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나라의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나라의 황제는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의 역대 통치자들을 의미한다. 금나라는 여진족 추장 완안아골타가 1115년에 건국했으며, 금 태조가 초대 황제에 즉위했다. 금나라는 북송을 멸망시키고 요나라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으나, 몽골과의 전쟁에서 패하여 1234년에 멸망했다. 금나라 황제는 태조, 태종, 세종, 애종 등 총 10명이었으며, 이 외에도 추존된 황제들이 존재한다. 금나라는 멸망 이후 대진국 등 여러 세력이 등장하기도 했다.

2. 여진족과 금나라 건국

여진족은 만주 지역에 살던 민족으로, 12세기아골타가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금나라를 건국하였다. 금나라는 1115년부터 1234년까지 존속했다.[1] 아골타 이전의 여진족 추장들은 완안부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이들은 부족 연합체의 성격을 유지했다.

2. 1. 여진족 추장

금나라 건국 이전, 여진족 추장들은 완안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금 태조 아구다 이전까지 이들은 부족 연합체의 성격을 유지했다.

2. 1. 1. 시조 함보부터 태조 아구다까지

(金始祖)
(금 태조 추숭)의헌경원황제
(懿憲景元皇帝)완안함보
(完顔函普)941년 ~ 960년희릉(熙陵)--연목현덕황제
(淵穆玄德皇帝)
(금 태조 추숭)완안오노
(完顔烏魯)960년 ~ 962년희릉(熙陵)--화정경안황제
(和靖慶安皇帝)
(금 태조 추숭)완안발해
(完顔跋海)962년 ~ 983년건릉(建陵)-금 헌조
(金獻祖)
(금 태조 추숭)순렬정소황제
(純烈定昭皇帝)완안수가
(完顔綏可)983년 ~ 1005년휘릉(輝陵)-금 소조
(金昭祖)
(금 태조 추숭)무혜성양황제
(武惠成襄皇帝)완안석노
(完顔石魯)1005년 ~ 1021년안릉(安陵)-금 경조
(金景祖)
(금 태조 추숭)영렬혜환황제
(英烈惠桓皇帝)완안오고내
(完顔烏古迺)1021년 ~ 1074년정릉(定陵)-금 세조
(金世祖)
(금 태조 추숭)신무성숙황제
(神武聖肅皇帝)완안핵리발
(完顔劾里鉢)1074년 ~ 1092년영릉(永陵)-금 숙종
(金肅宗)
(금 태조 추숭)명예목헌황제
(明睿穆憲皇帝)완안파자숙
(完顔頗刺淑)1092년 ~ 1094년태릉(泰陵)-금 목종
(金穆宗)
(금 태조 추숭)장순효평황제
(章順孝平皇帝)완안영가
(完顔盈歌)1094년 ~ 1103년헌릉(獻陵)-금 강종
(金康宗)
(금 태조 추숭)헌민공간황제
(獻敏恭簡皇帝)완안오아속
(完顔烏雅束)1103년 ~ 1113년교릉(喬陵)제1대금 태조
(金太祖)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
장효대성무원황제
(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
莊孝大聖武元皇帝)완안아골타
(完顔阿骨打)
(아구다)1113년 ~ 1115년예릉(睿陵)


3. 금나라의 역대 황제

금나라의 역대 황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재위 기간, 묘호, 시호, 연호 등을 정리하였다.

대수묘호시호성명연호재위 기간능묘
1태조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완안아골타왕민수국, 천보1115년 - 1123년예릉
2태종체원응운세덕소공철혜인성문렬황제완안오걸매왕성천회1123년 - 1135년공릉
3희종[2]홍기찬무장정효성황제[1]완안합랄왕전천회, 천권, 황통1135년1150년 1월 9일사릉
4해릉왕[4]완안적고내[5]왕량천덕, 정원, 정륭1150년 1월 9일 - 1161년
5세종광천흥운문덕무공성명인효황제완안오록왕옹대정1161년 - 1189년흥릉
6장종헌천광운인문의무신성영효황제완안마달갈왕경명창, 승안, 태화1189년 - 1208년도릉
7위소왕[6]소왕완안과승왕영제대안, 숭경, 지녕1208년 - 1213년
8선종계천흥통술도근인영무성효황제완안오도보왕종가정우, 흥정, 원광1213년 - 1224년덕릉
9애종[7]순정황제[8], 장황제[9], 민황제[10]완안녕갑속왕수서정대, 개흥, 천흥1224년 - 1234년 2월 9일
10말제완안호돈왕승린천흥1234년 2월 9일


3. 1. 제1대 태조 ~ 제9대 애종

금나라는 1115년부터 1234년까지 존속한 여진족의 왕조이다. 태조 아구다부터 애종까지 총 10명의 황제가 재위했다.

대수묘호시호여진명한자명연호재위 기간능묘
1태조(太祖)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莊孝大聖武元皇帝)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왕민(王旻)수국, 천보1115년 - 1123년예릉(睿陵)
2태종(太宗)체원응운세덕소공철혜인성문렬황제(體元應運世德昭功哲惠仁聖文烈皇帝)완안오걸매(完顔呉乞買)왕성(王晟)천회1123년 - 1135년공릉(恭陵)
3민종(閔宗)[1]무령황제(武霊皇帝)[3]완안합랄(完顔合剌)왕전(王亶)천회, 천권, 황통1135년1150년 1월 9일사릉(思陵)
4해릉왕[4]양(煬)완안적고내(完顔迪古乃)[5]왕량(王亮)천덕, 정원, 정륭1150년 1월 9일 - 1161년
5세종(世宗)광천흥운문덕무공성명인효황제(光天興運文德武功聖明仁孝皇帝)완안오록(完顔烏禄)왕옹(王雍)대정1161년 - 1189년흥릉(興陵)
6장종(章宗)헌천광운인문의무신성영효황제(憲天光運仁文義武神聖英孝皇帝)완안마달갈(完顔麻達葛)왕경(王璟)명창, 승안, 태화1189년 - 1208년도릉(道陵)
7위소왕[6]소왕(紹王)완안과승(完顔果繩)왕영제(王永濟)대안, 숭경, 지녕1208년 - 1213년
8선종(宣宗)계천흥통술도근인영무성효황제(継天興統述道勤仁英武聖孝皇帝)완안오도보(完顔吾睹補)왕종가(王従嘉)정우, 흥정, 원광1213년 - 1224년덕릉(徳陵)
9애종(哀宗)
의종(義宗)[7]
순정황제(順靖皇帝)[8]
장황제(莊皇帝)[9]
민황제(閔皇帝)[10]
완안녕갑속(完顔寧甲速)왕수서(王守緒)정대, 개흥, 천흥1224년 - 1234년 2월 9일
10말제완안호돈(完顔呼敦)왕승린(王承麟)천흥1234년 2월 9일


3. 1. 1. 주요 황제

대수묘호시호성명연호재위 기간능묘
여진명한자명
1태조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완안아골타왕민수국, 천보1115년 - 1123년예릉
2태종체원응운세덕소공철혜인성문렬황제완안오걸매왕성천회1123년 - 1135년공릉
5세종광천흥운문덕무공성명인효황제완안오록왕옹대정1161년 - 1189년흥릉
9애종[7]순정황제[8], 장황제[9], 민황제[10]완안녕갑속왕수서정대, 개흥, 천흥1224년 (음력 12월) - 1234년2월 9일 

3. 2. 추존 황제

묘호시호성명능묘비고
시조의헌경원황제완안함보광릉
연목현덕황제완안오로희릉
화정경안황제완안발해건릉
헌조순렬정소황제완안수가휘릉태조의 고조부
소조무혜성양황제완안석로안릉태조의 증조부
경조영렬혜환황제완안오고내정릉태조의 조부
세조신무성숙황제[11], 원조대성황제[12]완안안출보영릉태조의 아버지
숙종명예목헌황제완안파랄숙태릉태조의 숙부
목종장순효평황제완안영가헌릉태조의 숙부
강종헌민공간황제완안오야속교릉태조의 형
휘종경선황제완안승과희종의 아버지
덕종헌고홍도문소무렬장효예명황제완안알본해릉왕의 아버지[14]
예종입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완안알리타경릉세종의 아버지
현종체도홍인영문예덕광효황제완안호토와유릉장종의 아버지


4. 금나라의 주요 사건 및 정치

금나라는 1115년부터 1234년까지 존속한 여진족의 왕조이다.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 1. 해상의 맹과 요나라 멸망

1115년 완안아골타가 이끄는 여진족은 송나라와 연합하여 요나라를 공격하기로 하는, 이른바 해상의 맹을 맺었다.[1] 이 동맹에 따라 송나라와 금나라는 각각 남쪽과 북쪽에서 요나라를 협공하여 멸망시켰다.[1] 이 사건은 고려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요나라가 멸망하면서 거란족 유민들이 고려로 피난해 오기도 했다.[1]

4. 2. 정강의 변과 남송과의 관계

정강의 변으로 북송이 멸망하고 남송이 건국되었다.[3] 1127년 금나라 군대가 북송의 수도 카이펑을 함락하고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과 관료 등 3천여 명을 포로로 잡아갔다.[3] 이 사건을 정강의 변이라고 한다.[3] 휘종의 아들이자 흠종의 동생인 고종이 남쪽으로 피신하여 임안(현재의 항저우)에서 남송을 건국하였다.[3]

금나라남송 사이에는 여러 차례 전쟁이 벌어졌다.[3] 주요 전투로는 황천탕 전투, 화상원 전투, 요봉소 전투, 선인소 전투, 언성 전투, 순창 전투 등이 있다.[3] 1141년 양국은 소흥화의를 맺고 화평 관계를 수립하였다.[3]

4. 3. 몽골과의 전쟁과 멸망

1211년 몽골 제국은 금나라를 공격하기 시작했다.[3] 몽골군은 야호령 전역에서 금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3] 중도 공방전을 벌여 금나라의 수도인 중도를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갔다.[3] 금나라는 몽골에 강화를 요청하여 몽골군이 물러갔으나, 1215년 몽골군이 다시 중도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다.[3]

금나라는 수도를 개봉부로 옮겨 저항을 이어갔지만, 몽골군의 계속된 공격에 밀려 하북 지역 대부분을 상실했다.[3] 1232년 삼봉산 전투에서 금나라의 주력군이 몽골군에 대패하면서 멸망이 가속화되었다.[3] 1234년, 몽골군과 남송의 연합군이 채주 전투에서 금나라를 멸망시켰다.[3]

4. 4. 금나라 멸망 이후

몽골-금 전쟁에서 1234년 채주 전투로 금나라가 멸망한 이후, 금나라의 장수였던 포선만노1215년에 동경에서 대진국을 건국했다.[1] 대진국은 18년 만에 몽골에 항복하였다.[1]

5. 금나라의 문화

금나라는 여진족이 세운 국가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1119년 완안아골타의 명으로 완안희윤이 여진 문자를 창제하였다.[1] 이는 한자해서체를 본떠 만든 것으로,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가 섞여 있었다.[1]

금나라의 통화, 건축물, 역사서에 대한 내용은 각각 통화, 회령부, 중도, 『금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1]

5. 1. 여진 문자

금나라여진족은 초기에는 고유 문자가 없어 거란 문자를 빌려 썼으나, 1119년 완안아골타의 명으로 완안희윤이 여진 문자를 창제하였다.[1] 이는 한자해서체를 본떠 만든 것으로,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가 섞여 있는 형태였다.[1]

여진 문자는 금나라의 공식 문자로 사용되었으며, 몽골의 침입으로 금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일부 사용되었다.[1] 특히, 조선 세종대에 여진과의 관계에서 여진 문자가 사용되기도 하였다.[1]

여진 문자는 현대 한국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1]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알타이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있어 언어학적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

5. 2. 기타 문화 요소

금나라의 통화는 통화를 참고하면 된다.[1] 금나라 건축물로는 회령부, 중도 등이 있다.[1] 역사서로는 『금사』가 있다.[1]

6. 금나라와 고려의 관계

금나라 건국 이전, 여진족은 고려와 잦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특히 고려 문종 때부터 여진족은 고려의 동북면(東北面) 변경을 자주 침입하여 약탈을 일삼았다. 1107년 고려는 윤관을 원수로 삼아 17만 대군을 이끌고 여진족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1] 그러나 9성 축조 이후에도 여진족의 침입은 계속되었고, 고려는 9성을 방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 결국 1109년 고려는 여진족에게 9성을 돌려주고 강화를 맺었다.[1]

금나라 건국 초기, 완안부는 고려와 외교 관계를 맺으려 했다. 1126년 정강의 변 이후 금나라는 고려에 조공을 요구했고, 고려는 이자겸의 주도로 금나라의 요구를 수용하여 조공 관계를 맺었다.[1]

6. 1. 초기 관계

금나라 건국 초기, 여진의 완안부는 고려와 외교 관계를 맺으려 했다.

6. 2. 군사적 충돌

女眞중국어족은 1115년 금나라 건국 이전부터 고려와 잦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특히 고려 문종 때부터 여진족은 고려의 동북면(東北面) 변경을 자주 침입하여 약탈을 일삼았다.[1] 이에 고려는 1107년 윤관을 원수로 삼아 17만 대군을 이끌고 여진족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1]

윤관이 이끄는 고려군은 여진족을 북방으로 몰아내고, 함흥 평야 지대에 9개의 성을 쌓아 국경을 확정하였다.[1] 9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대체로 함흥 일대로 비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그러나 9성 축조 이후에도 여진족의 침입은 계속되었고, 고려는 9성을 방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 결국 1109년 고려는 여진족에게 9성을 돌려주고 강화를 맺었다.[1] 이후 여진족은 금나라를 건국하고 고려와 군신 관계를 맺게 된다.

6. 3. 조공 관계

金朝중국어는 1126년 정강의 변 이후 고려에 조공을 요구했다. 고려는 이자겸의 주도로 금나라의 요구를 수용하여 조공 관계를 맺었다.[1]

참조

[1] 문서 世宗による追尊。
[2] 문서 世宗による追尊。
[3] 문서 世宗による追尊。
[4] 문서 即位前の王号。
[5] 문서 世宗により海陵郡王に降格された後、王号も剥奪され、庶人に落とされた。
[6] 문서 宣宗により即位前の衛王に戻された。
[7] 서적 大金国志
[8] 서적 金史 哀宗本紀
[9] 서적 大金国志 巻二十六
[10] 서적 大金国志 巻二
[11] 문서 熙宗による追尊。
[12] 문서 海陵王によって改称されたものの、世宗によって旧号に復された。(『[[金史]]』本紀第一第二・列伝第三)
[13] 문서 海陵王による追尊。
[14] 문서 世宗によって廟号・諡号ともに剥奪され、皇伯・太師・梁宋王に降格された。
[15] 문서 章宗による追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