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가불화합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가불화합성은 식물의 자가수정을 막는 유전적 기작으로, 암술과 수술 간의 분자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배우체형과 포자체형으로 나뉘며, S-유전자좌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제어된다.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은 꽃가루의 유전자형에 의해,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은 꽃밥의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된다. 이 외에도 이형 화형, 잠재형, 지연 작용형 자가불화합성이 존재한다. 자가친화성은 자가불화합성 기작이 없어 자가수분이 가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인공 교배 기술을 통해 자가불화합성을 극복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가루받이 - 과일
    과일은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는 목본성 식물을 넓게, 과실 수확 목적의 과일나무를 좁게 의미하며, 형태, 생육 환경 등에 따라 나뉘고 단과, 집합과, 다화과 등으로 구분되며, 인류는 오래전부터 재배 및 섭취해왔고 한국에서는 과일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과일의 날'을 지정했다.
  • 꽃가루받이 - 수정 (생물학)
    수정은 생물학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체외 수정, 체내 수정, 식물 수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 식물의 생식 - 포자
    포자는 단세포 또는 소수의 세포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넓게 분산되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며, 생식세포와 달리 단독으로 발달하고, 균류와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에서 생존 전략 및 생물 분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식물의 생식 - 포자체
    포자체는 반수체 포자를 생성하고 배우체로 발달하는 이배체 세대로, 육상식물과 다세포 조류에서 세대교번을 하며, 종자식물에서는 배우체보다 두드러진다.
  • 집단유전학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 집단유전학 - 유전적 부동
    유전적 부동은 집단 내 대립형질 빈도가 무작위로 변하는 현상으로, 집단 크기가 작을수록 영향이 커지며 자연 선택과 함께 작용하여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
자가불화합성
개요
자가 불화합성의 다양한 유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자가 불화합성의 다양한 유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정의한 식물의 수술에 의한 암술의 수정 불능
원인유전적 메커니즘
결과자가 수분 방지, 유전적 다양성 증진
유전적 메커니즘
배우체형 자가 불화합성 (GSI)화분 표현형은 화분 자체의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됨
단일 다형성 유전자좌 S에 의해 제어됨
배우체형 자가 불화합성 유전자좌S-RNase
S-locus glycoprotein (SLG)
S-locus receptor kinase (SRK)
포자체형 자가 불화합성 (SSI)화분 표현형은 화분을 생산하는 포자체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됨
여러 유전자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
포자체형 자가 불화합성 유전자좌SRK (S-locus receptor kinase)
SCR/SP11 (S-locus cysteine-rich protein / S locus protein 11)
진화적 중요성
자가 수분 회피근친 교배로 인한 해로운 유전적 영향 감소
유전적 다양성 증진새로운 유전자 조합 생성 촉진
적응력 향상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 향상
분포
식물계많은 피자식물 과에서 발견됨 (예: 가지과, 장미과, 국화과)
기타 생물일부 균류와 동물에서도 발견됨
연구
연구 분야분자 유전학
진화 생물학
식물 번식
연구 중요성작물 생산성 향상
멸종 위기 종 보존
기초 생물학적 과정 이해
자가 불화합성의 손실
원인유전적 병목 현상
인위적인 선택
환경 변화
결과자가 수분 증가
유전적 다양성 감소
적응력 감소
활용
식물 육종자가 불화합성 이용
잡종 품종 개발
질병 저항성 강화
참고 문헌
참고 문헌Igic B, Lande R, Kohn JR. Loss of Self-Incompatibility and Its Evolutionary Conseq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2008;169(1):93–104
Sawada H, Morita M, Iwano M. Self/non-self recognition mechanisms in sexual reproduction: new insight into the self-incompatibility system shared by flowering plants and hermaphroditic animal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4 Aug;450(3):1142–1148.

2. 자가불화합성의 메커니즘

자가불화합성의 메커니즘은 암술과 수술(꽃가루) 사이의 분자 수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크게 배우체형(Gametophytic SI, GSI)과 포자체형(Sporophytic SI, SSI)으로 나뉜다. 이들은 S-유전자좌(S-locus)라는 특정 유전자에 의해 제어되며, 다양한 대립유전자(alleles)가 존재한다.[3]

S-유전자좌는 두 개의 기본 단백질 코딩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는 암술에서 발현되고, 다른 하나는 수술 및/또는 꽃가루에서 발현된다(각각 '암컷' 및 '수컷 결정인자'로 지칭). 물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이들은 유전적으로 유전자 연관되어 있으며, 단위로 유전된다. 이 단위들은 S-배형이라고 불린다. S-유전자좌의 두 영역에서 생성된 번역 산물은 두 개의 단백질이며,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꽃가루 발아 및/또는 꽃가루관 신장을 멈추게 하여 자가불화합성(SI) 반응을 생성하고, 수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암컷 결정인자가 다른 배형의 수컷 결정인자와 상호 작용할 때는 SI가 생성되지 않고, 수정이 일어난다.[3]

;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 (GSI)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GSI)에서는, 꽃가루의 표현형은, 꽃가루 자체의 반수성 유전자형으로 결정된다. 이것은 비교적 자주 관찰되는 자가불화합성의 유형으로, 가지과, 장미과, 질경이과, 콩과, 바늘꽃과, 초롱꽃과, 양귀비과, 벼과에서 관찰된다[74]

::'''리보뉴클레아제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에서는, 꽃가루관이 암술의 약 1/3 위치에 도달했을 때 신장 정지가 일어난다.[85] 암컷 결정 요소인 리보뉴클레아제(S-RNase[75])는, 수컷・암컷 결정 요소가 동일한 하플로타입의 번역 산물인 경우, 꽃가루관 내의 리보솜RNA (rRNA)의 분해를 일으켜, 꽃가루관 신장의 억제와 꽃가루 입자의 치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85]

가지과의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의 암컷 결정 요소는 1989년에 발견되었다.[75] 이어서 장미과질경이과에서도 동일한 유전자족[76]의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계통학적 연구[77] 및 공통의 수컷 결정 요소('''SLF''': S-locus F-box[61][78], '''SFB''': S haplotype-specific Fbox protein[63][79])의 발견[80][81][82][83]에 의해 그들의 상동성이 명확해졌다. 이 메커니즘은 약 9천만 년 전에 발생했으며, 모든 피자식물의 약 절반에 영향을 미치는 조상적인 성질이다.[77][84]

SLF/SFB는 F-박스 단백질 패밀리의 일종으로 추정된다.[83] F-박스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유비퀴틴 리가아제로 기능한다.[79] SLF/SFB는, 적합한 S-RNase 분자를 인식하여, RNase를 프로테아좀에서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79]

::'''S-당단백질 메커니즘'''

S-당단백질이 자가불화합성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개양귀비에서 자세히 연구되었다. 이 메커니즘에서는, 꽃가루 성장은, 암술머리에 꽃가루가 부착된 후 몇 분 이내에 꽃가루 발아가 방해된다.[85]

암컷 결정 요소는, 암술머리에서 발현되어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이다. 수컷 결정 요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어떤 종류의 세포막에 국재하는 수용체일 것이다.[85] 수컷 및 암컷 결정 요소의 상호 작용은, 꽃가루관으로의 세포 간 신호 전달을 결정하며, 그 결과 꽃가루관으로의 칼슘양이온의 유입을 일으킨다. 이것은 꽃가루관의 신장에 있어서 중요한 꽃가루관의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 기울기에 영향을 준다.[86][87][88] 칼슘 이온의 유입은 1-2분 안에 꽃가루관의 신장을 억제한다. 이 단계에서는 꽃가루 억제는 가역적이며, 배주의 수정을 일으킬 수도 있다.[85]

이어서, 꽃가루관 신장에 필요한 피로인산화 효소인 '''p26''' 시토졸 단백질이, 인산화에 의해 비활성화된다.[89] 꽃가루관 세포의 골격에서, 액틴 필라멘트의 탈중합 반응 및 재구축이 일어난다.[90][91] 수분 후 10분 이내에, 꽃가루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으로 향한다. 3-4시간 경과 후, 꽃가루의 DNA의 단편화가 시작되고[92], 최종적(10-14시간 후)으로는 꽃가루의 세포는 아폽토시스적으로 죽는다.[85][93]

;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 (SSI)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SSI)에서는 꽃가루의 표현형이 그것이 만들어진 약 (포자체)의 2배체유전자형으로 결정된다. 이 유형의 자가불화합성은 배추과, 국화과, 메꽃과, 자작나무과, 석죽과, 아욱과, 현삼과에서 확인되었다[94]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이 2배체 유전자형으로 결정되므로 웅예와 자예에서는 각각 2개의 다른 대립유전자 (즉, 2 종류씩의 웅성 및 자성 결정 요소)의 번역 산물이 발현된다. 짝을 이루는 대립유전자 사이에는 우성-열성 관계가 종종 존재하여 화합성/자가불화합성의 복잡한 패턴이 나타난다. 이러한 우성-열성 관계는 ''S'' 유전자좌의 열성 유전자 동형접합체개체가 태어나는 원인이 된다[95]

''S'' 대립유전자가 모두 공우성[96]인 집단과 비교하면, ''S'' 대립유전자에 우성-열성 관계가 있는 집단은 개체 간의 화합성 교배 기회를 늘린다[95]。''S'' 유전자좌에 있는 열성 및 우성 대립유전자의 비율은 열성 유전자에 의한 생식에서의 보험 (리스크 헤지)과 우성 유전자에 의한 자가 수정 회피의 역동적 평형을 반영한다[97]

::'''배추속의 자가불화합성 메커니즘'''

꽃가루의 자가불화합성 표현형은 약의 2배체 유전자형으로 결정되므로 유채속 식물의 꽃가루 외피 (약의 타페트 조직[98]에서 유래)에는 2 종류의 웅성 결정 요소의 번역 산물이 있다. 이것들은 저분자량으로 시스테인 잔기를 많이 포함하는 단백질이며, 시스테인 잔기는 대립유전자 간에 보존되지만, 동시에 시스테인 잔기 이외의 아미노산 잔기는 대립유전자에 따라 크게 다르다[64]。이 웅성 결정 요소는 '''SCR'''(S locus cystein-rich protein) 또는 '''SP11'''이라고 불리며, 포자체인 약 타페트 조직에서 발현된다[99][100]

유채속의 자성 결정 요소는 세포 내 키나아제도메인과 가변 세포외 도메인을 가진 '''SRK'''(S receptor kinase)라고 불리는 세포막 관통형 단백질이다[101][102]。SRK는 암술머리에서 발현되며, 꽃가루 외피의 SCR/SP11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암술머리 단백질 '''SLG'''(S locus glycoprotein)는 SRK 단백질과 매우 유사한 염기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공동 수용체로 기능하여 자가불화합성 반응을 확대하는 것으로 보인다[103][64]

유채속의 ''S'' 할로타입에는 100종류에 달하는 다형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의 우성-열성 관계에는 서열이 있다[64][104]。약 측 ''SCR''(''SP11'')의 우성-열성 관계는, 암술머리 측 ''SRK''의 발현의 우성-열성 관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SCR''의 우열 관계는 이형접합체가 되는 ''S'' 대립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열성이 되는 쪽의 ''SCR'' 프로모터 영역의 메틸화에 의해 후성 유전적 제어를 받는다[64]

SRK와 SCR/SP11의 상호 작용은, SRK 세포 내 키나아제 도메인의 자가 인산화를 수행하고[105][106], 어떤 신호를 암술머리의 유두 세포에 전달한다. 자가불화합성 반응에 필요한 또 다른 단백질은, 세포 내부 측에서 세포막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MLPK'''(M-locus protein kinase, 일종의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107]

2. 1.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 (GSI)

'''리보뉴클레아제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에서는, 꽃가루관이 암술의 약 1/3 위치에 도달했을 때 신장 정지가 일어난다.[85] 암컷 결정 요소인 리보뉴클레아제(S-RNase[75])는, 수컷・암컷 결정 요소가 동일한 하플로타입의 번역 산물인 경우, 꽃가루관 내의 리보솜RNA (rRNA)의 분해를 일으켜, 꽃가루관 신장의 억제와 꽃가루 입자의 치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85]

가지과의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의 암컷 결정 요소는 1989년에 발견되었다.[75] 이어서 장미과질경이과에서도 동일한 유전자족[76]의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이른 시기부터, 이들 원연의 과에서의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의 공통 조상이 예상되었지만, 계통학적 연구[77] 및 공통의 수컷 결정 요소('''SLF''': S-locus F-box[61][78], '''SFB''': S haplotype-specific Fbox protein[63][79])의 발견[80][81][82][83]에 의해 그들의 상동성이 명확해졌다. 이 메커니즘은 약 9천만 년 전에 발생했으며, 모든 피자식물의 약 절반에 영향을 미치는 조상적인 성질이다.[77][84]

SLF/SFB는 F-박스 단백질 패밀리의 일종으로 추정된다.[83] F-박스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유비퀴틴 리가아제로 기능한다.[79] SLF/SFB는, 적합한 S-RNase 분자를 인식하여, RNase를 프로테아좀에서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79]

'''S-당단백질 메커니즘'''

S-당단백질이 자가불화합성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개양귀비에서 자세히 연구되었다. 이 메커니즘에서는, 꽃가루 성장은, 암술머리에 꽃가루가 부착된 후 몇 분 이내에 꽃가루 발아가 방해된다.[85]

암컷 결정 요소는, 암술머리에서 발현되어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이다. 수컷 결정 요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어떤 종류의 세포막에 국재하는 수용체일 것이다.[85] 수컷 및 암컷 결정 요소의 상호 작용은, 꽃가루관으로의 세포 간 신호 전달을 결정하며, 그 결과 꽃가루관으로의 칼슘양이온의 유입을 일으킨다. 이것은 꽃가루관의 신장에 있어서 중요한 꽃가루관의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 기울기에 영향을 준다.[86][87][88] 칼슘 이온의 유입은 1-2분 안에 꽃가루관의 신장을 억제한다. 이 단계에서는 꽃가루 억제는 가역적이며, 어떤 종류의 조작을 통해 신장을 재개시켜, 배주의 수정을 일으킬 수도 있다.[85]

이어서, 꽃가루관 신장에 필요한 피로인산화 효소인 '''p26''' 시토졸 단백질이, 인산화에 의해 비활성화된다.[89] 아마도, 그 인산화는 p26의 단백질 조립을 방지할 것이다. 꽃가루관 세포의 골격에서, 액틴 필라멘트의 탈중합 반응 및 재구축이 일어난다.[90][91] 수분 후 10분 이내에, 꽃가루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으로 향한다. 3-4시간 경과 후, 꽃가루의 DNA의 단편화가 시작되고[92], 최종적(10-14시간 후)으로는 꽃가루의 세포는 아폽토시스적으로 죽는다.[85][93]

2. 1. 1. RNase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에서 꽃가루관 신장은 꽃가루관이 암술대의 약 1/3 지점까지 진행되면 멈춘다.[5] 암컷 구성 요소인 리보뉴클레아제 단백질, 즉 '''S-RNase'''[6]는 동일한 수컷과 암컷 S 대립 유전자의 경우 꽃가루관 내부의 리보솜 RNA(rRNA) 분해를 유발하여 꽃가루관 신장이 멈추고 꽃가루가 죽는 것으로 보인다.[5]

GSI에서의 역할이 처음 확인된 지 10년 이내에, 동일한 RNase 유전자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이 장미과질경이과 종에서 꽃가루 거부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멀리 떨어진 식물 과에서 RNase 기반 SI의 공통 조상에 대한 초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계통 발생 연구[7]와 공유된 수컷 결정 인자 ('''F-box 단백질''')[8][9][10]의 발견은 상동성을 진정쌍떡잎식물 전반에 걸쳐 강력하게 뒷받침했다. 따라서 이 메커니즘은 약 9천만 년 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약 50%의 모든 식물 종에 대한 추정 조상 상태이다.[7][11]

지난 10년 동안, SI의 이 메커니즘의 광범위한 분포에 대한 예측이 확인되어 단일 고대 기원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얻었다. 특히, 암술대에서 발현되는 T2/S-RNase 유전자와 꽃가루에서 발현되는 F-box 유전자가 꼭두서니과,[12] 운향과,[13] 및 선인장과 구성원 간에 SI를 유발하는 것으로 현재 밝혀졌다.[14] 따라서 다른 SI 메커니즘은 진정쌍떡잎식물에서 최근에 파생된 것으로 생각되며, 어떤 경우에는 비교적 최근에 파생되었다. 특히 흥미로운 사례는 Prunus SI 시스템으로, 자가 인식(S-RNAse의 세포 독성 활성은 기본적으로 억제되고 자가 수분 시 꽃가루 파트너 SFB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을 통해 작동하며, [여기서 "SFB"는 "S-haplotype-specific F-box protein"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15]의 초록에서 (괄호로) 설명되어 있음], 다른 S-RNAse를 가진 종의 SI는 비 자가 인식을 통해 작동한다 (S-RNAse는 타가 수분 시 선택적으로 해독됨).

2. 1. 2. S-당단백질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에서 꽃가루의 성장은 암술머리에 놓인 지 몇 분 안에 억제된다.[5] 이 메커니즘은 ''개양귀비''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는 양귀비과 식물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

암술머리에서 발현되는 작은 세포 외 분자가 여성 결정인자이며, 수컷 결정인자의 정체는 여전히 파악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일부 세포 막 수용체일 것이다.[5] 수컷과 암컷 결정인자 사이의 상호 작용은 꽃가루관으로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전달하여, 칼슘 양이온의 강한 유입을 초래한다. 이는 꽃가루관 내부에 존재하는 칼슘 이온의 세포 내 농도 기울기를 방해하며, 이는 꽃가루관의 신장에 필수적이다.[16][17][18] 칼슘 이온의 유입은 1~2분 안에 관의 신장을 멈추게 한다. 이 단계에서 꽃가루 억제는 여전히 가역적이며, 특정 조작을 가하여 신장을 재개할 수 있으며, 이는 배주 수정으로 이어진다.[5]

이후, 세포질 단백질 '''p26''', 즉 피로인산분해효소는 인산화에 의해 억제되며,[19] 이는 관 신장에 필요한 분자 구성 요소의 생합성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꽃가루 세포 골격 내에서 액틴 필라멘트의 중합 해체와 재조직화가 일어난다.[20][21] 암술머리에 놓인 지 10분 이내에 꽃가루는 죽음으로 끝나는 과정에 돌입한다. 수분 후 3~4시간이 지나면 꽃가루 DNA의 단편화가 시작되고,[22] 최종적으로 (10~14시간) 세포는 세포자멸사한다.[5][23]

2. 2.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 (SSI)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SSI)'''에서 꽃가루의 SI 표현형은 꽃가루가 생성된 꽃밥(포자체)의 2배체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형태의 SI는 배추과, 국화과, 메꽃과 등에서 확인되었다.[24]

SSI는 2배체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되므로 꽃가루와 암술은 각각 두 개의 서로 다른 대립 유전자, 즉 두 개의 수컷 결정 인자와 두 개의 암컷 결정 인자의 번역 산물을 발현한다. 우성 관계는 종종 대립 유전자 쌍 사이에 존재하여 복잡한 호환성/자가불화합성 패턴을 초래한다. 이러한 우성 관계는 또한 동형 접합성 개체의 열성 S 대립 유전자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25]

모든 S 대립 유전자가 공동 우성인 개체군과 비교할 때, 개체군 내에 우성 관계가 존재하면 개체 간의 호환 가능한 짝짓기 기회가 증가한다.[25] 열성 및 우성 S 대립 유전자 간의 빈도 비율은 생식 보장 (열성 대립 유전자에 의해 선호됨)과 자가 수정 회피 (우성 대립 유전자에 의해 선호됨)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을 반영한다.[26]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에서는 꽃가루의 표현형이 그것이 만들어진 약 (포자체)의 2배체유전자형으로 결정된다. 이 유형의 자가불화합성은 배추과, 국화과, 메꽃과 등에서 확인되었다[94]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이 2배체 유전자형으로 결정되므로 웅예와 자예에서는 각각 2개의 다른 대립유전자 (즉, 2 종류씩의 웅성 및 자성 결정 요소)의 번역 산물이 발현된다. 짝을 이루는 대립유전자 사이에는 우성-열성 관계가 종종 존재하여 화합성/자가불화합성의 복잡한 패턴이 나타난다. 이러한 우성-열성 관계는 ''S'' 유전자좌의 열성 유전자 동형접합체개체가 태어나는 원인이 된다[95]

''S'' 대립유전자가 모두 공우성[96]인 집단과 비교하면, ''S'' 대립유전자에 우성-열성 관계가 있는 집단은 개체 간의 화합성 교배 기회를 늘린다[95]。''S'' 유전자좌에 있는 열성 및 우성 대립유전자의 비율은 열성 유전자에 의한 생식에서의 보험 (리스크 헤지)과 우성 유전자에 의한 자가 수정 회피의 역동적 평형을 반영한다[97]

; 배추속의 자가불화합성 메커니즘

앞서 언급했듯이 꽃가루의 자가불화합성 표현형은 약의 2배체 유전자형으로 결정되므로 유채속 식물의 꽃가루 외피 (약의 타페트 조직[98]에서 유래)에는 2 종류의 웅성 결정 요소의 번역 산물이 있다. 이것들은 저분자량으로 시스테인 잔기를 많이 포함하는 단백질이며, 시스테인 잔기는 대립유전자 간에 보존되지만, 동시에 시스테인 잔기 이외의 아미노산 잔기는 대립유전자에 따라 크게 다르다[64]。이 웅성 결정 요소는 '''SCR'''(S locus cystein-rich protein) 또는 '''SP11'''이라고 불리며, 포자체인 약 타페트 조직에서 발현된다[99][100]

유채속의 자성 결정 요소는 세포 내 키나아제도메인과 가변 세포외 도메인을 가진 '''SRK'''(S receptor kinase)라고 불리는 세포막 관통형 단백질이다[101][102]。SRK는 암술머리에서 발현되며, 꽃가루 외피의 SCR/SP11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암술머리 단백질 '''SLG'''(S locus glycoprotein)는 SRK 단백질과 매우 유사한 염기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공동 수용체로 기능하여 자가불화합성 반응을 확대하는 것으로 보인다[103][64]

유채속의 ''S'' 할로타입에는 100종류에 달하는 다형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의 우성-열성 관계에는 서열이 있다[64][104]。약 측 ''SCR''(''SP11'')의 우성-열성 관계는, 암술머리 측 ''SRK''의 발현의 우성-열성 관계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SCR''의 우열 관계는 이형접합체가 되는 ''S'' 대립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열성이 되는 쪽의 ''SCR'' 프로모터 영역의 메틸화에 의해 후성 유전적 제어를 받는다[64]

SRK와 SCR/SP11의 상호 작용은, SRK 세포 내 키나아제 도메인의 자가 인산화를 수행하고[105][106], 어떤 신호를 암술머리의 유두 세포에 전달한다. 자가불화합성 반응에 필요한 또 다른 단백질은, 세포 내부 측에서 세포막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MLPK'''(M-locus protein kinase, 일종의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107]。수정을 억제하는 최종적인 세포 내·분자적 사건의 하류의 상세는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2. 2. 1. 배추속(Brassica)의 자가불화합성 메커니즘

이전에 언급했듯이, 꽃가루의 자가불화합성 표현형은 수술의 이배체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된다. 배추속에서, 수술의 융단 조직(생물학적 조직)에서 유래된 꽃가루 외피는 두 개의 S 대립 유전자의 번역 산물을 운반한다. 이들은 작고 시스테인이 풍부한 단백질이다. 수컷 결정 인자는 '''SCR''' 또는 '''SP11'''로 불리며, 수술 융단뿐만 아니라 소포자와 꽃가루에서도 발현된다(즉, 포자체).[27][28] 배추속에는 S-반수체의 다형체가 최대 100개까지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내에서 우성 계층 구조가 존재한다.

배추속에서 SI 반응의 암컷 결정 인자는 '''SRK'''라는 막관통 단백질이며, 세포 내 키나아제 도메인과 가변적인 세포외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29][30] SRK는 암술머리에서 발현되며, 꽃가루 외피의 SCR/SP11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SLG'''라는 또 다른 암술머리 단백질은 SRK 단백질과 서열이 매우 유사하며, 수컷 결정 인자에 대한 공동 수용체로 기능하여 SI 반응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보인다.[31]

SRK와 SCR/SP11 단백질 간의 상호 작용은 SRK의 세포 내 키나아제 도메인의 자가 인산화를 초래하며,[32][33] 신호가 암술머리의 유두 세포로 전달된다. SI 반응에 필수적인 또 다른 단백질은 '''MLPK'''이며,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며, 세포 내 측면에서 세포막에 고정되어 있다.[34]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는 프로테아좀 분해로 이어져 SI 반응을 생성한다.[35]

3. 기타 자가불화합성

앵초속에서의 이형 화성. 각각 다른 개체에서 채취. 이형 화주화를 가진 식물은 이형 접합성을 증가시킨다. (1) 꽃잎, (2) 꽃받침 조각, (3) 수술 (약 부분), (4) 암술 (주두 부분)]]

; 이형 화형 자가불화합성

: 이형 화주화[66]에는 앞서 언급한 것과 다른 자가불화합성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이를 이형 화형[66] 자가불화합성(heteromorphic self-incompatibility)이라고 부른다. 이 메커니즘은 보다 일반적인 동형 화형 자가불화합성(homomorphic self-incompatibility) 메커니즘과는 진화적인 관계가 없을 것이다.[108]

: 거의 모든 이형 화주성 택슨은 어느 정도 자가불화합성의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형 화주화의 자가불화합성에 대응하는 유전자 좌위는 꽃의 형태의 다형성에 대응하는 유전자 좌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질은 함께 유전된다. 이형 화성[66]은 두 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단일 유전자 좌위로 결정되며, 삼형 화성[66]은 각각 2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2개의 유전자 좌위로 결정된다. 이형 화형 자가불화합성은 포자체형이며, 즉 꽃가루를 만드는 식물이 가진 2개의 대립 유전자가 꽃가루의 자가불화합성 반응을 결정한다. 자가불화합성 유전자 좌위는 꽃가루에서도 암술에서도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 우성을 나타내는 대립 유전자 2종류만을 항상 포함한다. 자가불화합성 대립 유전자의 변이는 꽃의 형태의 변이에 대응한다. 따라서 한 형태의 꽃의 꽃가루는 다른 형태의 꽃의 암술에서만 가임(수정 가능)하게 된다. 삼형 화에서는 각 꽃이 2종류의 수술을 갖는다. 그 형태가 다른 수술이 붙이는 꽃가루는 3종류의 형태의 꽃 중 1종류의 형태만 수정시킬 수 있다.[108]

: 이형 화성 식물의 집단은 ''ss''(열성 호모 접합형)과 ''Ss''(헤테로 접합형)로 표시되는 2종류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만 포함한다. 수정은 그들 유전자형 상호 간에서만 가능하며, 각 유전자형 자체는 자가 생식을 할 수 없다.[108] 이 제한 때문에 2개의 유전자형의 비율은 1:1로 유지되며, 그 유전자형의 식물은 보통 공간적으로 무작위로 흩어져 있다.[109][110] 삼형 화성 식물은 ''S'' 유전자 좌위에 더해, 2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M 유전자 좌위를 가진다.[108] 가능한 유전자형의 수는 더 많아지지만, 각 불화합성 타입의 개체수 비율은 1:1로 유지된다.[111]

; 잠재형 자가불화합성

: 잠재형 자가불화합성(cryptic self-incompatibility, CSI)은 제한된 수의 분류군(예: 패랭이꽃과 ''Silene vulgaris''의 CSI 현상[112])에만 있다. 이 메커니즘에서는 같은 주두에 부착된 외부 꽃가루와 자기 꽃가루가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자기 꽃가루에 의한 것보다 많은 종자가 외부 꽃가루의 수정에 의해 얻어진다.[113] 그러나 "완전한" 또는 "절대적인" 자가불화합성과 비교하면 CSI에서는 경쟁하는 외부 꽃가루가 없는 경우 자가 수분이 일어나며, 그 후의 자가 수정에 의해 종자가 형성된다.[113] 이처럼 외부 꽃가루가 없는 경우에도 생식이 확보된다. 적어도 어떤 종류의 식물에서는 CSI가 꽃가루관 신장 시 작용하여 외부 꽃가루의 꽃가루관 신장을 자기 꽃가루의 것보다 빠르게 한다. CSI의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은 불명이다.

: CSI 반응의 강도는 동일한 양의 외부 꽃가루와 자기 꽃가루를 주두에 놓았을 때, 타가 수분 · 자가 수분하는 배주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분류군에서 이 비율의 폭은 3.2에서 11.5 사이이다.[114]

; 지연 작용형 자가불화합성

: 지연 작용형 자가불화합성(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LSI)은 자방의 자가불화합성(ovarian self-incompatibility, OSI)이라고도 한다. 이 메커니즘에서는 자기 꽃가루는 발아하여 배주에 도달하지만, 결실하지 않는다.[115][116] LSI는 수정 전(예: 수선화속의 ''Narcissus triandrus''에서의 꽃가루관이 도달하기 전에 일어나는 배낭의 붕괴[117])이거나, 수정 후(예: 능소화과의 ''Spathodea campanulata''나 협죽도과 ''Asclepias'' 속의 어떤 생물종에서 보이는 접합자 또는 배아의 기형)이다.[118][119][120][121]

: 다른 분류군 간의 LSI 및 일반적인 LSI 메커니즘의 존재는 과학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종자 형성 저해는 자가 수분의 직접적인 결과(근교 약세)인 유전적인 장애(열성 치사 유전자의 호모 접합)이다"라는 비판도 있다.[122][123][124] 한편, "근교 약세 현상과 어떤 종류의 LSI의 사례를 구분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판단 기준이 존재한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있다.[115][120]

3. 1. 이형화형 자가불화합성

이형화형 자가불화합성은 앵초과, 괭이밥과, 마디풀과 등에서 관찰되는 방식으로, 꽃의 형태(이형화주)와 자가불화합성이 연관되어 나타난다.[66] 이형 화주화[66]에는 일반적인 동형 화형 자가불화합성과는 다른, 진화적으로 관계가 없는 자가불화합성 메커니즘이 존재한다.[108]

거의 모든 이형 화주성 택슨은 어느 정도 자가불화합성의 경향을 보인다. 이형 화주화의 자가불화합성에 대응하는 유전자 좌위는 꽃의 형태의 다형성에 대응하는 유전자 좌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질은 함께 유전된다.[108] 이형 화성[66]은 두 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단일 유전자 좌위로 결정되며, 삼형 화성[66]은 각각 2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2개의 유전자 좌위로 결정된다. 이형 화형 자가불화합성은 포자체형이며, 꽃가루를 만드는 식물이 가진 2개의 대립 유전자가 꽃가루의 자가불화합성 반응을 결정한다. 자가불화합성 유전자 좌위는 꽃가루에서도 암술에서도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 우성을 나타내는 대립 유전자 2종류만을 항상 포함한다. 자가불화합성 대립 유전자의 변이는 꽃의 형태의 변이에 대응한다. 따라서 한 형태의 꽃의 꽃가루는 다른 형태의 꽃의 암술에서만 가임(수정 가능)하게 된다.[108] 앵초속에서 이형 화성은 이형 접합성을 증가시킨다.[40]

이형 화성 식물의 집단은 ''ss''(열성 호모 접합형)과 ''Ss''(헤테로 접합형)로 표시되는 2종류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만 포함한다. 수정은 그들 유전자형 상호 간에서만 가능하며, 각 유전자형 자체는 자가 생식을 할 수 없다.[108] 이 제한 때문에 2개의 유전자형의 비율은 1:1로 유지되며, 그 유전자형의 식물은 보통 공간적으로 무작위로 흩어져 있다.[109][110] 삼형 화성 식물은 ''S'' 유전자 좌위에 더해, 2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M 유전자 좌위를 가진다.[108] 가능한 유전자형의 수는 더 많아지지만, 각 불화합성 타입의 개체수 비율은 1:1로 유지된다.[111]

3. 2. 잠재형 자가불화합성 (CSI)

'''숨은 자가불화합성(CSI)'''은 제한적인 수의 분류군에서 존재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석죽과 개별꽃(''Silene vulgaris'')에서 CSI에 대한 증거가 있다.[44] 이 메커니즘에서는 같은 암술머리에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이 동시에 존재하면, 자가 수분보다 타가 수분에 의한 종자 결실이 더 높게 나타난다.[45] 그러나 '완전한' 또는 '절대적인' 자가불화합성과는 달리, CSI에서는 경쟁적인 타가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가 수분을 통해 수정과 종자 결실이 일어난다.[45] 이러한 방식으로, 타가 수분이 없더라도 생식이 보장된다.

CSI는 적어도 일부 종에서는 꽃가루관 신장 단계에서 작용하며, 자가 수분 꽃가루관에 비해 타가 수분 꽃가루관의 신장을 더 빠르게 유도한다. CSI 반응의 강도는, 같은 양의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을 암술머리에 놓았을 때 형성되는 수정란의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 비율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설명된 분류군에서 이 비율은 3.2에서 11.5 사이이다.[46] 그러나, CSI의 세포 및 분자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 3. 지연 작용형 자가불화합성 (LSI)

지연 작용형 자가불화합성(LSI)은 난소 자가불화합성(OSI)이라고도 불리며, 자가 수분 후 수정은 일어나지만 배아 발달이 멈추거나 기형이 되는 현상이다.[47][48] 이는 수정 전, 또는 수정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수정 전의 예로는 나르키수스 트리안두스에서처럼 화분관 진입 전에 배낭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49] 수정 후에는 특정 종의 아스클레피아스와 스파토데아 캄파눌라타에서처럼 접합자 또는 배아의 기형을 초래할 수 있다.[50][51][52][53]

다양한 분류군에서 LSI 메커니즘의 존재와 일반적으로 LSI 메커니즘의 존재는 과학적인 논쟁의 대상이다. 비판론자들은 열매가 맺히지 않는 것은 자가 수분(근교 약세)의 직접적인 결과인 유전적 결함(치사성 열성 대립 유전자에 대한 동형 접합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4][55][56] 반면에 지지자들은 LSI의 특정 경우를 근교 약세 현상과 구별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기준의 존재를 주장한다.[47][52]

이 메커니즘은 사례가 풍부하지 않고, 과학 연구에서도 주목을 덜 받고 있어 아직 지식이 불충분하다.

4. 자가친화성 (SC)

'''자가친화성'''('''SC''')은 자가수정을 방해하는 유전적 메커니즘이 없어, 자가 꽃가루와 다른 개체의 꽃가루를 통해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식물을 말한다. 속씨식물 종의 약 절반은 자가불화합성(SI)이며,[1] 나머지는 SC이다. 자가불화합성을 비활성화하는 돌연변이는 자연 집단에서 흔해지거나 완전히 지배적일 수 있다. 수분 매개자 감소, 수분 매개 서비스의 가변성, 자가 수분의 "자동 이점" 등 여러 요인이 자가불화합성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많은 재배 식물은 자가친화성을 가지지만, 사과배추(Brassica oleracea)와 같은 예외도 있다. 이러한 농작물에서 자가친화성은 종종 선별 육종을 통한 인위적인 선택의 결과이다. 자가친화성은 작물 개량을 위해 더 효율적인 육종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유전적으로 유사한 SI 품종을 교배하면 근친 교배 억제 현상으로 인해 살구와 아몬드에서와 같이 교배 불가능한 형태의 SC가 발생할 수 있다.[57][58] 이 드문 종내 교배 불가능 메커니즘에서 개체는 다른 종의 개체와 교배하는 것보다 자가 수분될 때 더 많은 번식 성공을 거둔다. 야생 집단에서는 ''Nothoscordum bivalve''에서 종내 교배 불가능성이 관찰되었다.[59]

5. 자가불화합성의 타파

일반적인 교배에서는 자가불화합성 식물의 유사한 유전자형 개체 간의 교배 종자를 얻을 수 없지만, 육종 등에서 이루어지는 인공 교배(인공 수분)에서는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하는 기법이 사용된다. 미개화 싹에서 미숙한 암술에 교배를 하는 "봉오리 수분"[65][125], 개화 후 시간이 지난 꽃에 행하는 "노화 수분"[65]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봉오리 수분에서는, 미숙한 주두에서는 암성 결정 요소의 단백질 축적이 적기 때문에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65]。 그 외에, 불화합성 조합의 수분 후에 주두를 체적비 3-6%의 이산화 탄소를 포함하는 기체에 노출시킴으로써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할 수 있다[126][127]。 또한, 본래 자가불화합성인 식물에서 돌연변이에 의해 화합성 계통을 만들어내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128][129]

6. 한국의 자가불화합성 연구 현황 (추가 제안)

참조

[1] 논문 Loss of Self-Incompatibility and Its Evolutionary Consequences
[2] 논문 Self/non-self recognition mechanisms in sexual reproduction: new insight into the self-incompatibility system shared by flowering plants and hermaphroditic animals 2014-08
[3] 논문 Plant self-incompatibility systems: a molecular evolutionary perspective 2005-10
[4] 논문 Cell and molecular biology of self-incompatibility in flowering plants
[5] 논문 The different mechanisms of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2003-06
[6] 논문 Style self-incompatibility gene products of Nicotiana alata are ribonucleases
[7]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self-incompatibility RNases 2001-11
[8] 논문 The F-box protein AhSLF-S2 controls the pollen function of S-RNase-based self-incompatibility 2004-09
[9] 논문 The S haplotype-specific F-box protein gene, SFB, is defective in self-compatible haplotypes of Prunus avium and P. mume 2004-08
[10]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pollen determinant of S-RNase-mediated self-incompatibility 2004-05
[11] 논문 S-RNase-mediated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is ancestral in eudicots 2002-06
[12] 논문 S-RNase-like Sequences in Styles of Coffea (Rubiaceae). Evidence for S-RNase Based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13] 논문 Evolution of self-compatibility by a mutant Sm-RNase in citrus 2020-02
[14] 논문 RNase-based self-incompatibility in cacti 2021-09
[15] 웹사이트 Distinct Self-recognition in the Prunus S-RNase-based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System https://www.jstage.j[...] 2016
[16] 논문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apaver rhoeas'' is mediated by cytosolic free calcium
[17] 논문 Ratioimaging of Ca21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ollen tubes of ''Papaver rhoeas''
[18] 논문 Involvement of extracellular calcium influx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of Papaver rhoeas 2002-02
[19] 논문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a 26-kD Pollen Protein Is Induced by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apaver rhoeas 1996-04
[20] 논문 Alterations in the actin cytoskeleton of pollen tubes are induced by the self-incompatibility reaction in Papaver rhoeas 2000-07
[21] 논문 Signal-mediated depolymerization of actin in pollen during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2002-10
[22] 논문 Evidence for DNA fragmentation triggered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ollen of Papaver rhoeas 2000-08
[23] 논문 Self-incompatibility triggers programmed cell death in Papaver pollen 2004-05
[24] 논문 The genetic control of self-incompatibility in ''Linanthus parviflorus'' (Polemoniaceae)
[25] 논문 The different mechanisms of sporophytic self-incompatibility 2003-06
[26] 논문 Distribution of self-incompatibility alleles and breeding structure of open-pollinated cultivars of Brussels sprouts
[27] 논문 The male determinant of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1999-11
[28] 논문 The pollen determinant of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campestris'' 2000-02
[29] 논문 Molecular cloning of a putative receptor protein kinase gene encoded at the self-incompatibility locus of ''Brassica oleracea'' 1991-10
[30] 논문 Pollen–stigma signalling in the sporophytic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31] 논문 The S receptor kinase determines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stigma 2000-02
[32] 논문 Self-incompatibility. Prospects for a novel putative peptide-signaling molecule 2000-11
[33] 논문 Direct ligand-receptor complex interaction controls ''Brassica'' self-incompatibility 2001-10
[34] 논문 A membrane-anchored protein kinase involved in ''Brassica'' self-incompatibility signaling 2004-03
[35] 간행물 Degradation of glyoxalase I in ''Brassica napus'' stigma leads to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2015
[36] 논문 Self-incompatibility in the Grasses
[37] 논문 Fine-Mapping and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Reveal the Gene Composition at the S and Z Self-incompatibility Loci in Grasses 2023-01
[38] 논문 Confirmation of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in ''Oryza longistaminata'' 2021
[39] 논문 Fine-scale comparative genetic and physical mapping supports map-based cloning strategies for the self-incompatibility loci of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2010-02
[40] 논문 The biology of heterostyly
[41] 논문 Pattern diversity of incompatibility groups in ''Jepsonia heterandra'' (Saxifragaceae) (SAXIFRAGACEAE) 1975-06
[42] 논문 Pollen flow in distylous populations of Amsinckia (Boraginaceae)
[43] 논문 A necessary condition for equilibrium in systems exhibiting self-incompatible mating 1971-12
[44] 학위논문 Mechanisms involved in the maintenance of inbreeding depression in gynodioecious Silene vulgaris (Caryophyllacea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University of Lausanne 2004
[45] 논문 Cryptic self-incompatibility in the wallflower: ''Cheiranthus cheiri'' L
[46] 논문 The absence of cryptic self-incompatibility in Clarkia unguiculata (Onagraceae) 2000-02
[47] 논문 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in angiosperms
[48] 서적 Genetic control of self-incompatibility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in flowering plants Kluwer Academic 1994
[49] 논문 Differential ovule development following self- and cross-pollination: the basis of self-sterility in Narcissus triandrus (Amaryllidaceae) 1999-06
[50] 논문 Self-incompatibility in Asclepias
[51] 논문 Pollen compatibility in ''Asclepias syriaca''
[52] 논문 Single gene control of postzygotic self-incompatibility in poke milkweed, Asclepias exaltata L 2000-02
[53] 논문 Histological study of post-pollination events in Spathodea campanulata beauv. (Bignoniaceae), a species with 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2003-06
[54] 서적 Mutation, Developmental Selection, and Plant Evolu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55] 논문 Reproductive costs of self-pollination in ''Ipomopsis aggregata'' (Polemoniaceae): are ovules usurped?
[56] 서적 Reproductive biology in systematics, conservation and economic botany Royal Botanic Gardens, Kew 1998
[57] 논문 Detecting cross-incompatibility of three North American apricot cultivars and establishing the first incompatibility group in apricot https://www.research[...] 2020-12-25
[58] 논문 Cross-incompatibility in the cultivated almond (Prunus dulcis): Updating, revision and correction https://www.scienced[...] 2020-12-25
[59] 논문 Comparative floral ecology and breeding systems between sympatric populations of Nothoscordum bivalve and Allium stellatum (Amaryllidaceae) https://pollinatione[...] 2020-12-25
[60] 사전 岩波生物学辞典
[61] 사전 分子細胞生物学辞典
[62] 논문 Bias in the studies of outcrossing rate distributions
[63] 사전 最新農業技術事典
[64] 문서 "アブラナ科自家不和合性における''S''遺伝子座の分子遺伝学的解析"
[65] 사전 新編農学大辞典
[66] 문서 "花の形態の用語\n両性花 - 雄蕊と雌蕊を同時に持つ花。\n単性花 - 雄蕊のみを持つ花(雄花)と雌蕊のみを持つ花(雌花)。\n異形花 - 同一植物種の中で異なった形を持つ花(個体内・個体間で異なる)。広義には雄花・雌花も含み、そのほかに異形花柱花(異形蕊花)を含む。\n二形花・三形花 - 異形花柱花の種類。2種類あるいは3種類の異なる形の花をつける個体が異なっている。それらは雄蕊・雌蕊の長さ・形の違いを持っている。"
[67] 문서 "[[이네科]][[페레니얼라이그라스]]나[[라이무기]]에서는 2유전자좌, [[텐사이]]에서는 4유전자좌의 관여가 있다(『新編農学大辞典』)。"
[68] 문서 "[[카부]]・[[하쿠사이]](``Brassica rapa``)에서 100종류 이상, 히나게시에서 65종류 정도의 대립유전자가 있다(『新編農学大辞典』、「アブラナ科自家不和合性における''S''遺伝子座の分子遺伝学的解析」)。"
[69] 논문 Plant self-incompatibility systems: a molecular evolutionary perspective https://doi.org/10.1[...]
[70] 논문 Genomic organization of the S core region and the S flanking regions of a class-II S haplotype in Brassica rapa https://doi.org/10.1[...] Springer
[71] 웹사이트 植物遺伝育種学研究室でのアブラナの研究 http://www.agri.toho[...] 2009-03-08
[72] 문서
[73] 문서
[74] 논문 Cell and Molecular Biology of Self-Incompatibility in Flowering Plant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75] 문서 Style selfincompatibility gene products of ''Nicotiana alata'' are ribonucleases.
[76] 웹사이트 コケゲノムの解析:研究内容の詳細 国立遺伝学研究所
[77]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self-incompatibility RNases
[78] 논문 S-RNase and SLF determine S-haplotype–specific pollen recognition and rejection http://www.plantcell[...]
[79] 문서 バラ科植物の自家不和合性の分子機構
[80] 논문 The F-box protein AhSLF-S2 physically interacts with S-RNases that may be inhibited by the ubiquitin/26S proteasome pathway of protein degradation during compatible pollination in ''Antirrhinum''.
[81] 논문 The F-box protein AhSLF-S2 controls the pollen function of S-RNase-based self-incompatibility.
[82] 논문 The S haplotype-specific F-box protein gene, SFB, is defective in self-compatible haplotypes of ''Prunus avium'' and ''P. mume''.
[83]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pollen determinant of S-RNase-mediated self-incompatibility.
[84] 논문 S-RNase–mediated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is Ancestral in Eudicots https://doi.org/10.1[...]
[85] 논문 The different mechanisms of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86] 논문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apaver rhoeas'' is mediated by cytosolic free calcium.
[87] 논문 Ratioimaging of Ca21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ollen tubes of ''Papaver rhoeas''.
[88] 논문 Involvement of extracellular calcium influx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of ''Papaver rhoeas''.
[89] 논문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a 26-kD pollen protein is induced by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apaver rhoeas''.
[90] 논문 Alterations to the actin cytoskeleton of pollen tubes are induced by the self-incompatibility reaction in ''Papaver rhoeas''.
[91] 논문 Signal-mediated depolymerization of actin in pollen during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92] 논문 Evidence for DNA fragmentation triggered in the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in pollen of Papaver rhoeas.
[93] 논문 Self-incompatibility triggers programmed cell death in ''Papaver'' pollen.
[94] 논문 The genetic control of self-incompatibility in ''Linanthus parviflorus'' (Polemoniaceae).
[95] 논문 The different mechanisms of sporophytic self-incompatibility.
[96] 문서
[97] 논문 Distribution of self-incompatibility alleles and breeding structure of open-pollinated cultivars of Brussels sprouts.
[98] 웹사이트 花粉 http://www.biol.tsuk[...]
[99] 논문 The male determinant of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100] 논문 The pollen determinant of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campestris''.
[101] 논문 Molecular cloning of a putative receptor kinase gene encoded by the self-incompatibility locus of ''Brassica oleracea''.
[102] 논문 Pollen–stigma signalling in the sporophytic self-incompatibility response.
[103] 논문 The S receptor kinase determines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stigma.
[104] 문서 自家不和合性花粉制御''S''因子''SP11''のプロモーター領域のメチル化が直線的優劣性を制御
[105] 논문 Self-incompatibility. Prospects for a novel putative peptide-signaling molecule.
[106] 논문 "Direct ligand–receptor complex interaction controls ''Brassica'' self-incompatibility."
[107] 논문 "A membrane-anchored protein kinase involved in ''Brassica'' self-incompatibility signaling."
[108] 논문 "The biology of heterostyly."
[109] 논문 "Pattern diversity of incompatibility groups in Jepsonia heterandra (Saxifragaceae)."
[110] 논문 "Pollen flow in distylous populations of Amsinckia (Boraginaceae)."
[111] 논문 "A necessary condition for equilibrium in systems exhibiting self-incompatible mating."
[112] 학위논문 Mechanisms involved in the maintenance of inbreeding depression in gynodioecious Silene vulgaris (Caryophyllacea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University of Lausanne
[113] 논문 "Cryptic self-incompatibility in the wallflower: ''Cheiranthus cheiri'' L."
[114] 논문 "The absence of cryptic self-incompatibility in ''Clarkia unguiculata'' (Onagraceae)."
[115] 논문 "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in angiosperms."
[116] 논문 "Ovarian and other 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systems." Kluwer Academic, Amsterdam
[117] 논문 "Differential ovule development following self- and cross-pollination: the basis of self-sterility in ''Narcissus triandrus'' (Amaryllidaceae)."
[118] 논문 "Self-incompatibility in ''Asclepias''."
[119] 논문 "Pollen compatibility in ''Asclepias syriaca''."
[120] 논문 "Single Gene Control of Postzygotic Self-Incompatibility in Poke Milkweed, ''Asclepias exaltata'' L."
[121] 논문 "Histological study of post-pollination events in ''Spathodea campanulata'' Beauv. (Bignoniaceae), a species with late-acting self-incompatibility."
[122] 서적 Mutation, Developmental Selection, and Plant Evolu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23] 논문 "Reproductive costs of self-pollination in ''Ipomopsis aggregata'' (Polemoniaceae): are ovules usurped?"
[124] 논문 "Preferential outcrossing in Gomidesia (Myrtaceae) is maintained by a post-zygotic mechanism." Royal Botanic Gardens, Kew, London
[125] 서적 花粉学事典
[126] 저널 An effective time for CO2 gas treatment in overcoming self-incompatibility in Brassica https://doi.org/10.1[...]
[127] 논문 "Self-seed production by CO2 gas treatment in self-incompatible cabbage ." http://www.springerl[...]
[128] 간행물 放射線緩照射による茶樹の自家和合性突然変異品種‘茶中間母本農2号’の育成 http://www.affrc.go.[...] 農業生物資源研究所、野菜茶業研究所|野菜・茶業試験場
[129] 논문 Mutational Mechanism of Self-compatible Pear Cultivar Jinzhuili (Pyrus bretschneideri) http://china.jst.go.[...]
[130] 저널 Loss of Self‐Incompatibility and Its Evolutionary Consequences
[131] 저널 Self/non-self recognition mechanisms in sexual reproduction: new insight into the self-incompatibility system shared by flowering plants and hermaphroditic animals 201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