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두교 종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두교 종파는 비슈누파, 시바파, 샥티파, 스마르타파, 사우라파, 가나파티야파 등으로 나뉜다. 비슈누파는 비슈누를 숭배하며 바가바타파와 판차라트라파로 구분된다. 시바파는 시바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며, 요가와 성력을 중시한다. 샥티파는 여신인 샥티를 숭배하며, 시바파와 결합되기도 한다. 스마르타파는 브라만을 숭배하며, 다양한 신들을 숭배하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지닌다. 사우라파는 태양신 수르야를 숭배하며, 가나파티야파는 가네샤를 숭배한다.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카비르파와 같은 힌두교 개혁파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의 종파 - 시바파
    시바파는 시바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며 다양한 철학적 입장을 포괄하고 여러 하위 종파로 세분되며 요가, 춤 등 힌두교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 힌두교의 주요 종파이다.
  • 힌두교의 종파 - 스마르타파
    스마르타파는 스므리티 문헌을 따르는 힌두교 전통으로,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면서 다양한 신 숭배를 통합하고 브라만 중심의 질서를 옹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힌두교 종파
개요
정의힌두교 내에서 특정 신이나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하위 전통 또는 학교들을 지칭
특징힌두교는 단일한 교리나 조직을 갖는 종교가 아닌, 다양한 신앙과 실천, 철학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체계이므로 다양한 종파가 존재
주요 종파
비슈누파비슈누 신과 그의 아바타(화신)들을 숭배하는 종파. 사랑, 헌신, 은총을 강조하며, 신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박티)을 통해 구원을 얻는 것을 중요하게 여김.
시바파시바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 금욕주의, 요가, 철학적 탐구를 중시하며, 시바 신의 파괴와 창조의 힘을 통해 우주의 순환을 이해하고자 함.
샥티파여신(데비)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 여신의 창조적이고 보호적인 힘을 강조하며, 여성적인 에너지와 자연의 힘을 숭배함. 탄트라 전통과 깊이 연관.
스마르타파여섯 주요 신(비슈누, 시바, 데비, 가네샤, 수리야, 스칸다)을 동등하게 숭배하는 종파. 개인의 선택에 따라 어떤 신을 숭배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브라흐만(최고의 실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음.
기타 종파 및 흐름
가나파티아가네샤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 상업, 지혜, 행운의 신으로 숭배되는 가네샤는 장애물을 제거하고 성공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짐.
카우마라스칸다(무루간)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 주로 남인도에서 숭배되며, 전쟁과 승리의 신으로 여겨짐.
사우라수리야(태양신)를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 생명과 에너지의 근원으로 숭배받는 태양신은 건강과 번영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짐.
바이라바시바 신의 격렬한 형태인 바이라바를 숭배하는 종파. 주로 탄트라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 두려움과 죽음을 극복하는 힘을 상징함.
요기니여신 숭배와 관련된 종파로, 요기니(여성 요가 수행자)를 숭배함. 탄트라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여성의 힘과 지혜를 상징함.
기타이 외에도 다양한 지역적, 개인적 신앙 형태가 존재하며, 힌두교 종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함.
철학적 기반
베다와 우파니샤드힌두교 종파들의 철학적 기반은 주로 베다와 우파니샤드에 두고 있으며, 각 종파는 이러한 경전들을 자신들의 교리에 맞게 해석하고 발전시켜왔음.
육파 철학육파 철학(상키아, 요가, 니야야, 바이셰시카, 미맘사, 베단타) 역시 힌두교 종파들의 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 각 종파는 특정 철학 학파의 영향을 받거나 독자적인 철학적 체계를 구축하기도 함.
영향
사회적 영향힌두교 종파들은 인도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쳐왔으며, 종교적 실천, 예술,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음.
현대적 변화현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힌두교 종파들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신앙과 현대적인 가치를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2. 비슈누파

'''비슈누파'''(Vaishnavism영어)는 힌두교의 주요 종파 중 하나로, 비슈누와 그의 화신들을 숭배한다.[84]

비슈누파는 크게 바가바타파와 판차라트라파로 나뉜다.[84] 바가바타파는 《비슈누 푸라나》와 《바가바타 푸라나》를 경전으로 삼고, 판차라트라파는 《판차라트라 아가마》나 《바이카나사 아가마》를 따른다.[84]

비슈누파는 비슈누 또는 크리슈나와 같은 그의 화신을 숭배한다.


비슈누파는 힌두교 내에서 신자 수가 가장 많은 종파로 여겨지기도 한다. 2010년 추정치에 따르면, 비슈누파 신자는 약 6억 4,100만 명으로 전체 힌두교 신자의 67.6%를 차지한다.[11]

2. 1. 바가바타파

비슈누파의 한 분파인 바가바타파는 《비슈누 푸라나》와 《바가바타 푸라나》를 중심으로 한다.[84] 이 종파는 크리슈나 신앙과 박티(신애(信愛) 또는 헌신(獻身))를 강조한다. 《바가바타 푸라나》는 약 900년경에 성립되었으며, 크리슈나 신에 대한 박티를 고취하여 여러 분파들이 성립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84]

바가바타파는 주로 다음 분파들을 통칭한다.[84]

  • 닌바르카파
  • 마드바파
  • 비슈누스와민파
  • 바르라바파
  • 차이타니아파

2. 1. 1. 닌바르카파

닌바르카 삼프라다야 (쿠마라 삼프라다야)는 닌바르카차르야의 가르침을 따르며, 포 쿠마라스와 관련이 있다. 이 종파는 이원론과 일원론의 조화를 추구한다.

2. 1. 2. 마드바파

마드바차르야가 창시한 브라마 삼프라다야는 드바이타 베단타 철학을 따르며, 이원론을 강조한다. "브라마"라는 용어는 (신 브라마와 혼동해서는 안 되며) 최고 존재 비슈누를 지칭하며, 이 삼프라다야에서 파라-브라만으로 존경받는다.[15]

2. 1. 3. 비슈누스와민파

비슈누파(바이슈나바, Vaiṣṇava)는 비슈누 및 그 화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종파이다.[82]

2. 1. 4. 바르라바파

발라바차르야가 창시한 종파로, 크리슈나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을 강조한다.[82]

2. 1. 5. 차이타니아파

크리슈나 차이타니아가 창시한 종파로, 크리슈나에 대한 열정적인 바크티를 강조한다.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차이타냐 삼프라다야)은 차이타냐 마하프라부의 가르침을 따른다.[21][12]

구분하위 종파
바라문 전통 계보스리 차이타냐 프레마 삼스타나
가우디야 마트 개혁 계보
기타마니푸리 바이슈나비즘 (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의 지역 형태)


2. 2. 판차라트라파

판차라트라 아가마(Pañcaratra agama)를 중심으로 하는 비슈누파의 한 분파이다.[84] 《바이카나사 아가마(Vaikhanasa agama)》를 사용하는 바이카사나파(Vaikhanasas)와 함께 《판차라트라 아가마》를 사용하며, 바다칼라이파와 텐칼라이파로 나뉜다.[84]

2. 2. 1. 바다칼라이파

바다칼라이는 스리 바이슈나비즘의 분파 중 하나로, "북부 학파"를 의미한다. 베단타 데시칸의 가르침을 따른다.[13]

2. 2. 2. 텐칼라이파

텐칼라이파는 "남부 학파"라고도 불리며, 마나발라 마무니갈의 가르침을 따른다. 박티 운동의 타밀 시인-성자들인 알바르들은 이 전통에 속하며 존경받는다.[14]

2. 3. 바이카사나파

वैखानस|바이카나사sa파는 《바이카나사 아가마(Vaikhanasa agama)》를 사용하는 종파이다.[84]

3. 시바파

시바파(Siva派)는 시바신을 숭배하는 종파로, 2세기경부터 형성되었다. 비슈누파가 신에 대한 사랑, 즉 신애(信愛)를 중요시하는 것과 달리, 시바파는 요가와 성력(性力)을 중시하며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21]

샤이바교는 시바를 숭배한다.


샤이바교(Shaivism)는 지고신으로서 시바를 숭배하며, 시바는 내재성과 초월성을 모두 갖춘 존재로 여겨진다. 샤이바교는 일원론(특히 불이원론)과 이원론을 모두 포괄한다. 샤이바교도에게 시바는 형상이 있으면서 동시에 형상이 없는 존재이다. 그는 최고의 춤꾼 나타라자이며, 시작과 끝이 없는 링가이다. 시바는 때때로 험악한 신 바이라바로 묘사되기도 한다. 샤이바교 신자들은 다른 힌두교 종파의 신자들보다 고행에 더 끌리는 경향이 있으며, 재를 바른 얼굴로 인도를 돌아다니며 자기 정화 의식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21] 그들은 사원에서 예배를 드리고 요가를 수행하며, 시바와 하나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12]

샤이바교의 주요 학파는 다음과 같다.

  • 아고리
  • 칼라무카
  • 카슈미르 샤이바교: 바수굽타와 아비나바굽타를 포함한 그의 제자 계보의 가르침을 따른다.
  • 만트라 마르가
  • 샤이바 시단타: 티루물라르/순다라나타(Nandinatha Sampradaya, 일원론 학파) 또는 메이칸데바(Meykandar Sampradaya, 이원론 학파)의 가르침을 따른다.
  • 시바 아드바이타: 닐라칸타(스리칸타)와 아파야 딕시타르의 가르침을 따른다.


기타 분파:

  • 아이야니즘은 샤이바교 분파로 간주되며 순수한 드라비다 힌두교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는 종교이다.

3. 1. 파슈파타파

पाशुपत|Pāśupatasa파는 시바의 이명인 파슈파티를 숭배하는 종파이다. 라쿨리사의 가르침을 따른다.[21]

3. 2. 라크리샤파

파슈파타 샤이바교는 요가 수행과 광적인 흥분 속에서 해탈을 추구하는 종파로, 라쿨리사의 가르침을 따른다.[12][21]

3. 3. 카바리카파

카팔리카파는 해골을 목에 건 고행자 집단으로, 인신공양과 음주를 행하고 성력을 숭배하는 종파이다.

3. 4. 그라크샤나타파

나트의 하위 종파인 아디나트 삼프라다야는 고라크나트와 마트시엔드라나트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파이다.[21] 이들은 칸파타 요긴이라는 수행자를 중심으로 하타 요가를 실천한다.

3. 5. 린가야타파

링가야타파 또는 비라샤이바교는 12세기에 바사바가 설립한 인도의 독자적인 샤이바교 전통이다.[17][18] 링가야타파는 주류 힌두교와 여러 차이점을 보이며, 링가 또는 ''이슈탈링가'' 형태로 시바를 중심으로 한 일원론을 옹호한다. 또한 베다의 권위와 카스트 제도를 거부한다.[17][18]

4. 샤크티파

'''샤크티파'''(शक्ति|샤크티sa)는 여신 (데비)의 샥티(성력)를 숭배하는 힌두교의 한 종파이다. 주로 두르가칼리를 숭배하며, 시바 신앙과 결합된 경우가 많아 시바파에 속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샥티파는 힌두교의 여신 중심 종파이다. 왼쪽부터: 파르바티/두르가, 칼리, 락슈미


샤크티파는 원주민의 여성 숭배와 성기(性器) 숭배에 아리아인의 신앙이 결합되고, 시바 숭배와 융합하여 상키아 사상의 이원론과 요가 사상으로 이론이 확립되었다. 또한 《탄트리 문헌》에 의해 조직되어 밀교 불교가 발달한 아샘, 벵골 지방에서 널리 퍼졌다.

샥티파에는 윤좌숭배(輪坐崇拜)와 같은 외설스러운 의식을 행하는 좌도파(左道派)와 불순한 요소를 배제한 우도파(道派)가 있다.

4. 1. 좌도파

샥티파는 샥티를 숭배하며, 칼리, 파르바티/두르가, 락슈미, 사라스바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샥티파 신자들은 샥티를 우주의 최고 권력으로 인식한다. 데비는 종종 시바의 배우자인 파르바티 또는 비슈누의 배우자인 락슈미로 묘사된다. 또한 보호적인 두르가나 폭력적인 칼리와 같은 다른 화신으로도 묘사된다.[21]

샥타 신봉자들은 주로 바바니 또는 칼리와 같은 여신 사원에서 수탉, 염소, 그리고 더 적은 양의 물소에 대한 동물 희생을 행한다.[19][20]

주요 전통은 다음과 같다.

  • 칼리쿨라
  • 스리쿨라
  • 카리브해 샥티파


카슈미르 시바이즘 내의 여신 중심 전통은 트리카와 쿠브지카이다.

4. 2. 우도파

샥티파는 샥티를 숭배하며, 샥티는 칼리, 파르바티/두르가, 락슈미, 사라스바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샥티파는 여신 데비를 숭배하는 힌두교 분파로, 샥티를 우주의 최고 권력으로 인식한다. 데비는 시바의 배우자인 파르바티비슈누의 배우자인 락슈미로 묘사되기도 하고, 보호적인 두르가나 폭력적인 칼리와 같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샥티파는 탄트라 힌두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마음과 몸의 정화를 위한 의식과 수행법을 가르친다.[21]

샥타 신봉자들은 주로 바바니 또는 칼리와 같은 여신 사원에서 수탉, 염소, 그리고 더 적은 양의 물소에 대한 동물 희생을 행한다.[19][20]

샥티파의 주요 전통은 다음과 같다.

  • 칼리쿨라
  • 스리쿨라
  • 카리브해 샥티파


카슈미르 시바이즘 내의 여신 중심 전통에는 트리카와 쿠브지카가 있다.

5. 스마르타파

스므리티(성전)에서 유래한 스마르타파브라만교의 전통적 의례나 제사 방식을 가정 안에서 영위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85]

스마르타파 교인들은 숭배할 신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대개 판코파사나 또는 판차데바타라고 불리는 시바, 비슈누, 데비, 수르야, 가네샤의 다섯 신을 비인격적 절대자인 브라만의 인간 모습을 띤 현현으로 숭배한다. 또한 시바, 비슈누, 샥티, 수르야, 가네샤, 스칸다의 여섯 신들을 최고신인 브라만의 여섯 현현 또는 여섯 성격이라고 믿으며 숭배하기도 한다. 이들 최고신의 현현들 또는 성격들 중에서 어떤 것을 숭배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각 개인에게 달려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서로 다른 신의 현현들 또는 성격들은 모두 그 본질과 계위에서 동등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스마르타파는 자유주의적 성격과 절충주의적 성격을 지닌 힌두교 종파이다.

옴(Om)


스마르타는 모든 신을 동일하게 취급하며, 그들의 사원에는 무형(nirguna)의 절대자, 즉 브라만의 개인적인 ''사구나''(형상이 있는 신성) 현현으로서 다섯 신(Pancopasana) 또는 판차데바타가 포함된다. 신의 본성에 대한 선택은 숭배자 개인에게 달려 있는데, 이는 신의 다양한 현현이 동등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가네샤, 시바, 샥티, 비슈누, 수르야와 같은 다른 신과 함께 어떤 개인적인 신에 대한 숭배를 장려하므로 비종파적이다.[21]

스마르타 전통은 브라만의 두 가지 개념을 받아들이는데, 이는 속성이 있는 브라만인 ''사구나 브라만''과 속성이 없는 브라만인 ''니르구나 브라만''이다.[22] ''니르구나 브라만''은 변하지 않는 실재이지만, ''사구나 브라만''은 이 ''니르구나 브라만''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설정된다.[23] 이 전통에서 ''사구나 브라만''의 개념은 여전히 영적인 여정에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상징과 수단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구나 개념은 완전히 깨달은 자가 자신의 영혼이 ''니르구나 브라만''과 동일하다는 것을 깨달으면 버려진다.[23] 스마르타는 비슈누, 시바, 샥티, 수르야, 가네샤 또는 다른 어떤 ''사구나'' 신(''이스타데바타'')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아드바이타 베단타에서와 같이 옴에 대한 명상과 최고의 실재의 진정한 본성에 대한 명상을 향한 중간 단계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니르구나'' 브라만과 자신의 아트만(Atman)과의 동일성을 실현한다.

이 운동은 샹카라에게 기인하며, 그는 스마르타의 가장 위대한 스승이자 개혁가로 여겨진다. 힐테바이터(Hiltebeitel)에 따르면, 샹카라는 부활한 ''스마르타'' 전통의 시금석으로서 우파니샤드의 비이원론적 해석을 확립했다. 샹카라가 설립했다고 믿어지는 카르나타카의 싱게리 샤라다 피탐은 여전히 추종자들에게 스마르타 종파의 중심지이다. 스마르타는 칸치 카마코티 피탐, 푸리 고바르단 마트, 드와라카 샤라다 피탐, 조티르 무트를 포함한 4개의 다른 주요 마타를 따른다. 모든 마타는 샹카라차리아가 이끌고 있다.

판차야타나 푸자는 스마르타 삼프라다야 내의 ''푸자'' (숭배) 시스템이다.[24]

6. 사우라파

사우라파는 옛날부터 아리아인이 행했던 태양신 수르야 숭배의 계통을 말한다. 북부인도에는 태양숭배의 사원이 세워졌는데, 사제자는 '마가브라만'이라든가 '포자카 브라만'이라고 불렸다. 경전으로서 《사우라 상히타》 등이 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특히 한 종파로서 강조되기보다도 사우라파의 특색이 힌두교의 일반적 특색을 표명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르야교 또는 사우라는 힌두교 종파의 추종자들로, 베다 전통에서 시작되었으며, 수르야를 사구나 브라만의 주요 가시적 형태로 숭배한다. 사우라 전통은 남아시아, 특히 서부, 북부 및 기타 지역에서 영향력이 있었으며, 8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수많은 수르야 조각상과 사원이 세워졌다.[46][47] 코나르크의 태양 사원은 13세기 중반에 건설되었다.[48] 이슬람 침략과 힌두-무슬림 전쟁의 성상 파괴 기간 동안, 태양신에게 헌정된 사원은 훼손되었고, 조각상이 파괴되었으며, 사우라 전통의 거주 사제들이 살해되었다고 앙드레 윙크는 말한다.[49][50] 힌두교의 수르야 전통은 12세기와 13세기에 쇠퇴했으며, 오늘날에는 비하르/자르칸드와 우타르 프라데시 동부를 제외하고는 매우 작은 운동으로 남아 있다. 태양 숭배는 이 지역에서 중요한 주요 축제로 여겨지는 차트 푸자의 형태로 비하르/자르칸드와 우타르 프라데시 동부에서 계속해서 지배적인 관행으로 남아 있다.

7. 가나파티야파

가나파티야는 코끼리 얼굴을 가진 신으로, 재앙을 막아주고 지혜를 준다고 알려진 가네샤의 다른 이름이다. 가나파티야파는 가네샤(가나파티) 신을 숭배하는 종파이다. 4, 5세기경부터 번성하기 시작했으며, 900년 이후에 만들어진 《가네사 푸라나》에서는 가네샤를 최고의 브라만이자 신비로운 명상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존재로 묘사한다. 가나파티야파는 가네샤를 사구나 브라만의 주요 형태로 숭배하며,[1] 과거에 널리 퍼져 영향력이 컸으며, 마하라슈트라에서 그 중요성을 유지해 왔다.[1]

8. 이슬람교의 영향과 힌두교 개혁파

8세기 초기부터 인도 서북 지역에 이슬람교가 들어왔으나, 13세기 이후 델리 왕조와 무굴 제국이 성립되면서 인도 사회에 실질적인 지배력을 갖기 시작했다. 이슬람교는 불교를 박해하고 알라에 의한 평등한 구제를 주장하며 인도 하층민을 개종시켰다. 또한 힌두 사회의 풍속에 융합하여 인도적인 문화 변용을 이루었고, 힌두교는 이슬람교의 유일신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인도에 들어온 이슬람교는 고행을 통해 신과 인간의 합일을 주장하는 신비주의적인 수피파였기 때문에 이슬람교와 힌두교가 융합할 가능성이 많았다. 15세기에 이르자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은 힌두교 내부에서 개혁적인 여러 종파가 나타났는데, 카비르파가 그 예시 중 하나이다.

8. 1. 카비르파

카비르의 가르침에 감화를 받아 혁신적인 파가 출현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카비르의 사상을 계통적으로 계승한 것이 카비르파이다. 중심지는 비나레스의 카비르차우라 승원이며, 카비르가 숨진 곳인 마가르에는 지소가 있다. 카비르파 신도는 일반적으로 하층민이 많다. 이 파는 포교나 숭배보다는 기도나 찬가를 중요시하였는데, 후에 카비르에 대한 존경으로부터 우상숭배 경향이 짙어졌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2007
[2] 서적 Bhakti — the Yoga of Love LIT Verlag Münster 2010
[3] 서적 The Sociology of Religion: A Substantive and Transdisciplin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Sage Publ.
[4] 서적 Encyclopedia of Violence, Peace and Conflict Academic Press 2008
[5] 문서 The Essence of Hinduism http://www.mkgandhi.[...] Navajivan Publishing
[6] 서적 Development and Religion: Theolog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7] 서적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Hindus https://web.archive.[...] 2012
[9]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0] 서적 The World's Religions in Figure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igious Demograph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1] 웹사이트 Chapter 1 Global Religious Populations http://media.johnwil[...] 2012-01
[12] 웹사이트 HimalayanAcademy http://www.himalayan[...] 2014-02-07
[13]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Revisited, A Vedic-Puranic View. https://books.google[...] BlueRose Publishers 2020-03-02
[14] 서적 The First Spring: The Golden Age of Indi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11
[15] 서적 Dealing with Deities: The Ritual Vow in South As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1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Rosen Publishing 2002
[17] 서적 Speaking of Śiva https://archive.org/[...] Penguin India
[18] 뉴스 Lingaya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
[19]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Paperbac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07-26
[21] 서적 Hindu Manners, Customs and Ceremonies https://books.google[...] Cosimo 2007-04-01
[22] 간행물 Heirarchies [sic] in the Nature of God? Questioning the "Saguna-Nirguna" Distinction in Advaita Vedanta
[23] 문서 Concepts of God http://stanford.libr[...] Stanford University 2012
[24] 서적 Mandalas and Yantras in the Hindu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5] 서적 Hindu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Gregorian Press 1999
[26] 서적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7] 서적 Advaita Vedanta and Vaisnavism: The Philosophy of Madhusudana Sarasvat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서적 Religious Diversity in Singapore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gapore
[29] 서적 Hindu-Christian Dialogue: Theological Sounding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dopi
[30] 서적 Classical Indian Metaphys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31] 서적 The Samnyasa Upanisads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Shaivas http://www.philtar.a[...] Philtar 2017-12-13
[33] 서적 Lingayat Dharma (Veerashaiva Religion) http://www.vsna.org/[...] Veerashaiva Samaja of North America 2018-07-09
[34] 서적 The Yoga of Spiritual Devotion: A Modern Translation of the Narada Bhakti Sutra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35] 간행물 Bhakti in Hindu Cultures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Call to Compassion: Reflections on Animal Advocacy from the World's Religions https://books.google[...] Lantern
[37] 서적 Plants of Life, Plants of Dea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8] 서적 Śaivism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9]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0] 서적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Routledge
[41] 서적 Offering Flowers, Feeding Skull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Daśanāmī-saṃnyāsīs: The Integration of Ascetic Lineages Into an Order https://books.google[...] Brill
[43] 서적 Tantra, Yoga of Ecstasy: the Sadhaka's Guide to Kundalinin and the Left-Hand Path https://books.google[...] Maithuna Publications 2012
[44] 서적 Living Liberation in Hindu Thou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6
[45] 서적 A Conceptual-analytic Study of Classical Indian Philosophy of Morals https://books.google[...] Concept
[46]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47] 서적 Art of Osian Temples: Socio-economic and Religious Life in India, 8th-12th Centuries A.D.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48] 서적 Objects of Translation: Material Culture and Medieval "Hindu-Muslim" Encoun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 11th–13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50] 서적 Objects of Translation: Material Culture and Medieval "Hindu–Muslim" Encoun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Yoga: 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https://books.google[...] BRILL 2005
[52]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5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Religious Complexity in Northeastern South Asia https://www.geocurre[...] 2021-10-21
[55] 간행물
[56] 문서 Kiratese at a Glance
[57] 문서 A Grammar of Limbu
[58] 문서 Problems of Modern Indian Literature Statistical Pub. Society
[59] 문서 Kiratas in Ancient India
[60] 문서 History and Culture of the Kirat
[61] 문서 Nepal
[62] 서적 The Vedas: Texts, Language and Ritual Forsten
[63]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4] 웹사이트 Peshawar HC orders government to include Kalash religion in census http://indianexpress[...] 2017-04-04
[65]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2014-02-10
[66] 서적 A Passage to Nuristan: Exploring the Mysterious Afghan Hinterland I.B. Tauris 2006-04-18
[67] 서적 No Way Out: A Story of Valor in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Berkley Caliber 2012-12-31
[68] 백과사전 Radhasoami movements Routledge
[69] 문서 Modern Paganism in World Cultures ABC-CLIO
[70] 웹사이트 Монастырь «Собрание тайн» или «Дивья лока»: второе пришествие индуизма в России? http://religionip.ru[...] 2013-04-30
[71] 서적 Paganism, Traditionalism, Nationalism: Narratives of Russian Rodnoverie Routledge
[72] 간행물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Group
[73] 서적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Motilal Banarsidass
[74] 서적 Bhakti Religion in North India: Community Identity and Political Ac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75] 웹사이트 Bhakti https://www.britanni[...]
[76] 논문 Bhakti and Its Public https://www.jstor.or[...]
[77] 서적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ita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Routledge
[78]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Religions of South Asia: An Introduction Routledge
[80] 문서
[81] 웹사이트 シャクティ派とは https://kotobank.jp/[...]
[82] 웹사이트 ヴィシュヌ派 https://kotobank.jp/[...]
[83] 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종 파 > 종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84] 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종 파 > 비슈누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85] 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종 파 > 스마르타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