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메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데메이아는 고대 아테네에 위치했던 학교로, 철학자 플라톤이 기원전 387년경에 설립했다. 원래는 아테네 성벽 밖에 있는 숲에 위치했으며, 아카데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플라톤의 학원은 아카데메이아의 일부로, 산술, 기하학, 천문학 등을 가르치고 철학 교육을 실시했다. 아카데메이아는 고대, 중기, 신기의 세 시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로 학문적 경향과 수장이 달랐다. 기원전 86년 로마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나, 5세기에 신플라톤주의 학원으로 재건되었다. 529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칙령으로 폐쇄되었지만, '아카데미'라는 이름은 후대 유럽의 학문 기관에 영향을 미쳤다.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있다.
아카데메이아는 아테나 여신에게 헌정된 신성한 숲에 위치했으며, 아테네의 영웅 아카데모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4][5] 아카데모스는 트로이 전쟁 이전에 테세우스에게 납치된 헬레네의 위치를 밝혀 아테네를 구한 인물로, 그의 땅은 아테네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이 지역은 주변 국가들에게도 존경받아 전쟁 중에도 파괴되지 않았다.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메이아에서는 산술, 기하학, 천문학과 같은 학문들을 가르쳤으며, 일정 수준의 예비 훈련을 거친 후에 이상적인 통치자가 갖춰야 할 철학을 가르쳤다. 특히 기하학은 감각이 아닌 사유를 통해 앎을 얻는 데 필수적인 학문으로 여겨졌는데, 아카데메이아 입구에는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이 문으로 들어오지 마라"라는 문구가 걸려 있었다고 한다.[46]
2. 역사적 배경
2. 1. 설립 이전
아카데메이아는 고대 아테네 성벽 밖에 있던 학교였다. 이곳은 여신 아테나에게 헌정된 올리브 나무 숲[2] 안에 있거나 옆에 있었는데, 키몬이 그 구역을 벽으로 둘러싸기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3] 원래 소유주인 아카데모스의 이름을 따서 아카데미아라고 불렸다. 아카데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티카의 영웅이었다.[4][5] 그는 트로이 전쟁이 일어나기 수년 전 테세우스 왕에게 납치되었던 헬레네가 숨겨진 곳을 밝혀내 스파르타의 공격으로부터 아테네를 구했다고 전해진다. 그리하여 아테네를 전쟁에서 구했기 때문에 (혹은 적어도 지연시켰기 때문에) 아카데모스는 아테네의 구원자로 여겨졌다. 아테네 북쪽으로 6 스타디온 (총 약 1킬로미터) 떨어진 그의 땅은 인근 도시 국가들에게도 존경받았고, 수많은 지역 전쟁 중에도 파괴를 면했다.
아카데미의 부지는 아테나에게 신성한 곳이었다. 이곳은 청동기 시대부터 그녀의 종교적 숭배를 보호해 왔다. 또한 이 부지는 쌍둥이 영웅신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 (디오스쿠리)와도 관련이 있었을 수 있는데, 이 부지와 관련된 영웅 아카데모스는 신부 납치범 테세우스가 그들의 여동생 헬레네를 숨겨둔 곳을 형제들에게 알려준 공로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오랜 전통과 스파르타의 수호신이었던 디오스쿠리와의 관련성을 존중하여 스파르타 군대는 아티카를 침략했을 때 이 원래의 "아카데메 숲"을 파괴하지 않았다.[6] 그러나 그들의 경건함은 기원전 86년에 아테나의 신성한 올리브 나무를 베어 공성 무기를 건설했던 로마인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와는 달랐다.
아카데메이아에서 열린 종교적 행사 중에는 도시 내부의 제단에서 아카데메이아의 프로메테우스 제단까지 횃불을 든 밤 경주가 있었다. 아카데메이아로 가는 길에는 아테네인들의 묘비가 늘어서 있었으며, 그 지역에서는 장례 경기와 디오니소스 숭배 행렬이 아테네에서 헤카데메이아로 갔다가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행렬도 열렸다.[7][8] 소크라테스는 청년들의 교육에 열심이었는데, 자주 이 아카데메이아와 뤼케이온의 귐나시온(체육장)의 청년들을 찾아다니는 모습이 플라톤의 대화편 『라키데스』 등에 묘사되어 있다.
2. 2. 플라톤의 학원 설립
기원전 387년, 철학자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 지역에 학원을 설립하면서 그 지명을 그대로 학원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도 같은 경우이다.)[9]
플라톤의 학교는 아카데메이아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이며, 플라톤은 서른 살에 그 재산을 물려받았다. 이곳에서 수니움의 테아이테토스, 아르키타스, 타소스의 레오다마스, 네오클레이데스 등이 참여하는 비공식적인 모임이 있었다. 데브라 네일스에 따르면, 스페우시포스는 기원전 390년경에 이 그룹에 합류했으며,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가 기원전 380년대 중반에 도착한 후에야 로도스의 에우데모스가 공식적인 아카데미로 인식했다고 주장한다.[10]
아카데미아가 공식적으로 설립된 정확한 시기는 역사 기록에 남아있지 않지만, 현대 학자들은 대체로 플라톤이 1차 시켈리아 여행에서 돌아온 것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387년 이후, 기원전 380년대 중반으로 보고 있다.[45] 원래 모임은 플라톤의 사유지에서 열렸으며, 인근 아카데미 체육관에서 열리는 경우도 많았고, 이는 4세기 내내 지속되었다.[11]
아카데미는 대중에게 공개되었지만, 주요 참여자는 상류층 남성이었다.[12][13] 플라톤 시대에는 회원 가입비를 받지 않았다.[14][12] 따라서 당시에는 교사와 학생 간의 명확한 구분이나 공식적인 교육 과정과 같은 의미에서의 "학교"는 없었을 것이나, 선배와 후배 회원 간의 구분은 있었다.[15][16] 플리우스의 악시오테아와 만티네이아의 라스테니아 두 여성이 아카데미에서 플라톤과 함께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3. 학문적 특징
이러한 학문들과 문답법(변증법, 디아렉티케)이 철인왕과 같이 국가를 이끌어갈 지도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이었던 이유는 플라톤의 저서 『국가』와 『법률』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3. 1. 교육 방법
플라톤은 문답법(변증법, 디아렉티케)을 활용한 토론과 문제 해결 중심의 교육을 실시했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도록 이끌었다.[46] 플라톤의 저서 『국가』와 『법률』에는 아카데메이아의 교육 목적과 방법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데,[46] 이상적인 통치자, 즉 "철인왕"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 2. 학파의 분화와 계승
기원전 348년 플라톤 사후, 아카데메이아는 여러 학파로 분화되며 계승되었다. 스페우시포스(기원전 348년~기원전 339년), 크세노크라테스(기원전 339년~기원전 314년), (기원전 314년~기원전 270년), 크라테스(기원전 270년~기원전 265년), 아르케실라오스(기원전 265년~기원전 241년), 카르네아데스(기원전 2세기) 등이 학두직을 이어받았다.
아카데메이아는 시기에 따라 학설에 차이를 보였는데, 크게 고(古) 아카데메이아 학파, 중기 아카데메이아 학파, 신(新) 아카데메이아 학파로 나눌 수 있다. 스페우시포스 시기에는 수학 교육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아르케실라오스 이후 중기 아카데메이아 학파는 회의주의가 주류가 되어 스토아 학파와 대립했고, 당시 아카데메이아 학파는 회의론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술라의 아테네 약탈과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의 분리 독립으로 인해, Philo of Larissa|label=라리사의 필론영어 (기원전 110–기원전 84) 시대의 신 아카데메이아 학원은 쇠퇴하기 시작한다.
3. 2. 1. 고대 아카데메이아
플라톤이 기원전 347년에 죽은 후, 그의 조카이자 직계 제자인 스페우시포스가 아카데메이아의 2대 학두(學頭)가 되었다. 스페우시포스는 플라톤의 이데아는 인정하지 않았으나 만년의 사상에는 영향을 받아, 수학적인 것만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수학화된 경향을 맹렬하게 비평하며 아카데메이아를 떠났다.[47]
스페우시포스는 8년 후 크세노크라테스에게 학두 자리를 물려주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크세노크라테스는 수학을 철학의 예비 단계로 보았고, 철학을 자연학·윤리학·논리학으로 나누었다. 그는 수학적인 것을 이데아와 동일시하고, 불멸의 영혼은 스스로 움직이는 수(數)여서 우주를 꿰뚫는다고 보았다.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또한 이 시기 아카데메이아의 주요 구성원이었으며, 이데아의 내재성을 설파하고 쾌락을 최고선(最高善)이라 주장했다.[47]
이후 아카데메이아의 경향은 윤리학으로 옮겨갔다. 4대 학두인 폴레몬은 자연을 따라 사는 것을 윤리 원칙으로 삼았다. 폴레몬의 뒤를 이은 크라테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들의 동료인 크란토르는 플라톤의 Τίμαιος|티마이오스grc 주석(註釋)을 처음으로 써서 세계의 영원성을 강조하였다.[47]
플라톤 사후, 아카데메이아의 학두는 플라톤(기원전 388-기원전 348), 스페우시포스(기원전 348-기원전 339), 크세노크라테스(기원전 339-기원전 314) 등으로 이어졌다. 스페우시포스 시기에는 수학 편중 경향이 나타났다.
3. 2. 2. 중기 아카데메이아
기원전 266년경 아르케실라오스가 학원이 되었다. 아르케실라오스(기원전 266년~241년) 아래에서 아카데미는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한 형태를 강력하게 강조했는데, 이는 피론주의와 매우 유사했다.[28] 아르케실라오스의 뒤를 이어 키레네의 라키데스(기원전 241년~215년), 에반더와 텔레클레스 (공동) (기원전 205년~165년경), 그리고 페르가몬의 헤게시노스(기원전 160년경)가 학원이 되었다.
아르케실라오스 이후 중기 아카데메이아는 회의주의가 주류가 되어 스토아 학파와 대립했고, 아카데메이아 학파가 회의론자와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3. 2. 3. 신 아카데메이아
카르네아데스 이후 플라톤 학파는 신아카데미아로 다시 독단적 방향을 걷는다. 스토아 철학으로 기울어져 절충주의로의 길을 한층 추구하게 되었다. 대표자는 라리사의 필론(기원전 160-기원전 80)과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기원전 68년 사망)이다.[48] 라리사의 필론은 로마에서 강의하였고 키케로가 그것을 들었다고 한다.[48] 필론은 카르네아데스와 스토아파를 조정하여 안전하고 명백한 지식을 주장하였다.[48]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는 회의사상은 자기모순이라 하여 버렸다.[48] 그리고 진리는 모든 진정한 철학자가 일치하는 곳에 존재한다고 하였다.[48] 가장 행복한 생활을 위해서는 덕(德)만으로는 불충분하나, 어떤 종류의 행복한 생활을 위해서는 충분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48] 필론은 제4차 아카데미아를 수립하여, 그 이후를 신아카데미아라고 하였다.[48] 제5차 아카데미아의 학두는 안티오코스이다.[48]
조나단 반스에 따르면, "필론은 지리적으로 아카데미와 연결된 마지막 플라톤주의자였을 가능성이 높다."[31] 기원전 90년경, 필론의 제자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는 회의주의를 거부하고 스토아 철학을 옹호하는 자신만의 플라톤주의 버전을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중기 플라톤주의로 알려진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Philo of Larissa|label=라리사의 필론영어 (기원전 110–기원전 84) 시대,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중 술라에 의한 아테네 약탈과 비 회의론자(중기 플라톤주의자)인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의 분리 독립으로 인해, 학원은 쇠퇴하기 시작한다.
4. 쇠퇴와 폐쇄
기원전 88년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이 시작되자, 라리사의 필론은 아테네를 떠나 로마로 피신했다.[32] 기원전 86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아테네를 포위하고 정복하면서 많은 파괴를 일으켰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술라는 아카데미를 파괴했는데, "그는 신성한 숲에 손을 뻗어 도시 외곽에서 가장 숲이 무성했던 아카데미와 리케이온을 훼손했다."[33]
아카데미의 파괴는 재건 및 재개장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34]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가 기원전 84년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아테네로 돌아왔을 때, 그는 아카데미가 아닌 '프톨레마이오스'라는 체육관에서 가르침을 다시 시작했다. 키케로는 기원전 79/8년에 그에게서 공부했는데, 어느 날 오후 아카데미 부지를 방문했을 때 "그 시간대에 조용하고 황량했다"고 묘사했다.[35]
529년,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비(非)기독교적인 학교 폐쇄 칙령으로 아카데메이아는 그 역사를 닫았다. 다만, 실제로는 칙령의 강제력은 약했고, 슬라브족의 아테네 침입이나 기독교의 압력에 의한 자연 쇠퇴가 폐쇄의 원인이라고도 한다. 마지막 학장 다마스키오스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호스로 1세에게 일시 망명했다.
4. 1. 신플라톤주의 학원
5세기 초, 신플라톤주의자들에 의해 아카데메이아가 재건되었지만, 원래의 아카데메이아와는 지리적, 제도적 연속성이 없었다.[36][37] 아테네의 플루타르코스와 그의 동료 시리아누스가 아카데미에서 가르치고 있었으며, 이들은 스스로를 플라톤의 "계승자"(''디아도코이'')라고 불렀다.[36] 그러나 실제로는 원래 아카데미와 어떠한 연속성도 없었다.[37] 이 학교는 프로클로스가 물려받은 큰 저택에서 운영된 사립 재단이었다.[38]신플라톤 아카데미의 수장들은 아테네의 플루타르코스, 시리아누스, 프로클로스, 마리누스, 이시도루스, 다마스키오스였다. 신플라톤 아카데미는 프로클로스(485년 사망)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다. 다마스쿠스의 세베리아누스는 그에게서 공부했다.
529년,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비기독교적 학교 폐쇄 칙령으로 아카데메이아는 문을 닫았다. 마지막 학장 다마스키오스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호스로 1세에게 망명했다.[41]
5. 후대에 미친 영향
아카데메이아라는 이름은 이후 유럽에서 고등 연구나 교육 기관을 부르는 '''아카데미(academy)'''의 유래가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의 플라톤 아카데미는 메디치 가문과 인문주의자들의 사적 모임이었으며, 프랑스 루이 13세 치하의 프랑스 왕립 아카데미 등 여러 학술 기관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
현대 한국 사회의 교육 및 학술 연구 기관에도 아카데메이아의 학문적 전통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5. 1. 현대의 아카데메이아 유적
20세기에 이 부지는 현대 아카디미아 플라토노스 지역에서 재발견되었으며, 상당한 발굴 작업이 이루어졌고 방문은 무료이다.[42] 아카데미 부지[43]는 아테네의 콜로노스 근처, 케라메이코스 디필론 문에서 북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44]오늘날 방문객들은 콜로노스와 플라톤의 아카데미 지역(우편번호 GR 10442)의 크라틸루스 거리 양쪽에 위치한 아카데미 유적지를 방문할 수 있다. 크라틸루스 거리 양쪽에는 다음의 중요한 기념물들이 있다.
기념물 종류 | 연대 |
---|---|
기하학 시대의 성스러운 집 | |
체육관 | 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 |
초기 헬라 시대 아치형 주택 | |
주랑 현관 건물 | 기원전 4세기 |
이 중 주랑 현관 건물은 플라톤의 실제 아카데미에 속했던 유일한 주요 건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http://press.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문서
Thucydides
[3]
문서
Life of Cimon
[4]
문서
Akademia
[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eb.archive.[...]
2020-12-24
[6]
문서
Life of Theseus
[7]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8]
문서
Life of Solon
[9]
서적
A Companion to Plato
Blackwell Publishing
[10]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www.rep.rout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9-13
[12]
서적
Plato's academy : its workings and its history
https://www.worldcat[...]
[13]
서적
Aristotl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People of Plato
Hackett
[15]
서적
The People of Plato
Hackett
[16]
서적
[17]
웹사이트
Women in the Academy
http://www.hackettpu[...]
[18]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19]
서적
Encyclopedia of Classical Philosophy
[20]
서적
Encyclopedia of Classical Philosophy
[21]
서적
History of Mathematics
[22]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23]
서적
[24]
웹사이트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rep.routl[...]
Routledge
2008-09-13
[25]
서적
Commentary on Aristotle's "On the Heavens"
[26]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27]
서적
Greek & Roman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Outlines of Pyrrhonism
[29]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3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Hellenistic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rep.routl[...]
Routledge
2008-09-14
[3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Philosophy: The Schools of the Imperial Age
SUNY Press
[33]
웹사이트
Sulla
https://penelope.uch[...]
[3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Philosophy: The Schools of the Imperial Age
SUNY Press
[35]
서적
De Finibus
[36]
논문
The last days of the Academy at Athens
[37]
웹사이트
Bryn Mawr Classical Review of Rainer Thiel, Simplikios und das Ende der neuplatonischen Schule in Athen
http://ccat.sas.upen[...]
[3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논문
Chronicle and Justinian, Malalas, and the End of Athenian Philosophical Teaching in A.D. 529
[40]
논문
Justinian, Malalas, and the End of Athenian Philosophical Teaching in A.D. 529
[41]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Commentators, 200–600 AD: Psychology (with Ethics and Reli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Plato academy
http://www.greeceath[...]
[43]
서적
A Beginner's History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44]
논문
The 'sacred house' of the Academy Revisited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Thessaly
[45]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and Academy and Mathematical Method & Philosophical Tru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Greenwood Press
[46]
문서
2017-11
[47]
문서
고아카데메아
[48]
문서
신아카데메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