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경구개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되는 자음으로,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며 좁은 틈새를 만들어 공기를 통과시키는 마찰음이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변이음 또는 음소로 나타나며, 각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발음되는 양상이 다르다.

2. 특징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


무성 경구개 마찰음은 조음 방법마찰음, 조음 위치경구개음, 발성상 무성음으로 분류된다. 공기는 입으로만 나가며(구음), 혀 가운데로 흐르고(중설음), 폐에서 나오는 기류를 사용한다(폐 기류 기구).

이 소리와 유사하게 경구개 뒤쪽에서 조음되는 변이음은 연구개 마찰음에 더 가깝게 들리기도 한다.

2. 1. 조음 방법

무성 경구개 마찰음의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마찰음에 해당한다. 이는 조음 기관 사이의 틈새를 매우 좁혀 공기가 통과하기 어렵게 만들고, 이 좁은 통로로 기류를 통과시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 구강 내 기류: 기류가 혀의 중앙 부분을 통해 흐르는 중설음이다.
  • 연구개의 위치: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막고, 오직 입으로만 공기를 내보내는 구강음(구음)이다.
  • 기류의 발생: 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공기는 폐에서 시작되어 나오는 폐 기류 기구를 따른다.

2. 2. 조음 위치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되는 경구개음이다.

2. 3. 발성

발성: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3. 언어별 사용

무성 경구개 마찰음([ç])은 세계의 여러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이다. 이 소리는 특정 음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일부 언어에서는 독립적인 음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소리가 나타나는 몇몇 언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아일랜드어: t 앞이 아닌 환경에서 좁은 자음 'ch'가 [ç]로 소리 난다.
  • 스코틀랜드 게일어: 좁은 자음 'ch'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루마니아어: /i/나 /j/ 앞에 오는 'h'의 변이음으로 [ç] 소리가 나타날 수 있다.
  • 노르웨이어: 'kj' 철자 전체와, /i/ 및 /y/ 앞에 오는 'k'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몽어: 'xy' 철자가 [ç] 소리를 나타낸다.
  • 아이슬란드어: 'hj' 철자 조합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스웨덴어: k 또는 sk 철자가 i, e, y 앞에 올 때 [ç] 소리가 난다.


이 외에도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영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특정 환경 하에 무성 경구개 마찰음이 나타나며, 각 언어에서의 구체적인 실현 양상과 예시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h/) 음소가 특정 환경에서 무성 경구개 마찰음 으로 소리 난다. 이는 모음 /i/(ㅣ)나 반모음 /j/(, , , , ㅖ, ㅒ) 앞에 올 때 나타나는 변이음이다.[2] 예를 들어, 한글 단어 힘한국어국제 음성 기호로는 으로 표기되며, 첫소리 모음 'ㅣ' 앞에서 로 발음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단어의 첫 음절 첫소리에서 관찰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 음운론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2.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히)의 첫소리 자음(/h/)이 모음 /i/ 앞에서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로 소리 난다. 예를 들어, '사람'을 뜻하는 ''('''h'''ito)의 발음은 [çi̥to̞]이다. 또한, 요음인 「햐(ひゃ)」, 「휴(ひゅ)」, 「효(ひょ)」(/hj-/)에 포함된 자음 역시 [ç]로 발음된다. 이는 모음 /i/와 반모음 /j/ 앞에서 후두 마찰음 /h/가 변이음으로 실현되는 경우이다. (일본어 음운론 참조)

3. 3. 중국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유기음 뒤의 /j/가 무성음화되어 무성 경구개 접근음 [j̊]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pʰj/ 등으로 표기된다. 표준 중국어 음운론 참조.

방언단어IPA의미비고
표준 중국어票|piàocmn[pj̊äʊ̯˥˩]유기 자음 뒤의 /j/의 일반적인 변이음.



일부 방언에서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 음소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방언단어IPA의미비고
타이저우 방언wuu[çi]놀다다른 우 방언에서는 /ɕ/에 해당한다.
메이셴 방언hak[çʲɔŋ˦]향기로운객가어 로마자 표기 "hi-", "hy-"에 해당하며, 구개음화 마찰음 /hj/에 해당한다.
옌타이 방언중국어[çiao˩˨˩]효도


3. 4. 영어

호주 영어와 영국 영어에서는 /hj/ 연속이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hue'는 çʉː로 발음될 수 있다.[2] 이는 'huge', 'human'과 같이 /j/ 소리(j) 앞에 /h/가 오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영어 음운론 참조.

스코스어에서는 특정 환경에서 /k/가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like'는 laɪ̯ç로 발음될 수 있으며, 이는 앞 모음에 따라 구개음에서 연구개음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영어 음운론 참조.

또한, 호주 영어[6][7]뉴질랜드 영어[8][7]에서는 /j/의 변이음으로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 또는 무성 경구개 접근음 j̊이 나타날 수 있다. 호주 영어 음운론 및 뉴질랜드 영어 음운론 참조.

3. 5. 독일어

독일어에서는 후설모음(a, o, u)이나 이중모음 au 뒤에 오지 않는 ch 철자에서 무성 경구개 마찰음([ç])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nicht|니히트de('아니')와 같은 단어에서 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단어 끝에 오는 '-ig'의 'g' 역시 [ç]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비(非) 그리스어 기원의 단어에서 이러한 규칙이 적용되며, 일본어에서 유래한 이름 중 'i' 앞에 오는 'h'에서도 이 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예: "Hiroko", "Masahiro").

전통적으로 이 소리([ç])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x/)의 변이음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일부 화자들은 /aːx/와 /aːç/ (원래 /aʁç/에서 유래)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ç]가 별개의 음소로 기능하기도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표준 독일어 음운론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6. 기타 언어

무성 경구개 마찰음([ç])은 여러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삼어সীমা|시마as / xima[ç̠ima]'한계/경계'
아제르바이잔어일부 방언çörək|최래크az[tʃœˈɾæç]'빵'/c/의 변이음이다.
블랙풋어ᖱᑊᖽᒧᐧᖿ|이키치카bla / ihkitsika[içkitsika]'일곱'/x/의 변이음이다.
중국어타이저우 방언嬉|시wuu[çi]'놀다'다른 우 방언에서는 치경구개음 /ɕ/에 해당한다.
메이셴 방언香|향hak[çʲɔŋ˦]'향기로운'로마자 표기에서 "hi-" 또는 "hy-"로 표기되는 객가어 방언에서 구개음화 마찰음 /hj/에 해당한다.
덴마크어표준pjaske|퍄스케da[ˈpçæskə]'물보라'치경구개음 ɕ일 수도 있다.[2] /j/ 앞에서는 /p, t, k/의 유기음이 무성음화 및 /j/의 경음화로 실현된다.[2] 하지만 시퀀스 /tj/는 일반적으로 파찰음 t͡ɕ로 실현된다.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표준 북부wiegje|비혀nl[ˈʋiçjə]'아기 침대'일부 화자에게는 /j/ 앞의 /x/의 변이음이다.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영어호주hue|휴영어[çʉː]'색조'시퀀스 /hj/의 음성학적 실현.[2] 호주 영어 음운론 및 영어 음운론 참조
영국[2]
스코스어like|라이크영어[laɪ̯ç]'좋아하다'/k/의 변이음. 앞의 모음에 따라 구개음에서 연구개음까지 다양하다. 영어 음운론 참조
에스토니아어vihm|비흠et[viçm]'비'/h/의 변이음이다.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조
핀란드어vihko|비흐코fi[ʋiçko̞]'노트'/h/의 변이음이다. 핀란드어 음운론 참조
프랑스어파리merci|메르시프랑스어[mɛʁ̥ˈsi̥ç]'감사합니다'문장의 끝에서 폐쇄 모음 /i, y, u/와 전설 중모음 /e, ɛ/는 무성음화될 수 있다.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독일어nicht|니히트de[nɪçt]'아니'전통적으로 /x/의 변이음, 또는 그 반대이다. 하지만 /aːx/와 /aːç/ (< /aʁç/)를 모두 가진 일부 화자에게는 음소이다.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하이다어[çɪ́l]'잎'
몽어화이트 (Dawb)[ça]'일곱'다난산 방언에서 치경구개음 /ɕ/에 해당한다.
그린 (Njua)
헝가리어kap'j|캅이hu[ˈkɒpç]얻다 (명령형)무성 장애음과 단어 경계 사이에서 /j/의 변이음이다.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아이슬란드어hérna|히에르트나is[ˈçɛrtn̥a]'여기'아이슬란드어 음운론 참조
아일랜드어a Sheáin|어 한ga[ə çaːnʲ] (호격)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할라파 마자텍어근사음으로 묘사된다. 평범한 유성음 /j/ 및 성문음화 유성음 /ȷ̃/과 대조된다.
일본어人|히토일본어 / hito[çi̥to̞]'사람'/i/와 /j/ 앞의 /h/의 변이음이다. 일본어 음운론 참조
카빌어til|크틸kab[çtil]'측정하다'
한국어힘|힘한국어 / him[çim]'힘'/i/와 /j/ 앞에서 단어 시작 시 /h/의 변이음이다. 한국어 음운론 참조
미낭카바우어무코무코어angih'[taŋiç]'울다'코다에서 /i/와 /j/ 다음의 /h/의 변이음이다.
노르웨이어도시 동부kjekk|솈no[çe̞kː]'잘생긴'종종 치경구개음 ɕ 대신 사용된다. 베르겐, 스타방에르, 오슬로의 젊은 화자들은 ʂ와 병합한다.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파슈토어길지 방언پـښـه|프샤ps[pça]'발'파슈토어 음운론 참조
와르다크 방언
루마니아어표준vlahi|블라히ro[vlaç]'발라히아인'/i/ 앞의 /h/의 변이음이다. 일반적으로 [hʲ]로 표기된다.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조
러시아어표준твёрдый|트뵤르디ru / tvjordyj[ˈt̪ʋʲɵrd̪ɨ̞ç]'딱딱한'/j/의 가능한 실현이다.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스코틀랜드 게일어eich|에흐gd[eç]'말들'x의 가느다란 변이음이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음운론 및 철자법 참조
시칠리아어ciumi|슈미scn[ˈçuːmɪ]'강'라틴어 /fl/ 넥서스에서 진화했다. 자음 앞에 t͡ʃ로 실현된다. 시칠리아어 음운론 참조
스페인어칠레[3]mujer|무헤르es[muˈçe̞ɾ]'여자'전설 모음 앞의 x의 변이음이다.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튀르키예어[4]hile|힐레tr[çiːʎ̟ɛ]'속임수'/h/의 변이음이다.[4] 튀르키예어 음운론 참조
우즈베크어maktab|막탑uz[mɑçtɑb]'학교'k가 t 및 b 소리 앞에 올 때 발생한다.
왈론어texhe|테흐wa[tɛç]'뜨다'⟨xh⟩ 철자는 공통 왈론어에 적절하며, Feller 시스템에서는 ⟨hy⟩로 표기된다.
웨일스어hiaith|히아이스cy[çaɪ̯θ]'언어'/h/가 원래 단어의 h-보철로 인해 /j/ 앞에 올 때 발생한다. 즉, /jaɪ̯θ/ iaith|이아이스cy (언어)는 ei hiaith|에이 히아이스cy (그녀의 언어)가 되어 /j/ i|이cy → /ç/ hi|히cy가 된다. 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일부 언어에서는 경구개 뒤쪽에서 발음되는 변이음인 후경구개 마찰음([x̟])이 나타나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 colspan="2"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colspan="2" | 벨라루스어 || глу'''х'''і|흘루히be / hlu'''ch'''í || [ɣɫuˈxʲi] || '귀머거리' ||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xʲ]로 표기된다. 벨라루스어 음운론 참조

|-

| rowspan="2" | 네덜란드어 || 표준 벨기에 || rowspan="2" | a'''ch'''t|아흐트nl || rowspan="2" | [ɑ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A huge query http://www.phon.ucl.[...] 2009-01-29
[3] PDF Palatal phenomena in Spanish phonology http://etd.fcla.edu/[...]
[4] 간행물
[5] 서적 Representation and variation in substance-free phonology: A case study in Celtic
[6] 서적 Illustrations of the IPA: Australian Engl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7
[7] 서적 English sound inventory (UZ)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8] 서적 Illustrations of the IPA: New Zealand Engl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7
[9] 서적 Manuel de Phonetique Francaise Munksgaard
[10] 웹사이트 Final devoicing or Why does naoidh sound like Nɯiç? http://akerbeltz.org[...] 2016-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