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쇠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은쇠채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뿌리를 식용하는 채소이다. 남부 유럽과 근동이 원산지이며, 유럽에서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검은쇠채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눌린을 포함하여 당뇨병 환자에게도 적합하다. 뿌리는 끓이거나 날것으로 섭취하며, 샐러드,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주로 재배되며, 독일에서는 여러 재배 품종이 개발되었다. 검은쇠채는 다양한 병해충에 취약하며, 재배 시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쇠채아족 - 쇠채속
쇠채속은 지중해 연안이 주요 발상지이며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속(屬) 식물로,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이차 대사 산물을 함유하여 전통 및 현대 약학 연구 대상이다. - 코소보의 식물상 - 케럽
케럽은 지중해 연안 원산의 콩과 상록수로, 열매 꼬투리는 식용으로 가공되어 동물 사료, 초콜릿 대체재, 관상용 등으로 활용되며 캐럿(질량 단위)의 어원이기도 하다. - 코소보의 식물상 - 레몬밤
레몬밤은 꿀풀과의 다년생 식물로, 레몬 향이 특징이며 약용, 밀원, 허브티, 요리, 아로마테라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불안 완화, 소화 촉진, 불면증 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널리 재배된다. - 푸에르토리코의 식물상 - 보검선인장
보검선인장은 다육식물의 일종으로, 최대 5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 관목이며, 식용, 사료, 토양 침식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멕시코와 텍사스 등 여러 지역에서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 푸에르토리코의 식물상 - 보리지
보리지는 지중해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식용 잎과 꽃, 기름 생산용 씨앗, 꿀 생산, 곤충 퇴치 효과가 있지만, 간독성 물질을 함유하여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검은쇠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L. |
와명 | 키바나바라몬진 |
다른 이름 | 키쿠고보우(キクゴボウ) |
영어 이름 | Black salsify Spanish salsify Oyster plant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급 없음) | 피자식물 |
강 (계급 없음) | 진정쌍자엽류 |
아강 (계급 없음) | 코어 진정쌍자엽류 |
상목 (계급 없음)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속 | 후타나미소우속 |
종 | 키바나바라몬진 (S. hispanica) |
2. 종내 분류군
아종명 | 명명자 |
---|---|
S. h. subsp. asphodeloides | (Wallr.) Arcang. |
S. h. subsp. coronopifolia | (Desf.) Rouy |
S. h. subsp. crispatula | (DC.) Nyman |
S. h. subsp. neapolitana | (Grande) Greuter |
S. h. subsp. trachysperma | (Fiori) Maire & Weiller |
검은쇠채는 영양가가 높고, 단백질, 지방, 아스파라गिन, 콜린, 레불린과 같은 성분과 더불어 칼륨, 칼슘, 인, 철분, 나트륨, 비타민 A, B1, E, C와 같은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16][20] 특히 다당류인 이눌린을 함유하여 은은한 단맛을 내는데, 이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하다.[16] 식이 섬유로도 사용되는 이눌린은 소화 기관, 혈액 순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암 과정을 억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6]
3. 식물학적 특징
''Pseudopodospermum hispanicum''은 한해살이풀로 재배되지만, 실제로는 두해살이풀이다. 첫해에 영양 생장기를 거친 후, 두 번째 해에 꽃이 핀다. 줄기는 직경 5cm, 높이 60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매끄럽고 잎이 있다.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한 피침형에서 타원형이다.[4] 자웅동주 꽃은 곤충에 의해 수분되며,[3] 줄기 끝(정단)에 노란색 방사형 설상 꽃부리로 이루어진 꽃차례를 형성한다.
뿌리는 갈색에서 검은색 코르크 층을 가진 길고 원통형의 곧은 뿌리 형태이다. 길이는 2m까지 성장하며, 지름은 약 2cm 정도이다. 껍질은 검고 속은 흰색이다. 어릴 때 수확하면, 당근과 같은 뿌리는 부드럽고 길며 뾰족하며 광택이 나는 흰색 살을 가지고 있다.[3] 뿌리에는 공기에 노출되면 검게 변하는 유백색 라텍스가 포함되어 있다.[4]
남유럽, 근동 등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스페인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서양에서 처음으로 스코르조네라를 기록한 레온하르트 라우볼프는 1575년에 시리아 알레포의 시장에서 발견했다.
속명 스코르초네라(Scorzonera)는 고대 프랑스어로 뱀, 독사를 의미하는 'scorzon'이라는 단어나, 이탈리아어로 검은 껍질을 의미하는 "scorza negra"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역사
검은쇠채는 남부 유럽과 근동이 원산지이다.[16] 이명법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스페인에서 유럽 나머지 지역으로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서양 문헌상 최초의 언급은 1575년 레온하르트 라울프가 시리아 알레포 시장에서 검은쇠채를 발견한 기록이다.[5]
1612년 프랑수아 쟁틸은 그의 저서 ''Le Jardinier Solitaire'' (고독한 정원사)에서 스페인 검은쇠채를 정원에서 재배할 수 있는 최고의 뿌리라고 묘사했다.[5] 1660년까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채소로 재배되었고, 이후 현재의 벨기에 지역에서 널리 경작되었다. 1683년에는 영국에서 정원 채소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5] 1690년 프랑스의 퀸틴은 이를 "우리의 가장 중요한 뿌리 중 하나"라고 칭했다.[5]
과거에는 이 식물이 독사에게 물린 상처에 대한 해독제로 여겨졌다.[16] 이 때문에 검은쇠채(Scorzonera)라는 이름이 뱀(특히 독사)을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단어 'scorzon'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가장 유력한 어원은 독사를 뜻하는 카탈루냐어 'escurçó'에서 파생된 'escurçonera'로 보며, 접미사 '-nera'는 독사와의 관련성이나 용도를 나타낸다. 이는 14세기에서 18세기 사이 사르데냐와 남부 이탈리아에 카탈루냐어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이탈리아어 'escurçonera'의 음역일 가능성이 있다. 덜 유력하지만, 뿌리의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 껍질 때문에 이탈리아어로 '검은 껍질'을 의미하는 'scorza negra'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는 설도 있다.
5. 영양 성분 및 효능
과거 유럽에서는 약용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켈트족과 게르만족은 16세기 경까지 검은쇠채가 인수공통감염병과 뱀의 독을 중화한다고 믿었다.[20]
6. 이용
검은쇠채는 약용 또는 식용 뿌리채소로 유럽에서 주로 이용된다. 켈트족과 게르만족은 16세기경까지 검은쇠채가 인수공통감염병과 뱀의 독을 중화한다고 여겨 약용으로 사용했다.[20] 식용으로는 1660년경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에서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벨기에 등으로 퍼져나갔다. 19세기 네덜란드에서는 "겨울 아스파라거스"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20]
검은쇠채의 여러 부분, 즉 뿌리, 잎이 달린 어린 순, 활짝 핀 꽃 등은 익히거나 날것으로 먹을 수 있지만[3], 주로 이용되는 것은 길고 원통형의 곧은 뿌리이다.[7] 뿌리의 두껍고 검은 껍질은 일반적으로 먹지 않으며, 끓이기 전이나 후에 제거할 수 있다. 껍질을 미리 제거할 경우, 변색을 막기 위해 식초나 레몬즙을 탄 물에 담가야 한다. 뿌리에는 끈적이는 라텍스가 많아, 20~25분 정도 삶은 뒤 껍질을 벗기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손에 묻은 라텍스는 기름으로 문지른 후 비누로 씻어내면 제거된다.
조리 시에는 완두콩이나 당근 같은 다른 채소와 함께 먹거나, 아스파라거스처럼 베샤멜 소스, 겨자 소스, 홀랜다이즈 소스 등 흰색 소스를 곁들여 먹는 방식이 인기 있다. 삶은 뿌리에 튀김옷을 입혀 튀김으로 만들기도 한다. 어린 뿌리는 샐러드에 사용되며, 검은쇠채의 라텍스는 껌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3] 꽃이 피기 전 어린 순은 아스파라거스와 비슷하게 먹고, 꽃 자체는 샐러드에 넣어 먹기도 한다.[3]
포르투갈 알렌테주 지방의 에보라에는 검은쇠채 뿌리를 설탕에 절여 만든 '스코르조네라 스위트(scorzonera|스코르조네라pt)'라는 전통 디저트가 있으며, 이는 맛의 방주에 등재되어 있다.[8]
검은쇠채는 영양가가 높은 채소로, 단백질, 지방, 아스파라긴, 콜린, 무기질(칼륨, 인, 철, 나트륨 등), 비타민 A, B1, E, C와 식이 섬유의 일종인 이눌린 배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현재 검은쇠채는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에서 주로 재배된다. 주요 재배 품종으로는 독일의 '호프만스 슈바르처 팔(Hoffmanns Schwarzer Pfahl)'이나 '스코르초네라 두플렉스(Scorzonera Duplex)' 등이 유명하다.[21]
7. 재배
검은쇠채는 주로 유럽에서 재배되는 작물이다.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독일에서도 상당량이 생산된다.[14][16] 독일에서는 'Hoffmanns Schwarzer Pfahl' 품종이 상업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Duplex' 품종은 소규모 정원에서 인기가 높다.[9] 다른 상업적 재배 품종들도 있지만, 과거에는 지역적인 작물이었기 때문에 토착 품종은 비교적 적다. 지역 품종과 오래된 재배 품종은 스웨덴의 북유럽 유전자원 센터[10]와 러시아의 바빌로프 식물 유전자원 연구소[11] 등에서 보존하고 있다.[16]
검은쇠채 품종은 맛, 크기, 원산지, 수확 시기 등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품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9][12]품종 특징 호프만스 슈바르처 파알(Hoffmanns Schwarzer Pfahl) 듀플렉스(Duplex) 아이니에리게 리젠(Einjährige Riesen)
육종 목표는 추대(조기 개화)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뿌리 속이 비는 비율을 낮추며, 기계 파종 및 수확, 산업적 가공에 더 적합하도록 개량하는 것이다.[16]
검은쇠채는 이른 봄, 가급적 4월 말에 파종한다.[13] 너무 일찍 파종하면 조기 개화로 수확량이 줄 수 있다. 1헥타르(ha)당 약 12kg의 종자가 필요하다. 종자는 1.5cm에서 2cm 깊이의 얕은 고랑에 직접 파종하며, 고랑 사이 간격은 30cm에서 50cm로 한다. 최적의 수확량을 위해서는 1제곱미터(m²)당 50개체의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씨앗 모양이 특이하여 기계 파종이 다소 어렵다. 종자는 발아 능력이 보통 1~2년만 유지되므로,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14]
뿌리는 가볍고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토양에 돌이나 자갈이 있으면 뿌리가 기형이 될 수 있다. 이상적인 토양 pH는 5.8~6.5이며, 이보다 산성인 토양에는 석회질 시비가 권장된다. 부식 함량이 높은 토양은 생육에 유리하다.[14] 일반적으로 검은쇠채는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하며, 온대 기후 지역의 비교적 척박한 환경에서도 환금 작물로 재배될 잠재력이 있다.[15][16]
수확은 11월부터 3월까지 이루어지며, 품질이 가장 좋은 시기는 12월 말이다. 뿌리가 매우 연약하여 부서지기 쉽고, 부서진 부분은 신선도가 떨어지므로 수확 과정에 주의가 필요하다.[14] 통째로 수확한 뿌리는 튼튼한 검은색 코르크질 껍질 덕분에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면 겨울 내내 신선하게 유지된다. 지하실에서는 봄까지 보관할 수 있다. 뿌리를 씻어 껍질을 벗기고 자른 후 냉동 보관할 수도 있다.[16] 시중에서는 유리병에 담거나 통조림 형태로 가공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농산물 시장에서는 품질과 신선도 유지를 위해 흙이 묻은 상태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14]
검은쇠채는 내한성이 강하여[17] 대부분의 서늘한 온대 기후에서 잘 자라며, 일반적으로 헥타르당 15ton에서 20ton의 뿌리를 생산한다. 영국 정원에서는 뿌리가 충분히 클 때까지 2년 이상 땅에 그대로 두어 여러 해에 걸쳐 재배하기도 한다. 상업적으로는 그 해의 두 번째 작물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국화과 작물을 재배하기 전에는 3~4년 정도의 윤작 기간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18]
8. 병해충
참조
[1]
서적
Wild Flowers Worth Knowing
Project Gutenberg Literary Archive Foundation
2005
[2]
학술지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secondary metabolites in aerial and subaerial of Scorzonera hispanica L. (black salsify
https://www.scienced[...]
2015
[3]
서적
Vegetable Crop Science
CRC Press
2017
[4]
서적
Welche essbare Wildpflanze ist das?
Franckh-Kosmos Verlags-GmbH & Co.KG
2017
[5]
학술지
History of Garden Vegetables (Continued)
1890
[6]
학술지
Inulin stimulates NO synthesis via activation of PKC- and protein tyrosine kinas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NF-B by IFN--primed RAW 264.7 cells
https://www.scienced[...]
2003
[7]
학술지
Digital atlas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food processing
2016
[8]
웹사이트
Scorzonera sweet
http://www.fondazion[...]
[9]
웹사이트
Versuche im Deutschen Gartenbau 2019
https://www.hortigat[...]
DLR Rheinpfalz
2021-11-09
[10]
웹사이트
Nordic Genetic Resource Bank
https://www.nordgen.[...]
2021-11-09
[11]
웹사이트
Vavilov All-Russian Institute of Plant Genetic Resources (VIR)
http://www.vir.nw.ru[...]
VIR
2021-11-09
[12]
웹사이트
Schwarzwurzel: altbewährte und neue Sorten
https://www.plantura[...]
2017-03-31
[13]
학술지
Harvest-time in relation to sowing time of Scorzonera (Scorzonera hispanica L.)
1979
[14]
웹사이트
Schwarzwurzel
http://www.hortipend[...]
DLR Rheinpfalz
2021-11-09
[15]
학술지
Responses of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corzonera (Scorzonera hispanica L.) to pH, mineral deficiencies and growth substrates
2014
[16]
학술지
Neglected Crops: 1492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1994
[17]
서적
Nutzpflanzen
Thieme
2012
[18]
웹사이트
Schwarzwurzel
http://www.sativa-rh[...]
Sativa Rheinau AG
2021-11-09
[19]
문서
嶋田英誠「跡見群芳譜巻六外来植物譜」
http://www2.mmc.atom[...]
[20]
웹사이트
COQUINARIA
https://coquinaria.n[...]
[21]
웹사이트
seedaholic
http://www.seedaholi[...]
[22]
웹인용
Scorzonera hispanica L.
http://www.theplantl[...]
2019-06-06
[23]
문서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2: 791. 1753.
[24]
웹인용
Scorzonera hispanica L.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6-06
[25]
웹인용
Scorzonera hispanica L.
https://npgsweb.ars-[...]
2019-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