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후두, 기관, 기관지의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6개월에서 5~6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발생하며, 개 짖는 듯한 기침, 쉰 목소리, 천명음,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크룹과 세균성 크룹으로 나뉘며, 바이러스성 크룹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세균성 크룹은 디프테리아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치료는 스테로이드, 에피네프린, 산소 공급 등을 포함하며, 인플루엔자 및 디프테리아 예방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고, 덱사메타손 등 약물로 치료한다. -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다양한 숙주에 질병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사람에게는 감기, SARS, MERS, COVID-19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질병의 총칭이다. - 상기도 질환 - 감기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도 감염으로, 기침,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을 사용한다. - 상기도 질환 - 후두개염
후두개염은 후두덮개의 염증으로 발열, 인후통, 삼킴 곤란, 쉰 목소리, 천명 등을 유발하며, 과거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감염이 주 원인이었으나 현재는 다른 세균 감염이 흔하고, 후두경 검사로 진단하며 기도 확보와 항생제 투여, 필요시 기관 삽관 또는 절개술을 시행한다. - 소아청소년과 - 신체검사
신체검사는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한 의료 행위로 병력 청취, 신체 진찰, 필요시 추가 검사 등을 포함하며, 정기 건강검진의 효과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 소아청소년과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크룹 | |
|---|---|
| 일반 정보 | |
![]() | |
| 분야 | 소아과학 |
| 기타 이름 | 크루피 기침 성문하 후두염 폐쇄성 후두염 후두기관기관지염 |
| 증상 및 징후 | |
| 주요 증상 | "짖는" 기침 천명음 열 코막힘 |
| 경과 및 합병증 | |
| 지속 기간 | 일반적으로 1~2일, 최대 7일까지 지속될 수 있음 |
| 합병증 |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 원인 및 예방 | |
| 원인 | 주로 바이러스성 |
| 예방 | 인플루엔자 및 디프테리아 예방 접종 |
| 진단 및 감별 진단 | |
| 진단 방법 | 증상에 기반 |
| 감별 진단 | 후두덮개염 기도 이물질 세균성 기관염 |
| 치료 | |
| 약물 치료 | 스테로이드 에피네프린 |
| 빈도 및 사망률 | |
| 발생 빈도 | 어린이의 15%가 경험 |
| 사망률 | 드묾 |
| 질병 코드 | |
| MeSH | D003440 |
| ICD-10 | J05.0 |
| ICD-9 | 464.4 |
| MedlinePlus | 000959 |
| DiseasesDB | 13233 |
| eMedicine | 소아과 510 응급 370 방사선 199 |
2. 원인
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여겨진다.[41][47][2][6][28][35] 넓은 의미에서 크룹은 급성 후두기관염, 연축성 크룹, 후두 디프테리아, 세균성 기도염, 후두기관기관지염, 후두기관기관지폐렴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43][5][31]
이 질환들은 원인에 따라 크게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크룹(급성 후두기관염, 연축성 크룹 등)은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편이다. 반면, 세균 감염으로 인한 크룹(후두 디프테리아, 세균성 기도염 등)은 드물지만[13] 증상이 더 심각한 경향이 있다.[43][5][31] 각 원인에 따른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바이러스성 크룹
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41][47][2][6][28][35], '바이러스성 크룹' 또는 '급성 후두기관염'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전체 바이러스성 크룹 사례의 약 75%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히 1형과 2형이 원인이다.[50][3][38] 그 외 다른 바이러스들도 크룹을 유발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홍역,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43][5][31],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특히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NL63[30])가 포함된다.
연축성 크룹(개 짖는 소리를 내는 크룹) 역시 급성 후두기관염과 동일한 바이러스군에 의해 발생한다.[43][5][31] 하지만 연축성 크룹은 발열, 인후통, 백혈구 수 증가와 같은 일반적인 감염의 징후를 동반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43][5][31] 치료 방법과 치료에 대한 반응은 바이러스성 크룹과 거의 동일하다.[50][3][38]
2. 2. 세균성 크룹
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여겨지지만,[41][47][2][6][28][35] 드물게 세균 감염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13] 세균 감염으로 인한 크룹은 바이러스성 크룹보다 증상이 더 심각한 경우가 많다.[43][5][31]세균성 크룹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43][5][31]
- 후두 디프테리아
- 세균성 기도염 (세균성 기관염)
- 후두기관기관지염
- 후두기관기관지폐렴
후두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43][5][31] 반면, 세균성 기도염, 후두기관기관지염, 후두기관기관지폐렴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앓고 난 후 이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43][5][31] 이러한 이차 감염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균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모락셀라 카타랄리스(Moraxella catarrhalis) 등이 있다.[43][5][31]
3. 병태생리
바이러스 감염은 후두, 기관, 큰 기관지의 염증과 부종을 유발한다.[6][35][47] 이 과정에서 백혈구, 특히 조직구, 림프구, 형질 세포, 호중구의 침윤이 일어난다.[5][31] 이러한 백혈구 침윤과 염증 반응으로 인한 부종은 기도를 좁게 만든다.[5][6][47] 기도가 좁아지면 공기 흐름이 방해받아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47][6] 심한 경우 특징적인 거친 호흡음인 천명이 나타나게 된다.[6][35]
4. 임상증상
크룹의 주요 증상으로는 "개가 짖는 듯한" 기침, 천명음(주로 숨을 들이쉴 때 나는 고음의 쌕쌕거리는 소리), 쉰 목소리,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이는 주로 밤에 악화된다.[41][2][28] "개가 짖는 듯한" 기침은 물개나 바다사자가 우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다.[43][5][31] 천명음은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하는 소리로, 아이가 흥분하거나 울면 더 심해진다.[41][2][28] 안정 시에도 천명음이 들린다면 기도 협착이 심각함을 의미할 수 있다.[5][31] 그러나 크룹이 매우 심해지면 천명음이 오히려 줄어들기도 한다.[41][2][28]
다른 증상으로는 일반적인 감기 증상인 열과 콧물, 그리고 숨을 들이쉴 때 가슴 벽, 특히 갈비뼈 사이나 아랫부분이 안으로 들어가는 흉벽 함몰(후버 징후)이 나타날 수 있다.[41][42][2][12][28][29] 만약 아이가 침을 많이 흘리거나 매우 아파 보인다면, 후두개염이나 기관염과 같은 다른 심각한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42][12][29]
크룹의 심한 정도는 웨스틀리 점수(Westley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 점수는 주로 임상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식 상태, 청색증, 천명음, 호흡, 흉벽 함몰의 5가지 항목을 평가하여 총점을 매긴다.[43][44]
| 증상 | 점수 | |||||
|---|---|---|---|---|---|---|
| 0 | 1 | 2 | 3 | 4 | 5 | |
| 흉벽 함몰 | 없음 | 경증 | 중등도 | 중증 | ||
| 천명음 | 없음 | 보챌 때 | 휴식 시 | |||
| 청색증 | 없음 | 보챌 때 | 휴식 시 (무표정) | |||
| 의식 상태 | 정상 | 혼란 | ||||
| 호흡 (공기 유입) | 정상 | 감소 | 현저히 감소 | |||
- 총점 2점 이하: 경증 크룹. 개가 짖는 듯한 기침과 쉰 목소리가 있지만, 안정 시에는 천명음이 들리지 않는다.[50]
- 총점 3-5점: 중등도 크룹. 안정 시에도 천명음이 들리며, 약간의 흉벽 함몰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50]
- 총점 6-11점: 중증 크룹. 뚜렷한 천명음과 함께 심한 흉벽 함몰이 나타나며, 아이가 불안해하거나 힘들어할 수 있다.[50]
- 총점 12점 이상: 호흡 부전 임박. 아이가 지쳐 보이고 의식이 흐려질 수 있으며,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기침이나 천명음이 오히려 약해질 수 있는데, 이는 호흡 노력이 감소했기 때문일 수 있다.[50]
응급실을 찾는 크룹 환아의 약 85%는 경증이며, 중증 크룹은 1% 미만으로 드물다.[50]
5. 진단
크룹은 주로 환자가 보이는 임상적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한다.[47][6][35] 진단의 첫 단계는 상기도를 막을 수 있는 다른 질환, 특히 후두개염, 기도 이물, 성문하협착증(성문하 협착), 혈관부종, 인두후 농양, 세균성 기도염(세균성 기관염) 등과의 감별이다.[43][47][6][5][31][35]
일반적으로 목(경부) X-레이 촬영은 진단을 위해 꼭 필요하지는 않다.[47][6][35] 만약 촬영을 한다면, 기관이 좁아져 교회의 뾰족탑처럼 보이는 특징적인 모양, 즉 탑상 징후(steeple sign)가 나타날 수 있다.[42][12][29] 하지만 이 징후는 크룹 환자의 약 절반 정도에서만 관찰되므로 진단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42][12][29]
혈액검사나 바이러스 배양과 같은 검사는 아이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고 기도를 자극하여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47][6][35] 비강 또는 비인두에서 점액을 채취하여 바이러스를 배양하면 정확한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만 시행된다.[41][2][28] 만약 표준적인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세균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43][5][31]
5. 1. 중증도 평가 (웨스틀리 점수)
웨스틀리 점수(Westley score)는 크룹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이다.[43][5] 이는 임상 진료보다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된다.[43][5] 웨스틀리 점수는 의식 상태, 청색증, 천명음, 호흡(공기 유입), 흉벽 함몰 등 다섯 가지 항목의 증상을 평가하여 점수를 매긴다.[43][5] 각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며, 총점은 0점에서 17점까지이다.[44][15]| 증상 | 점수 | |||||
|---|---|---|---|---|---|---|
| 0 | 1 | 2 | 3 | 4 | 5 | |
| 흉벽 함몰 | 없음 | 경증(약함) | 중등도 | 중증(심함) | ||
| 천명음(천명) | 없음 | 흥분 시 (보챌 때) | 안정 시 | |||
| 청색증 | 없음 | 흥분 시 (보챌 때) | 안정 시 (무표정) | |||
| 의식 상태(의식 수준) | 정상 | 혼란 (방향 감각 상실, 의식 혼탁) | ||||
| 호흡 (공기 유입) | 정상 | 감소(저하) | 현저히 감소(저하) | |||
총점에 따라 크룹의 중증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50][3][38]
- 총점 2점 이하: 경증(약한) 크룹. 특징적인 개 짖는 듯한 기침과 쉰 목소리가 나타날 수 있으나, 안정 시에는 천명음이 들리지 않는다.[50][3][38]
- 총점 3-5점: 중등도 크룹. 쉽게 들리는 천명음이 나타나지만 다른 심각한 증상(징후)은 거의 없다.[50][3][38]
- 총점 6-11점: 중증(심한) 크룹. 뚜렷한 천명음과 함께 현저한 흉벽 함몰 증상이 나타난다.[50][3][38]
- 총점 12점 이상: 호흡 부전 임박. 호흡 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이 단계에서는 개 짖는 듯한 기침이나 천명음이 오히려 줄어들거나 사라질 수 있다.[50][3][38]
응급실을 찾는 어린이 환자의 약 85%는 경증 크룹으로 진단되며, 중증 크룹은 1% 미만으로 드물게 나타난다.[50][3][38]
6. 예방
인플루엔자와 디프테리아에 대한 예방접종으로 크룹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43][5] 크룹 자체를 예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백신은 없다.[13] 과거에는 크룹이 디프테리아로 인한 질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예방 접종이 보편화되면서 선진국에서는 디프테리아 발병이 크게 줄어들었다.[5][31]
크룹은 감염 초기 며칠 동안 전염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13]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개인 위생 관리가 전염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13]
7. 치료
크룹 치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이를 가능한 한 안정시키는 것이다.[47][35] 대부분의 크룹은 증상이 경미하여 가정에서의 보조적인 치료만으로도 충분하다.[13]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가 치료에 사용되며,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을 투여할 수 있다.[47][6][35] 혈액 산소포화도가 92%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산소 공급이 필요하며,[43][5][31] 중증 환자는 상태 관찰을 위해 입원 치료를 받기도 한다.[42][12][29]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흡 곤란이 매우 심각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약 0.2% 미만의 환자는 기도 삽관이 필요할 수 있다.[44][15][32]
크룹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특별히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항생제는 사용하지 않는다.[2] 또한, 일반적인 기침약의 사용도 권장되지 않는다.[2]
7. 1. 일반적인 치료
크룹에 걸린 어린이를 가능한 한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47][6][35]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며,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을 사용한다.[47][35] 혈중 산소포화도가 92% 미만인 어린이에게는 산소를 공급한다.[43][31] 산소 공급 시에는 산소 마스크가 아이를 더 보채게 할 수 있으므로, 얼굴 가까이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우 바이(blow-by)" 방식이 권장된다.[43][31]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입원하여 상태를 관찰해야 할 수 있다.[42][29]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매우 어려운 0.2% 미만의 환자는 기도 삽관(기관 내 삽관)이 필요할 수 있다.[44][32]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보조 치료에 포함된다.[13]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가정에서 치료할 수 있으며, 크룹은 전염성이 있으므로 손 씻기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13] 통증이나 발열이 있는 경우, 일반의약품을 사용하여 아이를 편안하게 해줄 수 있다.[13] 차가운 증기나 따뜻한 증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 효과는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다.[6][5][13]
만약 아이가 숨쉬기 힘들어하거나(흡기성 천명, 호흡 곤란), 입술이 파랗게 변하거나, 의식 수준이 떨어지는(경계 수준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13]
7. 2. 약물 치료
크룹 치료에는 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사용되며, 심각한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을 투여한다.[47][6][35]코르티코스테로이드덱사메타손이나 부데소나이드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모든 중증도의 크룹 치료에 효과적이다.[45][7][33] 투여 후 2시간에서 6시간 이내에 눈에 띄는 효과가 나타난다.[45][7][33] 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주사), 흡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지만, 보통 경구 투여가 선호된다.[47][6][35] 일반적으로 1회 투여로 충분하며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47][6][35] 덱사메타손의 경우 0.15, 0.3, 0.6 mg/kg 용량 모두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46][16][34]
에피네프린중등도에서 중증의 크룹(예: 심한 천명)에는 네뷸라이저를 이용한 분무형 에피네프린(기도 확장을 유도하는 흡입형 액상제) 투여가 도움이 될 수 있다.[47][6][35] 에피네프린은 보통 투여 후 10~30분 이내에 크룹 증상의 중증도를 완화시키지만, 효과는 약 2시간 정도만 지속된다.[41][47][2][6][28][35] 치료 후 2~4시간 동안 증상이 호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면 퇴원할 수 있다.[41][47][2][6][28][35] 에피네프린 치료는 빈맥, 부정맥, 고혈압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투여량과 관련될 수 있다.[14]
산소 치료혈액 산소포화도가 92% 미만인 어린이에게는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43][5][31] 이때 산소 마스크를 사용하면 아이가 불안해할 수 있으므로, 얼굴 주위에 산소 공급원을 대는 "불어주기(blow-by)" 방식이 권장된다.[43][5][31]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크룹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이차적인 세균 감염이 의심되지 않는 한 항생제는 사용하지 않는다.[41][2][28] 세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반코마이신과 세포탁심 같은 항생제가 권장된다.[43][5][31] 인플루엔자 A형 또는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심한 크룹의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인 뉴라미니다제 억제제를 투여할 수 있다.[5][31]
기타 치료법뜨거운 증기나 습도가 높은 공기를 흡입하는 전통적인 자가 관리 치료법은 임상 연구에서 효과가 증명되지 않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3][47][48][31][35][36] 덱스트로메토르판이나 구아이페네신 성분이 포함된 기침약(진해제) 또는 감기약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41][2][28]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해 헬리옥스(헬륨과 산소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되었으나, 의학적 근거는 부족하다.[49][14][37]
7. 3. 기타 치료
과거에는 뜨거운 증기나 습도가 높은 공기를 들이마시는 자가치료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임상 연구에서 그 효과가 증명되지 않아[43][47]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8] 덱스트로메토르판이나 구아이페네신 성분이 포함된 일반적인 감기약 복용 또한 권장되지 않는다.[41]호흡을 돕기 위해 헬리옥스(헬륨과 산소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되었지만, 효과에 대한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불확실성이 있다.[49][14] 심각한 경우 헬리옥스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는 있으나, 부작용이나 부수적 영향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14]
크룹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므로,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의심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다.[41] 세균 감염이 확인되면 반코마이신과 세포탁심 같은 항생제가 권장된다.[43][5] 인플루엔자 A형이나 B형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심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인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41][5]
8. 예후
바이러스성 크룹은 일반적으로 자연 치유되는 단기 질환이다.[2][28] 사례의 절반은 하루 안에, 80%는 이틀 안에 해결된다.[4] 증상은 보통 이틀 안에 호전되지만, 최대 7일까지 지속될 수도 있다.[50][3][38] 매우 드물게 호흡 부전이나 심정지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41][2][28] 드물게 세균성 기관염, 폐렴, 폐부종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50][3][38]
9. 역학
어린이의 약 15%가 크룹을 앓으며[43][47][6][5][31][35], 주로 생후 6개월에서 5~6세 사이에 발병한다.[43][47][6][5][31][35] 이 연령대에서 입원하는 어린이의 약 5%가 크룹 때문이다.[50][3][38] 드물게는 생후 3개월 된 아기나 15세 청소년에게서도 발병할 수 있다.[50][3][38] 남아가 여아보다 발병 빈도가 50% 정도 높으며[43][5][31], 가을철에 유행하는 경향을 보인다.[43][5][31]
10. 역사
'크룹'이라는 병명은 초기 근대 영어에서 "쉰 목소리로 울다"는 뜻의 동사 ''croup''에서 유래했다.[51][17][39] 이 용어는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8세기 에든버러의 의사 프랜시스 홈(Francis Home)이 1765년 "An Inquiry into the Nature, Cause, and Cure of the Croup|영어"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후 널리 퍼졌다.[51][17][18]
디프테리아로 인한 크룹은 호메로스 시대의 고대 그리스 때부터 알려져 있었다.[51][11][19][40] 1826년 프랑스의 의사 피에르 브르토노(Pierre Bretonneau)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크룹과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la) 감염으로 인한 크룹을 처음으로 명확히 구별했다.[52][11][19][40] 당시 "크룹" 또는 "진성 크룹"(true croup)은 주로 디프테리아로 인한 심각한 상태를 지칭했기 때문에, 바이러스성 크룹은 프랑스에서 "가성 크룹"(faux-croup|프랑스어), 영어권에서는 "거짓 크룹"(false croup) 등으로 불렸다.[48][20][21][22][23][36] 가성 크룹은 유사 크룹(pseudo croup) 또는 경련성 크룹으로도 알려져 있다.[24]
디프테리아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접종이 개발되고 보급되면서, 한때 치명적이었던 디프테리아 크룹은 현대에 들어 거의 찾아보기 힘든 질병이 되었다.[52][11][25][40]
역사적으로 크룹 때문에 사망한 유명 인물로는 나폴레옹의 조카이자 지정 상속자였던 나폴레옹 샤를 보나파르트(Napoléon Charles Bonaparte)가 있다. 1807년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나폴레옹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후계자 문제로 인해 황후 조제핀 드 보아르네와 이혼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참조
[1]
웹사이트
Croup
https://www.macmilla[...]
2020-04-01
[2]
논문
Croup – assessment and management
2010-05
[3]
논문
Croup
[4]
논문
Duration of symptoms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systematic review.
2013-12-11
[5]
논문
Clinical practice. Croup
[6]
논문
Acute bronchiolitis and croup
2009-02
[7]
논문
Glucocorticoids for croup in children.
2023-01-10
[8]
논문
Nebulized epinephrine for croup in children.
2013-10-10
[9]
논문
Croup in children.
2013-10-15
[10]
서적
Bleed, blister, and purge : a history of medicine on the American frontier
https://archive.org/[...]
Mountain Press
2005
[11]
서적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Saunders
[12]
웹사이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oup
http://policyandorde[...]
2020-03-16
[13]
논문
Croup
2019-04-23
[14]
논문
Heliox for croup in children
2021-08-16
[15]
논문
Croup. A current perspective
1999-12
[16]
논문
Towards evidence 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4. Dose of dexamethasone in croup
2009-04
[17]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of Human Dise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01-29
[18]
웹사이트
croup {{!}} Origin and meaning of croup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20-02-27
[19]
논문
Historical review of croup
2001-11
[20]
논문
Meaning of the Terms Diphtheria, Croup, and Faux Croup
1875-05-08
[21]
논문
Something concern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alse croup
https://books.google[...]
2014-04-16
[22]
논문
True and False Croup
1875-05-08
[23]
서적
Our Home Physician: A New and Popular Guide to the Art of Preserving Health and Treating Disease
https://archive.org/[...]
E. B. Treat
2014-04-15
[24]
서적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25]
논문
Recognizing croup and stridor in children
http://www.americann[...]
2014-04-15
[26]
서적
Napoleon and Josephine
Weidenfeld & Nicolson
[27]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0
[28]
논문
Croup – assessment and management
[29]
웹사이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oup
http://www.childheal[...]
2013-12-11
[30]
논문
Understanding Human Coronavirus HCoV-NL63
2010
[31]
논문
Clinical practice. croup
[32]
논문
croup. A current perspective
[33]
논문
Glucocorticoids for croup
[34]
논문
Towards evidence 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4. Dose of dexamethasone in croup
[35]
논문
Acute bronchiolitis and croup
[36]
논문
Historical review of croup
[37]
논문
Heliox for クループ in children
[38]
논문
Croup
[3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2010-09-13
[40]
서적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Saunders
[41]
논문
croup– assessment and management
[42]
웹인용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oup
http://www.childheal[...]
null
[43]
저널
Clinical practice. croup
http://content.nejm.[...]
2012-08-11
[44]
저널
croup. A current perspective
null
[45]
저널
Glucocorticoids for croup
null
[46]
저널
Towards evidence 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4. Dose of dexamethasone in croup
null
[47]
저널
Acute bronchiolitis and croup
null
[48]
저널
Historical review of croup
null
[49]
저널
Heliox for croup in children
null
[50]
저널
croup
null
[51]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0-09-13
[52]
서적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Saunders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