꿰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꿰냐는 J. R. R. 톨킨이 창작한 인공어(conlang)로, 그의 소설 《반지의 제왕》과 《실마릴리온》 등에서 사용된다.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톨킨은 평생에 걸쳐 이 언어를 수정하고 발전시켰다. 꿰냐는 고대 엘프의 언어로, 텡과르 문자로 표기되며, 문법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다. 톨킨 사후, 그의 아들 크리스토퍼 톨킨에 의해 관련 자료가 출판되면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어휘나 문법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신꿰냐(Neo-quenya)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언어 - 신다린
신다린은 J. R. R. 톨킨이 창조한 인공어로, 꿰냐와 함께 공통 요정어에서 분화되었으며 톨킨의 작품 세계관에서 사용되고 웨일스어와 유사한 언어적 특성을 가지며 굴절어의 특징을 보인다. - 가운데땅의 언어 - 서부어
서부어는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이며, 톨킨은 웨스트론을 영어로 번역했다는 설정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언어를 실제 언어에 대응시키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했다. - SVO형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SVO형 언어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꿰냐 | |
---|---|
언어 정보 | |
이름 | 퀘냐 |
창시자 | J. R. R. 톨킨 |
창작 시기 | 1910년경–1973년 |
설정 세계 | 가운데땅 |
문자 | 라틴 텡과르 키르스 사라티 |
어족 | 인공어 |
세부 어족 | 예술어 |
더 세부 어족 | 창작 언어 |
ISO 639-3 | qya |
Linglist | qya |
Glottolog | quen1234 |
![]() | |
발음 (IPA) | /ˈkʷwɛɲja/ |
토착어 명칭 | 엘다린 |
역사 및 사용 | |
사용 집단 | 놀도르 |
사용 지역 | 중간계 |
사용 계층 | 높은 엘프 |
어원 | 공통 엘다린어 |
차용어 | 핀란드어,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음 |
기타 정보 | |
네오-엘다린 | 퀘냐를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는 사람들이 있음 |
2. 역사적 배경
톨킨은 잉글랜드를 위한 신화 창조를 구상했고, 꿰냐는 이 신화 창조의 주요 동기 중 하나로서 "고전적이고 굴절적인" 이중적인 미적 목표를 추구했다.[4] 그는 언어가 발전하면서 언어에 '개별적인 풍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역사와 신화가 필요하다고 느꼈다.[7][8] 톨킨에게 『반지의 제왕』은 "주로 언어학적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엘프 언어에 필요한 '역사'적 배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었다.[7]
톨킨 학자 디미트라 피미는 톨킨의 꿰냐 발명이 도덕적, 미적 목표에 부합하는 이상적인 언어를 찾기 위한 탐구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톨킨은 소리 상징을 사용하여 중간계의 소리와 언어를 통합하고, 언어가 유토피아적 영역인 발리노르의 엘프와 요정이 말하기에 적합한 이상적인 언어처럼 보이게 의도적으로 사용했다.[10]
톨킨은 실제 언어에서 꿰냐로 단어를 직접 빌려오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주요 예외는 Cynewulf의 고대 영어 시에서 찾은 에아렌델/에아렌딜이라는 이름이다.[21] 핀란드어의 영향은 '오다'라는 뜻의 ''tul-'' , '주다'라는 뜻의 ''anta-'' 와 같은 몇몇 꿰냐 단어에서 볼 수 있다.
Tom DuBois와 Scott Mellor는 꿰냐라는 이름 자체가 핀란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인 Kven의 이름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추정하지만, 톨킨은 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22]
일부 언어학자들은 꿰냐가 허구의 세계를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종류의 인공 언어의 예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집단 및 개인의 정체성을 창조할 수 있는 사회언어학적 맥락을 형성한다"는 점이 관찰되었다.[23]
2. 1. 언어 내적 역사
J. R. R. 톨킨은 1910~1911년경 버밍엄 킹 에드워드 학교에 다니면서 최초의 엘프 언어를 만들기 시작했다.[2] 그는 나중에 이 언어를 '꿰냐'(Qenya, 1915년경)라고 불렀고, 이후 철자를 '퀘냐'(Quenya)로 변경했다. 그는 이미 라틴어, 그리스어, 스페인어는 물론 고트어, 고대 노르드어, 고대 영어와 같은 여러 고대 게르만 언어에도 익숙했다.[3] 톨킨은 칼레발라의 핀란드 신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핀란드어를 접하게 되면서 그의 하이 엘프 언어에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영감을 얻었다. 톨킨은 퀘냐를 통해 "고전적이고 굴절적인" 이중적인 미적 목표를 추구했다.[4]톨킨은 비교 언어학과 계통수 모형을 인공 언어의 주요 도구로 사용했다. 그는 보통 원시 언어의 음운 체계부터 시작하여 각 자매 언어에 필요한 일련의 음운 변화를 발명했다. 톨킨은 평생 동안 자신이 만든 언어를 끊임없이 실험했으며, 이는 많은 수정을 거쳤다. 꿰냐는 개발의 여러 단계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많은 문법을 가지고 있었다. 1910년경에서 1920년경까지의 첫 번째 개념 단계인 "초기 꿰냐"에서 이 언어는 영어로는 "엘핀", 꿰냐 자체로는 "엘다리사"라고 불렸다. 개발은 지속적인 과정이었지만, 꿰냐는 주로 활용과 대명사 체계에서 문법에 많은 주요 수정을 겪었다. 그러나 어휘는 갑작스럽거나 극단적인 변화를 겪지 않았다.
"꿰냐" 철자는 때때로 "초기 꿰냐"와 후기 버전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꿰냐는 "Qenyaqetsa"에 설명된 것처럼 내부 역사, 어휘 및 문법 규칙이 후기 꿰냐와 다르다.[13] 예를 들어, 후기 꿰냐에서는 다른 대격이나 최종 자음군이 폐지되었다.[14]
1930년대 초, 톨킨은 엘프의 원시 언어가 신들의 언어인 발라린이라고 결정했다.
발라린 | 꿰냐 | 린다린 | 텔레린 |
---|---|---|---|
mb | m, umb | m, umb | m, emb |
nd | n, and | n, and | n, end |
ŋg | ŋ > n, ing | n, ing | ŋg, eng |
ŋgj | ny, iny, indy | ñ, ind | g, ang |
ŋgw | ŋw > nw, ungw | m, ungw | m, emb |
약 10년 후, 톨킨은 엘프 원시 언어의 기원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다. 발라르로부터 배우는 대신, 엘프는 엘프 언어족의 원시 언어가 된 원래 언어 '''퀘네린'''을 만들었다.[18] 이 새로운 언어를 위해 톨킨은 1930년대에 발라린을 위해 발명한 많은 어근을 유지했고, 이것은 "퀘네린 어근"이 되었다. 엘다린 언어족은 꿰냐, 텔레린, 신다린, 난도린으로 구성된다.
초기 꿰냐와 대조적으로, 꿰냐의 문법은 교착어인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융합어인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았으며,[20] 여기서 그는 꿰냐의 고도로 암호화된 변종인 파르마퀘스타와 같은 이중언어의 아이디어를 얻었을 것이다. 파르마퀘스타는 문학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발리노르에 어둠이 찾아온 후 중간계로 귀환한 놀도르들은 서로 꿰냐를 사용했다. 그러나 도리아스의 신다르 왕 싱골은 놀도르의 텔레리 학살을 알게 되자 그의 백성과 놀도르에게 꿰냐 사용을 금지하고 신다린만을 사용하도록 강요했다. 이 때문에 놀도르들도 신다린을 일상적인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고, 꿰냐는 놀도르의 공자들 사이에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전승의 언어로서 사라지지는 않았다.
중간계의 제3시대 (『반지의 제왕』의 시대)에는, 꿰냐는 공식적인 이름과 저작에만 사용되게 되었다. 인간과 엘프는 주로 서방어와 신다린을 일상어로 사용하며, 꿰냐는 의례나 인사에 사용되는 고상한 교양 언어로서 취급되었다. 꿰냐는 일종의 중간계의 라틴어라고 할 수 있다.
2. 2. 실제 발달 과정
J. R. R. 톨킨은 버밍엄 킹 에드워드 학교에 다니던 1910~1911년경 최초의 엘프어를 만들기 시작했다.[2] 그는 이 언어를 '꿰냐'(Qenya, 1915년경)라고 불렀다가, 이후 '퀘냐'(Quenya)로 철자를 변경했다.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 스페인어는 물론 고트어, 고대 노르드어, 고대 영어와 같은 여러 고대 게르만 언어에도 익숙했다.[3] 톨킨은 핀란드어를 접하고 핀란드어가 꿰냐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회고했다.[3] 그는 꿰냐를 국제 보조어로 사용하려는 의도는 없었지만,[5] 유럽 내에서 에스페란토를 지지했다.[6]톨킨은 평생 동안 자신이 만든 언어를 끊임없이 수정하고 발전시켰다. 꿰냐는 개발 단계에 따라 문법에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반지의 제왕(1954~1955년 출판) 출판 이후에는 문법 규칙에 큰 변화가 없었다. 이 시기 이후의 꿰냐를 "후기 꿰냐"(1950~1973년경)라고 한다.
1980년대가 되어서야 톨킨의 아들 크리스토퍼 톨킨이 가운데땅의 역사 시리즈를 통해 꿰냐에 대한 자료를 출판하면서 꿰냐 연구가 활발해졌다. 톨킨의 언어학적 실험으로 인해 꿰냐는 어휘나 문법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어, 팬들과 연구자들은 '네오꿰냐'(Neo-quenya)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930년대 초, 톨킨은 엘프의 원시 언어가 신들의 언어인 발라린이라고 설정했다. 그러나 10년 후, 엘프가 원시 언어 '''퀘네린'''을 만들었고, 이것이 엘프어족의 기원이 되었다고 설정을 변경했다.[18]
초기 꿰냐와 대조적으로, 꿰냐의 문법은 교착어인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융합어인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20] 꿰냐의 음운론 또한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쉽게 인식되지는 않는다.[14]
3. 문자
J. R. R. 톨킨은 자신이 창작한 언어를 기록할 때 대부분 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116] 언어의 내부 역사에 맞춰 자신만의 문자 체계를 고안했다.[117]
톨킨은 엘프들을 위해 많은 문자 체계를 상상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페아노르의 텡과르"이지만, 1919년경에 그가 처음 만든 것은 사라티라고도 불리는 "루밀의 텡과르"였다. 그는 망명 이전 놀도르 엘프들이 고대 꿰냐를 기록하기 위해 먼저 루밀의 사라티를 사용했다고 결정했다. 중간계에서 꿰냐는 꿰냐어로 ''certar''라고 불리는 "엘프 룬 문자" 또는 키르스를 사용하여 드물게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117]
꿰냐는 보통 텡과르(Tengwar) 문자로 표기되며, 사라티(Sarati)라는 보다 고대의 문자 역시 사용된다. 현재 꿰냐를 쓰는 사람들은 톨킨이 고안한 꿰냐 알파벳 표기안을 따라 글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음운론
J. R. R. 톨킨은 꿰냐 발음을 라틴어를 기반으로 했으며, 핀란드어의 영향을 받았다. 꿰냐에는 핀란드어에 있는 모음 조화와 자음 등급이 없고, 강세가 항상 단어의 첫 음절에 오지는 않는다. 핀란드어의 전설 모음 ''ö'', ''ä'', ''y''와 같은 요소는 꿰냐에 없지만, 음운론적으로 유사한 점으로는 무기음 무성 파열음이 없다는 점, 두 언어 모두에서 ''ti'' > ''si''로 발달한 점 등이 있다.[14] 톨킨이 라틴어를 기반으로 핀란드어 음운 규칙을 결합한 결과는 여러 면에서 그가 좋아했던 현대 로망스어인 이탈리아어와 유사했다.[50]
톨킨은 단어를 형성하기 위해 소리를 결합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후기 꿰냐에 대한 음운론적 규칙을 고안했다.
- 다음 자음만 음소적으로 쌍자음화된 형태(길어진 자음)를 갖는다.
- ''pp, tt, cc, mm, nn, ss, ll, rr''. (예외: "죽음"에 대한 꿰냐 ''effírië''[67]는 쌍자음 ''f''를 포함한다.)
- 이들은 중간에만 나타난다.[68] 쌍자음 파열음 ''pp, tt, cc''는 유기음이다.
- 톨킨은 공통 엘다린에서 최종 자음으로 "치음 ''t, s, d, th, n, r, l'' (''th''를 제외하고 모두 빈번함)과 순음 비음 ''m'' (빈번함)만 있었다"고 적었다. 또한 결합 ''-nt'' (대개 하나 이상의 굴절 요소의 합체)도 허용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st''도 허용되었을 것이다. 다른 자음군은 허용되지 않았다. ''y, w''는 자연스럽게 i, u와 같은 음절 형태를 접미 요소로 취했으므로 포함되지 않는다."[69] 이것들은 공통 엘다린에서 꿰냐로 진화했는데, 톨킨은 같은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m > n''; ''t, n, r''과 ''s''는 변동 없이 유지되었고; 최종 C.E. ''th''는 꿰냐 ''t''가 되었으며 최종 ''d > r''이 되었다. 따라서 "허용 가능한 최종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 ''n, r, l, s, t, nt''
- 꿰냐의 언어 감각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 꿰냐는 다음 초기 자음만 허용한다.
- ''p, t, c, f, s, h, hy, hw, m, n, ñ, v, l, hl, r, hr, y, w''.[70]
- 꿰냐는 다음 초기 자음군만 허용한다.
- ''x, ps, ty, ny, ly, qu, ñw'' (놀도린 꿰냐에서는 ''nw''가 되었다)[70]
- 꿰냐는 다음 중간 이중 자음군만 허용한다 (특히 흔한 것은 굵게 표시).
- ''ht, lc, '''ld''', lf, lm, lp, lqu, lt, lv, lw, ly, '''mb''', mn, '''mp''', my, '''nc''', '''nd''', '''ng''', '''nt''', '''nw''' ''(''ñw'' 초기만 해당), ''ny, '''ps''', pt, '''qu''', rc, rd, rm, rn, rp, rt, rs, rv, rw, ry, sc, st, sw, '''ts''', tw, ty, '''x'''''.[53]
- 꿰냐는 삼중 자음(또는 그 이상) 결합을 허용하지 않으며, ''c, h, g''가 ''w''로 이어지거나 ''h, t, d''가 ''y''로 이어지는 경우를 제외한다. 따라서 꿰냐는 다음 12개의 삼중 자음군만 허용한다.
- ''nqu'', lqu, ''rqu'', ''squ'', ''ngw'', ''rhw'', ''nty'', ''lty'', ''hty'', ''rty'', ''sty'', ''lhy''.
- 삼중 자음 발음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hty'' 놀도린 꿰냐, 바냐린 꿰냐,[71]
- ''sty'' 놀도린 꿰냐, 바냐린 꿰냐 (cf. 폴란드어의 ''ść'' vs. ''szcz''),[72]
- 다른 모든 경우에 ''y''와 ''w''는 자음군 뒤에 음절 ''i, u''가 되었다.[73]
- 꿰냐는 두 개의 다른 파열음의 결합을 허용하지 않는다. "고대에는 ''pt, ct''와 같이 발생했던 경우,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열리고 마찰음이 되었다."[73]
- 신다린과 마찬가지로, 결합 ''ft''는 피한다.[71]
대부분의 자음은, 특히 다음 것에 관해서 상당히 확실하다.
- h: 때때로
- qu:
- nw:
- ng:
- ngw:
- hy:
- hw:
- ty:
- ly:
- ny:
4. 1. 모음
꿰냐에는 5개의 모음(꿰냐 ''ómar'')이 있으며, 길이에 따라 구분된다. 단모음은 /a, e, i, o, u/이며 장모음은 ⟨á, é, í, ó, ú⟩와 같이 윗점(acute accent)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모음의 정확한 음질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발음은 영어의 이중 모음보다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의 "순수한" 모음에 더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53] Pesch에 따르면, 모음 /a, i, u/의 경우 단모음과 장모음은 핀란드어나 폴란드어의 모음과 유사하게 동일한 모음 음질을 갖는다. 그러나 모음 /e, o/의 경우 단모음은 각각 와 에 가깝게 약간 낮게 발음되는 반면, 장모음은 고중모음 와 로 발음된다.[61] 톨킨에 따르면 ⟨é⟩와 ⟨ó⟩는 엘프가 정확하게 발음할 때 단모음보다 약간 "더 긴장되고 '더 닫힌'" 소리가 난다고 한다.[62]
후기 놀도린 꿰냐에는 6개의 이중 모음(꿰냐 ''ohloni'')이 있다: /iu, eu, ai, au, oi, ui/. 이들 모두는 하강 이중 모음이지만, /iu/ ()는 상승 이중 모음이다.[64]
4. 2. 자음
꿰냐 자음 체계는 순음 (입술 관련), 치음 (혀와 치아 뒷부분 관련), 치경음 (혀와 턱의 치조융기 관련), 구개음 (혀와 입천장 중간 부분 관련), 연구개음 (혀 뒤쪽과 입천장 뒤쪽 관련), 성문음 (성대 관련)의 6개 주요 발음 위치를 가진다. 치음 마찰음 (θ)과 유성 치경 마찰음 (z)은 바냐린 방언에서 나타나지만, 놀도린 꿰냐에서는 각각 (s)와 (r)로 점차 대체되었다.[51] 특히 유성 파열음은 비음과 유음 뒤에만 나타난다. 즉, 단독 (b, d, ɡ)는 존재하지 않고 (mb, (lb,) nd, ld, rd, ŋɡ)와 같은 자음군만 존재하며, 이들은 모음 사이에만 나타난다. (바냐린 꿰냐에서는 사실이 아닐 수 있다.)[52][53] 비음화 자음은 꿰냐에서 두드러지며, 고유한 ''텡과르''를 포함한다. 다음 표는 고전 놀도린 자음 목록을 나타낸다. 자음 묶음은 반모음 (w)와 (j)와의 결합을 제외하고 단어 중앙 부분에서만 발생한다.[54]순음 | 치경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p) (b) | (t) (d) | (k) (ɡ) | ||
마찰음 | (f) (v) | (s) | (ç) | (x) | (h) |
전동음 | (r) | ||||
반모음 | (ʍ) (w) | (j) | |||
설측음 | (l) |
꿰냐 정자법(라틴 문자를 사용)은 IPA를 따르지만, (k) 대신 (c)를 사용하고, 다른 연구개음이 뒤따르지 않는 [ŋ]은 (ñ)로 표기한다(초기 꿰냐에서는 'Ñoldor'와 같이 발생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n)으로 표기한다). 또한 [ç ʍ] 자음은 digraph (hy hw)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digraph (ty ndy)는 [t ⁿd]의 구개 파열음인 [c ⁿɟ]의 변이음을 나타낼 수 있지만 독립적인 음소는 아니다. 또한 (ht) 군의 (h)는 (e) 또는 (i) 뒤에서는 [ç]를, 다른 모음 뒤에서는 [x]를 나타낸다. 어떤 경우에는 'Helcaraxë'에서처럼 /ks/ 조합에 (x)가 사용되었다.[49]
일부 자음은 특정 다른 자음과 묶여 나타날 때 다르게 실현된다. 이는 특히 근사음 /w, j/ 또는 성문 마찰음 /h/을 포함하는 자음군에 해당한다. 두 번째 자음이 /j/인 자음군은 구개음화된 자음으로 실현되며, 두 번째 자음이 /w/인 자음군은 순음화된 자음으로 실현된다. 첫 번째 자음이 /h/인 자음군은 유기음화되고 무성음화되어 실현된다.[49]
4. 3. 음절 구조 및 강세
꿰냐에서 음절 강세는 예측 가능하며, 단어의 의미를 바꾸지 않는다. 2음절 단어는 첫 음절에 강세를 둔다. 3음절 이상인 단어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무거우면 거기에 강세를 두고, 아니면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강세를 둔다. 꿰냐에서 무거운 음절은 장모음, 이중 모음 또는 종성 자음(따라서 모음 사이의 자음군: ll, ld, mm, ss, ny, ry 등)을 포함하는 음절이다. 중간에 hy와 hw는 파르마퀘스타에서는 음절을 닫지만, 타르퀘스타에서는 일상적으로 닫지 않는다. 꿰냐는 또한 부차 강세를 갖는다. 강세의 위치와 무거운 음절과 가벼운 음절의 구분은 꿰냐 시에서 중요하다.[49]5. 문법
꿰냐는 교착어이며, 대부분 접미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즉, 여러 단어 입자가 덧붙여져 결합된다.[14] 꿰냐는 기본적으로 동사, 명사와 대명사/한정사, 형용사 및 전치사로 구성된다.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굴절된다. 동사는 시제와 상, 그리고 주어와 목적어와의 일치에 따라 굴절된다. 초기 꿰냐에서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격과 수에서 일치했지만, 후기 꿰냐에서는 이러한 일치가 사라졌다.[14]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섹션의 예시는 1951년 이후 톨킨이 구상한 후기 꿰냐를 따른다.
꿰냐 명사는 최대 4개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단수, 일반 복수 ("복수 1"), 특정/분할 복수 ("복수 2"), 그리고 이중수.[74] 후기 꿰냐인 타르퀘스타에서, 복수는 명사의 주격 형태에 접미사를 붙여서 형성된다: "복수 1"의 경우 접미사는 ''-i'' 또는 ''-r''; "복수 2"의 경우 접미사는 ''-li''이다.[75] 꿰냐 명사는 활용되어 격을 이룬다. 파르마퀘스타 꿰냐는 10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4개의 주요 격( 주격, 대격, 소유격, 구격)과 3개의 부사적 격( 향격(그 중 여격은 축약된 형태이다), 위격(또한 축약된 형태를 가진다), 탈격), 그리고 소유격 또는 형용사적 격이 포함된다.[76] 그러나 대격은 파르마퀘스타에서만 사용되었으며, 후기 구어 꿰냐에서는 주격으로 대체되었다.[77]
후기 꿰냐에서 단수 어미는 ''-a, -ë, -ëa''이며, ''-ina''의 축약형으로 여겨지는 드문 형태 ''-in''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복수 형태는 ''-ë, -i, -ië''이며, 아마도 ''-inë''도 있을 수 있다. 후자의 형태는 그러나 증명되지 않았다.[78] 꿰냐 형용사는 명사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79] 이 경우 명사처럼 활용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을 뜻하는 ''vinya''는 ''vinya'''r''''', "소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80]
꿰냐에서는 전치사와 부사의 형태가 유사한 점이 많은데, 문법적 격이 이미 동사와 대상의 관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안''' 이 팔말리 ''='' 이 팔말리'''ㄴ나'''(ㄹ)'' "많은 파도 위에"
전치사 ''안''은 ''-ㄴ나'' 격 어미와 관련이 있다.
꿰냐 문법의 모든 부분과 마찬가지로, 대명사 체계 역시 톨킨의 생애 동안 여러 차례 수정되었으며, 2007년 ''Vinyar Tengwar'' 49호에 어미 목록이 출판되기 전까지는 체계적인 자료가 없었다.[82] 후기 꿰냐에서 대명사는 독립형과 접미사 형태를 모두 갖는다.[83][84]
독립형 대명사는 각각 강조와 일반 대명사로 사용되는 짧은 형태와 긴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다. 강조형의 예는 다음과 같다: emmë|엠메qya, elyë|엘례qya, entë|엔테qya (1인칭에서 3인칭 복수).[85] 이러한 강조형 분리 대명사는 초기 꿰냐에도 있었지만, 후기 버전과는 달랐다(예: 복수: tûto|투토qya, sîse|시세qya, atta|앗타qya).[86]
"나는 그를 사랑한다"(혹은 "그녀를")는 꿰냐로 Melinyes|멜리녜스qya 또는 Melin sé|멜린 세qya로 표현할 수 있다.[87] "나는 그들을 사랑한다"는 Melinyet|멜리녯qya 또는 Melin té|멜린 테qya가 될 것이다(이 두 형태는 재구성된 형태이다).
대명사가 문장의 주어일 경우, 동사에 연결되어 동사 바로 앞의 독립된 단어 또는 굴절된 동사 뒤의 접미사로 나타난다. 접미사 형태에서는 -s|-스qya (단수)와 -t|-트qya (복수 및 이중수)가 3인칭의 목적어로서 긴 주격 대명사에 추가될 수 있다:[88][89]
:utúvie-nye-s|우투비에녜스qya, 문자 그대로 "찾았다-나-그것",[90] "내가 그것을 찾았다" ( 아라곤이 백색 나무의 묘목을 발견했을 때의 외침과 비교)[91]
:utúvie-lye-s|우투비엘례스qya, "너는 그것/그/그녀를 찾았다".
:utúvie-lye-t|우투비엘례트qya, "너는 그들을 찾았다".
사람을 묘사하는 데만 사용되었던 특정 증명된 남성 및 여성 대명사가 '반지의 제왕'에서 발견되는 후기 꿰냐에도 여전히 적용되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92]
소유 한정사(영어의 "my", "his" 등과 유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소유자의 인칭과 수를 표시하며, 부착되는 명사의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된다. 영어는 남성 및 여성 단수 소유자를 구별하지만("his" vs. "her"), 후기 꿰냐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다.[93]
"여러 사람의 신체 부위를 묘사할 때 꿰냐 관용어는 각 개인에게 적합한 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쌍으로 존재하는 신체 부위(손, 눈, 귀, 발 등)의 복수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mánta|만타qya "그들의 손"이 (그들이) 그들의 손(각자 하나씩)을 들었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mántat|만탓qya (그들이) 그들의 손(각자 둘 다)을 들었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mánte|만테qya는 사용될 수 없다."[94]
:Ortanentë manta.|오르타넨테 만타.qya "그들은 그들의 손을 들었다."
:Ortaner manta.|오르타네르 만타.qya "그들은 그들의 손을 들었다."
:Varda ortanë máryat.|바르다 오르타네 마랴트.qya "바르다는 그녀의 (두) 손을 들었다."[95]
일반적인 복수 어미는 -r|-르qya이며, hildinyar|힐디냐르qya는 "나의 상속자들"이다.[96]
지시사는 화자가 지칭하는 대상에 대해 세 가지 구분을 한다.
:sina|시나qya, "이것";
:tana|타나qya, "저것 (저기에)";
:enta|엔타qya, "저것 (저 멀리, 우리 둘 다로부터 멀리)".[97]
톨킨에 따르면, "[꿰냐] 동사의 굴절은 항상 꽤 규칙적"이며,[98] 꿰냐 동사는 ''인칭형'' 또는 ''비인칭형''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언어학에서 ''비인칭 동사''는 어떤 특정 사람, 장소 또는 사물의 행동, 발생 또는 상태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참된 주어를 가질 수 없는 동사이다. 톨킨은 "비인칭"의 사용을 이렇게 의도하지 않았다. ''비인칭 동사'' 형태는 carë|카레qya (단수) 또는 carir|카리르qya (복수)와 같이 대명사가 첨부되지 않은 동사이다. carin|카린qya, "나는 (습관적으로) 한다"는 인칭형이다 (-n|-ㄴqya과 함께, "나, 나를"에 대한 짧은 접미사). 톨킨이 설명했듯이, 꿰냐의 동사는 비인칭 시제 형태의 적절한 동사 앞에 "부정 동사" ua-|우아-qya를 사용하여 부정된다.[99]
톨킨은 "강조 대명사가 별도로 사용될 때 동사는 (수 외에는) 굴절이 없다"고 언급했다.[100]
:Finwë cára.|핀웨 카라.qya "핀웨가 (지금) 만들고 있다."
:Quendi cárar.|퀜디 카라르.qya "엘프들이 만들고 있다."
:Cáranyë.|카라녜.qya "나는 만들고 있다."
:Cárammë.|카람메.qya "우리는 만들고 있다."
:Essë cára.|엣세 카라.qya "그는/그녀는 (정말로) 만들고 있다."
:Emmë cárar.|엠메 카라르.qya "우리는 (정말로) 만들고 있다."
후기 꿰냐 동사에는 또한 이중 일치 형태소 -t|-트qya가 있다.
:Nai siluva'''t''' elen atta.|나이 실루밧 엘렌 앗타.qya "두 개의 별이 빛나기를."[101]
명령법에서는 복수와 이중성이 표현되지 않는다. ''일치는 없습니다.'' 동사는 단수로 유지된다.[102]
후기 꿰냐의 연결 동사는 동사 na-|나-qya이다. 톨킨은 연결 동사가 어떤 것이 특정 품질을 갖거나 다른 것과 같다고 주장하는 (또는 바라는) 진술 (또는 소망)에서 형용사, 명사 및 대명사를 결합하는 데만 사용되었으며, 의미가 명확할 때는 연결 동사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103] 그렇지 않으면, 연결 동사가 생략되어 추가적인 문맥이 없을 때 모호한 시제를 제공할 수 있다.
:Eldar ataformaiti|엘다르 아타포르마이티qya는 영어로 "엘프는 양손잡이이다" 또는 "엘프는 양손잡이였다"로 번역될 수 있다.[104]
:A mára|아 마라qya. "A는 좋다" 또는 "A는 좋았다".[103]
꿰냐는 라틴어와 같이 굴절어이기 때문에 유연한 어순을 허용한다. 그럼에도 어순 규칙이 있다. 일반적인 구조는 주어-동사-목적어이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6. 어휘
톨킨의 엘프어 관련 저작이 많이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어휘 수는 알기 어렵지만, 2008년까지 약 25,000개의 엘프어 단어가 출판되었다.[106]
영어 | 꿰냐 | 신다린 대응어 |
---|---|---|
흙 | ambarqya, cemenqya | amarsjn, cevensjn |
하늘 | menelqya | menelsjn |
물 | nénqya | nensjn |
불 | nárqya | naursjn |
남자 | nérqya | bennsjn |
여자 | nísqya | besssjn |
먹다 | mat-qya | mad-sjn |
마시다 | suc-qya | sog-sjn |
키가 큰, 위대한 | altaqya, hallaqya | belegsjn, daersjn |
작은 | pityaqya, tittaqya | nibensjn, tithensjn |
밤 | lómeqya | dûsjn |
낮 | aurëqya, réqya | aursjn |
7. 숫자
크리스토퍼 톨킨에 따르면, 엘다르는 육진법(또는 십이진법)과 오진법(또는 십진법)의 두 가지 숫자 체계를 사용했다.[111] 이는 십이진법과 십진법 체계이다. J. R. R. 톨킨이 '십진법 체계'를 위해 만든 꿰냐 단어는 ''마콰노티에'' - "손으로 세기"이다.[112]
1–20까지 알려진 숫자는 아래 표와 같으며, 초기 꿰냐("초기 꿰냐 문법")의 숫자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
기수 | 서수 | 분수 | ||||||
---|---|---|---|---|---|---|---|---|
번호 | 꿰냐 | 영어 | 번호 | 꿰냐 | 영어 | 번호 | 꿰냐 | 영어 |
1 | minqya | 하나 | 1st | minyaqya | 첫째 | 1/1 | kainaqya, quantaqya | 전체 |
2 | atta, tataqya | 둘 | 2nd | attëa, tatyaqya | 둘째 | 1/2 | peresta, pertaqya | 반 |
3 | neldë, nelqya | 셋 | 3rd | neldëa, nelyaqya | 셋째 | 1/3 | nelesta, neldesta, nelta, nelsaqya | 셋째 |
4 | canta, canqya | 넷 | 4th | cantëaqya | 넷째 | 1/4 | canasta, casta, cansatqya | 넷째, 4분의 1 |
5 | lempë, lemen, maquaqya | 다섯 | 5th | lempëaqya | 다섯째 | 1/5 | lepesta, lepsatqya | 다섯째 |
6 | enquëqya | 여섯 | 6th | enquëaqya | 여섯째 | 1/6 | enquestaqya | 여섯째 |
7 | otsoqya | 일곱 | 7th | otsëaqya | 일곱째 | 1/7 | otosta, osta, otsatqya | 일곱째 |
8 | toldo, toltoqya | 여덟 | 8th | toldëa, toltëaqya | 여덟째 | 1/8 | tolosta, tosta, tolsatqya | 여덟째 |
9 | nertëqya | 아홉 | 9th | nertëaqya | 아홉째 | 1/9 | neresta, nesta, nersatqya | 아홉째 |
10 | quëan, quain, maquatqya | 열 | 10th | quainëaqya | 열째 | 1/10 | *quaista, caistaqya | 열째 |
11 | minqueqya | 열하나 | 11th | *minquëaqya, minquenyaqya | 열한째 | 1/11 | minquestaqya | 열한째 |
12 | yunquë, rastaqya | 열둘 | 12th | *yunquëa, *rastëaqya | 열두째 | 1/12 | yunquesta, *rastastaqya | 열두째 |
13 | *nelquë, quainel, yunquentaqya | 열셋 | 13th | *nelquëa, *yunquentëaqya | 열셋째 | 1/13 | *nelquesta, *yunquentestaqya | 열셋째 |
14 | canquë, quaicanqya | 열넷 | 14th | *canquëaqya | 열넷째 | 1/14 | *canquestaqya | 열넷째 |
15 | lepenquë, quailepenqya | 열다섯 | 15th | *lepenquëaqya | 열다섯째 | 1/15 | *lepenquestaqya | 열다섯째 |
16 | enenquë, quainquëqya | 열여섯 | 16th | *enenquëaqya | 열여섯째 | 1/16 | *enenquestaqya | 열여섯째 |
17 | otoquëqya | 열일곱 | 17th | *otoquëaqya | 열일곱째 | 1/17 | *otoquestaqya | 열일곱째 |
18 | tolquë, nahtaqya | 열여덟 | 18th | *tolquëaqya | 열여덟째 | 1/18 | *tolquestaqya | 열여덟째 |
19 | neterquëqya, húkeaqya | 열아홉 | 19th | *neterquëaqya, hukaiyaqya | 열아홉째 | 1/19 | *neterquestaqya | 열아홉째 |
20 | *yuquainqya, yukainenqya | 스무 | 20th | *yuquainëaqya, yukainenyaqya | 스무째 | 1/20 | *yuquaistaqya, yukainentyaqya | 스무째 |
다른 증명된 숫자 단어로는 '첫 번째'를 뜻하는 ''esta''와 ''inga''가 있다. 톨킨은 "어원"에서 조사가 붙어 있는 ''esta''에 만족하지 않았다.[113] ''마콰''는 영어 단어 "5개 한 벌"과 같이, 구체적으로 사물 "다섯 개 한 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마콰트'' "다섯 쌍"은 사물 열 개 한 벌을 나타낸다. 13을 뜻하는 단어 ''윤퀘타''는 문자 그대로 "12와 하나 더"를 의미한다.[114]
20 이상의 "퀘냐" 숫자는 작은 단위가 먼저 온다는 것을 보여주며, min yukainenqya "21"은 "하나-스무"이며, 이는 텡과르로 쓰이는 방식을 반영한다.[115]
꿰냐 숫자는 십이진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숫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왼쪽이 큰 자리수로 "백사십사의 자리|십이의 자리|일의 자리" 순서로 진행되는 것에 반해, 꿰냐 숫자는 왼쪽이 작은 자리수로 "일의 자리|십이의 자리|백사십사의 자리" 순서로 진행된다.
십진 영숫자 | 십이진 영숫자 | 꿰냐 숫자 | 꿰냐 수사 |
---|---|---|---|
0 | 0 | ð | - |
1 | 1 | ñ | minqya |
2 | 2 | ò | attaqya |
3 | 3 | ó | neldëqya |
4 | 4 | ô | cantaqya |
5 | 5 | õ | lempëqya |
6 | 6 | ö | enquëqya |
7 | 7 | ÷ | otsoqya |
8 | 8 | ø | toldoqya |
9 | 9 | ù | nertëqya |
10 | A | ú | quainqya |
11 | B | û | minquëqya |
12 | 10 | ðñ | rastaqya |
십진 영숫자 | 십이진 영숫자 | 꿰냐 숫자 | 꿰냐 수사 |
---|---|---|---|
13 | 11 | ññ | min rastaqya |
14 | 12 | òñ | atta rastaqya |
15 | 13 | óñ | neldë rastaqya |
16 | 14 | ôñ | canta rastaqya |
17 | 15 | õñ | lempë rastaqya |
18 | 16 | öñ | enquë rastaqya |
19 | 17 | ֖ | otso rastaqya |
20 | 18 | øñ | toldo rastaqya |
21 | 19 | ùñ | nertë rastaqya |
22 | 1A | úñ | quain rastaqya |
23 | 1B | ûñ | minquë rastaqya |
24 | 20 | ðò | yurastaqya |
십진 영숫자 | 십이진 영숫자 | 꿰냐 숫자 | 꿰냐 수사 |
---|---|---|---|
12 | 10 | ðñ | rastaqya |
24 | 20 | ðò | yurastaqya |
36 | 30 | ðó | nelerastaqya |
48 | 40 | ðô | canarastaqya |
60 | 50 | ðõ | leperastaqya |
72 | 60 | ðö | enerastaqya |
84 | 70 | ð÷ | otorastaqya |
96 | 80 | ðø | tolorastaqya |
108 | 90 | ðù | neterastaqya |
120 | A0 | ðú | quairastaqya |
132 | B0 | ðû | minquairastaqya |
십진 영숫자 | 십이진 영숫자 | 꿰냐 숫자 | 꿰냐 수사 |
---|---|---|---|
12 | 10 | ðñ | rastaqya |
144 | 100 | ððñ | tuxaqya |
1728 | 1000 | ðððñ | mencëqya |
20736 | 10000 | ððððñ | rastamencëqya |
십진 영숫자 | 십이진 영숫자 | 꿰냐 숫자 | 꿰냐 수사 |
---|---|---|---|
50 | 42 | òô | atta canarastaqya |
90 | 76 | ö÷ | enquë otorastaqya |
333 | 239 | ùóò | nertë nelerasta yutuxaqya |
1080 | 760 | ðö÷ | enerasta ototuxaqya |
8848 | 5154 | ôõñõ | canta leperasta tuxa lepemmencëqya |
8. 작품
J. R. R. 톨킨은 1910~1911년경 버밍엄 킹 에드워드 학교에 다니면서 최초의 엘프 언어를 만들기 시작했고, 1915년경에 이 언어를 '꿰냐'(Qenya, 이후 철자를 '퀘냐'(Quenya)로 변경)라고 불렀다.[2] 그는 핀란드어를 접하면서 하이 엘프 언어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3] 톨킨은 꿰냐를 국제 보조어로 사용하려는 의도는 없었지만, 에스페란토에는 찬성했다.[5][6] 톨킨에게 언어는 '개별적인 풍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역사와 신화가 필요했고, 『반지의 제왕』은 "주로 언어학적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다.[7]
톨킨은 비교 언어학과 계통수 모형을 사용하여 언어를 만들었으며, "언어의 구성과 상호 관계를 『반지의 제왕』과는 별개로 그 자체로 미적인 즐거움으로 여긴다."라고 말했다.[12] ''빈야르 텡과르''와 ''파르마 엘달람베론''은 톨킨의 미발표 언어학 논문을 편집 및 출판하는 데 전념하는 저널이다.[24][25] 1992년 언어학자 헬게 포스캉거에 따르면, 톨킨 학자 앤서니 애플야드는 'Quenya Grammar Reexamined'에서 퀘냐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최초의 포괄적인 시도를 했다.[27][28]
2008년, 전산 언어학자 폴 스트랙은 엘프 데이터 모델(Eldamo)을 만들어 톨킨의 모든 언어에 대한 어휘집을 제공했다. Eldamo는 톨킨의 창작물을 세 기간(초기, 중기, 후기)으로 나누고, 퀘냐의 형태는 각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29]
초기 (1910 ~ 1930) | 중기 (1950년까지) | 후기 (1973년까지) |
---|---|---|
초기 원시 엘프어, 초기 퀘냐 | 중기 원시 엘프어, 중기 고대 퀘냐, 중기 퀘냐, 린다린 | 원시 엘프어, 고대 퀘냐, 퀘냐, 바냐린 |
언어학자 알렉산더 스테인턴은 2022년에 퀘냐의 운율 구조에 대한 분석을 발표했다.[30] 꿰냐의 고유 명사는 가운데땅의 사람과 사물의 이름이다.[88][107]
예시:
- Estëqya "휴식"
- Indisqya "신부"
- 멜코르(Melkor)qya "힘으로 일어나는 자"
- 아이눌린달레(Ainulindalë)qya "아이누의 음악"
- 엘다마르(Eldamar)qya "엘다르의 고향"
- 헬카락세(Helcaraxë)qya "얼음의 턱"
- 마르-누-팔마르(Númenor)qya "파도 아래의 땅"
- Mindon Eldaliévaqya "엘프 민족의 높은 탑"
- 궨타 실마릴리온(Quenta Silmarillion)qya "실마릴 이야기"
8. 1. 유명한 작품
- Namáriëqya (나마리에) : 반지의 제왕(LotR) 1부 2권 8장에 있는 글이다.[91]
- Oilima Markiryaqya ("마지막 방주"), Nieninqeqya, Earendelqya : 톨킨의 강연 "비밀의 악습"에서 언급되었고, 1983년 《괴물들과 비평가들》에 출판되었다.[124]
- "나르켈리온" : 1915년 11월과 1916년 3월 사이에 쓰여진 초기 꿰냐 또는 엘핀으로 쓰인 시이다. 험프리 카펜터가 그의 《전기》에 잘못된 단편을 출판했고, 시 전체의 팩시밀리는 1999년에 출판되었다.[124]
- elen síla lúmenn' omentielvoqya : 호빗이 요정들에게 하는 인사말이다.[91]
- Et Eärello Endorenna utúlien. Sinomë maruvan ar Hildinyar tenn' Ambar-metta!qya : 엘렌딜이 중간계에 도착했을 때 한 말이며, 아라고른이 대관식에서 반복한 말이다. "위대한 바다에서 중간계로 내가 왔노라. 이 곳에 머무르리라, 그리고 세상의 끝까지 나의 후손들도!"라는 뜻이다.[91]
- A vanimar, vanimálion nostariqya : 나무수염이 켈레보른과 갈라드리엘에게 하는 인사말이다. "오, 아름다운 이들이여, 아름다운 아이들의 부모여"라는 뜻이다.[121]
- Aiya Eärendil Elenion Ancalima!qya : 샘이 실로브에게 갈라드리엘의 병을 사용할 때 외치는 소리이다. "아, 에아렌딜, 가장 밝은 별이여!"라는 뜻이다.[122]
- Utúlie'n aurë! Aiya Eldalië ar Atanatári, utúlie'n aurë!qya : 헤아릴 수 없는 눈물의 전투 전에 핑곤이 외친 말이다. "날이 왔다! 엘다르와 인간의 아버지들이여, 날이 왔다!"라는 뜻이다.[123]
8. 2. 꿰냐가 사용된 기타 작품 예시
- '''프로도의 인사:''' Elen síla lúmenn' omentielvo|엘렌 실라 루멘 오멘티엘보|우리들의 만남의 때, 하나의 별이 빛난다qya[110]
- '''엘렌딜의 맹세:''' Et Eärello Endorenna utúlien. Sinomë maruvan ar Hildinyar tenn' Ambar-metta!|에트 에아렐로 엔도렌나 우툴리엔. 시노메 마루반 아르 힐디냐르 텐 암바르-멧타!|위대한 바다에서 중간계로 내가 왔노라. 이 곳에 머무르리라, 그리고 세상의 끝까지 나의 후손들도!qya[91]
- '''샘의 외침:''' Aiya Eärendil Elenion Ancalima!|아이야 에아렌딜 엘레니온 안칼리마!|아, 에아렌딜, 가장 밝은 별이여!qya[122]
9. 현대의 꿰냐 사용
1970년대부터 팬들은 꿰냐로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시, 텍스트, 구절, 이름, 심지어 문신 등에 사용되고 있다.[31] 그러나 J. R. R. 톨킨은 꿰냐를 대화에 충분할 정도로 완벽하게 만들지 않았다. 그 결과, 새로 만들어진 엘프어 텍스트는 추측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31] 꿰냐의 사용은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면서 수년에 걸쳐 확장되었으며, 톨킨의 오리지널 꿰냐를 기반으로 하지만 많은 새로운 요소를 통합한 네오꿰냐(Neo-Quenya) 언어를 형성했다.[32]
꿰냐와 그 표기 체계인 텡과르(Tengwar)는 취미 활동 및 공공 영역 작품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33]
참조
[1]
문서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2]
서적
Encyclopedia of Fictional and Fantastic Languag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문서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4]
문서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1964-06-15
[5]
서적
[6]
서적
[7]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Monsters and the Critics, and Other Essays
[12]
문서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13]
문서
Qenyaqetsa: The Qenya Phonology and Lexicon by J. R. R. Tolkien
Parma Eldalamberon
[14]
학회발표논문
The Finnicization of Quenya
https://books.google[...]
Arda Society
[15]
서적
[16]
서적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17]
서적
[18]
문서
Lambion Ontale: Descent of Tongues
Parma Eldalamberon
[19]
서적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20]
문서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21]
서적
J. R. R. Tolkien: A Biography
Houghton Mifflin
[22]
학술지논문
The Nordic Roots of Tolkien's Middle Earth
https://www.questia.[...]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23]
학술지논문
Virtual languages i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literature
http://www.sabinet.c[...]
[24]
서적
[25]
서적
Reference works in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Libraries Unlimited
[26]
문서
Parma Eldalamberon
Parma Eldalamberon
[27]
학술지논문
Tolkienian Linguistics: The First Fifty Years
https://muse.jhu.edu[...]
Project MUSE
[28]
웹사이트
Quenya Grammar Reexamined
http://tolklang.quet[...]
1995-03-07
[29]
웹사이트
Eldamo – An Elvish Lexicon
https://eldamo.org/i[...]
2022-12-11
[30]
학술지논문
Quenya Prosodic Structure
https://ojs.lib.uwo.[...]
2022
[31]
학회발표논문
Practical Neo-Quenya
https://books.google[...]
Arda Society
[32]
서적
The J. R. R. Tolkien Companion and Guide
Houghton Mifflin
[33]
웹사이트
The Tolkienian Linguistics FAQ
https://www.elvish.o[...]
2024-08-05
[34]
학술지논문
Quenya Phonology: Comparative Tables, Outline of Phonetic Development, Outline of Phonology
[35]
서적
[36]
서적
The Silmarillion
[37]
간행물
Tengwesta Qenderinwa
[38]
서적
(Unspecified)
1994
[39]
간행물
Tengwesta Qenderinwa 2
[40]
간행물
Words, Phrases and Passages
[41]
서적
Part Four. Quendi and Eldar: Appendix D. *Kwen, Quenya, and the Elvish (especially Ñoldorin) words for 'Language': Note on the 'Language of the Valar'
1994
[42]
서적
(Unspecified)
1994
[43]
간행물
(Unspecified)
2010
[44]
백과사전
Elves: Kindreds and Migrations
Routledge
[45]
서적
The Silmarillion
[46]
서적
(Unspecified)
2002
[47]
간행물
(Unspecified)
[48]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49]
간행물
(Unspecified)
2010
[50]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51]
웹사이트
What is Vanyarin Quenya like?
https://web.archive.[...]
2013-09-01
[52]
서적
(Unspecified)
2003
[53]
웹사이트
Quenya – the Ancient Tongue. Elementary Phonology
http://folk.uib.no/h[...]
University of Bergen
[54]
서적
(Unspecified)
2003
[55]
간행물
(Unspecified)
2010
[56]
간행물
(Unspecified)
2010
[57]
간행물
Quenya Consonants
[58]
간행물
(Unspecified)
2010
[59]
간행물
(Unspecified)
2010
[60]
간행물
(Unspecified)
2010
[61]
서적
Elbisch. Lern- und Übungsbuch der Elben-Sprachen von J. R. R. Tolkien
Bastei Lübbe
[62]
간행물
(Unspecified)
2010
[63]
서적
Wie kann Deutsch und Elbisch kontrastiv verglichen werden? Tolkiens Versuch der Entwicklung einer Kunstsprache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64]
서적
(Unspecified)
2003
[65]
간행물
(Unspecified)
2010
[66]
간행물
(Unspecified)
2010
[67]
웹사이트
Quenya-English Dictionary
https://ambar-eldaro[...]
2009-04
[68]
간행물
(Unspecified)
2010
[69]
간행물
(Unspecified)
2010
[70]
간행물
(Unspecified)
2010
[71]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2010
[72]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2010
[73]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2010
[74]
간행물
2003
[75]
간행물
Words, Phrases and Passages in Various Tongues in The Lord of the Rings
[76]
간행물
2003
[77]
간행물
2003
[78]
간행물
2003
[79]
간행물
Early Qenya Grammar
[80]
웹사이트
Quenya – The Ancient Tongue: The Adjective
http://folk.uib.no/h[...]
University of Bergen
2013-01-13
[81]
간행물
2003
[82]
웹사이트
Quenya – the Ancient Tongue: Pronouns
http://folk.uib.no/h[...]
University of Bergen
2013-01-11
[83]
간행물
Quenya Pronominal Elements
[84]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85]
간행물
2003
[86]
웹사이트
The Quenya Pronominal System – a summary
http://www.science-a[...]
2023-08-07
[87]
간행물
Vinyar Tengwar
[88]
간행물
Words, Phrases and Passages in Various Tongues in The Lord of the Rings
[89]
간행물
2003
[90]
간행물
2003
[91]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92]
간행물
2003
[93]
간행물
2003
[94]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95]
시
Namárië
[96]
간행물
2003
[97]
간행물
2003
[98]
간행물
Early Qenya Grammar
[99]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100]
간행물
Parma Eldalamberon
[101]
간행물
Vinyar Tengwar
[102]
간행물
Words, Phrases and Passages in Various Tongues in The Lord of the Rings
[103]
간행물
Vinyar Tengwar
[104]
간행물
Vinyar Tengwar
[105]
간행물
2003
[106]
서적
L'Encyclopédie des Elfes
Le Pré aux Clercs
[107]
서적
The Silmarillion
[108]
서적
The Silmarillion
[109]
서적
Parma Eldalamberon
[110]
harvnb
[111]
간행물
Quettar
[112]
간행물
HFN – The words for 'hand' – The fingers
[113]
서적
The Etymologies
[114]
간행물
NKE: manuscript text on neter 9, kanat 4, and enek 6
[115]
웹사이트
Omentielva: Arda Philology 2
http://www.omentielv[...]
[116]
harvnb
[117]
학회발표
A Methodological Study of the Elvish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Arda Society
[118]
harvnb
[119]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120]
서적
Eärendel
[121]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122]
서적
The Return of the King
[123]
서적
The Silmarillion
[124]
간행물
Vinyar Tengwar
1999-04-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