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전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 전씨는 백제의 개국공신 전섭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개국공신 전락이 팔공산 전투에서 순절하여 천안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순의, 전몽성, 전봉준 등 다양한 인물이 배출되었다. 본관은 충청남도 천안이며, 주요 인물로는 전락, 전봉준 등이 있다. 2015년 기준 약 17만 명의 인구가 있으며, 호남 지방에 인구 비율이 높다.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등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 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천안 전씨 | |
| 성씨 | 천안 전씨 天安全氏 |
| 나라 | 한국 |
| 관향 | 충청남도 천안시 |
| 시조 | 전섭(全聶) |
| 중시조 | 전락(全樂) |
| 인물 | 전승 전신 전영보 전윤장 전순의 전몽성 전상의 전동흘 전봉준 전수용 전부일 전종천 전병우 전휴상 전석홍 전태홍 전철환 |
| 집성촌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담양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남도 천안시 대전광역시 |
| 년도 | 2015 |
| 인구 | 176,239명 |
2. 역사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인 온조(溫祚)가 백제를 건국할 때 마려(馬藜) 등 9사람과 함께 백제 개국의 공을 세운 '''전섭'''(全聶)은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1]
전섭의 29세손인 '''전락'''(全樂)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과 대구 공산전투에서 싸울 때 신숭겸과 함께 순절하였다. 그 후 삼사(三司)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되었고,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천안을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인 온조(溫祚)가 백제를 건국할 때 마려(馬藜), 오간(烏干),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우(紇于),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사람과 함께 백제 개국의 공을 세운 시조(始祖) '''전섭'''(全聶)은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1]전섭(全聶)의 29세손인 '''전락'''(全樂)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과 대구 공산전투에서 싸울 때 신숭겸과 함께 순절하였다. 그 후 삼사(三司)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되었고,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천안을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3. 본관
천안은 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지명이다. 본래 마한의 맹주 목지국의 영토였고, 삼국시대 백제에게 목지국이 정복된 뒤 대목악군(大木岳郡)과 그 산하의 감매현(甘買縣)이 설치되었다가 고구려의 사산현(蛇山縣)이 되었다. 남북국시대 신라 경덕왕 때 대목악군은 대록군(大麓郡)으로, 감매현은 순치현(馴雉縣)으로 개칭되었다. 930년(고려 태조 13)에 천안부(天安府)로 고치고, 군병을 주둔시켜 도독(都督)을 두었다. 목종 때 이를 폐지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천안군이 되어 지사부(知事府)를 두어 1개의 속군과 직산 등 7개의 속현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천안을 녕주(寧州)로 고쳤고, 1362년(공민왕 11)에는 다시 천안부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 녕산군(寧山郡)으로 고쳤다가 1416년 다시 천안군으로 고치고 문종 때 명산(明山)으로 불렀다. 1896년 충청남도 천안군이 되었고, 1914년 목천군·병천군을 합하였다. 1963년 천안읍이 천안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 천안군을 통합하였다.
4. 인물
'''고려'''
'''조선'''
- 전순의: 조선 세종, 문종, 세조 3대에 걸쳐 전의감 의관 역임.
- 전몽성: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을 격퇴하던 중 전사.
- 전상의: 1627년(인조 5) 구성부사로서 좌영장을 겸함.
- 전동흘: 포도대장 역임, 장화·홍련의 원한을 풀어줌.
- 전봉준: 동학 농민 운동가
4. 1. 고려
전락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927년(고려 태조 10년) 10월 신라를 위기에서 구하고자 고려 태조 왕건과 함께 후백제군을 상대로 대구 공산 동수(지금의 팔공산) 전투에 참여했다.[1] 후백제 견훤의 대군에 포위되어 고려군이 악전고투했으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신숭겸과 함께 왕건에게 일개 병사 복장으로 위장하여 탈출할 것을 제안했다.[1] 왕건은 이 제안을 받아들여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는 데 성공했으나, 전락과 신숭겸 등 8명의 장수와 많은 병사들은 순절했다.[1] 이후 이곳은 팔공산으로 불리게 되었다.[1] 고려 태조는 이들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여 전락에게 정2품 증좌복야를 제수하고 [충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1] 고려 현종 1년(1010년)에는 표충사를 건립하여 전락과 신숭겸을 배향했고, 현종 3년에는 사액을 지급했다.[1] 전락의 아버지는 전종도이며, 친동생은 전반으로 표기대장군을 지냈고 정선 전씨 및 기타 전씨의 중시조에 해당한다.[1]전승은 우정승 전인량(全仁亮)의 아들이다. 1297년(충렬왕 23) 12월에 우부승지(右副承旨)가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 즉위 후 관제 개혁 과정에서 정방(政房)이 폐지되고 한림원(翰林院)이 인사권을 관장하게 되자, 승지로서 이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5월 숭문관학사 병조상서(崇文館學士兵曹尙書)가 되었다가, 6월 다시 승지가 되었고, 7월 좌부승지 판비서시사 보문각직학사(左副承旨判秘書寺事寶文閣直學士)에 올랐다.
전신(1276년 ∼ 1339년)은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1301년(충렬왕 27) 내의직장(內衣直長)으로 문과에 급제하고, 다음 해 숭경부승(崇慶府丞)이 되었다. 이어서 정방관(政房官)에 발탁되었고, 비서랑(秘書郞)에 올랐다. 1304년 국학직강(國學直講), 1307년 안동부판관, 1309년(충선왕 1) 전의부령(典儀府令), 1311년 김해부사, 1314년(충숙왕 1) 사헌장령·선부의랑(選部議郎)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317년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에 오르고 1319년 계림부윤, 1321년 복주목사(福州牧使)를 지낸 뒤 면직되었다. 1330년(충혜왕 즉위년) 감찰대부 진현관대제학 상호군(監察大夫進賢館大提學上護軍)에 올랐고, 다음해 동지밀직사사 상의 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가 된 뒤 1332년(충숙왕 복위 1) 은퇴하였다.
전광재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완성한 진주부병마금할시상서시랑이었으며, 동국이상국집도 간행하였다.
4. 2. 조선
- 전승: 우정승 전인량(全仁亮)의 아들이다. 1297년(충렬왕 23) 12월에 우부승지(右副承旨)가 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한 이후 관제를 개혁하면서 인사권을 자신이 장악하기 위해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한림원에서 인사권을 관장하도록 하였는데, 이때 승지로서 참여하였다. 같은 해 5월 숭문관학사 병조상서(崇文館學士兵曹尙書)가 되었다가, 6월 다시 승지가 되었고, 7월 좌부승지 판비서시사 보문각직학사(左副承旨判秘書寺事寶文閣直學士)에 올랐다.
- 전신: 음서로 관직에 나아간 뒤 내의직장(內衣直長)으로 1301년(충렬왕 27) 문과에 급제하고, 다음해 숭경부승(崇慶府丞)이 되었다. 이어서 정방관(政房官)에 발탁되었고, 비서랑(秘書郞)에 올랐다. 1304년 국학직강(國學直講), 1307년 안동부판관, 1309년(충선왕 1) 전의부령(典儀府令), 1311년 김해부사, 1314년(충숙왕 1) 사헌장령·선부의랑(選部議郎)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317년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에 오르고 1319년 계림부윤, 1321년 복주목사(福州牧使)를 지낸 뒤 면직되었다. 1330년(충혜왕 즉위년) 감찰대부 진현관대제학 상호군(監察大夫進賢館大提學上護軍)에 올랐고, 다음해 동지밀직사사 상의 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가 된 뒤 1332년(충숙왕 복위 1) 은퇴하였다.
- 전광재: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완성한 진주부병마금할시상서시랑. 동국이상국집도 간행하였다.
- 전순의: 조선 세종, 문종, 세조의 3조(朝)에 걸쳐 전의감의 의관을 지냈다. 시약(侍藥)의 공로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가자되고 1467년 내의로 상호군에 이어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1등에 녹선되었다.
- 전몽성: 무과에 급제하여 현감에 제수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 아우 몽진(夢辰), 첨사 김덕흡 등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을 격퇴하던 중 전사하였다. 숙종 때 병조참의에 추증되었고, 영암의 장동서원(長洞書院)에 제향되었다.
- 전동흘: 1651년(효종 2) 무과에 급제하고, 포도대장에 이르렀다. 철산부사였을 때 억울하게 죽은 장화·홍련의 원한을 풀어주었다.
- 전봉준: 동학 농민 운동가
5. 과거 급제자
6. 항렬자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69세 |
|---|---|---|---|---|---|---|---|---|---|---|---|---|---|---|---|---|---|
| 용(用) | 口원(元) | 상(商) | 口래(來) | 무(茂), 영(永), 장(章), 병(炳), 口식(植), 광(光), 진(鎭), 해(海), 口달(達), 규(奎) | 口범(範), 口영(榮), 口진(鎭), 口갑(甲), 口화(火), 口목(木), 口시(始), 口수(秀), 口왕(王), 口재(在) | 상(庠) | 口재(宰) | 정(廷) | 口옥(沃) | 위(胃) | 口욱(旭) | 남(南) | 口우(雨) | 성(晟) | 口기(起) | 강(康) | 口장(章) |
7. 집성촌
| 지역 |
|---|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연천리 |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삼만리 |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학동리 |
|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동산리 |
|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평지리 |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영등리 |
|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문양리 |
| 전라남도 여수시 월내동 |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신림면 벽송리 |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공음면 신대리 |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 |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덕치면 일중리 |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대정리 |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
|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 |
| 대전광역시 대성동 |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산동 |
8. 인구
| 연도 | 가구 | 인구 |
|---|---|---|
| 1985년 | 27,193가구 | 114,016명 |
| 2000년 | 40,740가구 | 133,074명 |
| 2015년 | 176,239명 |
2015년 기준 지역별 인구 분포는 아래와 같다.
| 지역 | 인구 |
|---|---|
| 서울 | 31,588명 |
| 부산 | 4,199명 |
| 대구 | 1,390명 |
| 인천 | 7,314명 |
| 광주 | 10,669명 |
| 대전 | 4,873명 |
| 울산 | 1,041명 |
| 경기 | 26,081명 |
| 강원 | 1,076명 |
| 충북 | 3,597명 |
| 충남 | 8,346명 |
| 전북 | 15,427명 |
| 전남 | 12,285명 |
| 경북 | 1,662명 |
| 경남 | 2,150명 |
| 제주 | 1,396명 |
9. 문화재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에서 출토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의 기록에 의하면 전씨가 백제시대부터 성씨를 사용한 것이 고증된다. 비암사(碑岩寺)는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신라말 도선(道詵)이 중창했다. 극락전 앞에 있는 3층석탑의 정상부분에서 3점의 비상(碑像)이 발견되었는데,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국보 제106호,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은 보물 제367호,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보물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참조
[1]
문서
백제 십제공신
[2]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