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6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16세기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이집트에서는 아흐모세 1세가 힉소스인을 물리치고 신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메소포타미아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는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을 약탈하고 후르족의 정복이 있었다. 동아시아에서는 하 왕조가 멸망하고 상(은) 왕조가 건국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고무 공의 최초 발견, 미케네 문화의 시작, 페니키아 알파벳 개발 등 다양한 문화적,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 미노스 화산 분화
미노스 화산 분화는 기원전 2천 년대 에게해 지역에서 발생한 테라 화산의 대규모 분화로, 산토리니 섬의 지형을 변화시키고 미노아 문명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플라톤의 아틀란티스 전설 등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연구된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16세기 | |
---|---|
세기 정보 | |
기원전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501년 |
주요 사건 | |
기원전 1600년경 | 히타이트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다. |
기원전 1595년 | 히타이트가 바빌론을 약탈하다. |
기원전 1567년 | 이집트 제15왕조가 붕괴되고, 이집트 제18왕조가 시작되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가 시작되다. |
2. 주요 사건
기원전 16세기에는 여러 지역에서 문명이 흥망성쇠를 거듭하고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 기원전 1600년경:
- 아슈르바니팔의 바빌론 도서관에서 발견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학 문서 중 하나는 금성(Venus)의 출현에 대한 21년간의 기록(암미사두카의 금성 기록)이다. 초기 바빌로니아인들은 금성을 Nindaranna라고 불렀다.
- 최초로 발견된 고무 공이 만들어졌다.
- 초기 미케네 문화가 시작되어 무기, 키클로페아 성벽, 전차가 나타났다.
- 체코와 동유럽에서 우네티체 문화가 종말을 맞았다.
- 페르시아에서 풍차가 개발되었다.
- 콜롬비아의 엘 모로 델 툴칸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다.
-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을 약탈했다.
- 기원전 1595년경: 시리아 알레포에서 지배적인 아모리 왕조가 전복되었다.
- 기원전 1570년: 재난에도 불구하고 크노소스 등 크레타 궁전들이 번성했다.
- 기원전 1556년: 데우칼리온의 대홍수와 황금 시대가 끝나고 케크롭스 1세가 아테네를 건설하거나 재건했다. 그는 그리스 신화에 기록된 최초의 아테네의 왕 중 한 명이다.
- 기원전 1550년경: 펠로폰네소스 북동부의 미케네시가 아카이아를 지배하며 미케네 문명에 이름을 부여했다.
- 기원전 1512년경: 데우칼리온의 대홍수가 발생했다. (오플라허티, 아우구스티누스, 유세비우스, 이시도르 (세비야 주교)에 따름)
- 기원전 1506년: 전설적인 아테네의 왕 케크롭스 1세가 50년 통치 후 사망하고, 크라나우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 기원전 1500년경:
- 리그베다의 초기 부분이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 그리스 크레타 정착민들이 터키 밀레토스로 이주했다.
- 벨리즈에서 마야 문명의 초기 흔적이 발전했다.
- 페니키아인들이 알파벳을 개발했다. (통신 기술 연표 참조)
- 인도-아리아인의 이동이 있었다. (기원전 17세기에서 16세기로 추정)
- 조로아스터 (Zaraθuštraae)가 출생했다.

2. 1. 이집트
기원전 1520년 - 아흐모세 1세가 재위 18/19년에 힉소스인을 물리치고 이집트를 재통일하였다.[2] 이는 신왕국 시대(이집트 제국)의 시작이었다.기원전 1567년 - 이집트 제15왕조, 이집트 제16왕조, 이집트 제17왕조가 종말을 맞이하고, 이집트 제18왕조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1550년 - 아흐모세 1세의 대관식에 따라 이집트 제17왕조가 끝나고, 이집트 제18왕조가 시작되었다 (낮은 연대기).
기원전 1525년 - 이집트 제15왕조가 종말을 맞이했다.
기원전 1504년 - 이집트가 누비아와 레반트를 정복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500년경 - 이 시기의 이집트 무덤에서 수은 원소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1574년경 - 상 이집트의 세케넨라가 반란을 일으켰다.
기원전 1573년경 - 세케넨라가 사망한 후, 아들 카메스가 반란을 지속하며 영토를 확대했다.
기원전 1570년경 - 제17왕조의 카메스 사망. 동생 아흐모세 1세가 테베의 지배자가 되었다.
기원전 1560년경 - 이집트 제17왕조가 힉소스계 제15왕조의 수도 아바리스를 함락시켰다.
- 제15왕조의 왕 카무디는 이집트에서 철수하여 팔레스타인의 샤루헨으로 퇴거했다.
- 이집트 제15왕조에 종속되어 있던 제16왕조(소 힉소스)도 이 시기까지 붕괴했다.
- 아흐모세 1세가 이집트를 통일했다. 제18왕조의 성립(제17왕조와 제18왕조는 혈족).
- 테베가 수도가 되었고, 이 지역의 지방신이었던 아문이 과거의 국가신 라와 습합되어 아문-라 신으로 숭배되었다.
기원전 1551년경 - 이집트에서 아멘호테프 1세가 즉위했다. 카르나크 신전의 조영이 시작되었다.
기원전 1503년 - 투트모세 1세가 즉위했다.
기원전 1524년경 - 투트모세 1세가 이집트에서 즉위(- 기원전 1518년경).
- 시리아 방면으로 영토를 확대하고 미탄니를 공격하여 이집트 왕으로 처음으로 유프라테스강을 건너 카르케미쉬에 기념비를 세웠다.
- 알-쿠르누 산기슭에 "왕가의 계곡"이라고 불리는 전용 지하 묘소를 만들었으며, 이후 왕족들도 이 묘소를 사용하게 되었다.
기원전 1500년경 - 이집트의 여왕 하트셉수트 (이집트 제18왕조).
2. 2. 메소포타미아 및 아나톨리아
기원전 1700년 – 기원전 1500년: 후르족의 정복이 있었다.[1]기원전 1601년: 샤르마-아다드 2세가 아시리아의 왕이 되었다.[2]
기원전 1600년경: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학 문서 중 하나인 암미사두카의 금성 기록이 만들어졌다. 아슈르바니팔의 바빌론 도서관에서 발견된 이 문서의 사본은 금성(Venus)의 출현에 대한 21년의 기록이다. 초기 바빌로니아인들은 금성을 Nindaranna라고 불렀다.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을 약탈했다.
기원전 1595년경: 시리아 알레포에서 지배적인 아모리 왕조가 전복되었다.
기원전 1530년: 바빌론 제1왕조가 종말하고 카시트 왕조가 시작되었다. (이라크의 역사 참조)
기원전 1600년경: 초대 히타이트 왕 라바르나 1세가 통치했다. 라바르나 1세는 크즐으르마크 강 남안에 있는 쿠샤라에 도읍을 정하고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의 초대 왕이 되었다.
기원전 1531년경:
-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 왕 삼수-디타나를 무너뜨리고 바빌로니아를 공략했다.
- 히타이트가 철수한 후 바빌로니아에는 카시트인의 왕조가 성립했다(바빌론 제3왕조).
- 바빌로니아의 혼란으로 메소포타미아 북부 하부르 강 상류 유역에서 후리인의 미탄니 왕국이 성립했다.
- 후리인은 그 외에 티그리스 강 유역 북동부에 아라푸하 왕국을 형성했다. 특히 Nuzi|누지영어 유적(요르간 테페)이 유명하다.
기원전 1530년경: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의형제인 한틸리에 의해 암살당했다.
2. 3. 동아시아
- 기원전 1600년경
- * 하 왕조가 멸망하고 황하 유역에 은(상) 왕조가 성립(하상주 연표 프로젝트에 따름).
- ** 전승에 따르면 은의 천을(탕왕)이 하의 걸왕을 명조의 전투에서 꺾고 천자가 되었다.
- ** 이 사건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방벌에 의한 역성혁명으로 여겨지며, 천을은 현신 이윤을 기용한 성왕으로 칭송받았다.
- ** 2010년 허난성 신정 망경루 유적에서 은인이 하인을 학살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었다.[2]
- ** 허난성 정저우시 이리강 유적의 도성은 초기 은의 도읍 박으로 추정된다(이리터 문화 III기부터 이리강 문화).[2]
2. 4. 기타 지역
- 기원전 1700년 – 기원전 1500년: 후르족의 정복.
- 기원전 1601년: 아시리아의 왕 샤르마-아다드 2세 즉위.
- 기원전 1600년경: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학 문서 중 하나가 만들어짐. 아슈르바니팔의 바빌론 도서관에서 발견된 이 문서의 사본은 금성(Venus)의 출현에 대한 21년의 기록(암미사두카의 금성 기록) (초기 바빌로니아인들은 Nindaranna라고 불렀음).
- 기원전 1600년경: 최초로 발견된 고무 공.
- 기원전 1600년경: 초기 미케네 문화: 무기, 키클로페아 성벽 및 전차.
- 기원전 1600년경: 체코, 동유럽에서 우네티체 문화 종말.
- 페르시아에서 풍차 개발.
- 기원전 1600년경: 콜롬비아의 엘 모로 델 툴칸 피라미드 건설.
-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에 의한 바빌론 약탈.
- 기원전 1595년경: 시리아, 알레포에서 지배적인 아모리 왕조 전복.
- 기원전 1570년: 재난에도 불구하고 크노소스와 다른 중심지에서 크레타 궁전 번성.
- 기원전 1556년: 데우칼리온의 대홍수와 황금 시대의 종말 이후 아테네를 케크롭스 1세가 건설하거나 재건. 그는 그리스 신화의 일부로 여겨지는 삶의 기록을 가진 최초의 여러 아테네의 왕 중 한 명.
- 기원전 1550년경: 펠로폰네소스 북동부에 위치한 미케네시가 아카이아의 나머지 지역을 지배, 미케네 문명에 그 이름을 부여.
- 기원전 1530년: 바빌론 제1왕조의 종말과 카시트 왕조의 시작—이라크의 역사 참조.
- 기원전 1512년경: 데우칼리온의 대홍수는 오플라허티, 아우구스티누스, 유세비우스, 이시도르 (세비야 주교)에 따른 사건.
- 기원전 1506년: 전설적인 아테네의 왕인 케크롭스 1세가 50년 통치 후 사망. 자신의 아들을 제치고 크라나우스가 왕위 계승.
- 기원전 1500년경: 많은 학자들은 리그베다의 초기 부분을 대략 기원전 16세기로 추정.
- 기원전 1500년경: 이 시기의 이집트 무덤에서 수은 원소 발견.
- 기원전 1500년경: 그리스, 크레타의 정착민들이 터키 밀레토스로 이주.
- 기원전 1500년경: 벨리즈에서 마야 문명의 초기 흔적 발전.
- 기원전 15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알파벳을 개발—통신 기술 연표 참조.
- 기원전 1500년경: 인도-아리아인의 이동은 종종 기원전 17세기에서 16세기로 추정.
- 기원전 1500년경: 조로아스터 (Zaraθuštraae) 출생.
- 기원전 1600년경
- * 하 왕조 멸망, 황하 유역에 은(상) 왕조 성립(하상주 연표 프로젝트).
- ** 전승에 따르면 은의 천을(탕왕)이 하의 걸왕을 명조의 전투에서 꺾고 천자가 됨.
- ** 이 사건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방벌에 의한 역성혁명으로 여겨지며, 천을은 현신 이윤을 기용한 성왕으로 칭송.
- ** 은인이 하인을 학살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2010년에 발견된 허난성 신정 망경루 유적에 남아있음.
- ** 허난성정저우시이리강 유적의 도성이 초기 은의 도읍 박으로 추정(이리터 문화 III기부터 이리강 문화).
- 기원전 1600년경
- * 초대 히타이트 왕 라바르나 1세 치세.
- ** 라바르나 1세는 크즐으르마크 강 남안에 있는 쿠샤라에 도읍을 정하고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의 초대 왕이 됨.
- *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은 신궁전 시대(토기 편년 LMIA).
- ** 파이토스 원반 제작.
- ** 크노소스 궁전 서익부 1층 신전 보관소의 "미노아 뱀 여신상" 제작.
- * 그리스 본토에서 미케네 문명 발생(수혈묘(샤프트 묘)기 - 기원전 1450년경).
- ** 테살리아의 이올코스, 그리스 중부의 오르코메노스, 아르고스 평야의 미케네・티린스・미데아, 펠로폰네스 남서부의 필로스가 중요 유적.
- * 독일 중부 잘레란에서 출토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반 네브라 천문반 제작.
- ** 중앙 유럽 청동기 시대의 우네티체 문화 말기의 사례.
- * 스코틀랜드 앞바다 헤브리디스 제도의 Cladh Hallan영어의 미라 매장(- 기원전 1260년경).
- ** 그레이트브리튼 섬 권역 내에서 출토된 유일한 미라로, 인위적으로 복합 인체로 합성.
- * 안드로노보 문화에 속하는 카자흐스탄 북부 코스타나이 지방 리사코프스크의 분묘에 한 쌍의 말 매장.
- 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200년경
- * 비블로스의 Temple of the Obelisks영어 건립.
- 기원전 1582년/1581년
- * 전설적인 그리스의 데우칼리온의 홍수 발생.
- ** 이 기록은 에게해의 파로스 섬에서 출토된 대리석 비문 "파로스 연대기"에 있음. 이 비문은 기원전 1582년/1581년부터 기원전 264년/기원전 263년까지의 기사를 열거.
- 기원전 1550년경
- * 미노아 문명 최성기 (신 궁전 시대 (중기 청동기 시대 (도기 편년 LMIA))).
- ** 밀로스 섬의 필라코피, 산토리니 섬의 아크로티리, 키티라 섬의 카스트리, 로도스 섬의 트리다, 이오니아의 밀레토스까지 세력 확대.
- * 「아가멤논의 마스크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제작 ( - 기원전 1500년경).
- ** 이 마스크는 금으로 만든 장례용품으로, 미케네의 성벽 내 원형 묘지군 A의 5호 묘에 매장된 유해의 얼굴 위에 놓여 있었음.
3. 주요 인물
이름 | 지역 | 재위 기간 |
---|---|---|
세케넨라 | 이집트 제17왕조 | 기원전 1573년 |
카메스 | 이집트 제17왕조 | 기원전 1573년 - 기원전 1570년 |
아흐모세 1세 | 이집트 제18왕조 | 기원전 1570년 - 기원전 1546년 |
라바르나 1세 | 히타이트 | ? - 기원전 1565년경 |
무르실리 1세 | 히타이트 | ? - 기원전 1530년경 |
탕 임금(천을) | 은나라 | 기원전 1600년경 |
이윤 | 은나라 | 탕 임금 보좌 |
3. 1. 이집트
- 기원전 1574년경 - 상 이집트의 세케넨라가 이집트 제15왕조(대 힉소스)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제17왕조라고 불리며, 후대의 『아포피스와 세케넨라의 싸움』이라는 텍스트로 정리되었다.
- 기원전 1573년경 - 세케넨라가 사망한 후, 아들 카메스가 반란을 지속하며 영토를 확대했다.
- 기원전 1570년경 - 제17왕조의 카메스 사망. 동생 아흐모세 1세가 테베의 지배자가 되었다.
- 기원전 1560년경 - 이집트 제17왕조가 힉소스계 제15왕조의 수도 아바리스를 함락시켰다.
- 제15왕조의 왕 카무디는 이집트에서 철수하여 팔레스타인의 샤루헨으로 퇴거했다.
- 이집트 제15왕조에 종속되어 있던 제16왕조(소 힉소스)도 이 시기까지 붕괴되었다.
- 아흐모세 1세가 이집트를 통일하고 제18왕조를 성립시켰다(제17왕조와 제18왕조는 혈족).
- 테베가 수도가 되고, 이 지역의 지방신이었던 아문이 과거의 국가신 라와 습합되어 아문-라 신으로 숭배되었다.
- 기원전 1551년경 - 이집트에서 아멘호테프 1세가 즉위하고, 카르나크 신전의 조영이 시작되었다.
- 기원전 1524년경 - 투트모세 1세가 이집트에서 즉위(- 기원전 1518년경)하여 시리아 방면으로 영토를 확대하고 미탄니를 공격했다. 이집트 왕으로 처음으로 유프라테스강을 건너 카르케미쉬에 기념비를 세웠다.
- * 알-쿠르누 산기슭에 "왕가의 계곡"이라고 불리는 전용 지하 묘소를 만들었으며, 이후 왕족들도 이 묘소를 사용하게 된다.
3. 2. 히타이트
- 기원전 1600년경
- * 초대 히타이트 왕 라바르나 1세 치세.
- ** 라바르나 1세는 크즐으르마크 강 남안에 있는 쿠샤라에 도읍을 정하고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의 초대 왕이 되었다.
- 기원전 1590년경
- * 히타이트 왕 라바르나 1세 사망, 하투실리 1세 즉위 ( - 기원전 1540년경).
- ** 하투샤로 천도, 야흐마드와 알자와를 공격하여 히타이트 영토 확대.
- 기원전 1540년경
- * 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1세 사망, 손자 무르실리 1세 즉위.
- * 재위 중 알레포를 중심으로 한 아모리인 국가 야무하드를 멸망시킴.
- 기원전 1531년경
- *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바빌론 왕 삼수-디타나를 무너뜨리고 바빌로니아 공략.
- * 히타이트 철수 후 바빌로니아에 카시트인 왕조 성립(바빌론 제3왕조).
- 기원전 1530년경
- *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의형제 한틸리에게 암살당함.
- 기원전 1500년경
- * 히타이트 왕 텔리피누 치세.
- * 왕위 계승 원칙 등을 정한 "텔리피누 칙령(Telepinu Proclamation)" 정리.
- 라바르나 1세 -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 초대 왕 (재위 ? - 기원전 1565년경)
- 무르실리 1세 -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 왕 (재위 ? - 기원전 1530년경), 바빌론 제1왕조 멸망.
3. 3. 동아시아
- 기원전 1600년경
- * 하 왕조가 멸망하고 황하 유역에 은(상) 왕조가 성립하였다. (하상주 연표 프로젝트에 따름).
- ** 전승에 따르면 은의 천을(탕왕)이 하의 걸왕을 명조의 전투에서 꺾고 천자가 되었다.
- ** 이 사건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방벌에 의한 역성혁명으로 여겨지며, 천을은 현신 이윤을 기용한 성왕으로 칭송받는다.
- ** 은나라 사람들이 하나라 사람들을 학살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2010년에 발견된 허난성 신정 망경루 유적에 남아있다.
- ** 허난성정저우시이리강 유적의 도성이 초기 은의 도읍 박으로 추정된다.(이리터 문화 III기부터 이리강 문화)
- 탕 임금(천을) - 은나라 초대 왕 (재위 기원전 1600년경)
- 이윤 - 은나라 초기 정치가·아헝으로서 탕 임금을 보좌
4. 발명, 발견, 과학사
- 기원전 1534년 - 고대 이집트인들이 현존하는 최초의 신빙성 있는 항성 기록을 작성하였다.
- 기원전 1600년경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학 문서 중 하나가 만들어졌다. 아슈르바니팔의 바빌론 도서관에서 발견된 이 문서의 사본은 금성(Venus)의 출현에 대한 21년의 기록(초기 바빌로니아인들은 Nindaranna라고 불렀음)이다. : 암미사두카의 금성 기록.
- 기원전 1600년경 - 최초로 발견된 고무 공의 연대이다.
- 페르시아에서 풍차가 개발되었다.
- 기원전 1500년경 - 이 시기의 이집트 무덤에서 수은 원소가 발견되었다.
- 기원전 1500년경 - 페니키아인들이 알파벳을 개발하였다.—통신 기술 연표 참조.
참조
[1]
서적
The Sinitic Civilization Book II: A Factual History Through the Lens of Archaeology, Bronzeware, Astronomy, Divination, Calendar and the Annals
https://www.academia[...]
iUniverse
2018
[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archive.org/[...]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