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개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아개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생각, 즉 자기 이미지, 자존감, 이상적 자아, 사회적 정체성 등을 포함하는 내적 모델이다. 칼 로저스와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자아개념 이론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로저스는 건강한 환경이 자아실현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매슬로우는 욕구 위계 이론을 통해 자아실현 과정을 설명했다. 존 터너의 자아 범주화 이론은 자아개념을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으로 구분한다. 자아개념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학문적 능력, 신체적 이미지, 성 정체성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문화적 차이에 따라 자아개념은 독립적 또는 상호의존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미디어, 특히 소셜 미디어는 자아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자아개념은 자기 평가, 자기 고양, 자기 검증, 자기 개선과 같은 동기를 유발하며,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측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아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자아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발생학 - 외배엽
외배엽은 발생 과정에서 형성되는 세 개의 배엽 중 하나로, 표피, 신경계, 치아 등 다양한 기관으로 분화하며, 외배엽 유래 조직의 비정상적인 발달을 특징으로 하는 외배엽 이형성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 발생학 - 내배엽
내배엽은 동물 배아 발생 시 가장 안쪽에 위치한 층으로 소화관, 간, 췌장, 폐 등 주요 기관을 형성하며, 낭배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분화되고 줄기세포 연구에 활용되며, 식물에서는 뿌리의 피질 가장 안쪽 세포층을 의미한다. - 교육심리학 - 문제 해결
문제 해결은 목표 달성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극복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추상화, 유추 등의 전략과 알고리즘을 활용하지만 인지적 장벽과 복잡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집단적 문제 해결이나 꿈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 - 교육심리학 -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 과정이며, 문제 해결, 의사 결정, 메타인지 등을 포함하고 오류를 피하며 이해하려는 노력을 강조한다.
자아개념 | |
---|---|
자기 개념 | |
유형 | 심리학적 구성 개념 |
관련 항목 | 자존감 자기 인식 사회적 정체성 이론 자기 효능감 자기 제시 정체성 (사회과학) 자기 이론 자기 인식 이론 신경 자기 기반 |
심리학적 관점 | |
정의 | 자신에 대한 신념, 자아상, 자기 평가의 복합체 |
구성 요소 | 자기 지식 (심리학) 자아상 자기 스키마 |
2. 역사
서구 심리학에서 자아개념 연구를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칼 로저스와 에이브러햄 매슬로를 들 수 있다.
칼 로저스는 모든 사람이 "이상적인 자아"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보았다. 그는 개인이 자신의 목표와 욕구를 달성할 능력이 있음을 스스로 증명할 때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진실성, 수용, 공감이 있는 건강한 환경에서의 성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건강한 관계가 부족하면 마치 "햇빛과 물이 없는 나무"처럼 성장이 멈추고 자아실현 과정이 방해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1] 로저스는 또한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외부의 기대에 따른 역할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에서 정당성을 찾으려 한다고 보았다. 반면, 신경증적인 사람은 "자신의 경험과 일치하지 않는 자아개념"을 가지며, 자신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자신의 욕구 위계 이론을 통해 자아실현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개인이 더 높은 수준의 '성장 욕구'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기본적인 '결핍 욕구'를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결핍 욕구가 충족되면, 개인은 다음 단계인 '존재 욕구'를 추구하게 되며, 이 단계에 이르면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간다고 보았다. 그러나 낮은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부정적인 경험은 개인이 위계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4]
사회심리학자인 존 터너는 자아 범주화 이론을 통해 자아개념이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라는 두 가지 수준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가 모두 자아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자아개념은 상황에 따라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사이를 빠르게 오갈 수 있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은 초등학교 시기부터 또래 집단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평가하며 사회적 정체성을 자아개념에 통합하기 시작한다. 연구에 따르면, 다섯 살 무렵부터는 또래로부터 얼마나 수용받는지가 아동의 자아개념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행동과 학업 성취로까지 이어진다.
2. 1. 한국 사회와 자기 개념
문화는 자기개념 형성에 필수적인 환경으로 여겨진다. 사회와 가정 환경 속에서 언어를 습득하는 유년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립은 단순히 개체의 독립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의존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3. 구성 요소
자아개념은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내적 모델이다. 자기 평가를 통해 자신에 대한 생각의 틀인 자아 도식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5]
심리학자 칼 로저스는 자아개념이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보았다:[2][3]
- 자아상: 자신에 대해 가지는 관점.
- 자존감 또는 자아 가치: 자신에게 부여하는 가치의 정도.
- 이상적 자아: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모습.
존 터너의 자아 범주화 이론에 따르면, 자아개념은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라는 최소 두 가지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아 평가는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이처럼 자아개념을 이루는 주요 구성 요소로는 자기 이미지, 자존감, 이상적 자아, 사회적 정체성 등이 있다.[58] [59] [60] [61] 각 요소는 개인이 자신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3. 1. 자기 이미지
자기 이미지는 개인이 스스로에 대해 가지는 관점이나 시각을 의미한다.[2][3][58][59]3. 2. 자존감
자존감은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고 소중하게 여기는지를 나타내는 평가이다.[2][3][58][59] 이는 자아개념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자아개념이 "나는 빠른 달리기 선수입니다"와 같이 자신의 인지적 또는 기술적 요소를 의미한다면, 자존감은 "나는 빠른 달리기 선수인 것에 만족합니다"와 같이 그러한 자신에 대한 평가적이고 의견이 담긴 측면을 나타낸다.자존감은 자기 지식, 사회적 자아 등과 상호 작용하며 전체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3. 3. 이상적 자아
이상적 자아는 개인이 스스로 '되고 싶은 자신'의 모습이다.[58] [59] 이는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 현재의 자신과는 다른, 미래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나 열망을 나타낸다.이상적 자아는 미래의 자아 또는 가능한 자아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사람들은 자신이 미래에 어떤 모습이 될지, 무엇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을 가지며, 이러한 생각은 특정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훌륭한 음악가가 되고 싶다'는 이상적 자아는 음악 연습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도록 이끌 수 있다.
시간적 자기 평가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현재의 자신보다 미래의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미래의 나는 지금보다 더 나아질 것"이라는 믿음과 연결되며, 긍정적인 자기 평가를 유지하려는 심리적 기제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이 이상적 자아를 추구하고 발전하려는 동기를 강화할 수 있다.
3. 4. 사회적 정체성
사회적 정체성은 개인이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자아 개념의 한 부분이다.[7][8][60][61] 이는 자신이 속한 집단(예: 가족, 학교, 국가 등)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4. 발달
자아 개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생각으로, 유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변화한다.
언제 자아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영유아기에 그 기초가 마련되어 아동기를 거치며 점차 발달하는 것으로 본다. 특히 아동기에는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능력이나 특성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청소년기는 자아 개념이 가장 활발하게 변화하고 정교화되는 중요한 시기이다.[11] 이 시기에는 자신을 보다 복합적으로 이해하게 되며, 미래의 자신에 대한 고민도 깊어진다. 또한 로맨틱 관계나 새로운 경험들은 자아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13][14]
성인기 이후에도 자아 개념은 고정되지 않고, 삶의 경험이나 사회적 관계 속에서 계속해서 다듬어지고 변화할 수 있다.
이처럼 자아 개념의 발달은 개인의 행복, 학업 성취, 사회성 등 삶의 여러 측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16]
4. 1. 유아기 및 아동기
생리학적 개체발생학적으로 생후 약 18~24개월을 전후해서 자기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연구자들은 자아 개념 발달이 정확히 언제 시작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일부 연구자들은 성 역할 고정관념과 부모가 자녀에게 가지는 기대 등이 약 3세 무렵부터 아이의 자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발달 단계에서 아이들은 매우 광범위한 자아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묘사할 때 "크다"거나 "멋지다"와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9] 이것은 자아 개념의 시작을 나타내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자기 통제 능력이 발달하면서 자아 개념이 더 늦은 아동기에 형성된다고 제시한다.[10] 이 시기가 되면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과 능력을 해석하고, 동료, 교사 및 가족으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고려할 준비가 된다.
4. 2. 청소년기
청소년기에 자아 개념은 중요한 변화의 시기를 겪는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자아 개념은 점진적으로 변화하며, 기존 개념이 다듬어지고 굳어지는 경향을 보인다.[11] 그러나 청소년기 동안 자아 개념 발달은 U자형 곡선을 나타내는데, 초기 청소년기에 전반적인 자아 개념이 감소했다가 후기 청소년기에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12]또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에서도 변화를 보인다. 어린이가 자신의 능력을 '예/아니오' 방식으로 단순하게 평가하는 것과 달리, 청소년들은 연속선상에서 자신을 평가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자신을 단순히 "똑똑하다"고 생각한다면, 청소년은 "가장 똑똑하지는 않지만 평균 이상으로 똑똑하다"와 같이 더 복잡하고 상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15]
로맨틱 관계 역시 청소년기 자아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자기 확장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관계를 통해 새로운 정보나 경험을 자신의 자아 개념에 통합하게 되는데,[14] 이는 로맨틱 관계나 새로운 도전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다.[14]
이러한 청소년기의 자아 개념 발달은 학업 성취, 행복 수준, 불안, 사회 통합,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 개인의 행동과 인지적, 정서적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16]
4. 3. 성인기
청소년기 이후, 자아 개념은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시기에는 기존에 형성된 자아 개념이 더욱 다듬어지고 견고해진다.[11] 특히 로맨틱 관계는 관계를 맺는 동안 지속적으로 개인의 자아 개념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 또한, 자기 확장 이론에 따르면, 관계를 맺거나 새롭고 도전적인 경험을 통해 개인의 자아 개념에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면서 자아 개념이 확장될 수 있다.[14]5. 학문적 자아 개념
학문적 자아개념은 개인의 학문적 능력 또는 기술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을 의미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학문적 자아개념은 부모와 초기 교육자의 영향을 받아 만 3세에서 5세 사이에 발달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만 10세에서 11세 무렵이 되면, 아동은 또래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학업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비교는 '자기 평가'라고도 불린다.
인지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는 수학과 같이 수치를 다루는 과목에서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난다. 반면, 추론 속도와 같은 다른 영역에서는 자기 평가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학문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특정 기술이나 능력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또한, 사회적 비교를 과도하게 유발하지 않는 학습 환경(예: 능력 혼합 학급 또는 유사 능력 학급 운영 시 유의)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지나친 사회적 비교는 아동의 학문적 자아개념과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6. 신체적 자아 개념
신체적 자아 개념은 개인이 자신의 신체 능력과 외모에 대해 가지는 인식이나 생각을 의미한다.[17] 이는 자신의 체형(비만도 등), 유연성, 근력 등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신체 능력 영역은 신체적인 힘이나 지구력 등을 포함하며, 외모 영역은 스스로 인지하는 매력이나 신체 이미지 등을 나타낸다.[17]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적 자아 개념에 큰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여자의 경우 대략 11세경, 남자의 경우 15세경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급격한 신체 변화와 동반되는 여러 심리적 변화는 신체적 자아 개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8]
신체 활동 참여 역시 신체적 자아 개념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경쟁적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신체적 자아 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9]
7. 성 정체성
개인의 성 정체성은 자신의 성별에 대한 감각이다.[20][21] 성 정체성은 보통 어린 나이에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국제 결혼 및 가족 백과사전에 따르면 아이가 소통을 시작하면서 발달하며, 생후 18개월에서 2세 사이에는 자신을 여자아이 또는 남자아이로 인식하기 시작한다.[22] 일부에서는 이 단계에서 이미 성 정체성이 형성되었다고 보지만, 다른 일부는 이 시기에는 비성별적 정체성이 더 두드러진다고 보기도 한다. 콜버그는 5세에서 6세 사이에 성 항상성이 나타나며, 이때 아이가 자신의 성 정체성을 명확하게 인식하게 된다고 보았다.[23][21]
성 정체성을 포함한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는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에서 일부는 남성보다 여성이 환경에 더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한다.[24]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역시 임상 환경 등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예를 들어, 쿠웨이트 대학교에서 성별 불쾌감(과거 성 동일성 장애로 불림) 진단을 받은 102명을 대상으로 자아 개념, 남성성, 여성성을 조사한 소규모 연구가 있다.[25]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족 유대감이 낮은 환경에서 성장한 경우 자아 개념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25] 따라서 개인의 성 정체성, 특히 정신 건강이나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행동과 관련된 문제를 다룰 때는 해당 사회의 정치적 태도나 신념과 같은 사회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25]
8. 측정
자아개념은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받는 외부의 판단과 자기 내면의 속성에 대한 인식 및 지각과 관련되기 때문에, 자기 보고식 설문지가 자아개념을 평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26] 학계에서 사용되는 많은 기존 설문지는 자아개념과 자존감 평가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문지로는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RSES), 성인을 위한 쿠퍼스미스 자존감 목록(CSEI), 프라이덴버그와 루이스의 청소년 대처 척도(ACS), 그리고 하터의 청소년 자아인식 프로파일 등이 있다.[27]
-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eng): 1965년 모리스 로젠버그가 개발한 척도로, 본래 청소년의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성인을 포함한 다양한 집단에게 널리 사용된다. 리커트 척도 형식의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의 자기 신뢰 수준(개인 만족도)과 자기 경멸(개인 평가 절하) 정도를 평가한다.[27] 각 문항은 1점에서 4점까지 점수가 매겨지며, 총점이 30점 이상이면 긍정적인 자존감/자아개념, 26점에서 29점 사이는 중간 수준, 25점 이하는 낮은 자존감/자아개념으로 간주된다.
- 쿠퍼스미스 자존감 목록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CSEIeng): 1981년 개발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로, 아동, 청소년, 성인의 자신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다.[28] 학교용(8-15세), 성인용(16세 이상), 단축형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원래는 학교에 다니는 아동(8-15세)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나, 이후 58개 문항 중 17개를 수정하여 성인용 버전이 만들어졌다. 성인용이 가장 흔히 사용되며, 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전체 점수와 함께 자존감의 구체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4개의 하위 점수(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동료, 가정-부모, 학교-학업)를 제공한다.[28] 각 문항은 '예/아니오'의 이분 척도로 점수를 매기며, 총점은 0점에서 50점까지 분포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음을 의미한다.[29]
- 청소년 대처 척도 (Adolescent Coping Scale|ACSeng): 1997년 에리카 프라이덴버그(Erica Frydenberg)와 라몬 루이스(Ramon Lewis)가 개발한 80개 문항의 설문지이다.[30]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대처 전략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79개의 문항은 18가지 일반적인 대처 방식을 평가하며, 이는 다시 세 가지 넓은 대처 스타일(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의 대처, 생산적 대처, 비생산적 대처)로 분류된다.[30]
-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의 대처: 전문가 도움 요청, 사회적 행동, 사회적 및 정신적 지원 구하기 등.
- 생산적 대처: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기, 문제 해결 방안 찾기, 신체적 휴식 취하기 등.
- 비생산적 대처: 걱정하기, 자기 비난하기, 희망적 사고에만 머무르기 등.[30][31]
마지막 80번 문항은 개방형 질문으로, 청소년이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하는 다른 대처 방식을 질적으로 평가한다. 이 척도는 응답자가 스스로를 평가하고 특정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성찰하게 함으로써 자아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31]
- 하터의 청소년 자아인식 프로파일 (Harter's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eng): 1988년 수잔 하터(Susan Harter)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각각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9개의 하위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척도는 청소년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9가지 측면에 대한 인식을 평가한다. 평가 영역은 외모, 로맨틱한 매력, 친밀한 우정, 사회적 능력, 행동, 학업 능력, 직업 능력, 운동 능력, 그리고 전반적인 자존감이다.[27] 검사를 받는 청소년은 각 하위 척도에서 특정 측면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표시한다. 각 문항은 1점(낮은 인지 능력)에서 4점(높은 인지 능력)까지 점수를 매긴다.
9. 동기 부여 속성
자아개념은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 부여적 특성을 지닌다. 특히 자아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 동기에는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32]
- 자기 평가: 자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이다.
- 자기 고양: 긍정적이거나 바람직한 자신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는 욕구, 즉 긍정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는 경향이다.
- 자기 검증: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자기 인식을 확인하려는 욕구이다.
- 자기 개선: 자신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정보를 배우려는 욕구이다.
이러한 동기들은 상황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구 사회에서는 자기 고양 동기가 가장 자동적으로 나타나며, 다른 동기들과 충돌할 경우 우세한 경향을 보인다.[32] 예를 들어, 정확한 피드백을 추구하는 자기 평가 동기보다, 설령 부정확하더라도 칭찬을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유지하려는 자기 고양 동기가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자아개념은 행동을 직접적으로 유발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는데,[33] 이는 자기 검증 동기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스스로를 외향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수줍음이 많다'는 피드백을 받으면, 기존 자아개념과 외부 정보 간의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 긴장을 경험한다. 이러한 긴장은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동기를 유발하며, 그 결과 부정적 피드백을 준 사람이나 관련 상황을 회피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33]
자아개념이 행동을 유발하는 또 다른 주요 동기는 현재의 자기 모습과 이상적으로 바라는 자기 모습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욕구에서 찾을 수 있다.[33] 이는 자기 개선 동기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가령, 피아노 초보자인 현재의 자아와 콘서트 피아니스트라는 이상적 자아 사이의 간극은, 그 간극을 메우기 위한 행동(예: 피아노 연습)을 하도록 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10. 문화적 차이
문화는 자아개념 형성에 필수적인 환경이다. 특히 유년기 언어 습득 과정은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하는 데 중요하며, 여기서 자립은 단순한 독립뿐 아니라 적절한 의존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은 문화에 따라, 그리고 같은 문화 내에서도 다르게 나타난다.[34] 서구 문화는 개인의 독립성과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표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즉, 자아가 집단보다 우선시된다). 그렇다고 이들이 자신의 사회나 문화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관계를 맺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35] 반면, 비서구 문화는 상호의존적 자아 개념을 선호한다.[34] 개인의 성취보다는 대인 관계가 중요하며, 개인은 자신이 속한 집단과의 강한 일체감을 경험한다.[34] 이러한 정체성 융합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질 수 있다.[34] 예를 들어, 일본에서 자아를 뜻하는 단어 중 하나인 自分|지분jpn은 '공유된 삶의 공간에서 자신의 몫'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데,[35] 이는 소속감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행동과 생각이 끊임없이 집단의 기준과 일치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인해 자아 개념에 부담을 줄 수도 있다.[35] 상호의존적이지 않은 자아 개념 역시 문화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36]
사회적 규범과 문화적 정체성은 자아 개념과 정신적 안녕에 큰 영향을 미친다.[35] 자신의 문화적 규범과 그것이 삶에서 가지는 의미를 명확히 인식할 때, 개인은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더 나은 자아 개념과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35] 이것의 한 예는 일관성과 관련이 있다. 서구의 독립적인 문화 내의 사회적 규범 중 하나는 일관성으로, 이는 각 사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자아 개념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37] 비서구, 상호의존적인 문화의 사회적 규범은 집단과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능력에 더 큰 중점을 둔다.[37] 만약 이러한 사회적 규범이 어느 문화에서든 지켜지지 않는다면, 이는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과 단절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성격, 행동 및 전반적인 자아 개념에 영향을 미친다.[35] 불교도들은 어떤 자아 개념도 영원하지 않음을 강조한다.[38]
조직 심리학자이자 교수인 아니트 소메크는 이스라엘에서 수행한 작은 연구를 통해 독립적 자아 개념과 상호 의존적 자아 개념 사이의 격차가 문화 ''내부''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자들은 도시 지역 사회의 중간 수준 상인들과 키부츠 (집단 공동체)의 상인들을 비교했다. 도시 지역 사회의 관리자들은 독립적 문화를 따랐다. 그들 자신을 묘사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들은 주로 집단 내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개인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을 사용했다. 독립적인 도시 관리자들이 상호 의존적인 유형의 응답을 했을 때, 대부분은 독립적인 문화 내에서 확인된 두 개의 가장 큰 집단인 직장이나 학교에 집중했다. 키부츠 관리자들은 상호 의존적인 문화를 따랐다. 그들은 자신의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 취미와 선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상호 의존적인 문화에서 더 자주 볼 수 있으며, 이는 사회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거주지에 대한 큰 초점이 있었는데, 이는 그들이 키부츠의 다른 사람들과 자원과 생활 공간을 공유한다는 사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차이는 스웨덴과 일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나타났다.[39] 일반적으로 이들은 모두 비서구 문화로 간주되지만, 스웨덴은 더 독립적인 특성을 보였고, 일본은 예상되는 상호 의존적 특성을 따랐다.
자신의 정체성을 집단의 일부로 간주하는 것과 함께, 자아 개념과 일치하는 또 다른 요소는 고정관념 위협이다. 이 용어에 대해서는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어 왔다: ''낙인'', ''낙인 압력'', ''낙인 취약성'' 및 ''고정관념 취약성''.[40] 클로드 스틸과 조슈아 아론슨이 이 "상황적 곤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는 '고정관념 위협'이었다. 이 용어는 "소외된 집단 정체성의 우발적인 상황적 곤경, 즉 사람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판단이나 대우에 대한 실제적인 위협을 포착하며, 이는 어떤 한계점을 넘어서는 것이다."[40] 스틸과 아론슨은 이 사회 심리적 개념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지적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고정관념 위협에 대한 아이디어를 설명했다.[41] 스틸과 아론슨은 서로 다른 두 집단, 즉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과 백인 학생을 대상으로 진단 시험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했다. 한 집단에는 고정관념 위협이 도입되었고, 다른 집단은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지적 능력을 통제한 후 고정관념 위협이 감지되었을 때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백인 학생들보다 현저히 낮았다. 스틸과 아론슨이 고정관념 위협을 시작한 이후, 다른 연구에서도 이 아이디어의 다른 집단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41]
어떤 사람의 행동이 고정관념에 대한 일반적인 가정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때, 그 행동은 의식적으로 강조된다. 개인의 개별적인 특성 대신, 사회가 객관적으로 보는 것은 사회 집단으로의 범주화이며, 이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으로 인식되어 위협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자신의 집단에 대한 판단을 확인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심리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을 만들고, 결과적으로 학습과 수행을 저해할 수 있다는 개념"[42]
고정관념 위협의 존재는 소수 집단을 더욱 소외시키는 "숨겨진 교육과정"을 영속시킨다. 숨겨진 교육과정은 하나의 기준이 "올바르고 적절한 방식"으로 받아들여지는 편견의 은밀한 표현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숨겨진 교육과정은 교육 환경이나 교실의 사회적 환경에서 작용하는 사회적 구성을 의도하지 않게 전달하는 것이다. 미국의 교육 시스템에서 이는 미국 사회의 지배적인 문화 집단에 부합한다.[43]"고정관념의 주요 원천은 종종 교사 교육 프로그램 자체이다. 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에서 가난한 학생들과 유색 인종 학생들은 '주류' 학생들보다 더 적은 성취를 기대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44] 교사에게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내장된 이러한 아동 결손 가정은 부주의하게 모든 학생들을 반드시 학문적이지 않으며, 비 "주류"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고려하지 않는 "주류" 기준으로 시험을 치르게 한다.
11. 미디어와의 관계
사람들이 특정 미디어를 다른 미디어보다 선호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이 자주 제기된다. 갈릴레오 모델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는 3차원 공간에 분포하며, 서로 가까울수록 유사성이 높다.[49] 예를 들어, 모바일과 휴대 전화는 공간상 가장 가깝지만, 신문과 문자 메시지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연구에 따르면 개인의 자아개념은 사용하는 미디어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정 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그 미디어는 개인의 자아개념에 더 가깝게 인식된다.[49]
예를 들어, 스스로 기술에 능숙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신문보다는 휴대 전화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자신을 구식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인스턴트 메시지보다는 잡지를 더 선호할 수 있다.[49]
오늘날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이 주로 소통하는 공간이 되었다. 심리적으로 자아 의식을 발달시키고, 사회적, 정서적, 정치적 집단 등 더 큰 공동체의 일원으로 느끼는 것은 자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50] 특정 집단에 소속되거나 배제되는 경험은 정체성 형성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51] 성장하는 소셜 미디어는 이미 형성된 정체성을 표현하는 장일 뿐만 아니라, 발달 중인 정체성을 탐구하고 실험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영국에서 진행된 정체성 변화 연구에 따르면, 일부 사람들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 활동을 통해 처음으로 진정한 자신을 느꼈고, 이를 통해 실제 정체성을 찾았다고 믿었다. 이들은 온라인에서 형성된 정체성이 오프라인 정체성으로 이어졌다고 보고했다.[51]
2007년에는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세 가지 주요 방식, 즉 위험 감수 행동, 개인적 견해의 소통, 타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통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했다.[52] 연구에서 위험 감수 행동은 주로 낯선 사람과의 교류를 의미했다. 개인적인 견해 소통과 관련해서는, 참가자의 절반 가량이 온라인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더 쉽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온라인 활동이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자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타인의 의견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한 참가자가 관계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접하면서 자신의 개방성과 같은 특성을 더 잘 알게 되었다고 보고했다.[52]
참조
[1]
논문
Rediscovering Rogers's Self Theory and Personality
https://www.research[...]
2015
[2]
서적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McGraw Hill
1959
[3]
웹사이트
Self Concept
www.simplypsychology[...]
2008
[4]
서적
Psychologists and Their Theories for Students
https://link.gale.co[...]
Gale
2005
[5]
웹사이트
Glossary of Psychological Terms
http://www.apa.org/r[...]
Allyn and Bacon
2011-03-14
[6]
논문
Defining and Measuring Self-Concept Change
http://link.springer[...]
[7]
논문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8]
서적
Social Psychology in Action: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rom Theory to Practice
Springer Nature
[9]
서적
The life span : human development for helping professionals
2014-01-06
[10]
서적
Development During Middle Childhood: The Years From Six to Twelve.
National Research Council
2021-07-09
[11]
논문
Adolescents' Self-Concept and Their Attitudes Towards Parents, Teachers, and Police Authority
2013-06
[12]
논문
Structure and Change in Self-Concept during Adolescence
2005-04
[13]
서적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elf-concept
https://www.worldcat[...]
Springer
2020
[14]
논문
Broadening Horizons: Self-Expansion in Relational and Non-Relational Contexts: Relational and Non-Relational Self-Expansion
https://onlinelibrar[...]
2014-01
[15]
논문
A Study of Prosocial Behaviour and Self Concept of Adolescents
2015-Summer
[16]
논문
Effect of Self-Concept on Adolescent Depression
2012-Spring
[17]
논문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of Males and Females during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2009-Summer
[18]
논문
Physical Self-Concept and Sports: Do Gender Differences Still Exist?
2004-01
[19]
논문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Sport Participation and Self-Concept in Early Adolescence: A Consideration of Gender and Sport Orientation
2009-01
[20]
서적
Child Development: A Thematic Approach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2004
[21]
서적
Introduction to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2]
간행물
Gender Identity
https://go.openathen[...]
Gale
2003
[23]
간행물
Lawrence Kohlberg
https://link.gale.co[...]
Gale
2016
[24]
논문
The Influence of Gender, Self-Identity and Organizational Tenure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rientation
https://www.worldsci[...]
2018-09
[25]
논문
Self-Concept and Masculinity/Femininity Among Normal Male Individuals and Males with Gender Identity Disorder
http://openurl.ingen[...]
2007-01-01
[26]
논문
Self Esteem/Self Concept Scal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https://acamh.online[...]
2005-11
[27]
논문
Questionnaires Assessing Adolescents' Self-Concept, Self-Perception, Physical Activity and Lifestyle: A Systematic Review
2022-01-10
[28]
논문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rench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the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2015-06
[29]
논문
An Adult Version of the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 Test-Retest Reli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https://journals.sag[...]
1978-12
[30]
논문
Questionnaires Assessing Adolescents' Self-Concept, Self-Perception, Physical Activity and Lifestyle: A Systematic Review
2022-01
[31]
논문
Coping and its correlates: What the adolescent coping scale tells us
https://www.tandfonl[...]
1994-11-01
[32]
서적
Self-Concept
SAGE Publications
2007
[33]
서적
The Self and Its Strivings
Wiley
2018
[34]
논문
When group membership gets personal: A theory of identity fusion
http://www.icea.ox.a[...]
2012-01-01
[35]
논문
The Role of Cultural Identity Clarity for Self-Concept Clarity,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2010
[36]
서적
The Concept of Self in Hindu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and Its Implication for Interfaith Relati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7
[37]
논문
Self-Concept Consistency and Culture: The Differential Impact of Two Forms of Consistency
2011
[38]
서적
Freud and the Buddha: The Couch and the Cush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
논문
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Adolescent Self-Concept in Two Cultures: Japan and Sweden
2007
[40]
논문
Whistling Vivaldi: and Other Clues to How Stereotypes Affect Us
2010
[41]
논문
Examining Recruitment and Retention Factors for Minority STEM Majors Through a Stereotype Threat Lens
2018-01-03
[42]
논문
Stereotype Threat and Gender Differences in Chemistry
2017-04
[43]
논문
What We Don't Know We Are Teaching
http://dx.doi.org/10[...]
2006
[44]
논문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Our Future's Greatest Challenge
2006
[45]
논문
A Matter of Style: The Teacher as Expert, Formal Authority, Personal Model, Facilitator, and Delegator, College Teaching
2010
[46]
논문
Physical Self-Concept and Sports: Do Gender Differences Still Exist?
2004-01-01
[47]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Math and Verbal Self-Concept,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Motivation
2004-02-01
[48]
논문
The Impact of Gender Stereotypes on the Self-Concept of Female Students in STEM Subjects with an Under-Representation of Females
2017-05-17
[49]
논문
Media use as a function of identity: The role of the self concept in media usage
Peter Lang
2010
[50]
논문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Identity Construction
2017
[51]
논문
Future Identities Changing Identities in the UK: the next 10 years
2013
[52]
논문
The Impact of Internet Usage on Adolescent Self-Identity Development
2007
[53]
논문
自己構築におけるナラティヴとメンタライジングの関連 -研究動向と今後の展望-
https://waseda.repo.[...]
早稲田大学人間科学学術院心理相談室
2019-12
[54]
논문
空間的視点取得課題の自己中心的反応に関する2つの理論の比較
https://nagoya.repo.[...]
名古屋大学教育学部
1995-12
[55]
웹사이트
自己概念 (self-concept)
http://rinnsyou.com/[...]
2024-06-26
[56]
웹사이트
Glossary of Psychological Terms
http://www.apa.org/r[...]
Allyn and Bacon
2011-03-14
[57]
논문
Defining and Measuring Self-Concept Change
http://link.springer[...]
[58]
문서
1959
[59]
문서
2008
[60]
논문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61]
서적
Social Psychology in Action: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rom Theory to Practice
Springer N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