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68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68운동은 1968년 5월 프랑스에서 일어난 학생 및 노동자들의 대규모 시위와 파업을 의미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불안정 속에서 시작된 이 운동은, 베트남 전쟁 반대, 기성 권위주의 비판, 물질주의 거부 등을 외치며 전 세계적인 혁명적 흐름을 이끌었다. 68운동은 단기적으로는 드골 정부의 지지 회복으로 이어졌으나, 프랑스 사회의 권위주의적 문화를 변화시키고, 교육, 노동, 젠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개혁을 촉진하는 등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 세계적인 학생 운동과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으며, 문화 예술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아나키즘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프랑스의 아나키즘 - 일리걸리즘
일리걸리즘은 1890년대 프랑스에서 발생한 아나키즘 사상으로, 법과 도덕을 거부하고 절도, 위조, 강도 등 불법 행위를 통해 사회에 저항하며 개인의 욕망 실현과 사회 질서 전복을 추구한다. - 프랑스의 노동쟁의 - SNCM
SNCM은 1855년 설립된 프랑스 해운 회사에서 기원하여 1976년 국유화 후 코르시카-프랑스 본토 간 해상 운송을 담당했으나, 2005년 민영화 논란과 2014년 파산 보호 신청을 거쳐 마르세유 법원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 프랑스의 노동쟁의 - 2010년 프랑스 연금개혁법 반대 시위
2010년 프랑스 연금개혁법 반대 시위는 프랑스 정부의 연금 수령 연령 연장 개혁안에 반대하며 소득 불평등, 청년 실업 등의 불만이 폭발하여 전국적인 파업과 시위로 격화되어 프랑스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의 68운동 | |
---|---|
사건 개요 | |
명칭 | 1968년 5월 프랑스 사건 |
일부 | 1968년 사회운동 및 냉전의 일부 |
![]() | |
기간 | 1968년 5월 2일 – 1968년 6월 23일 (1개월, 3주, 1일) |
장소 | 프랑스 |
목표 | 점거 불법 파업 총파업 |
원인 | 샤를 드 골 정부의 실정, 사회 모순 |
결과 | 조기 총선 |
교전 세력 | |
측1 | 반대파: 아나키스트 프랑스 공산당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노동자 평의회 유지 위원회 민주사회주의 좌파 연맹 학생: 프랑스 전국학생연합 소르본 점령 위원회 노조: CGT FO |
측2 | 정부 내무부 국가 경찰 공화국 보안 중대 프랑스군 골주의 정당 |
지휘관 및 지도자 | |
측1 | 분산된 지도력 참여한 주목할 만한 사람들: 프랑수아 미테랑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
측2 |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 프랑스 총리 |
피해 규모 | |
사망자 | 2명 (5월 25일) |
부상자 | 887명 이상 (5월 25일) |
체포 | 1,000명 이상 (5월 25일)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식민지 제국이었던 프랑스는 제4공화국이라는 정권이 불안정한 정치 체제로 이행했다(1946-1958).[57] 이 사이에 베트남과 알제리라는 두 개의 구 식민지의 독립 도전을 받아 인도차이나 전쟁 (1946-1954)과 알제리 전쟁 (1954-1962)에 파병했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프랑스군은 1953년 디엔비엔푸에서 패배하여 베트남에서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프랑스는 알제리 식민지 유지를 고집하며 의회의 혼란을 초래하고, 수렁에 빠진 알제리 전쟁 (1954)으로 돌입해 간다. 제4공화국이 명확한 리더십을 취할 수 없는 체제였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적 영웅 드 골 장군은 더 강력한 대통령 권한을 가진 제5공화국을 수립(1958)하고, 알제리와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을 용인했다.[57]
2. 1. 정치적 상황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식민지 제국이었던 프랑스는 제4공화국이라는 정권이 불안정한 정치 체제로 이행했다(1946-1958).[57] 이 사이에 베트남과 알제리라는 두 개의 구 식민지의 독립 도전을 받아 인도차이나 전쟁 (1946-1954)과 알제리 전쟁 (1954-1962)에 파병했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프랑스군은 1953년 디엔비엔푸에서 패배하여 베트남에서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프랑스는 알제리 식민지 유지를 고집하며 의회의 혼란을 초래하고, 수렁에 빠진 알제리 전쟁 (1954)으로 돌입해 간다. 제4공화국이 명확한 리더십을 취할 수 없는 체제였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적 영웅 드 골 장군은 더 강력한 대통령 권한을 가진 제5공화국을 수립(1958)하고, 알제리와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을 용인했다.[57]
1968년 2월, 프랑스 공산당과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는 선거 동맹을 결성했다. 공산주의자들은 오랫동안 선거에서 사회당 후보를 지지해 왔지만, "2월 선언"에서 두 정당은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과 그의 골리스트당을 대체할 공동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2. 2. 사회경제적 상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제4공화국(1946-1958)이라는 불안정한 정치 체제를 거쳤다.[57] 이 시기 프랑스는 인도차이나 전쟁(1946-1954)과 알제리 전쟁(1954-1962)을 치르며 식민지 독립 문제에 직면했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디엔비엔푸 패배(1953)로 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했고, 알제리 전쟁(1954-1962)은 프랑스 사회에 깊은 수렁을 안겼다. 제4공화국이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드 골 장군은 더 강력한 대통령 권한을 가진 제5공화국을 수립(1958)하고, 알제리와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을 용인했다.[57]
전후 '영광의 30년'이라 불리는 경제 호황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소외와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특히 대학생 수가 급증하여 1938년 6만 명에서 1961년 24만 명, 1968년에는 60만 5,000명까지 증가했다.[65] 이는 교육 시스템 과부하와 청년 실업 문제를 야기했다.
2. 3. 국제 정세
3. 혁명의 전개
파리 낭테르 대학이 학생들과의 대립으로 학교를 일시 폐쇄하자 이에 항의하여 소르본 대학의 학생들이 5월 3일 광장으로 나온 것을 기점으로, 파리에서의 학생, 노동자의 시위와 파업은 6월 들어 베를린과 로마로 퍼져나갔다.[72] 학생들의 학교점거가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영국, 미국, 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멕시코, 일본 등에서도 시위가 발생했으며, 진압 도중 수많은 생명을 잃는 참사를 빚었다.[72] 특히 일본에서는 도쿄, 오사카 등 주요 대학에서 점거 투쟁이 벌어졌고 미군기지도 습격을 당했다.[72]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 반대에 더해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었다.[72] 이는 자본주의 진영뿐만 아니라 동구권 여러 나라에서도 발생한, 세계적 차원의 혁명이었다.[72]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제껏 세계적 혁명은 단 둘뿐이었다. 하나는 1848년에, 또 하나는 1968년에 일어났다. 둘 다 실패로 끝났지만 둘 다 세계를 뒤흔들어 놓았다"고 평가했다.[72]
베트남 전쟁은 이 저항과 혁명의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72] 베트남 인민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과 투쟁은 전 세계 반전 평화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72] 1968년 1월 구정 대공세는 전 세계 학생과 시민들의 반전 운동과 해방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고, 68 혁명이 사회 문화혁명으로, 국지적인 것이 아닌 세계로 퍼져나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72] 하지만 시위가 3달 가까이 지속되자 시민들과 언론은 점점 무질서에 염증을 느꼈고, 그 반발심리로 곧 이어진 총선에서는 우파가 대거 득세하게 되었다.[72]
68 혁명의 주도자는 <신좌파>로, 전통좌파와는 차별성을 보인다.[72] 신좌파는 전통좌파의 평등주의를 계승하면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소수자 운동 등으로까지 발전했다.[72] 노동해방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특히 주변부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해방을 추구했다.[72] 구좌파의 제도적 경직성과 권위주의는 지양하면서 자본주의의 물신성, 야만에 대해서도 비판했다.[72]
신좌파는 하나의 이념으로 결속된 단일세력이 아니었기에 네오마르크스주의자, 무정부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등으로 나뉘었다.[72] 직접행동 민주주의, 혁명적 투쟁을 중시한 신좌파는 제도정치권에 참여하기보다 주로 반체제 비판 세력으로 남았다.[72] 그러나 68 혁명의 영향을 크게 받은 환경운동단체들이 본격적으로 정치무대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녹색당>은 프랑스와 독일에서 모두 좌파연립정부 구성에 참여했다.[72]
68 혁명이 유럽의 정치권을 완전히 뒤바꾸지는 못했지만 기존의 정치문화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다.[72] 또 자본주의 소비사회의 일상에서 소외되어 살아가던 평범한 시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72]
=== 학생 운동의 발단 ===
1968년 3월 22일, 극좌 단체와 학생 150여 명은 파리 낭테르 대학교의 행정 건물을 점거하고, 프랑스 사회의 계급 차별과 대학 운영에 대한 정치적 관료주의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6] 대학 당국은 경찰을 불렀고, 학생들은 요구 사항을 발표한 후 건물을 떠났지만, "3월 22일 운동" 지도자들은 징계위원회에 소환되었다.[6]
파리 대학교 (현재 파리 낭테르 대학교) 낭테르 캠퍼스에서 학생들과 당국 간의 갈등이 계속되자, 행정부는 1968년 5월 2일 대학교를 폐쇄했다.[6] 5월 3일, 소르본 대학교 학생들은 낭테르 학생들의 퇴학 위협과 대학 폐쇄 조치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7] 5월 6일, 전국학생연합 (UNEF)과 대학교수 연합은 소르본에 대한 경찰의 침입에 항의하는 시위를 열었고, 2만 명 이상의 학생, 교사 및 지지자들이 소르본으로 행진했다.[6] 경찰은 곤봉을 휘두르며 시위대를 진압했고, 이에 맞서 일부 시위대는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포장 도로를 던지며 저항했다. 경찰은 최루탄으로 대응하며 수백 명의 학생들을 체포했다.[6]
고등학교 학생 연합은 5월 6일의 폭동에 지지를 표명했고, 다음 날 학생, 교사, 젊은 노동자들은 개선문에 모여 체포된 학생들에 대한 형사 기소 취하, 경찰의 대학교 철수, 낭테르와 소르본 재개방을 요구했다.
1966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시작된 학생 운동은 교수 독점의 위계 질서에 대한 민주화 요구와 기존 학생 운동 조직이었던 프랑스 전국 학생 연맹(UNEF)의 관료주의에 대한 반발을 담고 있었다.[59][60] 이러한 움직임은 1964년 설립된 파리 대학교 낭테르 분교(현재의 파리 제10대학교)로 확산되었고, 1968년 3월 22일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으로 이어졌다.[61] 이는 소르본 학생들의 자치와 민주화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이후 다니엘 콘-벤디트, 자크 소바조, 알랭 제스마르, 알랭 크리빈느 등의 지도자들이 등장했고, 일부 노동자들도 학생 운동에 동참하면서 운동은 노동계로 확산되었다. 3월 29일부터 30일까지 낭테르교의 수업은 중단되었다.
=== 소르본 대학 점거와 5월 위기 ===
5월 3일, 파리 대학교 소르본 캠퍼스(오늘날 소르본 대학교) 학생들은 낭테르 캠퍼스 폐쇄 조치와 낭테르 학생 몇 명의 퇴학 위협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7] 경찰의 강경 진압은 학생들의 저항을 더욱 격화시켰고, 이는 노동자들의 총파업으로 이어졌다.
5월 6일, 전국학생연합(UNEF)과 대학교수 연합은 소르본에 대한 경찰의 침입에 항의하는 시위를 열었다.[6] 2만 명 이상의 학생, 교사 및 지지자들이 소르본을 향해 행진했고, 경찰은 곤봉과 최루탄을 사용하며 시위대를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학생들이 체포되었다.[6]
다음 날, 학생, 교사 및 젊은 노동자들은 개선문에 모여 체포된 학생들에 대한 기소 취하, 경찰의 대학교 철수, 낭테르와 소르본 재개방을 요구했다. 협상이 결렬된 후 학생들은 학교로 돌아갔지만, 경찰이 여전히 학교를 점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혁명적인 열정을 불태웠다.
5월 10일, 리브 고슈에서 다시 한번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경찰과 시위대 간의 격렬한 충돌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생중계되었으며, 경찰이 폭력 시위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8]
정부의 강경 대응은 파업 참가자들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켰고, 노동 총동맹(CGT)과 노동자 포스(CGT-FO)는 5월 13일 하루 총파업과 시위를 촉구했다.[8]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파리를 행진했고, 조르주 퐁피두 총리는 수감자 석방과 소르본 대학 재개방을 발표했다. 소르본 대학이 재개방되자, 학생들은 그곳을 점거하고 자율적인 "인민 대학"을 선언했다. 소르본 점거 위원회를 포함하여 약 401개의 민중 행동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낭테르 대학교 학장은 캠퍼스 폐쇄를 결정했고, 추방된 학생 약 500명은 소르본 대학교를 점거했다. 경찰과 프랑스 공화국 보안 기동대(CRS)가 투입되어 학생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100명 이상의 부상자와 수백 명의 체포자가 발생했다. 소르본 대학교는 폐쇄되었고, 학생들은 라탱 지구에 바리케이드를 구축하고 시위를 이어갔다. 오데옹 극장등 파리 중심부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경찰의 탄압으로 일반 시민들까지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라탱 지구에서 격렬한 충돌이 다시 발생하여 학생 600명과 경찰관 345명이 부상당하고 422명이 체포되었다. 프랑스 각지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연대 파업'''이 일어났고, 7일에는 전국 대학생 연합(UNEF) 주최로 4만 명 규모의 시위가 열렸다. 경찰은 카르티에 라탱에서 철수하여 학생들의 '''"해방구"'''가 되었다.
미국과 베트남 간 협상 대표단의 안전 확보를 위해 경찰 증원 부대가 파리에 도착했다. 전국고등교육직원조합(SNES)은 경찰의 억압을 비난하고, 고등학생들의 다양한 행동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프랑스 방송 협회(ORTF)는 일련의 사건 방송을 금지했고, 국민 교육부 장관과 학생 간의 협상은 결렬되었다. 학생과 노동자들은 라탱 지구 일대를 점거하고 바리케이드를 쳤으며(「바리케이드의 밤」), 경찰과의 충돌로 377명이 중상을 입고 418명이 체포되었으며, 약 60대의 차가 불탔다. 경찰의 강경한 반응에 학생과 일반 시민은 단결을 강화했고, 11일, 각 조합은 13일의 데모와 총파업 결행을 선언했다. 퐁피두 총리는 학생들의 요구에 양보했다.
=== 노동자들의 참여와 총파업 ===
5월 13일, 주요 노동조합들은 학생 시위에 대한 지지와 연대를 표명하며 총파업을 선언했다.[9] 노동조합(CGT, CFDT, FEN)과 좌파 정당은 학생 지원을 위해 24시간 파업을 호소했고, 약 80만 명의 교사, 조합원, 정치인이 파리의 거리에 모였다.[9] 조르주 퐁피두 총리는 소르본 대학교의 재개방을 발표하여 상황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학생들은 항구적인 점거를 선언했다.[9] 파업은 르노 공장을 비롯한 여러 공장으로 번져나갔고, 5월 17일까지 20만 명이 파업을 결행했으며, 이 숫자는 다음 날 200만 명으로 불어났고, 그 후 1주일 만에 프랑스 노동자의 약 2/3에 해당하는 약 1천만 명이 참가했다고 전해진다.[9]
5월 중순이 되자 시위는 공장으로 확대되었고, 전국학생연합(UNEF)과 프랑스 민주 노동 총동맹(CFDT)은 "노동자와 학생의 투쟁은 같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9] 5월 24일에는 리옹에서 경찰 간부 르네 라크루아가 폭도들이 경찰 라인으로 몰아넣은 무인 트럭에 깔려 사망하고, 파리에서는 시위자들 간의 언쟁 중에 26세의 필리프 메테리온이 칼에 찔려 사망하는 등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
5월 말, 주요 노동조합들은 고용주 단체 및 프랑스 정부와 만나 그르넬 협약을 체결했다.[10] 이 협약은 최저 임금을 35%, 모든 임금을 10% 인상하고, 근로자 보호 및 근로 시간 단축을 보장했지만, 노동조합은 조합원들의 반대로 인해 협약을 거부해야만 했다.[10] 은행 및 섬유 산업 등을 포함한 대규모 총파업으로 프랑스의 교통 시스템은 모두 마비 상태에 빠졌고, 8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파업을 벌였다.[9] 다니엘 콩-방디는 프랑스 재입국을 거부당했다.[9] 파리 시청과 증권 거래소를 학생들이 습격하고, 20만 명의 농업 노동자와 각 대학도 파업에 돌입했다.[9]
=== 드골의 대응과 6월 총선 ===
샤를 드골과 공산주의자들 사이에서 민주사회좌파연합의 프랑수아 미테랑은 중재자 역할을 할 기회를 엿보았다. 5월 28일, 미테랑은 "더 이상 국가는 없다"고 선언하고 새 정부를 구성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45%의 득표율을 얻은 인물이었다. 5월 29일,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또한 새 정부를 구성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으며, 미테랑과는 달리 공산주의자를 포함할 의향이 있었다.
1968년 5월 29일, 드골은 각료 회의를 연기하고, 엘리제 궁전에서 개인 서류를 비밀리에 옮겼다.[12] 그는 사위 알랭 드 부아시외에게 "엘리제를 공격할 기회를 주고 싶지 않다"며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12] 드골은 프랑스 국민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퐁피두의 요청을 거부했는데, 그는 골리스트가 그 선거에서 질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12] 오전 11시, 그는 퐁피두에게 "나는 과거이고, 당신은 미래입니다. 당신을 포옹합니다."라고 말했다.[12]
드골은 콜롬베 레 되 에글리즈에 있는 그의 시골집으로 갈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나, 헬리콥터는 도착하지 않았고, 6시간이 넘도록 그의 행방은 묘연했다.[13] 이는 퐁피두를 포함한 프랑스 국민들을 경악하게 했다.[14] 국가 정부는 사실상 기능을 멈췄고, 퐁피두는 "스스로 정부 전체였다"고 평가받았다. 퐁피두는 군사 레이더를 사용하여 드골 대통령의 헬리콥터를 추적했지만 실패했고, 곧 그가 바덴바덴에 있는 독일 주둔 프랑스군 사령부에서 자크 마쉬 장군을 만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쉬는 드골에게 프랑스로 돌아가도록 설득했고, 군의 지원을 확인한 드골은 5월 30일 국무회의를 다시 소집하고, 오후 6시까지 콜롬베로 돌아왔다.
5월 30일, CGT가 이끄는 40만에서 50만 명의 시위대가 "''안녕, 드골!''" ("Farewell, de Gaulle!")을 외치며 파리를 행진했다. 모리스 그리모 파리 경찰 청장은 혁명을 막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공산주의 지도자들은 무장 봉기를 계획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30일 오후 2시 30분, 퐁피두는 드골에게 사임을 위협하며 국민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치르도록 설득했다. 오후 4시 30분, 드골은 사임을 거부하는 방송을 했다. 그는 6월 23일로 예정된 선거를 발표하고 노동자들에게 복귀를 명령하며, 복귀하지 않으면 비상사태를 선포하겠다고 위협했다. 정부는 언론에 군대가 파리 외곽에 대기하고 있다는 정보를 흘렸다. 연설 직후 약 80만 명의 지지자들이 국기를 흔들며 샹젤리제 거리를 행진했다. 공산주의자들은 선거에 동의했고, 혁명의 위협은 사라졌다.
이후 학생과 노동자들의 혁명적 감정은 점차 사라졌다. 노동자들은 점차 직장으로 복귀하거나 경찰에 의해 공장에서 쫓겨났다. 전국 학생 연합은 거리 시위를 중단했다. 정부는 여러 좌익 단체를 금지했다. 경찰은 6월 16일에 소르본을 탈환했다. 드골의 우려와는 달리, 그의 정당은 6월에 치러진 총선에서 프랑스 의회 역사상 최대 승리를 거두어, 공산당의 34석과 사회당의 57석에 비해 486석 중 353석을 차지했다.
3. 1. 학생 운동의 발단
1968년 3월 22일, 극좌 단체와 학생 150여 명은 파리 낭테르 대학교의 행정 건물을 점거하고, 프랑스 사회의 계급 차별과 대학 운영에 대한 정치적 관료주의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 대학 당국은 경찰을 불렀고, 학생들은 요구 사항을 발표한 후 건물을 떠났지만, "3월 22일 운동" 지도자들은 징계위원회에 소환되었다.[6]파리 대학교 (현재 파리 낭테르 대학교) 낭테르 캠퍼스에서 학생들과 당국 간의 갈등이 계속되자, 행정부는 1968년 5월 2일 대학교를 폐쇄했다.[6] 5월 3일, 소르본 대학교 학생들은 낭테르 학생들의 퇴학 위협과 대학 폐쇄 조치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7] 5월 6일, 전국학생연합 (UNEF)과 대학교수 연합은 소르본에 대한 경찰의 침입에 항의하는 시위를 열었고, 2만 명 이상의 학생, 교사 및 지지자들이 소르본으로 행진했다. 경찰은 곤봉을 휘두르며 시위대를 진압했고, 이에 맞서 일부 시위대는 바리케이드를 만들고 포장 도로를 던지며 저항했다. 경찰은 최루탄으로 대응하며 수백 명의 학생들을 체포했다.[6]
고등학교 학생 연합은 5월 6일의 폭동에 지지를 표명했고, 다음 날 학생, 교사, 젊은 노동자들은 개선문에 모여 체포된 학생들에 대한 형사 기소 취하, 경찰의 대학교 철수, 낭테르와 소르본 재개방을 요구했다.
1966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시작된 학생 운동은 교수 독점의 위계 질서에 대한 민주화 요구와 기존 학생 운동 조직이었던 프랑스 전국 학생 연맹(UNEF)의 관료주의에 대한 반발을 담고 있었다.[59][60] 이러한 움직임은 1964년 설립된 파리 대학교 낭테르 분교(현재의 파리 제10대학교)로 확산되었고, 1968년 3월 22일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으로 이어졌다.[61] 이는 소르본 학생들의 자치와 민주화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이후 다니엘 콘-벤디트, 자크 소바조, 알랭 제스마르, 알랭 크리빈느 등의 지도자들이 등장했고, 일부 노동자들도 학생 운동에 동참하면서 운동은 노동계로 확산되었다. 3월 29일부터 30일까지 낭테르교의 수업은 중단되었다.
3. 2. 소르본 대학 점거와 5월 위기
5월 3일, 파리 대학교 소르본 캠퍼스(오늘날 소르본 대학교) 학생들은 낭테르 캠퍼스 폐쇄 조치와 낭테르 학생 몇 명의 퇴학 위협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7] 경찰의 강경 진압은 학생들의 저항을 더욱 격화시켰고, 이는 노동자들의 총파업으로 이어졌다.5월 6일, 전국학생연합(UNEF)과 대학교수 연합은 소르본에 대한 경찰의 침입에 항의하는 시위를 열었다.[6] 2만 명 이상의 학생, 교사 및 지지자들이 소르본을 향해 행진했고, 경찰은 곤봉과 최루탄을 사용하며 시위대를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학생들이 체포되었다.[6]
다음 날, 학생, 교사 및 젊은 노동자들은 개선문에 모여 체포된 학생들에 대한 기소 취하, 경찰의 대학교 철수, 낭테르와 소르본 재개방을 요구했다. 협상이 결렬된 후 학생들은 학교로 돌아갔지만, 경찰이 여전히 학교를 점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혁명적인 열정을 불태웠다.
5월 10일, 리브 고슈에서 다시 한번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경찰과 시위대 간의 격렬한 충돌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생중계되었으며, 경찰이 폭력 시위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8]
정부의 강경 대응은 파업 참가자들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켰고, 노동 총동맹(CGT)과 노동자 포스(CGT-FO)는 5월 13일 하루 총파업과 시위를 촉구했다.[8]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파리를 행진했고, 조르주 퐁피두 총리는 수감자 석방과 소르본 대학 재개방을 발표했다. 소르본 대학이 재개방되자, 학생들은 그곳을 점거하고 자율적인 "인민 대학"을 선언했다. 소르본 점거 위원회를 포함하여 약 401개의 민중 행동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낭테르 대학교 학장은 캠퍼스 폐쇄를 결정했고, 추방된 학생 약 500명은 소르본 대학교를 점거했다. 경찰과 프랑스 공화국 보안 기동대(CRS)가 투입되어 학생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100명 이상의 부상자와 수백 명의 체포자가 발생했다. 소르본 대학교는 폐쇄되었고, 학생들은 라탱 지구에 바리케이드를 구축하고 시위를 이어갔다. 오데옹 극장등 파리 중심부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경찰의 탄압으로 일반 시민들까지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라탱 지구에서 격렬한 충돌이 다시 발생하여 학생 600명과 경찰관 345명이 부상당하고 422명이 체포되었다. 프랑스 각지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연대 파업'''이 일어났고, 7일에는 전국 대학생 연합(UNEF) 주최로 4만 명 규모의 시위가 열렸다. 경찰은 카르티에 라탱에서 철수하여 학생들의 '''"해방구"'''가 되었다.
미국과 베트남 간 협상 대표단의 안전 확보를 위해 경찰 증원 부대가 파리에 도착했다. 전국고등교육직원조합(SNES)은 경찰의 억압을 비난하고, 고등학생들의 다양한 행동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프랑스 방송 협회(ORTF)는 일련의 사건 방송을 금지했고, 국민 교육부 장관과 학생 간의 협상은 결렬되었다. 학생과 노동자들은 라탱 지구 일대를 점거하고 바리케이드를 쳤으며(「바리케이드의 밤」), 경찰과의 충돌로 377명이 중상을 입고 418명이 체포되었으며, 약 60대의 차가 불탔다. 경찰의 강경한 반응에 학생과 일반 시민은 단결을 강화했고, 11일, 각 조합은 13일의 데모와 총파업 결행을 선언했다. 퐁피두 총리는 학생들의 요구에 양보했다.
3. 3. 노동자들의 참여와 총파업
5월 13일, 주요 노동조합들은 학생 시위에 대한 지지와 연대를 표명하며 총파업을 선언했다.[9] 노동조합(CGT, CFDT, FEN)과 좌파 정당은 학생 지원을 위해 24시간 파업을 호소했고, 약 80만 명의 교사, 조합원, 정치인이 파리의 거리에 모였다.[9] 조르주 퐁피두 총리는 소르본 대학교의 재개방을 발표하여 상황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학생들은 항구적인 점거를 선언했다.[9] 파업은 르노 공장을 비롯한 여러 공장으로 번져나갔고, 5월 17일까지 20만 명이 파업을 결행했으며, 이 숫자는 다음 날 200만 명으로 불어났고, 그 후 1주일 만에 프랑스 노동자의 약 2/3에 해당하는 약 1천만 명이 참가했다고 전해진다.[9]5월 중순이 되자 시위는 공장으로 확대되었고, 전국학생연합(UNEF)과 프랑스 민주 노동 총동맹(CFDT)은 "노동자와 학생의 투쟁은 같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9] 5월 24일에는 리옹에서 경찰 간부 르네 라크루아가 폭도들이 경찰 라인으로 몰아넣은 무인 트럭에 깔려 사망하고, 파리에서는 시위자들 간의 언쟁 중에 26세의 필리프 메테리온이 칼에 찔려 사망하는 등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
5월 말, 주요 노동조합들은 고용주 단체 및 프랑스 정부와 만나 그르넬 협약을 체결했다.[10] 이 협약은 최저 임금을 35%, 모든 임금을 10% 인상하고, 근로자 보호 및 근로 시간 단축을 보장했지만, 노동조합은 조합원들의 반대로 인해 협약을 거부해야만 했다.[10] 은행 및 섬유 산업 등을 포함한 대규모 총파업으로 프랑스의 교통 시스템은 모두 마비 상태에 빠졌고, 8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파업을 벌였다.[9] 다니엘 콩-방디는 프랑스 재입국을 거부당했다.[9] 파리 시청과 증권 거래소를 학생들이 습격하고, 20만 명의 농업 노동자와 각 대학도 파업에 돌입했다.[9]
3. 4. 드골의 대응과 6월 총선
샤를 드골과 공산주의자들 사이에서 민주사회좌파연합의 프랑수아 미테랑은 중재자 역할을 할 기회를 엿보았다. 5월 28일, 미테랑은 "더 이상 국가는 없다"고 선언하고 새 정부를 구성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45%의 득표율을 얻은 인물이었다. 5월 29일,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또한 새 정부를 구성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으며, 미테랑과는 달리 공산주의자를 포함할 의향이 있었다.1968년 5월 29일, 드골은 각료 회의를 연기하고, 엘리제 궁전에서 개인 서류를 비밀리에 옮겼다.[12] 그는 사위 알랭 드 부아시외에게 "엘리제를 공격할 기회를 주고 싶지 않다"며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12] 드골은 프랑스 국민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퐁피두의 요청을 거부했는데, 그는 골리스트가 그 선거에서 질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12] 오전 11시, 그는 퐁피두에게 "나는 과거이고, 당신은 미래입니다. 당신을 포옹합니다."라고 말했다.[12]
드골은 콜롬베 레 되 에글리즈에 있는 그의 시골집으로 갈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나, 헬리콥터는 도착하지 않았고, 6시간이 넘도록 그의 행방은 묘연했다.[13] 이는 퐁피두를 포함한 프랑스 국민들을 경악하게 했다.[14] 국가 정부는 사실상 기능을 멈췄고, 퐁피두는 "스스로 정부 전체였다"고 평가받았다. 퐁피두는 군사 레이더를 사용하여 드골 대통령의 헬리콥터를 추적했지만 실패했고, 곧 그가 바덴바덴에 있는 독일 주둔 프랑스군 사령부에서 자크 마쉬 장군을 만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쉬는 드골에게 프랑스로 돌아가도록 설득했고, 군의 지원을 확인한 드골은 5월 30일 국무회의를 다시 소집하고, 오후 6시까지 콜롬베로 돌아왔다.
5월 30일, CGT가 이끄는 40만에서 50만 명의 시위대가 "''안녕, 드골!''" ("Farewell, de Gaulle!")을 외치며 파리를 행진했다. 모리스 그리모 파리 경찰 청장은 혁명을 막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공산주의 지도자들은 무장 봉기를 계획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30일 오후 2시 30분, 퐁피두는 드골에게 사임을 위협하며 국민 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치르도록 설득했다. 오후 4시 30분, 드골은 사임을 거부하는 방송을 했다. 그는 6월 23일로 예정된 선거를 발표하고 노동자들에게 복귀를 명령하며, 복귀하지 않으면 비상사태를 선포하겠다고 위협했다. 정부는 언론에 군대가 파리 외곽에 대기하고 있다는 정보를 흘렸다. 연설 직후 약 80만 명의 지지자들이 국기를 흔들며 샹젤리제 거리를 행진했다. 공산주의자들은 선거에 동의했고, 혁명의 위협은 사라졌다.
이후 학생과 노동자들의 혁명적 감정은 점차 사라졌다. 노동자들은 점차 직장으로 복귀하거나 경찰에 의해 공장에서 쫓겨났다. 전국 학생 연합은 거리 시위를 중단했다. 정부는 여러 좌익 단체를 금지했다. 경찰은 6월 16일에 소르본을 탈환했다. 드골의 우려와는 달리, 그의 정당은 6월에 치러진 총선에서 프랑스 의회 역사상 최대 승리를 거두어, 공산당의 34석과 사회당의 57석에 비해 486석 중 353석을 차지했다.
4. 혁명의 요구와 이념
생활속 민주주의 또는 일체의 권위를 거부하는 평등주의를 제창했다.[71] 서구 사회는 대체로 정치적, 경제적 민주주의를 구현한 나라들로, 이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적 생활화의 요구는 당연한 수순이었다. 68 혁명 운동은 신좌파의 주도로 전통적 사회주의를 고무한 것은 사실이나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를 막론하고 억압적 권위주의에 대해서는 과감한 철퇴를 내렸다는 사실이다. 68 혁명의 정신적 지주였던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후기 자본주의체제를 파시즘으로 규정했는데, 이런 현상은 가정으로까지 침투해 있었다. 가부장 권위주의는 타매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었고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며 차별에 강력 저항했다. 특히, 관료적 권위주의는 동, 서구의 양체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어서 매서운 공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집단과 조직사회 속의 관료주의도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교사, 교수의 권위주의, 목사의 권위주의, 기업체 사장의 권위주의 등 모든 권위는 전방위적으로 비판되고 투쟁으로 추방할 것을 강조했다.[71]
68 혁명은 사람사는 세상, 인간다운 삶을 요구했다. 68 혁명은 무엇보다 자본주의 생산체제를 넘어 그 소비체제의 물신주의, 물질숭배, 인간소외에 저항의 초점이 맞춰졌다. 과거의 강압이나 착취에 의한 인간 통제와는 달리 후기 자본주의는 여론조작과 조종을 통해 부드럽게 인간을 지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만천하에 폭로됨으로써 항거의 물결은 세차게 일었다. 68 혁명은 부의 증대, 경제 성장에 따른 과소비, 비인간화와 일상적 소외를 다양한 구호를 내걸고 정면으로 공략했다. "행동하라", "더 많이 소비하라, 더 빨리 죽으리니", "일하지 말라", "열정을 해방하라",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금지를 금지하라", "파괴는 창조의 열정이다", "사랑할수록 더 많이 혁명한다", "굶주릴 지라도 권태로운 것은 못 참는다", "선거는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다-투쟁은 계속된다"와 같은 구호들은 경제가 발전할수록 인간성이 황폐화되는 것을 목도하고 인간다운 세상의 건설을 위해 물질주의와 물질에 사람이 종속되는 삶을 거부하고 대지를 요동치는 몸부림을 쳤던 것이다.[71]
68 혁명에 이념적 근거를 제공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억압이 없는 현실원칙"이 관철되는 이상사회의 실현을 확신하며 "두려움없는 최고의 평등한 자유를 얻기위한 투쟁의 의미로 "위대한 거부"를 역설했다. 이는 혁명과 전복의 다른 이름이었다. 또한 크리스 하먼은 "68 혁명은 세상을 완전히 뒤집지는 못했지만 세상을 강력하게 뒤흔들었다. 그 충격파는 많은 사람들을 해방으로 이끌었으며, 세상이 완전히 바뀔 수 있고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고 평가했다.[71]
4. 1. 신좌파의 등장과 특징
68 혁명을 주도한 '신좌파'는 기존 좌파와는 차별화된 특징을 보였다. 이들은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의 기본 이념인 모든 인간의 해방, 즉 자유로운 인간들의 평등한 세상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70] 그러나 현실사회주의와 구좌파는 노동자 해방에만 머물렀고, 스탈린식 공산주의는 관료주의와 자유 억압으로 사회 활력을 잃게 했다.[70] 이에 신좌파는 "굶어죽을지라도 지루한 건 못참겠다"고 외치며 혁명운동에 앞장섰다.[70]신좌파는 구좌파와 마찬가지로 소수 기득권층의 정치, 경제적 억압과 착취를 반대했지만, 억압과 착취의 개념을 더 넓게 해석했다.[70] 이들은 문화, 성, 인종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억압과 차별까지 비판하며, 여성 억압, 아동 학대, 대중문화 등 일상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70] 또한, 단일 대오의 일사불란한 조직적 행동보다는 다양한 대중의 직접 행동 정치를 강조했다.[70]
이러한 신좌파 운동은 프랑스 혁명에서 러시아 혁명, 쿠바 혁명, 문화 대혁명에 이르는 "혁명의 역사"를 배경으로[70] 체 게바라, 마오쩌둥과 같은 공산주의자들을 운동의 아이콘으로 삼았다.[70] 1960년대 후반, 세계의 신좌익 청년들은 학생 운동을 통해 서로의 이념, 사상, 철학을 공유하며 격렬한 정치 운동을 벌였고, 이는 국가의 틀에 갇히지 않는 대항 문화(카운터컬처)나 반체제 문화(히피)를 구성하는 "'''세계적인 동세대'''"라는 세대적 시좌를 가속화했다.[51] 이후, 학생들은 발언권을 강화하고, 프랑스의 현대화를 추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1] 이는 록과 영화, 패션[52], 애니메이션, 아트 등에 영향을 미쳤다.[53]
5월 혁명은 '반 스탈린주의'적, '반 소련'적인 신좌익 그룹이 주도했다.[70] 이들은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아나키스트, 학생, 노동자, 시민, 상황주의자 등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랑스 사회당이나 프랑스 공산당 등 구 좌익과도 혼합되어 있었다. 스탈린주의적인 프랑스 공산당은 다니엘 콘벤디트등 운동 지도자를 "아나키스트인 독일인"이라고 비난하고, 바리케이드를 구축하고 거리 점거를 추진하는 이들을 "트로츠키주의자"라고 비난했다.[70] 반면, 장 폴 사르트르는 학생 운동가들에게 접근했다.[70]
4. 2. 주요 요구 사항
68혁명은 생활 속 민주주의와 일체의 권위를 거부하는 평등주의를 제창했다.[71] 서구 사회는 대체로 정치적, 경제적 민주주의를 구현한 나라들로, 이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적 생활화의 요구는 당연한 수순이었다. 68 혁명 운동은 신좌파의 주도로 전통적 사회주의를 고무한 것은 사실이나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를 막론하고 억압적 권위주의에 대해서는 과감한 철퇴를 내렸다는 사실이다. 68 혁명의 정신적 지주였던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후기 자본주의체제를 파시즘으로 규정했는데, 이런 현상은 가정으로까지 침투해 있었다. 가부장 권위주의는 타매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었고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며 차별에 강력 저항했다. 특히, 관료적 권위주의는 동, 서구의 양체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어서 매서운 공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집단과 조직사회 속의 관료주의도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교사, 교수의 권위주의, 목사의 권위주의, 기업체 사장의 권위주의 등 모든 권위는 전방위적으로 비판되고 투쟁으로 추방할 것을 강조했다.[71]68 혁명은 사람사는 세상, 인간다운 삶을 요구했다. 68 혁명은 무엇보다 자본주의 생산체제를 넘어 그 소비체제의 물신주의, 물질숭배, 인간소외에 저항의 초점이 맞춰졌다. 과거의 강압이나 착취에 의한 인간 통제와는 달리 후기 자본주의는 여론조작과 조종을 통해 부드럽게 인간을 지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만천하에 폭로됨으로써 항거의 물결은 세차게 일었다. 68 혁명은 부의 증대, 경제 성장에 따른 과소비, 비인간화와 일상적 소외를 다양한 구호를 내걸고 정면으로 공략했다. "행동하라", "더 많이 소비하라, 더 빨리 죽으리니", "일하지 말라", "열정을 해방하라",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금지를 금지하라", "파괴는 창조의 열정이다", "사랑할수록 더 많이 혁명한다", "굶주릴 지라도 권태로운 것은 못 참는다", "선거는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다-투쟁은 계속된다"와 같은 구호들은 경제가 발전할수록 인간성이 황폐화되는 것을 목도하고 인간다운 세상의 건설을 위해 물질주의와 물질에 사람이 종속되는 삶을 거부하고 대지를 요동치는 몸부림을 쳤던 것이다.[71]
68 혁명에 이념적 근거를 제공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억압이 없는 현실원칙"이 관철되는 이상사회의 실현을 확신하며 "두려움없는 최고의 평등한 자유를 얻기위한 투쟁의 의미로 "위대한 거부"를 역설했다. 이는 혁명과 전복의 다른 이름이었다. 또한 크리스 하먼은 "68 혁명은 세상을 완전히 뒤집지는 못했지만 세상을 강력하게 뒤흔들었다. 그 충격파는 많은 사람들을 해방으로 이끌었으며, 세상이 완전히 바뀔 수 있고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고 평가했다.[71]
4. 3. 다양한 이념적 조류
68 혁명은 단일 이념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다양한 조류를 포함했다.[51][52][53] 쿠바 혁명의 체 게바라, 문화 대혁명의 마오쩌둥 등 공산주의자들이 운동의 아이콘으로 내걸렸다.[54] 프랑스 혁명에서 러시아 혁명, 쿠바 혁명, 문화 대혁명에 이르는 "혁명의 역사"가 배경에 있었고, 파리의 학생들이 이를 이끌면서 각국의 학생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1960년대 후반, 세계의 신좌익 청년들은 학생 운동을 통해 서로의 이념, 사상, 철학을 공유하며 격렬한 정치 운동을 벌였다.[51] 이는 국가의 틀에 갇히지 않는 대항 문화(카운터컬처)나 반체제 문화(히피)를 구성하는 "'''세계적인 동세대'''"라는 세대적 시좌를 가속화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마오쩌둥 어록이 유행하여, 파리의 고등사범학교(ENS)[55] 학생들을 통해 좌파 지식인들을 고무하고 학생과 노동자를 단결시키는 사상이었다. 학생들은 미국의 패권주의에 반대하는 모델로서 마오쩌둥 사상 서적을 읽었으며, 중국에 대한 동경도 "5월 혁명"에 투영되었다.[56]
5월 혁명을 주도한 것은 '반 스탈린주의'적, '반 소련 연방'적인 신좌익 그룹이었다. 데모는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이스트(마오쩌둥주의자), 아나키스트, 학생, 노동자, 시민, 상황주의자와 프랑스 사회당이나 프랑스 공산당 등 구 좌익의 혼합 부대였다. 이처럼 다양한 그룹들이 뒤섞여 운동을 전개한 점이 이 혁명의 특징이다.
5. 혁명의 영향과 유산
68 혁명은 단기적으로는 실패했지만, 장기적으로 프랑스 사회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사회의 변화 ==
68 혁명은 프랑스 사회의 권위주의적인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7] 교육, 노동, 젠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8] 1968년 5월은 프랑스 정치에서 중요한 기점이 되었으며, 어떤 이들에게는 해방의 가능성을, 다른 이들에게는 무정부 상태의 위험성을 의미했다.[17]
1968년 당시, 서구 사회에서는 성(性) 자체가 현재보다 더 억압되어 있었고, 성 표현과 성관계는 비교적 조심스러운 것이었다. 성서의 가치관과 기독교 교리에 따라 혼전 성관계, 혼외 성관계(불륜), 동성애는 죄악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히피의 자유로운 사랑 정신(프리 러브 스피릿)과 5월 혁명 등의 반문화의 영향으로 성은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되는 것"이 되었다. 영화, 소설, 문학, 무용,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문화를 통해 성은 일반적으로 퍼져나가 신체 의식의 고조를 가져왔다. 피임 기구의 발전, 패션의 간소화, 속옷의 발전, 성 관련 영상의 정보화, 개인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이성 간의 성관계도 일상으로 해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60년대 좌익적 여성 해방 운동과는 정반대로, 새로운 규제를 옹호하는 보수적 페미니스트들은 성이 착취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우파 정치인들의 입장과 일치했다. 또한, 대상이 되는 여성의 인권을 무시한 "성희롱"은 미투 운동과 같은 새로운 반(反) 운동을 낳았다.
하지만, 학생과 노동자들의 혁명적 감정은 점차 사라졌다. 노동자들은 점차 직장으로 복귀하거나 경찰에 의해 공장에서 쫓겨났다. 전국 학생 연합은 거리 시위를 중단했고, 정부는 여러 좌익 단체를 금지했다. 경찰은 6월 16일에 소르본을 탈환했다. 드골의 우려와는 달리, 그의 정당은 6월에 치러진 총선에서 프랑스 의회 역사상 최대 승리를 거두어, 공산당의 34석과 사회당의 57석에 비해 486석 중 353석을 차지했다. 2월 선언과 공산당을 정부에 포함하겠다는 약속은 선거에서 사회당에 불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의 반대자들은 1945년의 체코슬로바키아 국민전선 정부의 사례를 인용했는데, 이는 1948년의 공산주의자들의 정권 장악으로 이어졌다. 사회당 유권자들은 분열되었는데, 1968년 2월 설문 조사에서 다수는 공산당과의 동맹을 선호했지만, 44%는 공산당이 일단 정부에 들어가면 권력을 잡으려 시도할 것이라고 믿었다(공산당 유권자의 30%가 동의했다).
바스티유의 날에, 사회주의 학생, 좌파 및 공산주의자들이 붉은 완장을, 아나키스트들이 검은 완장을 착용하고 라틴 지구에서 시위가 다시 일어났다. 파리 경찰과 공화국 보안대(CRS)는 오후 10시경부터 밤새도록 거리, 경찰차, 경찰서, 그리고 많은 부상자들이 옮겨진 병원에서 거칠게 대응했다. 그 결과, 저녁 축제에 온 학생과 관광객들 사이에 많은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경찰이나 시위대에 대한 기소는 없었지만, 영국과 서독 정부는 경찰서에서 두 명의 영국 여학생을 경찰이 부당하게 폭행한 것을 포함하여 공식 항의를 제기했다.
드골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개인적인 승리가 아니었다. 마테이 도간이 실시한 위기 이후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다수는 드골을 "'자신감이 너무 지나치다'(70%), '통치하기에 너무 늙었다'(59%), '너무 권위적이다'(64%), '개인적인 명성에 너무 신경 쓴다'(69%), '너무 보수적이다'(63%), '너무 반미적이다'(69%)'라고 생각했다. 1969년 4월 국민투표에서 나타났듯이, 프랑스는 "드골 없는 골주의"를 원했다.
== 국제적인 영향 ==
68 혁명은 전 세계적인 학생 운동과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72] 특히,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여성 해방 운동, 인권 운동 등과 결합하여 전 세계적인 변화를 촉진했다.[72] 파리 낭테르 대학의 학생들과의 대립으로 인한 학교 폐쇄에 항의하여 소르본 대학 학생들이 5월 3일 광장으로 나온 것을 기점으로, 학생, 노동자의 시위와 파업은 6월 들어 베를린과 로마로 퍼져나갔다.[72] 학생들의 학교점거는 영국, 미국을 포함하여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에서도 시위가 발생했으며, 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혁명의 물결이 넘쳤다.[72] 미국에서는 베트남전쟁 반대에 더해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었다.[72] 이러한 저항은 공산주의 진영이던 동구의 여러나라에서도 발생했다.[72]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제껏 세계적 혁명은 단 둘뿐이었다. 하나는 1848년에, 또 하나는 1968년에 일어났다. 둘 다 실패로 끝났지만 둘 다 세계를 뒤흔들어 놓았다"고 평가했다.[72]
베트남 전쟁은 68 혁명의 흐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베트남 인민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과 투쟁은 전 세계 반전 평화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72] 1968년 1월 구정(설날)대공세로 명명된 베트남 인민의 공격은 전 세계 학생과 시민들의 반전 운동과 해방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는 68 혁명이 세계로 퍼져나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72]
68 혁명의 주도 세력은 <신좌파>로 불리며, 전통좌파와는 차별성을 보인다.[72] 신좌파는 전통좌파의 평등주의를 계승하면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소수자운동 등으로까지 발전했다.[72] 노동해방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특히 주변부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해방을 추구했다.[72] 신좌파는 네오마르크스주의자, 무정부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등으로 나뉘었다.[72] 직접행동 민주주의, 혁명적 투쟁을 중시한 신좌파는 제도정치권에 참여하기보다 주로 반체제 비판 세력으로 남았다.[72] 그러나 68 혁명의 영향을 크게 받은 환경운동단체들이 정치무대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녹색당>은 프랑스와 독일에서 모두 좌파연립정부 구성에 참여했다.[72]
68 혁명은 기존의 정치문화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고, 자본주의 소비사회에서 소외되어 살아가던 평범한 시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72]
== 문화적 영향 ==
68 혁명은 기존의 가치관과 질서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담아,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17][18] 특히, 록 음악, 영화, 문학 등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8년 5월은 프랑스 정치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어떤 이들에게는 해방의 가능성을, 다른 이들에게는 무정부 상태의 위험성을 의미했다. 이 시기 참여하거나 지지했던 사람들을 소와상트-위타르(1968년 세대)라고 부른다.
Sous les pavés, la plage!프랑스어 ("포장재 아래, 해변이 있다!")는 학생 운동가 베르나르 쿠쟁[19]이 홍보 전문가 베르나르 프리치[20]와 협력하여 만든 슬로건이다. 이 슬로건은 혁명적인 학생들이 주요 도시의 거리에 도로 포장재를 뜯어내어 바리케이드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1968년 봄의 사건과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이 외에도 ''Il est interdit d'interdire프랑스어'' ("금지하는 것을 금지한다"),[22] ''Jouissez sans entraves프랑스어'' ("방해 없이 즐겨라"),[22] ''Élections, piège à con프랑스어'' ("선거는 바보들을 위한 함정"),[23] ''CRS = SS'',[24] ''Je suis Marxiste—tendance Groucho프랑스어'' ("나는 마르크스주의자다—그루초 막스의 경향"),[25] ''''[26][27][28] ("3M"으로도 알려져 있다.[29])등 다양한 슬로건이 사용되었다.
장 뤽 고다르의 영화 ''모든 것은 잘 될 것이다''(1972)는 68년 5월 이후 프랑스 사회 내에서 지속되는 계급 투쟁을 고찰한다.[37] 장 외스타슈의 영화 ''어머니와 창녀''(1973)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1968년 5월의 사건들을 언급하고 사회 운동의 여파를 탐구한다.[38]
5월 혁명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1970년대 중반, 미국과 영국의 청소년 문화 세계에 "펑크"가 등장한다. 펑크는 아나키즘, 좌익, 다다, 니힐리즘 등의 경향을 보이며 권력에 대한 도전, 불만, 스트레스 폭발, DIY 정신 등 5월 혁명과 통하는 부분이 있다. 말콤 맥라렌과 함께 부티크 "SEX"의 디자이너를 맡았고, 섹스 피스톨즈의 의상을 디자인한 영국 출신의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펑크 패션에 큰 영향을 주었다.
레게와 힙합의 유행도 일어났다. 5월 혁명의 학생과 지식인도 사회주의에 대한 동경을 품고, 이루어질 수 없는 유토피아 실현을 위해 싸웠다. 하위 문화는 만화,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헤비 메탈 등의 록 음악, 마약, 프리 섹스도 포함했다.
1968년 5월 혁명에 영향을 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장 폴 사르트르''' = 전후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5월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다.
- '''앙드레 말로''' = 보수파이자 반파시즘 문학가로, 1968년 당시 문화부 장관이었다.
- '''장 뤽 고다르''' = 누벨바그(새로운 물결) 영화감독으로, 5월 혁명에 앞서 1967년에 "중국 여인"이라는 마오이즘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 '''루이 알튀세르''' =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사상 면에서 5월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 '''기 드보르''' = 좌파 계열의 시인, 영상 작가, 저술가로, 저서 "스펙터클의 사회"(1967)에서 새로운 시민 사회는 스펙터클(광경, 쇼)화하는 상품을 통해 '''인간 소외'''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1968년 당시, 파리 국립 고등 미술학교의 부교수였던 브루노 케산느는 고조된 분위기 속에서, 5월 혁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67]。
5. 1. 프랑스 사회의 변화
68 혁명은 프랑스 사회의 권위주의적인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7] 교육, 노동, 젠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8] 1968년 5월은 프랑스 정치에서 중요한 기점이 되었으며, 어떤 이들에게는 해방의 가능성을, 다른 이들에게는 무정부 상태의 위험성을 의미했다.1968년 당시, 서구 사회에서는 성(性) 자체가 현재보다 더 억압되어 있었고, 성 표현과 성관계는 비교적 조심스러운 것이었다. 성서의 가치관과 기독교 교리에 따라 혼전 성관계, 혼외 성관계(불륜), 동성애는 죄악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히피의 자유로운 사랑 정신(프리 러브 스피릿)과 5월 혁명 등의 반문화의 영향으로 성은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되는 것"이 되었다. 영화, 소설, 문학, 무용,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문화를 통해 성은 일반적으로 퍼져나가 신체 의식의 고조를 가져왔다. 피임 기구의 발전, 패션의 간소화, 속옷의 발전, 성 관련 영상의 정보화, 개인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이성 간의 성관계도 일상으로 해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60년대 좌익적 여성 해방 운동과는 정반대로, 새로운 규제를 옹호하는 보수적 페미니스트들은 성이 착취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우파 정치인들의 입장과 일치했다. 또한, 대상이 되는 여성의 인권을 무시한 "성희롱"은 미투 운동과 같은 새로운 반(反) 운동을 낳았다.
하지만, 학생과 노동자들의 혁명적 감정은 점차 사라졌다. 노동자들은 점차 직장으로 복귀하거나 경찰에 의해 공장에서 쫓겨났다. 전국 학생 연합은 거리 시위를 중단했고, 정부는 여러 좌익 단체를 금지했다. 경찰은 6월 16일에 소르본을 탈환했다. 드골의 우려와는 달리, 그의 정당은 6월에 치러진 총선에서 프랑스 의회 역사상 최대 승리를 거두어, 공산당의 34석과 사회당의 57석에 비해 486석 중 353석을 차지했다. 2월 선언과 공산당을 정부에 포함하겠다는 약속은 선거에서 사회당에 불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의 반대자들은 1945년의 체코슬로바키아 국민전선 정부의 사례를 인용했는데, 이는 1948년의 공산주의자들의 정권 장악으로 이어졌다. 사회당 유권자들은 분열되었는데, 1968년 2월 설문 조사에서 다수는 공산당과의 동맹을 선호했지만, 44%는 공산당이 일단 정부에 들어가면 권력을 잡으려 시도할 것이라고 믿었다(공산당 유권자의 30%가 동의했다).
바스티유의 날에, 사회주의 학생, 좌파 및 공산주의자들이 붉은 완장을, 아나키스트들이 검은 완장을 착용하고 라틴 지구에서 시위가 다시 일어났다. 파리 경찰과 공화국 보안대(CRS)는 오후 10시경부터 밤새도록 거리, 경찰차, 경찰서, 그리고 많은 부상자들이 옮겨진 병원에서 거칠게 대응했다. 그 결과, 저녁 축제에 온 학생과 관광객들 사이에 많은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경찰이나 시위대에 대한 기소는 없었지만, 영국과 서독 정부는 경찰서에서 두 명의 영국 여학생을 경찰이 부당하게 폭행한 것을 포함하여 공식 항의를 제기했다.
드골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개인적인 승리가 아니었다. 마테이 도간이 실시한 위기 이후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다수는 드골을 "'자신감이 너무 지나치다'(70%), '통치하기에 너무 늙었다'(59%), '너무 권위적이다'(64%), '개인적인 명성에 너무 신경 쓴다'(69%), '너무 보수적이다'(63%), '너무 반미적이다'(69%)'라고 생각했다. 1969년 4월 국민투표에서 나타났듯이, 프랑스는 "드골 없는 골주의"를 원했다.
5. 2. 국제적인 영향
68 혁명은 전 세계적인 학생 운동과 사회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72] 특히,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여성 해방 운동, 인권 운동 등과 결합하여 전 세계적인 변화를 촉진했다.[72] 파리 낭테르 대학의 학생들과의 대립으로 인한 학교 폐쇄에 항의하여 소르본 대학 학생들이 5월 3일 광장으로 나온 것을 기점으로, 학생, 노동자의 시위와 파업은 6월 들어 베를린과 로마로 퍼져나갔다.[72] 학생들의 학교점거는 영국, 미국을 포함하여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에서도 시위가 발생했으며, 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혁명의 물결이 넘쳤다.[72] 미국에서는 베트남전쟁 반대에 더해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었다.[72] 이러한 저항은 공산주의 진영이던 동구의 여러나라에서도 발생했다.[72]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제껏 세계적 혁명은 단 둘뿐이었다. 하나는 1848년에, 또 하나는 1968년에 일어났다. 둘 다 실패로 끝났지만 둘 다 세계를 뒤흔들어 놓았다"고 평가했다.[72]베트남 전쟁은 68 혁명의 흐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베트남 인민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과 투쟁은 전 세계 반전 평화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72] 1968년 1월 구정(설날)대공세로 명명된 베트남 인민의 공격은 전 세계 학생과 시민들의 반전 운동과 해방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는 68 혁명이 세계로 퍼져나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72]
68 혁명의 주도 세력은 <신좌파>로 불리며, 전통좌파와는 차별성을 보인다.[72] 신좌파는 전통좌파의 평등주의를 계승하면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소수자운동 등으로까지 발전했다.[72] 노동해방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특히 주변부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해방을 추구했다.[72] 신좌파는 네오마르크스주의자, 무정부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등으로 나뉘었다.[72] 직접행동 민주주의, 혁명적 투쟁을 중시한 신좌파는 제도정치권에 참여하기보다 주로 반체제 비판 세력으로 남았다.[72] 그러나 68 혁명의 영향을 크게 받은 환경운동단체들이 정치무대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녹색당>은 프랑스와 독일에서 모두 좌파연립정부 구성에 참여했다.[72]
68 혁명은 기존의 정치문화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고, 자본주의 소비사회에서 소외되어 살아가던 평범한 시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72]
5. 3. 문화적 영향
68 혁명은 기존의 가치관과 질서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담아,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17][18] 특히, 록 음악, 영화, 문학 등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8년 5월은 프랑스 정치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어떤 이들에게는 해방의 가능성을, 다른 이들에게는 무정부 상태의 위험성을 의미했다. 이 시기 참여하거나 지지했던 사람들을 소와상트-위타르(1968년 세대)라고 부른다.Sous les pavés, la plage!프랑스어 ("포장재 아래, 해변이 있다!")는 학생 운동가 베르나르 쿠쟁[19]이 홍보 전문가 베르나르 프리치[20]와 협력하여 만든 슬로건이다. 이 슬로건은 혁명적인 학생들이 주요 도시의 거리에 도로 포장재를 뜯어내어 바리케이드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1968년 봄의 사건과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이 외에도 ''Il est interdit d'interdire프랑스어'' ("금지하는 것을 금지한다"),[22] ''Jouissez sans entraves프랑스어'' ("방해 없이 즐겨라"),[22] ''Élections, piège à con프랑스어'' ("선거는 바보들을 위한 함정"),[23] ''CRS = SS'',[24] ''Je suis Marxiste—tendance Groucho프랑스어'' ("나는 마르크스주의자다—그루초 막스의 경향"),[25] ''''[26][27][28] ("3M"으로도 알려져 있다.[29])등 다양한 슬로건이 사용되었다.
장 뤽 고다르의 영화 ''모든 것은 잘 될 것이다''(1972)는 68년 5월 이후 프랑스 사회 내에서 지속되는 계급 투쟁을 고찰한다.[37] 장 외스타슈의 영화 ''어머니와 창녀''(1973)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1968년 5월의 사건들을 언급하고 사회 운동의 여파를 탐구한다.[38]
5월 혁명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1970년대 중반, 미국과 영국의 청소년 문화 세계에 "펑크"가 등장한다. 펑크는 아나키즘, 좌익, 다다, 니힐리즘 등의 경향을 보이며 권력에 대한 도전, 불만, 스트레스 폭발, DIY 정신 등 5월 혁명과 통하는 부분이 있다. 말콤 맥라렌과 함께 부티크 "SEX"의 디자이너를 맡았고, 섹스 피스톨즈의 의상을 디자인한 영국 출신의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펑크 패션에 큰 영향을 주었다.
레게와 힙합의 유행도 일어났다. 5월 혁명의 학생과 지식인도 사회주의에 대한 동경을 품고, 이루어질 수 없는 유토피아 실현을 위해 싸웠다. 하위 문화는 만화,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헤비 메탈 등의 록 음악, 마약, 프리 섹스도 포함했다.
- '''장 폴 사르트르''' = 전후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5월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다.
- '''앙드레 말로''' = 보수파이자 반파시즘 문학가로, 1968년 당시 문화부 장관이었다.
- '''장 뤽 고다르''' = 누벨바그(새로운 물결) 영화감독으로, 5월 혁명에 앞서 1967년에 "중국 여인"이라는 마오이즘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 '''루이 알튀세르''' =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사상 면에서 5월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 '''기 드보르''' = 좌파 계열의 시인, 영상 작가, 저술가로, 저서 "스펙터클의 사회"(1967)에서 새로운 시민 사회는 스펙터클(광경, 쇼)화하는 상품을 통해 '''인간 소외'''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5. 4. 보수 세력의 반발
68 혁명은 기성 질서를 옹호하는 보수 세력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68 혁명을 사회 혼란과 무질서를 야기하는 위험한 시도로 간주했다. 하위 문화는 헤비 메탈 등의 록 음악, 마약, 프리 섹스를 포함했는데, 기독교의 영향이 강한 서구 사회에서 섹스 혁명은 "사회의 세속화(vulgar)"를 의미했다. 기독교나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은 낙태, 동성애를 엄격하게 경계해 왔으며, 여전히 성을 부정적인 이미지로 여기는 신자도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의 "세속화"는 보수파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건이며, 기존의 가치를 옹호하는 보수 시민들의 뿌리 깊은 반발도 있었다. 더불어 하위 문화와 결합된 마약과 섹스의 자유는 "중독"이나 "의존증"이 될 위험도 있었다. 혁명 이후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도 혁신과 보수의 괴리 문제를 안게 되었다.5. 5. 현실 정치의 한계
프랑스 지식인들은 과거 식민지였던 인도차이나의 주도권을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에 빼앗기는 상황에 불편함을 느꼈다. 그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에 짓밟힌 굴욕감과, 해방이 자주적으로 얻어낸 것이 아닌 미국의 승전으로 얻어진 데 대한 좌절감으로부터 벗어나 국가적 자존심을 회복할 돌파구가 필요했다. 프랑스 지식인들은 미국과 베트남의 전쟁에 대한 반전 운동을 전개했지만, 이는 도덕적 우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 정작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 지배 시절에는 해체를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 베트남은 10년간의 대프랑스 독립 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다.5. 6. 문화대혁명에 대한 오해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에 짓밟힌 굴욕감과, 해방이 자주적으로 얻어낸 것이 아닌 미국의 승전으로 얻어진 데 대한 좌절감으로부터 벗어나 국가적 자존심을 회복할 만한 돌파구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에서는 붉은 중국의 마오쩌둥(Mao Zedong)의 저서 "마오쩌둥 어록"이 유행했다.[54] 이는 파리의 고등사범학교(ENS)[55] 학생들을 통해 퍼져나가 좌파 지식인들을 고무하고 학생과 노동자를 단결시키는 사상이었다. 학생들은 미국의 패권주의에 반대하는 모델로서 마오쩌둥 사상 서적을 읽었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동경도 "5월 혁명"에 투영되었다. 다만 그 동경은 사상적으로 깊어지지 못하고 낭만주의적 색채가 짙었다.[56]당시 프랑스에서 고조되었던 "마오쩌둥에 대한 동경"은 이윽고 문화 대혁명의 실상이 드러나면서 "마오쩌둥에 대한 환멸"로 바뀌었다. 문화 대혁명은 "아래로부터의 혁명"이 아니라, 마오쩌둥의 권력 투쟁에 이용된 "위로부터의 혁명"이었으며, 그것은 5월 혁명이 지향했던 정신과는 거리가 멀었다. 프랑스의 마오주의자들은 막연한 유토피아를 동양에 꿈꾸고 있었을 뿐, 마오쩌둥과 마오쩌둥 사상에 대해 성실하게 마주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6. 한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프랑스는 시위가 많은 국가이다. 파리 5월 혁명은 성공적인 파업이었으며, 프랑스 대중들 사이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5월 혁명이라는 성공 체험으로 시민들은 그 재현을 바라게 되었다. 프랑스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존엄이 존중되는 사회가 되었다. 파리 5월 혁명의 정신은 신자유주의자인 에마뉘엘 마크롱에 반대하는 노란 조끼 운동에 계승되고 있다.
6. 1. 권위주의 극복과 민주주의 심화
프랑스는 시위가 많은 국가이다. 파리 5월 혁명은 성공적인 파업이었으며, 프랑스 대중들 사이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5월 혁명이라는 성공 체험으로 시민들은 그 재현을 바라게 되었다. 프랑스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존엄이 존중되는 사회가 되었다. 파리 5월 혁명의 정신은 신자유주의자인 에마뉘엘 마크롱에 반대하는 노란 조끼 운동에 계승되고 있다.6. 2.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
6. 3. 다양한 사회 운동과의 연대
파리 5월 혁명은 성공적인 파업이었으며, 프랑스 대중들 사이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5월 혁명의 경험은 시민들에게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후 프랑스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존엄이 존중되는 사회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68 혁명의 정신은 에마뉘엘 마크롱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반대하는 노란 조끼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68 혁명은 다양한 사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 사회에서도 노동, 여성, 환경, 인권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 사회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들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시민 사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사회 개혁을 위한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7. 결론
참조
[1]
뉴스
France Feared On Brink of Civil War
https://news.google.[...]
1968-05-25
[2]
뉴스
1968 was no mere year
https://www.economis[...]
2021-06-29
[3]
웹사이트
Mai 68 – 40 ans déjà
http://www.deljehier[...]
2014-05-28
[4]
서적
The Museum Establishment and Contemporary Art: The Politics of Artistic Display in France after 1968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an Era
http://www.cddc.vt.e[...]
2009-05-10
[6]
문서
Rotman, pp. 10–11; Damamme, Gobille, Matonti & Pudal, ed., p. 190.
[7]
문서
Damamme, Gobille, Matonti & Pudal, ed., p. 190.
[8]
웹사이트
Michel Rocard
http://www.lemonde.f[...]
2007-04-21
[9]
서적
Economic Management and French Business: From de Gaulle to Chirac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UK
[10]
서적
Regulating Labor: The State and Industrial Relations Reform in Postwar Fr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1]
서적
The Stadium Centu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How Civil War Was Avoided in France
[13]
서적
Prelude to Revolution: France in May 1968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4]
서적
Political Mistrust and the Discrediting of Politicians
Brill
[15]
간행물
Why the French Communists Stopped the Revolution
1969-01
[16]
웹사이트
Lycos
http://membres.lycos[...]
[17]
뉴스
May 1968 – a watershed in French life
https://www.nytimes.[...]
2012-08-31
[18]
문서
The French May and the Roots of Postmodern Politics
https://www.scribd.c[...]
2012
[19]
뉴스
Mai 68 : le créateur de "Sous les pavés, la plage" est mort
https://www.lanouvel[...]
La Nouvelle République du Centre-Ouest
2018-06-13
[20]
뉴스
«Sous les pavés la plage», «Il est interdit d'interdire»... les slogans phares de mai 68
http://www.cnews.fr/[...]
CNews
2018-06-13
[21]
웹사이트
Graffiti de Mai 1968
http://www.bopsecret[...]
[22]
웹사이트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 événements de mai 1968
http://www.larousse.[...]
2015-09-29
[23]
웹사이트
Pour la gauche radicale, "élections, piège à cons" ?
http://tempsreel.nou[...]
2015-09-29
[24]
웹사이트
CRS = SS
http://www.lexpress.[...]
1998-04-16
[25]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Foreign Quotatio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12-01
[26]
서적
Dialectical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How Language, Ritual and Sacraments Work: According to John Austin, Jürgen Habermas and Louis-Marie Chauvet
https://books.google[...]
Gregorian Biblical BookShop
2015-03-09
[28]
서적
Contemporary Social Theo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09
[29]
간행물
"Power and Protest: Global Revolution and the Rise of Détente" by Jeremi Suri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03
[30]
서적
The Language of Change: Elements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0-12-01
[31]
서적
Revolutionary rehearsals
Haymarket Books
2002
[32]
서적
Situationist International Anthology
Bureau Of Public Secrets
[33]
문서
Adventures in the Orgasmatron
HarperCollins
2011
[34]
웹사이트
Mai 68, 'Travailleurs La Lutte Continue', Screenprint, 1968 £1,250.00 – Fine Art prints paintings drawings sculpture uk
https://www.gerrishf[...]
Gerrishfineart.com
2022-02-27
[35]
웹사이트
Paris 68 posters
https://libcom.org/g[...]
2011-06-03
[36]
서적
François Truffaut: Interviews
https://archive.org/[...]
Univ. Press of Mississippi
[37]
웹사이트
Tout Va Bien, directed by Jean-Luc Godard and Jean-Pierre Gorin {{!}} Film review
https://www.timeout.[...]
2012-09-10
[38]
웹사이트
The Mother and the Whore
http://sensesofcinem[...]
2014-07
[39]
뉴스
Claude Nougaro, French Singer, Is Dead at 74
https://www.nytimes.[...]
2015-11-23
[40]
뉴스
Storia di un impiegato di Fabrizio De André
2005
[41]
서적
Screaming for Change: Articulating a Unifying Philosophy of Punk Rock
Lexington Books
2012-07-10
[42]
웹사이트
Bye Bye Badman
http://www.john-squi[...]
John Squire
2009-11-03
[43]
웹사이트
David Holmes Interview
http://www.rte.ie/te[...]
2015-11-23
[44]
웹사이트
Keith Richards: 'These Riffs Were Built To Last A Lifetime'
https://www.npr.org/[...]
2015-11-23
[45]
서적
Vangelis: The Unknown Man
Lulu Press, Inc
2013-03-13
[46]
웹사이트
Mayo del 68: La música de la revolución
http://www.elmundo.e[...]
2015-11-23
[47]
서적
Brutality Garden: Tropicalia and the Emergence of a Brazilian Countercultur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8]
Triptych, acrylic on canvas, 146 x 114 cm x 3
Liberté ? Égalité ? Fraternité ?
https://braunvega.co[...]
[49]
간행물
Braun y sus series parisinas
https://braunvega.co[...]
1969-06-29
[50]
서적
프랑스현대사
中公新書
1998
[51]
뉴스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https://www.nytimes.[...]
2018-08-25
[52]
뉴스
1968年、パリ 五月革命がデザイナーに与えた影響
https://www.wwdjapan[...]
2018-09-03
[53]
뉴스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https://www.independ[...]
2018-08-25
[54]
웹사이트
Grand Timonier
https://chine.in/gui[...]
2018-08-28
[55]
웹사이트
Accueil {{!}} ENS
http://www.ens.fr/
2018-08-26
[56]
웹사이트
Mayo del 68: una revolución fallida
http://lab.elmundo.e[...]
2018-08-27
[57]
웹사이트
Charles de Gaulle
http://www.biography[...]
[58]
웹사이트
RFI - Timeline May 68
http://www1.rfi.fr/a[...]
2018-12-19
[59]
뉴스
『ストラスブールのスキャンダルにおけるわれわれの目的と方法』 訳者解題 - シチュアシオニスト・オンライン文庫
https://situationnis[...]
2018-08-30
[60]
웹사이트
1968: a Turning Point in History?
https://news.cnrs.fr[...]
2018-08-30
[61]
웹사이트
1968: a chronology of events in France and internationally
https://libcom.org/h[...]
2018-08-30
[62]
웹사이트
SNES - Syndicat National des Enseignements de Second degré
https://www.snes.edu[...]
2018-09-06
[63]
웹사이트
SNCF - Trains, Services, Businesses {{!}} SNCF
https://www.sncf.com[...]
2018-09-06
[64]
웹사이트
五月革命論の現在
http://opac.library.[...]
東京女子大学社会学年報 第 3 号/ 2015―今野晃
2018-08-27
[65]
뉴스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https://www.independ[...]
2018-08-28
[66]
뉴스
7 etapas para entender la revolución de Mayo del 68
https://www.paris-in[...]
2018-08-27
[67]
뉴스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https://www.nytimes.[...]
2018-08-28
[68]
웹사이트
Sex Pistols - Anarchy In The U.K. Lyrics {{!}} AZLyrics.com
https://www.azlyrics[...]
2018-09-03
[69]
웹사이트
【ジブリ】映画『コクリコ坂から』の原作を紹介!カルチェラタンは登場しない?原作漫画の内容や映画との違い
https://castel.jp/p/[...]
ジー닝
2021-06-18
[70]
문서
공산당선언
그린비
[71]
서적
상상력에 권력을
메이데이
[72]
서적
인류이야기2
아이필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