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탕은 동물의 내장을 주재료로 하여 끓인 수프 또는 스튜의 일종이다. 동아시아, 중동, 발칸, 중앙유럽, 서·남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고유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지역별 식재료와 문화적 특색을 반영한다.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종류의 양탕이 존재하며, 주로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의 내장을 사용한다. 튀르키예의 이슈켐베 초르바스처럼 숙취 해소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기국 - 아히아코
    아히아코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스튜로, 쿠바에서는 타이노족 전통 음식으로 여겨지며 지역 축제와 관련 있고, 콜롬비아 보고타에서는 닭고기와 세 종류의 감자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는 등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리이다.
  • 고기국 - 카울
    카울은 웨일스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전통 스튜 요리로, 양고기나 소고기와 제철 채소를 넣어 장시간 끓여 만들며 빵과 치즈를 곁들여 먹고 한국의 곰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 부속 고기 요리 - 족발 (요리)
    족발은 돼지 족을 향신료와 함께 삶아 만든 한국 요리로, 장충동에서 대중화되어 쫄깃한 식감과 풍미로 대표적인 야식 및 안주가 되었다.
  • 부속 고기 요리 - 스말라호베
    스말라호베는 노르웨이 전통 음식으로, 양의 머리를 반으로 갈라 훈제하거나 건조시켜 만들며, 광우병 발생 이후 어린 양의 머리로만 생산이 허용되고, 독특한 식재료와 조리법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노르웨이 보스 지역에서는 관광 상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양탕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이름양탕
종류, 수프
코스주요리(점심)
주 재료
비슷한 음식내장탕
영양 정보
1인분알 수 없음
열량알 수 없음
단백질알 수 없음
지방알 수 없음
탄수화물알 수 없음
혈당 지수알 수 없음
기타
난이도알 수 없음
요리 정보 (영어)
이름 (영어)Tripe soup
종류 (영어)Soup
주 재료 (영어)Offal (Tripe) (내장, 양)

2. 역사

2. 1. 한국

2. 2. 세계

동아시아에서는 다양한 내장 요리가 존재한다. 중국에서는 을 넣은 란저우 라몐[17]이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는 돼지 양 및 기타 내장으로 만든 섹바(sekba) 또는 백팀(bektim)이 있다.[17] 이는 중국계 인도네시아 요리이다. 필리핀에서는 소파 데 몬동고(sopa de mondongo)를 먹는다.[14][15][16]

중동·발칸 지역에서는 숙취 해소제로 여겨지는 내장 요리가 발달했다. 이란의 시라비(Sirabi),[4][5][6][7] 튀르키예의 이슈켐베 초르바스(işkembe çorbası),[12] 그리스의 파차스(πατσάς) 등이 대표적이다.[4][5][6][7] 특히 튀르키예에서는 식초-마늘 소스를 곁들이거나, 달걀 노른자와 레몬 주스를 넣은 테르비예(terbiye)를 첨가해 먹는다. 불가리아에서는 ''슈켐베 초르바''(шкембе чорба)는 돼지, 소 또는 양의 을 통째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몇 시간 동안 끓인 후 잘게 썰어 국물에 다시 넣고 파프리카로 양념하여 만든다.[8]

''Sirabi''


슈켐베 초르바


İşkembe çorbası


중앙유럽에서는 지역별 특색을 살린 내장 요리가 있다. 독일의 플레크주페(Flecksuppe), 체코의 드르슈티코바 폴레프카(dršťková polévka), 폴란드의 플라키(flaki) 등이 대표적이다.

서·남유럽에서는 다양한 조리법의 내장 요리가 발달했다. 이탈리아의 트리파 알라 밀라네세(trippa alla milanese), 포르투갈의 도브라다(Dobrada), 프랑스의 트리프 아 라 모드 드 캉(tripes à la mode de Caen) 등이 대표적이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각 지역의 식재료와 문화를 반영한 내장 요리가 있다. 멕시코의 메누도(menudo),[14][15][16] 브라질의 도브라지냐(Dobradinha), 페루의 파타스카(Patasca) 등이 대표적이다.

아프리카에서는 다양한 곱창 수프와 스튜를 즐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말라 모고두(Mala Mogodu), 케냐의 마툼보 웻 프라이(Matumbo wet fry), 나이지리아의 곱창 스튜 등이 대표적이다.[14][15][16]

3. 종류

3. 1. 한국 요리

3. 2. 동·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양탕의 하나인 소토 바밧(soto babat)을 먹는다.[17] 또한 섹바(sekba)에 오소리감투가 들어간다.[17] 이는 중국계 인도네시아 요리이다. 중국에서는 란저우라몐이 들어간다. 필리핀에서는 양탕의 하나인 소파 데 몬동고(sopa de mondongo)를 먹는다.

3. 3. 중동·발칸

중동캅카스, 발칸, 동남유럽 지역에서는 을 넣은 수프 류를 해장 음식으로 즐겨 먹는다.[4][5][6][7] 머릿고기나 발 등을 넣은 하시에도 양이 들어간다.

그리스에서는 , 또는 오소리감투를 주재료로 하는 파차스(πατσάςel)를 먹는다. 터키에서 유래된 파차스는 족발을 의미하며, 족발(paçatr)은 터키 요리에서 다른 수프를 의미하기도 한다.

루마니아에서는 으로 치오르버의 일종인 치오르버 데 부르터(ciorbă de burtăro)를 만들어 먹는다. 루마니아의 치오르버 데 부르터는 초르바 데 초커넬레(돼지 족발 수프)와 유사하며, 밀가루, 고지방 사워크림/크렘 프레슈와 달걀 노른자로 걸쭉하게 만들고, 볶은 강판에 간 당근이나 고추로 색을 내며, 식초, 고지방 사워크림(스먼터나)(smântână)과 마늘 딥(무즈데이)(mujdei)로 간을 한다.[9][10] 발효된 밀기울로 만든 신맛 베이스인 보르시(borș)를 신맛 양 깃국에 사용하면, 그 신맛 수프는 초르바(ciorbă)가 아닌 보르시(borș)라고 불린다.[11]

초르바 데 부르터


불가리아에서는 또는 을 끓여 마늘, 식초, 파프리카가루 등으로 간한 슈켐베 초르바(l2=sr|шкембе чорбаbg)를 먹는다. 슈켐베 초르바는 돼지, 소 또는 양의 을 통째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몇 시간 동안 끓인 후 잘게 썰어 국물에 다시 넣고, 잠시 볶은 고추 파프리카로 양념하고, 종종 소량의 우유를 첨가한다. 전통적으로 식초에 으깬 마늘과 매운 붉은 고추와 함께 제공된다.[8]

세르비아에서는 으로 슈켐비치(шкембићsr)를 만들어 먹는다. 신선한 소 내장과 양파, 마늘, 파프리카로 만들며,보통 튀긴 베이컨과 마늘로 간을 하고, 때로는 밀가루(자프르슈카sh)로 걸쭉하게 만든다.

이란에서는 으로 시라비(سیرابیfa)를 만들어 먹는다.

터키에서는 으로 초르바의 일종인 이슈켐베 초르바스(işkembe çorbasıtr)를 만들어 먹는다. 주로 양의 위로 만든 곱창 초르바(işkembe çorbası)를 식탁에서 식초-마늘 소스를 곁들여 먹거나, 조리 후 제공 전 테르비예라고 불리는 달걀 노른자-레몬 주스를 넣어서 먹는다.[12]

3. 4. 중앙유럽

독일에서는 쇠으로 끓인 수프가 쿠텔주페(Kuttelsuppede) 또는 플레크주페(Flecksuppede)라 불린다. 슈바벤의 자우레 쿠텔른(Saure Kuttelnde), 작센의 플레케(Fleckede) 등 지역마다 여러 양탕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독일은 아니지만 독일 문화권인 옛 프로이센 지역에서는 쇠을 넣어 끓인 쾨니히스베르거 플레크(Königsberger Fleckde)를 먹는다.

슬로바키아에서는 쇠으로 끓인 드르슈코바 폴리에우카(držková polievkask)를 먹는다.

오스트리아에는 슈타이어마르크의 슈타이리셰 플레크주페(Steirische Flecksuppede) 등 여러 가지 양탕 요리가 있다.

체코에는 쇠이나 오소리감투에 파프리카가루, 양파, 마늘 등을 넣어 끓인 드르슈티코바 폴레프카(dršťková polévkacs)를 먹는다.

폴란드에서는 플라키(flakipl)를 먹는다. 보통 쇠으로 끓이지만, 오소리감투사슴을 쓰기도 한다.

헝가리에서는 쇠을 넣어 끓인 퍼철레베시(pacalleveshu)를 먹는다. 파프리카가루를 듬뿍 넣어 양념한 것은 퍼철푀르쾰트(pacalpörkölthu)라 부른다.

3. 5. 서·남유럽

이탈리아에서는 밀라노의 트리파 알라 밀라네세(trippa alla milaneseit), 피렌체의 트리파 알라 피오렌티나(trippa alla fiorentinait) 등 여러 지역에서 양탕을 먹는다.[13] 시칠리아에서는 송아지으로 끓인 콰루미(quarumiscn)를 먹는다.[13]

포르투갈에서는 으로 도브라다(dobradapt) 또는 도브라디냐(dobradinhapt)를 끓여 먹는다. 포르투의 트리파스 아 모다 두 포르투(tripas à moda do Portopt) 등 지역별 조리법도 존재한다.

프랑스 노르망디에서는 으로 트리프 아 라 모드 드 캉(tripes à la mode de Caen프랑스어)를 끓여 먹는다.

3. 6. 남·북아메리카

멕시코에서는 으로 메누도(menudoes)를 끓여 먹는다. 브라질에서는 으로 도브라지냐(dobradinhapt-br)를 끓여 먹으며, 여러 부속 고기를 넣어 만드는 모코토(mocotópt)에도 이 들어간다. 엘살바도르에서는 쇠족을 넣어 끓인 소파 데 파타(sopa de pataes)를 먹는다. 카리브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이나 오소리감투로 끓인 소파 데 몬동고(sopa de mondongoes)를 먹는다. 페루에서는 쇠족 또는 족발오소리감투를 넣어 끓인 파타스카(patascaes)를 먹는다.

4. 어원

튀르키예어 이슈켐베 초르바스/işkembe çorbasıtr는 "양 탕"을 의미하며, 이슈켐베/işkembetr ("위/양"), 초르바/çorbatr ("수프"), 그리고 두 단어를 연결하는 소유격 어미 -이/-itr로 구성된다.[3] 이는 페르시아어 (شکمبهfa, "반추위") 와 (شورباfa, "수프")에서 유래되었다.[3] 일부 남슬라브어는 튀르키예어에서 이 요리 이름을 차용했다.[3] 예를 들어 불가리아어 (шкембе чорбаbg), 마케도니아어 (чкембе чорбаmk), 세르비아어보스니아어 (шкембићsr), 알바니아어 ''Çorbë''가 있다.

5. 문화적 의미

5. 1. 한국

5. 2. 세계

튀르키예에서는 양의 위로 만든 곱창 초르바(işkembe çorbası)를 주로 먹으며, 식탁에서 식초-마늘 소스를 곁들이거나, 조리 후 테르비예를 넣어 먹는다.[12] işkembe çorbasıtr는 이 수프 전문 전통 음식점에서 흔히 쓰이는 이름이며, 소와 양의 내장 및 kelletr(구운 양머리 고기)도 제공된다.[12] 위장의 여러 부위로 "Tuzlama, işkembe, şırdan and damartr" 요리를 만들 수 있다.[12] 튀르키예에서는 숙취 해소제로 여겨지며, 새해 전야 메뉴에 자주 등장한다. 이는 1800년대부터 오스만 제국 사람들이 라크(rakı)를 과음한 후 먹는 수프로 보고되면서 시작되었다.[12]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Bulgaria Bradt Travel Guides
[2]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Istanbul
[3] 웹사이트 çorba - Kelime Etimolojisi, Kelimesinin Kökeni https://www.etimoloj[...] 2019-12-01
[4] 서적 Greece Cadogan Guides
[5] 서적 Fodor's Mexico 2010
[6] 서적 Bulgaria Bradt Travel Guides
[7]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Istanbul
[8]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18-11-21
[9] 서적 Des poissons sur le sable Éditions Noir sur Blanc
[10] 서적 Zile de pescuit Editura Cartea Românească
[11] 웹사이트 Traditional Vegetarian Russian Cabbage Soup (Shchi) http://easteuropeanf[...] 2018-03-23
[12] 서적 Outside in: On the Margins of the Modern west Asia I.B. Tauris
[13] 뉴스 'La "Quarume", antico piatto dello street food palermitano' http://www.lagazzett[...] La Gazzetta Palermitana 2014-11-26
[14] 웹사이트 Matumbo Wet Fry (Tripe) https://www.pikachak[...] 2024-10-30
[15] 웹사이트 Tripe (Mala mogodu/ ulusu) https://taste.co.za/[...] 2024-10-30
[16] 웹사이트 African Stew https://cheflolaskit[...] 2022-01-05
[17] 서적 Jakarta: 25 Excursions in and Around the Indonesian Capital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6-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