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베트모래여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트모래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여우의 일종으로, 중국 티베트 고원과 주변 지역에 서식한다. 적갈색 털과 좁은 주둥이, 회색 뺨과 옆구리가 특징이며, 주로 고원피카를 사냥한다. 홀로 생활하거나 짝을 이루어 생활하며, 2월 말에서 3월 초에 짝짓기를 하고 5월에 2~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천적으로는 개, 늑대, 매 등이 있으며, 기생충 감염의 위험도 있다. 티베트모래여우는 넓은 분포 지역과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IUCN에 의해 비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며, BBC 다큐멘터리에서 독특한 표정으로 등장하여 인터넷 밈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기재된 포유류 - 야크
    야크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산 환경에 적응한 육중한 체격의 소속 포유류이며, 젖, 털,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몽골과 티베트 등지에서 가축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전통 축제나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된다.
  • 1883년 기재된 포유류 - 작은발거친털쥐
    작은발거친털쥐속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물갈퀴, 방수 털, 유선형 몸체 등 수영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 반수생 쥐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부 종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여우속 - 검은꼬리모래여우
    검은꼬리모래여우는 북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서식하며 꼬리 끝이 검은색인 것이 특징인, 설치류, 곤충, 과일 등을 먹는 야행성 잡식 동물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된 여우속 동물이다.
  • 여우속 - 흰꼬리모래여우
    흰꼬리모래여우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 사막에 서식하며 붉은여우보다 작고 꼬리 끝이 흰색인 것이 특징인 야행성 잡식성 동물이다.
  • 개과 - 포클랜드늑대
    포클랜드늑대는 포클랜드 제도에 서식했던 멸종된 개과 동물로, 무분별한 사냥과 잘못된 인식으로 19세기 후반 멸종되었으며, 갈기늑대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추정되고, 다양한 가설과 함께 전 세계 박물관에 표본과 지명으로 남아있다.
  • 개과 - 작은귀개
    작은귀개는 아마존 열대 우림에 서식하는 개과의 포유류로, 짧고 둥근 귀와 여우를 닮은 주둥이, 물갈퀴가 있는 발이 특징이며,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고 들개로 인한 질병 확산과 서식지 감소로 위협받으며, 현재 2개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티베트모래여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티베트 여우
티베트 여우
학명Vulpes ferrilata
명명자브라이언 호턴 호지슨, 1842년
이명Vulpes ferrilatus
Vulpes ekloni (Przewalski, 1883)
Canis ferrilatus
Canis ekloni
Neocyon ferrilatus
Neocyon ekloni
영명Tibetan sand fox
멸종 위기 등급 (IUCN)관심 필요
티베트 여우 분포 지역
티베트 여우 분포 지역
분포
서식지해발 5,300m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개과
여우속
티베트모래여우 (Vulpes ferrilata)

2. 특징

중국에 있는 티베트모래여우


티베트모래여우는 머리, 목, 등에서 종아리까지 부드럽고 촘촘한 적갈색 털을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좁고, 볼, 옆구리, 허벅지 및 엉덩이는 회색이며, 숱이 많은 꼬리에는 흰색 팁이 있다. 짧은 귀는 뒷면이 황갈색에서 회색빛을 띠며, 안쪽과 밑면은 흰색이다.[9] 다 자란 티베트모래여우는 꼬리를 제외하고 60cm~70cm이며, 꼬리 길이는 29cm~40cm이다. 성체의 무게는 4kg~5.5kg이다.[4]

진정한 여우 중에서 두개골은 육식에 가장 특화되어 있다.[5] 언덕 여우보다 과두기저 길이, 아래턱 및 볼 이빨 길이가 더 길다. 머리 부위는 언덕 여우보다 짧고, 관골궁은 더 좁다. 턱도 훨씬 더 좁고 이마는 오목하다. 송곳니는 언덕 여우의 송곳니보다 훨씬 더 길다.[6]

2. 1. 외형

티베트모래여우의 몸집에 대한 측정값은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샬러와 긴스베르크의 연구에 따르면, 수컷 7마리의 머리-몸통 길이는 56cm~65cm(평균 58.7cm), 꼬리 길이는 26cm~29cm(평균 27.9cm), 몸무게는 3.8kg~4.6kg(평균 4.1kg)이었다. 암컷 8마리의 경우 머리-몸통 길이는 49cm~61cm(평균 55.4cm), 꼬리 길이는 22cm~26cm(평균 23.9cm), 몸무게는 3kg~4.1kg(평균 3.5kg)이었다.[18]

2003년과 2007년 사이 중국 칭하이성쓰촨성에서 포획된 티베트모래여우의 신체 측정치는 위 값보다 12%~25% 더 컸다. 수컷 13마리의 평균 머리-몸통 길이는 67.3cm였고, 그 중 6마리의 평균 몸무게는 4.9kg이었다. 암컷 6마리의 평균 머리-몸통 길이는 62.8cm였고, 평균 몸무게는 3.9kg이었다.[19] 두 연구 모두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보다 크지만, 코사크여우는 티베트모래여우보다 비교적 긴 다리와 큰 귀를 가졌다. 폭이 좁은 주둥이는 티베트모래여우의 특징이다.

밀도 높고 북슬북슬한 모피는 주둥이, 머리, 목덜미, 등 위쪽은 창백한 회색, 아고티 또는 모래색이며, 등에는 노란 갈색 줄무늬가 한 줄 있다. 뺨, 옆구리, 골반까지는 회색이고, 배쪽은 더 밝은색이다. 앞다리는 붉은빛 도는 갈색에서 노란색 사이이며, 목과 앞다리 사이에는 회색에서 검은색 사이의 줄무늬가 수직으로 나 있다. 꼬리의 겉 털은 회색이며 안쪽 털은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이다. 꼬리 위쪽에는 어두운 색의 줄무늬가 있고 꼬리 끝은 하얗다. 꼬리윗샘은 다른 개과 동물과 같이 꼬리털 위의 어두운 줄무늬 선에서 찾을 수 있다. 귀 길이는 46mm~70mm이다. 귀 안쪽은 하얗고 바깥쪽은 몸통과 같은 색이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북극여우처럼 추운 지방에 적응한 다른 여우들처럼 추위에 견딜 수 있도록 피부와 모피를 적응시켰다. 땀구멍은 최대 지름 2µm이며, 털은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뛰어난 보온 효과를 가진다.

티베트모래여우는 머리, 목, 등에서 종아리까지 부드럽고 촘촘한 적갈색 털을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좁고, 볼, 옆구리, 허벅지 및 엉덩이는 회색이며, 숱이 많은 꼬리에는 흰색 팁이 있다. 짧은 귀는 뒷면이 황갈색에서 회색빛을 띠며, 안쪽과 밑면은 흰색이다.[9] 다 자란 티베트모래여우의 몸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60cm~70cm이며, 꼬리 길이는 29cm~40cm이다. 성체의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4kg~5.5kg이다.[4]

진정한 여우 중에서 두개골은 육식에 가장 특화되어 있다.[5] 티베트모래여우의 두개골은 언덕 여우보다 과두기저 길이, 아래턱 및 볼 이빨 길이가 더 길다. 머리 부위는 언덕 여우보다 짧고, 관골궁은 더 좁다. 턱도 훨씬 더 좁고 이마는 오목하다. 송곳니 또한 언덕 여우의 송곳니보다 훨씬 더 길다.[6] 몸길이는 57.5cm~70cm,[12][15] 꼬리 길이는 21cm~33cm,[13] 몸무게는 3kg~4kg이다.[15] 전신은 약간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12] 발바닥도 털로 덮여 있다.[12] 등면의 체색은 황갈색, 몸 옆면과 대퇴부는 은색이다.[12] 머리는 회색을 띤다.[12] 윗입술, 턱에서 목, 앞가슴, 복부, 사지 끝은 흰색이다.[12] 꼬리는 짧고 짙은 회색이며 끝은 흰색이다.[12] 코는 길다.[15] 송곳니는 가늘고 길며 2.5cm에 달하며, 입을 다문 상태에서도 끝이 아래턱뼈 아래선을 넘는다.[12] 귓바퀴는 작고 4.6cm~7cm이다.[13]

2. 2. 골격 구조

티베트모래여우의 두개골은 길쭉하고 상악골과 하악골은 매우 폭이 좁다. 두개골 길이는 주둥이 길이(70.5mm~80.7mm)를 포함하여 149.0mm에서 최대 157.8mm이다. 윗니 치열은 63.5mm에서 50.3mm 길이이다. 주둥이 끝 간악골에서 후두돌기 끝까지 길이는 132.5mm에서 149.0mm이다.[20] 광대뼈 부위 두개골 너비는 65mm~85.9mm, 뒤쪽 어금니 부위 너비는 37.9mm~39.9mm이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상악 절반에 앞니 3개, 송곳니 1개, 앞어금니 4개, 어금니 2개를, 하악 절반에는 앞니 3개, 송곳니 1개, 앞어금니 4개, 어금니 3개를 가지고 있다(상, 하악 전체 이빨 수 도합 42개). 어금니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주둥이가 긴 탓에 그 사이 간격이 넓다. 송곳니는 다른 여우와 비교하여 매우 길며 날카롭다.

다른 모든 개과 동물과 같이 티베트모래여우도 음경골을 갖추고 있다. 이 음경골은 42.2mm에서 48.7mm 길이이다.[21]

진정한 여우 중에서 두개골은 육식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장 전문화되어 있다.[5] 언덕 여우의 두개골보다 과두기저 길이, 아래턱 및 볼 이빨 길이가 더 길다. 머리 부위는 언덕 여우 머리 부위보다 짧고, 관골궁은 더 좁다. 턱도 훨씬 더 좁고 이마는 오목하다. 송곳니 또한 언덕 여우 송곳니보다 훨씬 더 길다.[6]

2. 3. 유전자

티베트모래여우의 염색체(n)는 18개로 매우 간결하다. 배수성을 고려하면 상동염색체(2n)는 36개이므로, 모든 세포마다 총 36개의 상동염색체를 갖추고 있다. 이 중 1번부터 15번 염색체는 중심동원체염색체이고, 16번에서 18번까지는 말단동원체염색체이다.

3. 계통 분류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22][23][24]

{| class="wikitable"

|-

! 개과

|-

|



|-

|

{| class="wikitable"

|-

! 큰귀여우

x40px


|-

|

{| class="wikitable"

|-

| 너구리
x40px


|-

! 여우속

|-

|



|-

|



|-

|

{| class="wikitable"

|-

| 스위프트여우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덤불개

x40px


|-

|

{| class="wikitable"

|-

| 갈기늑대
x40px


|-

|

{| class="wikitable"

|-

| 게잡이여우
x40px


|-

| 작은귀개
x40px


|-

|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여우



|-

! 남아메리카여우속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들개

x40px


|-

|

{| class="wikitable"

|-

| 승냥이
x40px


|-

|

{| class="wikitable"

|-

| 황금자칼
x40px


|-

|

{| class="wikitable"

|-

| 에티오피아늑대
x40px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황금늑대
x40px


|-

|

{| class="wikitable"

|-

| 코요테
x40px


|-

| 붉은늑대 (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

|

회색늑대
x40px
(회색늑대의 아종)
x40px



|}

|}

|}

|}

|}

|}

|}

|}

4. 분포 지역과 서식지

티베트모래여우는 티베트고원스텝 지역과 반사막 지역에 서식한다. 분포 지역은 인도라다크 지역 북부와 네팔 북부에서부터 티베트 자치구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 쓰촨성, 윈난 성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탄 북부에도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티베트모래여우의 서식지는 해발 2500m에서 5200m 높이까지 이른다. 바위와 돌이 많은 산악 지역 혹은 초원의 반건조 내지 건조 스텝 기후 혹은 반사막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서식지의 온도는 여름에는 30°C에, 겨울에는 -40°C까지 이른다. 대부분의 강수는 여름에 있으며, 연간 강수량은 100ml에서 500ml이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중국 서부의 티베트 고원과 인도 북부의 라다크 고원에 국한되어 분포한다. 히말라야 산맥 북쪽, 네팔과 인도의 최북단 국경 지역, 티베트 전역, 그리고 중국 칭하이, 간쑤, 신장, 윈난, 쓰촨 성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1] 주로 반 건조 또는 건조한 초원에 서식하며, 인간의 거주지나 빽빽한 식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산다. 해발 3500m에서 5200m의 고원 평원과 언덕에서 서식하며, 간혹 해발 약 2500m의 고도에서도 관찰된다.[7]

티베트, 인도 (잠무-카슈미르 주의 라다크 북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북부, 간쑤성 남서부, 쓰촨성 서부, 칭하이성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동부, 티베트 자치구), 네팔[11][12][13][14][15] 등지에 분포한다.

모식 표본의 산지(모식 산지)는 라싸 (티베트 자치구)이다.[13][14]

5. 생태

티베트모래여우는 주로 고원피카를 사냥하며, 그 외에 설치류, 마멋, 솜털토끼, 토끼, 작은 땅 도마뱀도 먹는다.[8] 티베트 영양, 사향노루, 푸른 양과 가축의 사체를 먹기도 한다. 불곰공생 관계를 형성하여 함께 사냥하기도 하는데, 곰이 피카를 파내면 여우는 곰에게서 도망치는 피카를 잡는다.[4]

짝을 이룬 개체는 함께 사냥을 하기도 한다.[10] 티베트모래여우는 해발 2,500~5,200미터의 황무지, 초원, 스텝 등에서 서식하며,[13] 굴은 큰 바위 기저부, 오래된 해안선과 낮은 경사면에 만들고, 입구가 최대 4개까지 있을 수 있으며 지름은 25cm~35cm이다.[9]

번식기는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이다.[13][12] 약 50~6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두세 마리의 새끼를 낳고, 8~10개월이 될 때까지 부모와 함께 지낸다.[7] 수명은 8~10년으로 추정되지만, 자연적인 요인이나 사냥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약 5년으로 여겨진다.[15]

5. 1. 생활

티베트모래여우는 홀로 생활하거나 짝을 이루어 산다. 주행성 동물로, 주된 먹이인 고원피카가 낮에 활동하기 때문에 티베트모래여우도 낮에 활동한다. 티베트모래여우의 개체수는 전적으로 먹잇감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 개체수 조사 결과, 칭하이 성 내 367km 구간에서는 15마리, 스취 현 내 11km 구간에서는 8마리가 관찰되었지만, 먹잇감이 부족한 북서 티베트에서는 1848km 구간 당 5마리만 관찰되었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영역을 만들지 않는다. 여러 쌍이 가까이 모여 살며 같은 구역에서 사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사소통은 주로 단거리에서 짧은 울음소리로 이루어진다. 장거리 의사소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여우굴은 주로 햇볕이 잘 드는 남향을 피해 바위 밑이나 완만한 경사의 초원 나무 아래에 만든다. 먹잇감 분포 밀도와 식수원과의 거리도 굴 위치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 굴 입구는 보통 하나지만, 여러 개를 만들기도 한다. 90개의 여우굴을 조사한 결과, 입구 평균 너비는 17cm, 평균 높이는 24.9cm, 제1 통로 평균 길이는 170cm였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주로 고원피카를 사냥하며, 설치류, 마멋, 솜털토끼, 토끼, 작은 땅 , 도마뱀 등도 먹는다.[8] 티베트 영양, 사향노루, 푸른 양과 가축의 사체를 먹기도 한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낮에 사냥한다.[9] 불곰공생 관계를 형성하여 함께 사냥하기도 하는데, 곰이 피카를 파내면 여우는 곰에게서 도망치는 피카를 잡는다.[4]

짝을 이룬 개체는 함께 머물며 사냥하기도 한다.[10] 약 50~6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두세 마리의 새끼가 에서 태어나 8~10개월까지 부모와 함께 지낸다.[7] 굴은 큰 바위 기저부, 오래된 해안선, 낮은 경사면에 만들어진다. 굴 입구는 최대 4개까지 있을 수 있으며, 지름은 25cm~35cm이다.[9] 해발 2,500~5,200m의 황무지, 초원, 스텝 등에서 서식하며,[13] 암수 한 쌍으로 생활한다.[12][15] 바위 밑이나 돌 틈 등을 굴로 삼고,[12][15] 굴 입구는 1~12개이다.[13] 여름에는 최대 54개의 굴을 사용한 사례도 있다.[13]

티베트모래여우는 잡식성으로, 주로 우는토끼, Cricetulus|크리세툴루스la속, Alticola|알티콜라la속, Pitymys|피티미스la속 등의 소형 포유류를 먹는다. 티베트토끼(Lepus oiostolus|레푸스 오이오스톨루스la),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마르모타 히말라야나la), 종달새속(Eremophila|에레모필라la), 메추라기속(Perdix|페르딕스la) 등의 조류, 시베리아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모스쿠스 모스키페루스la), 티루, 바랄(Pseudois nayaur|프세우도이스 나야우르la), 소 등의 동물의 사체, 과실 등도 먹는다.[13] 단독으로 먹이를 먹지만, 암수 한 쌍으로 사냥을 하기도 한다.[13]

번식기는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이다.[13][12] 임신 기간은 50~60일이며,[13][15]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걸쳐 2~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3][15] 수명은 8~10년으로 추정되지만, 자연적인 요인이나 사냥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약 5년으로 여겨진다.[15]

5. 2. 사냥

티베트모래여우의 주요 사냥감은 고원우는토끼(''Ochotona curzoniae'')이며, 검은입술우는토끼는 지역에 따라 전체 사냥감의 95%를 차지하기도 한다. 이 우는토끼는 붉은여우(''Vulpes vulpes''), 고산족제비(''Mustela altaica''), 마눌(''Felis manul'') 등 고원지대 소형 포식자들의 주요 먹이이기도 하다. 지역에 따라 중국조코(''Myospalax fontanierii''),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 양털멧토끼(''Lepus oiostolus'') 및 기타 알티콜라속(''Alticola''), 비단털쥐과(''Cricetulus''), 소나무쥐속(''Pitymys'')의 소형 설치류 등도 주요 먹잇감이 된다.

칭하이 성에서는 우는토끼를 사냥하는 큰곰(''Ursus arctos'')을 티베트모래여우가 따라다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티베트모래여우는 큰곰이 토끼굴을 파헤치는 도중 탈출하는 우는토끼들을 잡아먹는다. 이때 티베트모래여우는 큰곰이 굴을 파헤치기 전에는 최소 30m 거리를 두고, 굴을 파헤치기 시작하면 2m까지 접근한다.[4]

티베트모래여우는 해변종다리(''Eremophila alpestris''), 티베트눈방울새(''Montifringilla adamsi''), 티베트자고새(''Perdix hodgsoniae''), 티베트땅딱따구리(''Pseudopodoces humilis'') 등의 새와, ''Phrynocephalus theobaldi''따위의 도마뱀, 그리고 곤충도 잡아먹는다. 늑대나 곰이 남긴 찌꺼기를 먹는 시체포식자이기도 하며 풀이나 열매 등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티베트영양(''Pantholops hodgsonii''), 티베트푸른양(''Pseudois nayaur''), 흰배사향노루(''Moschus leucogaster'') 등이 주로 남겨진다.[8] 티베트모래여우는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주요 먹이인 피카가 주행성이기 때문에 낮에 사냥한다.[9]

짝을 이룬 개체는 함께 머물며 사냥을 하기도 한다.[10]

5. 3. 번식

티베트모래여우의 번식기는 대체로 2월 말에서 3월까지로 추정된다. 임신 기간은 50~60일 정도이며, 5월에 2~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3][15] 그러나 칭하이 성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1월 말에서 2월 초에 새끼들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12월에 짝짓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갓 태어난 새끼의 무게는 60g에서 120g 사이이며, 몇 주 동안은 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젖을 떼는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칭하이 성의 연구에서는 2월 초에 어린 여우가 수컷 여우와 함께 굴 밖을 돌아다니는 모습과, 수컷 여우가 어린 여우를 위해 우는토끼를 사냥해 주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 어린 여우는 5월에 이미 부모 몸집의 3/4에 이르렀으며, 6월 초 이후에는 독립하였다.

짝을 이룬 개체는 함께 머물며 사냥을 하기도 한다.[10] 새끼는 8~10개월이 될 때까지 부모와 함께 지낸다.[7] 굴은 큰 바위 기저부, 오래된 해안선, 낮은 경사면에 만들어지며, 입구가 4개까지 있을 수 있다. 입구의 지름은 25cm에서 35cm이다.[9] 수명은 8~10년으로 추정되지만, 자연적인 요인이나 사냥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약 5년으로 여겨진다.[15]

5. 4. 천적과 기생충

늑대, 가 티베트모래여우의 대표적인 천적이다.

기생충으로는 여우촌충(''Echinococcus multilocularis'') 및 그 가까운 친족인 ''Echinococcus shiquicus''가 있으며, 중국 쓰촨성의 여우들의 경우 ''에키노코쿠스속'' 기생충에 감염된 여우는 약 59%에 이른다.[9] ''에키노코쿠스속'' 기생충은 우는토끼 따위의 먹잇감에서 전염된다. ''Echinococcus shiquicus''라는 학명이 붙은 기식자는 2005/2006년에 처음으로 검은입술우는토끼에게서 발견되었으며 아울러 티베트모래여우에게도 발견되었다.

티베트모래여우에 기생하는 외부기생충으로는 ''Callopsylla dolabris''과 ''Oropsylla silantiewi''라는 두 종의 진드기를 들 수 있다.[9]

6. 분류

티베트 라싸 시의 한 문헌에 따르면 티베트모래여우는 1842년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에 의해 최초로 학계에 소개되었다. 호지슨은 티베트모래여우를 ''Vulpes ferrilatus''라 명명(학명)하였고, 여우속에 분류하였다. 학명 ''ferrilatus''는 '철'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ferrum'과 '너비'를 의미하는 'latum'에서 따왔으며 금속회색의 옆구리를 묘사한다. 1937년 이 학명은 레지날드 이네스 포콕에 의해 ''Vulpes ferilata''로 수정되었다(라틴어 문법에 의거). 1884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프르졔발스키는 티베트 북부의 한 여우를 ''Canis eckloni''라 명명하였으나, 이 여우는 ''Vulpes ferrilata''와 같은 여우였다.

티베트모래여우는 오늘날 다른 11종의 여우와 함께 여우속으로 분류된다. 형태학과 분자생물학적 정보들에 의하면 티베트모래여우는 코사크여우(''Vulpes corsac'')와 친족관계로 하나의 분류군을 구성하며, 이 분류군은 붉은여우(''Vulpes vulpes'')와 흰꼬리모래여우(''Vulpes rueppelli'')의 분류군과 함께 묶여진다.

티베트모래여우는 고유종이며, 아종을 갖지 않는다. 이 종의 화석은 발굴되지 않았다.

7. 보존 상태

티베트모래여우는 다른 여우들처럼 서식지 전역에서 모피 사냥을 당하지만 그 수는 적다. 사냥은 주로 보금자리 근처에 설치되는 함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방식으로 스취 현에서는 매해 약 900마리의 여우들이 사냥당한다. 모피는 대개 모피 모자의 생산에 사용된다. 그러나 붉은여우의 모피가 티베트모래여우나 코사크여우의 모피보다 더 고급으로 선호된다. 티베트모래여우 생존의 주된 위협으로는 독약을 통한 우는토끼 개체 수 감소를 꾀하는 정부 정책이다. 티베트모래여우가 독에 중독되는 것은 자주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주요 먹잇감의 감소 내지 말살은 티베트모래여우의 존립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티베트모래여우는 언급되지 않았다. 중국에는 많은 보호구역이 있으나 적은 수의 여우만이 보호될 뿐이다. 이 보호구역에는 Arjin Shan(45000km2), 시엔차(40000km2), 티베트고원(약 334000km2), 호실(약 45000km2), Sanjiangyuan(약 152000km2) 지역이 속해있다. 이 보호구역 외의 여우들은 보호받지 못한다.

1989년에 추산된 매우 신뢰성이 떨어지는 추측값(전 세계 37000 마리 개체로 추산) 외에는 서식 규모에 대한 정확한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넓은 분포 지역과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을 감안하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는 이 종을 비위험군(Least concern)으로 분류하였다.

8. 인간과의 관계

BBC의 다큐멘터리 《살아있는 지구》 중 〈대평원〉 편에서 티베트모래여우가 포착되었다. 내레이터 데이비드 아텐보로는 이 여우를 “묘하게 생긴 티베트여우입니다. 새앙토끼의 천적이죠”라고 소개했다. 이 여우의 표정이 매우 미묘하여 인구에 회자되었고, 인터넷 밈화되었다. 한국어권에서는 "티베트여우", 서구에서는 "심각한 여우(serious fox)" 라고 부른다.

티베트와 네팔에서는 모피가 모자 등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13][15], 모피가 거칠어 상업적 가치는 낮아 사냥은 일반적이지 않다[11]。 티베트에서는 먹이인 울음토끼가 독에 의해 구제되고 있어, 먹이 감소와 중독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11]

2006년, 영국의 BBC가 티베트모래여우 촬영에 성공했다[16]。 일본에서는 2010년에 방송된 일본 NHK의 특집 프로그램 『진수: 티베트모래여우』를 통해 그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2015년에 방영된 칼피스(Calpis)의 광고에 등장[16], 또 코믹스마트가 운영하는 웹 코믹 배신 사이트 『GANMA!』에서 연재된 「우리 집은」에서 주인공의 생령이 깃든 것이 티베트모래여우 인형이었던 것 외에도, 2018년에 방영된 애니메이션 「호오즈키의 냉철」 제2기 25화에도 티베트모래여우가 등장하고 있다.

참조

[1] iucn "''Vulpes ferrilata''" 2014
[2] MSW3
[3] 학술지 Notice of the Mammals of Tibet, with Descriptions and Plates of some new Species https://archive.org/[...] 1842
[4] 학술지 Notes on biology of the Tibetan fox (''Vulpes ferrilata'') http://www.canids.or[...]
[5]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6]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Mammals Taylor and Francis
[7] 학술지 "''Vulpes ferrilata'' (Carnivora: Canidae)"
[8] 웹사이트 Vulpes ferrilata (Tibetan fox) https://animaldivers[...] 2023-04-06
[9] 서적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 2004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10] 학술지 Home range size and overlap of Tibetan foxes (''Vulpes ferrilata'') in Dulan County, Qinghai Province
[11] 간행물 Vulpes ferrilata http://www.iucnredli[...] 2014
[12] 문서 チベットスナギツネ 東京動物園協会
[13] 간행물 Vulpes ferrilata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4] 서적 Vulpes ferrilat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Vulpes ferrilata (On-line) http://animaldiversi[...] 2015-05-30
[16] 웹사이트 ニュースリリース 2015年 「カルピスオアシス」新TVCM 『渇いた会社生活』編 話題のチベットスナギツネがCMに登場! チュートリアル徳井義実と夢の共演! 2015年4月24日(金)から全国で放送開始 https://www.asahiinr[...] アサヒ飲料 2015-04-22
[17] IUCN Vulpes ferrilata
[18] 간행물 Tibetan Fox – Vulpes ferrilata (Hodgson, 1842) http://www.canids.or[...]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저널 인용
[23] 저널 인용 http://www.biomedcen[...]
[24]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