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는 일본의 교과서 검정 제도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논쟁을 의미한다. 이 제도는 문부과학성이 교과서의 내용, 객관성, 공정성 등을 심사하며, 비판론자들은 정부가 일본 제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교과서를 거부하는 데 이용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난징 대학살과 같은 일본군의 전쟁 범죄 묘사가 거부된 사례가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역사교과서개정회가 출판한 역사 교과서가 논란이 되었다. 1982년에는 일본의 '침략'을 '진출'로 수정하도록 요구한 사건으로 한국, 중국과의 외교 문제가 발생하여, 문부과학성은 '근린 국가 조항'을 도입했다. 이러한 교과서 문제는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등 주변국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며, 다자간 역사 교과서 협력 시도도 있었다. 또한,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 대한 주변국의 비판과 함께, 한국 내에서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은 1996년 후지오카 신쇼 등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기술에 반발하여 결성된 일본의 우익 단체로, 역사 수정주의 논쟁을 일으키며 국내외적으로 논란을 야기했다. -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 이에나가 사부로
이에나가 사부로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 검정 제도에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하여 표현의 자유를 옹호한 역사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일본의 논란 - 로건 폴
로건 폴은 바인에서 인기를 얻은 후 유튜버로 성공했으나 일본 아오키가하라 숲 영상으로 비난을 받았고, 이후 복싱 경기와 WWE 프로레슬러 활동을 통해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에 등극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일본의 논란 - 고무로 마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장녀인 고무로 마코는 국제기독교대학 졸업 후 미술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무로 게이와의 결혼으로 황족 신분을 상실하고 현재 미국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주요 내용 |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은 주로 일본 제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행위에 대한 서술과 관련이 있음. |
논쟁의 초점 |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서술의 정확성, 객관성, 그리고 민족주의적 편향 여부. |
주요 쟁점 | 난징 대학살 위안부 문제 731 부대의 생체 실험 강제 징용 문제 일본의 전쟁 범죄 인정 문제 |
논쟁의 영향 | 일본과 중국, 대한민국을 비롯한 주변국과의 외교적 긴장 역사 수정주의 논쟁 교과서 검정 과정의 투명성 문제 |
역사 교과서 검정 기준 | 일본 정부의 역사 교과서 검정 과정은 교과서 내용이 법령과 학습 지도 요령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것. |
역사적 배경 | |
제2차 세계 대전 후 | 일본의 역사 교육은 전후 연합국 점령 하에서 군국주의적 내용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개혁되었음. |
냉전 시대 | 냉전 시기에는 역사 교과서에서 반공주의적 내용이 강조됨. 미국의 영향력 하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반영됨. |
1980년대 이후 | 1980년대 이후 일본 사회에서 보수주의 경향이 강화됨. 역사 교과서에서 과거 전쟁에 대한 책임 문제가 축소되거나 미화되는 경향이 나타남. |
논쟁의 주요 쟁점 | |
난징 대학살 | 일본 우익은 난징 대학살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부인. 학살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과 학살 자체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 이어짐. 역사 교과서에서 난징 대학살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됨. |
위안부 문제 |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보상 문제.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를 축소하거나 왜곡하는 것에 대한 비판.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반영하는 교과서 서술 요구. |
731 부대 | 731 부대의 생체 실험에 대한 서술이 미흡하거나 누락되는 것에 대한 비판. 731 부대의 만행을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는 요구. |
강제 징용 |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 문제. 교과서에서 강제 징용을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 피해자들의 고통을 제대로 서술해야 한다는 요구. |
일본의 전쟁 범죄 | 일본의 전쟁 범죄에 대한 인정과 사과가 부족하다는 비판. 교과서에서 전쟁 범죄를 미화하거나 축소하려는 시도에 대한 반발. |
교과서 검정 과정 | |
일본 문부과학성 | 일본 문부과학성이 교과서 검정 과정을 담당함. |
검정 기준 | 교과서 내용이 학습 지도 요령에 부합하는지, 객관적 사실에 기초하고 있는지 검토. |
검정 결과 | 검정 결과에 따라 교과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해야 할 수도 있음. |
비판 | 교과서 검정 과정이 정부의 입맛에 맞게 역사적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됨. 교과서 검정 과정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지적. 보수 성향의 검정 위원들이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한다는 비판. |
논쟁의 국제적 영향 | |
주변국과의 관계 | 역사 교과서 문제는 대한민국과 중국 등 주변국과의 외교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 |
역사 수정주의 |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는 국제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됨. 국제 사회는 일본이 과거사를 제대로 인식하고 반성할 것을 촉구함. |
역사 교육의 중요성 | 역사 교육은 미래 세대가 올바른 역사관을 확립하는 데 중요함. 역사 교육을 통해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 |
일본 국내 반응 | |
보수 성향 | 일본 보수층은 역사 교과서 논쟁에 대해 자국 중심적인 역사관을 옹호하고, 과거사에 대한 반성을 거부하는 경향을 보임. |
진보 성향 | 일본 진보층은 역사 교과서 논쟁에 대해 과거사를 반성하고, 주변국과 화해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함. |
시민 사회 단체 | 시민 사회 단체들은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올바른 역사 교육을 촉구함.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위키백과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일본 역사 교과서 논쟁 일본어 위키백과 역사 교과서 문제 |
관련 사이트 | Japanese Textbook Controversies, Nationalism, and Historical Memory: Intra- and Inter-national Conflicts Examining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Controversies Foreign Correspondent - 22/04/2003: Japan - Unit 731 |
2. 일본의 교과서 검정 제도
일본의 교과서 검정 제도는 문부과학성이 교과서 내용의 객관성, 공정성, 오류 여부를 심사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의 교과서 내용 직접 통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4]
일본의 교과서는 문부과학성이 직접 집필하지 않고, 여러 사설 출판사에서 집필 및 출판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모든 과목 교과서가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다.[4] 현재 일본 초등학교에는 5개 출판사에서 출판한 30종의 사회 교과서가 있으며, 중학교에는 8개 출판사에서 출판한 8종의 사회-역사 분야 교과서가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일본사와 세계사를 가르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50종으로 훨씬 더 많다.
현행 교과서 검정 제도는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 점령기 SCAP 미군 주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휘 아래 시작되었다. SCAP은 일본 임시 정부에 정부 지정 교과서 제도를 폐지하고 민간 학자들이 교과서를 집필할 수 있도록 명령했다. 군국주의와 극단적 민족주의를 조장하는 묘사는 제거되었고, 개인의 존엄성을 증진하려는 새로운 사상이 도입되었다.[10]
1945년(쇼와 20년) 8월, 연합국군 최고사령관총사령부(GHQ)는 군국주의·국가주의적 교육에서 전환하기 위해 수신, 일본사, 지리 수업을 중단하고 교과서를 회수 및 폐기했다. 또한 GHQ의 검열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부분은 수정되거나 잉크로 검게 칠해졌다. 1952년(쇼와 27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되면서 점령 정책 수정이 시작되었다. 1955년(쇼와 30년) 8월 13일, 일본민주당은 “교과서 문제 보고”로서 『기뻐해야 할 교과서 문제』(전 3집)를 발행했다.
비판론자들은 정부의 교과서 검정 제도가 일본 제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교과서를 거부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4] 예를 들어, 1960년대에는 일본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 저지른 난징 대학살과 다른 전쟁 범죄에 대한 묘사가 문부과학성에 의해 거부된 사례가 있다.[4]
이 제도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제2차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과 잔혹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부정적인 사실을 언급하지 않는 책은 문부과학성의 승인 절차를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고 반박한다.[4]
2. 1. 교과서 검정 절차
일본의 학교 교과서는 승인을 받아 학교에서 사용되기 전에 일련의 평가 절차를 거친다. 먼저, 교과서 출판사는 교과서 초고를 문부과학성에 제출한다. 문부과학성의 공식 기구인 교과용도서검정조사심의회(대학교수와 중학교 교사로 구성)는 제출된 초고가 문부과학성의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4] 국가 지침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명되면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저자에게 초고를 수정할 기회를 준다. 교과서 수정이 완료되고 문부과학성의 승인을 받으면, 지역 교육위원회가 관할 지역의 학교를 위해 승인된 교과서 목록에서 교과서를 선정한다.[4] 교과서 검정은 4년마다 진행되며, 그 결과는 다음 해에 공개된다.[4]1956년(쇼와 31년), 문부성은 '교과서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폐기되었다.[28] 이후 전담 교과서 조사관이 설치되었고, 교과서 검정은 강화되었다.[28]
2. 2. 근린국가 조항
1982년 일본 교과서에서 "침략"을 "진출"로 수정했다는 보도 이후, 중국과 한국의 항의로 인해 근린국가 조항이 도입되었다.[14] 이 조항은 근현대 역사 사건을 다룰 때 국제 이해와 협조의 관점에서 주변 아시아 국가들을 배려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5]1982년 6월 26일, 아사히 신문은 일본 교육부가 일본군의 중국 북부 ‘침략’을 ‘진출’로 바꾸도록 교과서 수정을 요구했다고 보도하면서, 이 문제가 주요 외교 문제로 부상했다. 중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강력히 항의했고, 이에 1982년 8월 26일, 당시 일본 관방장관 미야자와 기이치는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 일본 정부는 과거 일본의 행위가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나라 국민들에게 엄청난 고통과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그러한 행위가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참회와 결의를 가지고 평화주의 국가의 길을 걸어왔다.
- 한일공동선언과 한중공동성명의 정신은 일본의 학교 교육과 교과서 검정에서도 존중되어야 한다.
- 이웃 국가와의 우정과 친선을 증진하는 관점에서 일본은 이러한 비판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정부의 책임하에 수정할 것이다.
이후 1982년 11월, 교육부는 이른바 "근린국가 조항(近隣諸国条項)"이라는 새로운 검정 기준을 채택했다. 이 조항은 교과서가 근린 아시아 국가들과 관련된 근현대 역사 사건을 다룰 때, 국제 이해와 국제 협조의 관점에서 필요한 배려를 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36]
3. 주요 논쟁
일본의 교과서 기술은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아 과거사 인식, 특히 고대사 및 근현대사 관련 한일관계, 제국주의 일본 미화 및 왜곡 문제로 주변국의 반발을 샀다.[81] 1990년대 후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져 논란이 되었다. 독도와 센카쿠 제도에 대한 일방적인 주장도 영토 문제로 지적되었다.[81]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의 과거사 인식이 교과서 기술, 강연회, 정치인 발언 등에서 여러 차례 문제가 되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일본 역사교과서 내용에 반발하여 시정을 요구했고, 2001년에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2010년에 결과를 발표하는 등 양국의 시각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2023년 현재도 교과서 논란은 진행 중이다.
일본 교과서는 문부과학성이 직접 집필하지 않고, 여러 사설 출판사에서 집필 및 출판한다. 초, 중, 고등학교 모든 과목 교과서가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되며, 이는 정부가 교과서 내용에 직접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입되었다. 일본 교육기본법은 학교가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를 사용하도록 규정하지만, 각 지역 교육위원회가 승인된 교과서 목록에서 관할 지역 학교가 사용할 교과서를 최종 선정한다.
일본 학교 교과서는 승인 전 평가 절차를 거친다. 출판사는 교과서 초고를 문부과학성에 제출하고, 문부과학성 공식 기구인 교과서 검정조사심의회(대학교수와 중학교 교사로 구성)는 초고가 문부과학성 교육과정에 따라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국가 지침과 불일치 시 문부과학성은 저자에게 수정 기회를 주고, 수정 후 승인되면 지역 교육위원회가 교과서를 선정한다. 교과서 검정은 4년마다 진행된다.
비판론자들은 정부의 교과서 검정 제도가 일본 제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교과서를 거부하는 데 이용된다고 주장한다. 1960년대에는 난징 대학살 등 일본군 전쟁 범죄 묘사가 문부과학성에 의해 거부된 사례가 있고, 저자는 소송을 통해 수십 년 후 승소했다. 최근 논란은 일본역사교과서개정회가 출판한 역사 교과서 승인에 집중되었는데, 이 교과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제국 업적을 강조하고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비판적 언급을 줄였다.
옹호론자들은 제2차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침략과 잔혹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부정적 사실을 언급하지 않는 책은 문부과학성 승인을 통과하지 못한다고 반박한다. 일본역사교과서개정회 역사 교과서 승인 과정에서 저자는 여러 차례 내용 수정을 지시받았다. 또한 냉전 시대 문부과학성은 소련, 중국, 북한 등 공산 국가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려는 좌파 출판사 교과서를 거부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일본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도 잔혹 행위 정도와 사건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문부과학성이 난징 대학살 같은 특정 잔혹 행위 언급을 거부한 것은 옳았지만, 1990년대 일본 역사학자들이 합의에 도달한 후에는 문부과학성이 같은 사건들을 포함하도록 강조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일본 교과서 검정 절차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비판하는 한국, 중국, 북한은 사설 출판사가 학교를 위해 역사 교과서를 집필하도록 허용하지 않고, 정부가 단일 역사 교과서를 집필한다고 지적한다. 한국의 경우, 정부는 교과서 공개 전 여러 출판사 교과서를 엄격하게 검토하며, 중국과 한국 교과서는 일본 교과서보다 훨씬 더 정치적으로 검열되고 자국에 유리하게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한다.[4][5][6][7][8][9]
현재 일본 초등학교에는 5개 출판사에서 출판한 30종의 사회 교과서가 있다. 일본 중학교에는 8개 출판사에서 출판한 8종의 사회-역사 분야 교과서가 있다. 일본 고등학교에서는 일본사와 세계사를 가르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50종으로 훨씬 더 많다.
가사하라 도쿠시는 전후 일본에서 일본 정부가 역사 교과서에 중대한 도전을 가한 세 시기를 확인했다. 첫 번째는 1955년, 두 번째는 1980년대 초, 세 번째는 1997년에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10] 1955년 2월 총선에서 일본민주당은 교과서 편찬은 민간에 맡기되, 정부가 감수하고 인정 제도를 강화하여 과목당 교과서를 2종 정도로 제한함으로써 사실상 정부 지정 교과서와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3. 1. 1955년 "우려해야 할 교과서" 문제
1955년 7월, 중의원 행정감찰 특별위원회에서 일본민주당의 이시이 카즈토모(石井一朝)는 일본 교육의 원칙을 뒤엎을 수 있는 교과서가 출판되려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언급했다.[11]- 일본 노동계급의 삶을 의도적이고 부당하게 극도로 비참하게 묘사하여 마치 사회 제도의 결함과 자본주의의 자체 모순의 산물인 것처럼 보이게 함.
- 소련과 중화민국(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음)을 매우 강조하고, 일본이 이들에 종속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듯한 묘사.
같은 해 8월부터 10월까지 일본민주당은 「우려해야 할 교과서」(うれうべき教科書)라는 제목의 소책자 3권을 발표했다. 제1권에서는 교과서에 나타난 "편향된 교육의 예"로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의 편향을 제시했다.[11]
- 교원노조와 일본교원조합을 무조건 지지하고 그 정치 활동을 선전하는 것: 미야하라 세이이치(宮原誠一) 편저, 지쿄 슈판(実教出版) 발행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일반사회」(一般社会).
- 일본 노동자들의 궁핍함을 과장하여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노동 운동을 선전하는 것: 무나카타 세이야(宗像誠也) 편저, 교육슈판(教育出版) 발행 중학교 사회 교과서 「사회의 체계」(社会のしくみ).
- 소련과 중화민국을 특히 찬양하고 일본을 비난하는 것: 스고 히로시(周郷博) 편저, 추쿄 슈판(中教出版) 발행 6학년 사회 교과서 「밝은 사회」(あかるい社会).
- 아동에게 마르크스-레닌주의(공산주의) 사상을 주입하는 것: 오사다 아라타(長田新) 편저, 지쿄 슈판(実教出版) 발행 중학교 사회 교과서 「모범 중학교 사회」(模範中学社会).
일본민주당은 이러한 교과서들을 편향된 "붉은 교과서"(赤い教科書)로 규탄했다. 이에 대해 해당 교과서의 저자와 편집자들은 여러 성명과 항의문을 발표했지만, 일본민주당은 답변하지 않았다. 이 사건 이후 편향된 교과서가 더 많이 거부되었다.[11]
3. 2. 1956년 "F항목 숙청"
1956년 교과서 심사에서 6종의 교과서 초고가 탈락했는데, 이는 이전보다 훨씬 많은 수치였다. 심의회의 초고 평가는 A부터 E까지 다섯 등급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등급은 심의회 위원 한 명의 평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1955년 심사에서는 6종의 초고 모두 탈락하게 만든 원인으로 여겨지는 추가 항목 F가 있었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새롭게 심의회에 합류한 일본대학의 다카야마 이와오(高山岩男) 교수가 F항목 작성자라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언론은 이 사건을 "F항목 숙청"(F項パージ|F항목 파지일본어)으로 보도했다.3. 3. 이에나가 사부로 소송 (1965-1997)
이에나가 사부로(家永 三郎|이에나가 사부로일본어)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학교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에 참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953년, 문부성은 이에나가가 집필한 교과서를 발행했지만, 일본 전쟁 범죄와 관련하여 사실 오류와 의견으로 간주되는 부분을 검열했다. 이에나가는 자신의 언론의 자유 침해에 대해 문부성을 상대로 일련의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노엄 촘스키 등 여러 사람으로부터 2001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되었다.[12][13]3. 4.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1990년대 후반~)
1990년대 후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하 '만드는 모임')이 결성되어 일본의 역사관을 수정하려는 목적으로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발행하면서 역사교과서 문제가 더욱 심화되었다.[81] 이 교과서는 제1차 중일 전쟁, 대한제국 병합, 제2차 중일 전쟁,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군사적 침략을 축소하거나 미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8]2000년, 일본 역사교과서 개정회는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발행했다. 이 교과서는 2001년 문부과학성의 승인을 받았으나, 일본, 중국, 한국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많은 일본 역사학자와 교육자들은 ''새로운 역사 교과서''의 내용과 일본의 전시 활동에 대한 묘사에 항의했다.[18]
중국국제방송은 중국 정부와 국민들이 "우익 일본 학자들이 편찬한 2002년판 새로운 일본 역사 교과서에 대해 강력히 분개하고 불만을 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8]
2001년 8월 15일 기준으로 일본 중학교의 0.039%만이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사용했다. 만드는 모임에 따르면, 2004년 기준으로 이 교과서를 사용한 학교는 사립 중학교 8개교, 도쿄의 장애인을 위한 공립학교 1개교, 에히메현의 공립 중학교 3개교와 장애인을 위한 공립학교 4개교였다.[19]
2005년 봄,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 항의하는 반일 시위가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열렸다. 베이징에서의 시위는 중국 공산당의 감독하에 이루어졌고, 일본 대사관 앞에서 일본 국기가 불태워졌다.[20]
1995년, 전후 50주년이 되는 해에 검정 신청된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강제동원 위안부’가 기재되었다. 이러한 기술이 자학적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1997년,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발족하여 자학적인 시각에서 벗어난 『새로운 역사 교과서』(부상사)의 제작을 시작했다.
오에 겐자부로 등[51] 17명은 2001년 3월 16일에 “검정 신청본에서 “강제동원 위안부”, “초토화 작전”, “731부대” 등에 대한 언급이 격감하고,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중국 침략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가해 사실의 기술을 후퇴시킨 역사 교과서를 우려하여 정부에 요구한다”는 요망서를 발표했다.[52][53] 만드는 모임이 집필한 『새로운 역사 교과서』는 4월 3일 중학교 사회과 역사 교과서로서 교과서 검정에 합격했다.[54]
3. 5. 2007년 강제 자살 관련 내용 수정
2006년 교육기본법 개정 이후, 2007년 교과서검정조사심의회는 오키나와에서의 집단자결에 일본군의 개입이 컸다고는 인정했지만, 다른 영향력의 가능성도 있다며 교과서 서술을 단순화하지 않도록 했다.[58] 그 결과,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 검정에서 일본군의 "강제적 개입"에 대한 서술은 삭제되었다.이에 대해 오키나와 현지에서는 큰 반발이 일어났다. 오키나와현 의회 및 모든 시정촌 의회는 "검정 의견 철회 및 군 개입 서술 부활"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59] 2007년 9월 29일에는 기노완 해변공원에서 주최 측 발표 11만 명(여러 설이 있음)이 참가한 초당파 도민대회가 개최되어, 문부과학성의 교과서 검정 의견 철회와 집단 자결에 일본군이 강제로 개입했다는 서술의 부활을 요구하는 결의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일부 교과서에서는 다음 해 정정 신청에서 일본군의 "강제적 개입"에 대한 서술이 부활되었다.
4. 대한민국과의 문제
일본의 교과서 기술은 한국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역사 왜곡은 한국의 반발을 일으켰다. 1990년대 후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져 논란이 되었다. 독도에 대한 일방적인 주장도 문제가 되었다.[81]
1982년에는 일본 문부성이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일본의 '침략'을 '진출'로 수정하도록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한국과 외교 문제로 비화되기도 했다. (제1차 교과서 문제)[29] 당시 마쓰노 유키야스 국토청 장관은 "일한 병합에서도 한국은 일본이 침략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한국 당시의 국내 정세 등도 있어 어느 쪽이 옳은지 알 수 없다"는 발언으로 한국의 반발을 샀다.[30]
1995년에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강제동원 위안부’가 기재되면서 논란이 되었다. 2001년에는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제작한 교과서가 검정에 합격하자, 김대중 정부는 35개 항목의 수정을 요구하기도 했다.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한 한국의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4. 1. 역사교과서 파동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차례 일본의 교과서 기술, 강연회, 정치인의 발언 등에서 나타나는 과거사 인식이 문제가 되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일본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반발로 시정을 요구하기도 했으며, 2001년에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2010년에 그 결과를 발표하는 등 양국의 시각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교과서에 대한 논란은 2023년 현재도 진행 중이다.[81]대한민국은 일본의 역사 교과서 서술이 자국의 역사 인식과 다르다는 이유로 일본에 대해 자주 항의한다.[62]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교과서에 "1950년, 남조선이 미제와 손을 잡고 북조선을 군사적으로 침공했다"고 기술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인민해방군은 조선반도를 해방시키기 위해 참전했다"고 기술해도 침묵한다.[62]
한국에서는 역사학계와 교육학계에서 개혁파(한국 좌파)가 우세하기 때문에 검정 교과서를 지지하고, 보수파는 2002년 검정 교과서 제도 도입 이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가 "반미적이고 북한에 관대하다"고 비판하며 국정 교과서의 도입을 추진해 왔다. 한국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검정 교과서의 대부분은 주로 박정희에 의한 한국의 개발 독재 시대를 북한보다 더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일본의 통치 시대)가 한국(조선반도)의 근대화에 기여한 측면이 있었던 것을 서술하지 않고, 김씨 일가의 독재 세습 비판과 "한국이 조선반도에서 유일한 합법 정부"와 같은 북한 비판적 서술이 삭제되어 있다. 이처럼 일본의 교과서를 비판하면서도, 한국 또한 보수파와 개혁파의 대립으로 인해 교과서 문제를 안고 있다.[63][64][65]
4. 2.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1년 한일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한일 양국이 공동으로 역사 연구를 수행했다(제1차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55]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2차 한일 역사 공동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2차 연구에서는 한국 측의 요구에 따라 교과서가 연구 주제에 포함되었다. 일본 측 위원 중 한 명이었던 나가시마 히로키에 따르면, 한국 측에서 일본 측에 알리지 않고 고대사 연구 주제에 교과서 문제를 추가하려 하는 등 교과서 담당이 아닌 그룹이 교과서 문제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일본 측이 항의하자 한국 측 고대사 담당자 중 한 명이 "인격 공격을 받았다"고 말하며 장기간 회합이 뷴큐(紛糾, 분규)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2010년 3월 보고서가 공개되었지만, 이 연구가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 영향을 미친 사례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56]5. 중화인민공화국과의 문제
1982년 일본의 교과서 검정에서 일본군이 화북에 '침략'이라고 적혀 있던 것을 문부과학성의 검정에서 '진출'이라는 표현으로 고치도록 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는 중국과 한국과의 외교 문제로 발전하였다.[29] 특히 중국에서는 1982년 7월 20일부터 "역사 교과서 개찬" 캠페인이 전개되었고, 7월 26일에는 중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공식적으로 항의했다.[30]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월 26일에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관방장관 담화[32]가 발표되었지만, 중국은 "만족할 만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시정 조치가 없어 중국 정부는 이에 동의할 수 없다"고 답했다. 9월 9일, 중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설명을 "애매하고 명확하지 않지만, 한 걸음 진전된 것"으로 평가하며, "앞으로 취해질 구체적인 행동 및 그 효과를 더욱 지켜볼 것"이라고 승낙하여 외교적으로는 수습되었다.[33][34][35]
문부성은 교과서 검정 기준에 "근린 아시아 국가와의 근현대 역사 사건의 취급에 국제 이해와 국제 협조의 관점에서 필요한 배려가 되어 있는 것"이라는 근린 국가 조항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카토 마모루는 "교과서 회사 측은 '줄일 수 있다면 줄여 보라'는 기세로 자학사관의 서술을 강화해 가면서 조항 도입 전보다 과격한 내용이 되었다"고 당시 상황에 대해 말하고 있다.[36]
1980년대부터 중국 역사학계는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 정권이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2004년 7월 20일 인민일보는 “고구려는 한·당 시대 중국 동북에 있던 소수민족의 정권이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 단군신화에 기반한 건국 민족주의를 내세워 대응했고, 한국의 역사 교과서인 「국사」 2004년도판에는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에 걸쳐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정치 제도가 완비된 대제국을 형성하여 중국과 대등한 지위에서 세력을 다투었다.”라고 기록되었다.[70]
6. 베트남과의 문제
1982년 9월 일본 문부성이 검정 교과서에서 "침략"을 "진출"로 수정하도록 허용하자,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 냐년은 이를 "역사 위조"라고 비난했다.[81]
7. 다자간 역사 교과서 협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프랑스와 1950년부터, 폴란드와 1972년부터 역사 교과서 개선 작업을 진행해왔다.[73][74] 2008년에는 독일과 프랑스가 공동 역사 교과서를 발간하기도 했다.[71][72]
7. 1. 한·중·일 공동 역사 교과서 제작 시도
2004년 8월,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의 제안으로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의 일부 지식인들이 공동으로 역사 교과서를 제작한다는 발표가 있었다.[76] 2005년 5월에는 3개국에서 『미래를 여는 역사』가 발매되었다.[76] 이 책은 일본 우익의 역사 교과서에 대항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77] 주로 중국, 한겨레 등 한국 좌파와 일본 좌파 학자들이 참여했다.시모카와 마사하루 마이니치신문 서울지국장은 이 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78][79][80]
평가 내용 |
---|
"일본의 침략 VS 중한의 저항" 구도로, 민중의 피해에 초점을 맞춰 서술했다. |
중국과 북한 측에 치우친 내용이다. |
일본어판과 중국어판에서는 6.25 전쟁을 "반도 남부의 해방"을 위한 전쟁으로 서술했지만, 한국어판에서는 "북한에 의한 남침"으로 다르게 서술했다. |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천안문 사건 등 중국 공산당의 실정에 대한 비판적인 서술이 없다. |
이러한 점들을 들어, 시모카와 마사하루는 『미래를 여는 역사』가 중국 공산당 사관에 편향된 역사서라고 평가했다.
8. 주변국 역사 교과서 문제점
2006년 스탠퍼드 대학교의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에서 시작된 일본, 중국, 한국, 미국 교과서 비교 연구에 따르면, 일본 교과서의 99%가 "억제되고, 중립적이며, 거의 단조로운" 어조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반면 중국과 한국 교과서는 종종 민족주의적이었으며, 특히 중국 교과서는 노골적으로 민족주의적이고, 한국 교과서는 억압적인 일본 식민 통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26]
대한민국은 일본의 역사 교과서 서술이 자국의 역사 인식과 다르다는 이유로 일본에 대해 자주 항의한다.[62] 그러나 북한이 교과서에 "1950년, 남조선이 미제와 손을 잡고 북조선을 군사적으로 침공했다"고 기술하고, 중국이 "중국인민해방군은 조선반도를 해방시키기 위해 참전했다"고 기술해도 침묵한다.[62]
한국에서는 역사학계와 교육학계에서 개혁파(한국 좌파)가 우세하기 때문에 검정 교과서를 지지한다. 반면 보수파는 2002년 검정 교과서 제도 도입 이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가 "반미적이고 북한에 관대하다"고 비판하며 국정 교과서 도입을 추진해 왔다.[63][64][65] 한국의 검정 교과서들은 주로 박정희의 개발 독재 시대를 북한보다 더 비판적으로 다루고, 일제강점기가 한국(조선반도)의 근대화에 기여한 측면을 서술하지 않으며, 김씨 일가의 독재 세습 비판과 "한국이 조선반도에서 유일한 합법 정부"와 같은 북한 비판적 서술이 삭제되어 있다.[63][64][65]
1974년 박정희 군사독재 정권 하에 도입된 국정 역사 교과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나, 학계와 국민들의 비판을 받아 2007년 리버럴(개혁) 성향의 노무현 정부가 국정 제도 폐지를 결정했다. 이후 검정 제도가 도입되어 여러 민간 기업이 교과서를 제작하고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체제로 바뀌었다.
하지만 실제로 만들어진 검정 교과서가 개혁 성향으로 치우쳐지자, 보수 성향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정 교과서 부활을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박근혜 정부가 이를 본격화하면서 교육부가 국정화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한국역사학회(개혁 성향)는 “정권마다 다른 ‘국론’에 입각하여 국정 교과서를 만든다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일 뿐 아니라 ‘국론 분열의 씨앗’을 뿌리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고[66], 박정희 시대를 비롯한 과거 독재 정권 시대와 일제강점기가 미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며,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의 97%가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반면 보수 성향 단체는 민주화 운동과 반정부 시위 등 개혁 성향 운동을 다루는 양이 과다하다고 비판했다.[67]
개혁과 보수 진영은 서로의 역사관을 비난하며 맞섰지만, ‘올바른 역사’를 표방하는 한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좌우 진영의 ‘역사 전쟁’은 개혁 진영의 승리로 끝났다. 2014년 3월 새 학기를 앞두고, 보수 성향의 교학사의 ‘한국사’는 검정을 통과했지만, 학교 측에서 (한 학교를 제외하고) 채택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약 20개교가 교학사 교과서 채택을 결정했지만, 개혁 성향 교원 노조인 전교조와 야당, 시민 단체, 동문회, 학부모 등의 항의와 협박 전화 때문에, 이후 모든 학교가 채택을 취소했다.[68]
뉴스위크는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가 국정 교과서를 통해 아버지 시대를 미화하려는 것일 수도 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 역대 정권은 일본이 역사 교과서에서 과거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난을 거듭해왔다. 그 한국에서 교과서가 다시 국정화된다면, 역사 문제에서 일본을 비판해 온 한국 정부는 자가당착에 빠질 수밖에 없다. 재국정화하면, 정권은 자국의 역사를 자신들의 편의에 맞게 ‘수정’하려는 유혹에 빠질 것이기 때문이다.”[67]라고 쓰며, 무리하게 추진하면 아버지의 독재 정권에 대한 재비판이라는 불똥이 자신에게 튀어 오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2014년 3월부터 한국에서 일부 채택된 교학사 교과서는 일본의 식민 지배가 조선반도를 근대화시켰다고 기술하고,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을 긍정적으로 다루고 6·15 남북공동선언을 비판적으로 다루는 점이 역사를 왜곡한 것이라는 논란이 되었다.[69]
2015년 10월 12일, 정부는 한국사 교과서를 다시 국정화하기로 발표했다. 새로운 국정 교과서는 2017년 입학생부터 사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채택한 학교는 거의 없었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선거 공약이었던 국정 교과서 폐지, 검정 제도 부활을 지시했기 때문에 국정 교과서는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1980년대부터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고대 한반도 북동부 지역이 중국인이 건국한 기자조선, 위만조선의 옛 땅이며, 한사군이 설치되었던 지역이라는 점을 들어, 졸본 (현재 중국 랴오닝성)에 건국된 고구려도 중국의 지방 정권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중국사회과학원을 중심으로 한 “동북변강역사와 현황계열 연구공정”(동북공정)을 거쳐, 2004년 7월 20일 인민일보는 “고구려는 한·당 시대 중국 동북에 있던 소수민족의 정권이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 단군신화에 기반한 건국 민족주의를 내세워 대응했고, 한국의 역사 교과서인 「국사」 2004년도판에는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에 걸쳐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정치 제도가 완비된 대제국을 형성하여 중국과 대등한 지위에서 세력을 다투었다.”라고 기록되었다.[70]
참조
[1]
웹사이트
Japanese Textbook Controversies, Nationalism, and Historical Memory: Intra- and Inter-national Conflicts
http://www.japanfocu[...]
JapanFocus
2011-07-27
[2]
웹사이트
Examining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Controversies
http://spice.fsi.sta[...]
Stanford Program on International and Cross-Cultural Education
2001-11
[3]
웹사이트
Foreign Correspondent - 22/04/2003: Japan - Unit 731
http://www.abc.net.a[...]
Abc.net.au
2003-04-22
[4]
뉴스
China's Textbooks Twist and Omit History
https://www.nytimes.[...]
2004-12-06
[5]
뉴스
Leading Publication Shut Down In China: Party's Move Is Part Of Wider Crackdown
https://www.washingt[...]
2006-01-25
[6]
뉴스
Teach History So It Does Not Repeat Itself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5-12-13
[7]
뉴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1-15
[8]
뉴스
http://news.empas.co[...]
경향신문
2007-08-21
[9]
뉴스
http://www.chosunonl[...]
The Chosun Ilbo
2006-01-15
[10]
웹사이트
Reconciling Narratives of the Nanking Massacre in Japanese and Chinese Textbooks
http://www.usip.org/[...]
Tsuru Bunka University
[11]
웹사이트
Joseph Chapel, "Denial of the Holocaust and the Rape of Nanking" (2004)
http://marcuse.facul[...]
[12]
뉴스
Obituary: Saburo Ienaga: One man's campaign against Japanese censorship
The Guardian
2002-12-03
[13]
뉴스
Persistence of memory: Saburo Ienaga insists Japan remember an unsavoury war to ensure dreams of peace
The Vancouver Sun
2001-03-07
[14]
웹사이트
MOFA: Statement by Chief Cabinet Secretary Kiichi Miyazawa on History Textbooks
https://www.mofa.go.[...]
[15]
간행물
Japan Besieged: The Textbook Controversy
1983
[16]
뉴스
Japan Heeds Criticism On Textbooks
https://www.washingt[...]
1982-08-23
[17]
뉴스
Zenko Suzuki, 93, Ex-Premier of Japan
https://www.nytimes.[...]
2004-07-21
[18]
웹사이트
CRI Online, April 2001
http://web12.cri.com[...]
[19]
서적
Politics, Memory and Public Opinion: The History Textbook Controversy and Japanese Society
Munich
2005
[20]
뉴스
The Ongoing Battle over Japan's Textbooks
www.nytimes.com/2002[...]
2002-02-12
[21]
뉴스
Sex slave history erased from text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07-03-11
[22]
뉴스
Japan's Textbooks Reflect Revised History
https://www.nytimes.[...]
2007-04-01
[23]
뉴스
Okinawa slams history text rewrite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07-06-23
[24]
뉴스
Huge Japan protest over textbook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29
[25]
뉴스
Nationalism clouds WWII memories in Asia, says Stanford scholar
http://new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6]
웹사이트
Divided Memories: History Textbooks and the Wars in Asia
http://www.nippon.co[...]
2012-05-29
[27]
문서
最初の歴史教科書問題
日本経済新聞
2009-10-26
[28]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
[29]
서적
中国はなぜ反日になったか
文春新書
[30]
문서
教科書編纂制度の変遷/教科書問題の史的変遷
日韓文化交流基金
[31]
서적
反日感情
講談社現代新書
[32]
웹사이트
「歴史教科書」に関する宮沢内閣官房長官談話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1982-08-26
[33]
문서
宮津談話に関する 一史料
中央大学論集
[34]
서적
中国はなぜ反日になったか
文春新書
[35]
서적
反日感情
講談社現代新書
[36]
뉴스
自虐史観記述の源流「近隣諸国条項」撤廃も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04-11
[37]
서적
反日感情
講談社
[38]
뉴스
教科書検定「侵略→進出」は大誤報だった 「虚に吠えた中韓」暴いた渡部昇一さん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4-30
[39]
서적
新聞記者が語りつぐ戦争6 中国侵略
読売新聞大阪社会部
1995
[40]
뉴스
高校教科書 厳しい検定
1982-06-26
[41]
간행물
新編日本史のすべて 新しい日本史教科書の創造へ
原書房
1987-06
[42]
문서
最新日本史
明成社
[43]
서적
反日感情 韓国・朝鮮人と日本人
講談社現代新書
1993
[44]
서적
中国はなぜ反日になったか
文春新書
2003
[44]
서적
日中関係 戦後から新時代へ
岩波新書
2006
[45]
서적
反日感情
[46]
뉴스
1986-07-14
[47]
간행물
新編 国民日本史
原書房
1987-10
[48]
뉴스
1987-08-15
[49]
뉴스
http://nippon.zaidan[...]
読売新聞
1993-03-18
[50]
뉴스
自虐史観記述の源流「近隣諸国条項」撤廃も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4-11
[51]
문서
[52]
서적
人間と国家(下) -ある政治学徒の回想-
岩波書店
2011
[53]
논문
歴史認識とアイデンティティ形成
https://ncu.repo.nii[...]
2001-11
[54]
웹사이트
「新しい歴史教科書」第270頁―日中戦争
http://www.tsukuruka[...]
[55]
웹사이트
第1回日韓歴史共同研究報告書
http://www.jkcf.or.j[...]
[56]
웹사이트
第2回日韓歴史共同研究報告書
http://www.jkcf.or.j[...]
[57]
뉴스
中国の教科書に描かれた日本: 教育の「革命史観」から「文明史観」への転換
http://www.kokusai-s[...]
2017-03-17
[58]
웹사이트
高等学校日本史教科書に関する訂正申請について(沖縄戦関係)
http://www.mext.go.j[...]
[59]
웹사이트
強制でなく関与として可決-沖縄県議会意見書
http://www3.pref.oki[...]
[60]
웹사이트
教科書制度の改善について
http://www.mext.go.j[...]
日本国文部科学省
2002-08-30
[61]
웹사이트
教科書に残る「従軍慰安婦」、引用で通過、検定に限界
https://www.zenkyoky[...]
[62]
웹사이트
<W寄稿>他国の教科書が気に入らないという理由で騒ぎを起こす不思議な国、韓国
https://www.wowkorea[...]
2022-09-29
[63]
웹사이트
韓国教科書、北朝鮮刺激の表現消える? 保守系から反発: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4-03
[64]
웹사이트
日本経済新聞 印刷画面
https://www.nikkei.c[...]
2022-04-03
[65]
웹사이트
「韓国の歴史教育は死んだ」国定教科書めぐり高校生がデモ
https://www.huffingt[...]
2015-10-17
[66]
뉴스
韓国:7つの歴史学会が「国定教科書中断」で共同声明
http://www.labornetj[...]
2014-08-24
[67]
뉴스
教科書の国定化で朴槿恵が陥る深刻なジレンマ
http://www.newsweekj[...]
2014-09-16
[68]
뉴스
日本統治時代を評価した韓国の歴史教科書に韓国革新派猛烈妨害
http://snn.getnews.j[...]
2014-02-15
[69]
뉴스
「植民地支配で韓国は近代化」歴史教科書合格で騒動=韓国
https://web.archive.[...]
Searchina
2013-09-03
[70]
웹사이트
朝鮮半島の領土論争 - 学術刊行物
https://www.publicat[...]
日本大学法学部
2020-11-02
[71]
논문
Die deutsch-polnischen Schulbuchgespräche von 1937/38
1988
[72]
논문
Die deutsch-polnischen Schulbuchgespräche
[73]
서적
Umerziehung in der Britischen Zone 1945-1949
Beltz Verlag
1979
[74]
서적
Zwanzig Jahre
[75]
뉴스
読売新聞
2010-12-16
[76]
서적
未来をひらく歴史:日本・中国・韓国=共同編集 東アジア3国の近現代史
高文研
[77]
웹사이트
MSN-Mainichi INTERACTIVE ソウル発!! 人&風(サラム&パラム)
https://web.archive.[...]
2005-12-23
[78]
뉴스
ソウル発!! 人&風(サラム&パラム) 第18回 日中韓副教材への疑問(その1)
http://www.mainichi-[...]
毎日新聞
2005-07-22
[79]
웹사이트
MSN-Mainichi INTERACTIVE ソウル発!! 人&風(サラム&パラム)
https://web.archive.[...]
2006-12-09
[80]
웹사이트
MSN-Mainichi INTERACTIVE ソウル発!! 人&風(サラム&パラム)
https://web.archive.[...]
2005-12-23
[81]
서적
현대용어의 기초지식 (現代用語の基礎知識)
지유고쿠민샤 (自有国民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