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는 방사선에 매우 강한 세균으로, 1956년 통조림 식품 멸균 실험 중 발견되었다. '세균 코난'이라는 별명처럼, 5,000 그레이(Gy)의 이온화 방사선 조사에도 생존할 수 있으며, DNA 손상 복구 능력이 뛰어나다. 이 세균은 유전체 연구, 환경 정화, 우주생물학, 소재 개발, 생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방사성 폐기물 처리, 나노 입자 합성, 노화 및 암 연구 등에 응용된다. 또한, 화성 생명체 탐사 연구에도 활용되어, 화성 지하 환경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연구하는 데 모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극한생물 - 지의류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 또는 시아노박테리아의 공생체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지며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복합 유기체로서,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는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 다중극한생물 - 완보동물
완보동물은 네 쌍의 다리를 가진 작은 동물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극한 환경에서 생존 가능한 잠복생활 능력으로 유명하고, 유조동물, 절지동물과 함께 범절지동물에 속하는 독립된 동물문이다. - DNA 수선 - 조로증
조로증은 DNA 복구 과정 결함으로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노화 징후를 보이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RecQ 헬리카제, NER 단백질, 라민 등 DNA 복구 단백질 유전자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이며, 베르너 증후군, 블룸 증후군, 로스문드-톰슨 증후군, 콕케인 증후군, 색소피부건조증, 허친슨-길포드 프로제리아 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 DNA 수선 - 교정 (생물학)
DNA 복제나 RNA 합성 중 발생하는 오류를 세포 내에서 수정하는 메커니즘인 교정(생물학)은 DNA 중합효소의 기능으로 돌연변이를 억제하고, RNA 바이러스는 교정 효소를 사용하여 복제 정확도를 높이며 유전자 재조합을 유지한다.
|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Deinococcus radiodurans |
| 명명자 | Brooks & Murray, 1981 |
| 기타 명칭 | Micrococcus radiodurans |
| 분류 | |
| 도메인 | 세균 |
| 문 | 데이노코쿠스-서머스문 |
| 강 | 데이노코쿠스강 |
| 목 | 데이노코쿠스목 |
| 과 | 데이노코쿠스과 |
| 속 | 데이노코쿠스속 |
| 종 |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 (D. radiodurans) |
| 특징 | |
| 내성 | 방사선 저항성 |
| 설명 | 가장 방사선에 강한 생명체로 기네스북에 등재됨 |
| 방사선 저항 능력 | 인간을 죽일 수 있는 양의 약 3,000배에 해당하는 150만 라드의 감마 방사선에 저항할 수 있음 |
| 발견 | 메가라드 범위의 방사선 조사된 통조림 고기에서 처음 분리됨 |
| 관련 정보 | |
| 관련 종 | 서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 루브로박터 라디오톨레란스 |
2. 명칭 및 분류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라는 이름은 "무시무시한 곡물/열매"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δεινός|데이노스grc와 κόκκος|코코스grc, 그리고 "방사선 생존"을 의미하는 라틴어 radius|라디우스la와 durare|두라레la에서 유래했다. 이 종은 이전에 ''미크로코쿠스 라디오두란스''(''Micrococcus radiodurans'')라고 불렸다. 강인함 때문에 코난 더 바바리안을 언급하여 "세균 코난"이라는 별명이 붙었다.[3]
1956년 오리건 농업 시험소의 아서 W. 앤더슨(Arthur W. Anderson) 연구팀이 처음 발견했다.[7] 당시 연구팀은 통조림 식품을 고선량의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멸균 가능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었다. 쇠고기 통조림에 모든 생명체를 사멸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강도의 방사선을 조사했으나, 이후 해당 통조림이 부패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1] 앤더슨 등은 부패 원인을 조사하여 강한 방사선에 내성을 가진 이 세균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발견 초기에는 형태와 성질에 따라 ''미크로코쿠스''(Micrococcus) 속으로 분류되어 ''미크로코쿠스 라디오두란스''(Micrococcus radiodurans)로 명명되었다.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코난 더 바바리안에 빗대어 "세균 코난"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3]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D. radiodurans'')는 비교적 크기가 큰 구형 세균으로, 지름은 1.5μm에서 3.5μm 사이이다.[11] 일반적으로 네 개의 세포가 모여 사분체(tetrad)를 형성하며 성장한다. 실험실 환경에서 배양하기 쉬우며, 현재까지 질병을 유발한다는 보고는 없다.[4] 통제된 배양 조건에서는 이분체(diad), 사분체 외에도 여러 세포가 뭉친 다분체(multimer) 형태로도 관찰될 수 있다.[11] 배지 위에서 자란 집락(colony)은 표면이 매끄럽고 볼록하며, 분홍색에서 붉은색을 띤다.
이 세균의 유전체는 두 개의 원형 염색체(하나는 265만 염기쌍, 다른 하나는 41만 2천 염기쌍)와 두 개의 플라스미드(17만 7천 염기쌍 크기의 메가플라스미드와 4만 6천 염기쌍 크기의 플라스미드)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약 3,195개의 유전자를 포함한다.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극심한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놀라운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박테리아는 5,000 그레이(Gy)의 이온화 방사선 급성 조사에도 생존력 손실 없이 견딜 수 있으며, 15,000 Gy의 매우 높은 선량에서도 37%의 생존력을 보인다.[14][15][16]
처음에는 모양과 성질 때문에 ''미크로코쿠스''(Micrococcus) 속으로 분류되었지만,[4] 리보솜 RNA 염기서열 분석, 강한 방사선 내성, 다른 세포벽 구조, 16S rRNA 계통 분석 결과 등 여러 증거를 통해 ''미크로코쿠스''와는 다른 세균임이 밝혀졌다.[4] 이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 ''데이노코쿠스''(Deinococcus)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이 속은 ''테르무스''(Thermus) 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
''데이노코쿠스''(Deinococcus) 속은 ''데이노코칼레스''(Deinococcales) 강에 속하는 3개의 속 중 하나이다. ''D. radiodurans''는 이 속의 기준 종이며, 가장 잘 연구된 구성원이다. 알려진 ''데이노코쿠스'' 속의 모든 구성원은 방사선 저항성을 가진다. 여기에는 ''D. proteolyticus'', ''D. radiopugnans'', ''D. radiophilus'', ''D. grandis'', ''D. indicus'', ''D. frigens'', ''D. saxicola'', ''D. marmoris'', ''D. deserti'',[5] ''D. geothermalis'', ''D. murrayi'' 등이 포함된다. 이 중 ''D. geothermalis''와 ''D. murrayi''는 호열성 세균이기도 하다.[6]
3. 역사
그러나 이후 16S rRNA 계통 분석 등 추가 연구를 통해 세포벽 구조 등이 기존 ''미크로코쿠스'' 속 세균과 다르다는 점이 밝혀졌다.[4] 이에 따라 새로운 속인 ''데이노코쿠스''(Deinococcus)가 신설되었고, 이 종은 해당 속의 기준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데이노코쿠스'' 속은 ''테르무스''(Thermus) 속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다.[4]
1999년 미국의 게놈 연구소(The Institute for Genomic Research)는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의 전체 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게놈에 대한 상세한 주석과 분석은 2001년에 발표되었다.[4]
2020년 8월, 과학자들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 외부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를 발표하며,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가 우주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3년 동안 생존했음을 보고했다. 이 발견은 생명체가 우주 먼지, 운석 등을 통해 행성 간 이동이 가능하다는 범종설(panspermia) 가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로 제시되었다.[9][10] 현재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의 강력한 DNA 복구 능력과 방사선 저항성은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4. 형태 및 특징
세포를 염색하면 그람 양성균의 특징을 보이지만, 세포 외피 구조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과 유사한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12] 이러한 세포벽 구조의 차이 때문에 초기에는 ''Micrococc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새로운 ''Deinococcus''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Deinococcus''라는 속명은 '기묘한'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Deinos|데이노스grc와 '열매(구균)'를 뜻하는 coccus|코쿠스grc에서 유래했다.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내생포자를 만들지 않으며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운동성이 없다. 생존을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생물이며, 주변 환경의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화학유기영양생물이다. 이 때문에 하수, 고기, 배설물, 토양과 같이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자주 발견된다. 하지만 의료 기기, 실내 먼지, 섬유, 건조 식품 등 예상치 못한 곳에서도 분리되기도 한다.[12]
이 세균의 가장 큰 특징은 극한 환경에 대한 매우 높은 저항성이다. 특히 이온화 방사선과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며, 건조한 환경, 산화제, 친전자체와 같은 화학 물질에도 강한 생존력을 보인다.[13]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PCR 검사나 형광 현미경 검사법(FISH)과 같은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유전체는 두 개의 원형 염색체(각각 265만 염기쌍, 41만 2천 염기쌍)와 두 개의 플라스미드(메가플라스미드 17만 7천 염기쌍, 플라스미드 4만 6천 염기쌍)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195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세포는 성장 단계에 따라 여러 벌의 유전체 사본을 가지는데, 성장이 멈춘 정지기에는 4개의 사본을, 빠르게 증식할 때는 8개에서 10개의 사본을 보유한다.
5. 유전체
정지기 상태의 각 세균 세포는 유전체 복사본 4개를 가지고 있으며, 급격히 증식할 때는 8개에서 10개의 복사본을 가진다.
주사 전자 현미경 분석 결과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의 DNA는 DNA 복구를 용이하게 하는 조밀하게 포장된 토로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17]
6. 방사선 저항성
이러한 방사선 저항성은 다른 생물과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단 5 Gy의 방사선량은 인간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200~800 Gy는 비교적 저항성이 강한 박테리아인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사멸시킨다. 극한 환경에 잘 견디는 것으로 알려진 완보류조차도 4,000 Gy 이상의 방사선에는 생존하지 못한다.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와 비슷한 수준의 방사선 저항성을 가진 다른 미생물도 일부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남세균 문의 ''크로오코키디오프시스''(Chroococcidiopsis) 속 일부 종과 방선균 문의 ''루브로박터''(Rubrobacter) 속 일부 종이 포함된다. 고세균 중에서는 ''테르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가 유사한 방사선 저항성을 나타낸다.[6]
이처럼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가 극한의 방사선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은 주로 매우 효율적인 DNA 복구 시스템과 항산화 시스템 덕분인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46] 또한, 독특한 DNA 구조와 높은 세포 내 망가니즈 농도 역시 방사선 저항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47] 이러한 방사선 저항성 기작과 그 진화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6. 1. 방사선 저항성 기작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의 방사선 저항성은 여러 기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주요 기작으로는 우수한 DNA 손상 복구 시스템, 생체 단백질의 산화를 방어하는 다양한 항산화 시스템, 그리고 단단하게 뭉쳐있는 독특한 DNA 구조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방사선에 의해 DNA 조각들이 발생해도 이 박테리아는 세포질 내로 흩어지지 않고 한 곳에 모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DNA 손상 복구 효율을 높인다.[46] 또한, 활성산소 제거 단백질이나 항산화 물질 등이 단백질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여, DNA 손상 복구에 필요한 단백질들이 제 기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46] 세포 내 망가니즈(Mn) 함량이 높을수록 방사선 저항성이 강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47] 특히 망간-펩타이드 복합체(Mn-peptide complex)는 단백질의 산화 손상을 막는 핵심 항산화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성장 주기에 따라 여러 개의 유전체 복사본을 가지고 생장하는데,[49] 이는 손상된 DNA를 복구할 때 온전한 유전자를 주형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러한 복합적인 시스템 덕분에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5000Gy의 이온화 방사선 급성 조사에도 생존력 손실 없이 견딜 수 있으며,[14][15][16] 이는 DNA에 수백 개의 DNA 이중 가닥 절단(DSB)을 유발하는 수준이다. 이렇게 심각한 손상이 발생해도 보통 12~24시간 내에 유전자 변이 없이 원래 상태로 DNA를 복원할 수 있다. 복구 과정에서는 손상된 DNA 부분을 통제된 구역으로 격리하며, 염색체 전체가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도 복구가 가능하다.[8]
이처럼 강력한 DNA 복구 능력은 건조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획득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된다. 실제로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건조 환경에도 강하며, 방사선 저항성이 약한 변이주는 건조 저항성도 함께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6. 2. 방사선 저항성 진화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의 높은 방사선 저항성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중요한 의문점이다. 현재 자연적인 배경 방사선 수준은 대부분 지역에서 연간 약 0.4mGy 정도로 매우 낮으며, 이란의 람사르 근처와 같이 가장 높은 곳도 연간 260mGy 수준이다. 이렇게 낮은 자연 방사선 수준에서는 생물이 높은 방사선에 저항하는 메커니즘을 특별히 진화시킬 이유가 거의 없다. 아주 먼 지질학적 과거에는 원시 방사성 핵종이 더 많았고, 약 17억 년 전 활동했던 가봉 오클로의 자연 핵분열 원자로 등의 영향으로 더 높은 배경 방사선이 존재했을 수 있다. 그러나 설령 당시 방사선에 대한 적응이 진화했다 하더라도, 다른 진화적 이점을 제공하지 않았다면 유전적 부동에 의해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의 발레리 매티모어는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의 방사선 저항성이 세포가 장기간 건조 상태에 대처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부작용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이온화 방사선에 약한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 돌연변이 균주는 장기간 건조에도 약한 반면, 야생형 균주는 방사선과 건조 모두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건조 상태는 이온화 방사선과 유사하게 DNA 이중 가닥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실제로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건조 상태에 대비하기 위해 DNA 복구 메커니즘 외에도 LEA 단백질(늦은 배아 발생 풍부 단백질)[27] 발현을 이용한다.[28]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의 튼튼한 S층(세포 표면 단백질층) 또한 방사선 저항성에 기여한다. 특히 주 단백질 복합체인 S층 데이녹산틴 결합 복합체(SDBC)는 이온화 방사선과 같은 전자기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막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온과 건조로부터 세포벽을 안정시키는 기능도 한다.[29][30]
이러한 방사선 저항 능력의 핵심은 강력한 DNA 복구 기작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인 생물은 감마선에 의해 DNA가 수백 조각으로 잘리면 회복하지 못하고 죽지만,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보통 12~24시간 안에 손상된 DNA를 복구할 수 있다. 이 뛰어난 DNA 복구 능력 역시 건조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얻어졌다는 설이 있다. 건조 역시 DNA 단편화를 유발하며,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가 건조 환경에 강하다는 점, 그리고 방사선에 약한 변이주가 건조에도 약하다는 실험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방사선에 대한 내성은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만의 특징은 아니며, 넓은 분류 범위에서 관찰된다. 예를 들어 방선균이나 프로테오박테리아, 유리 고세균 중에서도 10000Gy 정도의 높은 방사선에 저항성을 보이는 종들이 발견되었다. 진핵생물 중에서도 균류 등 일부는 비교적 강한 방사선 저항성을 나타낸다.
7. 응용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Deinococcus radiodurans'')는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능력 덕분에 다양한 연구 및 산업 분야에서 응용될 잠재력이 크다. 특히 생물 정화, 우주생물학, 소재 개발, 생명 공학, 나노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환경 정화
생물 정화(Bioremediation)는 미생물 등을 이용해 오염된 환경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D. radiodurans''는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아, 방사성 물질이나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역을 정화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원자력 폐기물 처리와 같이 이온화 방사선 수치가 높아 다른 미생물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D. radiodurans''를 이용하여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을 제거하는 환경 정화 균주 개발을 지원한 바 있다.[50] 또한, 2017년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진은 이 균주를 활용하여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51]
연구자들은 ''D. radiodurans''를 유전자 조작하여 특정 오염 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능력을 강화했다. 예를 들어,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수은(II) 환원효소 유전자를 ''D. radiodurans''에 도입하여, 핵무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 속 이온성 수은을 해독하도록 만들었다.[31] 이를 통해 수은과 톨루엔이 섞인 방사성 폐기물을 동시에 정화할 수 있는 균주가 개발되었다. 또한,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a'')나 ''Sphingomonas'' 속 세균의 인산가수분해효소 유전자를 도입하여, 각각 산성 및 알칼리성 환경에서 우라늄을 생물학적으로 침전시켜 제거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32][33]
우주생물학
우주생물학(Astrobiology) 분야에서는 ''D. radiodurans''를 극한 우주 환경에서 생명체가 어떻게 적응하고 생존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모델 생물로 활용한다. 2000년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메릴랜드 대학 생물공학연구소(UMBI)는 ''D. radiodurans''를 로켓에 실어 우주 환경에서의 생존을 확인했다. 2015년에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주도로 국제우주정거장(ISS) 외부에서 ''D. radiodurans''를 우주 환경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다.[52]
소재 활용
''D. radiodurans''는 강한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높은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하다. 이 균주는 카로테노이드 계열의 색소를 생산하는데, 특히 deinoxanthin|데이노잔틴영어이라는 카로테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프랑스의 데이노브(DEINOVE) 사는 ''D. radiodurans''와 같이 자외선(UV) 등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기능성 바이오 소재를 탐색하고 있다.[54]
생명 공학 및 의학
''D. radiodurans''의 뛰어난 DNA 복구 능력과 산화 스트레스 저항성은 노화나 암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노화와 암은 활성 산소(ROS)로 인한 DNA, RNA, 단백질 손상, 그리고 이를 복구하는 능력의 저하와 관련이 깊다. ''D. radiodurans''의 손상 방어 및 복구 메커니즘 연구는 노화와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새로운 의료 기술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다.[34] 일부 연구는 ''D. radiodurans''의 항산화 시스템을 인간 세포에 적용하여 활성 산소 손상을 막거나, 암세포의 방사선 저항성 획득 과정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35]
나노 기술
나노 기술 분야에서는 ''D. radiodurans''를 이용하여 은[36]이나 금[37] 나노 입자를 생합성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의 화학적, 물리적 나노 입자 생산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지만, 생물학적 공정은 친환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 입자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방오 효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등을 보여 의료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D. radiodurans''를 활용한 나노 입자 생성 기술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타 응용
- 합성생물학: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는 ''D. radiodurans''의 빠른 DNA 복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합성 DNA 조각들을 하나의 염색체로 조립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는 궁극적으로 인공 생명체 ''Mycoplasma laboratorium''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38]
- 정보 저장: 2003년 미국 과학자들은 ''D. radiodurans''가 핵 재앙과 같은 극한 상황에서도 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그들은 It's a Small World|작은 세상영어 노래의 정보를 150 염기쌍 길이의 DNA 조각으로 변환하여 이 박테리아의 유전체에 삽입했고, 100세대가 지난 후에도 오류 없이 정보를 복구할 수 있었다.[39]
8. 화성 생명체 탐색
액체 배지에서 배양된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는 최대 25kGy의 이온화 방사선에도 생존할 수 있다.[40] Horne 등(2022)은 화성 지하 토양 샘플 회수 및 미래 로봇 탐사 임무의 착륙 지점 선정을 위한 연구에서, 미생물의 이온화 방사선 생존성에 건조 및 냉동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41] 연구 결과, 건조되고 냉동된 세포는 방사선 저항성이 5.6배 증가하여 최대 140kGy까지 견딜 수 있음이 밝혀졌다.[40]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가 화성 표면 아래 10m 깊이에서 이론적으로 2억 8천만 년 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계산했다. 그러나 이 기간은 화성 표면에 액체 물이 존재했던 시기(약 20억~25억 년 전)에 비하면 충분히 길지 않아, 현재 로버 기술로 접근 가능한 깊이에서 생존 가능성을 확신하기는 어렵다.[40]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진은 운석 충돌이 화성 지질 역사 동안 토양을 뒤섞고 지하를 국지적으로 가열하여 얼음을 녹였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데이노콕쿠스 라디오두란스와 유사한 가상의 화성 극호성 미생물이 짧은 기간 동안 성장했다가 다시 얼어붙어 수백만 년 동안 휴면 상태에 들어갔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럽의 로잘린드 프랭클린 로버와 같은 임무가 화성 지하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하여 생명체를 찾으려면, 치명적인 이온화 방사선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건조하고 얼어붙은 지하 환경에서 휴면 상태의 미생물을 발견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비교적 젊은 충돌구를 탐사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40]
참조
[1]
웹사이트
Most radiation-resistant lifeform
https://www.guinness[...]
[2]
웹사이트
The World's Toughest Bacterium
https://web.archive.[...]
J. Craig Venter Institute|The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Genomics
2002-07-05
[3]
논문
Conan the Bacterium
https://web.archive.[...]
2009-10-14
[4]
논문
Genome of the extremely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duran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genomics
2001-03
[5]
논문
''Deinococcus deserti'' sp. nov., a gamma-radiation-tolerant bacterium isolated from the Sahara Desert
2005-11
[6]
논문
''Deinococcus radiodurans'' – the consummate survivor
https://web.archive.[...]
2008-02-01
[7]
논문
Studies on a radio-resistant micrococcus. I. Isolation, morphology,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sistance to gamma radiation
[8]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Benjamin Cummings
[9]
논문
Unbulleted list citebundle
[10]
뉴스
Bacteria from Earth can survive in space and could endure the trip to Mars, according to new study
https://www.cnn.com/[...]
2020-08-26
[11]
논문
Dynamics of Deinococcus radiodurans under Controlled Growth Conditions
[12]
논문
Against all odds: the survival strategi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https://web.archive.[...]
2008-02-01
[13]
논문
Oxidative stress resistance in Deinococcus radiodurans
[14]
논문
Repair of irradiated transforming deoxyribonu- cleic acid in wild type and a radiation- sensitive mutant of Micrococcus radiodu- rans
[15]
서적
The Prokaryotes: A Handbook on the Biology of Bacteria
Springer-Verlag
[16]
논문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diation-resistant cocci belonging to the genus Deinococcus from sewage sludges and animal feeds
[17]
논문
Ringlike structure of the Deinococcus radiodurans genome: a key to radioresistance?
[18]
논문
Reassembly of shattered chromosomes in Deinococcus radiodurans
[19]
논문
Transformation in Micrococcus radiodurans and the ultraviolet sensitivity of its transforming DNA
[20]
웹사이트
Secret of radiation-proof bugs proposed
https://web.archive.[...]
news@nature.com
2006-06-19
[21]
논문
Protein Oxidation Implicated as the Primary Determinant of Bacterial Radioresistance
2007-04-01
[22]
논문
Manganese binding to antioxidant peptides involved in extreme radiation resistance in Deinococcus radiodurans
[23]
논문
A Model for Manganese interaction with Deinococcus radiodurans proteome network involved in ROS response and defense
[24]
논문
Was Earth ever infected by martian biota? Clues from radioresistant bacteria
https://web.archive.[...]
2008-02-01
[25]
웹사이트
Research reveals key to world's toughest organism
http://www.physorg.c[...]
2009-10-19
[26]
논문
Radioresistance of Deinococcus radiodurans: functions necessary to survive ionizing radiation are also necessary to survive prolonged desiccation
1996-02-01
[27]
논문
LEA proteins prevent protein aggregation due to water stress
[28]
논문
Inactivation of two homologues of proteins presumed to be involved in the desiccation tolerance of plants sensitizes Deinococcus radiodurans R1 to desiccation
[29]
논문
The S-layer Protein DR_2577 Binds Deinoxanthin and under Desiccation Conditions Protects against UV-Radiation in Deinococcus radiodurans
2016
[30]
논문
Coexisting properties of thermostability and ultraviolet radiation resistance in the main S-layer complex of Deinococcus radiodurans
2018
[31]
논문
Engineering Deinococcus radiodurans for metal remediation in radioactive mixed waste environments
https://web.archive.[...]
2013-02-07
[32]
논문
Engineering of Deinococcus radiodurans R1 for Bioprecipitation of Uranium from Dilute Nuclear Waste
2006-12
[33]
논문
Bioprecipitation of uranium from alkaline waste solutions using recombinant Deinococcus radiodurans
2013-11-15
[34]
논문
Oxidative Stress Resistance in Deinococcus radiodurans
2011
[35]
논문
Deinococcus radiodurans
2003-08-01
[36]
논문
Synthesis and extracellular accumul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by employing radiation-resistant Deinococcus radiodurans, their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bioactivity
2015-01-29
[37]
논문
Bio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the extreme bacterium Deinococcus radiodurans and an evaluation of their antibacterial properties
2016-11-09
[38]
Youtube
Craig Venter's TED talk
https://www.ted.com/[...]
2005-02
[39]
뉴스
Data stored in multiplying bacteria
https://www.newscien[...]
2003-01-08
[40]
웹사이트
Extremophiles on Mars could survive for hundreds of millions of years
https://www.space.co[...]
2022-10-25
[41]
논문
Effects of Desiccation and Freezing on Microbial Ionizing Radiation Survivability: Considerations for Mars Sample Return
2022-10-25
[42]
웹사이트
クマムシに宇宙服いらず〜日経サイエンス2009年1月号より
http://www.nikkei-sc[...]
日経サイエンス
2018-05-03
[43]
문서
The World's Toughest Bacterium
http://www.genomenew[...]
[44]
논문
Studies on a radio-resistant micrococcus. I. Isolation, morphology,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sistance to gamma radiation
1956
[45]
논문
Dynamics of Deinococcus radiodurans under Controlled Growth Conditions
2006
[46]
논문
Oxidative Stress Resistance in Deinococcus radiodurans
2011
[47]
논문
Protein Oxidation Implicated as the Primary Determinant of Bacterial Radioresistance
2007
[48]
논문
Genome sequence of the radio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durans R1
1999
[49]
논문
Genome of the extremely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duran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genomics
2001
[50]
논문
Engineering Deinococcus radiodurans for metal remediation in radioactive mixed waste environments
2000
[51]
논문
Efficient bioremediation of radioactive iodine using biogenic gold nanomaterial-containing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Deinococcus radiodurans R1
2017
[52]
논문
Environmental Data and Survival Data of Deinococcus aetherius from the Exposure Facility of the Japan Experimental Module of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Obtained by the Tanpopo Mission
2018
[53]
논문
Insight into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Deinoxanthin, a Unique Carotenoid in Deinococcus Radiodurans
2010
[54]
웹사이트
http://www.deinov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