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내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내선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허목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남인에 속했다. 1650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예송 논쟁과 경신대출척, 기사환국, 갑술옥사 등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좌의정까지 올랐다. 갑술옥사로 절도에 유배되었으나 복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교육에 힘썼다. 사후 여러 차례 관작이 추탈과 복권을 반복하다가 1907년에 최종 복권되었다.

2. 생애

목내선은 조선의 성리학자 김식(金湜)의 고종사촌이자 문하생이던 현헌(玄軒) 목세칭(睦世秤)의 후손이다. 1617년 지중추부사를 지내고 의정부영의정추증목서흠(睦敍欽)의 아들로, 어머니 권씨는 병조판서에 추증된 권탁(權晫)의 딸이다. 목내선은 일찍이 이황정구의 학맥을 계승한 허목의 문하에서 글씨와 성리학 등을 배웠으며, 이 과정에서 이담명, 이서우 등과 교류하였다.

그는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楷書)와 초서를 잘 써서 많은 문인들이 그에게 글을 배우러 왔다. 또한 학문 연구와 후학 교육에도 힘썼다.

2. 1. 정치 활동

1646년(인조 24)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50년(효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사헌부지평, 홍문관교리,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하였다. 스승 허목의 제자들이 남인 붕당에 가담하였으므로 그도 남인이 되었다. 1672년 청나라동지사(冬至使)가 파견될 때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연경에 다녀왔다. 형조참의, 공조참의, 승지를 거쳐 양주목사로 나가 민정을 다스렸다.

1674년 2차 예송 논쟁에서 서인이 패하고 남인이 집권하자 의금부당상이 되었다. 1675년(숙종 1) 도승지, 이조참판을 거쳐 형조판서가 되었다. 남인송시열의 처벌을 놓고 강온파로 나뉘었을 때 허적 일파의 탁남에 가담하였다. 이듬해 사헌부대사헌을 거쳐 예조판서,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의정부우참찬, 이조판서,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후 동지성균관사와 지경연사를 겸했다. 1680년 경신대출척 때 남인이라 서인들의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

탁남이었으나 허적 일파와는 가깝지 않아 목숨만 건지고 도성에서 쫓겨났다. 이후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서인 정권에서 특별히 발탁되어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의정부우참찬이 되고, 1689년 의정부우의정이 되었다. 같은 해 기사환국으로 남인들이 대거 조정에 재집권하게 되자, 남인을 대폭 중용하고 서인을 공격, 제거하는 데 앞장섰으며 의정부좌의정에 올랐다.

1694년 희빈 장씨 사건을 빌미로 남인이 몰락하는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절도에 위리안치되었고, 1699년에 석방되어 전리(田里)에 되돌아왔다. 그 뒤 좌의정에 복직되었고 남인을 중용하는 정책을 폈으나 곧 물러났다.

2. 2. 사후

1701년 무고의 옥으로 남인일망타진되면서 관작을 삭탈당했다가 1720년 관작이 복구되었다. 그러나 1728년 이인좌의 난으로 남인 세력이 몰락하면서 다시 관작이 추탈된다. 그 뒤 1795년 조선 정조 때 남인이 집권하면서 허목, 윤휴, 허적, 이현일 등과 함께 복권되었다가 정조 사후 1801년 다시 추탈당했다.

1873년(고종 10) 이현일, 윤휴, 한효순, 목내선, 정인홍, 정도전 등을 복권해야 한다는 신원 상소가 올려졌다. 이에 면암 최익현과 중암 김평묵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강하게 반발하였다. 그러나 정도전, 이현일, 윤휴 등을 복권해야 한다는 상소가 계속되자 최익현과 김평묵은 이를 막기 위해 줄기차게 노력하였다.

1873년(고종 10)부터 1876년까지 최익현과 김평묵 등은 상소 등을 통해 "이현일, 한효순, 목내선 등의 신원을 요구한 사람들을 추율(반역죄)로 처단해야 하며, 남인윤휴 이후로 우리 서인(노론)과 남인은 원수가 됐다. 만약 서양과의 조약이 성립된 후에 민암, 목내선, 이인좌, 정희량, 이현일의 후손들이 백성의 불인한 마음을 이용하여 창을 들고 도성과 대궐을 침범한다면 올바른 선비들이 일망타진될 것이다"라고 주창하여 이들의 복권 여론을 끝까지 반대하여 무산시켰다. 그 뒤에도 최익현과 김평묵은 남인이인좌의 난 관련자들의 복권을 결사 반대하였다. 결국 김평묵과 최익현이 모두 죽은 뒤 1907년(융희 2년)에 가서야 윤휴, 이현일 등과 함께 복권된다.

3. 학문과 예술

이황정구의 학맥을 계승한 허목의 문하에서 글씨와 성리학 등을 배웠으며, 이담명, 이서우 등을 만났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楷書)와 초서를 잘 써서 많은 문인들이 그에게 글을 배웠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증조부목세칭(睦世秤, ? ~ 1551년)
할아버지목첨(睦詹, 1515년 ~ 1593년)
아버지목서흠(睦敍欽, 1571년 ~ 1652년)
어머니권탁(權晫)의 딸
동생목성선(睦性善)
동생목행선(睦行善)
부인윤창언(尹昌言)의 딸
아들목임일(睦林一)
며느리우창적(禹昌績)의 딸
손자목천현(睦天顯)
손자목천임(睦天任)


5. 평가

목내선은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楷書)와 초서를 잘 써서 많은 문인들이 그에게 글을 배웠다. 학문적으로는 이황정구의 학맥을 계승한 스승 허목의 영향을 받아 성리학 연구와 후학 교육에 힘썼다.

1873년(고종 10)부터 1876년까지 최익현과 김평묵 등은 상소를 통해 "이현일, 한효순, 목내선 등의 신원을 요구한 사람들을 반역죄로 처단해야 하며, 남인(南人)인 윤휴(尹鑴) 이후로 우리 서인(노론)과 남인은 원수가 됐다. 만약 서양과의 조약이 성립된 후에 민암, 목내선, 이인좌, 정희량, 이현일의 후손들이 백성의 불인(不忍)한 마음을 이용하여 창을 들고 도성과 대궐을 침범한다면 올바른 선비들이 일망타진될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이들의 복권 여론을 끝까지 반대하여 무산시켰다.

6. 미디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