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비아 항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라비아 항공은 1953년 하바롭스크 항공으로 설립되어 러시아 극동 지역, 중국, 아시아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던 러시아의 항공사였다. 1990년대 후반 자체 코드를 사용하여 서울 노선을 개설하고, 2000년대 초반에는 Tu-214 기종을 도입하며 국제선 확장을 시도했으나, 재정난으로 인해 2008년 운항을 중단하고 2009년 파산했다. 2008년 12월 기준, 달라비아는 러시아, 일본, 중국, 대한민국, 태국 등 다양한 국가의 도시를 운항했으며, 안토노프, 일류신, 투폴레프 등 다양한 기종을 보유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기업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항공제작소
콤소몰스크나아무레 항공제작소는 러시아의 주요 항공기 제작 회사로, 수호이 전투기, 베리에프 Be-103 수륙 양용기 등을 생산해왔으며 Su-35, Su-57과 같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생산에 집중하고, 수호이 슈퍼제트 100의 조립 라인을 운영하며 죔기 공항을 시험 및 인도 비행장으로 사용하고, 주요 주주로는 통합 항공기 제작사와 수호이 JSC가 있다. - 하바롭스크의 교통 - 하바롭스크 공항
하바롭스크 공항은 1938년 개항하여 하바롭스크 시 동쪽 10km 지점에 위치한 극동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 운영과 현대화된 터미널 건설을 통해 아시아와 러시아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화물 운송 거점 역할도 수행한다. - 하바롭스크의 교통 - 하바롭스크역
하바롭스크역은 러시아 하바롭스크에 위치한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주요 역으로, 재건축과 확장을 거쳐 연간 약 3백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며, 역 주변에는 하바롭스크 광장과 아무르 거리 등의 명소가 있다. - 1953년 설립된 항공사 - 루프트한자
루프트한자는 1926년 설립된 독일의 국영 항공사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되어 세계적인 항공사로 성장했으며, 스타얼라이언스 창립 회원사이자 여러 항공사를 자회사로 두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영난을 겪었으나 정부 지원으로 회복 중이며, 다양한 노선과 서비스, 광범위한 제휴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 각지를 연결하고 조종사 노조와의 갈등, 게르만윙스 추락 사고, 유대인 승객 탑승 거부 사건 등의 어려움과 비판을 겪었다. - 1953년 설립된 항공사 - 에어 타히티
에어 타히티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기반을 둔 항공사로, 여러 번의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와 쿡 제도의 다양한 노선을 운항하며, ATR 및 비치크래프트, 드 하빌랜드 캐나다 기종을 운영하고 에어 라로통가와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있다.
달라비아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IATA | H8 |
ICAO | KHB |
콜사인 | DALAVIA |
설립 | 1953년 |
해체 | 2008년 |
본사 | 하바롭스크, 러시아 |
허브 공항 | 하바롭스크 노비 공항 |
웹사이트 | 달라비아 항공 |
운영 | |
주요 인물 | 발레리 보리소비치 치칠리모프 (총괄 이사) |
소유 | 정부 소유 |
보유 항공기 | |
항공기 수 | 40대 |
취항지 정보 | |
정기 노선 | 39개 |
전세 노선 | 4개 |
2. 역사
1953년 하바롭스크 항공으로 설립되어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 아시아를 잇는 노선을 중심으로 영업했다. 대한민국에 지사를 세웠고 2000년대 중반까지 운항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탑승객 숫자가 줄어들면서 경영난에 빠졌고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되자 러시아 정부가 항공사를 인수했다. 2008년 러시아 정부는 운항을 중단했고 2009년에 항공사는 완전히 청산됐다.[3]
2. 1. 설립 초기 (1953년 ~ 1991년)
1953년 하바롭스크 공항에 최초의 콘크리트 활주로가 건설되었고, 같은 해 아에로플로트의 일부로 '''하바롭스크 항공 기업''' (Хабаровское авиацио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ru)이 설립되었다.[3] 초기에는 폴리카르포프 Po-2, 리수노프 Li-2 및 일리우신 Il-14를 포함한 항공기로 운항했으며, 이후에는 투폴레프 Tu-154와 일리우신 Il-62가 운항되었다.[3]소련의 붕괴와 그에 따른 아에로플로트의 분열 이후, 하바롭스크 항공 기업은 면허 사용료를 지불하는 대가로 아에로플로트 코드와 아에로플로트 도색을 유지하며 운항을 계속했다. 1999년 3월 29일, 이 항공사는 자체 코드를 사용하여 하바롭스크에서 대한민국 서울로 운항을 시작했으며, '''달라비아'''라는 새로운 이름을 사용했다.[4] 1999년 12월에는 하바롭스크 - 방콕 - 싱가포르 노선을 주 1회 운항하기 시작했다.[5]
2. 2. 독립 및 국제선 확장 (1991년 ~ 2000년대 초반)
소련의 붕괴와 그에 따른 아에로플로트의 분열 이후, 하바롭스크 항공 기업은 면허 사용료를 지불하는 대가로 아에로플로트 코드와 아에로플로트 도색을 유지하며 운항을 계속했다. 1999년 3월 29일, 이 항공사는 자체 코드를 사용하여 하바롭스크에서 대한민국 서울로 운항을 시작했으며, '''달라비아'''라는 새로운 이름을 사용했다.[4] 1999년 12월에는 하바롭스크 - 방콕 - 싱가포르 노선을 주 1회 운항하기 시작했다.[5]2001년 5월 22일, 카잔의 KAPO 공장에서 타타르스탄 공화국 대통령 민티메르 샤이미예프가 주재한 행사에서 이 항공사의 첫 투폴레프 Tu-214가 인도되었다.[6]

2004년에 달라비아는 621,405명의 승객을 수송하여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이 중 약 135,792명의 승객이 이 항공사의 국제 노선 네트워크를 이용했다.[7] 같은 해, 이 항공사는 ''러시아의 날개'' 경쟁에서 러시아 최고의 국내 항공사로 인정받았다.[8]
2006년 12월, 달라비아는 수호이 민간 항공기와 6대의 수호이 슈퍼제트 100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4대의 추가 기체에 대한 옵션도 포함하여 총 1.7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9] 2007년 6월부터 이 항공사는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까지 투폴레프 Tu-214 장비를 사용하여 주 1회 운항하고, 하바롭스크까지 운항을 연장할 예정이었다.[10]
2. 3. 경영난 및 운항 중단 (2000년대 중반 ~ 2009년)
2000년대 중반까지 대한민국에 지사를 두고 운항했으나, 2000년대 들어 탑승객 감소와 막대한 부채로 경영난에 빠졌다. 러시아 정부가 항공사를 인수했으나, 2008년 운항이 중단되었고 2009년 청산되었다.[3]2004년에는 621,405명의 승객을 수송하여 전년 대비 9.1% 증가했으며, 이 중 약 135,792명이 국제선을 이용했다.[7] 같은 해 '러시아의 날개' 경쟁에서 러시아 최고의 국내 항공사로 선정되기도 했다.[8]
2006년 12월, 달라비아는 수호이 민간 항공기와 6대의 수호이 슈퍼제트 100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4대 추가 옵션 포함), 총 1.7억달러 규모였다.[9] 2007년 6월부터는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거쳐 하바롭스크까지 주 1회 투폴레프 Tu-214 기종으로 운항했다.[10]
그러나 재정 악화로 인해 하바롭스크 - 니가타, 서울 (인천), 하얼빈 3개 노선을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에 넘겨주게 되었다. 하바롭스크 - 니가타 노선은 2008년 9월 19일 운항을 종료하고, 9월 22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이 운항하게 되었다.[15] 이후 공식적으로 전 노선 운항 중단을 발표했다.[16]
2009년 1월 26일, 로사비아치야는 달라비아의 항공 운영 증명서를 취소했다.[11] 2009년 6월 9일, 하바롭스크 지방 중재 법원은 달라비아의 파산을 선언했다. 부채는 자산의 거의 두 배에 달했으며, 미지급 채무는 약 17억 러시아 루블, 직원 임금은 3억 5천만 러시아 루블을 초과했다.[12]
3. 운항 노선
달라비아 항공은 주로 국내선과 동아시아 노선을 운항했다. 일본 노선으로는 니가타 공항에 취항했으며, 하계에는 아오모리 공항에도 취항했다.
하지만 재정난으로 인해 하바롭스크-니가타 공항, 인천국제공항,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3개 노선을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에 넘겨야 했다. 하바롭스크-니가타 공항 노선은 2008년 9월 19일 운항을 종료했고, 9월 22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이 운항을 시작했다.[15] 이후 달라비아 항공은 공식적으로 전 노선 운항 중단을 발표했다.[16]
3. 1. 주요 운항 노선 (2008년 12월 기준)
달라비아 항공은 2008년 12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지에 정기 및 전세 항공편을 운항했다.[13][14]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
러시아 | 아나디르 | 우골니 공항 | |
바르나울 | 바르나울 공항 | ||
블라고베셴스크 | 이그나티예보 공항 | ||
첼랴빈스크 | 첼랴빈스크 발란디노 공항 | ||
치타 | 카달라 공항 | ||
이르쿠츠크 | 이르쿠츠크 공항 | ||
카잔 | 카잔 국제공항 | ||
하바롭스크 | 하바롭스크 노비 공항 | 허브 |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공항 | ||
크라스노다르 | 크라스노다르 국제공항 | ||
크라스노야르스크 | 예멜야노보 공항 | ||
마가단 | 소콜 공항 | ||
모스크바 |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 ||
노보쿠즈네츠크 | 스피첸코보 공항 | ||
노보시비르스크 | 톨마체보 공항 | ||
오하 | 오하 공항 | ||
오호츠크 | 오호츠크 공항 | ||
옴스크 | 첸트랄니 공항 | ||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공항 | ||
로스토프나도누 | 로스토프나도누 공항 | ||
상트페테르부르크 | 풀코보 공항 | ||
사마라 | 쿠루모치 국제공항 | ||
샤흐티르스크 | 샤흐티르스크 공항 | ||
소치 | 소치 국제공항 | ||
블라디보스토크 |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 ||
예카테린부르크 | 콜초보 공항 | ||
유즈노사할린스크 |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 | ||
울란우데 | 울란우데 공항 | ||
티모프스코예 | 조날노예 공항 | ||
일본 | 아오모리 | 아오모리 공항 | |
니가타 | 니가타 공항 | ||
중화인민공화국 | 베이징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 |
다롄 |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 ||
광저우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
하얼빈 |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 ||
칭다오 |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 전세편 | |
대한민국 | 서울 | 인천국제공항 | |
태국 | 방콕 | 수완나품 공항 | 전세편 |
베트남 | 호치민 시 | 떤선녓 국제공항 | 가끔 |
아제르바이잔 | 바쿠 | 헤이다르 알리예프 국제공항 |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타슈켄트 국제공항 | |
이스라엘 | 텔아비브 | 벤구리온 국제공항 | 전세편 |
북마리아나 제도 | 사이판 | 사이판 국제공항 | 전세편 |
미국 | 앵커리지 |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 | |
우크라이나 | 키이우 | 키이우 국제공항 |
국내선과 동아시아 노선을 운항했다. 일본 노선은 니가타 공항에 취항했으며, 하계에는 아오모리 공항에도 취항했다.
그러나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해 하바롭스크-니가타, 서울(인천), 하얼빈 3개 노선을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에 넘겨주게 되었다. 하바롭스크-니가타 노선은 2008년 9월 19일 운항을 종료하고, 9월 22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 항공이 운항하게 되었다.[15] 이후, 공식적으로 전 노선 운항 중단을 발표했다.[16]
4. 보유 기종
달라비아 항공은 여러 종류의 항공기를 보유했었다. 2008년 5월 기준으로 총 3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으며, 6대를 추가 주문하였다.
세부 기종은 다음과 같다.
- 안토노프 An-24RV 16기
- 안토노프 An-26 4기
- 일류신 Il-62M 6기
- 투폴레프 Tu-154B-2 2기
- 투폴레프 Tu-154M 6기
- 투폴레프 Tu-214 5기
- 야코블레프 Yak-40 1기
4. 1. 2008년 5월 기준 보유 기종
2008년 5월 기준으로, 달라비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었다.항공기 | 총 수 | 주문 |
---|---|---|
안토노프 An-24 | 6 | 0 |
안토노프 An-26 | 4 | 0 |
일류신 Il-62 | 6 | 0 |
수호이 슈퍼제트 100 | 0 | 6 |
투폴레프 Tu-154 | 8 | 0 |
투폴레프 Tu-214 | 5 | 0 |
야코블레프 Yak-40 | 1 | 0 |
총계 | 30 | 6 |
참조
[1]
간행물
Airline Reference
Federal State Unitary Enterprise "State Air Traffic Management Corporation"
2008-01-29
[2]
웹사이트
ATW Daily News | ATWOnline
https://web.archive.[...]
2008-10-09
[3]
뉴스
ОАО "Авиакомпания "Дальавиа". Справка
http://www.rian.ru/e[...]
RIA Novosti
2010-01-22
[4]
뉴스
Davalia Airlines flies
http://www.conciseb2[...]
Concise Aerospace
2010-01-23
[5]
뉴스
New routes for Far Eastern carrier
http://www.conciseb2[...]
Concise Aerospace
2010-01-23
[6]
뉴스
Long-awaited event
https://archive.toda[...]
President of Tatarstan
2010-01-23
[7]
뉴스
Итог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ФГУП "Дальавиа" за 2004 год
http://www.aviaport.[...]
Aviaport
2010-01-23
[8]
뉴스
ФГУП "Дальавиа" признано победителем Премии "Крылья России - 2004"
http://www.aviaport.[...]
Aviaport
2010-01-24
[9]
뉴스
Sukhoi of Russia Wins $170 Million Order for Superjet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Bloomberg
2010-01-22
[10]
뉴스
Dalavia Airlines Announces New Khabarovsk-Anchorage Flight
https://web.archive.[...]
2011-04-10
[11]
뉴스
Росавиация аннулировала сертификат эксплуатанта "Дальавиа"
http://www.aviaport.[...]
Aviaport
2010-01-23
[12]
뉴스
Арбитражный суд признал банкротом компанию "Дальавиа"
http://www.rg.ru/200[...]
Rossiiskaya Gazeta
2009-06-10
[13]
웹사이트
Polet-Sirena
http://www2.polets.r[...]
[14]
웹사이트
Dalavia official website "Timetable"
https://web.archive.[...]
2007-04-28
[15]
웹사이트
ダリアビア航空、新潟/ハバロフスク便の運航を終了、XFが継承へ
http://www.travelvis[...]
[16]
웹사이트
Авиакомпания «ДАЛЬАВИА» приостанавливает выполнение своих рейсов.
http://www.dalavi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