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꼬치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꼬치고기는 창과 닮은 모습 때문에 '파이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어종이다. 북반구 담수에서 발견되며, 몸은 길쭉하고 뾰족한 주둥이를 가지며, 올리브 녹색을 띤다. 크기는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최대 25년까지 산다. 강꼬치고기는 주로 물고기를 먹는 복병 포식자이며, 동족 포식 행동도 보인다. 스포츠 낚시 대상 어종으로 인기가 높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우려하여 확산을 막기 위한 규제가 있다. 요리 재료로도 사용되며, 핀란드 서사시 칼레발라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트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발트해의 물고기 - 대서양대구
대서양대구는 대구속 어종으로 무리 생활을 하며 먹이 섭취와 수온 변화에 따라 행동 양상을 보이나, 과도한 어획으로 개체수 감소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기생충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 오대호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오대호의 물고기 - 작은입우럭
작은입우럭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검정우럭과 어종으로, 큰입우럭보다 입이 작고 맑은 물에 사는 특징을 가지며, 스포츠 피싱 대상이지만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는 외래종으로 관리된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무지개송어
태평양 연안이 원산지인 무지개송어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다양한 아종과 품종이 있으며, 서식 환경에 따라 담수 생활 개체와 바다를 오가는 스틸헤드로 나뉘고, 식용 및 스포츠 낚시 대상어이자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강꼬치고기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sox lucius |
명명자 | 린네, 1758 |
멸종 위기 등급 | LC (최소 관심) |
![]() |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강꼬치고기목 |
과 | 강꼬치고기과 |
속 | 강꼬치고기속 |
종 | 강꼬치고기 |
명칭 | |
학명 | Esox lucius |
한국어 이름 | 노던 파이크, 키타카와카마스 (기타카와카마스, 북천 꼬치고기) |
영어 이름 | Northern pike |
특징 | |
크기 | 보통 40~55 cm, 최대 150 cm |
무게 | 최대 28.4 kg, 일반적 25 kg |
서식 | |
분포 | 북반구의 담수 지역 |
기타 | |
관련 정보 | 전 세계의 노던 파이크에 대한 다양한 이름 |
FishBase | Esox lucius Linnaeus, 1758 Northern pike |
IGFA 세계 기록 | pike, northern (Esox lucius) |
2. 명칭
강꼬치고기는 그 모습이 창과 닮았기 때문에 "파이크"(pike)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얻었다(중세 영어에서 '뾰족한'을 의미). 다른 비공식적인 일반명으로는 common pike, Lakes pike, great northern pike, great northern, northern (미국 북부 중서부와 캐나다의 앨버타, 매니토바, 서스캐처원 주에서), jackfish, jack, slough shark, snake, slimer, slough snake, gator (악어와 비슷한 머리 모양 때문에), hammer handle, 그리고 "long head" 또는 "pointy nose"와 같은 이름들이 있다. 다른 많은 이름들은 ''Field Museum Zool. Leaflet Number 9''에서 찾아볼 수 있다.[6] 이 물고기의 이전 일반 이름인 루시(luci, 현재는 lucy) 또는 완전히 성장했을 때의 luce는 분류학적 이름(''Esox lucius'')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문장학에서도 사용된다.
강꼬치고기는 몸이 길쭉한 원통형이며, 주둥이는 뾰족하고 길게 튀어나와 있다. 흔히 올리브 녹색을 띠며, 배 쪽으로 갈수록 노란색에서 흰색으로 변한다. 측면에는 짧고 밝은 막대 모양의 반점과 지느러미에 몇 개에서 많은 수의 어두운 반점이 있다. 때로는 지느러미가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어린 강꼬치고기는 녹색 몸통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으며, 나중에 이 줄무늬가 밝은 반점으로 나뉘고 몸통은 녹색에서 올리브 녹색으로 변한다. 아가미 덮개 아랫부분에는 비늘이 없고, 머리와 아래턱 아랫면에 큰 감각 관공이 있는데, 이는 측선 시스템의 일부이다.
3. 형태
머스켈룽게와 달리, 강꼬치고기는 어두운 몸을 배경으로 밝은 무늬를 가지며, 아래턱 양쪽에 6개 미만의 감각 관공이 있다. 강꼬치고기와 머스켈룽게 사이의 잡종은 타이거 머스켈룽게라고 불린다. 잡종에서 수컷은 예외 없이 불임인 반면, 암컷은 종종 번식이 가능하며, 모종과 역교배할 수 있다.[8] 은색 강꼬치고기는 아종이 아니라 흩어져 있는 개체군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이다. 은색 강꼬치고기는 반점 무늬가 없고 은색, 흰색 또는 은청색을 띤다.[9]
이탈리아에서는 ''Esox cisalpinus'' ("남부 강꼬치고기")가 2011년에 별개의 종으로 발표되었는데,[10] 오랫동안 강꼬치고기의 색상 변종으로 여겨졌다. 이 종은 몸이 갈색이며, 작은 흰 반점을 가지고 있다.
입 안에는 톱니 모양의 날카롭고 작은 이빨이 늘어서 있다.
3. 1. 크기 및 무게
북아메리카의 강꼬치고기는 유럽의 강꼬치고기만큼 큰 크기로 자라는 경우는 드물며, 알려진 가장 큰 개체 중 하나는 뉴욕에서 잡힌 21kg의 개체이다. 이 개체는 1940년 9월 15일 피터 두벅이 그레이트 사칸다가 호수에서 잡았다. 훨씬 더 큰 강꼬치고기에 대한 보고도 있지만, 이는 강꼬치고기의 더 큰 친척인 머스캘런지를 잘못 식별한 경우이거나 제대로 문서화되지 않아 전설의 영역에 속한다.[11]
강꼬치고기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무게도 증가하며, 길이와 무게 사이의 관계는 선형적이지 않다. 거의 모든 어종의 총 길이(''L'', 인치)와 총 무게(''W'', 파운드)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거의 모든 어종에서 ''b''는 3.0에 가깝고, ''c''는 어종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이다. 강꼬치고기의 경우, ''b'' = 3.096이고 ''c'' = 0.000180이다. (''c'' = 7.089는 길이를 미터 단위로, 무게를 킬로그램 단위로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이 관계에 따르면 50.8cm 길이의 강꼬치고기는 약 약 0.91kg의 무게가 나가고, 66.04cm 길이의 강꼬치고기는 약 약 1.81kg의 무게가 나간다.
3. 2. 수명
일반적으로 10~15년 동안 살지만, 때로는 최대 25년까지 살기도 한다.[12]
4. 분포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유럽 등 북반구 고위도 지역의 담수와 발트해의 기수역에 널리 분포한다.[41]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를 포함한 북반구의 담수에서 발견된다. 모로코의 호수에 도입되었으며, 발트해의 기수에서도 발견되지만, 바다 표면의 낮은 염도 수역에 국한되며, 다른 지역의 기수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북아메리카 내에서 강꼬치고기 개체군은 메인주, 뉴햄프셔주, 버몬트주, 매사추세츠주, 로드아일랜드주, 코네티컷주, 뉴욕주, 뉴저지주, 펜실베이니아주, 메릴랜드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오하이오주, 미시간주, 인디애나주, 일리노이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아이오와주, 미주리주, 노스다코타주, 사우스다코타주, 네브래스카주, 캔자스주, 몬태나주, 아이다호주, 유타주, 콜로라도주, 오클라호마주, 북부 텍사스주, 북부 뉴멕시코주, 북부 애리조나주, 알래스카, 유콘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 앨버타주, 서스캐처원주, 매니토바주, 온타리오주, 퀘벡주에서 발견된다(강꼬치고기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동부 해안 주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강꼬치고기가 발견되는 유역으로는 오하이오강 유역, 미시시피강 상류와 그 지류, 오대호 분지가 있다.
유럽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와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거의 전역에 분포한다.
영국, 아일랜드,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외래어종으로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있다.[41] 한국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5. 생태
강꼬치고기는 느린 흐름의 개울, 얕고 잡초가 많은 호수와 저수지, 차갑고 맑으며 바위가 많은 물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전형적인 복병 포식자로, 완벽하게 움직이지 않고 먹이를 기다리다가 놀라운 속도로 공격한다.[13] 주로 물고기가 있는 모든 수역에 서식하지만, 산란에 적합한 장소도 필요하다. 동족 포식 성향 때문에 어린 강꼬치고기는 식물 틈새에 몸을 숨길 수 있는 곳이 필요하며, 두 경우 모두 풍부한 수중 식물이 필요하다. 강꼬치고기는 발트해 지역을 제외하고는 기수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강 어귀와 발트해의 열린 기수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강꼬치고기가 이러한 기수에서 일정 기간을 보낸 후 담수로 돌아가는 것은 일반적이다.[13] 탁도가 낮은 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식생에 대한 의존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강꼬치고기는 특히 먹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공격적인 종이다. 먹이가 부족할 경우, 소수 개체군에서 약 5주 무렵부터 동족 포식이 발생한다.[15] 먹이가 부족할 때, 강꼬치고기는 더 작은 꼬치고기를 잡아먹는 등 생존을 위해 싸우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꼬치고기는 줄납줄랭이와 같은 작은 물고기를 먹지만, 길이가 700mm를 넘으면 더 큰 물고기를 먹는다.[16] 어린 개체의 사망률이 상당히 높은데,[17] 동족 포식은 시원한 여름에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성장률이 느려져 더 큰 꼬치고기를 막을 수 있는 크기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17] 꼬치고기는 형제를 잘 구분하지 못하므로 형제 간의 동족 포식이 발생할 수 있다.
공격성은 공간에 대한 필요성에서 비롯된다.[18] 어린 꼬치고기는 더 큰 꼬치고기에게 먹이를 빼앗기는 경향이 있다.[18] 충분한 공간이 주어지지 않으면 공격적인데, 이는 영토를 지키기 때문이다.[19] 농어와 달리 먹이를 적극적으로 쫓는 대신 에너지의 폭발적인 사용을 보인다. 따라서 먹이를 찾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사냥 효율은 경쟁과 함께 감소하며,[19] 꼬치고기가 클수록 그 꼬치고기가 지배하는 영역이 커진다. 식생 밀도와 꼬치고기 크기 사이에는 반비례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는 가장 큰 꼬치고기의 동족 포식 가능성 때문이다.[20] 작은 꼬치고기는 잡아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더 많은 식생이 필요하고, 큰 꼬치고기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그들은 나무 구조의 서식지를 선호한다.[20]
강꼬치고기는 갑작스럽고 불안정한 수영의 고에너지 폭발인 "빠른 시작" 움직임을 할 수 있다.[23] 강꼬치고기의 경우, 움직이지 않는 위치에서 먹이를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러한 폭발적인 움직임으로 튀어나와 먹이를 잡는다. 이러한 빠른 시작은 강꼬치고기가 최대 속도에 도달하면 종료된다.[23] 이러한 움직임 동안, 강꼬치고기는 빠른 속도로 헤엄치면서 "S"자 형태를 만든다. 감속하기 위해, "C"자 형태를 만들어 속도를 기하급수적으로 늦춰 "멈출" 수 있다.[23] 짧은 소화 시간과 긴 먹이 섭취 기간을 가지며,[16] 가능한 한 많은 먹이를 얻기 위해 이러한 빠른 폭발을 여러 번 겪을 수 있다. 강꼬치고기는 밤에 가장 덜 활동적이다.[19]
강꼬치고기는 강한 귀소 본능을 가지고 있어,[20] 본래 특정 지역에 서식한다. 여름에는 겨울보다 식물이 있는 곳에 더 가까이 모이는 경향이 있다.[24] 정확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먹이를 찾거나 어린 개체를 보호하기 위한 번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맑은 날에는 얕은 해안가에 더 가까이 머물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해안가에서 멀어진다.[25] 해안가에 가까이 있을 때 강꼬치고기는 얕고 식물이 많은 지역을 선호한다.[25] 강꼬치고기는 호수보다 저수지에서 더 정착적인 생활을 한다.[24] 호수에는 먹이가 더 많거나, 저수지에서는 먹이가 결국 강꼬치고기와 마주치기 때문일 수 있다. 강꼬치고기는 봄에 번식한다.[18]
강꼬치고기는 약 2살 정도에 자연 번식이 가능하며, 수온이 처음 9°C에 도달하는 봄에 산란한다. 많은 수의 알을 낳는 경향이 있다.[18] 암컷의 경우, 알을 낳을 때 생식선이 커진다.[18] 그러나 알을 낳은 후에는, 수온이 6°C 이하이면 부화하지 않는다.[18] 수컷 강꼬치고기는 암컷보다 몇 주 전에 번식지에 도착하며, 산란이 끝난 후에도 머무른다.[18] 어미 개체는 강꼬치고기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26] 알의 생존율은 낳은 알의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26] 번식에서, 물이 더 안정적일수록 강꼬치고기의 적합성이 더 커진다.[27] 치사율은 철의 독성 농도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27] 성체 개체 수와 그 결과로 나타나는 연령군의 강도는 관련이 없다. 수정과 원구 폐쇄 사이의 배아 단계, 그리고 부화와 자어 단계 종료 사이의 단계에 기반한다.[27]
점성이 있는 알의 색깔은 황색에서 주황색이며, 지름은 2.5mm에서 3mm이다. 배아의 길이는 7.5mm에서 10mm이며 부화 후 헤엄칠 수 있지만, 일정 시간 동안 바닥에 머문다. 배아 단계는 수온에 따라 5~16일이다(각각 19°C와 10°C에서). 자연 조건에서, 어류 유생에서 75mm 강꼬치고기까지의 생존율은 약 5%이다.
어린 강꼬치고기는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살며, 처음에는 ''물벼룩''을 먹고, 빠르게 ''옆새우''와 ''갯가재''와 같은 더 큰 먹이로 옮겨간다. 몸길이가 4cm에서 8cm일 때, 작은 물고기를 먹기 시작한다. 잉어는 마지막 지느러미 줄기와 가슴지느러미를 움직여 물속에서 정지해 있을 수 있다. 공격하기 전에 몸을 구부리고, 큰 꼬리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먹이로 돌진한다. 입으로 먹이를 옆으로 물어 날카로운 뒤로 향한 이빨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머리부터 삼키는 독특한 습성이 있다. 주로 물고기와 개구리를 먹지만, 작은 포유류와 조류도 잉어의 먹이가 된다. 잉어는 또한 곤충, 가재, 거머리를 먹는다.[29] 그들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으며 농어와 같은 가시가 있는 물고기를 먹고, 심지어 유일한 먹이가 날개새우라면 그 작은 물고기까지 먹는다.
하천이나 호소에 서식하며 냉수와 비교적 맑은 수질이 필요하며, 수저가 둥근 돌이나 자갈, 모래로 구성된 환경에 많다. 육식어이며, 생태 피라미드의 최상위를 차지한다. 어류뿐만 아니라 갑각류나 양서류, 때로는 조류나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을 먹는다. 봄에 얼음 밑에서 산란하며 알은 방치하며, 둥지는 만들지 않고 육아도 하지 않는다. 산란 시기 이외에는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행동한다. 치어는 1~3년 만에 성어가 되며, 20년 이상 산다.
6. 인간과의 관계
강꼬치고기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특히 프랑스 요리에서 인기가 높다. 론알프 지방에서는 크넬이라는 완자 형태의 요리가 유명하다. 흰살 생선으로 순한 맛을 지녀 유럽과 북미 일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식재료이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요리에 사용되었다. 요리 시에는 큰 뼈를 제거하고 잉어, 갯장어, 갈치처럼 뼈를 발라 사용한다.[33]
스포츠 낚시 대상 어종으로도 인기가 높다. 특히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스포츠 어종으로 존경받으며, 미래의 낚시를 위해 살아있는 상태로 물에 돌려보내는 경우가 많다. 파이크 앵글러스 클럽은 1977년부터 강꼬치고기 보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34] 다만, 일부 낚시꾼들은 강꼬치고기의 살에 가시가 많다고 여겨 잡은 후 방생하기도 한다.
번식력이 왕성하고 포식성이 강한 어종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강꼬치고기가 원래 서식지 밖으로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법률이 제정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에서는 낚시꾼이 강꼬치고기를 잡으면 머리를 잘라야 한다.[33] 알래스카에서는 알래스카 산맥 북쪽과 서쪽에 서식하지만, 낚시꾼들에 의해 남부-중앙 알래스카에 불법적으로 유입되었다. 남부-중앙 알래스카에서는 대부분 지역에서 포획 제한이 없다. 일부 어업 관리자들은 강꼬치고기가 연어의 토종 야생 개체군에 위협이 된다고 보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관상어로 사육되었으나, 더위에 약해 수온을 1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2006년에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이후 일본 내에서 애완용 사육은 금지되었다.
6. 1. 낚시
강꼬치고기는 큰 크기와 공격적인 성격으로 인해 스포츠 어종으로 높이 평가받는다.[35] 공격적인 입질과 공중 곡예를 선보이므로 낚시 대상 어종이 된다.효과적인 강꼬치고기 포획 방법에는 죽은 미끼, 루어 낚시 및 저크베이팅이 있다. 특히 봄에 해안에서 강꼬치고기를 낚는 호수 낚시가 효과적인데, 이때 큰 강꼬치고기들이 풀이 무성한 지역에서 산란하기 위해 얕은 곳으로 이동하고, 나중에는 산란 후 컨디션을 회복하기 위해 다른 산란 잉어과 어류를 먹이로 삼기 위해 그곳에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작은 새끼 강꼬치고기들은 종종 자체 보호를 위해, 그리고 그곳에서 구할 수 있는 작은 물고기 먹이를 위해 얕은 곳에 남아 있다. 더운 여름과 비활성 단계 동안에는 더 큰 암컷 강꼬치고기가 더 깊은 물이나 더 나은 은신처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플로트 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중소 규모의 잔잔한 수면에서 강꼬치고기를 낚는 또 다른 방법이다.[35] 강꼬치고기 플라이 낚시는 이러한 물고기를 잡는 또 다른 적합한 방법이며, 플로트 튜브는 이제 강꼬치고기 플라이 낚시에 특히 적합한 수상선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작은 치어 또는 무척추 동물을 모방한 패턴을 사용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잡히기도 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강꼬치고기가 잡은 후 다시 물에 방류되고 (캐치 앤 릴리즈)[36], 하지만 다루는 과정에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마른 손으로 이러한 물고기를 다루면 점액으로 덮인 피부가 쉽게 손상되어 감염으로 인해 죽음에 이를 수 있다.
강꼬치고기는 매우 날카롭고 많은 이빨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꼬치고기의 낚싯바늘을 빼낼 때 주의가 필요하다.[36] 이 종을 낚을 때는 바늘 없는 삼중 바늘이 권장되며, 이는 바늘 빼기를 단순화한다. 이 작업은 긴 겸자를 사용하여 수행하며, 30cm 동맥 클램프가 이상적인 도구이다. 아래턱에서 아래에서 강꼬치고기를 잡으면 입을 벌린다. 물 밖으로 가능한 최소한의 시간 동안 유지해야 하며, 방류 전에 무게를 재고 사진을 찍는 경우 추가 시간을 주어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낚시꾼은 또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바늘 제거 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36]
핀란드에서는 10kg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강꼬치고기, 즉 ''kymppihauki''를 잡는 것이 숙련된 낚시꾼의 자격으로 간주된다.[37]
많은 국가에서 살아있는 물고기를 미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강꼬치고기는 냄새로 찾아 죽은 물고기로 잡을 수 있다. 이 기술을 위해 청어, 정어리 및 고등어와 같은 지방이 많은 해양 어류가 자주 사용된다. 장어와 같은 다른 물고기에 비해 강꼬치고기는 냄새 감각이 좋지 않지만, 미끼 물고기를 찾기에는 여전히 충분하다. 미끼 물고기는 밑밥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에 실려가는 플로트 아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강꼬치고기는 측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식된 먹이가 생성하는 와류를 따라가며, 스피너의 회전 운동은 이러한 현상을 모방하거나 과장하는 좋은 방법일 것이다. 저크베이트도 효과적이며, 강꼬치고기가 이러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미끼를 전속력으로 공격하는 장관을 연출할 수 있다. 트롤링의 경우 큰 플러그 또는 소프트베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스푼은 아침이나 저녁에 태양이 물에 날카로운 각도로 있을 때 매우 효과적인데, 이는 이전에 논의한 진동을 생성하고 흰색 배를 가진 먹이의 섬광을 모방하는 반사적인 햇빛의 섬광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작은 강꼬치고기를 얕은 물에서 낚을 때는 더 가볍고 작은 루어를 자주 사용한다. 겸손한 '울리 버거' 플라이는 남반구의 열렬한 플라이 낚시꾼들에게 인기 있는 루어이다. 강꼬치고기 플라이 낚시는 스포츠의 확립된 측면이며, 현재 이러한 물고기를 특별히 표적으로 삼기 위해 사용되는 수많은 전용 제품이 있다.[38]
6. 2. 문화
핀란드의 서사시 칼레발라에서 현명한 반신 바이네뫼이넨은 거대한 강꼬치고기의 턱뼈로 마법의 칸텔레(현악기)를 만든다.[39]참조
[1]
간행물
"''Esox lucius''"
2022-02-19
[2]
웹사이트
Different Names for Northern Pike (From Around the World)
https://strikeandcat[...]
2024-02-08
[3]
웹사이트
Esox lucius Linnaeus, 1758 Northern pike
http://www.fishbase.[...]
fishbase.org
2017-02-02
[4]
웹사이트
pike, northern (''Esox lucius'')
http://wrec.igfa.org[...]
IGFA Online
2017-02-02
[5]
논문
Meta-analysis of growth rates for a circumpolar fish, the northern pike (Esox lucius), with emphasis on effects of continent, climate and latitude.
[6]
서적
Pike, pickerel and muskalonge /
https://www.biodiver[...]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27
[7]
웹사이트
Tiger muskie
http://www.gen.umn.e[...]
2020-10-06
[8]
웹사이트
Tiger muskellunge (''Esox lucius'' x E. masquinongy) – FactSheet
https://nas.er.usgs.[...]
Nas.er.usgs.gov
2011-03-02
[9]
서적
Pike: Biology and Exploitation
Chapman & Hall, London
[10]
논문
Molecular and Phenotypic Evidence of a New Species of Genus Esox (Esocidae, Esociformes, Actinopterygii): The Southern Pike, ''Esox flaviae''
[11]
서적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American Fisheries Society
[12]
웹사이트
Pike Fish
https://canalrivertr[...]
Canal & River Trust, UK
[13]
뉴스
Salty pike
https://globalflyfis[...]
2018-11-12
[14]
뉴스
Calif. Aims to Rid Lake of Northern Pike
http://hosted.ap.org[...]
2007-09-27
[15]
논문
Cannibalism in pike fry, ''Esox lucius'' L.: some experiments with fry densities
[16]
논문
Observations on the age, growth, reproduction and food of the pike ''Esox lucius'' (L.) in two rivers in southern England
[17]
논문
The Annual Food Consumption and Prey Preferences of Pike (''Esox lucius'') in the River Frome, Dorset
1982-02
[18]
논문
A Study of Reproduction, Early Life, Weight-Length Relationship and Growth of Pike, ''Esox lucius'' L., in Windermere
1967-10
[19]
논문
Group foraging versus solitary foraging efficiency in piscivorous predators: The perch, ''Perca fluviatilis'', and pike, ''Esox lucius'', patterns
1992-08
[20]
논문
Effects of Habitat complexity and prey abundance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perch and pike
http://urn.kb.se/res[...]
2011-04-09
[21]
뉴스
‘Programmed to eat’: Northern pike mauls husky at North Pole gravel pit
https://alaskapublic[...]
Alaska Public Media
2022-10-21
[22]
뉴스
'The pike was huge, but not huge enough to fight off an ott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5-12
[23]
논문
Fast-Start Performance of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and Northern Pike ''Esox lucius''
http://jeb.biologist[...]
1990-01-09
[24]
논문
Behavior of pike (''Esox lucius'' L.) > 50 cm in a turbid reservoir and in a clearwater lake
[25]
논문
Versatility in habitat use by a top aquatic predator, ''Esox lucius'' L
[26]
논문
Reproduction effort versus the environment; case histories of Windermere perch, ''Perca fluviatilis'' L., and pike, ''Esox lucius'' L
[27]
논문
Early Life History of the Northern Pike, ''Esox lucius'' L.,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erical Strength of Year Classes
[28]
문서
Pike
http://www.poetryarc[...]
[29]
웹사이트
Esox lucius (American pike)
https://animaldivers[...]
[30]
웹사이트
Hungry Pike Bites Off More Than It Can Chew, Chokes on Bird
https://www.wideopen[...]
2020-02-03
[31]
웹사이트
Duck kills giant pike - Practical Fishkeeping
https://www.practica[...]
2024-05-07
[32]
웹사이트
Could Castle Archdale swan have been killed by a pike?
https://fermanaghher[...]
2020-02-03
[33]
서적
Sport Fishing Regulations
https://nrm.dfg.ca.g[...]
State of California
[34]
웹사이트
What the PAC is All About
http://www.pacgb.co.[...]
Pacgb.co.uk
2011-03-02
[35]
웹사이트
Float-tube pike
http://www.fishontar[...]
[36]
웹사이트
How To Hold A Pike
https://predatorfish[...]
2023-09-29
[37]
웹사이트
Oppia suurhauen. saamiseksi
http://docplayer.fi/[...]
2016-12-21
[38]
뉴스
Fly Fishing for Pike Advice Guide
https://www.sportfis[...]
2015-09-16
[39]
웹사이트
The Kalevala (three different translations of a passage)
https://www.bopsecre[...]
[40]
간행물
"''Esox lucius''"
[41]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42]
웹인용
Esox lucius Linnaeus, 1758 Northern pike
http://www.fishbase.[...]
fishbase.org
2017-02-02
[43]
웹인용
pike, northern (''Esox lucius'')
http://wrec.igfa.org[...]
IGFA Online
2017-02-02
[44]
논문
Meta-analysis of growth rates for a circumpolar fish, the northern pike (Esox lucius), with emphasis on effects of continent, climate, and latitude.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