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혈액응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액응고는 출혈을 멈추는 지혈 과정의 일부로, 혈액이 액체 상태에서 젤 또는 고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19세기 초 피브린, 피브리노겐, 트롬빈, 프로트롬빈 등의 물질 발견을 시작으로, 20세기에는 대부분의 응고 인자들이 밝혀졌다. 혈액 응고는 혈관 수축, 혈소판 활성화 및 마개 형성, 응고 폭포, 피브린 혈전 형성의 4단계로 진행되며, 섬유소 용해 과정을 통해 혈전이 제거된다. 혈액 응고에는 다양한 응고 인자, 비타민 K, 폰 빌레브란트 인자 등이 관여하며, 조직 인자 경로, 접촉 활성화 경로, 공통 경로를 통해 피브린이 생성된다. 혈액 응고는 면역계와 상호 작용하며, 혈액 응고 결함은 출혈 또는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aPTT, PT, 피브리노겐 검사, 혈소판 수 등을 통해 혈액 응고 시스템의 기능을 평가하며, 응고 촉진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등의 약물 치료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고계통 - 지혈
    지혈은 혈관 수축, 혈소판 마개 형성, 혈액 응고 과정을 통해 출혈을 막는 신체의 고유한 반응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응급 처치에 사용되며, 관련 질환과 약물, 유전적 요인이 지혈에 영향을 미친다.
  • 응고계통 - 트롬빈
    트롬빈은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세린 프로테아제 효소로서, 프로트롬빈 활성화를 통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켜 혈전 형성을 촉진하고, 혈소판 활성화, 혈관 수축, 단백질 C 활성화, 질병 발병 등 다양한 생리활성과 의학 및 식품 분야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 혈액 - 혈압
    혈압은 심장이 수축 및 이완할 때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수축기/이완기 혈압으로 표기되며, 심박출량, 혈관 저항 등에 영향을 받고, 고혈압, 저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 혈액 - 항원
    항원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단백질, 다당류, 지질, 핵산 등의 생체 분자나 미생물 일부일 수 있으며, 에피토프를 통해 항체와 결합하고 면역원, 내성원 등으로 분류되며, 내인성 및 외인성, T세포 의존성 및 비의존성 항원으로 나뉘고, 특이성을 가져 질병 진단 및 치료에 활용된다.
혈액응고
개요
생체 내 혈액 응고 과정
혈액 응고 과정의 도식
작용유익함
과정
자극혈관 손상
혈액 손실
방법혈소판 활성화
응고 인자 캐스케이드
결과혈액 응고 형성
지혈
빈도지속적
지속 시간가변적
상세 정보
관련 검사응고 인자 검사
관련 질병혈우병
혈전증
추가 정보
참고 문헌Furie, B. C., & Furie, B. (2005). Thrombus formation in vivo.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5(12), 3355–3362.
Michelson, A. D. (2007). Platelets (3rd ed.). Academic Press.
Schmaier, A. H., & Lazarus, H. M. (2011). Concise guide to hematology. Wiley-Blackwell.
Lillicrap, D., Key, N., Makris, M., & O'Shaughnessy, D. (2009). Practical Hemostasis and Thrombosis. Wiley-Blackwell.

2. 역사적 배경

혈액 응고에 대한 연구는 고대부터 시작되었다. 19세기 요하네스 페터 뮐러혈전의 물질인 피브린을 설명했고, 그의 가용성 전구체인 피브리노겐루돌프 피르호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프로스페르 실뱅 데니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리되었다. 알렉산더 슈미트는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전환되는 것은 효소 과정을 거친 결과이며, 가설적인 효소를 "트롬빈"으로, 그 전구체를 "프로트롬빈"으로 명명했다.[58][59] 아르튀스는 1890년에 칼슘이 응고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60][61] 1865년에 혈소판이 확인되었으며, 그 기능은 1882년 줄리오 비초제로에 의해 밝혀졌다.[62]

파울 모라비츠는 1905년 트롬빈이 조직 인자의 존재에 의해 생성된다는 이론을 확립했다.[63]

20세기에는 응고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이 발견되었다. 혈액 응고 인자의 명명법은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혈액 지혈 전문가들의 연례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2. 1. 초기 발견

요하네스 뮐러(1801–1858)는 혈전의 물질인 피브린을 설명했다. 그의 가용성 전구체인 피브리노겐루돌프 피르호(1821–1902)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프로스페르 실뱅 데니 (1799–1863)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리되었다. 알렉산더 슈미트는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전환되는 것은 효소 과정을 거친 결과이며, 가설적인 효소를 "트롬빈"으로, 그 전구체를 "프로트롬빈"으로 명명했다.[58][59] 아르튀스는 1890년에 칼슘이 응고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60][61] 1865년에 혈소판이 확인되었으며, 그 기능은 1882년 줄리오 비초제로에 의해 밝혀졌다.[62]

파울 모라비츠는 1905년 트롬빈이 조직 인자의 존재에 의해 생성된다는 이론을 확립했다.[63] 이 단계에서 ''트롬보키나제/트롬보플라스틴''(factor III)이 손상된 조직에 의해 방출되어 ''프로트롬빈''(II)과 반응하며, 이는 칼슘(IV)과 함께 ''트롬빈''을 형성하고,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을 ''피브린''(I)으로 전환한다는 것이 알려졌다.[64]

2. 2. 응고 인자의 발견

20세기에는 응고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이 발견되었다. 1947년, 폴 오렌은 프로악셀레린(인자 V)을 발견하고, 이 물질이 활성화되면 악셀레린(인자 VI)을 생성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악셀레린은 나중에 인자 V의 활성화 형태(Va)로 밝혀져 인자 VI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64]

1949년과 1951년에는 여러 연구 그룹이 젊은 여성 환자에게서 인자 VII(혈청 프로트롬빈 전환 촉진제 또는 프로컨버틴)을 발견했다.[64]

혈우병 A의 원인으로 알려진 인자 VIII은 1950년대에 확인되었으며, 항혈우병성 글로불린이라고도 불렸다.[64]

1952년에는 혈우병 B 환자인 스티븐 크리스마스에게서 인자 IX가 발견되었다. 이 인자는 그의 이름을 따서 크리스마스 인자라고 불리며, 혈장 트롬보플라스틴 성분이라고도 한다.[64]

1955년에는 출혈 시간이 연장된 무증상 환자 존 하겐만에게서 인자 XII(하겐만 인자)가 확인되었다. 1956년에는 런던의 오드리 프로워에게서 인자 X(스튜어트-프로워 인자)가 발견되었고, 1957년에는 미국의 한 그룹이 루퍼스 스튜어트에게서 동일한 인자를 확인했다. 인자 XI과 XIII은 각각 1953년과 1961년에 확인되었다.[64]

2. 3. 명명법

혈액 응고 인자의 명명법은 지명이나 체계적인 이름 대신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혈액 지혈 전문가들의 연례 회의(1955년 시작)에서 합의되었다. 1962년, 인자 I~XII의 번호 매기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67] 이 위원회는 현재의 국제 혈전 및 지혈 위원회(ICTH)로 발전했다. 1963년 인자 XIII의 명명 이후 숫자 할당이 중단되었다. 프리칼리크레인과 고분자량 키닌노겐에 각각 해당하는 응고 관련 단백질에 플레처 인자와 피츠제럴드 인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64]

인자 VI는 아세레린이 활성화된 인자 V로 밝혀졌기 때문에 배정되지 않았다.

3. 혈액 응고 기전

혈액 응고는 지혈 과정의 일부로, 혈관 수축, 혈소판 마개 형성, 응고 폭포, 섬유소 용해의 네 단계로 진행된다.


  • 혈소판 마개 형성: 혈소판 활성제에 의해 활성화된 혈소판은 당단백질 IIb/IIIa를 통해 손상 부위에 부착되고 응집하여 일시적인 마개(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 이를 1차 지혈이라고 한다.[19]
  • 응고 폭포: 응고 폭포는 외인성 경로와 내인성 경로를 통해 활성화된 인자들이 공통 경로를 거쳐 트롬빈피브린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 외인성 경로: 혈관 손상 시 조직 인자(TF)가 혈액에 노출되어 제VII인자와 결합, 활성화된 제VIIa인자는 제IX인자와 제X인자를 활성화시킨다. 제Xa인자는 제V인자와 함께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킨다.[27]
  • 내인성 경로: 고분자량 키니노겐, 프리칼리크레인, 제XII인자가 콜라겐에 결합하여 시작된다. 제XIIa인자는 제XI인자를 활성화시키고, 제XIa인자는 제IX인자를 활성화시킨다. 제IXa인자는 제VIIIa인자와 함께 제X인자를 활성화시킨다.[27]
  • 공통 경로: 프로트롬빈은 트롬빈으로 전환되고, 트롬빈은 피브리노겐피브린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트롬빈은 제XIII인자를 활성화시켜 피브린 중합체를 가교 결합시켜 안정화시킨다.[27]
  • 섬유소 용해: 혈전은 섬유소 용해 과정을 통해 재구성되고 흡수된다. 플라스미노겐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t-PA) 등에 의해 활성화되어 플라스민이 되고, 플라스민은 피브린을 분해한다.[44]

3. 1. 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혈관에 손상이 발생하면 내피 세포는 혈관벽의 평활근 수축을 유도하기 위해 엔도텔린[23] 및 트롬복산[24]과 같은 다양한 혈관 수축 물질을 방출한다. 이는 부상 부위로의 혈류를 줄이고 출혈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말초 혈관이 수축하거나, 주변으로 샌 혈액이 혈관을 압박하여 출혈을 멈춘다. 전자의 반응에는 혈소판에서 방출되는 세로토닌이나 트롬복산 A2가 관여한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E2가 국소 신경을 민감하게 하여 통증 신호를 중추 신경계로 보내 환부에 대한 주의를 환기한다. 중추 신경계는 생체 밖의 상황을 감안하여, 말초의 사소한 손상을 방치하더라도 그 상황에서 "투쟁 또는 도주"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면 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하여 더욱 말초 혈관을 수축시키는 동시에, 엔도르핀으로 통증 신호를 차단하여 외적 상황을 "투쟁 또는 도주"에 의해 타개하는 것을 선택한다.

3. 2. 혈소판 마개 형성 (Platelet activation and platelet plug formation)

지혈은 혈관 손상 시 혈액 응고를 통해 출혈을 멈추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혈소판은 손상된 혈관 내피에 노출된 콜라겐에 부착하고 활성화되어 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13]

vWF와 GP1b 알파의 상호 작용. 혈소판 표면의 GP1b 수용체는 혈소판이 혈관 손상 시 노출되는 vWF에 결합하도록 한다. vWF A1 도메인(노란색)은 GP1ba(파란색)의 세포외 도메인과 상호 작용한다.


혈소판은 혈소판 활성 인자, 트롬복산 A2와 같은 혈소판 활성제에 의해 활성화된다.[15] 활성화된 혈소판은 막 수용체인 당단백질 IIb/IIIa를 통해 손상된 내피 세포의 세포막 및 세포외 기질의 콜라겐, 폰 빌레브란트 인자 등에 부착된다.[16][17][18] 부착된 혈소판은 응집하여 출혈을 막는 일시적인 마개인 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 이 과정을 "1차 지혈"이라고도 한다.[19]

3. 2. 1. 혈소판 인자 (일본어 위키백과)

내피가 손상되면 일반적으로 격리된 기저 콜라겐이 혈액을 순환하는 혈소판에 노출되어 콜라겐 특이적인 당단백질 Ia/IIa 표면 수용체와 직접 결합한다. 이러한 부착은 내피와 혈소판에서 방출되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에 의해 더욱 강화되며, vWF는 혈소판의 당단백질 Ib/IX/V와 A1 도메인 사이에 추가적인 연결을 형성한다.[25] 손상된 조직의 세포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를 분비하고,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혈소판 표면에 결합한다.

콜라겐이 당단백질 VI에 결합하면 혈소판 인테그린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이 시작된다. 활성화된 인테그린은 혈소판과 세포외 기질 사이의 긴밀한 결합을 매개한다. 이 과정은 혈소판을 손상 부위에 부착시킨다.[25] 손상 부위의 콜라겐과 트롬빈이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고, 포스포리파아제 C가 활성화된다. 포스포리파아제 C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이인산을 분해하여 이노시톨 삼인산 (IP3)을 만든다. IP3는 2차 전달자로서 소포체에서 Ca++의 유리를 촉진한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저장된 과립의 내용물을 혈장으로 방출한다. 과립에는 ADP, 세로토닌, 혈소판 활성 인자 (PAF), vWF, 혈소판 인자 4, 트롬복산 A2 (TXA2)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차례로 추가적인 혈소판을 활성화시킨다. 과립의 내용물은 Gq 결합 단백질 수용체 연쇄 반응을 활성화하여 혈소판 세포질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칼슘은 단백질 키나아제 C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차례로 인산화효소 A2 (PLA2)를 활성화시킨다. PLA2는 다음으로 인테그린 막 당단백질 IIb/IIIa를 변형하여 피브리노겐 결합에 대한 친화력을 증가시킨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구형에서 별 모양으로 변하고 피브리노겐은 당단백질 IIb/IIIa와 가교 결합하여 인접한 혈소판의 응집을 돕고 혈소판 마개를 형성하여 1차 지혈을 완료한다.[26] 혈소판은 손상 부위에 응집하며, 트롬복산 A2와 제5인자, 아데노신 이인산을 방출하여 주변 혈소판을 활성화시킨다.

3. 3. 응고 폭포 (Coagulation cascade)

응고 폭포(Coagulation cascade)는 2차 지혈 과정에서 피브린 형성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이 과정은 ''접촉 활성화 경로''(내인성 경로)와 ''조직 인자 경로''(외인성 경로)로 시작하여, 결국 피브린을 생성하는 ''공통 경로''로 이어진다.[27] 과거에는 두 경로가 동일하게 중요하다고 여겨졌지만, 현재는 조직 인자(외인성) 경로가 혈액 응고를 시작하는 주요 경로로 알려져 있다.[27]

응고 인자들은 대부분 세린 프로테아제라는 효소이며, 비활성 지모겐 형태로 순환하다가 활성화되어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각 인자는 일반적으로 로마 숫자로 표시되며, 활성 형태는 소문자 ''a''를 붙여 나타낸다.[27]

혈액 응고 캐스케이드


응고 폭포는 외인성 경로와 내인성 경로를 통해 활성화된 인자들이 최종적으로 공통 경로를 거쳐 트롬빈피브린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3. 3. 1. 외인성 경로 (Tissue factor pathway)

혈관이 손상되면 조직 인자(TF)가 혈액에 노출되어 순환 중인 제VII인자와 결합한다. 이 결합은 제VII인자를 활성화시켜 제VIIa인자를 만든다.[27] 제VIIa인자는 제IX인자와 제X인자를 활성화시킨다.[27] 제X인자가 활성화되어 만들어지는 제Xa인자는 보조 인자인 제V인자와 함께 프로트롬빈분해효소 복합체를 형성하여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킨다.[27] 이 과정은 "트롬빈 폭발"을 일으켜 트롬빈을 빠르게 생성하며, 트롬빈은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7]

3. 3. 2. 내인성 경로 (Contact activation pathway)

접촉 활성 경로는 고분자량 키니노겐(HMWK), 프리칼리크레인, 제XII인자 (하제만 인자)가 콜라겐에 결합하여 1차 복합체를 형성하면서 시작된다. 프리칼리크레인은 칼리크레인으로 전환되고 제XII인자는 제XIIa인자가 된다. 제XIIa인자는 제XI인자를 제XIa인자로 전환시킨다. 제XIa인자는 제IX인자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제IXa인자는 보조 인자인 제VIIIa인자와 함께 테나아제 복합체를 형성하여 제X인자를 제Xa인자로 활성화시킨다. 접촉 활성 경로가 혈전 형성을 시작하는 데 작은 역할을 한다는 것은 제XII인자, HMWK, 프리칼리크레인에 심각한 결핍이 있는 사람이 출혈 장애를 겪지 않는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대신, 접촉 활성 시스템은 염증[27] 및 선천 면역[30]에 더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로를 방해하면 상당한 출혈 위험 없이 혈전증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30]

내인성 경로는 혈액이 음으로 대전된 고체(예: 암석이나 모래)에 닿으면 활성화되는 과정을 거친다.

  • 혈액이 음으로 대전된 고체에 닿으면, 프레칼리크레인과 고분자량 키니노겐이 제XII인자를 활성화시켜 제XIIa인자로 만든다.
  • 제XIIa인자는 제XI인자를 활성화시켜 제XIa인자로 만든다.
  • 제XIa인자는 제IX인자를 활성화시켜 제IXa인자로 만든다.

3. 3. 3. 공통 경로 (Final common pathway)

350px


현대적인 응고 경로


혈액 응고의 두 가지 경로인 '조직 인자 경로'와 '접촉 활성화 경로'는 모두 인자 X, 트롬빈, 피브린의 "최종 공통 경로"를 활성화한다.[29]

최종 공통 경로에서 프로트롬빈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경로에 의해 트롬빈으로 전환되는데, 이는 단순화된 설명이다. 실제로 트롬빈은 혈소판 플러그 시작 시 활성화된 혈소판에 의해 생성되며, 더 많은 혈소판 활성화를 촉진한다.[32]

트롬빈은 피브리노젠을 피브린으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인자 VIII과 V 및 억제제인 단백질 C(트롬보모듈린 존재 하)를 활성화한다. 또한 인자 XIII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피브린 중합체를 가교하는 공유 결합을 형성시켜,[27] 피브린 네트워크를 안정화한다.[33]

응고 폭포는 항응고 경로에 의해 하향 조절될 때까지 테나제 복합체 형성을 위한 FVIII과 FIX의 지속적인 활성화로 혈전 형성 촉진 상태를 유지한다.[27]

3. 3. 4. 증폭기 (일본어 위키백과)

트롬빈은 제XI인자를 활성화시켜 제XIa인자로 만든다. 제XIa인자는 제IX인자를 활성화시켜 제IXa인자로 만든다.[27] 트롬빈은 제V인자와 제VIII인자를 활성화시켜 각각 제Va인자, 제VIIIa인자로 만든다.[27] 트롬빈은 혈소판을 활성화시켜 제XIa인자, 제Va인자, 제VIIIa인자를 혈소판 표면에 결합시킨다.

3. 3. 5. 전파기 (일본어 위키백과)

혈소판 표면에 결합한 제VIIIa인자와 제IXa인자는 제X인자를 활성화시켜 혈소판 표면에 결합시킨다.[29] 혈소판 표면에 결합한 제Xa인자와 제Va인자는 프로트롬빈을 차례로 트롬빈으로 변화시킨다.[29] 다량의 트롬빈은 혈장 내의 피브리노겐을 분해하여 피브린 모노머로 만든다.[29] 피브린 모노머는 제XIII인자에 의해 가교결합되어 피브린 폴리머가 되고, 다른 혈구를 감싸 혈병(혈전)이 된다.[29]

3. 3. 6. 세포 기반 응고 모델 (Cell-based scheme of coagulation)

생체 내 응고는 조직 인자를 발현하는 세포와 혈소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이 과정은 개시 단계와 증폭 단계로 나뉜다.[34]

개시 단계는 조직 인자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발생하며, 전형적인 외인성 경로를 통해 진행된다. 이 단계를 통해 트롬빈 생성의 약 5%가 만들어진다. 증폭 단계는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발생하며, 전형적인 내인성 경로를 통해 트롬빈이 대량으로 생성된다. 전체 트롬빈의 약 95%가 이 단계에서 생성된다.[35]

3. 4. 섬유소 용해 (Fibrinolysis)

섬유소 용해계 (단순화). 파란색 화살표는 촉진 인자, 빨간색 화살표는 억제 인자를 나타낸다.


혈전은 "섬유소 용해" 과정을 통해 재구성되고 흡수된다. 이 과정의 주요 효소는 플라스민이며, 플라스민 활성제와 플라스민 억제제에 의해 조절된다.[44]

응고된 혈전은 생체에게 이물질이며, 조직이 수복됨과 함께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섬유소 용해계이다.

  • 혈장 중의 플라스미노겐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 혹은 유로키나제 (u-PA)에 의해 활성화되어 플라스민이 된다.
  • 플라스민은 응고된 피브린을 분해하여 D-다이머 및 기타 분해 산물로 변화시킨다.

4. 응고 인자 목록 (List of coagulation factors)

응고 인자는 일반적으로 발견된 순서에 따라 로마 숫자로 표시되며, 활성화된 형태는 소문자 'a'를 붙여 표시한다.[6] 예를 들어, 활성화된 7번 인자는 VIIa로 표기한다. 일부 응고 인자(II, VII, IX, X)는 비타민 K가 있어야 간에서 합성될 수 있다.[8]

응고 인자 및 관련 물질[6]
번호/이름동의어기능관련 유전자/질환분자 유형출처경로
인자 I피브리노겐피브린 가닥 형성선천성 무피브리노겐혈증, 가족성 신장 아밀로이드증혈장 단백질공통 경로; 피브린으로 전환
인자 II*프로트롬빈활성 형태(IIa)는 혈소판, 인자 I, V, VII, VIII, XI, XIII, 단백질 C 활성화혈전증, 프로트롬빈 혈전증 (프로트롬빈 G20210A)[7]혈장 단백질공통 경로; 트롬빈으로 전환
인자 III조직 인자, 조직 트롬보플라스틴인자 VIIa의 보조 인자지단백질 혼합물손상된 세포 및 혈소판외인성
인자 IV칼슘, 칼슘 이온, Ca2+ 이온응고 인자가 인지질에 결합하는 데 필요혈장의 무기 이온식단, 혈소판, 뼈 기질응고의 전체 과정
인자 V프로악셀러린, 불안정 인자, Ac-글로불린인자 X의 보조 인자, 프로트롬비나제 복합체 형성활성 단백질 C 저항성혈장 단백질간, 혈소판외인성 및 내인성
인자 VI할당되지 않음 – 인자 Va의 이전 이름 (인자 V의 활성화 형태), accelerin (이전)해당 없음해당 없음해당 없음
인자 VII*프로컨버틴, 혈청 프로트롬빈 전환 촉진제(SPCA), 안정 인자인자 IX, X 활성화, 프로트롬빈의 트롬빈 전환 촉매선천성 인자 VII 결핍혈장 단백질외인성
인자 VIII항혈우병 인자 A, 항혈우병 인자(AHF), 항혈우병 글로불린(AHG)인자 IX의 보조 인자, 테나제 복합체 형성혈우병 A혈장 단백질 인자혈소판 및 내피 세포내인성
인자 IX*항혈우병 인자 B, 크리스마스 인자, 혈장 트롬보플라스틴 성분(PTC)인자 X 활성화, 테나제 복합체 형성혈우병 B혈장 단백질내인성
인자 X*스튜어트-프로워 인자, 스튜어트 인자인자 II 활성화, 프로트롬비나제 복합체 형성선천성 인자 X 결핍단백질외인성 및 내인성
인자 XI혈장 트롬보플라스틴 선행 물질(PTA), 항혈우병 인자 C인자 IX 활성화혈우병 C혈장 단백질내인성
인자 XII하게만 인자XI, VII, 프리칼리크레인 및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유전성 혈관부종 유형 III혈장 단백질내인성; 체외 응고 시작; 플라스민 활성화
인자 XIII피브린 안정화 인자피브린 가닥 교차결합선천성 인자 XIIIa/b 결핍혈장 단백질간, 혈소판공통 경로; 피브린 안정화, 섬유소 용해 지연
비타민 K응고 비타민간 감마-글루타밀 카르복실라제에 필수 인자, 인자 II, VII, IX, X 및 단백질 S, 단백질 C, 단백질 Z에 카르복실 그룹을 글루탐산 잔기에 추가[8]비타민 K 결핍피틸-치환된 나프토퀴논 유도체장내 미생물총 (E. coli[9]), 식이 공급원외인성[10]
폰 빌레브란트 인자VIII에 결합, 혈소판 부착 매개폰 빌레브란트병혈액 당단백질혈관의 내피, 골수[11]
프리칼리크레인플레처 인자XII와 프리칼리크레인 활성화, HMWK 절단프리칼리크레인/플레처 인자 결핍
칼리크레인플라스미노겐 활성화
고분자량 키니노겐피츠제럴드 인자, HMWK인자 XII, XI 및 프리칼리크레인의 상호 활성화 지원키니노겐 결핍
피브로넥틴세포 부착 매개피브로넥틴 침착증을 동반한 사구체병증
항트롬빈 III인자 IIa, Xa, IXa, XIa, XIIa 억제항트롬빈 III 결핍
헤파린 보조 인자 II인자 IIa 억제, 헤파린 및 데르마탄 황산의 보조 인자("소수 항트롬빈")헤파린 보조 인자 II 결핍
단백질 C인자 Va 및 VIIIa 비활성화단백질 C 결핍
단백질 S활성화된 단백질 C(APC)의 보조 인자 (C4b-결합 단백질에 결합 시 비활성화)단백질 S 결핍
단백질 Z인지질에 대한 트롬빈 부착 매개, ZPI에 의한 인자 X 분해 자극단백질 Z 결핍
단백질 Z 관련 프로테아제 억제제ZPI인자 X(단백질 Z 존재 시)와 XI(독립적) 분해
플라스미노겐플라스민으로 전환, 피브린 및 기타 단백질 용해플라스미노겐 결핍 유형 I (나무 모양 결막염)
α2-항플라스민플라스민 억제항플라스민 결핍
α2-마크로글로불린플라스민, 칼리크레인 및 트롬빈 억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 또는 TPA플라스미노겐 활성화가족성 과섬유소용해, 혈전증
유로키나제플라스미노겐 활성화퀘벡 혈소판 장애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1PAI-1tPA 및 유로키나제 비활성화 (내피 PAI)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1 결핍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2PAI-2tPA 및 유로키나제 비활성화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억제제-1 결핍
암 프로응고제다양한 에서 인자 X의 병리학적 활성제, 혈전증 관련[12]
* 비타민 K는 위에 표기된 응고 인자들의 생합성에 필요하다.[8]


5. 응고 조절 물질 (Regulators)

몇 가지 기전을 통해 혈소판 활성화와 응고 연쇄 반응이 억제된다.[42] 이러한 기전에 이상이 생기면 혈전증(혈전 발생 경향)이 증가할 수 있다.

단백질 C는 주요 생리적 항응고제이다. 트롬빈에 의해 활성 단백질 C (APC)로 활성화되는 비타민 K 의존성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단백질 C는 단백질 C와 트롬빈이 세포 표면 단백질 트롬보모듈린에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활성화된다. 트롬보모듈린은 이러한 단백질을 활성 단백질 C를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활성 형태는 단백질 S 및 인지질과 함께 보조 인자로서 FVa 및 FVIIIa를 분해한다. 단백질 C 또는 단백질 S의 양적 또는 질적 결핍, 또는 단백질 C의 작용 저하(활성 단백질 C 저항)는 혈전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42]

항트롬빈은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세르핀)로, 세린 프로테아제인 트롬빈, FIXa, FXa, FXIa 및 FXIIa를 분해한다. 항트롬빈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만, 헤파란 설페이트(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존재나 헤파린 투여에 의해 이러한 인자에 대한 부착이 증가한다. 항트롬빈의 양적 또는 질적 결핍은 혈전성향을 유발한다.[42]

조직 인자 경로 억제제(TFPI)는 조직 인자(TF)의 작용을 제한하고, FVII 및 FX의 과도한 TF 매개 활성화를 억제한다.[43]

플라스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혈장 단백질인 플라스미노겐의 단백질 분해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이 절단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에 의해 촉매되는데, t-PA는 내피에서 합성 및 분비된다. 플라스민은 피브린을 단백질 분해적으로 절단하여 과도한 피브린 형성을 억제하는 피브린 분해 산물을 생성한다.

프로스타사이클린(PGI2)은 내피에서 분비되며 혈소판 Gs 단백질 연결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차례로 아데닐릴 사이클레이스를 활성화시켜 cAMP를 합성한다. cAMP는 세포질 칼슘 수치를 감소시켜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며, 이는 추가 혈소판 활성화와 응고 연쇄 반응을 유발하는 과립의 방출을 억제한다.[44]

5. 1. 응고 억제 물질 (일본어 위키백과)

음성 및 양성 피드백 화살표가 있는 응고


몇 가지 메커니즘은 혈소판 활성화와 응고 연쇄 반응을 억제한다.[42] 이상은 혈전증 경향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 '''항트롬빈 III(AT3)''':분자량 65,000의 단백질로, 간 및 혈관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어 혈류 중에 방출된다. 제Xa인자나 트롬빈의 작용을 억제한다. 헤파린이 알로스테릭 부위에 결합하면 활성이 1000배나 증가한다.[71][72]
  • '''헤파린''':다당류이며, 항트롬빈 III을 활성화시킨다. 저분자량 헤파린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활성도 저하시키고, 혈소판과의 반응을 억제한다.
  • '''단백질 C''':트롬빈에 의해 분해되어 활성화된 단백질 C (Activated Protein C; APC)가 되며, 보조 인자인 단백질 S와 결합한다. 활성형 제V인자나 활성형 제VIII인자에 결합하여 억제한다.
  • 단백질 S:활성형 단백질 C (APC)의 보조 인자이며, APC와 결합하여 항응고 작용을 나타낸다.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구연산''':혈장 중의 유리 Ca++이온을 킬레이트화함으로써 트롬빈의 형성을 억제한다. 둘 다 채혈한 혈액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연산은 체내 성분이며, 체내에서 신속하게 대사되어 응고 활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농도가 되기 때문에, 체외 순환 회로 내나 수혈용 보존 혈액의 응고 억제에도 사용된다. EDTA는 인간의 몸의 성분이 아니며, 체내에서 대사되지 않고 2가 금속 이온을 킬레이트한 채로 뇨 중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항응고 작용을 이용한 후 인체로 되돌려지는 일은 없다.
  • '''아스피린''':인간의 몸의 성분이 아니며,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고, 혈소판의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Thromboxane A2|트롬복산 A2영어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혈소판 작용을 발휘하는 의약품이다. 채혈한 혈액에 직접 첨가해도 응고를 억제하지 않는다.[73]
  • 와파린:인간의 몸의 성분이 아니며 혈전 형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내복하면, 간에서 혈액 응고 인자가 생합성될 때 Ca 결합 부위인 γ-카르복시글루탐산의 생성을 억제하여 혈액 응고 인자의 기능을 손상시킴으로써, 혈액 응고를 억제한다. 채혈한 혈액에 첨가해도 응고를 억제하지 않는다.[74]
  • 에독사반:인간의 몸의 성분이 아니며 혈전 형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내복하면, 제Xa인자를 경쟁적이고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혈액 응고를 억제한다.[75]

6. 섬유소 용해 시스템 (일본어 위키백과)

섬유소 용해는 혈전을 재구성하고 흡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의 주요 효소는 플라스민이며, 플라스민 활성제와 플라스민 억제제에 의해 조절된다.[44]

응고된 혈전은 생체에게 이물질이며, 조직 복구와 함께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섬유소 용해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 시스템에서 혈장 중의 플라스미노겐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 혹은 유로키나제(u-PA)에 의해 활성화되어 플라스민이 된다. 플라스민은 응고된 피브린을 분해하여 D-다이머 등의 분해 산물로 변화시킨다.

6. 1. 섬유소 용해 억제 물질 (일본어 위키백과)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억제 물질은 다음과 같다.

  • '''α1-안티트립신''': 제14번 염색체 장완 말단(14q32)에 위치한 SERPINA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분자량 약 51000의 당단백질로, 활성화된 플라스민의 작용을 억제한다. 이 물질이 부족하면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인 COPD를 발병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기전은 불분명하다.[44]
  • '''α2-안티플라스민''': 제17번 염색체 단완 말단(17p13)에 위치한 SERPINF1과 SERPINF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분자량 59000의 당단백질로, 간에서 합성되어 혈류로 방출된다. 혈장 전기영동에서는 α2 글로불린에 속하며, 섬유소 용해 억제에 기여하는 역할은 α1-안티트립신보다 더 크다.[44]
  • '''트롬빈 활성화 섬유소 용해 억제 물질'''[44]

7. 면역계에서의 역할 (Role in immune system)

혈액 응고 시스템은 면역계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혈액 응고는 침입하는 미생물을 혈병에 물리적으로 가둘 수 있다. 또한, 혈액 응고 시스템의 일부 생성물은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주화성 물질로서 식세포에 작용하여 선천 면역계에 기여한다. 게다가, 혈액 응고 시스템의 일부 생성물은 직접적인 항균제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혈액 응고 과정에서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인 베타-라이신은 양이온성 세제로 작용하여 많은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 용해를 일으킬 수 있다.[36] 염증의 많은 급성기 단백질이 혈액 응고 시스템에 관여한다. 또한, 병원성 세균은 응고 효소 및 스트렙토키나제와 같이 혈액 응고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분비할 수도 있다.[37]

면역 혈액 지혈은 적응성 혈병 형성에 면역 활성화를 통합하는 것이다. 면역 혈전증은 면역, 염증 및 혈액 응고 사이 상호 작용의 병리학적 결과이다. 이 과정의 매개체에는 손상 관련 분자 패턴 및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이 포함되며, 이는 톨 유사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어 호중구 세포외 트랩 형성과 같은 혈액 응고 촉진 및 염증성 반응을 유발한다.[69]

8. 관련 질환 (Role in disease)

혈액 응고 결함은 그 성격에 따라 출혈이나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로는 둘 다 나타나기도 한다.[50] 혈관벽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에도 혈전 형성과 섬유소 용해는 끊임없이 반복되는데, 이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질환이 발생한다.

GP1b-IX 수용체 복합체. 이 단백질 수용체 복합체는 혈소판 표면에 있으며, GPV와 함께 혈소판이 손상 부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당단백질 Ib-IX-V 복합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베르나르-술리에 증후군의 특징이다.


다발성 외상에서는 조직 인자가 혈액 내로 유입되어 응고계를 발동시킨다. 또한 패혈증에 의한 엔도톡신 등은 염증성 매개체의 유도를 통해 혈관 내피 세포의 항혈소판 작용을 약화시킨다. 이 때문에 신체 각 부위에서 혈전이 형성되어 응고 인자가 소비되고, 결국 응고 인자가 고갈된다. 동시에 혈전에 의한 순환 부전을 해소하기 위해 섬유소 용해계가 항진되어 지혈이 불가능해진다. 이것이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DIC)이다. DIC 치료에는 헤파린을 사용하지만, AT3가 고갈된 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AT3도 동시에 투여한다. 응고 인자와 섬유소 용해계 인자(제II, VII, IX, XI, XIII 인자, 플라스민)의 대부분은 세린 프로테아제가 진화한 것이므로,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메실산 나파모스타트나 메실산 가베자트를 투여한다.

8. 1. 혈소판 질환 (Platelet disorders)

혈소판 장애는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일 수 있다. 선천성 혈소판 장애의 예로는 글란츠만 혈소판무력증, 베르나르-술리에 증후군(비정상적인 당단백질 Ib-IX-V 복합체), 회색 혈소판 증후군(결핍된 알파 과립), 델타 저장 풀 결핍(결핍된 밀집 과립) 등이 있다. 대부분은 드물게 나타나며, 출혈을 유발하기 쉽다. 폰 빌레브란트병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결핍 또는 비정상적인 기능으로 인해 발생하며, 유사한 출혈 양상을 보인다. 폰 빌레브란트병의 경미한 형태는 비교적 흔하다.

혈소판 감소증(혈소판 감소)은 불충분한 생성(예: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또는 기타 골수 질환), 면역 체계에 의한 파괴(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또는 소모(예: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용혈성 요독 증후군,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파종성 혈관 내 응고,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해 발생한다.[51] 혈소판 수의 증가는 혈소판 증가증이라고 하며, 이는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혈소판 증가증은 골수증식 종양 환자에서 혈전증 또는 출혈 위험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52]

8. 2. 응고 인자 질환 (Coagulation factor disorders)

가장 잘 알려진 응고 인자 장애는 혈우병이다. 세 가지 주요 형태는 혈우병 A(제8인자 결핍), 혈우병 B(제9인자 결핍 또는 "크리스마스병"), 혈우병 C(제11인자 결핍, 경미한 출혈 경향)이다.[53]

폰빌레브란트병은 가장 흔한 유전성 출혈 장애이며, 상염색체 열성 또는 우성으로 유전된다. 이 질환은 당단백질 Ib(GPIb)가 콜라겐에 결합하는 것을 매개하는 폰빌레브란트 인자(vWF)에 결함이 있어 발생한다. 이러한 결합은 혈소판 활성화와 1차 지혈 형성을 돕는다.

급성 또는 만성 간부전의 경우 응고 인자 생성이 불충분하여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54]

8. 3. 간 질환

급성 또는 만성 간부전의 경우 응고 인자 생성이 불충분하여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54]

8. 4. 혈전증 (Thrombosis)

혈전증은 혈전이 병리학적으로 발달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혈전은 떨어져 나와 이동하여 색전을 형성하거나, 생성된 혈관을 막을 정도로 커질 수 있다. 색전증혈전(혈액 응고)이 이동성 색전이 되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여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따라서 폐쇄 하류의 장기 기능을 손상시킬 때 발생한다. 이는 허혈을 유발하고 종종 조직의 허혈성 괴사로 이어진다.[55] 대부분의 정맥 혈전증 사례는 고령, 수술, 암, 부동성 등의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유발되지 않은 정맥 혈전증은 특히 혈전증 가족력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V 인자 라이덴, 항트롬빈 결핍, 기타 다양한 유전자 결핍 또는 변이와 같은 유전성 혈전증 경향과 관련될 수 있지만, 후천적 위험 인자가 유전적 요인과 겹쳐질 때 혈전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55]

9. 임상 검사 (Medical assessment)

혈액 응고 시스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의학 검사가 사용된다.[3][45]


  • 일반적인 검사로는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프로트롬빈 시간(PT) (및 INR 결정), 피브리노겐 검사(주로 ''클라우스 피브리노겐 분석'' 사용),[46] 혈소판 수 측정 등이 있다.
  • 기타 검사로는 트롬빈 시간(TCT), 출혈 시간, 혼합 검사, 응고 인자 분석, 항인지질 항체, D-이합체, 유전자 검사, 희석 러셀 살무사 독 시간(dRVVT), 트롬보엘라스토그래피(TEG 또는 소노클롯), 유글로불린 용해 시간(ELT) 등이 있다.


접촉 활성화 시스템에 의해 시작되는 내인성 경로는 aPTT 검사로,[47] 조직 인자에 의해 시작되는 외인성 경로는 PT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48] PT 결과는 경구용 항응고제 와파린 투여량 조절을 위해 INR 값으로 보고되기도 한다.[49]

피브리노겐 정량 및 정성 검사는 TCT로 측정하며, 혈액 내 정확한 피브리노겐 양은 ''클라우스 피브리노겐 분석''으로 측정한다.[46]

응고 인자 결핍은 특정 경로에만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우병 A는 VIII 인자 결핍으로 aPTT 검사 시간을 연장시키지만 PT 검사는 정상이다.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등 공통 경로 인자 결핍은 aPTT와 PT 모두 연장시킨다.

9. 0. 1. 검사 소견 (일본어 위키백과)

혈액 응고 시스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많은 의학 검사가 사용된다.[3][45]

  • 일반적인 검사: aPTT, PT (또한 INR 결정에 사용됨), 피브리노겐 검사(종종 ''Clauss 피브리노겐 분석''에 의해),[46] 혈소판 수, 혈소판 기능 검사(종종 PFA-100에 의해), 트롬보다이내믹스 검사.
  • 기타 검사: TCT, 출혈 시간, 혼합 검사 (환자의 혈장과 정상 혈장을 혼합했을 때 이상이 교정되는지 여부), 응고 인자 분석, 항인지질 항체, D-이합체, 유전자 검사(예: V 인자 라이덴, 프로트롬빈 돌연변이 G20210A), 희석된 러셀 살무사 독 시간 (dRVVT), 기타 혈소판 기능 검사, 트롬보엘라스토그래피 (TEG 또는 소노클롯), 유글로불린 용해 시간 (ELT).


접촉 활성화 시스템의 활성화에 의해 시작되는 접촉 활성화(내인성) 경로는 활성화된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47]

조직 인자 (특정 세포 지단백질)의 방출에 의해 시작되는 조직 인자(외인성) 경로는 프로트롬빈 시간 (PT)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48] PT 결과는 경구용 항응고제인 와파린의 투여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비율(INR 값)로 보고되는 경우가 많다.[49]

피브리노겐의 정량적 및 질적 선별 검사는 트롬빈 응고 시간 (TCT)으로 측정된다. 혈액 내 피브리노겐의 정확한 양을 측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Clauss 피브리노겐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된다.[46] 많은 분석기는 프로트롬빈 시간 응고 그래프에서 "파생된 피브리노겐"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응고 인자가 접촉 활성화 또는 조직 인자 경로의 일부인 경우, 해당 인자의 결핍은 검사 중 하나에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접촉 활성화 경로의 일부인 VIII 인자의 결핍인 혈우병 A는 aPTT 검사 시간을 비정상적으로 연장시키지만 PT 검사 결과는 정상이다. 공통 경로 인자인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FX, FV의 결핍은 aPTT와 PT 모두를 연장시킨다. 비정상적인 PT 또는 aPTT가 존재하는 경우, 어떤 인자가 비정상적인 농도로 존재하는지(존재하는 경우)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 검사가 수행된다.

피브리노겐의 결핍(정량적 또는 질적)은 PT, aPTT, 트롬빈 시간 및 렙틸레이스 시간을 연장시킨다.

혈액 응고 장애에서의 검사 소견
상태프로트롬빈 시간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출혈 시간혈소판 수
비타민 K 결핍 or 와파린연장변화 없음 또는 다소 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후군연장연장연장감소
폰 빌레브란트병변화 없음연장 또는 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
혈우병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
아스피린변화 없음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
혈소판 감소증변화 없음변화 없음연장감소
급성 간부전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변화 없음
말기 간부전연장연장연장감소
요독증변화 없음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
무피브리노겐혈증연장연장연장변화 없음
제V인자 결핍연장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
제X인자 결핍연장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
혈소판 무력증변화 없음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
베르나르-술리에 증후군변화 없음변화 없음연장감소 또는 변화 없음
제XII인자 결핍변화 없음연장변화 없음변화 없음
유전성 혈관 부종변화 없음단축변화 없음변화 없음


10. 약물 치료 (Pharmacology)

약물 치료에는 크게 응고 촉진제와 항응고제가 사용된다.

응고 촉진제는 출혈을 멈추게 하는 약물이다. 흡착제, 제올라이트와 같은 화학 물질, 그리고 다른 지혈제는 총상과 같은 심각한 부상을 빠르게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트롬빈피브린 접착제는 수술 시 출혈을 멈추고 동맥류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지혈 파우더 스프레이 TC-325는 위장관 출혈 치료에 사용된다. 데스모프레신은 아르기닌 바소프레신 수용체 1A를 활성화하여 혈소판 기능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56] 응고 인자 농축액은 혈우병 치료, 항응고제 효과를 되돌리기, 응고 인자 합성이 손상되거나 소비가 증가한 사람의 출혈 치료에 사용된다. 프로트롬빈 복합체 농축액, 크라이오침전물 및 신선 동결 혈장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응고 인자 제품이다. 재조합 활성 인간 인자 VII은 때때로 심각한 출혈 치료에 사용된다. 트라넥삼산과 아미노카프로산은 섬유소 용해를 억제하여 출혈을 줄인다. 아프로티닌은 일부 주요 수술에서 출혈 위험을 줄이고 혈액 제제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철회되었다.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항혈소판제에는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프라수그렐 등이 있으며, 혈관성형술 시에는 비경구 당단백질 IIb/IIIa 억제제가 사용된다. 항응고제 중에서는 와파린(및 관련 쿠마린)과 헤파린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와파린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II, VII, IX, X)와 단백질 C 및 단백질 S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헤파린 및 관련 화합물은 트롬빈과 인자 Xa에 대한 안티트롬빈의 작용을 증가시킨다. 직접 트롬빈 억제제(예: 레피루딘, 아가트로반, 비발리루딘, 다비가트란)와 같은 새로운 약물이 개발 중이며, 일부는 이미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정 응고 인자의 효소 작용을 직접적으로 방해하는 다른 작은 분자 화합물도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직접 작용 경구용 항응고제: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에독사반).[57]

10. 1. 응고 촉진제 (Procoagulants)

흡착제, 제올라이트와 같은 화학 물질, 그리고 다른 지혈제는 심각한 부상(예: 총상으로 인한 외상성 출혈)을 신속하게 봉합하는 데 사용된다. 트롬빈과 피브린 접착제는 출혈을 치료하고 동맥류를 혈전증하는 데 수술적으로 사용된다. 지혈 파우더 스프레이 TC-325는 위장관 출혈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데스모프레신은 아르기닌 바소프레신 수용체 1A를 활성화하여 혈소판 기능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56]

응고 인자 농축액은 혈우병을 치료하고, 항응고제의 효과를 되돌리며, 응고 인자 합성이 손상되거나 소비가 증가한 사람의 출혈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트롬빈 복합체 농축액, 크라이오침전물 및 신선 동결 혈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응고 인자 제품이다. 재조합 활성 인간 인자 VII은 때때로 심각한 출혈 치료에 사용된다.

트라넥삼산과 아미노카프로산은 섬유소 용해를 억제하여 사실상 출혈률을 감소시킨다. 아프로티닌은 철회되기 전에 일부 주요 수술 형태에서 출혈 위험을 줄이고 혈액 제제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10. 2. 항응고제 (Anticoagulants)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통칭 "항혈전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이다. 항혈소판제에는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프라수그렐이 있으며, 혈관성형술 동안에는 비경구 당단백질 IIb/IIIa 억제제가 사용된다. 항응고제 중에서는 와파린 (및 관련 쿠마린)과 헤파린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와파린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II, VII, IX, X)와 단백질 C 및 단백질 S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헤파린 및 관련 화합물은 트롬빈과 인자 Xa에 대한 안티트롬빈의 작용을 증가시킨다. 새로운 종류의 약물인 직접 트롬빈 억제제가 개발 중이며, 일부는 이미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 레피루딘, 아가트로반, 비발리루딘, 다비가트란). 또한 특정 응고 인자의 효소 작용을 직접적으로 방해하는 다른 작은 분자 화합물도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직접 작용 경구용 항응고제: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에독사반).[57]

참조

[1] 논문 Thrombus formation in vivo 2005-12
[2] 서적 Platelets 2007
[3] 웹사이트 Coagulation Factor Tests https://medlineplus.[...] 2024-04-27
[4] 서적 Concise guide to hematology Wiley-Blackwell
[5] 서적 Practical Hemostasis and Thrombosi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6] 서적 Anatomy & Physiology OpenStax CNX 2023-07-28
[7] 웹사이트 Prothrombin thrombophilia https://medlineplus.[...] 2023-09-11
[8] 서적 Med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18
[9] 논문 The unexhausted potential of E. coli 2015-03-25
[10] 웹사이트 Coagulation Cascade: What Is It, Steps, and More {{!}} Osmosis https://www.osmosis.[...] 2023-09-08
[11] 웹사이트 VWF gene: MedlinePlus Genetics https://medlineplus.[...] 2023-09-08
[12] 논문 Cancer procoagulant: a factor X activator, tumor marker and growth factor from malignant tissue 1997-03
[13] 논문 Physiology of blood coagulation 1990
[14] 서적 Rheumatology 2015
[15] 논문 Platelet glycoprotein IIb-IIIa-like proteins mediate endothelial cell attachment to adhesive proteins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1987-07
[16] 논문 Platelet Activation by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in Haemostasis and Thrombosis 2009-04
[17] 논문 Von Willebrand protein binds to extracellular matrices independently of collagen 1984-01
[18] 논문 Role of platelet activation and fibrin formation in thrombogenesis 1986-12-01
[19] 서적 SickKids Handbook of Pediatric Thrombosis and Hemostasis https://books.google[...]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2016-12-22
[20] 웹사이트 Coagulation Cascade: What Is It, Steps, and More https://www.osmosis.[...] 2023-10-15
[21] 서적 Fibrous Proteins: Structures and Mechanisms 2017
[22]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
[23] 논문 Endothelial injury, vasoconstriction, and its prevention 1995
[24] 논문 Endothelial cell control of thrombosis 2015-10-19
[25] 서적 Practical Hemostasis and Thrombosi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6] 서적 Haematology Scion Publishing
[27] 서적 Haematology Scion Publishing
[28] 웹사이트 Coagulation Factor https://www.clotbase[...] 2018-05-20
[29] 서적 Essential Haematology Blackwell Science 2002
[30] 논문 Contact system revisited: an interface between inflammation, coagulation, and innate immunity 2016-03
[31] 논문 New insight into the traditional model of the coagulation cascade and its regulation: illustrated review of a three-dimensional view 2023-08
[32] 논문 A cell-based model of coagulation and the role of factor VIIa 2003-09
[33] 논문 Factor XIII is a newly identified binding partner for platelet collagen receptor GPVI-dimer-An interaction that may modulate fibrin crosslinking 2022-03
[34] 논문 Rethinking the coagulation cascade 2005-09
[35] 논문 Remodeling the blood coagulation cascade 2003-08
[36] 서적 Immunolog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11
[37] 논문 Bacterial pathogens activate plasminogen to breach tissue barriers and escape from innate immunity 2016-11
[38] 논문 Overview of the coagulation system 2014
[39] 논문 Platelet-Derived Microparticles (MPs) and Thrombin Generation Velocity in Deep Vein Thrombosis (DVT): Results of a Case–Control Study 2020-11-26
[40] 논문 Structure functional insights into calcium binding during the activation of coagulation factor XIII A 2019-08-05
[41] 논문 Vitamin K: a potential missing link in critical illness-a scoping review. 2024-07-01
[42]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Risk Factors and Thrombophilia Evaluation in Venous Thromboembolism. 2024-01-09
[43]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biology of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015-06
[44] 서적 Essential haematology Blackwell Science
[45] 서적 Practical Hemostasis and Thrombosi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46] 서적 Haemostasis 2013
[47] 논문 Unexpected, isolate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rolongation: A practical mini-review 2020-06
[48] 웹사이트 Prothrombin Time Test and INR (PT/INR): MedlinePlus Medical Test https://medlineplus.[...] 2024-04-28
[49] 논문 Standardization of Prothrombin Time/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PT/INR) 2021-02
[50] 서적 Haematology Wiley-Blackwell Publishers 2008
[51] 웹사이트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https://www.lecturio[...] 2021-07-12
[52] 논문 A Review About the Assessment of the Bleeding and Thrombosis Risk for Patients With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Scheduled for Surgery 2024-03
[53] 논문 "[Factor XI deficiency: actualit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24-06
[54] 논문 Prophylactic plasma transfusion for patients without inherited bleeding disorders or anticoagulant use undergoing non-cardiac surgery or invasive procedures 2019-11
[55] 논문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23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thrombophilia testing 2023-11
[56] 논문 Cellular mechanisms of the hemostatic effects of desmopressin (DDAVP) 2003-04
[57] 논문 A new generation of oral direct anticoagulants 2012-03
[58] 논문 Neue Untersuchungen über die Faserstoffgerinnung
[59] 서적 Zur Blutlehre. Vogel
[60] 논문 Nouvelle theorie chimique de la coagulation du sang
[61] 논문 Treating thrombosis in the 21st century 2003-10
[62] 논문 Max Schultze (1865), G. Bizzozero (1882) and the discovery of the platelet 2006-05
[63] 논문 Die Chemie der Blutgerinnung
[64] 논문 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 the history of the nomenclature of coagulation factors 2003-06
[65] 논문 An enzyme cascade in the blood clotting mechanism, and its function as a biochemical amplifier 1964-05
[66] 논문 Waterfall sequence for intrinsic blood clotting 1964-09
[67] 논문 The nomenclature of blood clotting factors 1962-02
[68]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coagulogen, a clottable protein in horseshoe crabs 2004-06
[69] 논문 Rethinking coagulation: from enzymatic cascade and cell-based reactions to a convergent model involving innate immune activation. 2023-12-21
[70] 논문 Biochemical principle of Limulus test for detecting bacterial endotoxins. 2007-05
[71] 간행물 ノイアート静注用 添付文書 2023年4月改訂第1版 日本血液製剤機構
[72] 간행물 アンスロビンP注射用 添付文書 2022年4月改訂第25版 KMバイオロジクス/CSLベーリング
[73] 간행물 アスピリン「バイエル」 添付文書 2017年5月改訂第6版 バイエル薬品
[74] 간행물 ワーファリン錠 添付文書 2019年7月改訂第1版 エーザイ
[75] 간행물 リクシアナOD錠 添付文書 2022年10月改訂第4版 第一三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