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람 데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람 데오는 '하나님 앞에서'라는 뜻의 라틴어로,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약성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임재를 뜻한다. 종교개혁가들은 이 개념을 강조하며, 마르틴 루터는 코람 데오를 루터 사상의 근본으로 보았고, 요한 칼빈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데 사용했다. 현대 신학자들은 코람 데오를 거룩한 삶, 하나님의 임재를 인식하며 살아가는 삶으로 정의하며, 성경 해석과 신앙생활의 중요한 원리로 제시한다. 코람 데오는 죄의식, 칭의 의식, 성화의 삶, 사랑의 삶, 정결한 삶, 하나님의 영광, 인간의 겸손 등의 특징을 가지며, 기독교인의 삶 전체를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로고스 (기독교)
로고스는 기독교 신학에서 하느님의 말씀, 지혜,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시되는 핵심 개념으로, 창조와 구원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 필론의 영향을 받아 초기 기독교 교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 사전 - 전화번호부
전화번호부는 전화 가입자의 정보가 담긴 책자로, 시립 안내 책자에서 시작하여 디지털 전화번호부와 휴대 전화 보급으로 필요성이 줄고 환경 및 개인 정보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 사전 - 국제인명센터
국제인명센터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인명 관련 서적 출판 기관이지만, 상업적인 상 수여 및 비용 지불자 등재 논란으로 서호주 정부로부터 사기 행위로 분류되기도 했다. - 종교 개혁 관련자 - 존 폭스
존 폭스는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시기 작가로, 《순교자 열전》을 저술하여 개신교 순교자들의 삶을 기록했으며, 잉글랜드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종교 개혁 관련자 - 피에르 비레
피에르 비레는 오르브 출신의 종교개혁가로, 스위스와 프랑스 등지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펼치고 제네바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50권이 넘는 저서를 남긴 윤리학자이자 변증가이다.
코람 데오 | |
---|---|
어원 | |
언어 | 라틴어 |
의미 | 하느님 앞에서 |
신학적 의미 | |
종교 | 기독교 |
교파 | 개신교 |
강조점 | 하느님의 임재 안에서 삶, 하느님 중심의 삶 |
적용 | |
윤리적 책임 | 모든 행동과 삶의 영역에서 하느님께 책임을 지는 삶 |
삶의 방향 |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 |
관련 개념 | 솔라 데오 글로리아 (Soli Deo gloria, 오직 하느님께 영광) |
2. 성경적 근거
신약에서는 제2위 하나님이신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통해 자신의 임재를 나타내셨다.[5] 그리스도는 임마누엘이 되시는데, 이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의미이다. 데살로니가후서 1장 9절은 '주의 얼굴'(임재, in the presence of the Lord)과 '그의 힘의 영광'(위엄, the majesty of his power)이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하나님의 임재가 곧 하나님의 위엄을 나타낸다는 의미이다.
'임재'라는 단어는 문자적으로 '~ 위에 존재하다'(겔 37:1), '오다'(요이 1:7), '이르다, 만나다'(삼상 3:10), '방문하다, 도착하다'(마 24:27)는 뜻을 가진다.
최승락 교수는 바울의 사상에도 코람 데오가 나타나며, 코람과 의미가 같은 헬라어 전치사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성경에서 코람 데오는 단순한 전치사(coram = before)의 문제를 넘어선다. 헬라어에서 라틴어 '코람'에 해당하는 전치사는 카테난티(katenanti), 에난티(enanti)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바울은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혼잡하게 하는 상황 속에서도 오직 하나님으로부터의 말씀을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katenanti theou) 말하고자 하는 결단을 밝혔다(고후 2:17, 12:19). 엠프로스텐(emprosthen) 역시 유사한 의미를 가진 전치사이다. 예수님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시인하거나 부인하는 것에 따라 아버지 앞에서 그 사람을 시인하거나 부인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 10:32-33). 에노피온(enōpion)은 이보다 더 특징적인 전치사인데, 예를 들어 바울은 하나님 앞에서(enōpion tou theou) 자신이 거짓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갈 1:20). 에노피온은 엔(en)과 옵탈모스(ophthalmos, 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전치사로, '눈 앞'이라는 의미를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이는 히브리어의 리프네(li-pnê), 엣프네(et-pnê), 엘프네(el-pnê) 등에 해당한다. 이 히브리어 전치사들은 모두 파네(pane, 얼굴)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4:23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일 년에 세 차례 '하나님 앞에' 보이도록 명할 때 엣프네 전치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70인경에서 헬라어 에노피온으로 번역되었다.[7]
야고보서 4장 10절 "주님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에서 '주님 앞에서'(in the presence of the Lord, ἐνώπιονΚυρίου)라는 코람 데오는 인간이 하나님 앞에 겸손하고 교만하지 말아야 함을 교훈한다. 이는 야고보서 4장 6절의 "하나님이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주신다"는 말씀과 같은 맥락이다.
2. 1. 구약성경
구약에서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자신이 친히 시내산에서 구름 가운데 임하시고(출 19: 9, 11; 20: 18), 광야에서는 낮에는 구름기둥으로 밤에는 불기둥으로 함께하시며(출 13: 21-22), 또 회막에 구름기둥으로 임재하셨다고 전한다(출 33: 9-11). 사무엘 상 12장 3절에 사무엘이 "내가 여기 있나니 여호와 앞과 그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 앞에서. . ."라고 말하였다. 구약성경 시편 139편은 대표적으로 코람 데오의 정신을 보여주는 시이다.- (시 139:1)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살펴 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 (시 139:2)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
- (시 139:3) 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 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
- (시 139:4) 여호와여 내 혀의 말을 알지 못하시는 것이 하나도 없으시니이다
라틴어 성경 불가타역에 사용된 성구들은 다음과 같다. - 창세기 6:11, 민수기 10:9, 신명기 4:10, 12:18, 16:11, 26:3, 역대상 13:8, 10, 16:1, 역대하 33;12, 열왕기상 8:65, 에스라기 8:21, 욥기 15:4, 32:2, 시편 56:13, 잠언 3:4, 전도서 5:2, 다니엘 6:10, 말라기 3:14.
2. 2. 신약성경
성육신한 그리스도는 임마누엘이 되시는데, 이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임재 사건은 사도행전 4장 19절, 8장 21절, 10장 33절 등에 나타난다. 사도행전 10장 33절에서 고넬료는 베드로에게 "우리는 주께서 당신에게 명하신 모든 것을 듣고자 하여 다 하나님 앞에 있나이다"라고 말했다.[5] 데살로니가후서 1장 9절에서는 '주의 얼굴'(임재, in the presence of the Lord)과 '그의 힘의 영광'(위엄, the majesty of his power)이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하나님의 임재가 곧 하나님의 위엄을 나타낸다는 의미이다.'임재'라는 단어는 문자적으로 '~ 위에 존재하다'(겔 37:1), '오다'(요이 1:7), '이르다, 만나다'(삼상 3:10), '방문하다, 도착하다'(마 24:27)는 뜻을 가진다. 성경에서 '임재'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하나님의 초월적 권능이 나타나는 때 (겔 37:1)
# 하나님이 친히 자신을 계시하실 때 (삼상 3:10)
#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 (요이 1:7)
#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때 (마 24:27)[6]
# 불가타 역 성경에 나오는 코람 데오 구절들 (신약): 눅 12:6, 24:19, 행 8:21, 롬 4:22, 고후 2:17, 4:2, 7:12, 12:19, 갈 1:20, 딤전 5:4, 5:21, 6:13, 딤후 4:11, 계 3:2, 8:4
최승락 교수는 바울의 사상에도 코람 데오가 나타나며, 코람과 의미가 같은 헬라어 전치사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성경에서 코람 데오는 단순한 전치사(coram = before)의 문제를 넘어선다. 헬라어에서 라틴어 '코람'에 해당하는 전치사는 카테난티(katenanti), 에난티(enanti)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바울은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혼잡하게 하는 상황 속에서도 오직 하나님으로부터의 말씀을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katenanti theou) 말하고자 하는 결단을 밝혔다(고후 2:17, 12:19). 엠프로스텐(emprosthen) 역시 유사한 의미를 가진 전치사이다. 예수님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시인하거나 부인하는 것에 따라 아버지 앞에서 그 사람을 시인하거나 부인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 10:32-33).
에노피온(enōpion)은 이보다 더 특징적인 전치사인데, 예를 들어 바울은 하나님 앞에서(enōpion tou theou) 자신이 거짓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갈 1:20). 에노피온은 엔(en)과 옵탈모스(ophthalmos, 눈)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전치사로, '눈 앞'이라는 의미를 여전히 간직하고 있다. 이는 히브리어의 리프네(li-pnê), 엣프네(et-pnê), 엘프네(el-pnê) 등에 해당한다. 이 히브리어 전치사들은 모두 파네(pane, 얼굴)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4:23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일 년에 세 차례 '하나님 앞에' 보이도록 명할 때 엣프네 전치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70인경에서 헬라어 에노피온으로 번역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치사들이 하나님과 관련되어 사용될 때는 '하나님 앞'이 곧 하나님의 면전(面前), 또는 하나님의 안전(眼前)이라는 것을 암시한다.[7]
야고보서 4장 10절 "주님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에서 '주님 앞에서'(in the presence of the Lord, ἐνώπιονΚυρίου)라는 코람 데오는 인간이 하나님 앞에 겸손하고 교만하지 말아야 함을 교훈한다. 이는 야고보서 4장 6절의 "하나님이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주신다"는 말씀과 같은 맥락이다.
2. 3. 제롬 성경의 사용
히에로니무스(제롬)가 번역한 라틴어 성경 불가타역에 따른 코람 데오(coram Deo)에 사용된 성경 구절은 다음과 같다.[5]
종교개혁가들에게 '코람 데오'라는 표현은 자주 발견된다.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 주요 종교개혁가들은 '코람 데오' 사상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3. 종교개혁과 코람 데오
이승구 박사는 코람 데오의 결과는 하나님의 영광이라고 말한다.[16]
3. 1.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코람 데오를[8] 즐겨 사용했는데 에벨링은 이 개념을 루터의 사상 체계의 참된 근거(the very basis of Luther's mode of thought)라고 말한다.[9] 성경환 목사에 따르면 루터의 저서 《식탁 대담》 중 〈세상의 본질에 관하여〉라는 장에서 루터는 이 세상의 사람들을 세 부류로 나누고 있다.[10]3. 2. 울리히 츠빙글리
울리히 츠빙글리의 신학 사상에도 나타난다.[11]
3. 3. 장 칼뱅
요한 칼빈은 코람 데오를 통해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하고 그의 신학의 중요한 사상을 형성하였다.[12] 그의 명저 《기독교 강요》 1권 2장에서 하나님의 얼굴(the face of God)을 먼저 보지 않고서는 자신에 대한 참된 지식을 가질 수 없다고 한다.[13] 칼뱅은 베드로전서 3장 4절 주석에서 하나님 앞에서(coram Deo) 속사람(중생한 사람)이 온유하고 안정한 심령의 썩지 아니할 것은 인간의 눈(코람 호미니부스)에만 치장하지 않는 값진 것(pretiosus)이라고 하며, 하나님 앞에 값진 것이 무엇인지를 더욱더 염려하는 것이라고 한다.[14]
인간이 하나님의 임재를 느낄 때는 두려움과 전율을 느낀다고 하며, 이는 하나님의 위엄이 인간을 압도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디모데전서 6장 13절 주석에서 "하나님 앞에서"와 "그리스도 앞에서"라는 것의 의미는 우리의 눈을 세상에서 돌려 만물을 살게 하시는 하나님만을 바라보는 것을 배우는 것이라고 한다.[15]
3. 4. 윌리엄 틴데일
윌리엄 틴데일은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 옳다는 신념 때문에 그 유능한 생애를 화형으로 마감해야 했다. 만일 그가 '사람들 앞에서' 행하는 길을 택했다면 그는 당대 최고의 성경학자로서 존경을 받으며 장수를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17]
4. 현대 신학자들과 코람 데오
피어선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거룩한 삶이란 코람 데오(coram Deo)의 삶이라고 정의했다.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와 더불어 세계 3대 칼뱅주의 신학자로 꼽히는 벤저민 워필드는 모든 관점에서 하나님이 보고 있다는 것을 삶의 원리로 삼는 것이 코람 데오의 삶이라고 보았다.[18] 안명준 교수는 성경해석과 관련하여 코람 데오를 언급했다.[19]
4. 1. 아더 태펀 피어선
피어선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거룩한 삶이란 코람 데오(coram Deo)의 삶이라고 한다. 즉, 의식적이며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눈앞에서 살아가는 삶이며, 하나님의 눈앞에 자신을 직접적으로 두는 삶이며, 그 분이 우리와 함께하시며 동시에 우리도 그와 함께 하는 삶이다. 그러므로 코람 데오는 우리의 숨겨진 불경건한 삶의 모든 감추어진 것들을 청소하는 것이며, 우상을 포기하고 그 자리가 하나님의 임재와 교제의 성소로 바뀌어지는 삶이다.[18]4. 2. 벤저민 워필드
벤저민 워필드는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와 함께 세계 3대 칼뱅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모든 관점에서 하나님이 보고 있다는 것을 삶의 원리로 삼는 것이 코람 데오의 삶이라고 주장한다.[1]워필드에 따르면, 칼뱅주의자는 하나님을 보는 사람이다. 그는 자연, 역사, 은혜에서 하나님을 본다.[1] 칼뱅주의자는 모든 곳에서 하나님의 전능하신 발자국을 느끼고, 그분의 팔이 역사하심을 인지하며, 하나님의 위대하신 심장 박동 소리를 듣는다.[1] 이러한 관점이 칼뱅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원리이다.[1]
칼뱅주의자는 모든 현상 배후에서 하나님의 손길을 발견한다. 그는 모든 현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역사하시는 그분의 손을 보며, 기도하는 자세로 자신의 삶 전체를 살아간다. 또한 구원 문제에 있어서 자신을 의지하지 않고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만을 의지한다.[1]
4. 3. 안명준 교수
안명준 교수는 성경해석에서 코람데오를 언급한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창조주 하나님과 자신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하나님이 누구이며, 특히 인간이 누구인지를 알려주는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자신이 하나님 앞에(coram Deo)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9] 안명준 교수는 코람 데오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특징 | 설명 |
---|---|
경건한 신앙의 근본 원리 | 신앙은 코람 데오에서 시작된다. |
하나님과 깊은 영적 교제 | 코람 데오는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거룩한 영적 삶을 살도록 이끈다(롬 12:1-2). |
하나님의 일하심 | 코람 데오는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여주는 성경의 일관된 주장이다. |
이웃 사랑 실천 | 코람 데오 정신은 하나님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삶으로 연결된다. |
여호와 경외 | 코람 데오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며, 이는 지혜의 근본이다. |
여호와의 눈 | 코람 데오는 만물을 통치하며 눈동자처럼 살피시는 여호와의 눈을 주목하는 것이다. |
5. 코람 데오의 신학적 특징과 실천
A. T. 피어선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거룩한 삶이란 코람데오(coram Deo)의 삶이라고 정의한다. 코람데오는 의식적이며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눈앞에서 살아가는 삶이며, 하나님 앞에 자신을 직접적으로 두는 삶이다. 또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도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이다. 따라서 코람데오는 우리의 숨겨진 불경건한 삶의 모든 감추어진 것들을 청소하고, 우상을 포기하며, 그 자리가 하나님의 임재와 교제의 성소로 바뀌어지는 삶이다.[18]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와 더불어 세계 3대 칼빈주의자로 불리는 미국의 벤저민 워필드는 모든 관점에서 하나님이 보고 있다는 것을 삶의 원리로 살아가는 것이 코람데오의 삶이라고 말한다.
칼뱅주의자는 하나님을 보는 사람이다. 그는 자연, 역사, 은혜에서 하나님을 본다. 칼뱅주의자는 모든 곳에서 하나님의 전능하신 발자국을 보고, 그 전능하신 팔의 역사하심을 느끼며, 하나님의 위대한 심장 박동 소리를 듣는다. 이 모든 사실에서 칼뱅주의를 구성하는 원리가 나타난다. 칼뱅주의자는 모든 현상 배후에서 하나님의 손을 발견하며, 이 모든 현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손을 본다. 그리고 기도하는 태도로 자신의 전 생애를 살아가고, 구원 문제에 있어서 자신을 전혀 의지하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만을 전적으로 의지하는 사람이다.
안명준 교수는 성경해석과 관련하여 코람데오를 설명한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에서 창조주 하나님과 자신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하나님이 누구시며, 특별히 인간이 누구인지를 알려주는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이 하나님 앞에(coram Deo)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19] 안명준 교수는 코람데오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코람데오는 경건한 신앙의 근본적인 원리이며, 신앙의 시작점이다.
- 코람데오는 하나님과 깊은 영적인 교제를 만들어 준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삶을 살펴서 거룩한 영적 삶을 살게 된다(롬 12:1-2).
- 코람데오는 하나님의 일하심을 강하게 보여주는 성경의 일관된 주장이다.
- 코람데오의 정신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고 실천하는 삶으로 연결된다.
- 코람데오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으로, 지혜의 근본이다.
- 코람데오는 만물을 통치하시며 눈동자처럼 살피시는 여호와의 눈을 언제나 주목하는 것이다.
예수를 믿는 것은 코람데오의 정신이다.[21] 기독교인은 의식적으로 삶 전체를 코람데오(하나님 앞에서, Coram Deo)로 살아가야 한다. 하나님 앞에서의 삶, 하나님 면전(面前)에서의 삶, 하나님 존전(尊前) 의식을 가지고 사는 삶은 다음과 같은 의식을 포함한다. 기독교인들은 회개와 정직을 가지고 하나님 앞에 살아가야 하며,[22] 인간은 교만을 버리고 겸손하게 살아야 한다(야고보 4:10).
6. 한국 교회와 코람 데오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인용
Latin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7-07-22
[2]
웹사이트
라틴어-한국어 사전
https://latina.bab2m[...]
[3]
서적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Baker
1985
[4]
서적
In the Presence of God. Devotional Readings on the Attributes of God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Inc.
2003
[5]
서적
교회용어사전
생명의 말씀사
2013
[6]
웹사이트
교회용어사전 : 교회 일상
https://terms.naver.[...]
[7]
뉴스
코람 데오, 우리가 누려야 할 특권
http://www.kscoramde[...]
코람데오닷캄
2012-06-20
[8]
웹사이트
Martin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Conscience, “Coram Deo
https://www.elca.org[...]
[9]
서적
Luther: An Introduction to his Thought
Fortress Press
1972
[10]
블로그
코람 데오라는 말의 의미
https://blog.naver.c[...]
한국교회이야기
[11]
서적
Following Zwingli: Applying the Past in Reformation Zurich
Routledge
2016
[12]
웹사이트
Knowledge of God, Knowledge of Self
http://scriptoriumda[...]
Calvin's Institutes
[13]
웹사이트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https://www.ccel.org[...]
[14]
서적
John Calvin's Commentaries On The Catholic Epistles
https://books.google[...]
[15]
서적
Commentaries on the Epistles to Timothy, Titus and Philemon. By John Calvin
https://books.google[...]
[16]
논문
The Coram Deo Idea in Calvin's Theology
https://www.research[...]
[17]
뉴스
코람 데오, 우리가 누려야 할 특권
http://www.kscoramde[...]
코람데오닷캄
2012-06-20
[18]
서적
지난반세기의 전진운동
보이스사
2008
[19]
웹사이트
칼빈의 성경 해석학에 사용된 성령의 조명
https://www.kirs.kr/[...]
개혁주의학술원
[20]
논문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 임재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https://academic.nav[...]
한영신학대학교
2006
[21]
웹사이트
코람데오닷컴
http://egloos.zum.co[...]
[22]
뉴스
만연한 것짓 바이러스, 정직 백신으로 치료해야
http://gdknews.kr/ne[...]
크리스천투데이
202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