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의 무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의 무덤은 예루살렘 겟세마네에 위치한 기독교 성지로,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등 기독교 종파에 따라 성모 마리아의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전승이 전해진다. 동방 정교회는 마리아가 자연사 후 부활하여 승천했다고 믿으며, 무덤이 비어 있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가톨릭교회는 마리아가 육신 그대로 천국으로 승천했다고 본다. 이 무덤은 1972년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1세기 묘지로 확인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가 소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 정교회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오리엔트 정교회 성당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오리엔트 정교회 성당 - 르비우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대성당
    우크라이나 르비우에 있는 르비우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대성당은 1363년에서 1370년 사이에 지어진 역사적인 건축물로, 여러 증축과 재건축을 거쳐 현재 모습을 갖추었으며 소련 붕괴 후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로 양도되어 복원 후 재헌당식을 가졌고, 현재는 개보수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이스라엘의 기념물 - 마사다
    마사다는 사해 연안의 바위산에 있는 고대 요새로,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에 요새화되었으나 헤롯 대왕이 확장했고, 유대-로마 전쟁 중 시카리 반군이 점령하여 로마에 저항하다 함락되었으며, 현대 이스라엘에서 민족적 성지로 여겨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이스라엘의 기념물 - 작전 중 실종자의 정원
    작전 중 실종자의 정원은 1914년부터 이스라엘 방위군과 이스라엘 땅에서 실종된 군인들을 기리는 기념 장소이며, 매년 아다르 7일에 추모식이 열린다.
마리아의 무덤
개요
성모 마리아 무덤의 12세기 외관
성모 마리아 무덤의 12세기 외관
위치올리브산, 키드론 계곡, 예루살렘
좌표31°46′48.5″N 35°14′21.8″E
종교기독교 (가톨릭, 아르메니아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콥트 정교회), 이슬람교
전례라틴, 비잔틴, 알렉산드리아, 아르메니아, 시리아
소속 자치구예루살렘
상태운영 중
건축 유형교회, 무덤
재료
명칭
히브리어(케베르 미리암)
아랍어(카브르 앗-사이다 알-아드라 마르얌)
그리스어(타포스 테스 파나기아스)
아르메니아어(수르프 마리암 아스트바차츠니 게레즈만)
라틴어Ecclesia Assumptionis (엑클레시아 아숨프시오니스)

2. 역사

동방 정교회의 성전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다른 인간처럼 자연적인 죽음('잠들었다'고 표현)을 맞이했고, 사흘 뒤 부활하여 영혼과 육신이 천국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이 때문에 마리아의 무덤은 비어 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반면, 가톨릭교회는 마리아가 육신 그대로 천국으로 올랐다는 성모 승천 교리를 가르치지만, 마리아가 실제로 육체적 죽음을 겪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정하지 않고 있다.

5세기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에우티미아카 히스토리아''는 칼케돈 공의회(451년) 당시 마르키아누스 황제 부부가 예루살렘 주교 유베날리스에게 마리아의 유물을 요청했을 때의 일화를 전한다. 유베날리스는 마리아가 묻힌 지 사흘 만에 무덤이 비었고, 시신을 감쌌던 수의만이 겟세마네의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 수의는 452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져 블라케르나이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 안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3]

다른 전설에서는 무덤에 남겨진 것이 수의가 아니라 성모 마리아의 띠였거나, 마리아가 승천할 때 떨어뜨린 물건이었다고도 한다.[24]

2. 1. 초기 기독교 전승

신약성경에는 마리아의 죽음이나 매장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많은 기독교인은 초기 신약 외경에도 관련 내용이 없다고 보지만, 일부 외경은 마리아의 죽음(또는 다른 최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작성 시기가 1세기, 3세기, 4세기, 또는 7세기로 추정되는 ''요한의 마리아의 승천에 관한 책''[13][14]과 4세기의 ''복된 동정녀 마리아의 임종에 관한 논문''[14] 등은 마리아의 무덤이 겟세마네에 있다고 언급한다.

동방 기독교의 성전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다른 인간처럼 자연스럽게 사망했으며(테오토코스의 안식, '잠들다'로 표현됨), 그녀의 영혼은 죽음과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에게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마리아가 안식한 지 셋째 날, 그녀의 육신은 부활하여 영혼과 함께 천국으로 올려졌다고 믿는다. 이는 일반 부활을 예고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이 전승에 따라, 마리아의 무덤은 셋째 날 비어 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반면, 로마 가톨릭교회는 마리아가 육신의 형태로 천국으로 옮겨졌다고 가르치며 이를 성모 승천이라고 부른다. 다만, 마리아가 실제로 육체적인 죽음을 겪었는지에 대해서는 가톨릭 내에서도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1997년 6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마리아가 천국으로 승천하기 전에 자연적인 죽음을 경험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4]

5세기에 키릴로스 스키토폴리테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에우티미아카 히스토리아''(Ευθυμιακή Ιστορία|에프티미아키 이스토리아grc)라는 문헌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마르키아누스 황제와 그의 아내 풀케리아 황후는 칼케돈 공의회(451년)에 참석한 예루살렘 주교 유베날리스에게 성모 마리아의 유물을 요청했다. 유베날리스는 마리아가 묻힌 지 셋째 날에 무덤이 비어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오직 그녀의 수의만이 겟세마네에 있는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고 답했다. 이 수의는 452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져 블라케르나이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 안치되었다고 한다.[5][23]

다른 전승에서는 무덤에 남겨진 것이 수의가 아니라 성모 마리아의 허리띠였다고도 하고,[6] 혹은 마리아가 승천할 때 떨어뜨린 것이라고도 한다.[24]

피아첸차의 안토니누스는 560년에서 570년 사이의 여행 기록에서 겟세마네 계곡에 "복된 마리아의 바실리카가 있는데, 그들은 이곳이 그녀의 집이라고 말한다; 그 안에는 무덤이 있는데, 그들은 복된 마리아가 하늘로 승천했다고 말한다"라고 언급했다.[15] 또한, 4세기부터 8세기 초에 걸쳐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 투르의 그레고리, 세비야의 이시도르, 예루살렘의 모데스토, 예루살렘의 소프로니우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게르마누스 1세, 크레타의 안드레아, 다마스쿠스의 요한 등 여러 교부들이 마리아의 무덤이 예루살렘에 있다고 기록했으며, 이는 이 전통이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모두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

2. 2. 로마 가톨릭 교회의 관점

로마 가톨릭교회는 마리아가 육신의 형태로 천국으로 "승천"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성모 승천이라고 부른다. 마리아가 실제로 육체적 죽음을 겪었는지 여부는 가톨릭 관점에서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1997년 6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마리아가 천국으로 승천하기 전에 자연사를 경험했다고 언급했다.[4]

2. 3. 역사적 기록과 전승

5세기에 키릴로스 스키토폴리테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Euthymiaca Historia''는 마르키아누스 황제와 그의 아내 풀케리아 황후가 칼케돈 공의회(451년)에 참석했을 때 예루살렘의 유베날리스 주교에게 성모 마리아의 유물을 요청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유베날리스는 성모 마리아가 묻힌 지 3일째 되는 날 무덤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으며, 그녀의 몸을 감쌌던 수의만이 겟세마네 교회에 보존되어 있었다고 답했다. 452년에 이 수의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져 블라케르나이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 보관되었다.[5][23]

다른 전승에 따르면, 무덤에 남겨진 것은 수의가 아니라 성모 마리아의 허리띠였으며,[6] 혹은 마리아가 승천하는 동안 떨어뜨린 것이라고도 한다.[24]

2. 4. 시대별 변천

1972년, 프란치스코회 수도사이자 고고학자인 벨라르미노 바가티는 이곳을 발굴하여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묘지의 증거를 발견했다.[25] 바가티는 초기 구조가 세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제 무덤은 가장 안쪽 방에 있었다고 해석했다. 이는 당시 유대인 매장 관습과 일치한다. 이후 지역 기독교인들은 성모 마리아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곳을 주변 암벽을 잘라내어 다른 무덤들과 분리했고, 그 위에 애디큘을 세웠다.[7][25]

5세기에 예루살렘 총대주교 유베날리스는 비잔틴 제국 황제 마르키아누스의 통치 기간 동안 팔각형 기초 위에 상부 교회를 건설했다. 그러나 이 교회는 614년 페르시아의 침공으로 파괴되었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6세기 말에 이미 교회가 존재했으며, 614년 파괴 후 재건되어 670년경 아르쿨프가 방문했을 때는 2층 구조의 둥근 형태였다고 한다.[8] 이후 수 세기 동안 교회는 여러 차례 파괴되고 재건되었지만, 지하 묘지는 무슬림에게도 이사의 어머니 마리아의 묘소로 존경받았기에 비교적 온전히 보존되었다.

1130년경 십자군 시대에는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교회를 재건하고, 성 마리아 여호사밧 골짜기 수도원이라는 이름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수도원을 세웠다.[8] 이 수도원 단지는 초기 고딕 양식 기둥과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었으며, 방어를 위한 세 개의 탑도 갖추고 있었다. 이 십자군 건물은 이전에 파괴된 건물의 폐허 위에 세워진 상부 교회와 비잔틴 시대 교회의 지하 묘소를 활용한 하부 교회, 그리고 남쪽 입구와 계단으로 구성되었다.[8]

1187년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딘예루살렘을 탈환한 후, 상부 교회는 파괴되었고 그 석재는 예루살렘 성벽을 보수하는 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살라딘은 이슬람교에서도 존경받는 마리아의 무덤이 있는 하부 교회는 남겨두었으나, 내부의 기독교 관련 형상들은 제거하도록 했다.[8]

14세기 후반에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교회를 다시 재건했다. 그러나 1757년, 성지 주일에 그리스 정교회 측이 성지 수호권을 주장하며 1363년부터 교회를 관리해 온 프란치스코회를 강제로 축출했다.[9][10] 오스만 제국은 이 분쟁에 개입하여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판결을 내렸고, 이는 이후 성지 관리의 기본 원칙인 '현상 유지'로 알려지게 되었다.[9][27] 이 결정에 따라 마리아의 무덤은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와 예루살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가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었으며, 인근의 겟세마네 동굴은 프란치스코회 소유로 남게 되었다.

3. 고고학

1972년, 프란치스코회 소속 수도자이자 고고학자인 벨라르미노 바가티는 이 부지를 발굴하여 기원후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묘지의 증거를 발견했다.[7][25] 그러나 그의 발견과 연대 측정의 타당성은 아직 고고학계 전반의 동료 심사를 거쳐 완전히 검증되지는 않았다.

바가티는 발굴된 유적을 분석하여, 초기 묘지 구조가 세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무덤은 가장 안쪽 방에 위치했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것이 당시 유대인의 매장 관습을 따른 것이라고 판단했다.[7] 이후 지역 기독교인들이 성모 마리아의 무덤이라고 믿게 된 특정 묘는, 주변의 암석 표면을 깎아 다른 묘들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그 위에 에디큘라(작은 성소)가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25]

4. 건축

암벽을 깎아 만든 마리아 무덤과 입구, 정면은 성상으로 덮여 있음; 지하 예배당의 동쪽 앱스


성모의 시신이 안치되었던 돌 벤치, 현재는 유리로 덮여 있음


현재 교회는 남쪽에 벽으로 둘러싸인 안뜰이 있는 십자형 구조이다.[8] 이 교회는 크립트(crypt) 형태로, 주변 암벽을 깎아내고 부분적으로 벽돌을 쌓아 완성되었다.[7][8] 교회 내부는 12세기에 만들어진 넓은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8] 이 계단은 1130년 십자군 시대에 건설된 하부 교회의 일부이다.[8]

계단을 내려가는 도중 오른쪽(동쪽)에는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의 예배당이 있다.[8] 이 예배당은 본래 예루살렘 왕국의 멜리상드 여왕(보두앵 2세의 딸)의 무덤을 안치하기 위해 지어졌다.[8] 계단 왼쪽(서쪽)에는 마리아의 남편인 요셉의 예배당이 있으며, 이곳은 원래 보두앵 2세의 다른 여성 친척 두 명의 무덤으로 사용되었다.[8]

계단 아래 교회 동쪽 부분에는 마리아의 무덤이 안치된 애디큘(aedicula)이 자리 잡고 있다.[8][7] 동쪽 앱스에는 그리스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교회의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8] 무덤 남쪽 벽에는 무슬림들이 교회에 대한 공동 권리를 가졌을 때 설치된 미흐라브(메카 방향을 나타내는 벽감)가 남아있다.[8] 서쪽에는 시리아 정교회 제단이 있다.[8]

5. 종교적 중요성

1187년 살라딘은 상부 교회를 파괴하고 그 석재를 예루살렘 성벽 수리에 사용했지만, 하부 교회는 남겨두었다. 다만 내부의 모든 기독교 관련 형상은 제거했다.[8] 14세기 후반에는 프란체스코회 수사들이 교회를 다시 재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1099년 십자군 도착 이전까지 성지의 수호자였던 그리스 정교회 성직자들은 1757년에 이 교회를 포함한 여러 성지를 되찾으려 시도했다.[9][10] 이 과정에서 1363년부터 교회를 소유해 온 프란체스코회는 이곳을 떠나야 했다.[10][9] 오스만 제국 법원은 이러한 상황을 인정했으며, 이는 이후 '현상 유지' 협정으로 이어졌다.[9] 그 결과, 무덤은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와 예루살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가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었고, 인근의 겟세마네 동굴은 프란체스코회 소유로 남게 되었다.

교회는 지하 암석 동굴 안에 위치하며, 12세기에 건설된 넓은 지하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 계단은 남쪽 벽이 있는 안뜰로 연결된다.


  • 계단 오른쪽(동쪽)에는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안나의 예배당이 있다. 이 예배당은 본래 예루살렘의 여왕 멜리잔드의 무덤을 안치하기 위해 지어졌으나, 그리스 정교회에 의해 그녀의 석관은 철거되었다.
  • 계단 왼쪽(서쪽)에는 마리아의 남편인 성 요셉의 예배당이 있다. 이곳은 원래 보두앵 2세의 다른 두 여성 친척의 무덤 자리였다.


교회 동쪽 끝에는 마리아의 무덤 예배당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리스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제단이 동쪽 압스(후진)를 차지하고 있다. 무덤 남쪽의 니치에는 메카 방향을 가리키는 미흐라브가 있는데, 이는 과거 무슬림들이 교회에 공동 소유권을 가졌을 때 설치된 것이다. 현재 이슬람교도는 이 장소에 대한 소유권이 없다. 서쪽에는 시리아 정교회의 제단이 있다.

현재 성당의 주요 소유권은 예루살렘의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과 예루살렘의 그리스 정교회가 가지고 있다. 시리아 정교회, 콥트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역시 일부 부수적인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5. 1. 정교회

매년 8월 25일(율리우스력으로는 8월 12일)에는 테오토코스(성모 마리아)의 성모 승천을 묘사한 정교회 성상이 예루살렘 겟세마네의 메토키온에서 성묘 교회 입구 맞은편에 있는 마리아의 무덤까지 행렬로 운반된다. 이 성상은 정교회 성모 승천 축일 (8월 28일)을 전후하여, 승천 전날의 애가를 포함하여 9월 5일(율리우스력 8월 23일)에 다시 행렬로 돌아갈 때까지 이곳에 보관된다.

동방 정교회의 성전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다른 인간들처럼 자연적인 죽음을 맞이했으며(성모 승천 축일에서는 이를 "잠들었다"고 표현한다), 그 영혼은 임종 시 그리스도에게 받아들여졌다. 이후 신약 성서에 나오는 죽은 자들의 부활처럼, 마리아가 안식한 지 3일째 되는 날 그녀의 영혼과 육신은 천국으로 불려 올라갔다고 전해진다. 정교회 교리에 따르면, 안식 후 3일째 되는 날 마리아의 무덤은 비어 있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는 현세의 육신 그대로 천국으로 올랐다는 가톨릭교회의 성모 승천 교리와는 차이가 있다. (가톨릭 내에서는 마리아의 육체적 죽음 여부에 대해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5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에우티미아카 히스토리아''에는 칼케돈 공의회에 참석했던 황제 마르키아누스와 황후 풀케리아가 예루살렘 총대주교였던 유베날리스에게 성모 마리아의 유물을 요청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유베날리스는 마리아가 묻힌 지 3일 후에 무덤이 비었고, 시신을 감쌌던 수의(흰 천)만이 겟세마네의 교회에 보존되어 있었다고 답했다. 이 수의는 452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져 블라케르나이의 성모 마리아 교회에 안치되었다고 한다[23].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이 흰 천은 성모 마리아가 무덤 앞에 남겨둔 허리띠이거나 승천할 때 떨어뜨린 것이라고도 전해진다[24].

5. 2. 기타 주장

4세기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가 처음 언급한 전승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생애 마지막 몇 년을 터키의 에페소스에서 보냈을 수 있다고 한다.[12][29] 에페소스 사람들은 요한이 그 도시에 있었다는 사실과, 예수가 죽은 후 마리아를 돌보라는 요한에게 내린 지시를 근거로 이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에피파니우스는 성경에서 요한이 아시아로 떠났다는 언급은 있지만, 마리아가 그와 함께 갔다는 언급은 없다고 지적했다.[12][29] 동방 정교회 전통에서는 마리아가 터키 셀축 인근의 성모 마리아의 집으로 알려진 곳에서 살았다고 믿는다. 이 집은 가톨릭교와 이슬람교 신자들도 중요하게 여기지만, 정교회에서는 마리아가 그곳에서 단지 몇 년만 머물렀다고 본다.[29]

투르크멘족의 케라이트인들은 네스토리우스파의 전통에 따라, 마리아의 무덤이 투르크메니스탄마리에 있다고 믿는다. 이 도시는 원래 이름이 '마리'였다고 전해진다.

이라크 북부 니네베의 기독교인들 사이에는 마리아의 무덤이 에르빌 근처에 있다는 또 다른 전승이 있다. 이들은 이 장소를 모술에 있던 옛 알누리 대모스크 첨탑의 기울어진 방향과 연관 짓기도 한다.[16][34]

아흐마디 무슬림들은 마리아가 파키스탄의 무르라는 마을에 묻혔으며, 그녀의 무덤이 현재 마이 마리 다 아스탄 사원에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학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며, 어떤 학문적 연구나 교황청 등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했다.[17][33]

참조

[1] 웹사이트 What's A Mother To Do? http://www.americanc[...]
[2] 서적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Working Paper on the Holy Places https://commons.wiki[...] 1949
[3] 문서 The Status Quo in the Holy Places https://en.wikisourc[...] Cust, 1929
[4] 문서 Pope John Paul II General audience, Wednesday, 25 June 1997 https://www.vatican.[...]
[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omb of the Blessed Virgin Mary'' http://www.newadvent[...]
[6] Citation Belt of the Holy Theotokos http://www.serfes.or[...] 2010-01-16
[7] 간행물 "Archaeology,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ity" http://www.christusr[...] Pontifical University Antonianum
[8] 서적 148-150 https://books.google[...] 2023-10-05
[9] 웹사이트 Tomb of Mary https://www.seetheho[...] 2023-10-05
[10] 문서 The Church of the Holy Sepulchre: A Work in Progress https://bibleinterp.[...] 2023-10-05
[11] 학술지 Panagia Ierosolymitissa Icon – An Instance in the Mutuality Traditions in the Holy Land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Art Studies 2023-01
[12] 문서 'The Council of Ephesos: The Demise of the See of Ephesos and the Rise of the Cult of the Theotokos' Helmut Koester, Ephesos: Metropolis of Asia 2004
[13] 서적 587 https://books.google[...]
[14] 서적 774 https://books.google[...]
[15] 문서 14 https://archive.org/[...]
[16] 문서 88 https://archive.org/[...]
[17] 웹사이트 Marian Shrine in Murree(Pakistan) http://campus.udayto[...] 2014-08-01
[18] 뉴스 The Procession of the icon of the Dormition of the Theotokos to Gethsemane took place at dawn on Wednesday, August 25, 2021. https://orthodoxtime[...] OrthodoxTimes.com 2021-08-25
[19] 웹사이트 聖母マリアの行ったこと http://www.americanc[...]
[20] 서적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Working Paper on the Holy Places https://commons.wiki[...] 1949
[21] 서적 The Status Quo in the Holy Places https://en.wikisourc[...] H.M.S.O. for the High Commissioner of the Government of Palestine 1929
[22] 뉴스 エルサレムの教会指導者らが声明「組織的な企てがある」 聖地の「現状維持」を訴え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8-06-16
[2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omb of the Blessed Virgin Mary http://www.newadvent[...] 2018-05-17
[24] Citation Belt of the Holy Theotokos http://www.serfes.or[...] 2010-01-16
[25] 간행물 "Archaeology,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ity" http://www.christusr[...] Pontifical University Antonianum in Rome
[26] 웹사이트 The Bible and Interpretation http://www.bibleinte[...] 2018-06-21
[27] 웹사이트 Israel and Palestine – In Jerusalem « See The Holy Land http://www.seethehol[...] 2018-06-16
[28] 서적 The Holy Land: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from Earliest Times to 17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16
[29] 문서 'The Council of Ephesos: The Demise of the See of Ephesos and the Rise of the Cult of the Theotokos' Helmut Koester, Ephesos: Metropolis of Asia 2004
[30] 서적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Press 1901
[31] 서적 'The Ante-Nicene Fathers: The twelve patriarchs, Excerpts and epistles, The Clementina, Apocrypha, Decretals, Memoirs of Edessa and Syriac documents, Remains of the first ages: Volume 8 of The Ante-Nicene Fathers: Translations of the Writings of the Fathers Down to A.D. 325' https://books.google[...] C. Scribner's Sons 1886
[32] 문서 Ager Damascenus: Views on the place of Adam’s creation Warszawskie Studia Teologiczne 2007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ampus.udayto[...] 2014-08-01
[34] 서적 Through Asiatic Turkey: narrative ofw a journey from Bombay to the Bosphorus, Volume 2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