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리카 단결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아프리카는 하나'라는 범아프리카주의를 바탕으로 1963년 5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창설된 아프리카 국가들의 협력 기구이다. 식민주의 종식, 아프리카 국가 간의 단결 및 협력 증진, 분쟁의 평화적 해결 등을 목표로 했으며, 32개국으로 시작하여 1980년대에는 50개국 이상으로 회원국이 확대되었다. OAU는 식민지 해방 운동을 지원하고 아프리카 내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회원국 간의 이념 대립과 냉전의 영향으로 인해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아프리카 연합(AU)으로의 전환을 모색하여, 2002년 아프리카 연합으로 공식 출범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국제 기구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아프리카의 국제 기구 -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는 남부 아프리카 16개국의 사회·경제 협력 및 정치·안보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이며, 자유 무역 지대를 운영하고, 개발, 경제 성장,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한다.
  • 2002년 폐지 - 한국미래연합
    한국미래연합은 과거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지만 당선자를 내지 못했고, 지방 선거에서 일부 당선자를 배출했다.
  • 2002년 폐지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은 1964년부터 2002년까지 운영된 대한민국의 실업 축구 리그로, K리그 출범 전에는 최상위 리그 역할을 했으며 춘계와 추계 리그로 나뉘어 매년 두 차례 개최되었다.
  • 1963년 설립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1963년 설립 - 도치기 방송
    도치기 방송은 도치기현을 대상으로 하는 중파 라디오 방송국으로, 간토 지방 독립 방송국들과 교류하며 JRN/NRN 계열 프로그램도 방송하고, 도치기 TV 설립 참여 및 FM 보완 중계국 운영, 흑우 교도소 방송 제작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 단결 기구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프리카 통일 기구 깃발
아프리카 통일 기구 깃발
아프리카 연합 문장
아프리카 연합 문장
상징 종류문장
국가우리 모두 단결하여 함께 축하합시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 지도
설립 당시의 아프리카 통일 기구
설립헌장
설립일1963년 5월 25일
해체해체됨
해체일2002년 7월 9일
이전 조직 1카사블랑카 그룹
이전 조직 2몬로비아 그룹
후신아프리카 연합
수도아디스아베바
사무총장
사무총장 1키플레 워다조
임기 11963년–1964년
사무총장 2디알로 텔리
임기 21964년–1972년
사무총장 3은조 에캉가키
임기 31972년–1974년
사무총장 4윌리엄 에테키
임기 41974년–1978년
사무총장 5에뎀 코조
임기 51978년–1983년
사무총장 6피터 오누
임기 61983년–1985년
사무총장 7이데 오우마루
임기 71985년–1989년
사무총장 8살림 아흐메드 살림
임기 81989년–2001년
사무총장 9아마라 에시
임기 92001년–2002년

2. 역사

1963년 5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32개 아프리카 국가에 의해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가 창설되었다.[6] OAU의 주요 목표는 아프리카 국가들을 통합하고 대륙 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6] 1963년 5월 1일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에서[7][6] 알리우 에브리마 참 주프 감비아 역사가는 회원국 앞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7]

유럽 열강들이 각자 아프리카를 자기 이익을 위해 조각하기 위해 칼을 들고 독일의 테이블에 앉은 지 불과 75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의 성공은 아프리카 대륙의 자유와 완전한 독립을 고무하고 가속화하며 대륙에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궁극적으로 전 세계에서 신식민주의를 근절할 것입니다… 진정한 아프리카인 누구도 기도하지 않는 여러분의 실패는 우리의 투쟁을 쓴맛과 실망으로 연장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아프리카 외부의 어떤 제안도 무시하고, 일부 강대국이 자랑하는 현재의 문명이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으며, 전 세계가 아프리카로부터 배울 만한 지상적인 것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신식민주의의 손아귀에서 아프리카를 구하고 아프리카의 존엄성, 남성다움 및 국가적 안정을 부활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간청합니다.영어

OAU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 아프리카인의 더 나은 삶을 달성하기 위해 아프리카 국가들의 협력을 조정하고 강화한다.[1]
  • 아프리카 국가의 주권, 영토 보전, 독립을 수호한다.
  • 모든 형태의 식민주의와 백인 소수 통치를 근절한다.
  • 모든 아프리카인이 인권을 누리도록 보장한다.
  • 모든 아프리카인의 생활 수준을 높인다.
  • 회원국 간의 논쟁과 분쟁을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협상을 통해 해결한다.[8]


OAU는 에티오피아의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1세,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 가나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 등의 노력으로 발족했다.[16] OAU 설립 이전, 아프리카 국가들은 정치 상황에 따라 카사블랑카 그룹, 브라자빌 그룹, 몬로비아 그룹으로 나뉘어 대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이레 셀라시에 1세의 중재로[16] 범아프리카주의 아래 아프리카 통일을 위한 기구 설립이 실현되었다.

OAU는 반(反)서구·급진 범아프리카주의의 카사블랑카 그룹과 친서구·보수파인 브라자빌 그룹(몬로비아 그룹 포함)이 대동단결하여 조직된 '아프리카 문제는 아프리카에 의해서'라는 민족주의 운동의 결집체였다. 그러나 구조적 모순이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구체적인 조치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산하 기구로는 정상 회담(연 1회), 각료 회의(연 2회 이상), 중재 위원회, 전문 위원회(경제·사회·문화·교육) 등이 설치되었다. 1990년 당시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를 제외한 아프리카 51개국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었다. 사무국은 아디스아바바에 있었다.

OAU는 세계 최대의 지역 통합 기구였지만, 냉전 시대 강대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치적 중립성을 배려했다. 그러나 전쟁인권 침해를 방지하지 못해 ''''독재자 클럽''''[13]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드-리비아 분쟁에서는 평화 유지 활동을 위해 자이르, 나이지리아, 세네갈이 참여한 범아프리카군을 파견했다.[14][15]

1970년대 말 이후, 알제리를 중심으로 한 좌파 강경·급진파의 영향력이 강화되어 온건파 및 친서방 국가들의 퇴조가 두드러지고, 친소 내지 사회주의 노선 국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1980년대 냉전 시기, OAU는 초강대국의 개입을 막기 위해 정치적 중립 노선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회원국 간의 이념적 분열은 OAU의 활동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모로코1963년 설립 당시부터 가입했지만, 1982년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서사하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OAU에 가입한 것에 항의하여 1984년 11월 12일 탈퇴했으며, 후속 기구인 아프리카 연합에도 참여하지 않았지만 2017년 재가입했다.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를 폐지하고 OAU에 가입하면서, 모로코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국가가 회원국이 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59년 7월 15일부터 19일까지 라이베리아 사니켈리에서 열린 '''제1차 서아프리카 정상 회담'''에서 '''사니켈리 선언'''을 통해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 설립의 기틀이 마련되었다.[4] 이 회담에서 라이베리아의 윌리엄 텁먼 대통령은 기니의 아흐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 가나콰메 은크루마 총리를 초청하여 3국은 "독립 아프리카 국가 공동체"를 결성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5]

1960년대 초,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직후, 범아프리카주의 이념 아래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이 단결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 분쟁은 에티오피아의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1세의 중재로 해결되었다.[16] 그는 두 그룹을 아디스아바바로 초청했고, 그곳에서 OAU와 그 본부가 설립되었다. 1963년 5월,[6]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32개 아프리카 독립국 대표들이 모여 아프리카 통일 기구 헌장을 채택하고 OAU를 공식 출범시켰다.[6]

아디스아바바에서 회담하는 하이레 셀라시에 1세와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 (1963년)

2. 2. 초기 활동 (1963년 ~ 1970년대)

1963년 5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1회 아프리카 정상회담에서 '아프리카는 하나'라는 범아프리카주의를 기조로 헌장이 채택되어, 같은 해 10월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가 발족했다.[6] OAU는 아프리카 국가 간의 협력과 단결 촉진, 식민주의 종식, 아프리카 국민 생활 향상, 주권 평등, 내정 불간섭, 영토 보전, 분쟁의 평화적 해결, 파괴 활동 금지, 비독립 지역 해방 운동 지지, 비동맹 정책 견지 등을 강령으로 삼았다.

OAU 설립은 1959년 7월 라이베리아 사니켈리에서 열린 제1차 서아프리카 정상 회담에서의 '''사니켈리 선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윌리엄 텁먼 라이베리아 대통령은 아흐메드 세쿠 투레 기니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 가나 총리를 초청하여 3국이 "독립 아프리카 국가 공동체"를 결성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5]

OAU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32개 아프리카 국가에 의해 창설되었으며,[6] 주요 목표는 아프리카 국가들을 통합하고 대륙 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6] 1963년 5월 1일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에서[7][6] 알리우 에브리마 참 주프 감비아 역사가는 회원국 앞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7]

유럽 열강들이 각자 아프리카를 자기 이익을 위해 조각하기 위해 칼을 들고 독일의 테이블에 앉은 지 불과 75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의 성공은 아프리카 대륙의 자유와 완전한 독립을 고무하고 가속화하며 대륙에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궁극적으로 전 세계에서 신식민주의를 근절할 것입니다… 진정한 아프리카인 누구도 기도하지 않는 여러분의 실패는 우리의 투쟁을 쓴맛과 실망으로 연장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아프리카 외부의 어떤 제안도 무시하고, 일부 강대국이 자랑하는 현재의 문명이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으며, 전 세계가 아프리카로부터 배울 만한 지상적인 것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신식민주의의 손아귀에서 아프리카를 구하고 아프리카의 존엄성, 남성다움 및 국가적 안정을 부활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간청합니다.영어

OAU는 하이레 셀라시에 1세 에티오피아 황제,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 가나 대통령 등의 노력으로 발족했다.[16] OAU 설립 이전, 아프리카 국가들은 정치 상황에 따라 카사블랑카 그룹, 브라자빌 그룹, 몬로비아 그룹으로 나뉘어 대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이레 셀라시에 1세의 중재로[16] 범아프리카주의 아래 아프리카 통일을 위한 기구 설립이 실현되었다.

산하 기구로는 정상 회담(연 1회), 각료 회의(연 2회 이상), 중재 위원회, 전문 위원회(경제·사회·문화·교육) 등이 설치되었다. 1990년 당시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를 제외한 아프리카 51개국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었다. 사무국은 아디스아바바에 있었다.

OAU는 세계 최대의 지역 통합 기구였지만, 냉전 시대 강대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치적 중립성을 배려했다. 그러나 전쟁인권 침해를 방지하지 못해 ''''독재자 클럽''''[13]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드-리비아 분쟁에서는 평화 유지 활동을 위해 자이르, 나이지리아, 세네갈이 참여한 범아프리카군을 파견했다.[14][15]

1970년대 말 이후, 알제리를 중심으로 한 좌파 강경·급진파의 영향력이 강화되어 온건파 및 친서방 국가들의 퇴조가 두드러지고, 친소 내지 사회주의 노선 국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2. 3. 냉전 시기 (1980년대)

냉전 시대, OAU는 초강대국의 개입을 막기 위해 정치적 중립 노선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회원국 간의 이념적 분열은 OAU의 활동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OAU는 차드-리비아 분쟁 (1978년 ~ 1987년)에 개입하여 자이르, 나이지리아, 세네갈이 참여한 범아프리카군을 평화유지군으로 파견하기도 했다.[14][15]

모로코는 1963년 OAU 설립 당시부터 가맹국이었으나, 1982년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서사하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OAU에 가입하자, 이에 항의하여 1984년 11월 12일에 탈퇴했다.

2. 4. 아프리카 연합으로의 전환 (1990년대 ~ 2002년)

1990년대에 들어 냉전이 종식되면서, OAU는 새로운 국제 질서에 적응하고 아프리카의 통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를 폐지하고 OAU에 가입하면서, 모로코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국가가 회원국이 되었다.[16] 모로코는 1963년 설립 당시부터 가입했지만, 1982년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서사하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 OAU에 가입한 것에 항의하여 1984년 11월 12일 탈퇴했으며, 후속 기구인 아프리카 연합에도 참여하지 않았지만 2017년 재가입했다.

1999년 리비아 시르테에서 특별 정상 회담을 개최하여 아프리카 연합(AU) 창설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2001년 7월 9일~7월 11일 잠비아 루사카에서 열린 정상 회담은 마지막 아프리카 통일 기구 정상 회담이었다.

3. 주요 기구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1963년 5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1회 아프리카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헌장에 따라 같은 해 10월에 발족했다. 헌장은 '아프리카는 하나'라는 범아프리카주의를 기조로, 아프리카 국가 간 협력과 단결 촉진, 식민주의 종식, 아프리카 국민 생활 향상, 주권 평등, 내정 불간섭, 영토 보전, 분쟁의 평화적 해결, 파괴 활동 금지, 비독립 지역 해방 운동 지지, 비동맹 정책 견지 등을 강령으로 삼았다.[1]

OAU의 주요 의사 결정 기구는 정상 회담(연 1회), 각료 회의(연 2회 이상)였다. 정상 회담은 각 회원국의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들이 참석했고, 각료 회의는 회원국 외무 장관들이 참석했다.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있었다.

회원국 간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중재 위원회와 특정 분야 협력 증진을 위한 전문 위원회도 설치되었다. 전문 위원회에는 범아프리카 통신 연합(PATU), 범아프리카 우편 연합(PAPU), 범아프리카 뉴스 통신사(PANA), 아프리카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구 연합(URTNA), 아프리카 철도 연합(UAR), 아프리카 노동조합 연합 기구(OATUU), 아프리카 스포츠 최고 위원회, 아프리카 민간 항공 위원회 등이 있었다.[1]

1990년 당시 OAU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를 제외한 아프리카 51개국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었다. 모로코는 1984년 서사하라 회원 자격 문제로 탈퇴했다가 2017년 1월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하면서 복귀했다.[9][11]

OAU는 '아프리카 문제는 아프리카에 의해서'라는 민족주의 운동의 결집체였으나, 구조적 모순과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여러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비판받기도 했다. 1970년대 말 이후 알제리를 중심으로 한 좌파 강경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친소 또는 사회주의 노선을 따르는 국가들이 주도권을 잡았고, 'OAU의 좌경화'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 부문에 있어서는 개별적인 친서방 접근을 나타내기도 했다.

3. 1. 정상 회담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의 정상 회담은 연 1회 개최되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였다. 각 회원국의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들이 참석하여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1]

개최 도시개최 국가날짜
아디스아바바1963년 5월 22일~25일
카이로1964년 7월 17일~21일
아크라1965년 10월 21일~26일
아디스아바바1966년 11월 5일~9일
킨샤사1967년 9월 11일~14일
알제1968년 9월 13일~16일
아디스아바바1969년 9월 6일~10일
아디스아바바1970년 9월 1일~3일
아디스아바바1971년 6월 21일~23일
라바트1972년 6월 12일~15일
아디스아바바1973년 5월 27일~28일
모가디슈1974년
캄팔라1975년 7월 28일~8월 1일
포트루이1976년 7월 2일~6일
리브르빌1977년 7월 2일~5일
하르툼1978년 7월 18일~22일
몬로비아1979년 7월 17일~20일
프리타운1980년 7월 1일~4일
나이로비1981년 6월 24일~27일
아디스아바바1983년 6월 6일~12일
아디스아바바1984년 11월 12일~15일
아디스아바바1985년 7월 18일~20일
아디스아바바1986년 7월 28일~30일
아디스아바바1987년 7월 27일~29일
아디스아바바1987년 10월 (특별 정상 회담)
아디스아바바1988년 5월 25일~28일
아디스아바바1989년 7월 24일~26일
아디스아바바1990년 7월 9일~11일
아부자1991년 7월 3일~5일
다카르1992년 6월 29일~7월 1일
카이로1993년 6월 28일~30일
튀니스1994년 6월 13일~15일
아디스아바바1995년 6월 26일~28일
야운데1996년 6월 8일~10일
하라레1997년 6월 2일~4일
와가두구1998년 6월 8일~10일
알제1999년 7월 12일~14일
시르테1999년 9월 6일~9일 (특별 정상 회담)
로메2000년 7월 10일~12일
루사카2001년 7월 9일~11일 (마지막 아프리카 통일 기구 정상 회담)


3. 2. 각료 회의

각료 회의는 연 2회 이상 개최되었으며, 회원국 외무 장관들이 참석하여 정상 회담 준비 및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다.

3. 3. 사무국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의 사무국은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상설 기구로,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위치했다.

3. 4. 전문 위원회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특정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위원회들이 설치되었다.[1]

  • 범아프리카 통신 연합(PATU)
  • 범아프리카 우편 연합(PAPU)
  • 범아프리카 뉴스 통신사(PANA)
  • 아프리카 국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구 연합(URTNA)
  • 아프리카 철도 연합(UAR)
  • 아프리카 노동조합 연합 기구(OATUU)
  • 아프리카 스포츠 최고 위원회
  • 아프리카 민간 항공 위원회

3. 5. 중재 위원회

아프리카 단결 기구는 회원국 간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재 및 조정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두었다.

4. 주요 활동 및 성과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1963년 5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1회 아프리카 정상회담에서 '아프리카는 하나'라는 범아프리카주의를 기조로 채택된 헌장에 따라 같은 해 10월 발족했다. OAU는 아프리카 국가 간의 협력과 단결 촉진, 식민주의 종식, 아프리카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을 목표로 했다. 또한, 주권 평등, 내정 불간섭, 영토 보전, 분쟁의 평화적 해결, 파괴 활동 금지, 비독립 지역 해방 운동 지지, 비동맹 정책 견지 등을 강령으로 삼았다.[1]

OAU는 정상 회담(연 1회), 각료 회의(연 2회 이상), 중재 위원회, 전문 위원회(경제·사회·문화·교육) 등의 산하 기구를 두었다. 1990년 당시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를 제외한 아프리카 51개국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이었다. 사무국은 아디스아바바에 있었다.

OAU는 반서구, 급진적 범아프리카주의의 카사블랑카 그룹과 친서구, 보수적인 브라자빌 그룹(몬로비아 그룹 포함)이 단결한 '아프리카 문제는 아프리카에 의해서'라는 민족주의 운동의 결집체였다. 그러나 구조적 모순과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여러 문제에서 구체적인 조치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비판받기도 했다.

1970년대 말 이후 알제리를 중심으로 한 좌파 강경, 급진파의 영향력이 강화되어 온건파나 친서방 국가들의 퇴조가 두드러졌고, 친소 또는 사회주의 노선을 걷는 국가들이 주도하면서 'OAU의 좌경화'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 부문에서는 개별적으로 친서방 접근을 나타내기도 했다.

OAU 의장은 회원국 정상이 돌아가면서 맡았다. 다음은 OAU 의장 목록의 일부이다.



(표 계속)


  • 4번쨰 행의 경우 이름이 누락되어 있어서 원문을 보고 채워 넣을 수 있으나, 가링크로 되어 있어서 링크를 찾아서 해야 하는데, 현재 위키문법에서는 가링크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해당 열은 비워두고 출력한다.
  • 7번쨰 행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링크로 되어 있어서, 해당 열은 비워두고 출력한다.

4. 1. 식민주의 종식 및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OAU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든 형태의 식민주의와 백인 소수 통치를 근절하는 데 헌신했다.[1] OAU가 설립되었을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앙골라 등 아직 독립을 쟁취하지 못했거나 백인 소수 통치를 받는 여러 국가가 있었다. OAU는 독립 국가의 이익을 옹호하고 아직 식민지 상태에 있는 국가의 독립을 도왔으며, 회원국이 외부 세력에 의해 다시 통제되지 않도록 세계 문제에 관해 중립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식민주의와 백인 소수 통치를 없애고자 했다.[1]

해방 위원회는 독립 운동을 지원하고 이미 독립한 국가의 이익을 돌보기 위해 설립되었다. OAU는 또한 냉전과 같은 특별한 위험 속에서 외부 세력에 의해 다시 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계 정치에 관해 중립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4. 2. 아프리카 내 분쟁 해결 노력

OAU는 회원국 간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회원국 간의 논쟁과 분쟁을 싸움이 아닌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협상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8] 이를 위해 중재 및 조정 노력을 기울였다. 알제리-모로코 국경 분쟁, 나이지리아 내전, 차드-리비아 분쟁 등 다양한 분쟁에 개입했으나,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과 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으로 인해 성과가 제한적이었다.

4. 3. 경제·사회·문화 협력 증진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아프리카 국가 간의 경제, 사회, 문화적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범아프리카 통신 연합(PATU), 범아프리카 우편 연합(PAPU), 범아프리카 뉴스 통신사(PANA) 등 다양한 전문 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했다.[9]

5. 비판과 한계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아프리카 문제는 아프리카에 의해서'라는 민족주의 운동의 결집체였으나, 구조적 모순과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여러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비판을 받았다.[10] 1970년대 말 이후 알제리를 중심으로 한 좌파 강경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온건파 국가들이 퇴조하고, 친소련 또는 사회주의 노선을 따르는 국가들이 주도하게 되어 'OAU의 좌경화'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 부문에 있어서는 개별적으로 서방 국가들과의 협력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OAU는 실권이 없는 관료적인 "유명무실한 회의체"라는 비판과 함께, 결정 사항 시행 및 자체적인 무장 세력 부재로 분쟁 개입에 어려움을 겪었다.[10] 나이지리아앙골라내전은 수년간 지속되었지만, OAU는 이를 막을 수 없었다. 회원국 내정에 불간섭한다는 원칙 또한 OAU의 효율성을 제한하여, 1970년대 이디 아민 치하의 우간다에서 인권 침해가 발생했을 때도 OAU는 이를 막을 힘이 없었다.

가나 출신의 전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은 아프리카인들을 하나로 모았다는 점에서 OAU를 칭찬했지만, 비평가들은 OAU가 39년 동안 아프리카 시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며 "독재자 클럽"[10] 또는 "독재자 노조"라고 비판했다.

OAU는 회원국 간의 분열로 인해 완전한 통일을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옛 프랑스 식민지들은 몬로비아 그룹을 결성했고, 냉전 이념에 따라 미국 지지 세력과 소련 지지 세력으로 나뉘었다. 가나콰메 은크루마사회주의 성향을, 코트디부아르펠릭스 우푸에부아니자본주의 지지자들을 이끌었다. 이러한 분열은 OAU가 내부 분쟁에 대해 조치를 취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OAU는 식민주의와 백인 소수 통치를 근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백인 소수 통치와 식민 통치에 맞서 싸우는 반군 단체에 무기, 훈련, 군사 기지를 제공했다.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싸운 ANC와 PAC, 로디지아 정부를 전복하기 위해 싸운 ZANU와 ZAPU 등이 OAU의 지원을 받았다. 아프리카 항구는 남아프리카 정부에 폐쇄되었고, 남아프리카 항공기는 아프리카 대륙 상공 비행이 금지되었다. 유엔은 OAU의 설득으로 남아프리카를 세계 보건 기구와 같은 기구에서 추방했다.

OAU는 유엔과 협력하여 난민 문제를 완화하고, 아프리카 개발 은행을 설립하여 아프리카의 경제적 자립을 추구했다. 그러나 모든 아프리카 국가가 독립을 쟁취했지만, 이전 식민지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웠다. 경제 원조를 위해 이전 식민 열강에 계속 의존했고, 이는 종종 조건이 따랐다. 높은 이자율로 대출을 상환해야 했고, 상품은 원조 제공자에게 낮은 가격으로 판매해야 했다.

미국소련은 자체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식민지 이후의 아프리카에 개입했다. "서방인"(식민주의자)을 아프리카 문제에서 배제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OAU는 아프리카 문제를 옹호하기 위해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여전히 서방의 군사적, 경제적 도움에 크게 의존했다.[10]

5. 1. "독재자 클럽" 비판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회원국들의 인권 침해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독재 정권을 옹호한다는 비판을 받아 "독재자 클럽"[10] 또는 "독재자 노조"라는 오명을 얻었다. 특히 1970년대 이디 아민 치하의 우간다에서 심각한 인권 유린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OAU는 내정 불간섭 원칙을 이유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5. 2. 분쟁 해결 능력 부족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는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관료적인 조직으로, "유명무실한 회의체"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정 사항을 실행에 옮기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자체적인 무장 병력이 없어 분쟁 지역에 개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10] 나이지리아앙골라에서 벌어진 내전은 수년간 지속되었지만, OAU는 이를 막을 수 없었다.

회원국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 또한 OAU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 1970년대 이디 아민 치하의 우간다에서 인권 침해가 발생했을 때, OAU는 이를 막을 수 없었다.

OAU는 회원국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완전한 통합을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옛 프랑스 식민지 국가들은 몬로비아 그룹을 형성했고, 냉전 시대에 미국을 지지하는 국가들과 소련을 지지하는 국가들 사이에도 분열이 있었다. 사회주의 성향의 세력은 가나콰메 은크루마가 이끌었고, 코트디부아르펠릭스 우푸에부아니자본주의 지지 세력을 이끌었다. 이러한 분열로 인해 OAU는 내부 분쟁에 연루된 국가들에 대해 조치를 취하기 어려웠고,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에 대한 합의를 거의 이루지 못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OAU는 아프리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해 여전히 서방 국가들의 군사적, 경제적 지원에 크게 의존해야 했다.[10]

5. 3. 제한적인 통합 수준

OAU는 회원국 간의 내정 불간섭 원칙과 분열로 인해 그 효율성에 제한을 받았다. 나이지리아앙골라내전과 같은 분쟁을 해결하지 못했고, 이디 아민 치하의 우간다와 같이 인권 침해 상황에서도 개입하지 못했다.[10]

회원국들은 냉전 시대에 미국을 지지하는 세력과 소련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뉘었다. 사회주의 성향의 가나콰메 은크루마자본주의 성향의 코트디부아르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간의 대립은 OAU가 내부 분쟁에 대해 합의를 이루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OAU는 식민주의와 백인 소수 통치를 종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싸운 단체들을 지원하고, 유엔과 협력하여 남아프리카를 국제기구에서 추방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아프리카 개발 은행을 설립하여 아프리카의 경제적 자립을 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OAU는 아프리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해 여전히 서방의 도움(군사적 및 경제적)에 크게 의존했다.[10]

6. 아프리카 연합(AU)으로의 계승

2002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는 아프리카 연합(AU)으로 전환되었다. AU는 OAU의 목표를 계승하면서도 평화와 안보, 경제 통합, 인권 보호 등 새로운 과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AU는 평화유지군 파견, 회원국 제재 등 OAU보다 강화된 권한을 행사하며 아프리카의 통합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0] AU는 OAU가 39년 동안 아프리카 시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는 "독재자 클럽" 또는 "독재자 노조"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7. 회원국

날짜국가비고
1963년 5월 25일알제리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1971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
베냉1975년까지 다호메이
이집트
에티오피아
가봉
가나
기니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리타니
모로코1984년 11월 12일 서사하라의 회원 자격에 항의하며 탈퇴. 2017년 1월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11]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세네갈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수단
탄자니아탕가니카잔지바르가 1964년 4월 26일 통합, 1964년 11월 1일 현재 이름으로 변경.
토고
튀니지
우간다
부르키나파소1984년까지 오트볼타
1963년 12월 13일케냐
1964년 7월 13일말라위
1964년 12월 16일잠비아
1965년 10월감비아
1966년 10월 31일보츠와나
레소토
1968년 8월모리셔스
1968년 9월 24일에스와티니(구 스와질란드)
1968년 10월 12일적도 기니
1973년 11월 19일기니비사우
1975년 2월 11일앙골라
1975년 7월 18일카보베르데
코모로
모잠비크
상투메 프린시페
1976년 6월 29일세이셸
1977년 6월 27일지부티
1980년 6월 1일짐바브웨
1982년 2월 22일서사하라
1990년 6월 3일나미비아
1993년 5월 24일에리트레아
1994년 6월 6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참조

[1] 웹사이트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operation – South Africa http://www.dirco.gov[...] 2011-12-10
[2] 웹사이트 African Union (See also –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OAU)) Archives https://www.un.org/u[...] 2021-05-27
[3]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1963–2002) https://www.blackpas[...] 2021-05-27
[4] 서적 The First West African Summit Conference: Held at Sanniquellie, Central Province, Liberian hinterland, July 15-19, 1959 https://searchworks.[...] The Liberian Information Service 1959
[5] 논문 Special Conferences https://www.cambridg[...] 1962
[6]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Society, Volume 1 https://books.google[...] Thomson Gale (Firm), Sage Publications 2005
[7] 웹사이트 Message to the Founding Fathers of the OAU at their First Conference at Addis Ababa 1st May 1963 – Alhaji A E Cham-Joof http://archive.thepo[...] The Point Newspaper 2006-06-29
[8] 논문 The Charter of the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1965
[9]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1963–2002) https://www.blackpas[...] 2009-05-10
[10] 뉴스 BBC News – World – Africa – African Union replaces dictators' club http://news.bbc.co.u[...] 2006-08-08
[11] 웹사이트 Morocco rejoins the African Union after 33 year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Media Network 2018-06-18
[12] 웹사이트 African Parliamentary Union http://www.africanpu[...] 2015-03-14
[13] 간행물 African Union replaces dictators' club http://news.bbc.co.u[...] BBC 2018-07-15
[14] 문서 小田英郎「リビア・チャド合邦問題とOAU」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1990年
[15] 서적 Africa's First Peacekeeping Operation: The OAU in Chad, 1981-1982 Praeger 2002-04-30
[16] 서적 アフリカ現代史IV 山川出版社 198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