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04년은 원나라의 대덕 8년, 일본 가겐 2년, 쩐 왕조 흥롱 12년에 해당하며, 간지는 갑진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국학 대성전 완성,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몽골 제국과 킵차크 칸국의 관계 변화, 프랑스와 플랑드르 간의 전투, 스털링 성 포위전, 토렐라스 조약 등이 있었으며, 이탈리아 시인 페트라르카, 몽골 제국의 카안 토크테무르 등이 탄생했다. 또한 교황 베네딕토 11세, 일 한국의 가잔 칸, 일본의 고후카쿠사 천황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04년 | |
---|---|
지도 | |
기년 | |
단기 | 3637년 |
간지 | 갑진년(甲辰年) |
일본 | 가겐 2년(嘉元二年) |
중국 | 원(元) 대덕(大德) 8년 |
서력기원 | 1304년 |
이슬람력 | 703년 ~ 704년 |
황기 | 1964년 |
사건 | |
7월 20일 | 잉글랜드 왕국의 군대가 스코틀랜드 왕국의 군대와 싸워 이기다 (스티어링 전투). |
8월 3일 | 프랑스, 플랑드르를 병합하다. |
탄생 | |
2월 24일 | 이븐 바투타, 모로코의 탐험가 (1368년 사망) |
7월 20일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이탈리아의 시인 (1374년 사망) |
날짜 불명 | 쿠스나가와 시카우지, 일본의 무장 (1343년 사망) |
사망 | |
3월 7일 | 길레스 드 셀리, 프랑스의 추기경 |
5월 11일 | 가잔 칸, 일한국의 일곱 번째 통치자 (1271년 출생) |
7월 13일 | 이븐 압드 알-자히르, 이집트의 법학자 및 작가 (1223년 출생) |
8월 17일 | 고-후카쿠사 천황, 일본의 천황 (1243년 출생) |
11월 22일 | 장 란느, 프랑스의 장군 (1260년 출생) |
날짜 불명 | 아르놀프 드 로마 프랑스 주교 (1304년 출생) |
2. 연호
3. 주요 사건
- 고려 국학에 대성전이 완성되었다.
- 1월 11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사절들이 스코틀랜드 킨클래번 성(Kinclaven Castle)에 도착하여 스코틀랜드 귀족 존 코민과 평화 협상을 논의한다.[1]
- 1월 31일 – 베네딕토 11세가 프라토(Prato)의 추기경 니콜로 알베르티니(Nicolò Albertini)를 교황 특사(papal legate)로 파견하여 토스카나, 로마냐, 트레비지아나 마르카 간의 평화 협상을 감독하게 한다.[4]
- 2월 9일 –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로버트 더 브루스(Robert the Bruce)와 존 코민 3세가 에드워드 1세와 평화 조약을 협상한다. 스코틀랜드인들은 잉글랜드의 지배에 복종하는 대가로 생명과 자유를 보장받고 토지 몰수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존 드 술은 프랑스로 망명하고, 윌리엄 월리스(William Wallace)는 계속해서 도망 중이다.[5][6]
- 2월 20일 – 해프르 전투(Battle of Happrew): 윌리엄 월리스와 사이먼 프레이저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반군이 에드워드 1세에 맞서 게릴라전을 벌이다 패배한다.[5][6]
- 3월 17일 – 교황 특사 알베르티니 추기경이 피렌체(Florence)에 들어가 정부로부터 특별 권한을 부여받는다.[4]
- 3월 23일 – 아르보레아 판사(Judge of Arborea) 존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마리아누스 3세와 앤드류가 계승한다.
- 4월 1일 – 고리치아 백작 알베르토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헨리 3세가 계승한다.
- 7월 7일 – 베네딕토 11세가 페루자에서 8개월간의 교황 재임 후 사망한다.[7]
- 7월 17일 – 19명의 로마 가톨릭 추기경 중 15명이 페루자에서 교황 선거를 시작한다. 이 교황 선거는 1305년 6월 5일 클레멘스 5세가 선출될 때까지 거의 1년 동안 교착 상태에 놓인다.[7]
- 7월 24일 – 스털링 성 포위전: 에드워드 1세가 스털링에서 스코틀랜드 반군의 거점을 점령한다. 4개월 동안 12개의 공성 무기의 공격을 받은 윌리엄 올리펀트와 그의 수비대는 항복한다.[5]
- 7월 27일 – 안드레이 3세 알렉산드로비치가 사망하고 그의 삼촌인 트베리의 미하일이 계승한다.
- 8월 8일 – 토렐라스 조약: 페르디난드 4세가 하메 2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한다. 하메 2세는 무르시아 왕국을 카스티야 왕국에 반환하고, 알폰소 데 라 세르다 왕자는 카스티야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다.[8]
- 8월 11일 – 지에리크제 해전: 제노바 함선의 지원을 받는 프랑스-네덜란드 함대가 라니에르 1세(모나코) 제독의 지휘 아래 지에리크제 근처에서 플랑드르 함선을 격파한다. 플랑드르 사령관 기 드 남뤼가 포로로 잡히고, 그의 함대는 괴멸된다.
- 8월 – 브라반트 공작 존 2세와 기 드 당피에르(플랑드르 백작) 지휘하의 플랑드르군이 제를란트와 홀란트를 점령한다. 홀란트 백작 존 2세는 제를란트와 홀란트를 탈환하고 권력을 회복하지만, 8월 22일에 사망한다.[10]
- 알라우딘 칼지 술탄이 구자라트 침공을 명령하고, 이로 인해 바겔라 왕국이 델리 술탄국에 병합된다.[11][12]
- 9월 2일 – 스웨덴 스카라 주교 브린볼포 알곳손이 노르웨이의 스타방에르 대성당 재건에 대한 재정적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면류관의 가시로 여겨지는 성물을 받는다. 알곳손이 주도하는 엄숙한 행사에서 가시는 스카라 대성당으로 이송된다.[13]
- 9월 22일 – 영국의 요크 대주교 토마스 오브 코브리지가 4년 조금 넘는 재임 기간 후 사망한다. 윌리엄 그린필드가 새로운 주교가 되기 위해 대법관직을 사임한다.
- 10월 5일 – 트레비소 조약(1304년 염전 전쟁#전쟁과 조약): 염전을 둘러싼 분쟁 끝에 이탈리아 코뮌인 파두아와 베네치아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염전 전쟁을 종식시켰다. 베네치아는 염전 독점권을 확립하고 상인들에게 염전 사용권을 판매했다.[14]
- 10월 24일 – 술탄 오스만 1세가 이끄는 오스만-튀르크군이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고대 도시 에페소스를 정복하고,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추방했다.[15]
- 11월 12일 – 에드워드 1세 국왕이 2년 이상 만에 처음으로 잉글랜드 의회를 소집했다.
- 12월 4일 – 잉글랜드 대법관인 윌리엄 그린필드가 교구의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요크 대주교로 선출된 후, 교황으로부터 서임을 받기 위해 로마로 향했다.[16]
- 12월 29일 – 에드워드 1세 국왕이 윌리엄 드 해밀턴을 잉글랜드 대법관에 임명했다. 그는 1월 16일에 취임했다.[17]
- 12월 – 이탈리아 귀족이자 모험가인 로제르 드 플로르가 카탈루냐 용병단과 함께 갈리폴리와 트라키아 남부의 다른 도시들에 정착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여 자신의 군대에 대한 지불을 요구했다. 그는 현지 주민들의 희생으로 생활했고, 도시를 근거지로 삼아 주변 지역을 약탈하는 습격을 감행했다.[18]
- 스카피다 전투: 미카엘 9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가 트라키아에서 불가리아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해 비잔티움 원정군(약 1만 명)을 파견한다.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 불가리아 차르가 이끄는 불가리아 군대는 전투에서 패배하고 궤멸된다. 후퇴하는 적을 추격하느라 정신이 팔린 비잔티움 군대는 다리에 몰려 다리가 무너진다. 불가리아군은 많은 비잔티움 병사들을 사로잡고 일부 귀족들을 인질로 잡는다. 스베토슬라프는 자신의 영토 확장을 확보하고 제2 불가리아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로서 자신의 지위를 굳힌다.[19]
3. 1. 고려
1304년, 고려에 대한 기록은 없다. 따라서 해당 연도 고려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3. 2. 몽골 제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304년 몽골 제국과 관련된 내용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3. 3. 서양
- 1월 18일 -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툴루즈(Toulouse)에서 내전 위협을 막기 위한 명령을 발표한다. 이 명령은 왕국의 안녕을 위해 전쟁, 전투, 살인, 방화, 농민 공격 등을 금지하고, 이를 어길 시 평화 방해자로 처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2] 필리프 4세는 도미니크 수도회 종교재판에 관해 프란체스코 수도사 베르나르 델리시외(Bernard Délicieux)와 만났지만, 국왕은 종교재판을 완전히 중단하지는 않는다.[3]
- 8월 18일 - 몽스앙페벨 전투: 필리프 4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약 1만 3천 명)이 몽스앙페벨에서 플랑드르군을 격파한다. 이 전투에서 플랑드르군은 릴로 후퇴하고, 프랑스는 필리프의 전투 깃발인 오리플람(황금 불꽃)을 잃는다.[9]
3. 4. 기타 지역
- 5월 11일 - 중동 일칸국(일 한국)의 몽골 지배자 마흐무드 가잔이 사망하고 그의 동생 올제이투 카간이 계승한다.
- 6월 5일 - 틀렘센 왕국의 제나타 베르베르 지배자 아부 사이드 우스만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아부 자이얀 1세가 계승한다.
- 비잔티움 제국은 에게 해의 키오스 섬을 제노바의 베네데토 1세 자카리아 제독에게 잃는다. 그는 키오스의 영주령(자치 영주령)을 세우고, 터키 해적들에게 섬이 함락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였다고 비잔티움 궁정에 정당화한다. 베네데토는 10년 동안 섬을 봉토로 받는다.[20][21]
- 중앙아시아의 몽골 지배자들과 원나라의 사신들이 킵차크 칸국의 지배자 토크타에게 평화 제안을 전달한다. 토크타는 테무르 칸 황제의 즉위를 인정하고, 몽골 칸국 전역의 역참과 무역망이 재개된다. 이에 따라 토크타는 페레야슬라블 공국에서 회의를 열어 그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루스 공국의 군주들의 지배를 공고히 한다.[22][23]
4. 탄생
- 2월 16일 - 원 문종 (~1332년)
- 1월 9일 - 호조 다카토키 (사망 1333년)
- 2월 24일 - 이븐 바투타[24] (~1369년)
- 5월 2일 - 마가렛 모티머 (사망 1337년)
- 4월 9일 - 베르가모의 벤투리노 (사망 1346년)
- 6월 6일 - 프란체스코 알베르고티 (사망 1376년)
- 10월 4일 - 존 보샹 (사망 1343년)
- 10월 17일
- * 엘리너 드 보헌 (사망 1363년)
- * 제임스 버틀러 (사망 1338년)
- 엥겔베르트 3세 (사망 1368년)
- 제라르 드 리슬 (사망 1360년)
- 이븐 알샤티르 (~1375년)
- 조안 드 발루아 (사망 1363년)
- 아라곤의 후안 (사망 1334년)
- 로데비이크 헤이리헨 (사망 1361년)
- 비테르보의 마르쿠스 (사망 1369년)
- 발루아의 발터 6세 (사망 1356년)
- 귄터 폰 슈바르츠부르크
- 호소카와 요리하루
4. 1. 고려
4. 2. 몽골 제국
4. 3. 서양
4. 4. 기타
- 2월 24일 - 이븐 바투타, 모로코 출신의 이슬람 법학자이자 여행가.[24]
- 7월 20일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이탈리아의 시인, 학자, 인문주의자.
- 이븐 샤티르, 마무룩 왕조의 천문학자.
- 귄터 폰 슈바르츠부르크, 신성 로마 제국의 대립왕.
- 토크테무르, 몽골 제국의 제12대 카안.
- 호소카와 요리하루(細川頼春),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 마리 드 룩셈부르크, 프랑스 국왕 샤를 4세의 두 번째 왕비.
5. 사망
- 7월 7일 - 교황 베네딕토 11세 (1240년~)[11]
- 5월 11일 - 가잔 칸, 일 한국의 통치자 (1271년~)
- 1월 13일 – 이조 우치사네 (1276년~)
- 2월 14일 – 기 드 이벨랭(Guy of Ibelin)
- 3월 7일 – 바르톨로메오 1세 델라 스칼라(Bartolomeo I della Scala)
- 3월 23일 – 요한 1세
- 3월 26일 – 비크볼트 폰 홀테(Wigbold von Holte)
- 4월 1일 – 알베르트 1세 (1240년~)
- 4월 11일 – 모드 드 레이시(Maud de Lacy) (1230년~)
- 4월 27일 – 페드로 아르멘골(Pedro Armengol) (1238년~)
- 5월 23일 - 장노 드 레스퀴렐(Jehan de Lescurel)
- 6월 1일 – 조반니 펠링곳토(Giovanni Pelingotto) (1240년~)
- 6월 5일 – 아부 사이드 우스만 1세(Abu Said Uthman I)
- 7월 17일 – 에드먼드 모티머(Edmund Mortimer) (1251년~)
- 7월 27일 – 안드레이 고로데츠키(Andrey of Gorodets)
- 8월 10일 – 마르틴 오브 다키아(Martin of Dacia) (1240년~)
- 8월 16일 – 요한 3세 (1249년~)
- 8월 18일 – 율리히의 빌헬름(William of Jülich) (1275년~)
- 8월 22일 - 장 2세 (1247년~)
- 9월 22일 – 토마스 오브 코브리지(Thomas of Corbridge)
- 9월 27일 – 존 드 워렌(John de Warenne) (1231년~)
- 9월 28일 – 엘리자베트 칼리시카(Elisabeth of Kalisz) (1259년~)
- 9월 29일 – 아그네스 브란덴부르크(Agnes of Brandenburg) (1257년~)
- 12월 5일 – 존 오브 퐁투아즈(John of Pontoise)
- 12월 23일 – 마틸다 합스부르크(Matilda of Habsburg) (1253년~)
- 페르난도 로드리게스 데 카스트로
- 헨리 1세
- 앙리 2세 드 로데즈(Henry II of Rodez) (1236년~)
- 주앙 아폰수 텔루(João Afonso Telo)
- 오베르뉴의 피에르(Peter of Auvergne)
- 로버트 드 브루스 (1243년~)
- 왕윤 (1228년~)
- 8월 17일 - 고후카쿠사 천황 (1243년~)
- 2월 7일 - 라이유 (1226년~)
- 3월 6일 - 사이온지 공자 (1232년~)
- 5월 21일 - 고쿠분 타네미츠 (1241년?)
- 6월 11일 - 사사키 사다무네 (1285년?)
- 키쿠치 토키타카 (1287년~)
- 9월 23일 - 엘르즈비에타 보레스와브나 (1263년~)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1255년?)
- 3월 6일 - 후지와라노 기미코 (1232년~)
5. 1. 교황
- 7월 7일 - 교황 베네딕토 11세 (1240년~)
5. 2. 몽골 제국
5. 3. 일본
- 8월 17일 (가겐 2년 7월 16일) - 고후카쿠사 천황(後深草天皇), 제89대 천황 (* 1243년)
- 2월 7일 (가겐 2년 1월 1일) - 라이유(頼瑜), 가마쿠라 시대의 진언종 승려 (* 1226년)
- 3월 6일 (가겐 2년 1월 21일) - 사이온지 공자(西園寺公子), 고후카쿠사 천황의 중궁 (* 1232년)
- 5월 21일 (가겐 2년 4월 16일)? - 고쿠분 타네미츠(国分胤光),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41년?)
- 6월 11일 (가겐 2년 5월 8일) - 사사키 사다무네(佐々木貞宗),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1285년?)
- 키쿠치 토키타카(菊池時隆),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87년)
5. 4. 기타
- 5월 11일 - 가잔 칸, 일 한국의 제7대 군주 (غازان خان|가잔 칸fa, *1271년)
- 5월 23일 - 장노 드 레스퀴렐, 프랑스의 시인, 작곡가, 트루베르
- 7월 7일 - 베네딕토 11세, 제194대 로마 교황 (*1240년)
- 8월 17일 - 고후카쿠사 천황, 제89대 천황 (*1243년)
- 8월 22일 - 장 2세, 에노 백작, 홀란트 백작, 젤란트 백작 (*1247년)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블라디미르 대공 (*1255년?)
- 키쿠치 토키타카,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287년)
- 1월 13일 – 이조 우치사네(一條内実, * 1276년) 일본 귀족
- 2월 14일 – 기 드 이벨랭(Guy of Ibelin), 이벨랭 가문 출신 울트레메르 귀족
- 2월 7일 (가겐 2년 1월 1일) - 라이유, 가마쿠라 시대의 진언종 승려 (* 1226년)
- 3월 6일 – 후지와라노 기미코(藤原 Kimi子, * 1232년) 일본 황후
- 3월 6일 (가겐 2년 1월 21일) - 사이온지 공자, 고후카쿠사 천황의 중궁 (* 1232년)
- 3월 7일 – 바르톨로메오 1세 델라 스칼라(Bartolomeo I della Scala), 이탈리아 귀족이자 기사
- 3월 23일 – 요한 1세(Giovanni I, "Chiano") 아르보레아의 판사, 사르데냐 지배자
- 3월 26일 – 비크볼트 폰 홀테(Wigbold von Holte), 독일 대주교이자 외교관
- 4월 1일 – 알베르트 1세(Albert I) 고리치아의 귀족, 기사, 공동 통치자 (* 1240년)
- 4월 11일 – 모드 드 레이시(Maud de Lacy), 직계 상속을 받은 노르망디 귀족 여성 (* 1230년)
- 4월 27일 – 페드로 아르멘골(Pedro Armengol), 스페인 귀족이자 사제 (* 1238년)
- 5월 21일 (가겐 2년 4월 16일)? - 고쿠분 타네미츠,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1241년?)
- 6월 1일 – 조반니 펠링곳토(Giovanni Pelingotto),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 삼위일체 회원이자 은둔자 (* 1240년)
- 6월 5일 – 아부 사이드 우스만 1세(Abu Said Uthman I), 제나타 베르베르족 틀렘센 지배자
- 6월 11일 (가겐 2년 5월 8일) - 사사키 사다무네,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1285년?)
- 7월 17일 – 에드먼드 모티머(Edmund Mortimer), 잉글랜드 귀족 (* 1251년)
- 7월 27일 – 안드레이 고로데츠키(Andrey of Gorodets, 안드레이 3세), 키예프 귀족이자 대공
- 8월 10일 – 마르틴 오브 다키아(Martin of Dacia), 덴마크 신학자 (* 1240년)
- 8월 16일 – 요한 3세(John III), 르네세 영주, 네덜란드 귀족이자 기사 (* 1249년)
- 8월 18일 – 율리히의 빌헬름(William of Jülich), 플랑드르 귀족 (* 1275년)
- 9월 22일 – 토마스 오브 코브리지(Thomas of Corbridge), 잉글랜드 대주교
- 9월 23일 - 엘르즈비에타 보레스와브나, 레그니차=브로츠와프 공 헨리크 5세의 왕비 (* 1263년)
- 9월 27일 – 존 드 워렌(John de Warenne), 서리 6대 백작, 잉글랜드 귀족 (* 1231년)
- 9월 28일 – 엘리자베트 칼리시카(Elisabeth of Kalisz), 폴란드 귀족 여성 (* 1259년)
- 9월 29일 – 아그네스 브란덴부르크(Agnes of Brandenburg), 덴마크 왕비 (* 1257년)
- 12월 5일 – 존 오브 퐁투아즈(John of Pontoise), 잉글랜드 사제이자 주교
- 12월 23일 – 마틸다 합스부르크(Matilda of Habsburg), 독일 공동 통치자 (* 1253년)
- 페르난도 로드리게스 데 카스트로, 스페인 귀족이자 기사
- 헨리 1세(Henry I), 홀슈타인-렌스부르크 백작, 독일 귀족이자 기사 (샤움부르크 가문)
- 앙리 2세 드 로데즈(Henry II of Rodez), 프랑스 귀족이자 트루바두르 (* 1236년)
- 주앙 아폰수 텔루(João Afonso Telo), 바르셀로스 1대 백작, 포르투갈 귀족, 기사이자 외교관
- 오베르뉴의 피에르(Peter of Auvergne),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이자 작가
- 로버트 드 브루스(Robert de Brus), 애너데일 6대 영주, 스코트-노르망디 귀족이자 기사 (* 1243년)
- 왕윤(王允, Wang Yun), 중국 관리, 정치인, 시인이자 작가 (* 1228년)
참조
[1]
서적
The Wars of Independence, 1249–1328
Hodder Education
2022
[2]
서적
Violence and the State in Languedoc, 1250-14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3]
서적
Leadership and Conflict: Tensions in Medieval and Modern Jewish History and Cultur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4
[4]
서적
Dante's Political Purga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5]
서적
Stirling Bridge & Falkirk 1297–1298
Osprey
2003
[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cottish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2-24
[7]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2005
[8]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9]
서적
The Battle of the Golden Spurs: Courtrai, 11 July 1302
Boydell Press
2002
[10]
서적
The Golden Spurs of Kortrijk: How the Knights of France Fell to the Foot Soldiers of Flanders in 1302
McFarland & Co
2002
[11]
서적
The Delhi Sultanate: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2]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800–1700
Orient Longman
2007
[13]
웹사이트
Christ's Thorn and Bishop Brynolf
https://web.archive.[...]
[14]
서적
History of Venice From the Beginning Down to the Present Time
Colombo Coen
1871
[15]
서적
Ephesus After Antiquity: A Late Antique, Byzantine, and Turkish C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6]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7]
DNB
[18]
간행물
The Catalan Company and the European Powers, 1305–131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4
[19]
서적
The Bulgarian Khans and Tsars
Veliko Tarnovo Abagar
1996
[20]
서적
The Zaccaria of Phocaea and Chios (1275-132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
[21]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2]
서적
The Mongols and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1953
[23]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4]
서적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