는 형태가 된다[188]。 제3전의 개최 구장은 전기 우승팀의 홈으로 변경되었다[188]。 2021년 7월 21일에 발표된 개최 요강에서는, 챔피언십에 "토리도르 컵"이라는 관칭이 붙는다는 것이 밝혀졌다[189]。 2022년도 이후에도 2021년과 같은 규정이지만[174][190][181], 실제 개최에 있어서는 "전후기 우승팀 대 연간 승률 2위 팀"의 대전의 경우, 제2전을 연간 승률 2위 팀의 홈에서 실시하고 있다 (2023년도는 첫 경기에서 결착이 났기 때문에, 실제로 이 조합으로 제2전이 실시된 것은 2024년)[191][192]

5. 선수

일본야구기구(NPB)를 목표로 하는 야구 경험자를 트라이아웃으로 획득하며, 4개 구단에서 약 100명 정도가 활동한다.

각 팀의 지도자는 첫 해에 선수들의 NPB 잠재력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긴 프로스펙트를 발표했지만,[200] 2년차부터는 시행되지 않았다.

일본야구연맹 소속 클럽팀(사회인 야구) 선수가 리그를 포함한 독립 리그로 이적하려면, 클럽팀 재적 연수 제한을 충족하거나 "원만 퇴부" 증명 서류가 필요하다.[202][203] 2011년 호시노 유다이는 클럽 승낙을 얻어 가가와에 입단했고, 이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는 대만 프로 야구 최초의 2000안타 달성자 장타이산이나, MLB 강타자였던 마니 라미레즈 등 해외 শীর্ষ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선수들이 리그에 합류하기도 했다.

작가 아사토 사토시는 2020년 글에서, 독립 리그 외국인 선수들은 NPB 입단을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 성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지적했다.

주요 타격 및 투구 부문 성적 우수자, 베스트 나인, MVP에게는 시상 제도가 있다. MVP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전기, 후기 3명을 시상했으나, 2019년부터 전기, 후기 MVP 시상은 없어졌다. 시상 대상이 되는 규정 타석 및 규정 투구 이닝 수는 초기에는 NPB 1군과 같았으나, 2006년부터 NPB 2군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27]

노히트 노런사이클링 히트 달성자는 리그 뉴스 릴리스로 발표된다.

; 노히트 노런 달성자

: ''노히트 노런#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참조''

; 사이클링 히트 달성자


  • 프레데리크 앙비 (고치) - 2014년 6월 15일 에히메전 (가와노에 구장)[228]


이 리그는 프로 리그의 흥행 측면과 NPB 진출 선수 육성이라는 교육 리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각 구단은 자체 연습 시설이 없어 초기에는 연습 장소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도쿠시마처럼 공공 연습 장소가 부족한 지역도 있었고, 선수들이 자유롭게 연습할 환경이 아니었다. 이후 고치오치정에서, 에히메는 에히메 은행에서 연습 장소를 제공하는 등 개선이 이루어졌다. 도쿠시마는 2023년에 실내 연습장을 개설했다.[274]

2010년 현재 가가와, 에히메, 고치 3개 구단은 민간 주택 임대 및 자치단체 시설 제공을 통해 전용 합숙소를 운영하고 있다.

5. 1. 선수 선발 및 계약

2005년 리그 발족 당시에는 트라이아웃 참가 자격을 17세부터 24세로 규정했고, 1팀의 선수 보유 수는 25명이었다.[98] 2008년도 트라이아웃부터 연령 제한이 29세로 상향되었고, 각 팀의 선수 보유 枠은 30명까지 확대되었다. 이는 리그 확장에 따른 조치였다. 2009년도 트라이아웃에서는 "만 15세 이상의 의무 교육을 마친 남성"으로 연령 제한이 대폭 완화되었다. 2010년도부터는 "만 15세 이상의 야구 경험자(의무 교육 종료)"로 변경되어 야구 경험자로 한정하는 한편 성별 제한은 철폐되었다. 다만, 여성 선수 보유 실적은 아직 없다. 2014년부터는 선수 보유 枠이 다시 25명으로 줄었다가 2020년부터 27명으로 변경되었다.[98]

리그 발족 당시에는 시코쿠 4개 현 출신자는 원칙적으로 "자신의 출신 현 팀"에 소속되었다. 2007년 시즌부터는 자현 선수 우대 경향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 2018년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 리그)와 합동으로 드래프트 회의를 실시할 때, BC 리그가 도입한 "지역 枠"(출신지·출신교·귀성지가 해당 구단의 소재지인 현의 선수) 제도를 용인했고,[197] 같은 해 드래프트 회의에서는 도쿠시마가 이 제도로 1명을 지명했다.[198]

2020년에는 전국 규모의 고교 야구 대회가 중단된 것을 계기로, 스폰서인 토리도르 홀딩스와 함께 시코쿠 4개 현의 고교생을 대상으로 참가비 무료 트라이아웃을 실시했다.[199]

2006년 5월부터 전 NPB 소속 선수도 받게 되었다. NPB 경험자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트라이아웃 시 연령 제한이 없었다. NPB 경험 선수 제1호는 전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가가와에 입단한 아마노 코이치이다. 2009년 8월에는 전 한신 타이거스이라부 히데키가 고치에 입단하여 NPB에서 개인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로서는 첫 가입자가 되었다. 같은 해 후쿠오카에 입단한 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야마다 아키치카는 시즌 종료 후 트라이아웃을 거쳐 지바 롯데 마린스에 입단했다. 아일랜드 리그에 소속되었던 전 NPB 선수로 NPB에 복귀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2013년 에히메에 재적했던 카나모리 타카유키가 두 번째 사례가 되었다. 2015년에는 MLB에서 자유 계약이 된 후지카와 큐지(전 한신 타이거스)가 전기 종료 후에 입단하여 시즌 종료 후 한신에 복귀했다. 2020년에 가가와에 소속된 사이나이 히로아키(전 한신 타이거스)는 시즌 도중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201] 재적 시즌 중에 NPB에 복귀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계약 체결·해제는 시즌 오프의 계약 만료 시나 트라이아웃 시뿐만 아니라, 시즌 도중 계약이나 시즌 중을 포함한 계약 기간 도중의 계약 해제도 가능하다. 시즌 도중 입단의 경우에는 2008년도 이전부터 연령 제한에 구애받지 않았다.

리그 내에서의 선수 이적은 2년차부터 수시·적절히 실시되었지만, 2008년 8월부터 "리그 챔피언십 종료 다음 날부터 다음 해 시즌 후기 개막일 전날까지(2008년도에만 특례로 8월 말까지)"로 명확화되었다.

MLB 구단에 보유권이 있는 등의 이유로 기간 한정 스폿 계약으로 참가한 선수로는 다다노 카즈히토(2006년, 도쿠시마)[204]·마츠오 코가(2008년, 가가와)[205]가 있다(마츠오에 대해서는 구 소속으로 복귀). 또한, 2015년에 고치에 입단한 후지카와 큐지에 대해서는 입단 당초에는 1경기 단위의 스폿 계약(무보수)이었지만,[206] 후기 개막 직후인 8월 4일에 리그 기준에 따른 형태의 계약(무보수는 계속)을 체결했다.[207][208]

2007년도 신입 선수 선발 요강에서는 "보수 지급 대상 기간은 계약 기간 내 2~11월의 10개월, 그 기간 동안 계약 선수의 최저 보장은 '월 10만 엔과 주거 제공', 추가로 경기에서의 퍼포먼스 등에 따라 실적급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되어 있었다.

2009년도 신입 선수 선발 요강에서는 "보수 지급 대상 기간은 계약 기간 내 3~10월의 8개월, 계약 선수의 보수는 '월 10만 엔 - 40만 엔(개별 결정, 시즌 중에도 변동 가능)'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현재까지 동일하다.[209] 선수는 개인 사업자로서, 국민 건강 보험 및 국민 연금에 각자 가입하도록 명시되어 있다.[209]

2021년 시즌부터 BC 리그의 보수 체계에 맞춰 규약을 개정하여, 부업을 하는 것을 전제로 보수를 억제하는(무보수 포함) 선수 계약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2021년 3월 시점에서는 무보수를 채용할 전망의 구단은 없다고 보도되었다.[212]

아일랜드 리그에서는 이른바 "용병"으로서의 외국인 선수뿐만 아니라, 한 명의 선수로서 외국 국적 선수에게도 문호가 열려 있다. 단, 리그 발족 당시에는 외국인 선수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수용을 시작한 것은 2년째인 2006년부터이다.

외부 조직과의 연계로 선수 수용도 이루어졌으며, 카프 아카데미(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2007년 - 2016년, 호주 야구 연맹에서는 2007 - 2008년에 선수를 수용했다. 또한, 야구가 보급되는 과정에 있는 짐바브웨미얀마, 부르키나파소 출신 선수의 재적 실적도 있다.

2009년에 카프 아카데미 출신의 디오니 소리아노가 육성 선수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입단하면서, 리그에 재적 경험이 있는 외국인 선수로서는 최초의 NPB 입단자가 되었다.

2012년 시즌부터 미국 독립 리그 출신 선수를 각 구단에서 고용할 방침이라고 표명했으며, 같은 시즌에 입단이 실현되었다. 그 중 한 명인 가가와 알레산드로 마에스트리는 2012년 7월에 오릭스 버팔로스에 입단했다. 시즌 중에 리그에 재적하는 외국인 선수가 NPB에 입단하는 것은 마에스트리가 처음이다. 그러나 리그가 직접 외국인 선수를 일괄 채용하는 방침은 선수의 "용병"적인 인식이 있으며, "도전의 장"을 제공한다는 리그의 컨셉과 맞지 않아 이 시즌에 중단했다.

아일랜드 리그 소속 선수가 NPB 구단에 입단했을 경우, 선수가 프로 야구 구단으로부터 받는 계약금과 첫해 연봉의 일부를 아일랜드 리그 소속 구단에 지불하는 계약으로 되어 있다. 2006년 드래프트에서 카가와에서 NPB에 입단한 두 선수의 경우, 계약금과 첫해 연봉의 20%가 가가와의 수입이 되었다고 보도되었다.[231]

5. 2. NPB 드래프트 지명 선수

다음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에서 NPB 드래프트 지명을 받은 선수들에 대한 내용이다.

; 2005년
리그 첫 해인 2005년 드래프트에서는 지배하 등록 선수 지명은 없었지만, 이 해부터 창설된 육성 선수 제도를 위한 육성 드래프트에서 에히메의 니시야마 미치타카와 나카타니 츠바사가 지명을 받았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10]

; 2006년
대학·사회인 드래프트에서 가가와의 후카자와 카호와 고치의 카도누카 카츠야가 지명되어, 첫 지배하 등록 선수 지명 선수를 배출했다. 또한 육성 드래프트에서는 가가와의 이토 히데노리가 지명되었다. 이토 히데노리는 2007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후카자와 카호는 2009년에 가가와로 복귀하여, 아일랜드 리그에서 NPB 구단에 입단한 선수로서 첫 복귀가 되었다.

; 2007년
대학·사회인 드래프트에서 가가와의 미와 마사요시가 지명되어, 2년 연속 지배하 등록 선수 지명을 받았다. 또한 육성 드래프트에서는 5명의 선수가 지명되었다. 도쿠시마의 코바야시 노리유키는 팀 최초의 지명자로, 육성 枠을 포함하면 4팀 모두에서 지명자를 배출했다. 카지모토 타츠야는 2008년 시즌 중에, 미야모토 유지는 2009년 시즌 시작 전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08년
에히메의 니시카와 마사토와 후쿠오카의 김무영이 지명되어, 양 팀 모두 첫 지배하 등록 선수 지명을 받았다. 또한 육성 드래프트에서는 가가와에서 4명의 선수가 지명되었다. 한 번에 한 구단에서 4명의 지명은 당시 리그 사상 최다였다. 도조 하야토는 2009년 시즌 개막 전에, 모리타 타케시는 같은 해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09년
가가와의 후쿠다 타케히로와 도쿠시마의 아라바리 히로시가 지명되었다. 또한 육성 드래프트에서는 나가사키의 마츠이 코지가 지명되어, 팀 최초의 지명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육성 枠을 포함하면 규슈 확장 후의 6구단 모두에서 지명자가 탄생하게 되었다.

; 2010년
드래프트와 육성 드래프트에서 각 3명씩 지명되었다. 고치에서의 지명은 3년 만이며, 나가사키를 제외한 시코쿠 4개 구단에서 지명자가 나왔다. 가가와·에히메는 지배하 枠과 육성 枠 각 1명씩으로, 복수의 팀에서 복수의 지명자가 나오는 것은 처음이다. 키시 케이스케는 2012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츠루오카 켄지로는 은퇴 후 2018년 시즌부터 코치로 취임하여, 아일랜드 리그 출신 선수로서 첫 NPB 코치 취임이 되었다.

; 2011년
육성 드래프트에서 시코쿠 4개 팀에서 7명이 지명되었다. 인원은 당시 리그 사상 최다였지만, 리그가 발족한 2005년 이래 6년 만에 지배하 등록 선수 지명이 없었다. 니시모리 마사시와 토미타 코스케는 2013년 시즌 중에, 또 츠치다 미즈키는 2014년 시즌 개막 전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카메자와 쿄헤이는 2014년 시즌 종료 후, 육성 계약 기한에 따른 자유 계약 공시 후에 주니치의 테스트를 받고, 지배하 등록 선수 계약을 맺었다.

; 2012년
지배하 등록 枠 지명자가 2년 만에 나왔다. 지명자의 출신이 1개 구단만인 것은 첫 해 이래. 미즈구치 다이치는 2015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13년

  • 마타요시 카츠키 (가가와) - 주니치 드래곤즈 2위 (FA권 행사로 2022년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히가시 히로아키 (도쿠시마) - 오릭스 버팔로스 육성 1위 (2014년 퇴단)

지배하 등록·육성 枠 각 1명은 전년과 동일. 마타요시 카츠키의 2위 지명은 리그의 드래프트 지명자로서 과거 최고 순위이다.

; 2014년
지배하 枠 3명은 4년 만. 또한 도쿠시마는 리그에서 처음으로, 한 번에 복수의 지배하 枠 지명자를 배출했다. 시노하라 신페이는 2017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15년
가가와의 합계 4명 지명은 4년 만. 또한, 4년 연속 지배하 枠 지명자를 배출했다. 지명자의 소속 구단은 3년 연속으로 가가와와 도쿠시마였다. 오키 타카마사는 2016년 시즌 중에, 마스다 다이키는 2017년 시즌 중에, 각각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16년

  • 후쿠나가 신고 (도쿠시마) - 한신 타이거스 6위 (2020년 퇴단)
  • 키노시타 유스케 (도쿠시마) - 주니치 드래곤즈 육성 1위 (2021년 재적 중에 사망)
  • 마츠자와 유스케 (가가와) - 요미우리 자이언츠 육성 8위 (2018년 퇴단)

지명 대상자의 소속 구단은 4년 연속 가가와와 도쿠시마가 되었다. 전년 지명을 받았지만 부상으로 인해 입단을 사퇴한 가가와의 마츠자와 유스케는, 1년을 거쳐 다시 자이언츠로부터 지명을 받았다. 키노시타 유스케는 2018년 개막 전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17년
도쿠시마에서 2명이 지명되었다. 지명 대상자의 소속 구단이 1개 구단만인 것은 2012년 이래 3번째. 도쿠시마는 5년 연속 지명자를 배출하는 한편, 가가와는 2006년부터 이어지던 지명이 끊어졌다.

; 2018년
6년 연속으로 도쿠시마가 지명자를 배출했지만, 2011년 이래 7년 만에 지배하 등록 枠 지명이 없었고, 지명자 1명은 과거 최소이다.

; 2019년
도쿠시마에서 총 3명, 가가와에서 1명이 지명되어, 2년 만에 지배하 등록 枠 지명자가 나왔다. 도쿠시마에서의 지명은 7년 연속, 가가와에서는 3년 만이다. 지배하 등록 枠에서 1개 구단에서 복수의 지명자를 내는 것은 5년 만. 또한 우에마 토와는 "고졸 1년차 지배하 枠 지명"으로, 리그에서는 2017년 이토 쇼 이래가 된다. 히라마 하야토는 2021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20년
도쿠시마에서 2명, 고치에서 1명이 지명된다. 도쿠시마에서의 지명은 8년 연속이 되었고, 지배하 枠에서는 2년 연속 지명되었다. 고치에서의 지명은 2011년 이래 9년 만이다. 토다 카이세이는 2021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21년
3년 만에 지배하 등록 枠의 지명이 없었고, 육성으로 도쿠시마에서 2명, 고치에서 1명이 지명되었다. 육성을 포함, 도쿠시마는 9년 연속, 고치는 2년 연속 지명되었다. 미야모리 사토시는 2022년, 후루이치 타케시는 2023년 시즌 중에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22년
전년에 이어 육성만의 지명이 되었고, 도쿠시마에서 3명, 에히메에서 1명이 지명되었다. 육성을 포함, 도쿠시마는 10년 연속, 한편 에히메는 11년 만의 지명이었다. 차노 아츠마사는 2023년 시즌 개막 전에, 우에코 다이는 개막 후에, 각각 지배하 등록되었다.

; 2023년
3년 만에 지배하 枠 지명자가 탄생하여, 도쿠시마에서 6명, 에히메에서 3명이 지명되었다. 총 9명의 지명은 리그 사상 최다, 또한 도쿠시마의 6명은 같은 해의 동일 구단으로부터의 지명자 수로서 리그에서 최다이며, 지배하 枠 3명도 마찬가지로 최다이다. 시이바 타케시의 지배하 2위 지명은, 2013년 마타요시 카츠키와 같은 리그 최고 순위가 되었다. 도쿠시마로부터의 지명은 11년 연속 (가가와의 기록과 병행), 에히메는 2년 연속이 되었다.

; 2024년
도쿠시마·고치·에히메에서, 지배하 枠 4명·육성 枠 4명이 지명되어, 지배하 枠의 지명자 수는 리그 최다를 갱신했다. 고치에서는 3년 만에 지명자가 나왔다.

6. 제휴 및 확장

NPB나 다른 독립 리그와의 제휴 및 확장은 2007년부터 여러 구상이 보도되었고, 일부는 실현되었다.

2007년 6월, 지바 롯데 마린스의 보비 발렌타인 감독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의 한 팀을 인수하여 2군 선수를 육성하는 구상을 표명했다.[355] IBLJ 사장 카기야마 마코토는 제휴를 위해 NPB 7개 구단과 접촉했다고 밝혔지만,[356] 롯데 구단 사장 세토야마 류조는 인수설을 즉시 부인했다.[357] 이후 롯데는 도쿠시마에 육성 선수 파견을 추진했으나, 사회인 야구 측의 반발과 타 구단의 이견으로 보류되었다.[358][359][360][361]

2011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공식전이 검토되었으나 무산되었고,[362] 대신 정기 교류전 '소프트뱅크컵'이 개최되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의 교류전도 실시되었다. 2023년에는 소프트뱅크 3군 및 4군과 교류전을 실시하지만, 3군과의 경기만 공식전으로 인정된다.[363]

2012년, NPB 구단의 육성 선수를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파견하는 것이 승인되었다.[364]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는 2015년과 2016년에 선수를 파견했다. 2017년에는 주니치의 하마다 도모히로가 가가와에 파견되었지만,[368] 2018년 이후 파견은 중단되었다.

2007년부터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은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2024년 선발팀에는 오이시 닛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선수들이 합류했다.[369]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 리그)와는 2007년 교류전을 실시했고, 이후 양 리그 우승팀 간 그랜드 챔피언십이 개최되었다. 2018년에는 트라이아웃과 드래프트 회의를 공동 개최했지만,[370][371] 2019년부터는 각 리그 단독으로 진행하고 있다.[372]

간사이 독립 리그와는 2009년 개막 전 오픈전을 가졌으나, 그랜드 챔피언십 참가는 무산되었다.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JFBL)와는 2010년 교류전을 실시했고,[374] 미에 쓰리 애로우즈의 리그 가입이 결정되었지만,[376][377] 2011년 미에가 탈퇴하면서 무산되었다.

2008년 발족 예정이었던 규슈 리그와는 2007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고,[379][380] 나가사키 세인츠와 교류전을 가졌다. 리그 명칭이 '시코쿠·규슈 아일랜드 리그'로 변경되었지만, 규슈 측 운영 회사가 구체화되지 않아 2009년 규슈 오피스는 폐쇄되었다.

2009년, 오카야마, 미야자키 구단 추가 및 서일본 16개 구단 리그전 구상이 발표되었지만,[381] 이후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었다. 2021년 규슈 아시아 리그가 발족하면서 구마모토, 후쿠오카, 미야자키에 구단이 창설되었다.

일본 야구 연맹 주최 JABA 시코쿠 대회에는 2015년부터 각 팀이 번갈아 참가하고 있다.[419][420][421][422][423][424][425][426][427]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윈터 리그'/'트라이아웃 리그'를 개최하여 선수 선발을 진행했다.[430][431][432][433][434][435][436]

2015년부터 북미 독립 리그와의 교류를 추진하여, 캔-암 리그와 공식전을 치렀다.[143][144][145][147] 2015년과 2016년 원정은 적자를 기록했고,[401] 2019년 3년 만에 원정이 재개되었다.

6. 1. NPB와의 관계

2005년 NPB 드래프트 회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니시야마 미치타카와 나카타니 츠바사가 리그 소속 선수로서 처음 NPB로부터 지명을 받았다[10].

2006년 NPB 드래프트 회의(대학·사회인·일반 대상)에서 후카자와 카즈호와 스미나카 카츠야가 지명되고, 이어서 열린 육성 드래프트에서 이토 히데노리가 지명되었다.

2007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미와 마사요시가 지명되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카지모토 타츠야, 오야마다 타카오, 미야모토 유지, 코바야시 노리유키, 시라카와 다이스케가 지명되었다.

2008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니시카와 마사토, 김무영이 지명되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모리타 타케시, 츠카모토 코지, 우부야마 히로토, 도조 하야토가 지명되었다.

2009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다 타케히로, 아라바리 유지가 지명되고, 2차(육성) 드래프트에서 마츠이 히로지가 지명되었다.

2010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하라 준야, 겐모토 유키, 쓰루오카 겐지로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기시 게이스케, 야스다 게이스케, 우에노 게이스케가 지명되었다.

2011년 NPB 드래프트 회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토미나가 하지메, 토미타 고스케, 가메자와 교헤이, 나카무라 마사타카, 니시모리 쇼지, 쓰치다 미즈키, 이다 가즈야가 지명을 받았다. 지배하 선수 틀에서의 지명이 없었던 것은 2005년 이후 처음이다.

2012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호시노 유다이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미즈구치 다이치가 지명되었다. 지배하 등록 틀에서의 지명자는 2년 만이다.

2013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또요시 가쓰키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히가시 히로아키가 지명되었다.

2014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데라다 테쓰야, 이리노 다카히로, 야마모토 마사시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시노하라 신페이가 지명되었다[14].

2015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마쓰모토 나오아키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오키 다카시, 마스다 다이키, 아카마쓰 고스케, 요시다 다카시, 마쓰자와 유스케가 지명되었다[15].

2016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나가 하루고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기노시타 유스케, 마쓰자와 유스케가 지명되었다[21].

2017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이토 쇼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오쿠라 아키토가 지명되었다[27].

2018년 NPB 드래프트 회의 육성 드래프트에서 가마다 미쓰키가 지명되었다[32].

2019년 NPB 드래프트 회의에서 우에마 도와, 기시 준이치로가 지명되었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히라마 하야토, 우네 아키마사가 지명되었다[35].

NPB로의 선수 공급을 리그의 목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 점에 큰 관심이 쏠렸지만, 첫 해 드래프트 지명은 육성 선수 2명이었다. 이후 2023년까지 19년 동안 육성 선수를 포함하여 총 76명(실질 75명)이 NPB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았다.

2006년부터 4년간 NPB에서 지배하 등록된 출신 선수 중 1군에 정착한 선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2012년에는 가쿠나카 가쓰야가 국내 독립 리그 출신 선수로서는 처음으로 올스타전 출전과 타이틀(수위 타자) 획득을 실현했다. 2016년에는 가쿠나카가 최다 안타와 2번째 수위 타자를 획득하여, 일본 독립 리그 출신 선수 중 "톱 런너 선수"로 평가받았다[250].

2007년 이후, NPB나 다른 독립 리그 등과의 제휴 및 확장의 구상이 보도되었으며, 일부는 실현되었다.

2007년 6월에 지바 롯데 마린스의 보비 발렌타인 감독이 아이랜드 리그의 한 팀을 인수하여 2군 선수를 육성하는 구상을 표명했다.[355]

2012년 3월 1일 프로야구 실행위원회에서, 각 구단의 육성 선수를 당 리그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파견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때 파견 선수의 급여는 NPB 구단 측이 부담한다.[364]

6. 2. 다른 독립 리그와의 관계

2007년 이후, NPB나 다른 독립 리그 등과의 제휴 및 확장 구상이 보도되었으며, 일부는 실현되었다.

2007년에 발족한 베이스볼・챌린지・리그(구 호쿠신에쓰 BC 리그)와는 같은 해 시즌 중에 교류전을 실시했지만, 그 후에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같은 해부터 시즌 종료 후, 양 리그의 우승 팀 간에 그랜드 챔피언십(5경기제)이 실시되었다 (2020년과 2021년은 중지, 2022년부터는 참가 리그를 늘린 토너먼트제가 된다). 양 리그만의 참가였던 2019년까지의 전적은, 아일랜드 리그 세력의 8승 5패 (우승은 카가와 3, 도쿠시마 3, 고치 1, 에히메 1)였다.

2018년에는 선수 트라이아웃 및 드래프트 회의를 합동으로 실시했다.[370][371] 드래프트 회의는, 양 리그에서 제도를 조정하여, 인터넷 중계 형태로 실시되었다.[197] 2019년 이후는 각 리그의 단독 실시로 돌아가고 있다.[372] 한편, 2022년에는 심판 트라이아웃을 합동으로 실시하게 되었다.[373]

2009년에 발족한 칸사이 독립 리그(초대)와는 개막 전에 오픈전을 개별 팀 간에 실시했다. 2009년에는 그랜드 챔피언십에도 참가하는 방향으로 검토가 진행되었지만, 최종적으로 불참하게 되었고, 2013년 리그 소멸에 이르기까지 참가하지 않았다.

2010년에 발족한 재팬 퓨처 베이스볼 리그(JFBL)는 2010년 시즌에 각 팀이 오사카와 당시 JFBL의 미에와 각 6경기씩 총 12경기의 교류전을 치르는 것으로 2009년 12월 1일에 양측에서 발표했다. 양 리그 모두 교류전의 성적은 공식전 순위에 반영하기로 했다.[374] 2010년 전기 중에 JFBL의 오사카에서 NPB를 대상으로 한 야구 도박에 연루된 선수 8명이 해고되는 불상사가 발생하여, 후기 교류전에 대해서는 "협의 후 결정"이라는 입장을 보였지만, 7월 1일에 리그 정례 이사회에서 후기에도 계속 교류전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375] 오사카의 경기가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남은 1개 구단인 미에가 대체 경기를 실시하는 것도 상정되었지만, 최종전까지 예정대로 2개 구단에서 교류전이 실시되었다.

2015년 6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 팀이 북미의 독립 리그인 캔-암 리그의 모든 팀과 경기를 가졌다. 그들은 6승 10패로 마쳤다. 올스타 팀은 2016년 캔-암 리그 시즌에 다시 참가하여 8승 12패로 마쳤다.[4]

2008년 발족을 계획했던 규슈 리그는 2007년에 업무 제휴를 목적으로 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379][380]

한편, 사회인 야구팀 구마모토 골든 라크스의 제너럴 매니저 겸 총감독을 맡고 있는 다나카 도시히로는, 2020년 1월의 닛케이 산업 신문 기사에서, 2021년에 골든 라크스를 프로화하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을 포함한 독립 리그를 발족시키는 구상을 밝혔지만, 리그 발족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에 참전하는 것도 상정하고 있다고 기록되었다.[394] 2020년 9월 11일에 구마모토의 신 구단 운영 회사 관계자가 기자 회견을 열어 2021년부터의 신 리그에 참가하는 것을 정식으로 발표했고, 그 안에서 아일랜드 리그와의 교류전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하고 있다.[395] 2020년 11월 4일에 리그 운영 조직의 설립 경험이 열리고, 리그명이 규슈 독립 프로 야구 리그(리그전 개시 전에 규슈 아시아 리그로 변경)가 됨과 동시에, 당 리그와의 교류전을 향해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396] IBLJ 사장인 마고리 켄은, 2020년 11월의 인터뷰에서 규슈를 포함한 독립 리그의 증가에 대해 "팀 수가 증가하고 선수가 분산됨으로써, 독립 리그 자체의 레벨 저하 등이 외쳐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독립 리그가 (다른 단체보다) 낮게 보이지 않도록, 야구의 레벨은 항상 높여야 한다."라고 코멘트했지만, 규슈 아시아 리그와의 교류전에 대해서는 명언하지 않았다.[161] 그 후 발표된 일정에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규슈 아시아 리그와의 경기는 모두 "연습 경기" 취급으로 팀의 승패나 개인 성적에는 반영하지 않는 형태가 되었다.[153] 2022년 시즌은 규슈 아시아 리그와의 교류전은 실시되지 않았고[397], 2023년도 마찬가지였다.

일본 사회인 야구를 통괄하는 일본 야구 연맹(JABA)이 주최하는 JABA 시코쿠 대회에 가가와가 2015년 제44회 대회(가가와현 개최)에 참가하여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419][420] 2016년 제45회 대회(도쿠시마현 개최)에는 도쿠시마가 참가하여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리그 소속 구단으로서 처음으로 경기에서 승리했다.[421][422] 2017년 제46회 대회(에히메현 개최)는 에히메가 참가하여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423] 2018년 제47회 대회(고치현 개최)에 고치가 출전하여 리그 팀으로서는 2년 만에 경기에서 승리했다.[424] 이에 따라, 리그 전체 구단의 출전이 한 바퀴 돌았다. 2019년에는 가가와가 두 번째 참가가 되었고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425] 2020년도는 대회가 중지되었다. 2021년도(제49회 대회)는 도쿠시마가 두 번째 참가를 하여, 예선 탈락했지만 1승을 거두었다.[426] 2022년도(제50회 대회)는 고치가 출전하여 1승 2패의 성적이었다.[427]

향후에도 개최 현의 구단이 교대로 참가할 예정이지만, 우승하더라도 사회인 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에 출전 자격은 없다.[428] 가기야마 마코토 CEO(당시)는 2015년 인터뷰에서, 수준 높은 사회인 팀과의 대전을 통해 선수가 경험을 쌓는 것, 선수가 평가받는 기회를 새롭게 제공하는 것을 참가의 효과 및 목적으로 언급했다.[429]

6. 3. 북미 독립 리그와의 관계

2015년 6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 팀이 북미 독립 리그인 캔-암 리그의 모든 팀과 경기를 가졌고, 6승 10패를 기록했다.[4] 올스타 팀은 2016년 캔-암 리그 시즌에 다시 참가하여 8승 12패를 기록했다.[4]

2014년 12월, 2015년도 리그 선발팀을 편성하여 북미 독립 리그(애틀랜틱 리그와 캐나디안-아메리칸 리그)와의 경기에 참가시키는 구상이 밝혀졌다.[143][144][145] 2015년과 2016년에 실시되었지만, 2017년에는 북미 원정을 실시하지 않았다.[401] 2년 모두 적자를 기록한 것이 요인이며, 2018년 이후 재개는 미정이었다.[401] 2019년에 3년 만에 북미 원정이 재개되었다.

2015년 5월 11일, 북미 원정의 상세 내용이 발표되어,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와 6월 12일부터 28일까지 17일간 공식전 17경기를 실시했다(그 외 연습 경기도 있음).[147] 당초 구상에 있었던 애틀랜틱 리그와의 대전은 실시되지 않았다.

2015년 5월 29일, 원정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 ALLSTARS"의 선발 멤버가 발표되었다.[402] 감독은 도쿠시마의 나카지마 테루시, 코치는 에히메의 가토 히로토와 가가와의 곤도 도모카쓰였으며, 4개 팀에서 선발된 선수 29명(투수 13명·포수 3명·내야수 8명·외야수 5명)으로 구성되었다. 팀별로는 도쿠시마 10명, 가가와 9명, 에히메 6명, 고치 4명이었다.[402] 6월 12일부터 27일(현지 시간)까지 16경기를 치렀으며(최종전은 우천 취소), 선발팀은 6승 10패로 종료되었다.[403]

IBLJ 이사 아라이 겐지나 COO인 고차키 다카키(당시 직책)는, 참가 선수들의 동기 부여 향상, 북미에서의 리그 인지도 상승, 북미 독립 리그에 NPB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 같은 선수가 적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 점 등을 원정 효과로 꼽았다. 아라이는 MLB 구단으로부터 신원 조회가 온 선수도 있다고 밝혔다.[223][404]

2016년에도 북미 원정이 실시되었고, 5월 19일 원정팀 멤버(지도자 3명, 선수 28명)가 발표되었다.[405] 야수 코치가 가쓰라 히사토로 바뀐 것 외에는 전년과 같았고, 팀별 선수 내역은 고치 8명, 에히메 7명, 가가와 7명, 도쿠시마 6명이었다. 6월 9일부터 30일(현지 시간)까지 19경기를 치렀고, 8승 11패를 기록했다.[406] 감독 나카지마 데루시는 "10승"을 목표로 내걸었으나,[407] 초반 연승에도 불구하고[408] 후반 4경기 연속 끝내기 패배를 당하는 등 고전하며[409]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원정팀에는 "Kabuki Spirits"라는 슬로건이 붙었고, 홈스테이 일정과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지원 모집이 이루어졌다.[410] 가기야마 이사장은 크라우드 펀딩 모집 안내에서 2015년 원정이 2000만 이상 적자였지만, "그럼에도 올해도 북미 원정을 할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410] 원정 참가 선수 중 고치의 잭 콜비는 7월 20일까지 상대 팀 트루아 리비에르 이글스로 임대 이적했다.[411]

2019년 1월, 리그 이사장 사카구치 히로아키는 뉴욕 강연에서 6월 이후 북미 원정 "실현" 전망을 밝혔다.[412] 3월 11일 기자 회견에서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 공식전 19경기 참가가 발표되었다.[244] 리그 대표팀 전임 감독을 두어 강화를 도모하는 것도 밝혀졌다.[244] 3월 26일, 전 도쿠시마 감독 야부 데쓰가 대표 감독 겸 GM으로 취임했다.[33]

5월 25일, 원정 개요와 선발 선수 27명이 발표되었다.[413][414] 캐나디안 아메리칸 리그에서 6월 19일부터 7월 4일까지 6개 팀을 상대로 19경기를 실시한다.[413] 팀별 선수 구성은 가가와 8명, 도쿠시마 7명, 고치 7명, 에히메 5명이었고, 코치는 도쿠시마의 고마이 데페이가 동행했다.[414] 6월 5일, 가가와 선수 1명이 부상으로 사퇴하고, 에히메 선수 1명이 추가되었다.[415] 6월 14일부터 7월 4일(현지 시간)까지 19경기를 치러 7승 12패를 기록했다.[416][417] 원정 참가 선수 중 가가와의 세노오 가쓰야는 원정 종료 후 로클랜드 볼더스에 8월 말까지 파견되었다.[418]

7. 미디어 노출

언론 노출은 지역 언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해에는 시코쿠 4개 현의 지역 신문에서도 취급에 큰 차이가 있었는데, 고치 신문에서는 자사 사이트에서 경기 결과, 경기 관련 기자 해설, 특집・연재를 게재한 반면, 에히메 신문・시코쿠 신문의 사이트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2년차에는 지역 4개사의 모든 신문 외에 요미우리 신문 오사카 본사에서도 기사를 게재하여 신문 노출이 상당히 늘어났다.[99] 2008년에 가입한 규슈 2개 구단에 대해서는 니시닛폰 신문・니시닛폰 스포츠・나가사키 신문과 같은 지역 미디어 외에, 요미우리 신문 서부 본사에서도 기사를 게재하여 시코쿠 4개 구단 발족 시와 비교하면 노출도의 격차가 적었다.

경기 기사는 아니지만, 데일리 스포츠의 시코쿠・세토 판에는 2012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스포츠 작가인 타카다 히로시가 소속 선수를 다룬 칼럼 "아일랜드 리거전"이 매주 한 차례 게재되었다.[314]

지상파AM 라디오는, 첫해인 2005년에는 에히메 개막전을 NHK 마쓰야마 방송국난카이 방송이 중계한[315] 외, 고치 방송에서 1경기가 중계되었을 뿐이다.[316]

2006년에는 NHK 다카마쓰 방송국에서 AM 로컬 방송으로, 올리브 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금요일 야간 경기에 한정하여 "가이너스 프라이데이 나이터"라고 명명한 올리브 가이너스 편향적인 중계를 시작했는데, 이는 넓은 의미에서의 정기 방송에 해당하며, 아일랜드 리그 최초의 정기 라디오 중계가 되었다.[317] 2007년 이후에는 요일에 관계없이 연간 5경기 정도가 방송되고 있다. 2007년과 2008년에는 니시닛폰 방송 (RNC 라디오)에서도, 부정기적인 일요일에 주간 경기를, 월요일에 야간 경기를 각각 중계했다. 2007년 9월에는 처음으로 일요일 야간 중계를 실시하여, 전국 네트워크의 프로 야구 중계 (TBS 라디오 제작의 요코하마-요미우리 자이언츠전)의 중계를 하지 않았다. 그 후 NHK에서는 다카마쓰 외에, NHK 마쓰야마 방송국·NHK 고치 방송국·NHK 도쿠시마 방송국에서도 라디오 제1방송에서 몇 경기의 중계를 하게 되었다. 도쿠시마에서는 2010년부터 시코쿠 방송이 연간 5~9경기의 중계 방송을 하고 있다. 시코쿠 방송은 그 이전, 2007년에 2경기와 2008년 홈 개막전을 각각 단발로 방송한 적이 있다.

NHK 라디오는 원칙적으로 개최 현 (県) 에서만 방송하지만, 2008년의 연간 챔피언십 2경기가 처음으로 대전 상대 현 (県) 에서도 네트워크 중계되었고,[318][319] 정규 시즌에서도 2010년부터 상대 현에서 네트워크 방송을 하는 경우가 나오고 있다 (2013년은 연간 챔피언십 1경기만. 2014년 이후는 실시 없음). 민간 방송의 복수 현에서의 방송은, 2007년에 고치 방송 제작의 고치에서의 경기를, 대전 상대 현의 난카이 방송에서 네트워크 중계한 실적 (1경기)이 있지만,[320] 그 이후의 실시 예는 없다.

2013년도에는 리그 전체에서 17경기가 방송되었다.[321] 개최 현별 내역은, 가가와 5 (NHK. 그 중 연간 챔피언십 1경기는 도쿠시마에도 네트워크), 도쿠시마 9 (시코쿠 방송 7, NHK 2), 에히메 1 (NHK), 고치 2 (NHK)이다.

2014년도에서는, 리그의 뉴스 릴리스로 공지되지 않은 라디오 중계도 시코쿠 방송이나 NHK 다카마쓰 방송국에서 실시되고 있다.[322][323] 또한, 그랜드 챔피언십 경기가 처음으로 라디오 중계되었다.[324]

2006년부터 인터넷 중계를 통한 경기 송출이 시작되었다.[325] 2014년 리그 챔피언십은 처음으로 모든 경기가 실시간으로 무료 동영상으로 송출되었다.[326] 카기야마 마코토 CEO(당시)는 2014년 12월 문서에서 향후 북미 원정 및 트라이아웃을 포함한 경기 영상 송출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며,[145] 2015년 6월 선발팀의 북미 원정은 모든 경기가 캐나디안-아메리칸 리그 웹사이트를 통해 라이브 중계되었다.[327] 2015년 그랜드 챔피언십은 모든 경기가 실시간으로 무료 동영상으로 송출되었다.[328] 2016년 그랜드 챔피언십은 아일랜드 리그 홈 2경기에 대해, 제1전은 FRESH! By AbemaTV, 제2전은 페이스북 라이브로 실황 중계되었으며, 전자는 시청자 7500명, 후자는 고유 시청자 11,496명을 기록했다.[329] 또한, BC 리그 홈의 제3전 이후에도 페이스북 라이브로 스마트폰을 통해 실황 중계되고 있다.[330] 2019년에는 에히메가 4월 13일 이후 공식전 및 교류전의 모든 홈 경기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유튜브에서 인터넷 실황 중계를 하였다.[331]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는, 첫 해 개막의 에히메 대 고치 경기가 텔레비전 에히메의 제작으로 고치 산산 텔레비전에 중계되었다. 2년차에는, 각 팀의 개막 경기가 텔레비전 고치 · 시코쿠 방송 (이상 생중계) · 오카야마 방송 · 난카이 방송 (이상 녹화)에서 방송되었다.[332] 2007년에는 가가와의 홈 개막전을 오카야마 방송이 녹화 방송했다.[333] 그러나 이후 오랫동안 지상파 텔레비전의 경기 방송은 끊겼고, 2013년 4월에 텔레비전 고치가 1경기를 생중계할 때[334]까지 6년간 실시된 적이 없었다. 텔레비전 고치의 중계는 2014년 4월에도 1경기가 실시되었다.[335] 리그 공식전 개막 10주년이 되는 2015년 4월 29일에는, 고치 홈 경기가 되는 고치 대 에히메전이, 텔레비전 고치와 아이 텔레비전에서 동시 중계되었다.[336][337] 동일 경기의 여러 현에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중계는, 앞서 언급한 리그 개막전 이후가 된다. 텔레비전 고치와 아이 텔레비전에 의한 고치 대 에히메전의 생중계는, 2016년과 2018년에도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의 시기에 1경기 실시되었다.[338][339] 2019년에는 텔레비전 고치만 중계했지만, 텔레비전 고치 웹사이트에서 생중계가 병행하여 실시되었다.[340]

2015년 6월 12일, 올해부터 발생한 리그전의 휴지 기간 중에 개최되는 6월 20일의 오픈전 (고치 대 가가와 · 도쿠시마 연합, 고치 시 야구장)에 대해, NHK 고치 방송국이 시코쿠 4현을 대상으로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35분이라는 시간 동안 생중계할 것이 발표되어,[341] 실제로 방송되었다. 공식전을 포함하여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아일랜드 리그의 경기가 중계되는 것은 처음이다. 또한 이 경기는 6월에 고치에 입단한 후지카와 규지가 선발 등판했다.[342]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는 2016년 5월, 에히메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과의 정기 교류전을 NHK 마쓰야마 방송국이 에히메현 내에 대해 (메인 · 서브 채널을 중간에 전환하는 형태로) 3시간의 방송 시간으로 생중계했다.[343] 2017년 4월 22일에는, NHK 고치 방송국이 고치 대 에히메전을 약 3시간의 시간으로 생중계했다.[344]

케이블 텔레비전에서는 십여 경기가 방송되었으며, 시코쿠 내의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 방송되고 있다. 2014년 시즌은, 에히메가 주최하는 전 40경기를 에히메 CATV 및 현 내의 각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중계했다.[345] 팀 단위로 모든 주최 경기를 중계하는 것은 리그 발족 이후 처음이다.

한편, CS에 대해서는, 2008년에 스카이 퍼펙트 TV!에서 도쿠시마 경기의 녹화를 포함한 응원 프로그램이, 주 1회 1시간 분량으로 방송되었다.[346] 실황 중계는 아니지만, CS 방송국에서 아일랜드 리그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것은 처음이었다.

2008년 5월, 디지털 BS 방송을 하는 일본 BS 방송 (BS11)이, 아일랜드 리그의 일부 경기나 그랜드 챔피언십을 지역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 등과 공동으로 방영한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7월 31일에, 9월 12일에 개최되는 가가와 대 에히메전을 9월 14일에 녹화 방송하는 것이 정식으로 발표되어, 실제로 방영되었다.

2008 - 2010년에 참가한 규슈 2팀에서는, 나가사키에 대해 2010년의 홈 개막전을 나가사키현 내의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방송한 실적[347] 뿐이다.

2011년에 참가한 미에는 케이블 텔레비전을 포함한 텔레비전 방송의 실적은 없었다.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plus의 미디어 노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지역방송 종류방송사비고
에히메현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난카이 방송텔레비전은 2006년 홈 개막전 녹화 방송,[332] 라디오는 2005년, 2008년,[348] 2012년[349] 방송
지상파 텔레비전텔레비전 에히메2005년 개막전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NHK 마쓰야마 방송국라디오는 2005년(개막전), 2008년 - (2016년 제외). 텔레비전은 2016년 정기 교류전 1경기
지상파 텔레비전아이 텔레비전2015년 - (고치현 경기 인터넷 중계 포함[350])
CATV에히메 CATV
가가와현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오카야마 방송2006년, 2007년 각 1경기 텔레비전 녹화 방송. 2006-2008년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응원 프로그램 「GO!GO! 가이너스」 방송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니시니혼 방송2007-2008년 RNC 라디오에서 일요일 주간 및 월요일 야간 경기 부정기 중계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NHK 다카마쓰 방송국2006년 - . 「가이너스 나이터」 명칭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산요 방송2008년 7월-2012년 9월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응원 프로그램 방송
가가와현CATV케이블 미디어 시코쿠 (다카마쓰 케이블 TV)
고치현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고치 방송라디오. 2005 - 2008년. 2006년 외에는 각 1경기만 중계
지상파 텔레비전고치 산산 TV2005년 개막전 (TV 에히메 통해 중계)
지상파 텔레비전TV 고치2006년, 2013년 -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NHK 고치 방송국라디오 2010년 - (2014년 제외). 텔레비전 2015년 오픈전 1경기 부분 중계
고치현CATV고치 케이블 TV
도쿠시마현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시코쿠 방송라디오 2007-2008년, 2010년-. 텔레비전 2006년 개막전 중계.[332] 2008년 텔레비전 응원 프로그램 방송
지상파 텔레비전/라디오NHK 도쿠시마 방송국라디오. 2012년 에히메현 경기 첫 네트워크 방송.[353] 홈 경기 중계는 2013년부터[354]
CATV케이블 텔레비전 도쿠시마 (텔레비전 토쿠시마), 텔레비전 나루토
나가사키현CS스카이 퍼펙트 TV!2008년 경기 녹화 포함 응원 프로그램 방송 (실황 중계는 아님)
CATVTV 사세보, 나가사키 케이블 미디어, 이사하야 케이블 텔레비전, 히마와리 TV, 옥토퍼스2010년 개막전 (TV 사세보 담당 중계)


8. 경영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는 지역 기업들의 후원을 받으며 성장해왔다.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 시코쿠 코카콜라 보틀링 등이 초창기 스폰서였으며, 2008년에는 소프트뱅크 모바일이 메인 스폰서가 되면서 NTT 도코모 시코쿠가 이탈하는 변화도 있었다.[6] 2009년부터는 시코쿠 코카콜라 보틀링(현 코카콜라 보틀러즈 재팬)이 메인 스폰서를 맡고 있다. 2019년에는 토리도르 홀딩스, 이토엔, 더스킨과 파트너 제휴를 체결했고, 이토엔은 리그 공식 음료가 되었다.[7][8][9]

리그 사무소는 가가와현 다카마츠시에 있으며, 2008년에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 텐진에 규슈 사무소가 있었으나 2009년에 폐쇄되었다.

심판 운영은 초기에 센트럴 리그 심판 부부장 출신 후쿠이 히로시, UDC, 시코쿠 지역 전일본 연식 야구 연맹의 협력으로 시작되었다.[100] 이후 리그 자체적으로 심판원을 육성하게 되었고, 2008년부터 심판부가 발족했다.[101][102] 초대 심판부장은 전 퍼시픽 리그 심판부장 무라타 코이치였다.[102][103] 2015년부터는 카미야 요시히데가 2대 부장을 맡았다.[104] 2021년에 카미야는 심판부장에서 퇴임했다.[105]

매년 최우수 심판을 선정하며, 미즈구치 타쿠야[109], 키다 다이키[111][112], 니시자와 카즈키[113], 이시카와 하야토[114] 등 NPB 언파이어 스쿨 출신 심판들이 수상하기도 했다. 리그는 NPB와 협력하여 연수 심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아오키 스바루[125][126], 미즈구치 타쿠야[127] 등 많은 심판들이 NPB로 진출했다.

초기에는 심판 4명제로 운영되었으나, 2008년부터 3명제와 4명제를 병용하고 있다. 챔피언십 등은 6명제로 진행된다. 해외 리그와의 심판 교류도 활발하며, 2019년에는 대만 프로 야구 심판이 리그 공식전 심판을 맡기도 했다.[136] 2023년에는 이노 오사무와 타니 히로시가 심판부 어드바이저로 취임했다.[140]
관객 동원 및 재정 상황리그는 초기에 관객 동원과 재정 문제에 직면했다. 2005년 무료 티켓 배포로 관객 수는 목표를 넘었지만, 매출은 부진했다. 2006년에는 유료 관객 확보에 힘썼으나, 평균 관객 수는 감소했다. 2007년 평균 관객 수는 1100명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적자였다.[235]

2008년 리그 확장에도 불구하고 신규 구단의 관객 동원은 저조했고, 고치 구단은 관객 수 집계 방식을 변경했다.[236] 2009년 평균 관객 수는 리그 출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287] 2010년에는 여름 혹서 등의 영향으로 관객 수가 더욱 감소했다.[289]

2011년 평균 관객 수는 2007년의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291] 이후 몇 년간 550-600명 사이를 오갔다. 2017년 매니 라미레즈 영입으로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241][242] 2018년 다시 감소했다.[243]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관객 수가 크게 줄었다.[161]

재정적으로는, 2005년 큰 적자를 기록한 후, 각 구단의 법인화, 샐러리캡 제도 도입 등 개선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시게 히로노리에서 가기야마 마코토 중심으로 경영진이 교체되었고,[281] 이시게는 리그 운영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2007년 적자액은 감소했지만, 고치 구단 경영 보전금이 부담이 되었다.[284] 2008년, 2009년에도 적자는 계속되었다.[286][287] 2010년 가기야마 CEO는 장기적인 흑자화 목표와 함께, 지역 밀착과 인재 육성을 중시하는 '준비 기간'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289]

2011년 리그 전체 적자액은 처음으로 1억 엔을 밑돌았다.[290] 2012년 고치가 첫 흑자를 기록했고,[291] 2013년 에히메도 흑자를 기록했다.[292] 2013년 리그는 공동 오너를 모집했다.[293]

2015년 리그는 북미 원정 구상을 발표하며, 경기 수 감소를 통한 수지 개선을 꾀했다.[143][145] 2014년 적자는 개선되었고,[296] 2015년에는 전 구단 및 리그 전체 흑자화를 목표로 했다.[239][296]

2016년 리그 전체 적자는 더욱 개선되었고, 가가와는 첫 흑자를 기록했다.[297][298] 북미 원정 클라우드 펀딩도 성공적이었다.[299] 2017년, 2018년, 2019년에도 적자는 지속되었지만,[241][242][243] 2020년 리그는 처음으로 흑자 결산을 기록했다.[302][303] 2021년, 2022년, 2023년에도 리그 운영 회사는 흑자를 유지했지만, 구단별로는 흑자와 적자가 엇갈렸다.[304][305][306][307]
구단 경영 문제2007년 이후 에히메, 고치, 도쿠시마 등에서 경영 문제가 발생했다. 에히메는 현민 구단으로 전환되었고, 고치는 새로운 구단주를 찾았다. 도쿠시마는 리그 직영을 거쳐 새로운 운영 회사가 설립되었다.[308] 나가사키와 후쿠오카는 경영난으로 리그에서 탈퇴했고, 미에도 탈퇴 후 해산되었다.[312][313]
2023년 시즌 오피셜 파트너 및 서플라이어

오피셜 파트너
토리도르 홀딩스
세이아
이토엔
더스킨
요미우리 신문 오사카 본사
센트럴 종합 개발
일본 우편 시코쿠 지사
시코쿠 전력
시코쿠 전력 송배전
오피셜 서플라이어
잇코 스포츠
컨커러
이시게 히로노리
데이터 스타디움
호시 기획
플라워 마운틴
제국 제약
마츠우라 개발 흥행
시코쿠 전력
세일러 광고
시코쿠 여객철도
오카야마 방송
유세이 홀딩스
마에다 야스노리


참조

[1] 뉴스 Island League: Nagasaki Saints to be dissolved http://yakyubaka.com[...] Yakyubaka.com 2010-09-30
[2] 뉴스 Mie Three Arrows in a tough spot, has just 1 player on the roster http://yakyubaka.com[...] Yakyabaka.com 2011-11-08
[3] 뉴스 Island League, BC League to establish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Organization http://yakyubaka.com[...] Yakyubaka.com 2014-08-30
[4]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リーグ公式戦・第19戦 最終戦勝利で飾る!通算成績8勝11敗 http://www.iblj.co.j[...] 2017-01-21
[5] 뉴스 2012年度シーズン アイランドリーグ参加球団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1-09-24
[6] 뉴스 2008シーズンは新ユニホームでスタート https://www.ninomiya[...] SPORTS COMMUNICATIONS 2008-01-29
[7] 뉴스 (株)トリドールホールディングスとの パートナー連携の締結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3-11
[8] 뉴스 (株)伊藤園とのパートナー連携の締結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3-11
[9] 뉴스 (株)ダスキンとのパートナー連携の締結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3-11
[10] 뉴스 日本プロ野球、2005年の2次ドラフトを開く - ウィキニュース http://ja.wikinews.o[...]
[11] 문서 退去後の再開発で[[丸亀町グリーン]]に建て替えられた。
[12] 뉴스 2010年四国・九州IL準加盟球団カテゴリー新設と新設に伴う福岡球団所属選手救済ドラフト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9-10-30
[13] 뉴스 一般社団法人 日本独立リーグ野球機構(IPBL Japan) 設立及び記者会見開催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9-01
[14] 뉴스 ILから4人の選手がドラフト指名を受けました!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10-23
[15] 뉴스 ドラフト会議2015 http://live.sportsna[...] Sports Navi 2015-10-22
[16] 뉴스 香川OG松澤裕介選手入団辞退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1-20
[17]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理事会及び事務局人事、徳島球団役員人事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2-01
[18] 뉴스 越知町長杯 スプリングトーナメント 2日目試合結果 高知が優勝!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3-27
[19] 뉴스 株式会社IBLJ 及び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役員人事の変更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4-01
[20] 뉴스 デジタルチケット販売サービス導入のお知らせ (Smart Leagueに向けた第一歩)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8-06
[21] 뉴스 プロ野球:ドラフト会議2016 http://live.sportsna[...] Sports Navi 2016-10-20
[22]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事務局移転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2-03
[23] 뉴스 株式会社IBLJ 及び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役員人事の変更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3-24
[24] 뉴스 徳島ISの前期優勝決定に際し IL4監督のコメント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5-22
[25] 뉴스 台湾プロ野球ドラフト会議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7-03
[26] 뉴스 香川OG後期V 5期ぶり11度目 チャンピオンシップ徳島と対戦 https://www.shikoku-[...] 2017-09-21
[27] 뉴스 プロ野球:ドラフト会議2017 https://live-sports.[...] Sports Navi 2017-10-26
[28]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理事長及び事務局人事変更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2-05
[29] 뉴스 香川、前期V 四国ILPlus https://www.shikoku-[...] 2018-06-01
[30] 뉴스 徳島IS ジェフン選手 KBOドラフト会議 SKワイバーンズから2巡目指名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公式サイト 2018-09-10
[31] 뉴스 愛媛MP、2年ぶり5度目の後期優勝 https://www.ehime-np[...] 2018-09-19
[32] 뉴스 ILから1名の選手がドラフト指名を受けました!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0-25
[33] 뉴스 養父 鐵氏 代表監督兼GM就任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p[...]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3-26
[34] 뉴스 2019年シーズン 公式戦 前期日程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35] 뉴스 ILから4人の選手がドラフト指名を受けました!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10-17
[36] 뉴스 株式会社IBLJ 役員人事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10-30
[37]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によるリーグ公式戦 開幕延期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3-14
[38]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によるリーグ公式戦の開幕再延期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3-27
[39] 뉴스 リーグ公式戦開幕日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4-08
[40] 뉴스 2020年度公式戦開幕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6-01
[41] 뉴스 2020シーズン公式戦の日程及びルール概要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0-06-15
[42] 뉴스 選手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陽性判定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7-13
[43]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陽性判定に伴う公式戦スケジュール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7-13
[44]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加盟球団のPCR検査実施報告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7-19
[45] 뉴스 香川OG 無観客試合への移行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7-22
[46]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事務局移転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8-07
[47] 뉴스 徳島IS 優勝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10-23
[48] 웹사이트 NPBドラフト会議、指名選手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0-10-26
[49] 웹사이트 統一球採用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2021-03-01
[50] 뉴스 愛媛MP 無観客試合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4-21
[51] 뉴스 高知FD VS 徳島IS 中止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01
[52] 뉴스 5月2日 高知FD VS 徳島IS 中止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01
[53] 뉴스 5月3日 徳島IS VS 愛媛MP 中止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02
[54] 뉴스 徳島球団における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発生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03
[55] 뉴스 愛媛MP 無観客試合延長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13
[56] 뉴스 徳島球団の活動再開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17
[57] 뉴스 5月21日 香川OG VS 徳島IS 中止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5-17
[58] 뉴스 前期優勝決定および4球団監督のコメント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6-19
[59] 뉴스 「みやざきフェニックス・リーグ」への参加見送り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8-23
[60] 뉴스 後期優勝決定および4球団監督のコメント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9-11
[61] 뉴스 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 3年ぶり7度目の総合優勝!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9-25
[62] 뉴스 NPBドラフト会議、指名選手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10-11
[63]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2シーズン前期優勝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6-06
[64] 뉴스 2022シーズン公式戦 後期優勝決定および4球団監督のコメント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9-17
[65] 뉴스 高知ファイティングドッグス 13年ぶり3度目の総合優勝!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9-24
[66] 웹사이트 士別サムライブレイズvs火の国 試合経過 https://baseball.omy[...]
[67] 웹사이트 高知FD vs 士別サムライブレイズ 試合経過 https://baseball.omy[...]
[68] 뉴스 ドラフト会議2022は育成含め126名が指名【ドラフト指名全選手一覧】 https://baseballking[...] BASEBALLKING 2022-10-20
[69]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3シーズン前期優勝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6-03
[70] 뉴스 2023シーズン公式戦 後期優勝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9-15
[71] 뉴스 徳島IS 3年ぶり7度目の総合優勝!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9-22
[72] 웹사이트 2023年シーズン グランドチャンピオンシップ https://www.iblj.co.[...]
[73] 뉴스 ドラフト会議2023は育成含め122名が指名【ドラフト指名全選手一覧】 https://baseballking[...] 2023-10-26
[74]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4シーズン前期優勝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6-01
[75] 뉴스 2024シーズン公式戦 後期優勝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9-04
[76] 뉴스 愛媛MP 8年ぶり3度目の総合優勝!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4-09-23
[77] 뉴스 愛媛MP、逆転で4強 石川に4-2 独立リーグGCS・9月27日 https://www.ehime-np[...] 2024-09-27
[78] 뉴스 愛媛MP、決勝進出ならず 信濃に6-9 独立リーグGCS・9月28日 https://www.ehime-np[...] 2024-09-28
[79] 뉴스 NPBドラフト会議、指名選手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10-24
[80] PDF 四国・九州IL5球団登録メンバー http://118.151.139.1[...] IBLJ뉴스릴리스 2010-04-01
[81] 웹사이트 支配下登録メンバー http://bkp.iblj.co.j[...]
[82] 뉴스 2014年シーズン公式戦・定期交流戦日程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3-07
[83] 뉴스 4月1日選手登録・練習生公示 http://bkp.iblj.co.j[...] IBLJ 2014-04-01
[84] 뉴스 ラシィナ選手とFDが契約 ブルキナ出身者初めてプロ昇格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5-08-26
[85] 뉴스 唯一のリーグ生え抜き梶田主将7年分の恩返しを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2-04-07
[86] 인터뷰 高知ファイティングドッグス 梶田宙 選手 インタビュー http://bb-nippon.com[...] 独立リーグドットコム 2013-03-06
[87] 뉴스 梶田選手引退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9-06
[88] 뉴스 愛媛MP退団選手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2-16
[89] 뉴스 香川OG 野手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1-16
[90] 뉴스 香川OG 新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3-25
[91] 문서 2008년의 宮﨑一彰(高知・{{PDFlink|[http://118.151.139.117/files/iblj_newspdf/newsrelease071121105644.pdf 고치FD의 미야자키 신 코치는 선수를 겸임합니다]}})、[[藤本博史 (포수)|후지모토 히로시]]・[[前田勝宏]](나가사키・[http://bkp.iblj.co.jp/topics_detail/id=200 나가사키S의 후기 신체제에 대해]{{링크 끊김|날짜=2018-02}})、[[梅原伸亮]](도쿠시마・[http://bkp.iblj.co.jp/topics_detail/id=314 도쿠시마IS의 시라이시 감독이 사임, 대신 모리야마 코치가 감독 대행에 취임]{{링크 끊김|날짜=2018-02}})
[92] 웹사이트 長崎S後期新体制の変更について http://bkp.iblj.co.j[...]
[93] 뉴스 憲伸が正式引退 https://web.archive.[...] 2017-03-19
[94] 뉴스 香川OG 近藤一樹投手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1-04
[95] 뉴스 愛媛MP 伊藤隼太野手コーチ兼選手就任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1-22
[96] 뉴스 https://www.iblj.co.jp/news/17512/ https://www.iblj.co.[...] 四国아이ランドリーグplus뉴스릴리스 2022-11-02
[97] 문서 BC리그의 지도자 경험 후에 NPB 진입.
[98] PDF 監督・コーチに関するお知らせ http://118.151.139.1[...] IBLJ뉴스릴리스 2004-12-28
[99] PDF 香川OGが苫篠賢治氏を臨時コーチとして招聘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7-03-09
[100] 뉴스 70歳まではグラウンドに 審判の福井さん 高知新聞 2005-10-13
[101] 뉴스 元パの村田氏が審判部長に就任-四国・九州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8-03-27
[102] PDF 四国・九州IL審判部の発足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九州아이랜드리그뉴스릴리스 2008-03-26
[103] 뉴스 2009年度リーグ最優秀審判に神谷佳秀氏が決定 http://bkp.iblj.co.j[...] 四国・九州아이랜드리그뉴스릴리스 2009-10-30
[104]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審判部役職変更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5-04-30
[105] 뉴스 神谷 佳秀審判部長 退任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12-31
[106] 뉴스 2008年度リーグ最優秀審判に田村光弘氏が決定 http://bkp.iblj.co.j[...]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8-10-31
[107] 뉴스 2012年度 最優秀審判に山本哲也氏が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11-06
[108] 뉴스 2013年度 最優秀審判に伊藤寿記氏が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3-11-14
[109] 뉴스 2014年度最優秀審判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10-31
[110] 뉴스 2015年度最優秀審判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0-29
[111] 뉴스 2016年度 最優秀審判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10-31
[112] 뉴스 2017年度 最優秀審判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11-01
[113] 뉴스 2018年度 最優秀審判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0-31
[114] 뉴스 2019年度 最優秀審判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9-10-30
[115] 뉴스 2020年 最優秀審判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10-29
[116] 뉴스 2021年 ベストナイン確定・最優秀審判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10-14
[117] 뉴스 2022年 ベストナイン確定・最優秀審判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11-02
[118]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2024 年間MVPおよびベストナインならびに最優秀監督・最優秀審判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10-15
[119] 뉴스 2023シーズンのMVP・ベストナイン・最優秀監督・最優秀審判が決定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11-02
[120] 뉴스 松田審判員 米国マイナーリーグ審判員に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6-01
[121] 뉴스 小石澤審判員 米国マイナーリーグ審判員に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8-02-19
[122] 뉴스 和田隆審判員 米国プロ審判員に!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2-15
[123] 뉴스 松田貴士審判員 米国3A昇格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2-29
[124] 문서 松田貴士 https://note.com/tak[...] 松田貴士note
[125] 뉴스 IL所属審判NPB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3-07
[126] 뉴스 今日の審判は…新入社員!? プロ野球アンパイアスクール1期生 若手4人が採用 https://sportie.com/[...] 2014-04-02
[127] 뉴스 IL所属審判 NPB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1-21
[128] 뉴스 IL所属審判 NPB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2-22
[129] 뉴스 プロ野球/憧れ舞台、球審でデビュー 元高校球児の水口氏 四国ILで審判下積みも https://www.shikoku-[...] 2021-05-19
[130] 뉴스 NPBアンパイア・スクール二期生から研修審判員を選抜 https://npb.jp/news/[...] NPBニュース 2015-03-04
[131] 뉴스 育成審判員の新規契約について https://npb.jp/news/[...] NPBニュース 2016-12-14
[132] 뉴스 IL所属審判 NPB育成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12-13
[133] 뉴스 IL所属審判 NPB育成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2-12
[134] 뉴스 IL所属審判 NPB育成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12-12
[135] 뉴스 IL所属審判 NPB育成審判員採用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12-24
[136] 문서 第57回 「野球は審判も含めてアジアで日本が一番」台湾から海を渡っての四国審判修業 https://www.hb-nippo[...] 高校野球ドットコム 2019-10-02
[137] Facebook 野球審判ラボ(旧: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審判部) https://facebook.com[...]
[138] 뉴스 ルートインBCリーグ×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合同審判員採用試験エントリー開始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1-14
[139] 뉴스 ルートインBCリーグ×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合同 審判員採用試験エントリー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plus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1-10
[140] 뉴스 審判部アドバイザー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plus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2-01
[141] PDF 10月15日の愛媛vs香川戦の中止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5-10-16
[142] 뉴스 堂上(香川OG)打撃2冠 四国IL全日程終了 https://www.shikoku-[...] 2017-01-12
[143] 뉴스 選抜チーム、米独立L参戦/四国IL来季構想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4-12-14
[144] 뉴스 四国IL、来季から試合期間短縮 鍵山CEOが経営安定化へ新構想 http://www.topics.or[...] 徳島新聞 2014-12-14
[145] 웹사이트 鍵山誠CEO「世界進出でリーグと日本球界を変える!」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 2014-12-16
[146] 뉴스 IL2015シーズン開幕は4月4日に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2-13
[147]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北米遠征記者会見のご報告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5-11
[148] 웹사이트 2016シーズン 公式戦・定期交流戦 全日程 及び 読売巨人軍(三軍)との定期交流戦の実施 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6-03-02
[149] PDF 2017シーズン公式戦の全日程及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7-03-10
[150] 뉴스 2018シーズン 公式戦の全日程及び開催球場 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8-03-09
[151] 뉴스 2019シーズン 公式戦の全日程及び開催球場 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3-08
[152] 뉴스 2020シーズン 公式戦の全日程及び開催球場 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3-09
[153] 뉴스 2021シーズン 公式戦・定期交流戦日程およ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1-03-09
[154] 뉴스 香川OG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3軍)との代替試合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12-20
[155] 뉴스 2022シーズン 公式戦・定期交流戦日程およ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3-07
[156] 뉴스 2023シーズン 公式戦・定期交流戦日程およ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3-07
[157] 뉴스 2024シーズン 公式戦・定期交流戦日程およ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3-05
[158] 웹사이트 2011年度 公式戦・定期交流戦 全日程決定 http://bkp.iblj.co.j[...]
[159] 뉴스 IL2015年シーズン公式戦・定期交流戦全日程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3-06
[160] 문서 祝日を除く月 - 木曜開催の試合は、全136試合中54試合。
[161] 뉴스 リーグ運営会社 馬郡社長インタビュー 2020年シーズン終了 NPBに4選手「一定の成果」 来季は「観客取り戻す」 https://www.shikoku-[...] 2020-12-06
[162] 뉴스 「高知球場開催試合における時間制限」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4-06
[163] 웹사이트 1545 http://www.iblj.co.j[...]
[164] 웹사이트 リーグ情報 http://www.iblj.co.j[...]
[165] 뉴스 7イニング制一部導入 3年ぶりの北米遠征も 四国ILplus https://www.shikoku-[...] 2019-03-13
[166] PDF 2019シーズンにおける7イニング制の導入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03-28
[167] 웹사이트 4/22 香川OG vs 徳島IS http://www.iblj.co.j[...]
[168] 웹사이트 4/22 香川OG vs 徳島IS http://www.iblj.co.j[...]
[169]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は1試合7イニング制。高校野球は1週間で「500球」変わり始めた野球界 https://blog.rnb.co.[...] 2019-12-31
[170] PDF 2020 年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 plus 公式戦ルール概要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0-06-15
[171] 뉴스 香川―徳島で20日開幕 1期制、一部日程発表 四国ILplus https://www.shikoku-[...] 2020-06-20
[172] 문서 ただし、開催された試合については、リーグウェブサイト掲載のスコアブックで球場の確認は可能である。
[173] 뉴스 7月10日からの「有観客試合移行」とご来場の皆様へのお願い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0-07-07
[174] 뉴스 2022シーズン 公式戦ルール概要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2-03-22
[175] 뉴스 2023シーズン 公式戦ルール概要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3-05-06
[176] 뉴스 飛距離アップ、打高投低に ボール変更が影響? http://www.topics.or[...] 徳島新聞 2009-05-29
[177] 뉴스 四国の価値 野球で高める(IBLJ 馬郡健社長) https://www.yomiuri.[...] 2023-01-27
[178] 뉴스 徳島ISの前期優勝決定!IL4監督のコメント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6-28
[179] PDF リーグ戦順位確定ルール詳細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6-23
[180] 문서 年間勝率2位チームが前後期優勝したチームを破ったケースは2022年現在ない。
[181] 뉴스 2024シーズン 公式戦ルール概要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3-22
[182] 뉴스 リーグチャンピオンシップの開催日程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8-24
[183] 뉴스 チャンピオンシップの開催日程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8-23
[184] 뉴스 2016年シーズン チャンピオンシップ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6-10-10
[185] 뉴스 チャンピオンシップの開催日程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9-02
[186] 뉴스 2019シーズンチャンピオンシップ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5-30
[187] PDF 2019シーズン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チャンピオンシップルール概要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05-30
[188] PDF 2021年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公式戦ルール概要 http://www.m-pirates[...]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1-03-25
[189] 뉴스 年間総合優勝決定戦 「トリドール杯 チャンピオンシップ」開催日程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1-07-21
[190] 뉴스 2023シーズン 公式戦ルール概要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3-15
[191] 뉴스 年間総合優勝決定戦 「トリドール杯 チャンピオンシップ」開催日程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9-27
[192] 뉴스 年間総合優勝決定戦 「トリドール杯 チャンピオンシップ」開催日程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9-27
[193] 뉴스 スプリングシリーズin越知町 高知FD 対 愛媛MP 試合結果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3-25
[194] 뉴스 スプリングシリーズ2日目 中止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3-26
[195]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4球団東西対抗交流戦 WEST TEAM対EAST TEAM 試合結果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6-29
[196] 뉴스 3/25 徳島IS-高知FD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197] 뉴스 競合なら“ネットのあみだくじ”  独立リーグ「合同ドラフト会議」は異例の連続 https://dot.asahi.co[...] 2018-12-01
[198] PDF 指名選手一覧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8-11-22
[199] 뉴스 トリドールホールディングス×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高校生トライアウト合格選手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0-11-01
[200] 뉴스 プロスペクト(2回目)の発表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4-10-25
[201] 뉴스 香川OG・歳内、ヤクルトが獲得 1年ぶりプロ野球へ https://www.shikoku-[...] 2020-11-01
[202] 뉴스 日本野球連盟難色 ソフトバンク“育成枠指名”断念へ https://www.sponichi[...] 2018-10-29
[203] 웹사이트 香川・星野雄大「弟とNPBでバッテリーを」 ~アイランドリーグ注目選手に訊く(Vol.3)~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 2018-10-29
[204] PDF 徳島ISに多田野数人投手がスポット加入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9-21
[205] 뉴스 アメリカ・1Aのグリーンビル・ドライブの松尾晃雅投手が古巣の香川OGにスポット加入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8-09-25
[206] 뉴스 野球:藤川球児 異例1試合ごとスポット契約 自身は無報酬 登板日売り上げ10%寄付へ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6-09
[207] 뉴스 藤川球児選手 後期シーズン選手契約締結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8-04
[208] 뉴스 藤川球児投手 後期終了までFDと無報酬契約に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5-08-05
[209] 웹사이트 トライアウト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トライアウト連絡事務局 2016-11-19
[210] 웹사이트 2015年2月BCリーグ合同トライアウト開催要項 http://www.d-pegasus[...] 群馬ダイヤモンドペガサス 2015-08-06
[211] 뉴스 野球「独立リーグ」は人材企業へ変貌している 開始から14年、もう一つのプロ野球経営:前編 https://toyokeizai.n[...] 2019-01-29
[212] 뉴스 福井、自立球団へ選手が運営費稼ぐ BCLのワイルドラプターズ 契約抜本見直し https://www.fukuishi[...] 2021-03-06
[213] 뉴스 台湾で初のトライアウト/四国・九州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8-12-20
[214] 간행물 JICAボランティアが伝える「野球への敬意」 http://www.jica.go.j[...] 国際協力機構 2013-06-14
[215] 뉴스 香川入団のミャンマー左腕、会見で意気込み/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3-06-21
[216] 웹사이트 鍵山誠CEO「来季は”うどん”オリーブガイナーズ?」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野球西国巡り」 2011-12-20
[217] 뉴스 国際化志向のBCリーグ http://bb-nippon.com[...] 独立リーグドットコム 2013-09-30
[218] 문서 本文中に名前のあるソリアーノとマエストリのほか、[[フランシスコ・カラバイヨ]]、[[ウィルフィレーセル・ゲレロ]]、[[ダニーロ・デヘスス]]、[[ドリュー・ネイラー]]、[[ハ・ジェフン]]、[[ガブリエル・ガルシア]]
[219] 뉴스 高知FD アブレイユ選手 読売ジャイアンツと育成契約合意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1-06
[220] 뉴스 2013年開催告知 http://bkp.iblj.co.j[...]
[221] 뉴스 2015年開催告知 http://bkp.iblj.co.j[...]
[222] 뉴스 高知FD 海外トライアウト開催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9-28
[223] 서적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の小さくて、大きな『挑戦』 主婦の友社 2015
[224] 뉴스 徳島IS 張泰山選手入団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1-22
[225] 뉴스 高知FD マニー・ラミレス選手 来日スケジュール及び 入団記者会見・初練習参加 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2-28
[226] 뉴스 BCL茨城が元メジャーリーガー2人を獲得。独立リーグ経由の「ジャパニーズ・ドリーム」は夢幻か、正夢か https://news.yahoo.c[...] 2020-12-23
[227] 간행물 四国ILの規定打席数と規定投球回数の変更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8-03
[228] 뉴스 FDアンヴィ選手がリーグ初サイクルヒット達成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6-15
[229] 뉴스 西武7位は上間永遠 四国IL徳島1年目18歳右腕 https://web.archive.[...] 2019-10-17
[230] 뉴스 ドラフト会議に“独立リーグ旋風” 2位に2選手は史上初…最速159キロコンビが指名 https://full-count.j[...] 2023-10-26
[231] 뉴스 野球独立リーグ/中 香川、リピーター増 http://mainichi.jp/e[...] 2007-11-10
[232] 뉴스 高知でトライアウト実施のパドレス 前楽天上園ら参加、結果は「2、3日で」 http://full-count.jp[...] Full-Count 2015-11-22
[233] 뉴스 パドレスが高知でトライアウト実施へ 超異例の試みで埋もれた才能発掘 http://full-count.jp[...] Full-Count 2015-11-20
[234] 뉴스 DeNA戦力外・大田阿斗里、パドレスとマイナー契約 https://web.archive.[...] 報知新聞 2015-11-26
[235] 뉴스 四国IL観客動員、過去最多の19万7998人 https://www.shikoku-[...] 2007-11-01
[236] 뉴스 高知新聞2008年11月9日 http://203.139.202.2[...]
[237] 뉴스 四国ILplus 2011シーズン開幕前記者会見のご報告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1-02-24
[238] 간행물 収支報告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3-02-25
[239] 뉴스 四国ILplus 2015シーズン開幕記者会見のご報告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2-25
[240] 간행물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7経営報告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7-02-20
[241] 간행물 2017年度リーグ及び球団経営報告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8-03-28
[242] 뉴스 徳島インディゴ、赤字1393万円 2017年スポンサー料減響く https://www.topics.o[...] 2018-03-28
[243] 간행물 2018年度リーグ及び球団経営報告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03-11
[244] 간행물 【別紙1】2019年度取り組み及び方針発表資料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03-11
[245] 서적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の小さくて、大きな『挑戦』 主婦の友社 2015
[246] PDF 四国IL選抜、オリックスに善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5-11-19
[247] 문서
[248] 기타 角中勝也 http://npb.jp/bis/pl[...] NPB個人年度別成績
[249] 기타 金無英 http://npb.jp/bis/pl[...] NPB個人年度別成績
[250] 뉴스 角中選手がタイトル 苦労人が魅せた北陸人魂 http://editorial.x-w[...] 2016-10-09
[251] 기타 亀澤恭平 http://npb.jp/bis/pl[...] NPB個人年度別成績
[252] 기타 三輪正義 http://npb.jp/bis/pl[...] NPB個人年度別成績
[253] 뉴스 スワローズの“スーパーサブ” 三輪正義の原点 http://column.sp.bas[...] 2014-06-02
[254] 뉴스 燕の職人・三輪正義が雨の中で引退セレモニー 松本直樹はプロ初アーチ https://baseballking[...] 2019-09-23
[255] 기타 第36回 寺田 哲也投手(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 Vol.3 http://bb-nippon.com[...] 独立リーグドットコム 2014-12-11
[256] 기타 徳島・福永春吾「メリハリつけて、涌井を目指せ」 ~アイランドリーグ注目選手に訊く(Vol.3)~ https://www.ninomiya[...] SPORTS COMMUNICATIONS 2015-08-14
[257] 뉴스 徳島・福永 ドラフト終了後に会見場で待っていたサプライズ https://www.daily.co[...] 2016-11-14
[258] 뉴스 【ニュース】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11年連続ドラフト指名途切れる(10月27日 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 http://4spo-kagawa.c[...] 2017-10-27
[259] 기타 2018シーズン終了のご挨拶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1-01
[260] 문서 ドラフトは厳しい結果に 週刊ベースボール 2018-11-12
[261] 뉴스 四国発第20回 「チャンスは四国にある」セカンドステージへの挑戦 https://www.hb-nippo[...] 2018-11-03
[262] 뉴스 中日3位・石森大誠が喜ぶウラで「指名漏れ4人」は座り続け… ドラフト会見の残酷な明暗と《独立L→プロへの絶対条件》とは (2/3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1-10-13
[263] 웹사이트 「どの会社でも出世する」育成枠ルーキーで史上初の開幕スタメン オリックス・茶野篤政の生き様 https://friday.kodan[...] 2023-06-27
[264] 기타 ニュース 2012年11月アーカイブ https://www.oliveguy[...] 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公式サイト
[265] 기타 国本和俊選手 現役引退のお知らせ http://www.oliveguyn[...] 香川オリーブガイナーズ公式サイト 2013-10-22
[266] 기타 愛媛MP 引退会見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10-27
[267] 기타 梶田主将「幸せな10年間」 http://www.yomiuri.c[...] 読売新聞高知版 2014-09-14
[268] 기타 FD・梶田宙選手の引退式にファン続々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4-09-14
[269] 기타 徳島IS JAバンク徳島スタジアム 公式戦開催時の試合開始時間変更について http://www.indigo-so[...] 徳島インディゴソックス公式ウェブサイト 2014-02-10
[270] 기타 高知新聞:球場照明設備「前向きに」知事 http://203.139.202.2[...] 2009-03-31
[271] 기타 県立春野球場:延長戦もゆっくり観戦 ナイター設備、来年度中にも着工へ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09-11-21
[272] 기타 高知球場にナイター整備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0-08-25
[273] 기타 「ロッテとの提携で球団拡張も」 〜IBLJ・鍵山社長、独占インタビュー<前編>〜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 2007-06-20
[274] 기타 徳島IS 室内練習場オープン・野球スクール開校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8-03
[275] 기타 四国新聞:カギ握る地元支援-野球独立リーグ https://www.shikoku-[...] 2004-10-01
[276] 기타 収支、赤字見通し-四国IL代表総括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5-10-20
[277] 기타 初年度決算は3億円赤字-四国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6-03-07
[278] 기타 観客数25%減も赤字減 四国IL石毛社長が会見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6-10-25
[279] PDF 4県各球団法人化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3-06
[280] PDF 愛媛・香川・徳島の3球団の株式売却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8-01
[281] 뉴스 輝き失った石毛ブランド-四国IL社長退任 https://www.shikoku-[...] 2007-03-11
[282] 뉴스 石毛社長が退任 後任に鍵山専務-四国IL https://www.shikoku-[...] 2007-03-11
[283] PDF (株)IBLJ代表取締役社長退任に際し 石毛宏典コミッショナーのコメント http://www.iblj.co.j[...] 2007-03-12
[284] 뉴스 経営基盤の安定狙う-来季6球団で新リーグ・解説 https://www.shikoku-[...] 2007-10-25
[285] 뉴스 香川、売上高トップ-IL・07年決算見込み https://www.shikoku-[...] 2008-06-13
[286] 뉴스 リーグ拡充「大成功」鍵山CEO会見/四国・九州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8-11-01
[287] 뉴스 福岡が資金難で来季四国・九州IL不参加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9-10-30
[288] 뉴스 福岡 参戦見送り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9-10-31
[289] 웹사이트 鍵山誠CEO「アイランドリーグは経営難?」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野球西国巡り」 2010-12-21
[290] 뉴스 赤字額は過去最少/四国ILplus・10年経営報告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1-02-25
[291] 뉴스 高知、リーグ初の黒字/香川1870万円赤字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2-03-01
[292] 뉴스 香川は1960万円赤字/四国ILplus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3-02-26
[293] 웹사이트 アイランドリーグ共同オーナー募集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4-01
[294] 웹사이트 収支報告はこちら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4-02-28
[295] 뉴스 地域とともに 10年目のIL <1>収入増地道な努力 ◇経営野球のすそ野広がれ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4-03-31
[296] 뉴스 香川OG、2440万円の赤字/14年経営報告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5-02-26
[297] 뉴스 香川、10年目で初の黒字/四国IL経営報告 https://www.shikoku-[...] 2016-04-01
[298] PDF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6 開幕記者会見資料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6-03-31
[299]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 スポチュニティ株式会社 4球団への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サービス開始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8-09
[300] 뉴스 愛媛MP・四国ILの2016 <下>リーグ運営刷新 ネット活用「外へ」意識 https://www.ehime-np[...] 2016-12-29
[301] 뉴스 徳島インディゴソックス 初の黒字化 https://www.topics.o[...] 2017-02-21
[302] PDF 2019年5法人経営報告詳細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20-04-10
[303] 뉴스 香川4年ぶり黒字 四国IL、全体では初 昨年 https://www.shikoku-[...] 2020-04-11
[304]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および加盟4球団の2021年の経営報告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03-31
[305]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および加盟4球団の2022年経営報告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4-10
[306] 뉴스 四国ILplus=香川5年ぶり赤字 23年経営報告 https://www.shikoku-[...] 2024-04-13
[307]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および加盟4球団の2023年経営報告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04-12
[308] 뉴스 徳島IS、新会社設立 2年ぶり独立経営 http://www.topics.or[...] 徳島新聞 2012-02-11
[309] 뉴스 資金難で「通年参戦厳しい」 リーグなどに報告 http://www.nagasaki-[...] 長崎新聞 2010-03-12
[310] PDF 四国・九州IL加盟球団について http://www.datastadi[...]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0-09-29
[311] 뉴스 福岡、復帰見送り http://osaka.yomiuri[...] 読売新聞 2010-10-16
[312] 뉴스 三重が四国ILを脱退 https://web.archive.[...] 報知新聞社 2011-09-24
[313] 웹사이트 三重スリーアローズファンの皆様へ http://www.mie-baseb[...] 三重スリーアローズ オフィシャルブログ 2011-11-10
[314] 웹사이트 アイランドリーガー伝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online
[315] PDF 開幕戦ラジオ中継決定のお知らせ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5-04-18
[316] PDF 6・12高知vs徳島ラジオ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5-06-03
[317] PDF NHK高松が公式戦5試合をラジオ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3-27
[318] PDF 9月27日チャンピオンシップ第1戦をNHK松山が愛媛・香川2県ネットでラジオ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8-09-26
[319] PDF 10月4日チャンピオンシップ第3戦をNHK高松が香川・愛媛2県ネットでラジオ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8-09-30
[320] PDF 高知放送が公式戦2試合をラジオ2県ネット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7-05-08
[321] 문서 リーグ公式ウェブサイト「ニュースリリース」に放送予定が掲載されたもの(公式戦16試合、年間チャンピオンシップ1試合)。ただし、雨天中止となった試合(3試合)は除いた。
[322] 웹사이트 ニュース&トピックス2014年6月 http://www.indigo-so[...]
[323] 블로그 GO!ガイナーズ http://www.nhk.or.jp[...]
[324] 뉴스 グランドチャンピオンシップファンサービスイベント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25]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ウェブスタジアム』 映像ラインナップ http://iblj.ymw.ne.j[...]
[326] 뉴스 チャンピオンシップの映像配信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27] 뉴스 北米遠征いよいよ明日からCan-Amリーグ公式戦参戦!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28] 뉴스 グランドチャンピオンシップ ライブ配信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29] 뉴스 目指せ!Smart League ! GCS第1戦及び第2戦における動画配信の実施状況並びに視聴結果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30] Facebook 【GCS・3戦目 Facebook Liveでゲリラ生配信決定!!!】 https://www.facebook[...]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facebook) 2016-10-05
[331] 뉴스 愛媛MP 公式戦ライブ中継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4-12
[332] PDF 4県の開幕戦TV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6-03-27
[333] PDF 4・1香川vs徳島戦をOHKがテレビで録画中継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7-03-26
[334] 뉴스 テレビ高知にて高知ホーム試合を地上波生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35] 뉴스 テレビ高知にて高知ホーム試合を地上波生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36] 뉴스 テレビ高知&あいテレビにて地上波同時生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37] 뉴스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史上初の地上波2局生中継、大盛況! http://bb-nippon.com[...] 2015-05-03
[338] 뉴스 高知FDと愛媛MPの公式戦、地上波生中継決定!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5-01
[339] 트위터 高知ファイティングドッグス公式twitter https://twitter.com/[...] 2018-04-25
[340] 웹사이트 今年のGWはホームゲームが5試合! https://www.fighting[...] 2019-04-24
[341] 뉴스 NHK総合テレビにてオープン戦生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42] 뉴스 藤川球児「楽しかった」高知デビュー戦4回1失点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6-20
[343] 뉴스 愛媛MP NHKテレビ中継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5-16
[344] 웹사이트 4月22日はNHK高知で生中継! http://www.fighting-[...] 2017-04-19
[345] 뉴스 愛媛CATV及び愛媛県内ケーブルテレビ局で2014年シーズン愛媛ホーム全40試合を中継決定!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46] 뉴스 スカパーで応援番組 四国・九州IL徳島、4月開始へ業務提携 徳島新聞 2008-01-11
[347] 뉴스 テレビ佐世保が4月3日開幕戦長崎-高知戦中継決定! http://bkp.iblj.co.j[...]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0-04-01
[348] PDF 南海放送が5月17日愛媛ー香川戦ラジオ中継決定 http://118.151.139.1[...]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8-05-15
[349] 뉴스 南海放送にて愛媛ホーム試合をラジオ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350] 웹사이트 2017年9月2日にホームゲーム(対高知戦)の中継を実施している http://www.m-pirates[...]
[351] 블로그 強いガイナーズが戻ってきた! http://www.nhk.or.jp[...] 荻山恭平 2015-05-08
[352] 웹사이트 ガイナーズのチカラ http://sports.rsk.co[...]
[353] 뉴스 NHK松山とNHK徳島にて公式戦をラジオ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9-03
[354] 뉴스 NHK徳島にて公式戦をラジオ中継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9-12
[355] 뉴스 四国ILチーム買収か ロッテ、選手派遣し育成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06-19
[356] 뉴스 地域密着変わらず-鍵山IBLJ社長会見要旨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06-19
[357] 뉴스 四国IL買収否定 瀬戸山ロッテ球団社長が明言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06-22
[358] 뉴스 徳島(四国IL)へ選手派遣 ロッテが構想発表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10-02
[359] 뉴스 ロッテ、徳島に選手派遣表明 http://www.ninomiyas[...] Sports Communications 2007-10-01
[360] 뉴스 育成選手の四国IL派遣にクレーム-巨人球団代表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10-24
[361] 뉴스 育成選手のアイランドリーグ派遣は困難に https://www.ninomiya[...] Sports Communications 2007-11-06
[362] 뉴스 ソフト3軍との公式戦は了承されず/四国・九州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1-01-21
[363] 뉴스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4軍 交流戦日程および開催球場について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3-03-06
[364] 뉴스 プロ野球育成選手の派遣を許可/四国ILなどへ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2-03-02
[365] 뉴스 香川OG 中日ドラゴンズ川崎貴弘選手派遣受入れ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3-30
[366] 뉴스 香川OG 中日ドラゴンズ 育成選手 派遣受け入れ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3-29
[367] 뉴스 愛媛MP 広島東洋カープから 育成選手派遣受け入れ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6-03-11
[368] 뉴스 香川OG 中日ドラゴンズ浜田智博選手 派遣受け入れ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7-07-07
[369] 뉴스 第21回みやざきフェニックス・リーグ出場メンバー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4-10-03
[370] 뉴스 2018年度四国ILplus×ルートインBCL 合同トライアウト日程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0-06
[371] 뉴스 2018年度四国ILplus×ルートインBCL 合同ドラフト会議開催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1-09
[372] 뉴스 2020年度入団トライアウト エントリー受付開始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19-10-10
[373] 뉴스 루ート인BC리그×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合同 審判員採用試験エントリー開始 https://www.iblj.co.[...]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ニュースリリース 2022
[374] 뉴스 関西・東海地区独立Lと交流戦/来季、四国・九州IL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9-12-02
[375] 뉴스 四国新聞2010年7月2日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10-07-02
[376] 뉴스 野球独立LのJFBL、来季休止 三重は「四国・九州」参加へ https://web.archive.[...] 中日新聞 2010-09-17
[377] 뉴스 三重、四国・九州ILに来季加盟申し入れ http://www.sanspo.co[...] サンケイスポーツ 2010-09-22
[378] 뉴스 救済ドラフト指名選手入団内定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リーグニュース 2011-11-02
[379] PDF 四国ILと九州独立リーグ準備室との業務提携について http://118.151.139.1[...]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7-03-25
[380] 뉴스 九州2チーム来季参戦か-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08-29
[381] 뉴스 四国IL、来季6球団で新リーグ-九州のチーム加入 https://www.shikoku-[...] 四国新聞 2007-10-25
[382] 뉴스 岡山にプロ野球球団、09年 独立リーグ参入目指す 山陽新聞 2008-01-08
[383] 뉴스 岡山で球団設立準備、四国・九州IL来年加盟へ 宮崎でも動き 徳島新聞 2008-01-10
[38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85] 뉴스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準加盟球団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九州アイランドリーグニュースリリース 2009-12-10
[386] 웹사이트 2011年シーズン公式戦 https://www.iblj.co.[...] 2021-04-24
[387] Youtube 【たっぷり】九州独立プロ野球機構 設立記者会見 https://www.youtube.[...] 2021-04-15
[388] 웹사이트 2013年シーズン公式戦 https://www.iblj.co.[...] 2021-04-24
[389] 웹사이트 2014年シーズン公式戦 https://www.iblj.co.[...] 2021-04-24
[390] 웹사이트 5/15 高知FD - 愛媛MP https://www.iblj.co.[...] 2021-05-15
[391] 뉴스 元赤ヘル右腕のノーヒッター、藤井皓哉(高知ファイティングドッグス)、岡山・笠岡で「凱旋登板」 https://news.yahoo.c[...] 2021-05-16
[392] 웹사이트 公式戦 2022年後期 https://www.iblj.co.[...] 2022-07-29
[393] 웹사이트 2023年シーズン公式戦 後期 https://www.iblj.co.[...] 2023-09-20
[394] 뉴스 名将にみるマネジメント術 (上) 熊本ゴールデンラークス田中敏弘氏 日経産業新聞 2020-01-23
[395] 뉴스 県内初のプロ野球チーム設立 【熊本】 https://www.fnn.jp/a[...] 2020-09-11
[396] 뉴스 プロ野球独立リーグが九州にも まず2球団、副業を容認 https://www.asahi.co[...] 2020-11-04
[397] 뉴스 ソフトバンク育成選手 九州独立リーグへの派遣が制度化へ https://web.archive.[...] 2021-10-28
[398] 웹사이트 台湾社会人野球の強豪、日本の独立リーグ加盟を目指す https://web.archive.[...] 2015-01-23
[399] 웹사이트 日台親善交流試合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400] 웹사이트 台湾社会人野球の強豪、日本の独立リーグと交流試合へ セ・リーグ加盟も視野に https://web.archive.[...] 2015-10-07
[401] 뉴스 高知FDホーム開幕戦は4/1 「ラミレス選手の入団で黒字化を」 https://www.kochinew[...] 2017-02-21
[402] 웹사이트 北米遠征選抜チーム「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ALLSTARS」メンバー発表! http://bkp.iblj.co.j[...]
[403]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リーグ公式交流戦 最終戦試合中止および監督・CEOのコメント http://bkp.iblj.co.j[...] 2015-06-29
[404]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が初の海外遠征密着取材で見えた三つの手ごたえ http://dw.diamond.ne[...] 2015-07-06
[405] 웹사이트 2016年度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北米遠征 「概要及び代表メンバーの決定」並びに「記者会見開催」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6-05-19
[406]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リーグ公式戦・第19戦 最終戦勝利で飾る!通算成績8勝11敗 http://www.iblj.co.j[...] 2016-07-01
[407] 뉴스 、中島監督「10勝目標」 北米遠征会見 https://www.topics.o[...] 2016-06-02
[408]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リーグ公式戦・第2戦 スモールベースボールで2連勝! http://www.iblj.co.j[...] 2016-06-11
[409] 웹사이트 真の「カブキJAPAN」となるために あと半歩・一歩の精度を極めよ http://bb-nippon.com[...] 2016-06-27
[410] 웹사이트 “KABUKI SPIRITS”応援プロジェクト(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北米遠征2016) https://www.spportun[...]
[411] 웹사이트 高知FD ザック選手レンタル移籍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6-07-04
[412] 뉴스 四国ILが北米遠征へ https://www.shikoku-[...] 2019-01-27
[413]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年北米遠征概要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9-05-25
[414]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年北米遠征選抜メンバー決定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9-05-25
[415]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9年北米遠征選抜メンバー変更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9-06-05
[416]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 League公式戦スタート! http://www.iblj.co.j[...] 2019-06-15
[417] 웹사이트 北米遠征Can-Am League公式戦・第19戦 最終戦勝利ならず 通算成績は7勝12敗 http://www.iblj.co.j[...] 2019-07-05
[418] 웹사이트 香川OG 妹尾克哉選手 Can-Am League ロックランド・ボールダーズへ派遣のお知らせ http://www.iblj.co.j[...] 2019-07-09
[419] 웹사이트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から香川OGがJABA公式大会に初参戦 http://bkp.iblj.co.j[...]
[420] 웹사이트 第44会JABA(地区)試合速報 http://www.jaba.or.j[...]
[421] PDF 第45回JABA四国大会 組合せ http://www.jaba.or.j[...] 日本野球連盟
[422] 뉴스 独立リーグ球団として初勝利!! 徳島IS JABA四国大会試合結果 http://www.iblj.co.j[...] 四国아이ランド리그plus뉴스릴리스 2016-04-11
[423] PDF 第46回JABA四国大会 組合せ http://www.jaba.or.j[...] 日本野球연맹
[424] PDF 第47回JABA四国大会組合せ http://www.jaba.or.j[...] 日本野球연맹
[425] PDF 第48回JABA四国大会組合わせ http://www.jaba.or.j[...] 日本野球연맹
[426] 뉴스 JABA四国大会2021 結果 https://sports-newst[...] 스포츠NEWSTAR 2021-04-11
[427] 웹사이트 第50回JABA四国大会 https://baseball.omy[...] 一球速報.com 2022-06-08
[428] 뉴스 社会人野球:JABA四国大会に独立リーグから初参加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4-02
[429] 인터뷰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は『修行の場』" http://bb-nippon.com[...] 独立リーグドットコム 2015-05-29
[430] 뉴스 高知で11月に日本初のウインターリーグを開催! ~アイランドリーグ~ https://www.ninomiya[...] SPORTS COMMUNICATIONS 2013-08-30
[431] 웹사이트 WINTER LEAGUE 2013 http://winterleague.[...] 公式ウェブサイト
[432] 뉴스 Winter League 2013 合格者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3-11-15
[433] 뉴스 『トライアウトリーグ2014』開催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4-09-12
[434] 뉴스 トライアウトリーグ2014合格者について http://bkp.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4-11-14
[435] 뉴스 『トライアウトリーグ2015』開催のお知らせ http://bkp.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5-09-04
[436] 뉴스 トライアウトリーグ2015合格者について http://www.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뉴스릴리스 2015-11-11
[437] 뉴스 四国ILのトライアウト合格者が発表!「細かすぎて」でお馴染みの芸人が合格、両投両打の選手も!? http://baseballking.[...] ベースボールキング 2015-11-11
[438] 웹사이트 お笑いタレント 360°モンキーズ  杉浦双亮 愛媛MP入団!! http://www.iblj.co.j[...] 四国아이랜드리그plus 2016-01-20
[439] 뉴스 四国IL 米国進出へ 現地クラブチームと業務提携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아넥스 201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