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룽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룽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백두산 동쪽 산록에 자리 잡고 있으며, 두만강이 흐른다. 고구려 시대에는 예맥과 북옥저의 땅이었고, 발해 시대에는 중경 현덕부로 번성했다. 청산리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독립운동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용두산 고분군, 청산리 항일 대첩 기념비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룽시 - 중경 현덕부
중경 현덕부는 발해의 수도 중 하나로 742년부터 757년까지 수도 기능을 수행했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화룡시 서고성자가 유력한 위치로 추정되고, 내성과 외성으로 나뉜 성곽 구조를 갖춘 유적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허룽시 - 정혜공주묘
정혜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둔화시 육정산 고분군에 위치한 발해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으로, 고구려 건축 양식을 계승한 돌방봉토무덤이며 묘비명을 통해 정혜공주가 정효공주의 언니임이 밝혀졌으나, 중국 정부의 소홀한 관리로 훼손되어 역사 왜곡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지린성의 현급시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지린성의 현급시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허룽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행정 유형 | 현급시 |
![]() | |
![]() | |
해발고도 | 451m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우편 번호 | 133500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지린성 |
자치주 | 연변 조선족 자치주 |
정부 소재지 | 문화 가도 |
건치 | 1910년 |
개제 | 1993년 |
행정 구역 코드 | 222405 |
면적 | |
총 면적 | 5069.0 km2 |
도시 면적 | 145.00 km2 |
인구 | |
총 인구 (2017년 기준) | 181000명 |
도시 인구 | 9539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경제 | |
기타 정보 | |
지역 번호 | 0433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644년(순치 원년) 이후, 청나라에 의해 입주가 엄격히 제한되었던 시역은 1714년(강희 53년)에 혼춘 협령이 설치되면서 그 관할 하에 놓였다. 1881년(광서 7년)에 혼춘 부도통을 설치하고 입주를 해금하면서 인구가 증가, 1884년 (광서 10년) 5월에는 조선과의 통상을 감독하기 위해 화룡 통상국이 설치되었다. 이듬해에는 월간국을 설치, 1894년 (광서 21년)에는 무간국으로 개칭되어 두만강 북안의 개간지 감독에 힘썼다. 1910년 (선통 2년), 조선을 보호국으로 삼아 세력을 확대하는 일본에 대한 견제를 목적으로 '''화룡현'''이 설치되었다.
1993년 7월 5일에 현급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1917년 조선의 민족 종교인 대종교가 모든 조직을 화룡현으로 이전하고, 1918년 11월 무력 항쟁을 표방한 "무오독립선언"을 발표했다. 서일은 김좌진 등과 함께 의병을 모아 중광단/중광단영어을 조직하고 무력으로 일본에 저항했다. 1920년 10월 18일~23일 '''청산리 전투'''. 조선에서 간도로 출병한 일본군과, 간도에서 활동을 활발히 하던 조선인 반일 무장 조직 (김좌진, 이범석 등이 이끄는 독립군)이, 화룡의 청산리·백운평·어랑촌 등에서 충돌했다. 1922년 8월 화룡현 지사는 조선인에게 귀화를 권유하고 퇴거를 명령했다. 1929년 1월 화룡현 경찰 제5구분소장은 비귀화 조선인의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명언했다. 1930년 8월 화룡현장은 진천장(화룡현 총사장·농무회장)에게 명하여 군경을 파견, 강제로 조선 개척민의 귀화 절차를 밟게 했다. 1933년 2월 12일 일본군이 화룡현 어랑촌의 게릴라 근거지를 습격. 중공 화룡현위 서기 최상동, 중대장 김세 등이 사망. 후에 "어랑촌 13용사"로 불렸다. 1934년 12월 길림성에 속했던 연길현, 왕청현, 화룡현, 혼춘현의 4현에 봉천성에 속했던 안도현을 더하여 간도성을 창설하고 조선인 성장을 임명했다. 1945년 11월 중순 중공 화룡현위가 창립되었다. 1946년 5월 8일 화룡현에서 인민 공개 재판 대회를 열어 8명을 심판했다. 1946년 6월 중순 중공 길료성위에서 파견된 대중 운동 공작단 52명이 화룡현에 도착했다. 1946년 8월 하순 화룡현 보안단에서 대오 정돈 작업이 진행되고 문제시된 인물을 숙청했다. 1950년 11월 17일 미군기는 화룡현 용화구 부암동 마을에 기총 소사를 가했다. 폭탄 2개로 민가 8채를 파괴했다. 1950년 11월 29일 미군기 2대가 화룡현 숭선구 고성촌에 기총 소사를 가하고 폭탄을 투하, 소 3마리를 살해했다. 같은 날 고성 초등학교가 파괴되었다. 1968년 9월 7일 유홍문을 대장, 왕운덕을 부대장으로 하는 화룡 팔가자 임업국의 마오쩌둥 사상 선전대 90여 명이 연변농학원에 진주했다. 1971년 1월 4일~ 화룡현 내 두만강의 수리 공사에서 수일에 걸쳐 공사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 7건의 폭발 사고가 일어나 2명이 사망했다. 그중 2건의 폭발 사고에서는 돌이 강 건너 북한 영내까지 날아가 수채의 주택이 부서졌다. 1978년 7월 14일, 임민호 연변대학교 총장의 명예 회복을 선포했다. 연변대학교 4층 회의실에서 임민호 총장 추도식 및 납골식이 거행되었다. 유골의 일부는 연변대학교 정원에 뿌려지고, 나머지는 화룡현의 가족 묘지에 안치되었다. 1989년 5월 16일, 15시경, 북한의 양강도에서 발생한 산림 화재가 화룡 임업국의 광평림장에 옮겨 붙어 약 40헥타르가 불탔다. 군인과 시민이 협력하여 소화 활동을 벌였고, 밤 17시 30분경에는 불길이 잡혔으며, 다음 날 17일 3시 30분에 진화되었다. 1994년 화룡시 고성리에 조선과 잇는 국제 다리가 완공되었다. 1994년 6월 화룡시 덕화진 남평과 무산군 칠성리를 잇는 110m, 폭 4m의 다리가 준공되었다. 중국은 주로 옥수수와 기름을, 북한은 목재와 해산물을 수출했다. 1996년 7월 1994년에 준공된 화룡시 덕화진 남평과 무산군 칠성리를 잇는 110m의 다리가 유실되었다. 1999년 화룡시와 국경을 넘어 중국에 들어온 "조선 불법 월경 인원"(탈북자)은 689명, 화룡시에서 발생하여 경찰이 해결한 북한 여성의 인신 매매 사건은 32건에 달했다(배광의·왕광교 "관어 화룡시 매매 조선 부녀 범죄 활동의 조사와 사고" 『길림공안고등전과학교학보』 2000년 제1기). 2001년 8월 31일, 청산리 전투 80주년을 기념하여 화룡시 용성면 청산촌에 세워진 "청산리 항일 전적 기념비"의 제막식이 열렸다. 1920년을 기념하여 19.20미터로 하려 했지만, 정부의 반대에 부딪혀 17.6미터가 되었다. 2001년 7월 3일 화룡 등에서 독거 노인 3명을 살해하고 강도를 벌인 탈북 청년이 처형되었다. 이 과정을 목격한 중앙일보 기자가 2005년 6월 자신의 블로그에 사진과 함께 게재했다. 2002년 6월 16일 화룡시 남평진에서 3명이 살해되는 강도 사건 발생. 이후 조사 결과 범인은 "조선 불법 월경 인원"으로 밝혀졌다. 2003년 3월 7일 북한에서 온 이산 가족 및 안내인이 화룡시에서 강도 목적으로 중국인에게 살해되었다. 2003년 8월 25일 화룡시와 북한을 잇는 새로운 다리 건설 시작되었다. 2003년 9월 8일 화룡에서 특대 교통사고 발생, 8명 사망했다. 2003년 9월 22일 "화룡 - 삼지연군 (양강도) - 백두산" 관광 코스 개통식이 화룡시 숭선진에서 열렸다. 2003년 11월 화룡시위와 시정부의 지원을 받아 화룡시에서 지방 종합 문예지 "청산리"가 창간되었다. 2004년 5월 16일 단속을 피하려던 탈북 청년이 아파트 6층 베란다에서 추락사하는 사고가 화룡시에서 발생. 18일에 공안 관계자가 밝혔다(조선일보). 2004년 7월 28일 조남기 장군이 화룡시를 시찰했다. 2004년 9월 4일 화룡시에서 "화룡시 2004 두만강 민속 문화 축제"가 개최되었다. 2004년 10월 31일 "신문화보"(장춘)에 따르면, 연변 자치주 공안국 출입국 관리 사무소는 9월 26일, 화룡시에 거주하는 북한 교민에게 영주권을 발급했다. 북한 교민에게 영주권을 발급하는 것은 개혁·개방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2004년 11월 5일 일본이 무상 자금 협력한 "화룡시 남평진 상 수도 개량 계획"의 테이프 커팅이 거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3년 12월 12일에 서명, 2004년 8월 24일에 준공되었다. 공여액은 7만 8374달러였다. 2005년 10월 16일 오전 1시 5분경, 무장한 북한인 5명이 화룡시 광평에 있던 중국 측 북한 정보 수집 거점의 산장에 침입했다. 중국 측과 총격전을 벌여 산장의 경비를 맡고 있던 중국 인민해방군 이량(19세)이 사망했다. 북한 측은 숲으로 도주했다. 17일, 중국 정부는 북한의 주중 대사를 불러 강력히 항의했지만, 북한은 관계자 인도를 거부했다. 이러한 사실은 2006년 10월 16일, 홍콩의 "중국인권민주화운동정보센터"가 밝혔다. 북한 측의 목적은 북한 정보 수집에 힘썼던 중국군 정보 담당관의 납치였다. 2006년 화룡 삼림 공안국의 민경 3명이 화룡시 임업국장 인림장 검사소 만동리를 연행, 진술을 강요하고 고문 살해하는 사건 발생 ("연변 만동리 사건")했다. 2006년 11월 4일 화룡시 복동진의 굉원 탄광에서 가스 폭발이 발생, 7명 사망했다. 2009년 10월 27일 화룡에서 남평으로 이어지는 철도 연장 공사가 9월 초에 착공되었다고 현지 소식통이 밝혔다. 2011년 완공을 목표로, 철도성과 길림성 정부가 11억 9000만 인민폐(약 260억원)를 투입, 총 거리는 41.68킬로미터였다(중앙일보). 2024년 1월, 화룡의 중심지에서 차로 약 1시간 정도 떨어진 국경 근처 마을의 공장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북한 당국의 임금 체불에 격분해 폭동이 발생했다. 관리자들을 인질로 삼고 간부 1명이 사망했다. 북한의 대사관원이 개입하여 지급 등을 약속하면서 폭동은 수습된 것으로 알려졌다.[5]
2. 1. 고대 ~ 발해
허룽시는 본래 예맥과 북옥저의 땅이었으나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고구려는 두만강 이남 지역 방어를 위해 허룽에서 옌지까지 장성을 쌓았다. 발해 시대에는 허룽 시 북부 지역(서성진 고성촌)에 중경 현덕부를 설치하고 5경 중 하나인 '''중경'''으로 삼았다.2. 2. 요금 시대
발해 멸망 이후 발해부흥군이 일시적으로 활동했으나, 발해 유민 대부분은 요동으로 압송되거나 고려, 송나라로 망명하여 허룽 지역을 떠났다. 이후 여진족들이 거주하게 되었으며, 발해 이전에 축조된 성들은 대개 여진, 거란에 의해 재사용되었고 일부 성이 신축되기도 했다. 금나라 멸망 후 대진국 남경 일대에 속했다.2. 3. 명청 시대
명나라 초에는 갱금하위(賡金河衛)의 소재지였고 여진족의 거주지로 남았다.[6] 청나라는 대륙 통일 이후 봉금령을 실시하여 무주지가 되었다.[6] 1644년(순치 원년) 이후, 청나라에 의해 입주가 엄격히 제한되었던 시역은 1714년(강희 53년)에 혼춘 협령이 설치되면서 그 관할 하에 놓였다. 1881년(광서 7년)에 혼춘 부도통을 설치하고 입주를 해금하면서 인구가 증가, 1884년 (광서 10년) 5월에는 조선과의 통상을 감독하기 위해 화룡 통상국이 설치되었다. 이듬해에는 월간국을 설치, 1894년 (광서 21년)에는 무간국으로 개칭되어 두만강 북안의 개간지 감독에 힘썼다.[6] 1902년(청 덕종 광서 28년), 화룡골(和龍峪)이 화룡방청(和龍防廳)으로 분리되어 연길도에 속하게 되었다.[6] 1910년 (선통 2년), 조선을 보호국으로 삼아 세력을 확대하는 일본에 대한 견제를 목적으로 화룡현이 설치되었다.[6] 동남로도에 속하게 되었으며 현으로 승격되었다.[6]2. 4. 일제강점기와 중화민국 시대
구한말부터 조선 사람들이 연변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화룡에도 집단적으로 이주했다. 화룡은 훈춘과 함께 조선인 집단 거주 지역으로 유명했으며, 독립군들의 항일 무장 투쟁이 활발했다. 1910년 (선통 2년), 일본에 대한 견제를 목적으로 '''화룡현'''이 설치되었다.1917년 조선의 민족 종교인 대종교가 모든 조직을 화룡현으로 이전하고, 1918년 11월 무력 항쟁을 표방한 "무오독립선언"을 발표했다. 서일은 김좌진 등과 함께 의병을 모아 중광단/중광단영어을 조직하고 무력으로 일본에 저항했다. 1920년 10월에는 청산리 전투가 벌어져, 일본군과 독립군이 화룡의 청산리·백운평·어랑촌 등에서 충돌했다.
1922년 8월, 화룡현 지사는 조선인에게 귀화를 권유하고 퇴거를 명령했다. 1929년 1월, 화룡현 경찰 제5구분소장은 비귀화 조선인의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1930년 8월, 화룡현장은 군경을 파견하여 조선 개척민의 귀화 절차를 강제로 밟게 했다. 1933년 2월 12일에는 일본군이 화룡현 어랑촌의 게릴라 근거지를 습격하여 조선인 지도자들이 사망했다.
1934년 12월, 만주국은 간도성을 창설하고 조선인 성장을 임명했다. 1940년 현청이 룽징 시 지신향(智新鄕)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일본 제국의 항복 직후인 1945년 8월 중공군에 의해 점령되면서 공산화되었다. 1945년 11월 중순에는 중공 화룡현위가 창립되었다.
1946년 5월 8일, 화룡현에서 인민 공개 재판 대회가 열려 8명을 심판했다. 같은 해 6월 중순, 중공 길료성위에서 파견된 대중 운동 공작단 52명이 화룡현에 도착했다. 8월 하순에는 화룡현 보안단에서 대오 정돈 작업이 진행되고 문제시된 인물을 숙청했다.
1950년 11월, 미군기가 화룡현에 기총 소사를 가하고 폭탄을 투하하여 민가와 소를 파괴했다.
2. 5.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6년 1월 현 정부가 수립되고 길림성에 속하게 되었으며, 1949년 9월 인민정부가 수립되었다. 1952년 9월, 연변 조선족 자치구가 설치되면서 자치구의 속현이 되었으나 3년만에 자치구가 지급시와 동급인 자치주로 강등당하면서 길림성의 직할현으로 격하되었다. 1993년 7월 5일에 현급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1917년 조선의 민족 종교 "대종교" (단군교)가 모든 조직을 화룡현으로 이전, 이듬해 11월에 무력 항쟁을 표방한 "무오 독립 선언"을 발표, 서일은 김좌진 등과 함께 의병을 모아 중광단/중광단영어을 조직하고 무력으로 일본에 저항했다. 1920년 10월 18일~23일에는 '''청산리 전투'''가 벌어졌다. 조선에서 간도로 출병한 일본군과, 간도에서 활동을 활발히 하던 조선인 반일 무장 조직 (김좌진, 이범석 등이 이끄는 독립군)이, 화룡의 청산리·백운평·어랑촌 등에서 충돌했다.
1934년 12월 길림성에 속했던 연길현, 왕청현, 화룡현, 혼춘현의 4현에 봉천성에 속했던 안도현을 더하여 간도성을 창설하고 조선인 성장을 임명했다. 1945년 11월 중순 중공 화룡현위가 창립되었다.
1950년 11월, 미군기가 화룡현 용화구 부암동 마을과 숭선구 고성촌에 기총 소사를 가하고 폭탄을 투하하여 민가와 학교를 파괴하고 소를 살해했다. 1968년 9월 7일, 화룡 팔가자 임업국의 마오쩌둥 사상 선전대 90여 명이 연변농학원에 진주했다. 1978년 7월 14일, 임민호 연변대학교 총장의 명예 회복이 선포되고 추도식 및 납골식이 거행되었다.
1989년 5월 16일, 북한의 양강도에서 발생한 산림 화재가 화룡 임업국의 광평림장에 옮겨 붙어 약 40헥타르가 불탔다. 1994년 화룡시 고성리에 조선과 잇는 국제 다리가 완공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화룡시 덕화진 남평과 무산군 칠성리를 잇는 다리가 준공되어 중국은 주로 옥수수와 기름을, 북한은 목재와 해산물을 수출했다. 1996년 7월, 1994년에 준공된 화룡시 덕화진 남평과 무산군 칠성리를 잇는 다리가 유실되었다.
1999년 화룡시와 국경을 넘어 중국에 들어온 "조선 불법 월경 인원"(탈북자)은 689명이었고, 화룡시에서 발생하여 경찰이 해결한 북한 여성의 인신 매매 사건은 32건에 달했다. 2001년 8월 31일, 청산리 전투 80주년을 기념하여 화룡시 용성면 청산촌에 "청산리 항일 전적 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2003년 9월 22일 "화룡 - 삼지연군 (양강도) - 백두산" 관광 코스 개통식이 화룡시 숭선진에서 열렸다.
2004년 7월 28일 조남기 장군이 화룡시를 시찰했다. 2004년 10월 31일, 연변 자치주 공안국 출입국 관리 사무소는 화룡시에 거주하는 북한 교민에게 영주권을 발급했다. 2005년 10월 16일, 무장한 북한인 5명이 화룡시 광평에 있던 중국 측 북한 정보 수집 거점의 산장에 침입, 총격전 끝에 중국 인민해방군 1명이 사망했다.
2009년 10월 27일, 화룡에서 남평으로 이어지는 철도 연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2024년 1월, 화룡의 국경 근처 마을의 공장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북한 당국의 임금 체불에 격분해 폭동을 일으켰다.[5]
최근에는 월경해 온 북한군에 의해 주민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5]
3. 지리
면적은 5,069㎢이며, 백두산 동쪽 산록에 위치한다. 시내 최고봉은 증봉산(1,677m)이며, 주요 하천은 두만강이다.
4.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5.9 | -1.8 | 5.0 | 14.2 | 20.6 | 24.1 | 26.6 | 26.1 | 21.6 | 14.5 | 4.0 | -3.9 |
평균 기온 (℃) | -12.4 | -8.3 | -1.2 | 7.2 | 13.6 | 18.0 | 21.1 | 20.4 | 14.4 | 7.1 | -2.0 | -9.9 |
평균 최저 기온 (℃) | -17.7 | -14.1 | -7.0 | 0.7 | 7.3 | 12.6 | 16.5 | 15.8 | 8.4 | 0.8 | -7.2 | -15 |
최고 기온 기록 (℃) | 10.7 | 16.5 | 22.3 | 31.4 | 32.7 | 35.7 | 36.2 | 35.9 | 32.6 | 29.5 | 23.4 | 14.0 |
최저 기온 기록 (℃) | -31.5 | -27.4 | -23.5 | -10.6 | -3.7 | 4.2 | 7.2 | 5.1 | -3.4 | -12.4 | -22.9 | -28.5 |
강수량 (mm) | 3.8 | 7.5 | 12.0 | 24.2 | 66.7 | 84.9 | 128.3 | 126.0 | 58.7 | 22.6 | 17.4 | 6.6 |
평균 상대 습도 (%) | 55 | 50 | 48 | 48 | 58 | 71 | 79 | 81 | 74 | 58 | 56 | 55 |
평균 일조 시간 | 175.4 | 182.8 | 214.2 | 203.1 | 210.0 | 191.1 | 180.3 | 191.2 | 206.3 | 201.2 | 159.7 | 153.4 |
일조율 (%) | 60 | 61 | 58 | 51 | 46 | 42 | 39 | 45 | 56 | 59 | 55 | 55 |
허룽시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값과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극값을 기준으로 중국기상국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른 것이다.[7][8]
5. 행정 구역
- 원화가도 (문화가도ko-cn)
- 민혜가도 (민혜가도ko-cn)
- 광명가도 (광명가도ko-cn)
- 두도진 (두도진ko-cn)
- 팔가자진 (팔가자진ko-cn)
- 복동진 (복동진ko-cn)
- 서성진 (서성진ko-cn)
- 남평진 (남평진ko-cn)
- 용성진 (룡성진ko-cn)
- 동성진 (동성진ko-cn)
- 숭선진 (숭선진ko-cn)
5. 1. 가도
허룽시는 3개의 가도와 8개의 진을 관할한다.[2]- 원화가도 (文化街道 / 문화가도)
- 민혜가도 (民惠街道 / 민혜가도)
- 광명가도 (光明街道 / 광명가도)
진은 다음과 같다:
- 두도진 (头道镇 / 두도진)
- 팔가자진 (八家子镇 / 팔가자진)
- 복동진 (福洞镇 / 복동진)
- 서성진 (西城镇 / 서성진)
- 남평진 (南坪镇 / 남평진)
- 용성진 (龙城镇 / 용성진)
- 동성진 (东城镇 / 동성진)
- 숭선진 (崇善镇 / 숭선진)
5. 2. 진
허룽 시에는 8개의 진이 위치해 있다.[2] 바쟈쯔 진(팔가자진), 푸둥 진(복동진), 터우다오 진(두도진), 시청 진(서성진), 난핑 진(남평진), 둥청 진(동성진), 충산 진(숭선진), 룽청 진(룡성진)이 이에 해당한다.[2]6. 교통
6. 1. 철도
허룽 역은 바이허-허룽 선(바이허-허룽 간), 허룽 선/和龙铁路중국어(허룽-룽징 간), 허핑 선/和坪铁路중국어(허룽-난핑 간)의 3개 노선의 시발역이다.6. 2. 도로
연장고속도로가 허룽시를 지난다. 또한, 국도 G331와 도 허룽시를 통과한다.6. 3. 버스
허룽 버스 터미널이 있다.7. 관광
허룽시는 다양한 역사 유적과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발해의 정효공주묘를 포함한 여러 묘가 있는 용두산 고분군은 두도진에 위치하며, 서성진에는 중경현덕부의 유구인 서고성이 있다. 두도진에는 두도구 일본 영사관 분관 터가 폐허로 남아있다. 2001년 8월 31일에는 청산리 전투를 기념하는 청산리 항일 대첩 기념비가 세워졌다. http://www.xianjingtai.com/ 선경대 국가급 풍경 명승구는 훈춘시 유일의 국가 명승구이다. 약수동에는 약수동 소비에트 정부 발상지인 약수동 항일 기념지가 있다. 훈춘시에는 남평진 구안이라는 세관이 있으며, 숭선진에는 1929년에 건설된 고성리 구안이 있다. 고성리 구안 맞은편은 북한의 삼장세관으로, 조선족 자치주에서 량강도로 가는 유일한 통로이다.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延边朝鲜族自治州-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xzqh.org
2011-04-28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5]
뉴스
中国・丹東で北朝鮮労働者が集団出勤拒否、連鎖的な騒動に注目
https://www.donga.co[...]
[6]
서적
청사고 권56 지리지 3 길림성 화룡현
https://zh.wikisourc[...]
[7]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7
[8]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