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교적 정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적 정체성은 개인이 종교에 대해 갖는 소속감, 믿음, 가치관 등을 의미한다. 1800년대 초 심리학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졌으나, 이후 과학 발전과 세속화의 영향으로 연구가 위축되었다가 20세기 후반부터 다시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했다. 종교적 정체성에는 민족, 성별, 이민 세대,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특히 사회적 정체성 이론에 따라 소수 민족이나 특정 집단의 경우 종교적 정체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종교적 정체성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종교 참여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성인 모색기에는 종교적 정체성이 유지되면서 종교 활동 참여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적 정체성 - 파르시인
    파르시인은 이슬람교 박해를 피해 인도에 정착한 조로아스터교도의 후손으로, 인도 사회에 통합되어 독자적인 관습과 전통을 유지하며, 높은 문해율과 자선 활동으로 명성이 높다.
  • 종교적 정체성 - 유대인
    유대인은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서 기원하여 종교, 민족, 문화를 공유하며, 유대교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를 형성했고, 역사적으로 박해와 차별을 겪었지만 시오니즘 운동을 통해 이스라엘을 건국했으며, 오늘날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민족이다.
  • 종교와 사회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종교와 사회 - 보편주의
    보편주의는 모든 사람과 사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원리나 법칙이 존재한다는 철학적, 종교적 입장으로, 절대적 진리나 가치를 믿으며 다양한 종교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나지만, 문화적 상대주의와의 갈등이나 가치 해석의 차이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종교적 정체성
개요
정의종교적 정체성은 특정 종교의 신념, 관행, 우선 순위 및 소속감에 대한 개인의 자기 인식
중요성개인의 자아 개념, 행동,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침
형성 요인
사회화가족, 친구, 종교 공동체, 문화적 맥락을 통해 종교적 가치와 신념을 내면화함
개인적 경험삶의 사건, 영적 탐구, 종교적 의례 참여 등이 종교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
사회적 맥락사회적, 정치적 환경이 종교적 정체성의 발달과 표현에 영향
발달 단계
아동기종교적 가치와 신념을 가족과 공동체로부터 수용
청소년기종교적 신념을 탐구하고 질문하며, 개인의 가치관과 통합
성인기종교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심화시키며,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표현
영향
행동도덕적 판단, 사회적 참여, 건강 습관 등에 영향
관계대인 관계, 결혼, 공동체 의식 등에 영향
정신 건강삶의 의미와 목적을 제공하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
관련 개념
종교적 신념특정 종교의 교리와 가르침에 대한 믿음
종교적 관행기도, 예배, 의례 등 종교적 신념을 표현하는 활동
종교적 소속감특정 종교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유대감
기타
참고종교적 정체성은 개인의 삶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개념

2. 역사적 배경

심리학 분야에서 종교에 대한 연구는 19세기 초반 중요하게 여겨졌으나, 이후 과학 발달과 함께 세속화 경향이 나타나면서 잠시 주춤하는 시기를 겪었다.[49][50][14][15][51][52][16][17] 그러나 종교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금 중요한 연구 주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53][18] 특히 청소년기의 종교적 정체성 형성과 같은 구체적인 주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관련 연구들이 이어졌다.

2. 1. 19세기 ~ 20세기 초: 종교 연구의 중요성 인식과 쇠퇴

심리학 분야에서 1800년대 초반, 종교 주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고 보편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G. 스탠리 홀이나 윌리엄 제임스와 같은 연구자들은 종교적 전환과 같은 주제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했다.[49][50][14][15]

그러나 약 20년 후, 종교에 대한 대중과 학계의 시각은 변화하기 시작했다.[50][15] 종교는 개인의 삶과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이자 연구가 필요한 주제로 여겨지기보다는, 과학의 진보를 저해하는 요소이며 더 이상 현대 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주제로 간주되었다.[50][51][52][15][16][17] 이러한 인식 변화와 함께 세속화 경향이 나타나면서, 일부 사회 과학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교가 전반적으로 쇠퇴하고 결국 종교 연구가 완전히 중단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예측과는 달리 종교는 사라지지 않았고, 오히려 연구자들에게 여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주제로 재인식되었다. 영국의 사회학자 존 톰슨과 같은 학자들은 종교 연구에 대한 학계의 무관심 속에서도 종교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인할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53][18] 이에 따라 종교에 관한 연구들이 다시금 시작되었으며, 특히 청소년기의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일부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2. 2. 20세기 후반 ~ 현재: 종교 연구의 부활과 현대적 의의

사회 과학자들은 세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종교가 전반적으로 쇠퇴하고 종교 연구 역시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18] 그러나 이러한 예측과는 달리 종교는 사라지지 않았고, 오히려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계속해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18]

영국의 사회학자 존 톰슨과 같은 학자들은 종교 연구에 대한 과거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종교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부인할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18] 이에 따라 종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다시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특히 청소년기의 종교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는 등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적 의미를 탐구하는 연구들이 활발해졌다.

3. 종교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종교적 전통은 문화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하게 얽혀 있을 수 있다.[38][45][54][3][10][19]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민족, 성별, 세대 간의 차이가 중요한 변수로 꾸준히 언급되어 왔다.[38][45][54][3][10][19] 구체적인 요인들과 그 영향에 대해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사회적 요인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개인이 속한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보는데, 특히 소수 민족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이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하기 위해 종교적 정체성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55][20]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미국의 라틴 아메리카계나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같은 소수 민족 집단이 다수 집단인 유럽계 미국인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종교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6][54][11][19]

성별 또한 종교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적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여성남성보다 종교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종교를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기는 경향이 관찰된다.[45][10][38][3]

이민 경험과 관련된 세대 차이 역시 종교적 정체성과 유의미한 관련을 보인다. 이민 1세대나 2세대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공동체의 지원을 얻는 과정에서 종교에 더 의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후속 세대보다 높은 종교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43][44][8][9] 이러한 민족/인종, 성별, 이민 세대에 따른 구체적인 종교적 정체성의 차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3. 1. 1. 민족/인종 차이

사회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소수 민족 배경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이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을 강조할 수 있다.[55] 이러한 생각은 유럽계 미국인에 비해 소수 민족, 특히 라틴 아메리카계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더 높은 수준의 종교적 정체성을 나타낸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다.[46][54]

3. 1. 2. 성별 차이

성별은 종교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남성보다 예배와 같은 종교 행사에 더 자주 참석하며, 종교를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여기는 경향이 더 강하다.[45][10] 여러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종교적 태도를 보인다는 관찰을 통해 이러한 성별 차이를 설명한다.[38][3]

이러한 경향은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종교 참여에 대한 4년간의 종단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여성 청소년들은 남성 청소년들보다 교회 관련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스스로를 종교적인 개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45]

3. 1. 3. 이민 세대 차이

사회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소수 민족 배경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이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을 강조할 수 있다.[55][20] 이러한 경향은 미국의 사례 연구에서 확인되는데, 유럽계 미국인에 비해 라틴 아메리카계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같은 소수 민족 집단에서 더 높은 수준의 종교적 정체성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한다.[46][54][11][19]

미국에서의 이민 경험과 관련하여 세대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세대설명
1세대미국 밖에서 태어나 이민 온 개인
2세대미국에서 태어났으나, 부모가 외국에서 태어나 이민 온 개인
3세대본인과 부모 모두 미국에서 태어난 개인



연구에 따르면, 특히 1세대와 2세대 개인은 3세대 이민자에 비해 종교적 정체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43][44][8][9] 이는 이민 과정에서 겪는 여러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많은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예배 장소 등에서 제공하는 정서적, 사회적, 재정적 지원 공동체를 찾는 것이 이민자들에게 중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44][9] 실제로 이민 가정의 청소년(1세대와 2세대)이 부모가 이민자가 아닌 청소년(3세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종교적 정체성을 보고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3][44][8][9]

3. 2. 제도적 요인

연구에 따르면, 학교와 같은 제도적 요인이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56][21] 예를 들어, 영국중등학교에 다니는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56][21], 학생들이 학교 교육 과정이나 또래 집단의 흔한 고정관념 속에서 자신의 종교적 전통이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을 경험한다고 보고되었다.[56][21] 이러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의 종교적 소속을 숨기거나, 비판이나 괴롭힘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종교를 방어적이고 타협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경향을 보였다.[56][21]

3. 3. 종교의 사회적 지위

연구에 따르면 종교의 사회적 지위를 떨어뜨리는 사건은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가톨릭 교회의 성추문 스캔들을 들 수 있는데, 이 사건 이후 스스로를 가톨릭 신자라고 밝히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2] 특히 이러한 종교적 정체성의 약화는 흑인, 저소득층 가정 출신, 그리고 부모의 교육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들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4. 종교 정체성의 발달 궤적

개인의 종교정체성 발달 과정은 민족, 성별, 세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종단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소수의 연구들은 주로 청소년기[38][46][50][57]와 성인 모색기(초기 성인기)[39][58][59][60]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 활동 참여가 비슷한 궤도를 그리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함께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여겨졌고, 많은 연구에서 이 두 개념을 통합적으로 다루었다.[38][45] 하지만 최근의 종단 연구들은 종교적 소속감, 정체성, 참여 등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발달 궤적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청소년기 동안 개인의 종교적 소속이나 정체성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종교 활동 참여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4]

이러한 경향은 성인 모색기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관찰된다. 즉, 생애 주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강화될 수도 있지만, 실제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는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60] 이는 개인이 자율성을 추구하고 삶의 다른 영역에 우선순위를 두게 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생애 주기에 따른 종교 정체성의 발달 궤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모든 연구 결과가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종교 활동 참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종교적 정체성 자체는 청소년기와 성인 모색기를 거치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54][60]

4. 1. 청소년기

연구자들은 청소년기가 정체성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 주목해 왔다.[38][46][50][57] 이 시기 청소년들은 자신의 민족, 문화, 종교적 전통을 탐구할 기회를 갖게 되지만[3][38], 이러한 탐구는 대개 부모나 보호자의 영향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 활동 참여가 시간이 흐르면서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여겨졌고, 많은 연구들이 이 두 요소를 함께 묶어 다루었다.[3][10][38][45] 그러나 최근의 종단 연구들은 종교적 소속, 정체성, 참여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변화 궤적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시절 청소년들의 종교적 소속과 정체성이 예상과 달리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9][54] 이는 종교를 갖지 않게 되거나 종교적 정체성이 약화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다른 결과이다.

청소년기의 종교적 정체성이 안정성을 보이는 것은 민족 정체성과 같은 다른 사회적 정체성의 발달 양상과 유사하다.[27][61] 연구자들은 청소년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사회 환경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깊이 탐구하거나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9][54] 또한, 청소년기의 종교적 정체성은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28][62], 대부분의 청소년이 고등학교 시기까지 부모와 함께 생활하므로 종교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기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종교적 소속감이나 정체성의 안정성과는 달리, 실제 종교 활동 참여는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19][54] 청소년들은 자율성이 커지면서 스스로 종교 행사에 참여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학업, 동아리 활동, 스포츠 등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다른 활동들이 많아지면서, 종교 활동보다 이러한 활동들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고등학교 후반기에 나타나는 종교 활동 참여의 현저한 감소는 성인기로 이어지면서 참여율이 더욱 낮아질 수 있음을 예고하는 것일 수 있다.[39][58][59][60]

4. 2. 성인 모색기

청소년기는 전통적으로 정체성 탐구의 중요한 시기로 여겨지지만, 이 과정은 청소년기가 끝날 때 완성되지 않는다.[38][46][50][57] 오히려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에 이르는 '성인 모색기'(emerging adulthoodeng)는 청소년기부터 시작된 정체성 형성 과정이 연장되는 시기이다.[5][6][7][40][41][42]

이 시기는 낭만적인 관계, 직업 탐색, 세계관의 지속적인 변화 등으로 특징지어지며,[5][40] 일반적으로 '준 자율성'(semi-autonomyeng)을 갖는 시기로 간주된다.[29][30][63][64] 자율성이 커지면서 성인 모색기에 있는 사람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집을 떠나거나 대학에 진학하는 등 스스로의 삶을 선택하고 개척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은 다양한 가치관과 세계관이 공존하는 새롭고 복잡한 환경에 놓이게 된다.

성인 모색기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한적이다. 청소년기 연구에 비해 이 시기의 종교적 정체성 발달과 종교 활동 참여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하지만 성인 모색기의 빈번한 변화, 증가된 자율성, 다양한 환경과의 접촉 등은 개인의 종교적 소속감, 정체성, 그리고 종교 활동 참여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개인은 종교적 개념에 대해 더 복잡하게 이해하게 되면서 질문, 의심, 혹은 새로운 신념으로의 전환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종교적 신념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31]

과거에는 특히 대학에 다니는 젊은이들에게 종교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32][33][34][65][66][67][68]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4][24][25][26][39][58][59][60] 한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 중 14%는 대학 생활 동안 종교적 신념이 약해졌다고 응답했지만, 48%는 변화가 없었으며, 오히려 38%는 신념이 더 강해졌다고 보고했다.[4][39]

또한, 성인 모색기 동안 종교적 정체성과 종교 활동 참여가 모두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실제로는 종교적 정체성은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종교 활동 참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60] 연구자들은 이 시기의 성인들이 종교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거나 종교의 중요성을 부정하기보다는, 종교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빈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한편, 성인기에 접어드는 기준에 대한 인식은 개인이 속한 기관의 종교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4][58] 예를 들어, 모르몬교 계열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가톨릭교회 계열 대학이나 공립 대학 학생들에 비해 상호 의존성, 규범 준수, 생물학적 성숙, 가족 형성 능력 등을 성인의 중요한 기준으로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요약하자면, 관련 연구 결과들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성인 모색기 동안 종교 활동 참여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개인의 종교적 정체성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나타난다.[19][26][54][60]

5. 한국 사회와 종교 정체성 (별도 추가)

한국 사회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가 공존해 온 다종교 사회의 특징을 지닌다.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불교, 유교, 도교 등이 유입되어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근대 이후에는 기독교(개신교와 천주교)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인의 종교 정체성은 단순히 특정 종교의 교리를 따르는 것을 넘어, 개인의 가치관, 소속된 공동체와의 관계,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과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난다.[1]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종교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유지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마을 단위의 제사나 공동체 의례는 지역 사회의 결속을 다지는 기능을 했으며, 여러 종교의 가르침은 윤리적 규범과 생활양식의 근간을 이루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서구적 개인주의 가치의 확산은 전통적인 종교 공동체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종교에 대한 개인의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2]

현대 한국 사회에서 종교 정체성은 여러 양상으로 나타난다. 특정 종교에 깊이 귀의하여 신앙생활을 하는 인구가 여전히 상당수 존재하며, 이들에게 종교는 삶의 의미를 찾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중요한 정신적 지주가 된다. 또한, 종교 단체는 사회봉사, 교육, 문화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며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특히 일부 대형 종교 단체는 조직력을 바탕으로 사회·정치적 현안에 목소리를 내기도 하는데, 때로는 이러한 활동이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거나 특정 이념 집단과의 유착으로 비판받기도 한다.[3]

한편, 제도권 종교에서 벗어나거나 특정 종교를 믿지 않는 무종교 인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도 뚜렷하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종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거나, 기존 종교의 권위주의적이고 배타적인 모습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종교가 더 이상 개인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핵심 요소가 아니거나, 혹은 전통적인 종교의 형태가 아닌 개인화된 영성이나 가치관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현대인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4]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종교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 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있다. 다원화된 가치관 속에서 개인의 선택이 중시되면서 종교를 받아들이는 방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새로운 형태의 영성 추구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한국 사회에서 종교 정체성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떻게 변화해 나갈지는 계속 주목해야 할 과제이다.

참조

[1] 논문 Young people's identity formation in mixed-faith families: continuity or discontinuity of religious traditions? 2010
[2] 논문 "Religious involvement among rural youth: An ecological and life-course perspective" 1997
[3] 논문 "Exploring adolescent spiritual and religious development: current and future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2004
[4] 논문 "Religion and college attendance: Change among students" 2002
[5] 논문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2000
[6] 논문 Identity closure: A fifth identity status 1996
[7] 논문 "A comparison of identity and intimacy statuses in college students and adults" 1985
[8] 논문 "Immigrant generation, assimilation,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2001
[9] 논문 "The role of religion in the origins and adaptations of immigrant groups in the United States" 2004
[10] 논문 "Personality traits in adolescents as predictors of religiousness in early adulthood: Findings from the Terman longitudinal study" 2003
[11] 논문 "Religion and U.S. secondary school students: Current patterns, recent trends,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2003
[12] 논문 Becoming Muslim: The Development of a Religious Identity https://academic.oup[...] 2005
[13] 논문 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in reported school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Muslims in England http://pure-oai.bham[...] 2017-09-03
[14] 서적 Adolescence, Vol. II Appleton 1904
[15] 논문 "Religion, community service, and identity in American youth" 1999
[16] 논문 "The child study movement" Academic press 1982
[17] 서적 Psychological Care of Infant and Child Norton 1928
[18] 서적 The Media and Modernity: a social theory of the med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19] 논문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Psychology Press 2001
[20] 논문 Religious identity choices in English secondary schools https://www.reposito[...] 2014-08-08
[21] 논문 Religion, Identity and Preferences https://papers.ssrn.[...] 2024
[22] 논문 Religion and identity: The role of ide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ontexts 2003
[23] 논문 The role of religion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young emerging adults 2005
[24] 논문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2010
[25] 논문 Losing my religion: The social sources of religious decline in early adulthood 2007
[26] 논문 Stability and change in ethnic labeling among adolescents from Asian and Latin American immigrant families 2008
[27] 간행물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Conference on Human Development, Washington, DC 2004
[28] 논문 Leaving and returning home in 20th century America 1994
[29] 논문 Semiautonomy and leaving home in early adulthood 1986
[30] 서적 Religiosity in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https://doi.org/10.1[...] Springer 2023-12-02
[31] 논문 Casting Off the Bonds of Organized Religion: A Religious-Careers Approach to the Study of Apostasy 1993
[32] 논문 Religious socialization, apostasy, and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1984
[33] 보고서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Report) 2008
[34] 논문 Church Attendance and Traditional Religious Beliefs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Panel Study 1989
[36] 논문 Young People's Identity Formation in Mixed-Faith Families: Continuity or Discontinuity of Religious Traditions? http://dx.doi.org/10[...] 2009-12-09
[37] 논문 Religious Involvement Among Rural Youth: An Ecological and Life-Course Perspective http://dx.doi.org/10[...] 1997-10
[38] 논문 Exploring Adolescent Spiritual and Religious Development: Current and Future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http://dx.doi.org/10[...] 2004-01
[39] 논문 Religion and College Attendance: Change among Students http://dx.doi.org/10[...] 2002
[40] 논문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http://dx.doi.org/10[...] 2000
[41] 논문 Identity Closure: A Fifth Identity Status http://dx.doi.org/10[...] 1996-09
[42] 논문 A comparison of identity and intimacy statuses in college students and alumni. http://dx.doi.org/10[...] 1985
[43] 논문 Immigrant Generation, Assimilation,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http://dx.doi.org/10[...] 2001-03-01
[44] 논문 The Role of Religion in the Origins and Adaptation of Immigrant Groups in the United States1 http://dx.doi.org/10[...] 2006-02-23
[45] 논문 Personality Traits in Adolescence as Predictors of Religiousness in Early Adulthood: Findings from the Terman Longitudinal Study http://dx.doi.org/10[...] 2003-08
[46] 논문 Religion and U.S. Secondary School Students http://dx.doi.org/10[...] 2003-09
[47] 논문 Becoming Muslim: The Development of a Religious Identity https://academic.oup[...] 2005-10-01
[48] 논문 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in reported school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Muslims in England http://dx.doi.org/10[...] 2017-09-03
[49] 서적 Adolescence, Vol. II. New York: Appleton 1904
[50] 논문 Religion, community service, and identity in American youth http://dx.doi.org/10[...] 1999-04
[51] 서적 The Child Study Movement: Early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ymbolized Child http://dx.doi.org/10[...] Elsevier 1982
[52] 서적 Psychological care of infant and child http://worldcat.org/[...] Norton 1928
[53] 서적 The media and modernity : a social theory of the media http://worldcat.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54] 논문 A Longitudinal Study of Religious Identity and Participation During Adolescence http://dx.doi.org/10[...] 2011-06-16
[55] 서적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M. A. Hogg & D. Abrams (Eds.), Relations: Essential readings. Key readings in social psychology (pp. 94-109)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2001
[56] 논문 Religious identity choices in English secondary schools http://doi.wiley.com[...] 2014-08-08
[57] 논문 Religion and Identity: The Role of Ide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ontexts http://dx.doi.org/10[...] 2003-07
[58] 논문 The Role of Religion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Young Emerging Adults http://dx.doi.org/10[...] 2005-06
[59] 논문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http://dx.doi.org/10[...] 2010-04
[60] 논문 Losing My Religion: The Social Sources of Religious Decline in Early Adulthood http://dx.doi.org/10[...] 2007-06-01
[61] 논문 Stability and Change in Ethnic Labeling Among Adolescents From Asian and Latin American Immigrant Families http://dx.doi.org/10[...] 2008-07
[62] 논문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Conference on Human Development, Washington, DC 2004
[63] 논문 Leaving and returning home in 20th century America Population Bulletin 1994
[64] 논문 Semiautonomy and Leaving Home in Early Adulthood http://dx.doi.org/10[...] 1986-09
[65] 논문 Casting off the Bonds of Organized Religion: A Religious-Careers Approach to the Study of Apostasy http://dx.doi.org/10[...] 1993-03
[66] 논문 Religious Socialization, Apostasy, and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http://dx.doi.org/10[...] 1984-09
[67] 서적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2008 http://worldcat.org/[...] Pew Research Center 2008
[68] 논문 Church Attendance and Traditional Religious Beliefs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 Panel Study http://dx.doi.org/10[...] 198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