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리 클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클럽은 주로 OECD 회원국으로 구성된 22개 정회원국들의 비공식 채권자 협의체이다. 이들은 채무국의 채무 불이행 위기 시 채무 재조정을 논의하며, 연대, 합의, 정보 공유 등의 원칙을 따른다. 채무 연기 및 삭감 방식을 통해 채무 재조정을 진행하며, IMF, 세계 은행 등 국제기구도 옵서버로 참여한다. 파리 클럽은 투명성 부족 등의 비판을 받아왔으나, 웹사이트 개설 및 연례 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정보 공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G20 의장국과 공동 주최하는 파리 포럼을 통해 국제 금융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의 단체 -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에서 출발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의 가입을 통해 글로벌 기구로 재편되었으며, 현재 38개 회원국이 경제 성장, 개발 지원, 무역 활성화, 국제 조세 규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파리의 단체 - 국제 자동차 연맹
    국제자동차연맹(FIA)은 전 세계 모터스포츠를 관장하고 자동차 관련 활동을 펼치는 국제 기구로서,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을 비롯한 챔피언십을 주관하며 규정 및 안전 기준을 제정하고 자동차 모빌리티, 도로 안전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격렬한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 국제 기구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기구 - 국제기구
    국제기구는 국가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설립한 연합으로, 정부간기구(IGO)와 국제비정부기구(INGO)로 나뉘며, 경제적 이익, 정치적 영향력 확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국제 기구에 관한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국제 기구에 관한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파리 클럽
개요
명칭파리 클럽
프랑스어 명칭Club de Paris
영어 명칭Paris Club
유형비공식 채권국 그룹
목표채무국의 지불 불능 문제 해결
주요 활동공적 채무 재조정
본부 위치파리, 프랑스
공용어영어, 프랑스어
설립일1956년
의장베르트랑 뒤몽
공동 의장윌리엄 루스
부의장샨티 보빈
사무총장필리프 기요네 뒤페라
공식 웹사이트파리 클럽 공식 웹사이트
회원국
정회원국 (22개국)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임시 회원국 (13개국)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에콰도르
인도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멕시코
모로코
뉴질랜드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옵서버 (9개국)아부다비
알제리
앙골라
중국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가봉
포르투갈
태국
역할 및 기능
주요 기능채무국의 재정적 어려움 해결을 위한 공적 채무 재조정 협상
운영 방식개별 채무국의 상황에 맞춰 채무 조건 조정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제 개혁 프로그램 지원
채무 지속가능성 확보
역사
설립 배경1956년 아르헨티나의 채무 불이행 위기
채권국들이 모여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체 구성
초기 활동주로 개발도상국의 채무 문제 해결에 집중
최근 동향신흥국의 채무 문제 증가에 따라 역할 확대
다양한 채무 탕감 및 재조정 프로그램 도입
관련 기구
협력 기구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국제 금융 기구
기타
특징비공식적인 협의체이지만 국제 채무 관계에 큰 영향력 행사

2. 역사

1956년 5월 16일, 아르헨티나가 연체된 대외 채무 재조정을 위해 채권국들을 파리에 초청하면서 파리 클럽이 시작되었다.[17] 이후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 다양한 지역의 국가들이 파리 클럽을 통해 채무 재조정 협상을 진행했다.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66년아시아 국가와의 최초 파리 클럽 협정 (인도네시아)[18]
1976년아프리카 국가와의 최초 파리 클럽 협정 (자이르)[19]
1981년유럽 국가와의 최초 파리 클럽 협정 (폴란드)[20]
1982년멕시코 위기는 1980년대의 "채무 위기"를 촉발함.
1987년베니스 조항에 따른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모리타니)[21]
1988년토론토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말리)[22]
1990년휴스턴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모로코). 채무 처리 협정에서 최초의 채무 스왑 조항[23]
1991년폴란드이집트에 예외적인 출구 조치 부여. 런던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니카라과)[24]
1992년러시아와의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지불 유예)
1995년나폴리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캄보디아)
1996년채무 부담이 큰 빈곤국 지원 구상(HIPC)
1997년러시아 파리 클럽 가입. 최초의 조기 상환 작전 (아르헨티나)
1998년HIPC 이니셔티브에 따라 리옹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우간다)
1999년HIPC 이니셔티브 강화. HIPC 이니셔티브에 따라 쾰른 조항을 이행한 최초의 파리 클럽 협정 (모잠비크)
2000년우간다는 강화된 HIPC 이니셔티브 완료 단계에 도달한 최초의 HIPC 적격 국가임
2001년유고슬라비아 공화국에 예외적인 채무 처리 부여
2003년파리 클럽 채권단은 에비앙 접근법 승인
2004년에비앙 접근법에 따른 최초의 채무 처리 (케냐). 이라크에 단계적 출구 처리 부여
2005년쓰나미 피해 국가에 대한 예외적 처리 부여 (인도네시아스리랑카). 나이지리아에 출구 처리 부여
2006년파리 클럽 50주년
2007년액면가 이하의 시장 가치로 최초의 바이백 (가봉, 요르단)
2020년다른 G20 채권국(중국, 인도, 사우디 아라비아, 터키)과 함께 채무 상환 유예 이니셔티브 시행
2020년채무 처리 공통 프레임워크 시행
2023년공통 프레임워크의 첫 번째 협정 (차드, 잠비아)
2024년가나에 대한 공통 프레임워크 협정



1980년대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를 계기로, 파리 클럽은 채무 탕감 및 감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을 점진적으로 도입했다. 1990년대 이후, 과도한 채무를 가진 빈곤국(HIPC) 지원 구상, 에비앙 접근법 등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G20 국가들과 함께 채무 상환 유예 이니셔티브(DSSI)를 시행했다. 같은 해, G20 채무 처리 공통 프레임워크(Common Framework for Debt Treatments beyond the DSSI)를 시행, 보다 포괄적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2004년 11월, 파리 클럽은 이라크 채무의 80%를 탕감하고 지불 유예를 부여하는 등, 이라크에 약 300억달러의 채무를 탕감했다.[25] 2006년 2월, 미국아프가니스탄의 1.08억달러 채무 탕감을 발표했다.

2005년, 인도양에 접한 국가에 영향을 미친 쓰나미 이후, 파리 클럽은 피해 국가의 일부 상환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2010년 1월, 파리 클럽은 아이티의 채무를 탕감했다.

러시아2005년 5월 파리 클럽 국가에 대한 채무를 상환하기 시작하여, 2006년 8월 21일 모두 상환했다. 가봉요르단2007년에 시장 가치로 채무를 매입했다.

2013년 1월, 파리 클럽은 미얀마가 파리 클럽에 진 100억달러의 채무 중 연체금의 50%를 탕감하고 나머지를 7년의 유예 기간을 포함하여 15년에 걸쳐 재조정했다.

2014년 5월 28일과 29일, 파리 클럽 채권단과 아르헨티나 정부는 5년에 걸쳐 파리 클럽 채권단에 지불해야 할 연체된 채무(2014년 4월 30일까지 약 97억달러)를 해결하는 데 합의했다. 이는 2001-02년 아르헨티나 채무 불이행 위기로 인해 발생한 1320억달러 규모의 채무 불이행에 대한 획기적인 합의이다.[25]

3. 회원국

파리 클럽의 회원국은 정회원, 임시 참가국, 옵서버로 구성된다. 2017년 기준으로 22개국이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OECD 회원국들이다. 정회원 외에도 특정 채무국과의 협상에 따라 임시 참가국이 참여할 수 있으며, 국제기구 및 일부 국가들은 옵서버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한다.

각 회원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정회원', '임시 참가국', '옵서버'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정회원

파리 클럽의 정회원은 22개국이며, 주로 OECD 회원국들이다. 정회원 국가는 다음과 같다.[31]



채권단 대표는 일반적으로 각국 재무부 고위 대표가 이끈다.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대상 채무국에 따라 상임 회원과 채무국의 합의 하에 수시로 참석한다.[33] IMF, 세계 은행, 지역 개발 은행, UNCTAD, OECD의 대표는 옵저버로 참가한다.[33]

3. 2. 임시 참가국

정회원 외에도 특정 채무국과의 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국가들이 임시 참가국으로 참여할 수 있다.[3]



이들 국가는 일부 파리 클럽 협정 또는 월간 "투어 도리종(Tours d'Horizon)" 토론에 임시로 참여하였다.[3]

3. 3. 옵서버

파리 클럽 협상에는 다음과 같은 국제기구 및 국가들이 옵서버로 참여한다.[4]

범주기관/국가
국제기구국제 통화 기금 (IMF)
세계 은행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유엔 무역 개발 회의 (UNCTAD)
유럽 위원회
아프리카 개발 은행
아시아 개발 은행
유럽 부흥 개발 은행 (EBRD)
미주 개발 은행 (IADB)
파리 클럽 상임 회원국채무 처리와 관련하여 청구가 없거나, 최소 규모 조항에 적용되거나, 해당 채무국의 채권자가 아니지만 협상 회의에 참석하고자 하는 채권국
파리 클럽 비회원국해당 채무국에 대한 채권을 가지고 있지만 임시 참가자로서 파리 클럽 협정에 서명할 수 없는 국가. 상임 회원국과 채무국의 동의가 필요.
기타터키,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상임 회원국과 채무국의 합의 하에 수시로 참석)[33]


4. 조직

프랑스 재무부 산하 재무총국이 파리 클럽의 운영을 담당하는 사무국 역할을 한다.[33] 1956년 아르헨티나의 대외 채무 재조정을 위해 채권국들이 파리에 모여 협의한 것이 파리 클럽의 시초이다.[32] 국제 통화 기금(IMF)이나 세계 은행과 같은 국제 기구가 아닌, 채권국 대표자들의 비공식 모임이다.[32]

파리 클럽은 정부 및 공공기관 채권자들의 모임이며, 민간 금융기관 채권자들이 채무국 구제 조치(재조정)를 협의하는 런던 클럽이 있다.[34] 파리 클럽에서는 채무 상환 연기 틀 마련 및 채권국 간 부담의 공평성 확보 등을 협의한다.[31]

2017년 현재, 프랑스, 오스트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독일,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대한민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일본 등 22개국이 상임 회원국이다.[31]

대상 채무국에 따라 터키,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상임 회원국 및 채무국의 합의 하에 수시로 참석하며,[33] IMF, 세계 은행, 지역 개발 은행, UNCTAD, OECD 대표도 옵서버로 참가한다.[33]

4. 1. 사무국

사무국은 보다 효과적인 협상 회의를 준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프랑스 재무부 산하 12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무총장이 이끈다.[33]

사무국의 역할은 주로 파리 클럽에 참여하는 채권국들의 공동 이익을 보호하고, 각 단계별 논의에서 그들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무국은 특정한 방법에 따라 협상 회의를 준비한다.

논의 초기 단계에서 사무국은 채무국의 지급 능력을 분석하고 채권자들에게 처리 방안에 대한 첫 번째 제안을 제시한다. 이 제안은 채권자들에 의해 논의된다. 사무국은 또한 협상 회의록을 작성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사무국은 또한 회의록에 포함된 다양한 조항의 준수를 보장하고, 제3국 채권국 및 상업 은행과의 대외 관계를 유지하여 특히 비교 가능 조항의 처리가 최대한 존중되도록 돕는다.

채무 처리의 공동 프레임워크 하에서, 사무국은 동일한 기술적 작업에서 공동 의장(파리 클럽 및 G20 공동 의장)의 지침에 따라 활동한다.

4. 2. 의장

1956년 이후 파리 클럽 의장은 프랑스 재무부가 맡고 있다.[5] 파리 클럽의 현 의장은 프랑스 재무부 국장인 베르트랑 뒤몽이다. 공동 의장은 다자간 문제, 무역 및 개발 정책 부서 차관보인 윌리엄 로스이고, 부의장은 다자간 금융 문제 및 개발 부서를 담당하는 부국장인 샨티 보빈이다. 이 세 명 중 한 명이 파리 클럽의 모든 회의를 주재해야 한다.

협상 과정에서 파리 클럽 의장은 채무 처리 제안을 작성하는 채권자와, 보통 재무부 장관인 채무국 대표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그는 채권자가 합의한 조건을 채무국 대표단에 제출할 책임이 있다. 채무국이 채권자의 첫 제안을 거부하는 경우, 실제 협상이 시작되고 의장은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역대 의장 목록'''[6]

기간이름
1985–1993장클로드 트리셰
1993–1997크리스티앙 노이에
2000–2005장피에르 주예
2005–2009자비에 무스카
2009–2014라몽 페르난데스 (fr)
2014–2016브뤼노 베자르 (fr)
2016–2020오딜 르노-바소
2020–2024에마뉘엘 물랭
2024–현재베르트랑 뒤몽


5. 원칙


  • '''연대''': 파리 클럽의 모든 회원국은 특정 채무국과의 거래에서 집단으로 행동하고, 각자의 채권 관리가 다른 회원국의 채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데 동의한다.
  • '''합의''': 파리 클럽의 결정은 참여 채권국 간의 합의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 '''정보 공유''': 파리 클럽은 회원국 간 정보 공유를 중시한다. 회원국들은 채무국의 상황에 대해 정기적으로 의견과 정보를 공유하고, IMF 및 세계 은행의 참여로부터 이점을 얻으며, 상호 간 채권 데이터를 공유한다. 논의 내용은 기밀로 유지된다.
  • '''개별 사례별 처리''': 파리 클럽은 각 채무국의 개별 상황에 맞춰 행동을 조정하기 위해 개별 사례별로 결정을 내린다.
  • '''조건부''': 파리 클럽은 채무 경감이 필요한 국가, 경제 및 재정 상황 회복을 위한 개혁을 시행했거나 시행할 것을 약속한 국가, 그리고 IMF 프로그램 하에서 개혁을 시행한 실적이 있는 국가와만 채무 재조정을 협상한다. 이는 해당 국가가 IMF와의 적절한 합의에 의해 지원되는 현재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채무 조정 수준은 IMF 프로그램에서 확인된 자금 조달 격차를 기반으로 한다.
  • '''대우의 동등성''': 파리 클럽은 파리 클럽의 채무 경감을 받는 채무국이 파리 클럽에 참여하지 않는 양자간 채권자에게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금지한다.[7]

6. 채무 재조정 방식

파리 클럽의 채무 재조정 방식은 크게 채무 연기 조치와 채무 삭감 조치 두 가지로 나뉜다.[31][36]

; 채무 연기 조치

: 채무 총액(상환 잔액)은 줄이지 않고, 상환 기간을 연장한다. 과거에는 대부분 이 방식이 사용되었다.

; 채무 삭감 조치

: 특정 조건 하에 채무 총액을 줄인다. 공적 자금 의존도가 높은 최빈국들의 요구가 커지면서, 삭감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1956년 아르헨티나의 채무 재조정을 위해 채권국들이 파리에 모인 것을 계기로 시작된 파리 클럽은[32], 초기에는 채무 탕감이나 감축에 반대하며 채무 재조정, 재융자 방식을 선호했다. 이를 "고전적인 조건"이라고 불렀다.[7]

그러나 라틴 아메리카 부채 위기를 겪으면서 1980년대에 채무 탕감 및 감축에 대한 입장을 바꾸기 시작했다.[7] 이후 채무 감축률을 점진적으로 높여왔다.

조건연도감축률내용
토론토 조건1988년33.33%최초로 부분적 채무 감축에 합의[7]
런던 조건1991년50%감축률 증가
나폴리 조건1994년50% 또는 67%가장 가난하고 부채가 많은 국가의 채무 감축률을 높임 (1999년 9월부터는 모든 채무 재조정에 67% 적용)



1996년 세계 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의 제안에 따라, 과도한 채무를 가진 빈곤국(HIPC)에 대한 채무 탕감 정책이 시작되었다. 2011년 말까지 36개국에 대해 약 1280억달러의 채무 탕감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들 국가 GDP의 약 35%에 해당한다. HIPC 이니셔티브에 따른 채무 탕감은 다자간 채권자(44.5%), 파리 클럽(36.3%), 비 파리 클럽 양자간 채권자(13.1%), 사적 채권자(6.1%)가 분담했다.

'''IMF와 세계 은행에 따르면 HIPC 이니셔티브 이후 채무 탕감으로 대상 국가의 부채 부담은 약 90% 감소했다'''. 또한, 채무 상환 감소와 사회 지출 증가를 통해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 달성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했다.

2003년에는 "에비앙 접근법"이라는 새로운 채무 재조정 프레임워크가 채택되었다.[11] 이는 채무국의 재정 상황에 맞춰 보다 유연하게 채무 탕감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채무 지속 가능성 문제를 겪는 국가는 IMF의 채무 지속 가능성 분석을 거쳐 채무 탕감 여부가 결정된다.[11]

현재는 선진국 정상 회의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채무국의 채무 상환 능력에 따라 다양한 채무 재조정 방식이 마련되어 있다.[37]

7. 비판

파리 클럽은 비공식적이고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2006년에는 많은 수의 비정부 기구들이 파리 클럽의 규칙 변경, 그 중에서도 투명성 확보를 위한 규칙 변경을 요구했다.[26] 비판론자들은 파리 클럽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채권국의 이익이 우선시되고, 채무국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파리 클럽은 2009년에 새로운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90개 채무국에 제공된 모든 채무 조정 조건을 재확인했다. 2008년부터는 연례 보고서를 발간해왔다.[27] 이 보고서에는 회원국이 외국에 대해 보유한 채권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2023년 말 파리 클럽이 보유한 채권 총액은 연체 이자를 제외하고 3342억달러에 달하며, 이 중 1953억달러는 공적 개발 원조(ODA) 채권이고 1389억달러는 비ODA 채권이다.[28]

파리 클럽의 모든 합의 주요 조건은 클럽 웹사이트에 설명되어 있으며,[29] 2022년에는 채무 조정 참여 조건을 공개했다.[30]

8. 대한민국과 파리 클럽

대한민국은 파리 클럽의 정회원국으로, 국제 채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파리 클럽과의 협상을 통해 단기 외채 상환을 연장함으로써, 외환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1] 대한민국은 개발도상국의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며, 채무국과의 상생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1]

국가
대한민국
이스라엘
일본


9. 파리 포럼(Paris Forum)

파리 포럼은 2013년부터 파리 클럽과 G20 의장국이 공동 주최하는 연례 행사이다. 채권국과 채무국 대표들이 모여 국가 금융 및 부채 위기 예방, 해결과 관련된 국제적 변화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이다. 개발도상국 및 신흥국의 자금 조달에서 비(非) 파리 클럽 채권국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들 국가와의 긴밀한 대화를 통해 국제 금융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파리 포럼은 신흥국들이 채권국이든 채무국이든 국가 금융에 대한 국제적 논의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논의를 최대한 개방적이고 솔직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파리 포럼에는 매년 G20 회원국, 파리 클럽 회원국 및 세계 각 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하여 30명 이상의 국가 채권국 및 채무국 대표들이 초청된다.

2024년 파리 포럼은 6월 26일 파리에서 개최되었으며 파리 클럽과 G20 브라질 의장국이 주최했다. 80개 국가 및 기관을 대표하는 200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참석했으며, 브라질의 타티아나 로시토 차관, 중국의 랴오 민 차관, IMF의 기타 고피나트 수석 부총재, 카타르의 알리 빈 아흐메드 알 쿠와리 재무부 장관, 프랑스 주재 독일 대사 스테판 슈타인라인이 소개 연사를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2024-04-06
[2]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016-11-16
[3]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2024-03-24
[4]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016-11-16
[5]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6] 서적 Restructuring Sovereign Debt: The Case for Ad Hoc Machiner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3
[7] 서적 The Latecomer's Rise: Policy Banks and the Globalization of China's Development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8]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016-11-16
[9]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016-11-16
[10] 문서 The role of the Paris Club in managing debt problems Princeton University
[11] PDF https://www.fas.org/[...] 2022-03
[12] 문서 Afghanistan, Benin, Bolivia, Burkina Faso, Burundi, Cameroon, Central African Republic, Chad, Comoros, Côte d’Ivoir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Eritrea, Ethiopia, Gambia, Ghana, Guinea, Guinea-Bissau, Guyana, Haiti, Honduras, Liberia, Madagascar, Malawi, Mali, Mauritania, Mozambique, Nicaragua, Niger, Republic of Congo, Rwanda, São Tomé and Príncipe, Senegal, Sierra Leone, Somalia, Sudan, Tanzania, Togo, Uganda, Zambia
[13] 간행물 Debt Relief as a Development Tool: The Role of the Paris Club http://ecdpm.org/gre[...] ECDPM 2013
[14]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15] 간행물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Paris Club http://www.bis.org/r[...] 2014-06-21
[16] 간행물 Paris Club's role in the financing of development https://www.un.org/e[...] 2014-06-21
[17]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18]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19]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0]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1]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2]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3]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4]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www.clubdepar[...]
[25] 뉴스 Argentina in deal with Paris Club to pay $10bn debts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6-21
[26] 웹사이트 Civil Society Statement on the Paris Club at 50: Illegitimate and unsustainable http://journal.probe[...] 2006-06-06
[27] 웹사이트 Club de Paris – claims https://clubdeparis.[...] 2021-03-23
[28] 웹사이트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29] 웹사이트 Agreements concluded with Paris Club | Club de Paris https://clubdeparis.[...]
[30] inline https://clubdeparis.[...] 2024-08
[31] 웹사이트 貿易保険に関する債権回収 ~ パリクラブの枠組みを通じた債権回収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7-03-27
[32] 웹사이트 パリクラブとは http://nexi.go.jp/pa[...] 日本貿易保険 2017-03-27
[33] 웹사이트 パリクラブの組織 http://nexi.go.jp/pa[...] 日本貿易保険 2017-03-27
[34] 웹사이트 パリクラブ http://nexi.go.jp/pa[...] 日本貿易保険 2017-03-27
[35] 웹사이트 パリクラブの債権とは http://nexi.go.jp/pa[...] 日本貿易保険 2017-03-27
[36] 웹사이트 パリクラブにおける債務救済 http://nexi.go.jp/pa[...] 2017-03-27
[37] 웹사이트 パリクラブにおける債務救済措置の変遷 http://www.meti.go.j[...] 2017-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