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엉겅퀴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엉겅퀴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전 세계에 약 300여 종이 분포하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엉겅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다양한 속의 식물들을 포함하며, 잎과 줄기에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는 약 100여 종이 자생하며, 봄에는 어린 잎을 나물로, 가을에는 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엉겅퀴는 스코틀랜드의 국화로, 문화적으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니며,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태약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낙태약 - 효모
    효모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빵, 술, 식품 생산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출아법과 이분법으로 증식하고 유성 생식도 가능하며, 일부 종은 병원성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엉겅퀴류

2. 분류

엉겅퀴는 분류학적으로 국화과(Asteraceae) 엉겅퀴족(Cardueae)에 속한다.

엉겅퀴라는 단어가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되는 국화과의 속은 다음과 같다.


  • ''Arctium'' – 우엉
  • ''Carduus'' – 도깨비엉겅퀴 등
  • ''Carlina'' – 칼린 엉겅퀴
  • ''Carthamus'' – 잇꽃
  • ''Centaurea'' – 별 엉겅퀴
  • ''Cicerbita'' – 씀바귀
  • ''Cirsium'' – 멜랑콜리 엉겅퀴, 덩굴 엉겅퀴, 창 엉겅퀴 등
  • ''Cnicus'' – 축복받은 엉겅퀴
  • ''Cynara'' – 아티초크, 카두운
  • ''Echinops'' – 구체 엉겅퀴
  • ''Galactites'' - 밀크 엉겅퀴
  • ''Notobasis'' – 시리아 엉겅퀴
  • ''Onopordum'' – 목화 엉겅퀴, 스코틀랜드 엉겅퀴라고도 함
  • ''Scolymus'' – 황금 엉겅퀴 또는 굴 엉겅퀴
  • ''Silybum'' – 밀크 엉겅퀴 또는 성 마리아 엉겅퀴
  • ''Sonchus'' – 씀바귀


스코틀랜드의 창 엉겅퀴 ''Cirsium vulgare'', 2007


이른 아침 햇살을 받은 ''Carduus nutans''


천연 섬유의 일종인 엉겅퀴 솜털, 생물학적 분산을 통한 종자 확산의 한 방법이다. 작은 씨앗은 금화조와 다른 작은 새들이 매우 좋아한다.


루이지애나 남동부에서 발견된 ''Cirsium horridulum''


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지방 변이가 매우 많아 일본에는 그 중 100종이 있으며, 현재도 신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종류를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게다가 종간의 잡종도 있어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일본에는 가장 흔히 보이는 노아자미, 혼슈 중부 이북에 자라는 남부엉겅퀴, 간토에서 긴키 지방에 걸쳐 분포하는 타이엉겅퀴 등 많은 종이 있다.

  • 노아자미 ''C. japonicum'' DC.: 봄의 엉겅퀴는 대개 이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혼슈 ~ 규슈. 이 종의 원예 품종을 독일엉겅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독일과는 무관하다.
  • 타이엉겅퀴 ''C. nipponicum var. incomptum:큰 엉겅퀴. 큰 엉겅퀴를 말하며, 별명으로 토네엉겅퀴(利根薊)라고 한다. 남부엉겅퀴의 변종으로 간토 지방에 많다.
  • 후지엉겅퀴 ''C. purpratum'' (Maxim) Matsum.: 꽃의 지름이 8cm에 달한다. 간토 ~ 중부 지방의 산지.
  • 노하라엉겅퀴 ''C. tanakae'' : 가을에 꽃을 피운다. 혼슈 중부 지방 이북의 산지.
  • 하마엉겅퀴 ''C. martitimum'' Makino: 해안성 엉겅퀴로, 잎이 두껍고 윤기가 있다. 혼슈 중부 이남, 규슈까지의 태평양 연안.
  • 모리엉겅퀴 ''C. dipsacolepis'' (Maxim) Matsum.: 혼슈(이와테, 아키타 이남) ~ 규슈의 초원. 때로는 식용으로 재배된다.
  • 남부엉겅퀴 ''C. nipponicum'' (Maxim) Makino: 혼슈 중북부에서는 보통이다. 변종을 포함하면 시코쿠까지 일대에 분포.
  • 오니엉겅퀴 ''C. borealinipponense'' Kitam.: 중부 지방, 도호쿠 지방의 동해측.
  • 키세루엉겅퀴 ''C. sieboldii'': 습원.
  • 사와엉겅퀴 ''C. yezoense'': 긴키 이북의 동해측 계곡가.
  • 타치엉겅퀴 '' C.inundatum'' Makino: 홋카이도에서 혼슈의 동해측 습지.
  • 츠쿠시엉겅퀴 ''C. suffltum'' (Maxim.) Matsum.: 규슈에서는 가장 흔한 엉겅퀴. 시코쿠, 규슈에 분포.
  • 타카엉겅퀴 ''C. pendulum'' Fisch. ex DC.: 홋카이도, 혼슈의 북부에 분포. 동아시아에도 분포한다.


극히 분포가 제한적인 것도 많다.

  • 초카이엉겅퀴 ''C. chokaiensis'' Kitam.: 도호쿠 조카이산의 고산 초원.
  • 오제누마엉겅퀴 '' C. homolepis '' Nakai: 오제 및 그 주변의 습지 극히 일부 구역.
  • 아이즈히메엉겅퀴 '' C. aidzuense '' Nakai ex Kitam.: 혼슈 동해측의 극히 일부 구역.
  • 조슈오니엉겅퀴 '' C. okamotoi '' Kitam.: 군마현, 니가타현의 현 경계 산역의 극히 일부 구역.


남방 도서에는 시마엉겅퀴 ''C. breviaule'' A. Gray (남서 제도에 분포)와 오가사와라엉겅퀴 ''C. boninense'' Koidz. (오가사와라 제도에 분포)가 있다.

2. 1. 엉겅퀴족에 속하는 속

엉겅퀴라는 단어가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되는 국화과의 속은 다음과 같다:

  • ''Arctium'' – 우엉
  • ''Carduus'' – 도깨비엉겅퀴 등
  • ''Carlina'' – 칼린 엉겅퀴
  • ''Carthamus'' – 잇꽃
  • ''Centaurea'' – 별 엉겅퀴
  • ''Cicerbita'' – 씀바귀
  • ''Cirsium'' – 멜랑콜리 엉겅퀴, 덩굴 엉겅퀴, 창 엉겅퀴 등
  • ''Cnicus'' – 축복받은 엉겅퀴
  • ''Cynara'' – 아티초크, 카두운
  • ''Echinops'' – 구체 엉겅퀴
  • ''Galactites'' - 밀크 엉겅퀴
  • ''Notobasis'' – 시리아 엉겅퀴
  • ''Onopordum'' – 목화 엉겅퀴, 스코틀랜드 엉겅퀴라고도 함
  • ''Scolymus'' – 황금 엉겅퀴 또는 굴 엉겅퀴
  • ''Silybum'' – 밀크 엉겅퀴 또는 성 마리아 엉겅퀴
  • ''Sonchus'' – 씀바귀


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지방 변이가 매우 많아 일본에는 그 중 100종이 있으며, 현재도 신종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종류를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게다가 종간의 잡종도 있어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일본에는 가장 흔히 보이는 노아자미, 혼슈 중부 이북에 자라는 남부엉겅퀴, 간토에서 긴키 지방에 걸쳐 분포하는 타이엉겅퀴 등 많은 종이 있다.

  • 노아자미 ''C. japonicum'' DC.: 봄의 엉겅퀴는 대개 이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혼슈 ~ 규슈. 이 종의 원예 품종을 독일엉겅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독일과는 무관하다.
  • 타이엉겅퀴 ''C. nipponicum var. incomptum:큰 엉겅퀴. 큰 엉겅퀴를 말하며, 별명으로 토네엉겅퀴(利根薊)라고 한다. 남부엉겅퀴의 변종으로 간토 지방에 많다.
  • 후지엉겅퀴 ''C. purpratum'' (Maxim) Matsum.: 꽃의 지름이 8cm에 달한다. 간토 ~ 중부 지방의 산지.
  • 노하라엉겅퀴 ''C. tanakae'' : 가을에 꽃을 피운다. 혼슈 중부 지방 이북의 산지.
  • 하마엉겅퀴 ''C. martitimum'' Makino: 해안성 엉겅퀴로, 잎이 두껍고 윤기가 있다. 혼슈 중부 이남, 규슈까지의 태평양 연안.
  • 모리엉겅퀴 ''C. dipsacolepis'' (Maxim) Matsum.: 혼슈(이와테, 아키타 이남) ~ 규슈의 초원. 때로는 식용으로 재배된다.
  • 남부엉겅퀴 ''C. nipponicum'' (Maxim) Makino: 혼슈 중북부에서는 보통이다. 변종을 포함하면 시코쿠까지 일대에 분포.
  • 오니엉겅퀴 ''C. borealinipponense'' Kitam.: 중부 지방, 도호쿠 지방의 동해측.
  • 키세루엉겅퀴 ''C. sieboldii'': 습원.
  • 사와엉겅퀴 ''C. yezoense'': 긴키 이북의 동해측 계곡가.
  • 타치엉겅퀴 '' C.inundatum'' Makino: 홋카이도에서 혼슈의 동해측 습지.
  • 츠쿠시엉겅퀴 ''C. suffltum'' (Maxim.) Matsum.: 규슈에서는 가장 흔한 엉겅퀴. 시코쿠, 규슈에 분포.
  • 타카엉겅퀴 ''C. pendulum'' Fisch. ex DC.: 홋카이도, 혼슈의 북부에 분포. 동아시아에도 분포한다.


극히 분포가 제한적인 것도 많다.

  • 초카이엉겅퀴 ''C. chokaiensis'' Kitam.: 도호쿠 조카이산의 고산 초원.
  • 오제누마엉겅퀴 '' C. homolepis '' Nakai: 오제 및 그 주변의 습지 극히 일부 구역.
  • 아이즈히메엉겅퀴 '' C. aidzuense '' Nakai ex Kitam.: 혼슈 동해측의 극히 일부 구역.
  • 조슈오니엉겅퀴 '' C. okamotoi '' Kitam.: 군마현, 니가타현의 현 경계 산역의 극히 일부 구역.


남방 도서에는 시마엉겅퀴 ''C. breviaule'' A. Gray (남서 제도에 분포)와 오가사와라엉겅퀴 ''C. boninense'' Koidz. (오가사와라 제도에 분포)가 있다.

2. 2. 엉겅퀴족에 속하지 않지만 엉겅퀴라고 불리는 식물

엉겅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엉겅퀴족(Cynareae)에 속하지 않는 식물들이 여럿 있다.

국화과 중에서는 다음 속들이 엉겅퀴라는 일반명으로 불린다.

  • ''Arctium'' – 우엉
  • ''Carduus'' – 도깨비엉겅퀴 등
  • ''Carlina'' – 칼린 엉겅퀴
  • ''Carthamus'' – 잇꽃
  • ''Centaurea'' – 별 엉겅퀴
  • ''Cicerbita'' – 씀바귀
  • ''Cirsium'' – 멜랑콜리 엉겅퀴, 덩굴 엉겅퀴, 창 엉겅퀴 등
  • ''Cnicus'' – 축복받은 엉겅퀴
  • ''Cynara'' – 아티초크, 카두운
  • ''Echinops'' – 구체엉겅퀴
  • ''Galactites'' - 밀크 엉겅퀴
  • ''Notobasis'' – 시리아 엉겅퀴
  • ''Onopordum'' – 목화 엉겅퀴 (스코틀랜드 엉겅퀴)
  • ''Scolymus'' – 황금 엉겅퀴 또는 굴 엉겅퀴
  • ''Silybum'' – 밀크 엉겅퀴 또는 성 마리아 엉겅퀴
  • ''Sonchus'' – 씀바귀


국화과 이외에도 엉겅퀴라고 불리는 식물들이 있다.

  • ''칼리'' – 러시아 엉겅퀴, 타타르 엉겅퀴 또는 텀블위드, 이전에 ''Salsola'' 속(명아주과)으로 분류되었던 식물
  • ''Argemone mexicana'' – 꽃 엉겅퀴, 보라색 가시 양귀비(양귀비과)
  • ''Eryngium'' – 일부 종은 비엉겅퀴처럼 엉겅퀴라는 단어를 포함한다. ''E. articulatum''(산형과)
  • ''Dipsacus fullonum'' – 독일어 이름에는 Haus''distel'', Karden''disteln'', Rod''distel'', Sprot''distel'' 및 Weber''distel''이 포함된다.(인동과)


엉겅퀴속 식물과 매우 비슷하거나 이름에 "엉겅퀴"가 붙지만, 엉겅퀴속 식물이 아닌 것들도 있다(가시엉겅퀴, 여우엉겅퀴, 미야코엉겅퀴, 솔방울엉겅퀴, 구슬엉겅퀴 등). 지칭개속이나 부루아속도 비슷한 꽃을 피운다. 우엉도 꽃이 매우 비슷하다. "엉겅퀴"라는 일본식 이름을 가진 아티초크는 엉겅퀴속이 아니라, 엉겅퀴아재비속이다.

3. 특징

엉겅퀴류는 아열대 해안에서부터 아고산대까지, 습지, 붕괴지, 사력지, 삼림 등 다양한 환경에 널리 분포한다. 햇볕이 잘 드는 빈터, 길가, 들판, 초원 등에서 흔히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드물게는 한해살이풀이나 두해살이풀도 있다. 어릴 때는 뿌리잎이 있으며, 점차 키가 커지면서 줄기잎을 갖지만, 끝까지 뿌리잎이 남아 있는 종도 있다. 은 어긋나기하며,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경우 잎 가장자리나 총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만지면 매우 아픈 경우가 많다. 만지면 아픈 풀의 대표이다.

개화기는 봄에 피는 것과 가을에 피는 것이 있다. 봄에 피는 것은 지느러미엉겅퀴가 대표적이며, 그 외는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붉은 자줏빛의 구형 꽃을 피우는 종이 많다. 은 구형에서 원통형이며, 줄기 끝에 다수의 관상화가 모인 두상화서가 붙어, 많은 국화처럼 주변에 꽃잎 모양의 설상화가 늘어서지 않는다. 꽃에서는 수술과 암술이 막대 모양으로 튀어나와, 이것 또한 바늘산과 같은 풍경을 이룬다. 꽃 색깔은 적자색이나 자색이 대부분이며, 드물게 흰색도 있다. 총포와 총포편에는 종에 따른 차이가 있다. 종자에는 긴 관모가 있다. 솜털(관모)이 달린 열매가 바람에 날려 번식한다. 수분은 곤충에 의한 충매화이다.

4. 한국의 엉겅퀴

한국에는 약 100여 종의 엉겅퀴가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아자미, 남부엉겅퀴, 타이엉겅퀴 등 많은 종이 흔하게 발견된다. 이 외에도 초카이엉겅퀴, 오제누마엉겅퀴, 아이즈히메엉겅퀴, 조슈오니엉겅퀴와 같이 극히 제한적인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희귀한 엉겅퀴 종류도 있다. 남방 도서에는 시마엉겅퀴, 오가사와라엉겅퀴 등이 분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2023년 엉겅퀴를 포함한 토종 식물의 생태적 가치를 보존하고, 외래종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5. 생태

엉겅퀴 꽃은 진주운문나비, 작은진주운문나비, 큰주홍글씨나비, 녹색어리표범나비 등 나비들이 가장 좋아하는 꿀 공급원이다.[8] 유럽금화조에게 중요한 양분을 제공하며, 제왕나비, 스키퍼,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호랑나비에게도 매우 인기가 많다. 벌새는 큰 꽃이 특징인 2년생 종의 꽃을 먹는다.

엉겅퀴 꽃송이 위에 있는 Six-spot burnet 나방


일부 엉겅퀴는 원산지 밖으로 유입되어 문제가 되기도 한다.[9] ''Trichosirocalus'' 바구미나 엉겅퀴 거북벌레를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하기도 한다.[10][11]

엉겅퀴는 꽃가루 매개자에게 중요한 꿀 공급원이다. Xerces Society와 같은 일부 생태 단체는 엉겅퀴의 이점에 대한 인식을 높이려고 노력해 왔다. 제왕나비는 이동 중에 키가 큰 엉겅퀴 종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북미의 ''Cirsium vulgare''와 같은 특정 외래 엉겅퀴도 야생 동물에게 유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7] 엉겅퀴는 특히 꿀 생산량이 많아 뒤영벌에게 가치가 높다. ''Cirsium vulgare''는 영국 식물 조사에서 꿀 생산량 상위 10위 안에 들었으며,[7] 꽃 당 설탕 생산량이 3위를 차지했다.[5] 뿌리가 겨울을 나는 것 외에도 솜털(관모)이 달린 열매가 바람에 날려 번식한다. 수분은 곤충에 의한 충매화이다. 가시가 있고, 번식력이 강하며, 일부 종은 독성이 있어 그다지 환영받지 못한다.[42][43]

6. 이용

플리니우스와 중세 작가들은 엉겅퀴가 대머리에 머리카락을 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근세에는 두통, 흑사병, 암 궤양, 현기증, 황달의 치료법으로 여겨졌다.[12][13] 엉겅퀴는, 설령 그 용어를 국화과 식물에 속하는 것들로 제한한다고 해도, 일반화하기에는 너무 다양한 그룹이다. 많은 종류가 골칫거리 잡초이며, 여기에는 ''Cirsium'', ''Carduus'', ''Silybum'' 및 ''Onopordum''의 일부 침입성 종이 포함된다.[15] 전형적인 부정적 영향은 작물과의 경쟁과 목초지에서의 방목 방해이며, 여기에서 가시가 많은 식물은 사료 식물을 억제하고 방목 동물을 쫓아낸다. 일부 종은 심하게 독성이 있지는 않지만, 섭취하는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16][17]

''Cynara'' 속에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아티초크 종이 포함된다. 주요 잡초로 여겨지는 일부 종은 상업용 치즈 제조에 사용되는 채소 레닛의 원천이다.[18] 마찬가지로, 잡초로 발생하는 ''Silybum''의 일부 종은 식물성 기름과 실리비닌과 같은 제약 화합물을 생산하는 씨앗을 위해 재배된다.[19][20][21]

명목상 잡초인 다른 엉겅퀴는, 일반적인 꿀벌 사료로서, 그리고 고급 단일 채밀 꿀 제품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꿀 식물이다.[15][22][23]

6. 1. 식용

엉겅퀴는 어린 줄기와 잎, 꽃, 뿌리 등을 식용할 수 있다. 봄(4 - 6월경)에 채취한 어린 엉겅퀴는 나물, 무침, 국,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엉겅퀴는 쌉쌀한 맛과 독특한 향이 특징이며, 봄철 입맛을 돋우는 데 효과적이다.

노아자미, 사와아자미, 야치아자미 등의 새싹, 어린 잎, 어린 줄기는 산나물로 먹을 수 있다. 강한 아린 맛이 있기 때문에 데쳐서 물에 잘 담근 후에 조리한다. 기름에 볶아서 조림, 나물, 무침, 초절임, 버터구이 등으로 먹거나, 생으로 튀김으로 먹을 수 있다. 부드러운 줄기 부분은 잎을 떼어내고 껍질을 벗겨서 튀김, 국거리, 조림, 기름 볶음 등으로 조리한다. 가시는 삶거나 튀기면 부드러워진다.

뿌리는 우엉처럼 먹을 수 있으며, 모리아자미, 후지아자미, 하마아자미의 뿌리가 식용 가능하다. 잘게 썰어 물에 담가 아린 맛을 빼고, 간장 조림이나 술지게미 절임, 된장 절임 등으로 조리한다. "'''산우엉'''"이나 "국화우엉" 등으로 불리며, 된장 절임 등의 가공품으로 산간부의 관광지나 온천지 등에서 판매되는 "산우엉"은 대부분 재배된 모리아자미의 뿌리이다.

꽃 또는 뿌리는 소주에 담가 건강주로 만들 수도 있으며, 강장, 건위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베이라 지역에서는 엉겅퀴 꽃을 치즈 제조에 사용되는 응유 효소로 사용한다.[14] 세라 다 에스트렐라는 양젖으로 만든 치즈 중 하나이다.[14] 엉겅퀴류는 밀원 식물로서 꿀 생산에도 기여한다.

6. 2. 약용

엉겅퀴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12][13][41] 플리니우스와 중세 작가들은 엉겅퀴가 대머리에 머리카락을 나게 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근세에는 두통, 흑사병, 암 궤양, 현기증, 황달 치료제로 사용되었다.[12][13][41]

밀크 씨슬(Milk Thistle)은 실리마린(Silymarin)이라고도 불리며, 간 또는 담낭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24] 미국 보건복지부에서 효능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이전 연구에서 C형 간염 환자에게 유익한 결과를 보였다.[24] 또한 밀크 씨슬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간염, 간경변, 황달, 당뇨병, 소화 불량에 식이 보충제로 권장된다.[24] 현대 의학에서도 엉겅퀴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의약품 개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6. 3. 기타

플리니우스와 중세 작가들은 엉겅퀴가 대머리에 머리카락을 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근세에는 두통, 흑사병, 암 궤양, 현기증, 황달의 치료법으로 여겨졌다.[12][13] 엉겅퀴는 다양한 그룹으로, ''Cirsium'', ''Carduus'', ''Silybum'', ''Onopordum''의 일부 침입성 종을 포함하여 많은 종류가 골칫거리 잡초이다.[15] 이러한 잡초는 작물과의 경쟁, 목초지 방목 방해,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16][17]

''Cynara'' 속에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아티초크 종이 포함되며, 일부 종은 채소 레닛의 원천으로 사용된다.[18] ''Silybum''의 일부 종은 식물성 기름과 실리비닌과 같은 제약 화합물을 생산하는 씨앗을 위해 재배된다.[19][20][21]

엉겅퀴는 일반적인 꿀벌 사료로서, 고급 단일 채밀 꿀 제품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꿀 식물이다.[15][22][23]

엉겅퀴는 스코틀랜드에서 문장의 배지로 사용된다.


섬유 가공 분야에서는 담요 등의 기모에 엉겅퀴 열매가 아닌 산토끼꽃과의 치젤 열매가 사용된다(치젤 가공).[44][45]

7. 문화

스코틀랜드국화이자 국가 문장으로 엉겅퀴가 사용된다.[39][40] 알렉산더 3세 국왕(1249-1286) 치세 이후부터 스코틀랜드의 국가 문장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노르드인이 밤에 스코틀랜드 군대의 야영지에 몰래 접근하려다 엉겅퀴를 밟아 비명을 질렀고, 이 덕분에 스코틀랜드 군이 승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사건은 라르그스 전투가 벌어진 1263년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노르웨이호콘 4세가 북부 제도와 헤브리데스 제도를 통제하며 수년 동안 스코틀랜드 왕국 해안을 약탈한 후 시작된 사건이었다.[25] 이 전설을 통해 엉겅퀴는 스코틀랜드를 지켜낸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엉겅퀴는 1474년 제임스 3세 국왕이 처음 발행한 은화에 스코틀랜드 상징이자 국가 문장으로 사용되었다.[26][27] 1536년에는 스코틀랜드 파운드로 6펜스인 바비가 제임스 5세 국왕 치하에서 처음 발행되었는데, 여기에는 왕관을 쓴 엉겅퀴가 새겨져 있었다. 엉겅퀴는 2008년까지 스코틀랜드와 이후 영국 주화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28] 스코틀랜드의 최고이자 가장 오래된 기사단인 엉겅퀴 훈장은 문장에 엉겅퀴를 사용하고 있으며, 에든버러의 성 자일스 대성당에는 엉겅퀴 예배당이 있다. 엉겅퀴는 영국 육군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인 스코틀랜드 근위대의 연대 문장의 주요 심볼이다.

엉겅퀴 훈장과 스코틀랜드 근위대는 모두 Nemo me impune lacessit(아무도 나를 함부로 건드리지 못한다)라는 모토를 사용하며, 이는 스튜어트 왕가의 모토이며 엉겅퀴의 가시 돋친 성질을 가리킨다. 이 모토와 엉겅퀴가 새겨진 파운드 동전은 1984년, 1989년, 2014년에 주조되었다. 엉겅퀴와 모토의 조합은 찰스 2세 국왕이 발행한 바비에 처음 등장했다.

1826년, 새로운 스코틀랜드 국립 은행에 대한 문장 부여에는 방패를 엉겅퀴로 둘러싸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엉겅퀴"는 여러 스코틀랜드 축구 클럽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1960년 이후, 스코틀랜드의 솔트레어를 나타내는 양식화된 엉겅퀴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로고였다. 엉겅퀴는 또한 스코틀랜드 럭비의 로고로도 사용된다.

2013년부터는 스코틀랜드 왕관을 쓴 다른 양식의 엉겅퀴가 스코틀랜드 경찰의 문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13년 이전의 8개 스코틀랜드 경찰 서비스 및 치안 본부 중 7곳의 문장에 오랫동안 등장했다. 유일한 예외는 노던 치안 본부였다. 에든버러 대학교의 문장에는 엉겅퀴가 에든버러의 메르카트 십자가의 방패 중 하나에 솔트레어와 함께 나타난다. 잠시 스코틀랜드의 식민지였던 노바스코샤("새로운 스코틀랜드")의 문장과 휘장은 17세기부터 엉겅퀴를 특징으로 했다.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제임스 6세와 1세는 튜더 장미가 스코틀랜드 엉겅퀴와 "절반으로 나누어진" 문장 배지로 왕관으로 장식된 배지를 사용했다.[29] 스코틀랜드의 꽃 문장으로, 이후 영국 왕실 문장에 나타났으며, 튜더 장미, 북아일랜드의 아마, 웨일스의 부추와 함께 영국 대법원의 배지와 같은 다양한 영국 기관의 문장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꽃 조합은 현재 발행되는 1파운드 동전에 나타난다.

엉겅퀴는 해외에서 스코틀랜드와의 연결을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몬트리올의 기에 있는 4개의 꽃 문장 중 하나이며, 미국에서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가 창립자 앤드류 카네기의 스코틀랜드 유산을 기리기 위해 문장에 엉겅퀴를 사용하고,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는 기와 봉인에 엉겅퀴를 사용한다. 엉겅퀴는 또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시작됨)과 자딘 매테슨 홀딩스 리미티드(회사가 두 명의 스코틀랜드인에 의해 설립됨)의 상징이다.

어떤 종류의 엉겅퀴가 원래 전설에서 언급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현대에는 솜엉겅퀴(''Onopordum acanthium'')가 더 인기 있는데, 그 모습이 더 인상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솜엉겅퀴는 토종이 아니며 중세 시대에는 스코틀랜드에 있었을 가능성이 낮다. 스코틀랜드의 풍부한 토종 종인 창엉겅퀴(''Cirsium vulgare'')가 더 유력한 후보이다.[30][31] 난쟁이엉겅퀴(''Cirsium acaule''), 엉겅퀴(''Carduus nutans''), 우울한 엉겅퀴(''Cirsium heterophyllum'')와 같은 다른 종도 제안되었다.[32]

낭시의 문장, 옛 로렌 공국의 수도


엉겅퀴, 더 정확히는 ''큰엉겅퀴''(Onopordum acanthium)는 세 개의 아발레리온과 로렌 십자가 있는 문장과 함께 로렌의 상징 중 하나이다.

로렌은 룩셈부르크와 독일 국경을 따라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이다.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로렌 공국을 형성했다. 중세 시대에 엉겅퀴는 흰 즙이 하느님의 어머니의 가슴에서 떨어지는 우유를 연상시켜 성모 마리아의 상징이었다. 이후 앙주의 르네가 로렌 십자와 함께 개인적인 상징으로 채택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인 ''Livre du cuer d'amours espris''를 통해 엉겅퀴를 기독교적 상징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인 사랑과 연관시켜 자신의 상징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엉겅퀴와 십자는 그의 손자인 로렌 공작 르네 2세에 의해 다시 사용되었고, 그는 이 상징들을 이 지역에 도입했다. 이 두 상징은 1477년 낭시 전투에서 로렌군이 부르고뉴를 물리치면서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공작의 좌우명은 "''Qui s'y frotte s'y pique''" 였는데, 이는 "그것을 만지는 자는 스스로 찌른다"는 뜻으로, 스코틀랜드의 좌우명 "''Nemo me impune lacessit''"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엉겅퀴는 낭시 시의 공식 상징이자 AS 낭시 축구팀과 로렌 지역 자연 공원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기독교에서는 성모 마리아가 그리스도가 매달린 십자가에서 뽑은 못을 묻은 곳에서 엉겅퀴가 생겨났다고 전해지며, 성스러운 꽃으로 여겨진다.[37] 북유럽 신화에서는 천둥의 신 토르의 꽃으로, 낙뢰 방지 부적으로 여겨진다.[38]

스코틀랜드에서는 13세기에 덴마크와 전쟁을 했을 때, 덴마크 군의 병사가 엉겅퀴 가시에 찔려 퇴각하면서 승리를 거두었고, 이로 인해 "나라를 구한 꽃"으로서 국화가 되었다.[39][40] 엉겅퀴의 꽃말은 "독립", "보복", "엄격", "손대지 마세요"이다. 로렌 공국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7. 1. 스코틀랜드

엉겅퀴는 스코틀랜드국화이자 국가 문장으로 사용된다.[39][40] 알렉산더 3세 국왕(1249-1286) 치세 이후부터 스코틀랜드의 국가 문장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노르드인이 밤에 스코틀랜드 군대의 야영지에 몰래 접근하려다 엉겅퀴를 밟아 비명을 질렀고, 이 덕분에 스코틀랜드 군이 승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사건은 라르그스 전투가 벌어진 1263년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노르웨이호콘 4세가 북부 제도와 헤브리데스 제도를 통제하며 수년 동안 스코틀랜드 왕국 해안을 약탈한 후 시작된 사건이었다.[25] 이 전설을 통해 엉겅퀴는 스코틀랜드를 지켜낸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엉겅퀴는 1474년 제임스 3세 국왕이 처음 발행한 은화에 스코틀랜드 상징이자 국가 문장으로 사용되었다.[26][27] 1536년에는 스코틀랜드 파운드로 6펜스인 바비가 제임스 5세 국왕 치하에서 처음 발행되었는데, 여기에는 왕관을 쓴 엉겅퀴가 새겨져 있었다. 엉겅퀴는 2008년까지 스코틀랜드와 이후 영국 주화에 정기적으로 등장했다.[28] 스코틀랜드의 최고이자 가장 오래된 기사단인 엉겅퀴 훈장은 문장에 엉겅퀴를 사용하고 있으며, 에든버러의 성 자일스 대성당에는 엉겅퀴 예배당이 있다. 엉겅퀴는 영국 육군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인 스코틀랜드 근위대의 연대 문장의 주요 심볼이다.

엉겅퀴 훈장과 스코틀랜드 근위대는 모두 Nemo me impune lacessit(아무도 나를 함부로 건드리지 못한다)라는 모토를 사용하며, 이는 스튜어트 왕가의 모토이며 엉겅퀴의 가시 돋친 성질을 가리킨다. 이 모토와 엉겅퀴가 새겨진 파운드 동전은 1984년, 1989년, 2014년에 주조되었다. 엉겅퀴와 모토의 조합은 찰스 2세 국왕이 발행한 바비에 처음 등장했다.

1826년, 새로운 스코틀랜드 국립 은행에 대한 문장 부여에는 방패를 엉겅퀴로 둘러싸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엉겅퀴"는 여러 스코틀랜드 축구 클럽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1960년 이후, 스코틀랜드의 솔트레어를 나타내는 양식화된 엉겅퀴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로고였다. 엉겅퀴는 또한 스코틀랜드 럭비의 로고로도 사용된다.

2013년부터는 스코틀랜드 왕관을 쓴 다른 양식의 엉겅퀴가 스코틀랜드 경찰의 문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13년 이전의 8개 스코틀랜드 경찰 서비스 및 치안 본부 중 7곳의 문장에 오랫동안 등장했다. 유일한 예외는 노던 치안 본부였다. 에든버러 대학교의 문장에는 엉겅퀴가 에든버러의 메르카트 십자가의 방패 중 하나에 솔트레어와 함께 나타난다. 잠시 스코틀랜드의 식민지였던 노바스코샤("새로운 스코틀랜드")의 문장과 휘장은 17세기부터 엉겅퀴를 특징으로 했다.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제임스 6세와 1세는 튜더 장미가 스코틀랜드 엉겅퀴와 "절반으로 나누어진" 문장 배지로 왕관으로 장식된 배지를 사용했다.[29] 스코틀랜드의 꽃 문장으로, 이후 영국 왕실 문장에 나타났으며, 튜더 장미, 북아일랜드의 아마, 웨일스의 부추와 함께 영국 대법원의 배지와 같은 다양한 영국 기관의 문장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꽃 조합은 현재 발행되는 1파운드 동전에 나타난다.

엉겅퀴는 해외에서 스코틀랜드와의 연결을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몬트리올의 기에 있는 4개의 꽃 문장 중 하나이며, 미국에서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가 창립자 앤드류 카네기의 스코틀랜드 유산을 기리기 위해 문장에 엉겅퀴를 사용하고,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는 기와 봉인에 엉겅퀴를 사용한다. 엉겅퀴는 또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시작됨)과 자딘 매테슨 홀딩스 리미티드(회사가 두 명의 스코틀랜드인에 의해 설립됨)의 상징이다.

어떤 종류의 엉겅퀴가 원래 전설에서 언급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현대에는 솜엉겅퀴(''Onopordum acanthium'')가 더 인기 있는데, 그 모습이 더 인상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솜엉겅퀴는 토종이 아니며 중세 시대에는 스코틀랜드에 있었을 가능성이 낮다. 스코틀랜드의 풍부한 토종 종인 창엉겅퀴(''Cirsium vulgare'')가 더 유력한 후보이다.[30][31] 난쟁이엉겅퀴(''Cirsium acaule''), 엉겅퀴(''Carduus nutans''), 우울한 엉겅퀴(''Cirsium heterophyllum'')와 같은 다른 종도 제안되었다.[32]

7. 2. 로렌 (프랑스)



엉겅퀴, 더 정확히는 ''큰엉겅퀴''(Onopordum acanthium)는 세 개의 아발레리온과 로렌 십자가 있는 문장과 함께 로렌의 상징 중 하나이다.

로렌은 룩셈부르크와 독일 국경을 따라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이다.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로렌 공국을 형성했다. 중세 시대에 엉겅퀴는 흰 즙이 하느님의 어머니의 가슴에서 떨어지는 우유를 연상시켜 성모 마리아의 상징이었다. 이후 앙주의 르네가 로렌 십자와 함께 개인적인 상징으로 채택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인 ''Livre du cuer d'amours espris''를 통해 엉겅퀴를 기독교적 상징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인 사랑과 연관시켜 자신의 상징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엉겅퀴와 십자는 그의 손자인 로렌 공작 르네 2세에 의해 다시 사용되었고, 그는 이 상징들을 이 지역에 도입했다. 이 두 상징은 1477년 낭시 전투에서 로렌군이 부르고뉴를 물리치면서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공작의 좌우명은 "''Qui s'y frotte s'y pique''" 였는데, 이는 "그것을 만지는 자는 스스로 찌른다"는 뜻으로, 스코틀랜드의 좌우명 "''Nemo me impune lacessit''"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엉겅퀴는 낭시 시의 공식 상징이자 AS 낭시 축구팀과 로렌 지역 자연 공원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7. 3. 기타

기독교에서는 성모 마리아가 그리스도가 매달린 십자가에서 뽑은 못을 묻은 곳에서 엉겅퀴가 생겨났다고 전해지며, 성스러운 꽃으로 여겨진다.[37] 북유럽 신화에서는 천둥의 신 토르의 꽃으로, 낙뢰 방지 부적으로 여겨진다.[38]

스코틀랜드에서는 13세기에 덴마크와 전쟁을 했을 때, 덴마크 군의 병사가 엉겅퀴 가시에 찔려 퇴각하면서 승리를 거두었고, 이로 인해 "나라를 구한 꽃"으로서 국화가 되었다.[39][40] 엉겅퀴의 꽃말은 "독립", "보복", "엄격", "손대지 마세요"이다. 로렌 공국을 상징하는 꽃이기도 하다.

8. 혼동하기 쉬운 식물

엉겅퀴속 식물과 매우 비슷하거나 이름에 "엉겅퀴"가 붙지만, 엉겅퀴속 식물이 아닌 것들도 있다(가시엉겅퀴, 여우엉겅퀴, 미야코엉겅퀴, 솔방울엉겅퀴, 구슬엉겅퀴 등). 또한 지칭개속이나 부루아속도 비슷한 꽃을 피운다. 우엉도 꽃이 매우 비슷하다. "엉겅퀴"라는 일본식 이름을 가진 아티초크는 엉겅퀴속이 아니라, 엉겅퀴아재비속이다. 펠리니의 영화 《》의 히로인 젤소미나가 광대 일 마토에게 "엉겅퀴 얼굴"이라고 불리는 엉겅퀴는 아티초크(카르초포/carciofoit)를 가리킨다.

모리아자미의 뿌리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야마고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학술상의 종명인 야마고보와 요우슈야마고보는 모두 국화과가 아니며, 모리아자미 등의 아자미와는 계통이 먼 야마고보과에 속하며, 약용으로는 사용되지만 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을 뿐더러 유독 식물이므로 혼동하여 잘못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THISTLEDOWN https://www.merriam-[...] 2023-09-28
[2] 웹사이트 Melancholy Thistle http://www.luontopor[...] NatureGate 2019-11-27
[3] 웹사이트 Cardueae http://tolweb.org/Ca[...] 2012-10-30
[4] 뉴스 Thistle http://www.m-w.com/c[...] 2007-11-30
[5] 논문 Food for Pollinators: Quantifying the Nectar and Pollen Resources of Urban Flower Meadows 2016
[6] 웹사이트 Native Thistles: A Conservation Practitioner's Guide https://xerces.org/n[...] 2018-08-27
[7] 웹사이트 Which flowers are the best source of nectar? http://www.conservat[...] Conservation Grade 2017-10-18
[8] Webarchive Bracken for Butterflies http://www.butterfly[...] 2008-10-03
[9] Webarchive Cirsium vulgare (Savi) Ten., Asteraceae http://www.hear.org/[...] Pacific Island Ecosystems at Risk (PIER) 2009-12-19
[10] 논문 Occurrence of ''Trichosirocalus horridus'' (Coleoptera: Curculionidae) on Native ''Cirsium altissimum'' Versus Exotic ''C. Vulgare'' in North American Tallgrass Prairie
[11] 논문 Introduced leaf beetles of the Maritime Provinces, 7: Cassida rubiginosa Muller and Cassida flaveola Thunberg (Coleoptera: Chrysomelidae) https://mapress.com/[...] 2008-06-27
[12] 웹사이트 A Modern Herbal http://www.botanical[...] 2011-06-03
[13] 서적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Taylor and Francis
[14] 웹사이트 Portugal's "thistle cheeses" https://www.anitasfe[...] 2020-11-30
[15] 서적 Beekeeping for Poverty Alleviation and Livelihood Secur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09-18
[16] 서적 Noxious Weeds of Australia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17] 간행물 The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E & S Livingstone
[18] 논문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wes' Milk Cheese Manufactured with Extracts from Flowers of ''Cynara cardunculus'' and ''Cynara humilis'' as Coagulants
[19] 논문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1999-06
[20] 논문 "[St. Mary's Thistle: an overview]"
[21] 논문 Breeding Objectives and Selection Criteria for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Improvement
[22] 서적 The Honey Connoisseur: Selecting, Tasting, and Pairing Honey, With a Guide to More Than 30 Varietals https://books.google[...]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s 2013-06-04
[23] 서적 Technical Bulletin https://books.google[...] The Department
[24] 웹사이트 Milk Thistle https://www.nccih.ni[...] 2024-04-23
[25] 웹사이트 Scots History Online http://www.scotshist[...] Scots History Online 2013-01-14
[26]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en.wikisourc[...] T.C. & E.C. Jack
[27] 웹사이트 University of Glasgow - The Hunterian - Visit - Exhibitions - Exhibition Programme - Scotland's Own Coinage https://www.gla.ac.u[...] 2020-02-19
[28] 웹사이트 The thistle – Scotland's national flower https://www.nts.org.[...] 2024-04-23
[29] 서적 Heraldic Badges https://archive.org/[...] John Lane
[30] 웹사이트 Flowers of Scotland: Thistle http://www.twocrows.[...] Twocrows.co.uk 2013-01-14
[31] 웹사이트 Why is the THISTLE a Scottish national symbol? http://www.ormiston.[...] Ormiston.com 2013-01-14
[32] 웹사이트 Scotland Fact File: The Thistle http://www.visitscot[...] Visitscotland.com 2013-01-14
[33] 서적 Histoire de Nancy Berger-Levrault
[34] 웹사이트 Le chardon http://mooc.tela-bot[...] Tela Botanica 2017-02-11
[35] 웹사이트 Origine du blason de Nancy http://www.nancy-web[...] Nancy WebTV 2017-02-11
[36] 서적 ワイド図鑑 里山・山地の身近な山野草 主婦の友社 2010-10-10
[37] 웹사이트 ノアザミ https://alinamin-ken[...] アリナミン製薬株式会社 2024-10-21
[38]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39] 서적 366日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40] 서적 歴史の中の植物 八坂書房 2019-09-10
[41] 웹사이트 A Modern Herbal http://www.botanical[...] 2011-06-03
[42] 서적 Noxious Weeds of Australia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43] 간행물 The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E & S Livingstone 1962
[44] 웹사이트 泉州毛布の始まり~明治・大正~ https://japanblanket[...] 日本毛布工業組合 2022-09-12
[45] 웹사이트 今話題のニットの起毛加工(アザミ起毛?)に使用する花の実をご紹介致します。 http://www.knit-mate[...] ニットマテリアル 2022-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