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리아 패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리아 패싱은 대한민국이 외교적으로 소외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신조어이다. 1998년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일본 미방문 상황에서 유래되었으며, 2017년 대선 토론에서 유승민 후보가 언급하며 널리 알려졌다. 문재인 정부 시기, 미국과의 관계, 대북 제재 및 사드 관련 갈등, 북미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의 갈등, 중국과의 관계 악화, 북한의 외면, 그리고 일본과의 관계 악화 등 다양한 외교적 상황에서 코리아 패싱 논란이 제기되었다. 윤석열 정부 시기에는 전 세계 지도자들이 대한민국 정부와의 외교 활동을 회피하면서 코리아 패싱 우려가 더욱 심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신조어 - 명박산성
    명박산성은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를 막기 위해 서울 도심에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바리케이드로, 청와대 진입로 봉쇄와 '불통' 정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시위 현장에서 사용되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을 받았으며, 과도한 경찰력 행사와 집회 시위 자유 침해 논란을 야기했다.
  • 대한민국의 신조어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페스카마 15호 사건
    페스카마 15호 사건은 1996년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참치잡이 원양어선 선상 살인 사건으로, 조선족 선원들이 선상 생활의 어려움과 귀국 요구 거절에 불만을 품고 한국인 선원 등을 살해한 후 대한민국으로 인도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당시 열악한 원양어선 선원들의 노동 환경과 외국인 선원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2019년 대한민국 - 조국 사태
    조국 사태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에서 불거진 입시 비리, 사모펀드 투자, 웅동학원 채무 문제 등 여러 의혹과 그에 따른 사회적 갈등을 총칭하는 사건이다.
  • 2019년 대한민국 -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
    2019년 5월 29일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에서 발생한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는 바이킹 시긴호와 허블레아니호의 충돌로 한국인 관광객 33명을 포함한 35명의 탑승객 중 27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된 사고로, 바이킹 시긴호 선장은 중과실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코리아 패싱
정의
코리아 패싱한반도 문제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현상
문화어남조선 소외
관련 정보
설명북한 문제 논의에서 한국이 소외된다는 좌절감을 표현하는 신조어
사용 예시WSJ "北문제 논의 한국 배제에 '코리아 패싱' 신조어 유행… 한국인들 좌절감 느껴"
출처https://www.wsj.com/articles/south-koreans-feel-overlooked-by-u-s-in-north-korea-debate-1504109030

2. 유래 및 용어 논란

'코리아 패싱'이라는 용어는 1998년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일본을 방문하지 않고 중국만 방문하고 돌아간 상황에서 유래했다. 당시 일본 언론들은 이를 국제무대에서 일본이 소외되는 것이라며 '재팬 패싱(Japan passing)'이라고 불렀다.[43][44][3][1]

한국에서는 2017년 19대 대선 TV 토론에서 당시 바른정당 소속 유승민 후보가 '한국이 외교무대에서 소외당하고 홀대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 용어를 언급하면서 본격적으로 이슈가 되었다.[43][2] 2017년 초 '코리아 패싱'은 대한민국이 처한 외교적 상황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부상했다.[43][1]

그러나 '패싱(passing)'이라는 표현 자체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는 일본식 영어(재플리시)이며 올바른 영어 표현은 '콜드-숄더(cold-shoulder)'라는 지적이 있다.[44][4] 또한, 각국 정부 차원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콩글리시'에 가깝다는 비판도 제기된다.[45][5]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월스트리트 저널, 워싱턴 포스트, 폭스 뉴스 등 미국의 주요 언론에서는 '코리아 패싱'을 대한민국의 상황을 빗댄 신조어로 소개하기도 했다.[41][46][47][4]

3. 문재인 정부 시기 코리아 패싱 논란

2017년 19대 대선 TV 토론에서 당시 바른정당 소속 유승민 후보가 '한국이 외교 무대에서 소외당하고 홀대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코리아 패싱'이라는 용어를 언급하면서 이슈가 되었다. 이 용어는 1998년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일본을 방문하지 않고 중국만 방문한 상황을 일본 언론이 '재팬 패싱(Japan passing)'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43][44] 2017년 초, 코리아 패싱은 당시 대한민국의 외교적 상황을 반영하는 핵심 키워드로 부상했다.[43]

용어 자체에 대한 논란도 있다. '패싱(passing)'이 일본식 영어 표현이며, 올바른 영어 표현은 '콜드-숄더(cold-shoulder)'라는 지적이 있다.[44] 또한 각국 정부 차원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콩글리시'에 가깝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45] 그러나 월스트리트 저널, 워싱턴 포스트, 폭스 뉴스 등 미국의 주요 언론에서는 대한민국의 상황을 설명하는 신조어로 소개하기도 했다.[41][46][47]

코리아 패싱과 상반되는 개념으로는 문재인 정부가 외교 정책 방향으로 추진한 한반도 운전자론이 있다. 이는 남북 관계를 주도적으로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미 관계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48]

3. 1. 미국과의 관계

2017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한국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북한 문제에 대한 양국 간의 입장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며 '코리아 패싱' 우려가 제기되었다. 미국의 강력한 대북 제재 기조와 문재인 정부의 대화 및 포용 정책 사이의 간극, 사드(THAAD) 배치 문제 등이 주요 갈등 요인이었다.[50][52][53][54][62]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는 통화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는 연락하지 않은 일[57][58], 미국 뉴욕 타임스가 문재인 대통령을 '왕따(odd man out)'로 표현한 보도[63][64] 등은 국내외적으로 코리아 패싱 논란을 증폭시켰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2017년 11월 7일 방한한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굉장히 중요한 국가"라면서 "건너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직접 언급하며 코리아 패싱 논란을 불식시키려 했다.[65] 하지만 일부 보수 야당 등에서는 이를 형식적인 외교적 수사로 평가하며, 실질적인 합의가 없는 이상 논란은 계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66] 실제로 한미 정상회담 이후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문재인 정부의 개성공단 재개 검토나 중국의 사드 압박 대응 등을 언급하며 '믿기 어려운 친구(unreliable friend)'라고 칭해, 미국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67]

워터게이트 사건 특종 기자였던 밥 우드워드는 자신의 저서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싫어했으며, 북한 같은 적국보다 동맹인 한국에 더 화를 내는 모습을 보여 참모들이 우려했다는 내용을 밝히기도 했다.[68]

2018년 북미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도 양국 간의 불협화음은 계속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일방적인 진행과 외교적 결례 논란을 일으켰으며,[71][72][73] 이후 북미 정상회담을 한국 측과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등[74]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코리아 패싱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3. 1. 1. 대북 제재 및 사드 관련 갈등

2017년 1월 20일, 미국에서는 강력한 대북 제재와 대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했다.[49] 같은 해 3월 10일 한국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었고, 이어질 대통령 선거에서 북한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입장을 가진 문재인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새로 들어설 한국 정부가 미국의 강력한 대북 제재 기조에 소극적일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50][6][7]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이 한국을 배제한 채 한반도 문제에 접근하는 이른바 '코리아 패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시각이 제기되었다.[52]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THAAD) 비용 청구 발언에 대해 대선 후보들 간의 의견이 엇갈렸던 점도 이러한 우려의 배경 중 하나였다.[5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 총리


2017년 4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 차례 탄도 미사일발사했으며, 9월 3일에는 6차 핵실험을 감행하며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대북 제재와 압박의 강도를 높였다. 비슷한 시기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체제 안전을 보장하고,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대북 경제 협력 강화를 추진하면서 미국과는 다른 정책 방향을 보였다.[53][54][7][8] 이러한 정책적 차이는 한미 간의 엇박자와 갈등으로 이어졌다.[55][56][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발사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통화를 했지만, 문재인 대통령과는 별다른 연락이 없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코리아 패싱 논란은 더욱 확산되었다.[57][58][9][10] 당시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당 등 야권에서는 이를 '코리아 패싱' 및 '문재인 패싱'으로 규정하며,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과 안보 의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59][60][61]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주한 미군의 THAAD(사드) 배치 과정의 투명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미국 국방부가 이에 반박하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사드 배치와 관련된 갈등 또한 표면화되었다.[62][11]

3. 1. 2. 북미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의 갈등

2018년 5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 직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비핵화와 관련해 "왜 당신이 내게 했던 개인적인 장담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얘기가 다른지" 물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69][14]

외교 결례 논란이 불거진 2018년 5월 22일 한미 정상회담


그로부터 사흘 뒤인 5월 22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굳은 표정으로 일관했으며,[70] 기존에 예정되었던 단독 회담 시간을 일방적으로 줄이고 기자회견 형식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는 모습을 보였다.[71] 이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총 28차례 질문을 받았으나,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단 2차례의 답변 기회만 주어졌다.[71] 특히 문 대통령의 마지막 답변 순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가 예전에 들었던 얘기일 거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통역을 들을 필요가 없다"며 통역을 중간에 끊고 회담을 마무리해 외교적 결례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72][73][15]

한미 정상회담 직후인 5월 24일, 트럼프 대통령은 6월로 예정되어 있던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에 사전 통보가 없었으며, 청와대는 트위터 등을 통해 취소 소식을 접한 뒤에야 상황 파악에 나서는 일이 벌어졌다.[74][16]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한국이 북미 대화 국면에서 소외되는 '코리아 패싱'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다시 강하게 제기되었다.[75]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였던 홍준표는 코리아 패싱을 언급하며, 북미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는 문재인 정부의 역할과 무관하게 미국과 중국의 협상에 달려있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외교력을 비판했다.[76][17][18]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취소 발표 하루 만에 다시 북미 간 대화가 진행 중이라고 입장을 번복했다. 이 과정에서 뉴욕 타임스와 애틀랜틱 등 미국 언론은 문재인 대통령이 전격적인 남북회담을 통해 다시 상황을 주도하려 나섰다고 평가하며, 북미정상회담 취소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문 대통령이 다시 김정은 위원장과 만나는 장면을 연출했다고 보도했다.[77][78][79]

이후 2019년 6월 30일 판문점 남·북·미 정상 회동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의 동행을 원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19]

3. 2. 중국과의 관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중국과의 관계에서도 '코리아 패싱' 논란이 불거졌다.[58][20] 문재인 정부가 사드(THAAD) 추가 배치를 결정하자 중국 측은 강하게 반발하며 양국 관계는 급격히 냉각되었다.[58][80][20][21] 이후 2017년 10월 관계 정상화 합의가 발표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중국이 한국 측의 '3불(不) 약속'(사드 추가 배치 불가, 미국 미사일 방어체계 불참, 한미일 군사동맹 불가)을 강조하면서 국내에서는 '굴욕 외교'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81][82][21][22]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에 대해 명확한 유감 표명이나 재발 방지 약속 없이, 오히려 '3불 약속' 준수를 관계 개선의 전제 조건처럼 내세워 향후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83][23]

이러한 갈등은 2017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과정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84] 이례적으로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이나 공동 언론 발표문조차 채택되지 못했으며,[84] 리커창 총리 등 중국 측 주요 인사와의 식사 일정이 잡히지 않아 대통령이 방문 기간 중 상당수 식사를 수행원들과 하는 '혼밥' 논란이 일었다.[84][85] 또한, 대통령을 취재하던 한국 사진기자들이 중국 측 경호원들에게 집단 폭행당하는 사건까지 발생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다.[87]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중국이 한국을 외교적으로 홀대하고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으며, 일부 야당과 시민단체는 이를 '중국발 코리아 패싱'이라 규정하고 중국 정부의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하기도 했다.[88][89][90]

3. 2. 1. 사드 배치 관련 갈등

문재인 정부가 사드 추가 배치를 결정하자,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문재인 정부의 결정이 양국 관계에 찬물을 뿌린 것이라고 항의하였다.[58][80][20][21] 또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속았다며 서운함을 토로했다고 알려졌다.[58][80][20][21]

냉랭한 관계가 지속되던 한국과 중국은 2017년 10월 31일 관계 정상화를 위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를 담은 공동 문서를 발표하였다.[81][21] 그러나 이 과정에서 중국 측은 한국 측이 사드 추가 배치 금지, 미국미사일 방어 체계(MD) 참여 금지, 한미일 군사 협력 금지 등 세 가지를 하지 않겠다는 이른바 '3불(不)'을 약속했다고 주장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굴욕 외교'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81][82][22][21]

중국은 사드 보복 문제에 대해 명시적인 유감 표명이나 재발 방지 약속 없이, 오히려 한국이 '3불 약속'을 지켜야만 양국 간 교류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83][23] 이는 향후 이 문제가 한중 관계에서 다시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남겼다.[83]

3. 2. 2. 문재인 대통령 방중 굴욕 논란

중국 측 인사 없이 베이징의 한 식당에서 식사하는 문재인 대통령


한중 간 봉합되지 않은 갈등은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국빈 방문 과정에서 여러 논란을 통해 드러났다.[84] 중국 측의 이견 등으로 인해, 이례적으로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은 물론 공동 언론 발표문도 채택하지 못했다.[84]

게다가 리커창 등 중국 주요 인사들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식사를 거부하여, 문 대통령은 방중 기간 열 끼 중 여덟 끼를 중국 측 주요 인사 없이 식사하는 이른바 '혼밥' 논란을 겪었다.[84][85] 청와대는 이러한 '혼밥' 논란에 대한 야당의 비판에 "일정을 일부러 안 잡고 공부하려고 비워뒀다", “꼭 밥을 먹어야 의미가 있나” 등의 해명을 내놓았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85][86]

뿐만 아니라,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을 취재하던 한국 기자가 12월 14일 중국 측 경호원들에게 집단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고, 이를 제지하던 청와대 춘추관 간부까지 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87] 집단 폭행을 당한 기자는 오른쪽 눈 주위가 심하게 붓고 양쪽 코에서 출혈이 있었으며, 어지럼증과 구토 증세를 호소했다.[87] 이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기자 집단 폭행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자존심이 짓밟혔다고 지적하며,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하였다.[88] 중국외교만행규탄시민행동, 자유총연맹,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일부 시민단체들도 중국 대사관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갖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빈 방문 중 발생한 논란들을 "중국발 코리아 패싱"이라고 지적하며, 중국 정부의 재발 방지 약속과 사과를 요구하였다.[89][90]

3. 3. 북한과의 관계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에 군사당국회담, 적십자회담 개최 및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 등을 제안하며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했으나, 초기에는 북한 측의 무응답으로 인해 남북 관계 개선에 어려움을 겪었다.[58][9]

상황은 2018년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히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91][24] 이를 계기로 북한의 올림픽 참가가 성사되었고, 이후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지며 남북 관계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91][24]

그러나 비핵화 및 2018년 북미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 북한은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맥스 선더(Max Thunder)' 실시와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 공사의 활동 등을 문제 삼으며 예정된 남북 고위급 회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등 다시 남측을 배제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91][24][92][25] 이러한 북한의 일방적인 행동은 남북 관계의 불확실성을 높였고, 대한민국이 북한 문제 논의에서 소외되는 '코리아 패싱'에 대한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켰다.[91][24]

이후 2020년 6월에는 북한이 개성에 위치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며 남북 관계는 더욱 경색 국면으로 접어들었다.[26]

3. 3. 1. 북한의 외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에 군사당국회담, 적십자회담 개최를 제안하고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를 요청하는 등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했다.[58][9] 그러나 북한 측은 한동안 이러한 제안에 응답하지 않아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58][9]

상황은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2018년 신년사를 통해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히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91][24] 이를 계기로 북한의 올림픽 참가가 성사되었고, 이후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등 남북 관계에 훈풍이 불었다.[91][24]

하지만 비핵화 논의와 2018년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다시 갈등이 불거졌다.[91][24] 북한은 한미 연합 공군훈련인 '맥스 선더(Max Thunder)'를 강하게 비난하고, 영국 주재 공사로 근무하다 탈북한 태영호 전 공사의 활동을 문제 삼으며 '천하의 인간쓰레기'라는 원색적인 표현까지 사용했다.[92][25] 결국 북한은 이러한 이유들을 들어 예정되어 있던 남북 고위급 회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며 다시 남측을 외면하는 태도를 보였다.[92][25] 이러한 북한의 일방적인 태도는 대한민국 정부의 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북 관계가 경색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코리아 패싱'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91][24]

나아가 2020년 6월에는 개성에 설치되었던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26]

3. 4. 일본과의 관계

일본과의 관계 악화 속에서 코리아 패싱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2019년 2019년 G20 오사카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못한 것은 이러한 우려를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93][94][31][32] 당시 야당을 중심으로 문재인 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코리아 패싱 가능성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95][96][94]

한편, 일본 내에서는 문재인 정부를 외교적으로 거리를 두려는 기류가 감지되었으며,[27] 이는 2019년 일본 방위백서에서 한국의 안보 파트너로서의 중요도를 이전보다 낮게 기술한 데서도 나타났다.[28][29] 또한 일본 정부는 2018년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한일 청구권 협정의 근간이 훼손되었다고 주장하며 한국 측의 해결을 요구하는 등 경색된 관계를 이어갔다.[30]

3. 4. 1. G20 정상회의 계기 한일 관계 악화

2019년 G20 오사카 정상회의에서 주최국인 일본과 대한민국 간의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93] '코리아 패싱'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94][31][32] 당시 야당이었던 자유한국당황교안 대표는 G20 정상회의에서 주요국과의 회담 일정조차 불투명한 상황을 지적하며, 문재인 정부가 미북정상회담 성사에만 집중하느라 '코리아 패싱'을 자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95][96]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역시 일본과의 정상회담 무산을 언급하며, 문재인 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코리아 패싱'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94]

한편, 일본 내에서는 문재인 정부를 정중하게 무시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인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27] 또한 일본은 2019년 방위백서에서 한국의 안보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이전보다 낮게 기술하며 냉대하는 태도를 보였다.[28][29] 일본 정부는 2018년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한일 청구권 협정이라는 양국 관계의 법적 근거가 한국 측에 의해 훼손되었다고 주장하며, 한국이 국제법 위반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30]

공로명 전 외교부 장관은 당시 한국 정부가 외교적으로 미숙하게 대응하여 한일 관계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파탄에 가까울 정도로 악화되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33]

4. 윤석열 정부 시기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 정부와의 외교 활동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은 한국 방문을 확정하지 않았으며,[34]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또한 한국 방문 계획을 취소하고 동남아시아 순방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5]

2024년 12월 13일(한국 시간 기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 전쟁이 종료된 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발언은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지 않을 경우, 대한민국이 국제 외교 무대에서 소외되는 '코리아 패싱'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켰다.[36]

같은 해 12월 14일,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회복력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협력 준비가 되었음을 시사했다.[37]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만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대한민국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신속하게 진행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외교적 고립과 국제적 위상 하락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38][39][40]

참조

[1] 웹사이트 In the North Korea Standoff, South Koreans Say, 'What About Us?' https://www.wsj.com/[...] 2019-11-10
[2] 웹사이트 코리아 패싱 검색어 1위 왜? https://www.mk.co.kr[...] 2017-04-26
[3] 뉴스 As Japan buddies up to Trump, South Korea frets it's being disrespected https://www.washingt[...] 2019-11-10
[4] 웹사이트 [뉴스와 콩글리시] '운전자론' 무색하게 한 '코리아 패싱' http://www.dt.co.kr/[...] 2019-11-10
[5] 웹사이트 논란 된 '코리아 패싱' 콩글리시?···정부 "미국도 안 쓰는 용어" https://news.naver.c[...] 2019-11-10
[6] 웹사이트 트럼프의 대북 정책이 확정됐다 https://www.huffingt[...] 2019-11-10
[7] 뉴스 Exclusive: Trump administration weighing broad sanctions on North Korea - U.S. official https://www.reuters.[...] 2019-11-10
[8] 웹사이트 [단독]"트럼프, 문재인 정부 대북지원에 불만… 한미FTA 폐기에 영향" http://www.donga.com[...] 2019-11-10
[9] 웹사이트 끝내 대답없는 북한… '코리아 패싱' 위기 앞에 선 문재인 정부 http://www.hankookil[...] 2019-11-10
[10] 웹사이트 트럼프·아베, 文에 '지금이 그럴 때냐' 몰아붙여 http://www.munhwa.co[...] 2019-11-10
[11] 웹사이트 [단독] 미 국방부, 문 대통령의 사드 주장을 반박 https://news.joins.c[...] 2019-11-10
[12] 뉴스 South Korea's Leader Will Be Odd Man Out in Meeting With Trump and Shinzo Abe https://www.nytimes.[...] 2019-11-10
[13] 웹사이트 South Korea's Bow to Beijing https://www.wsj.com/[...] 2019-11-10
[14] 웹사이트 문 대통령에 전화한 트럼프, 왜 당신과 북 얘기 다른가 물어 https://news.joins.c[...] 2019-11-10
[15]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Moon of the Republic of Korea Before Bilateral Meeting https://trumpwhiteho[...] 2019-11-10
[16] 웹사이트 靑, 트럼프 미북정상회담 중단선언에 "상황 파악중" https://news.chosun.[...] 2019-11-10
[17] 웹사이트 트럼프의 마음을 돌린 문재인과 김정은 http://www.pressian.[...] 2019-11-10
[18] 웹사이트 '한반도 운전자론' 힘 받았다…靑, 남북미 연쇄회동 대비 https://news.sbs.co.[...] 2019-11-10
[19] 뉴스 Trump didn't want Moon in DMZ, writes Bolton https://koreajoongan[...] 2020-08-08
[20] 웹사이트 끝내 대답없는 북한… '코리아 패싱' 위기 앞에 선 문재인 정부 http://www.hankookil[...] 2019-11-10
[21] 웹사이트 한국, 사드 추가배치 포기하고 중국과 교류 정상화 http://monthly.chosu[...] 2019-11-10
[22] 웹사이트 3不은 對中 굴욕외교인가 체면 세워주기인가 http://news.kmib.co.[...] 2019-11-16
[23] 웹사이트 한중 '해빙'…'3불 약속' 불씨 남겨 http://www.ichannela[...] 2019-11-16
[24] 웹사이트 문전박대 당한 南…'코리아패싱' 또다시 시작됐나 https://news.chosun.[...] 2019-11-16
[25] 웹사이트 고위급회담 취소…'맥스 선더'와 "인간쓰레기" http://imnews.imbc.c[...] 2019-11-16
[26] 웹사이트 North Korea's Wrecking of Liaison Office a 'Death Knell' for Ties With the South https://www.nytimes.[...] 2020-08-29
[27] 웹사이트 Quote of the day: Polite ignorance could be the best way to deal with the administration of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ttps://japantoday.c[...] Japan Today 2020-08-20
[28] 웹사이트 Defence of Japan 2019 https://www.mod.go.j[...] MOD, Japan 2020-08-23
[29] 웹사이트 Japan to give South Korea cold shoulder as security partner in new defense white paper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0-08-21
[30] 간행물 Failur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omply with obligations regarding arbitration under the Agreement on the Settlement of Problems concerning Property and Claims and on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Statement by Foreign Minister Taro Kono) https://www.mofa.go.[...] MOFA, Japan 2020-08-22
[31] 웹사이트 손학규 "국제사회에서 韓 제대로 역할하는지 의문" http://www.newsis.co[...] 2019-11-16
[32] 웹사이트 G20 한일정상회담 불발…靑 "日, 준비 안돼" http://www.yonhapnew[...] 2019-11-16
[33] 웹사이트 Korean gov't acted like amateurs, had it coming with Japan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20-08-29
[34] 뉴스 美국방장관, 일본 방문 발표…"방한은 추진하다 보류"(종합) https://www.yna.co.k[...] 2024-12-06
[35] 뉴스 日이시바, '계엄사태' 한국 대신 인도네시아 방문 조율 https://www.hankyung[...] 2024-12-07
[36] 뉴스 트럼프, 김정은에 신호 보내는데‥"한국 혼란 장기화되면 최악" https://imnews.imbc.[...] 2024-12-13
[37] 뉴스 美, 탄핵소추에 "韓민주적회복력 확인‥권한대행과 일할준비돼" https://imnews.imbc.[...] 2024-12-15
[38] 뉴스 트럼프 "취임 전 이시바와 회동 가능"‥일본 "환영" https://imnews.imbc.[...] 2024-12-17
[39] 뉴스 트럼프, 취임 전 일 총리 만나려는데…한국 언급 없어 https://www.hani.co.[...] 2024-12-17
[40] 뉴스 멈춰 선 한국, 달리는 일본, ‘외교 정상화’ 한시가 급하다 [사설] https://www.hani.co.[...] 2024-12-17
[41] 뉴스인용 In the North Korea Standoff, South Koreans Say, ‘What About Us?’ https://www.wsj.com/[...] 2017-08-30
[42] 뉴스인용 WSJ "北문제 논의 한국 배제에 '코리아 패싱' 신조어 유행… 한국인들 좌절감 느껴" http://news.chosun.c[...]
[43] 뉴스인용 코리아 패싱 검색어 1위 왜? http://news.mk.co.kr[...] 2017-04-26
[44] 웹사이트 http://www.dt.co.kr/[...]
[45] 뉴스 논란 된 ‘코리아 패싱’ 콩글리시?···정부 “미국도 안 쓰는 용어” https://news.naver.c[...]
[46] 뉴스인용 As Japan buddies up to Trump, South Korea frets it’s being disrespected https://www.washingt[...] 2017-11-03
[47] 뉴스인용 AP Explains: How a single Trump sentence enraged South Korea http://www.foxnews.c[...] 2017-04-21
[48] 뉴스인용 문재인 ‘한반도 운전자론’ 앞에 등장한 돌부리 http://www.mediatoda[...] 2018-05-21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huffingt[...] 2018-09-03
[50] 뉴스인용 Exclusive: Trump administration weighing broad sanctions on North Korea - U.S. official https://www.reuters.[...] 2017-03-21
[51] 뉴스인용 文·沈 "사드 10억弗 동맹국 맞나" 安·洪·劉 "다른 전략적 의도있어" http://news.mk.co.kr[...] 2017-04-29
[52] 뉴스인용 한국의 ‘對北제재 이탈 가능성’ 우려하기 시작한 美 http://www.munhwa.co[...] 2017-03-22
[53] 뉴스인용 文대통령 "北 체제안전 보장하는 한반도 비핵화 추구"(속보) http://www.yonhapnew[...] 2017-07-06
[54] 뉴스인용 [文정부 국정과제] 개성공단ㆍ금강산 관광 재가동 추진…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축 http://news.heraldco[...] 2017-07-19
[55] 뉴스인용 [단독]“트럼프, 문재인 정부 대북지원에 불만… 한미FTA 폐기에 영향” http://news.donga.co[...] 2017-09-29
[56] 뉴스인용 “트럼프·아베, 文에 ‘지금이 그럴 때냐’ 몰아붙여” http://www.munhwa.co[...] 2017-09-22
[57] 뉴스인용 北 미사일 시험 후 미일 정상 통화…'코리아 패싱' 논란 http://imnews.imbc.c[...] 2017-08-01
[58] 뉴스인용 끝내 대답없는 북한… ‘코리아 패싱’ 위기 앞에 선 문재인 정부 http://www.hankookil[...] 2017-08-01
[59] 뉴스인용 홍준표 대표, 문재인 패싱이 코리아 패싱 안되도록 역할 찾겠다 http://www.newsis.co[...] 2017-08-10
[60] 뉴스인용 바른정당 "文 대통령 해외순방…코리아·문재인 패싱만 확인" http://news1.kr/arti[...] 2017-09-23
[61] 뉴스인용 '코리아패싱' 공방 가열…靑 반박, 野 재반박 http://www.asiae.co.[...] 2017-08-04
[62] 뉴스인용 [단독] 미 국방부, 문 대통령의 사드 주장을 반박 http://www.joongang.[...] 2017-06-23
[63] 뉴스인용 South Korea’s Leader Will Be Odd Man Out in Meeting With Trump and Shinzo Abe https://www.nytimes.[...] 2017-09-20
[64] 뉴스인용 《뉴욕타임스》 "입지 좁아진 文 대통령…韓·美·日 정상회담서 '왕따' 당할 수도“ http://monthly.chosu[...] 2017-09-21
[65] 뉴스인용 트럼프 "한국, 굉장히 중요한 국가…한국 건너뛰는 일 없다" http://www.yonhapnew[...] 2017-11-07
[66] 뉴스인용 백승주 “트럼프 ‘코리아 패싱 없다’는 레토릭…논쟁 끝나지 않을 것” http://news.donga.co[...] 2017-11-08
[67] 뉴스인용 South Korea’s Bow to Beijing https://www.wsj.com/[...] 2017-11-07
[68] 뉴스인용 밥 우드워드 ‘공포’ 출간…“트럼프, 문 대통령 싫어한다” http://www.ichannela[...] 2018-09-12
[69] 뉴스인용 "트럼프, 文에 전화 걸어 왜 당신과 북 얘기 다른가 물어" http://www.joongang.[...] 2018-05-21
[70] 뉴스인용 트럼프, 문 대통령 칭찬에도 무덤덤…"文에 숙제 낸 것" https://news.sbs.co.[...] 2018-05-23
[71] 뉴스 문 대통령 36분간 앉혀놓고…트럼프 '외교결례' 원맨쇼 http://www.joongang.[...] 2018-05-24
[72]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Moon of the Republic of Korea Before Bilateral Meeting https://www.whitehou[...] 2018-05-22
[73] 뉴스 돌발 기자회견에 韓·美 단독회담 축소…결례·오역 논란도 http://news.tvchosun[...] 2018-05-23
[74] 뉴스 靑, 트럼프 미북정상회담 중단선언에 "상황 파악중" http://news.chosun.c[...] 2018-05-24
[75] 뉴스 '코리아 패싱' 현실화 하나 http://www.sisa-news[...] 2018-05-21
[76] 뉴스 홍준표 ‘코리아패싱’ 원하나…“미북회담 성사 여부, 문 정권 아닌 중국에 달렸다” http://www.seoul.co.[...] 2018-05-26
[77] 웹사이트 http://www.pressian.[...]
[78] 웹사이트 https://news.sbs.co.[...]
[79] 웹사이트 http://www.nocutnews[...]
[80] 뉴스 중국 "사드 배치 결정, 양국 관계 찬물" http://www.ytn.co.kr[...] 2017-08-07
[81] 뉴스 한국, 사드 추가배치 포기하고 중국과 교류 정상화 http://monthly.chosu[...] 2017-11-01
[82] 뉴스 3不은 對中 굴욕외교인가 체면 세워주기인가 http://news.kmib.co.[...] 2017-11-03
[83] 뉴스 정치 한중 ‘해빙’…‘3불 약속’ 불씨 남겨 http://www.ichannela[...] 2017-10-31
[84] 뉴스 중국, 文대통령·리커창 오찬도 거부… 국빈에 결례 http://news.chosun.c[...] 2017-12-12
[85] 뉴스 ‘국빈’ 문 대통령…열 끼 중 여덟 끼 ‘혼밥’ http://www.ichannela[...] 2017-12-16
[86] 뉴스 문재인 대통령 혼밥, 야당 비아냥에 청와대 "꼭 밥을 먹어야 의미가 있나" http://www.etnews.co[...] 2017-12-16
[87] 뉴스 中 경호원, 文대통령 취재 한국 기자 둘러싸고 구둣발 집단폭행 http://news.chosun.c[...] 2017-12-14
[88] 뉴스 안철수 “얻어맞은 韓기자? 국민 자존심 짓밟혀…강경화 경질해야” http://news.kmib.co.[...] 2017-12-15
[89] 뉴스 "한국이 조공국이냐" 中대사관 앞서 기자폭행 항의 집회 http://www.yonhapnew[...] 2017-12-15
[90] 뉴스 中경호원 한국기자 집단구타, 문명국이길 포기했나? http://www.segye.com[...] 2017-12-16
[91] 뉴스 문전박대 당한 南…'코리아패싱' 또다시 시작됐나 http://news.chosun.c[...] 2018-05-22
[92] 뉴스 고위급회담 취소…'맥스 선더'와 "인간쓰레기" http://imnews.imbc.c[...] 2018-05-16
[93] 뉴스 G20 한일정상회담 불발…靑 “日, 준비 안돼” http://www.yonhapnew[...] 2019-06-25
[94] 뉴스 손학규 "국제사회에서 韓 제대로 역할하는지 의문" http://www.newsis.co[...] 2019-06-19
[95] 뉴스 황교안 “G20 앞두고 미북정상회담만 매달려 ‘코리아 패싱’ 자처” http://news.kbs.co.k[...] 2019-06-24
[96] 뉴스 황교안 "문재인 정부, 김정은에 올인 4강 등한시…외교 무너져" http://imnews.imbc.c[...] 2019-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