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2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20년은 원나라의 연우 7년, 일본의 겐오 2년, 쩐 왕조의 다이카인 7년, 고려 충숙왕 7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1월 브와디스와프 1세가 폴란드 왕으로 즉위했고, 3월 몽골의 원 잉종 황제가 사망하여 게겐 칸이 뒤를 이었으며, 4월 스코틀랜드가 아브로스 선언을 채택했다. 또한 6월 바에나 조약이 체결되었고, 9월에는 성 게오르기우스 전투가 벌어졌다. 이 해에는 1320년 목동 십자군이 일어났으며, 로도스 전투에서 성 요한 기사단이 승리했다. 주요 인물로는 원 인종, 미카엘 9세 팔레올로고스 등이 사망했고, 페드루 1세, 토곤 테무르 등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20년

2. 연호

3. 주요 사건


  • 1월 5일 - 고리치아 백작 헨리 3세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황제 대리로서 파도바에 도착하여 이탈리아 도시 국가에 보호를 약속했다.
  • 1월 20일 - 교황 요한 22세의 승인을 받은 브와디스와프 1세가 재통일된 폴란드의 왕이 되었다. 그는 크라쿠프의 바벨 언덕에 있는 왕립 대성당에서 아내 야드비가와 함께 대관식을 거행했다. 블와디스와프의 왕국은 브란덴부르크, 튜튼 기사단, 보헤미아와 같은 세 개의 적대적인 이웃 국가에 둘러싸여 있었다. 그는 동맹을 찾기 위해 헝가리 통치자 카로이 1세와 동맹을 맺었다.
  • 2월 15일 - 교황 요한 22세는 요크 대주교 윌리엄 멜턴에게 몰수된 템플 기사단 재산을 성 요한 기사단에게 반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 2월 18일 - 엑서터 주교 월터 드 스태플든이 잉글랜드의 새로운 재무장관이 되었다.
  • 4월 6일 - 아르브로스 선언: 로버트 브루스 국왕이 교황 요한 22세에게 편지를 보내 스코틀랜드의 주권과 로버트의 스코틀랜드 통치자로서의 권리를 인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로버트가 존 코민 3세 (존 더 레드)의 죽음으로 인해 받은 파문 명령을 해제해 줄 것을 희망했다.[4][5]
  • 7월 6일 - 헝가리와 폴란드 간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교황 요한 22세의 승인을 받아 헝가리의 카로이 1세는 15세의 폴란드의 엘리자베트 공주(국왕 블라디슬라프 1세의 딸)와 결혼했다.[8]
  • 8월 4일 - 윌리엄 2세 드 술은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스콘에서 열린 "검은 의회" 회의에서 반역을 자백했다. 로버트 국왕에 반하여 음모를 꾸민 죄로 술은 덤바턴 성에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9월 9일 - 성 게오르기우스 전투: 안드로니코스 아센 휘하의 비잔틴군이 아카이아 공국 군대를 격파하여 아르카디아 남작령의 소유권을 확보했다. 전투 중 라틴 지휘관 바르톨로뮤 2세 기지는 공국의 여러 고위 귀족들과 함께 포로로 잡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졌다.[10][11]
  • 10월 12일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는 아들 미하일 9세 팔레올로고스가 사망하면서 비잔티움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미하일의 아들 안드로니코스는 6개월 후 할아버지 황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다.
  • 10월 27일 - 마그누스 비르예르손 (스웨덴 국왕 비르예르의 아들)은 마그누스 에릭손 국왕의 명령으로 참수되었다. 그는 1317년 뉘셰핑 연회 배신에 가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2]
  • 가을 - 안드로니코스 아센 휘하의 비잔틴 제국 군대가 아코바와 카리테나의 라틴 성을 점령하고,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아르카디아와 키누리아를 장악한다.[13]
  • 해군 선박을 위한 조선소인 베네치아 아스널이 ''Arsenale Nuovo''로 재건된다.
  • 프랑스의 외과의사이자 의사인 앙리 드 몽드빌은 프랑스인이 쓴 최초의 외과 교과서인 ''La Chirurgie''를 저술한다.
  • 스코틀랜드가 아브로스 선언()을 채택했다. 아브로스 선언은 교황요한 22세에게 보내는 서한이며, 동시에 잉글랜드 왕국의 지배에서 해방된 스코틀랜드 왕국의 독립 선언이다. 제1차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에서 승리한 스코틀랜드는 아브로스 사원에서 1320년에 이를 채택하여 독립했고, 1328년에는 잉글랜드와 화약을 성립시켰다.

3. 1. 동아시아

3. 2. 서유럽

1320년 목동 십자군: 프랑스에서 부활절에 한 십 대 양치기가 성령이 자신을 방문했다고 주장한 후, 노르망디에서 많은 평민들이 십자군을 결성하기 위해 모였다. 이들은 남쪽 아키텐으로 이동하면서 성, 왕실 관리, 사제, 나병 환자들을 공격했다. 생트, 카오르, 베르됭 쉬르 가론, 알비, 툴루즈의 유대인 공동체도 공격을 받았다. 십자군이 스페인으로 넘어가자 아라곤의 알폰소 왕자가 군대를 이끌고 이들의 진격을 막았다. 7월에는 많은 추종자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이후 십자군은 해산되었다.[4][5]

6월 4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 국왕은 프랑스로 떠나기 전 펨브로크 경을 왕국의 수호자로 임명했다.[6]

6월 18일 – 바에나 조약: 이스마일 1세 술탄이 카스티야 왕국바에나에서 8년 휴전 조약을 맺었다. 하이메 2세 국왕은 교황의 승인과 그라나다 토후국에 대한 십자군 지원금을 받았기에 조약을 거부했다. 양측은 서로의 적에 대항하여 서로를 돕기로 약속했고, 이스마일은 토후국 내에서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영토를 통합했다.[7]

6월 19일 – 목동 십자군: 아비뇽에 목동들이 도착하여 십자군을 시작할 것이라는 소식에 불안해진 교황 요한 22세는 그들을 해산하라고 명령했다.

로도스 전투: 성 요한 기사단이 멘테셰의 튀르크인들이 로도스를 점령하려는 시도를 격퇴했다. 이 전투에서 약 80척의 튀르크 침략 함대는 소규모의 성 요한 기사단-제노바 연합 함대에 의해 파괴되었다.[14]

3. 3. 기타 지역


  • 3월 1일 - 원나라의 몽골 지도자 아유르바르와다 부얀투 칸이 거의 9년의 통치 끝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 게겐 칸이 뒤를 이었다.[4]
  • 4월 19일 - 게겐 칸(시디발라 공)이 아버지인 원 인종 황제의 죽음 이후 중국 원나라의 새로운 몽골 황제가 되었다.[5]
  • 5월 29일 - 알렉산드리아의 요한 8세가 콥트 정교회의 지도자로서 20년간의 통치 끝에 이집트에서 사망했다. 요한 9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6]
  • 7월 9일 - 인도의 델리 술탄국에서 쿠트부딘 무바라크 샤가 그의 총애를 받던 쿠스라우 칸에게 살해당하고, 쿠스라우 칸이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9]
  • 9월 5일 - 5월에 쿠트부딘 샤를 배신하고 살해하여 인도의 지배자가 된 델리의 술탄 쿠스라우 칸은 그의 총독 기야스 알딘 투글루크에게 배신당하고 살해당했으며, 기야스 알딘 투글루크는 델리의 투글루크 왕조를 세웠다. 술탄 기야스는 펀자브와 신드 지방에 군사 총독을 임명하여 술탄국을 향한 몽골의 침략을 막았다.[9]
  • 9월 28일 - 알렉산드리아의 요한 9세가 콥트 정교회의 새로운 영적 지도자로 선출되어 교황 요한 8세의 뒤를 이었다.[10]
  • 1320년 9월 - 스리파다 스리 발라바가 피타푸람에서 태어났다.[11]

4. 탄생

1320년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다.


  • 2월 9일 – 오스트리아의 캐서린, 독일 귀족 (1349년 사망)
  • 4월 8일 - 페드루 1세,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 (1367년 사망)
  • 10월 13일 - 페르넬 플라멜, 프랑스 여성 연금술사 (1397년 사망)
  • 날짜 불명
  • 아달베르투스 랑코니스 데 에리치니오, 체코 철학자 (1388년 사망)
  • 아베라도 데 메디치, 이탈리아 귀족 (1363년 사망)
  • 부르봉의 베아트리체, 보헤미아의 왕비 (1383년 사망)
  • 베르트랑 뒤 게클랭, 브르타뉴 기사 및 장군 (1380년 사망)
  • 남위의 블랑카,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여왕 (1363년 사망)
  • 콘스탄틴 하르메노풀로스, 비잔틴 판사 (1385년 사망)
  • 가브리엘 아도르노, 제노바 귀족이자 도제 (1383년 사망)
  • 갈레아초 2세, 이탈리아 귀족 (비스콘티 가문) (1378년 사망)
  • 이사벨라, 스코틀랜드 귀족 (스튜어트 가문) (1389년 사망)
  • 얀 츠아르코프스키, 폴란드 귀족이자 외교관 (1387년 사망)
  • 존 모훈 5세, 영국 귀족이자 기사 (1376년 사망)
  • 존 트웬지, 영국 설교자, 사제 및 수도원장 (1379년 사망)
  • 키타바타케 아키노부, 일본 귀족 (1380년 사망)
  • 라레슈와리 (랄 데드), 인도 신비주의자이자 시인 (1392년 사망)
  • 루이 1세, 나폴리의 왕 (앙주 가문) (1362년 사망)
  • 미카엘 파나레토스, 비잔틴 역사가이자 작가 (1390년 사망)
  • 닐 로링, 영국 기사 및 외교관 (1386년 사망)
  • 니콜라스 세치, 헝가리 귀족이자 기사 (1387년 사망)
  • 헤로나의 니심, 스페인 탈무드 학자 (1380년 사망)
  • 티스마나의 니코데무스, 비잔틴 수도승이자 작가 (1406년 사망)
  • 니조 요시모토, 일본 귀족이자 와카 시인 (1388년 사망)
  • 타란토의 오토, 독일 귀족이자 왕자 (1398년 사망)
  • 시에모비트 3세, 폴란드 귀족 (피아스트 가문) (1381년 사망)
  • 우골리노 곤자가, 이탈리아 귀족이자 기사 (1362년 사망)
  •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그, 덴마크 국왕 (1375년 사망)
  • 존 호크우드, 잉글랜드 출신의 콘도티에레 (1394년 사망)
  • 음력 4월 15일 - 류방택 (고려의 천문학자)
  • 음력 4월 17일 - 혜종 (원나라의 11대 황제)
  • 5월 25일 - 토곤 테무르 (원나라의 황제)
  • 나세 (고려의 문신)
  • 진우량 (원나라 말기의 군웅)
  • 히노 구니미쓰 (일본 남북조 시대의 공경)
  • 기데라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일본 남북조 시대의 황족)
  • 라기바그 칸 (원나라 황제)

4. 1. 동아시아


  • 음력 4월 15일 - 류방택 (고려의 천문학자)
  • 음력 4월 17일 - 혜종 (원나라의 11대 황제)
  • 5월 25일 - 토곤 테무르 (원나라의 황제)
  • 월일 미상
  • 나세 (고려의 문신)
  • 진우량 (원나라 말기의 군웅)
  • 니조 요시모토 (일본 남북조 시대의 공경, 가인)
  • 히노 구니미쓰 (일본 남북조 시대의 공경)
  • 기데라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일본 남북조 시대의 황족)
  • 키타바타케 아키노부 (일본 귀족)
  • 라기바그 칸 (원나라 황제)

4. 2. 서유럽

5. 사망

1320년에 사망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음력 1월 21일 - 인종[18]
  • 음력 5월 - 고려의 박경량, 이연송
  • 1월 12일 - 존 댈더비, 잉글랜드 주교이자 재무관[18]
  • 1월 21일 - 아르니 헬가손, 아이슬란드 성직자이자 주교 (1260년 출생)
  • 2월 7일 - 얀 무스카타, 폴란드 주교이자 재무관 (1250년 출생)
  • 3월 1일 - 아유르바르와다 부얀투 칸, 몽골 황제 (1285년 출생)
  • 3월 21일 - 베르너 폰 홈베르크, 스위스 귀족이자 기사[19]
  • 4월 13일 - 카스텔로의 마가렛, 이탈리아 수녀이자 교사 (1287년 출생)
  • 4월 24일 - 아부 사이다 파라지, 나스르 자문관이자 총독 (1248년 출생)
  • 5월 2일 - 조안 버틀러 (조안 피츠제럴드), 아일랜드 귀족 여성 (1281년 출생)
  • 5월 29일 - 요한 8세, 콥트 정교회의 이집트 교황
  • 6월 5일 - 페터 폰 아스펠트, 독일 사제, 재무관, 대주교
  • 7월 9일 - 쿠트부딘 무바라크 샤, 델리 술탄국의 인도 통치자
  • 7월 27일 - 하인리히 폰 플뢰츠케, 독일 기사이자 원수 (1264년 출생)
  • 7월 13일 - 쿠조 모로노리,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73년)
  • 10월 12일 - 미카엘 9세 팔레올로고스, 비잔틴 황제 (1277년 출생)
  • 10월 31일 - 리콜도 다 몬테 크로체, 이탈리아 선교사이자 작가[20]
  • 3월 1일 - 니치로, 가마쿠라 시대의 니치렌 종·호케 종의 승려 (* 1245년)
  • ''날짜 불명''
  • * 알레산드로 노벨로, 이탈리아 주교이자 종교 재판관 (1250년 출생)
  • * 안나 팔레올로기나, 비잔틴 공주이자 황후
  • * 안토니우스 안드레아스, 스페인 수도사이자 신학자 (1280년 출생)
  • * 아르노 도, 프랑스 주교이자 추기경-주교 (1270년 출생)
  • * 베르나르 들리시외, 프랑스 수도사이자 수도원장이자 사제 (1260년 출생)
  • * 초기 옷세르, 몽골 수도사이자 번역가이자 작가 (1260년 출생)
  • * 도미니크 2세 라토트, 헝가리 귀족, 기사, 팔라틴
  • * 파리의 제프리, 프랑스 수도사이자 연대기 작가이자 역사가
  • * 앙리 드 몽데빌, 프랑스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
  • * 브란덴부르크-슈텐달의 헨리 2세, 브란덴부르크 통치자 (12세)
  • * 일바산, 몽골 통치자 (보르지긴 가문)
  • * 리 칸 (중빈), 중국 관료이자 화가
  • * 모이시 2세 아코스, 헝가리 귀족이자 반군 지도자
  • * 니콜라스 드 발스코트, 잉글랜드 판사이자 재무관
  • * 올리비에 3세 드 클리송, 브르타뉴 귀족이자 공동 통치자
  • * 라두푸스 브리토, 프랑스 문법학자이자 철학자
  • * 로버트 드 웰스, 잉글랜드 귀족이자 지주[21]
  • * 로저 드 모브레이, 스코틀랜드 귀족이자 지주
  • * 제네바의 윌리엄 3세, 부르고뉴 귀족이자 기사 (1280년 출생)
  • * 야사우르, 몽골 귀족, 왕자, 장군 (1289년 출생)

5. 1. 동아시아

5. 2. 서유럽

주어진 소스에 따르면 1320년 서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이나 사망한 인물에 대한 정보는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3. 기타 지역


  • 존 댈더비(John Dalderby), 잉글랜드 주교이자 재무관[18]
  • 아르니 헬가손(Árni Helgason), 아이슬란드 성직자이자 주교 (1260년 출생)
  • 얀 무스카타(Jan Muskata), 폴란드 주교이자 재무관 (1250년 출생)
  • 베르너 폰 홈베르크(Wernher von Homberg), 스위스 귀족이자 기사[19]
  • 카스텔로의 마가렛(Margaret of Castello), 이탈리아 수녀이자 교사 (1287년 출생)
  • 아부 사이다 파라지(Abu Said Faraj), 나스르 자문관이자 총독 (1248년 출생)
  • 조안 버틀러(Joan Butler) (조안 피츠제럴드), 아일랜드 귀족 여성 (1281년 출생)
  • 요한 8세, 콥트 정교회의 이집트 교황
  • 페터 폰 아스펠트(Peter of Aspelt), 독일 사제, 재무관, 대주교
  • 쿠트부딘 무바라크 샤(Qutbuddin Mubarak Shah), 델리 술탄국의 인도 통치자
  • 하인리히 폰 플뢰츠케(Heinrich von Plötzke), 독일 기사이자 원수 (1264년 출생)
  • 미카엘 9세 팔레올로고스(Michael IX Palaiologos), 비잔틴 황제 (1277년 출생)
  • 리콜도 다 몬테 크로체(Ricold of Monte Croce), 이탈리아 선교사이자 작가[20]
  • 알레산드로 노벨로(Alessandro Novello), 이탈리아 주교이자 종교 재판관 (1250년 출생)
  • 안나 팔레올로기나, 비잔틴 공주이자 황후
  • 안토니우스 안드레아스(Antonius Andreas), 스페인 수도사이자 신학자 (1280년 출생)
  • 아르노 도(Arnaud d'Aux), 프랑스 주교이자 추기경-주교 (1270년 출생)
  • 베르나르 들리시외(Bernard Délicieux), 프랑스 수도사이자 수도원장이자 사제 (1260년 출생)
  • 초기 옷세르(Chosgi Odsir), 몽골 수도사이자 번역가이자 작가 (1260년 출생)
  • 도미니크 2세 라토트(Dominic II Rátót), 헝가리 귀족, 기사, 팔라틴
  • 파리의 제프리(Geoffrey of Paris), 프랑스 수도사이자 연대기 작가이자 역사가
  • 앙리 드 몽데빌(Henri de Mondeville), 프랑스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
  • 브란덴부르크-슈텐달의 헨리 2세(Henry II, Margrave of Brandenburg-Stendal) ("어린 헨리"), 브란덴부르크 통치자 (12세)
  • 일바산(Ilbasan), 몽골 통치자 (보르지긴 가문)
  • 리 칸(중빈), 중국 관료이자 화가
  • 모이시 2세 아코스(Mojs II Ákos), 헝가리 귀족이자 반군 지도자
  • 니콜라스 드 발스코트(Nicholas de Balscote), 잉글랜드 판사이자 재무관
  • 올리비에 3세 드 클리송(Olivier III de Clisson), 브르타뉴 귀족이자 공동 통치자
  • 라두푸스 브리토(Radulphus Brito), 프랑스 문법학자이자 철학자
  • 로버트 드 웰스(Robert de Welles), 잉글랜드 귀족이자 지주[21]
  • 로저 드 모브레이(Roger de Mowbray), 스코틀랜드 귀족이자 지주
  • 제네바의 윌리엄 3세(William III of Geneva), 부르고뉴 귀족이자 기사 (1280년 출생)
  • 야사우르(Yasa'ur), 몽골 귀족, 왕자, 장군 (1289년 출생)

참조

[1] 서적 The Templar Estates in Lincolnshire, 1185-1565: Agriculture and Economy Boydell Press
[2] 서적 Shepherds' Crusade, Second (1320) ABC-CLIO
[3] 논문 The Pastoureaux of 1320
[4] 서적 Robert the Bruce: King of Scots Canongate Books
[5] 서적 State of the Union: Unionism and the Alternatives in the United Kingdom Since 1707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Baronial Opposition to Edward II Its Character and Policy: A Study in Administrative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 서적 History of Poland: The Piast Dynasty
[9]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10] 서적 La Morée franque. Recherches historiques, topographiques et archéologiques sur la principauté d'Achaïe De Boccard
[11] 논문 GHISI, Bartolomeo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2] 논문 Magnus Birgersson https://sok.riksarki[...] Riksarkivet
[13] 논문 The Morea, 1311–1364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4] 논문 The Hospitallers at Rhodes, 1306–1421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5] 서적 Early Ming China: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논문 Harmenopoulos, Constantin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High Officers of the Hungarian State from Saint Stephen to the Present Days – A Biographical Encyclopedia Budapest
[18] 서적 Vita Edwardi Secundi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05-02-03
[19] 서적 Minnelieder des Grafen Wernher von Homberg
[20]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Pearson Education Ltd.
[21] 서적 The Official Baronage of England: Showing the Succession, Dignities, and Offices of Every Peer from 1066 to 1885, with Sixteen Hundred Illustrations Longmans, Gre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