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수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못은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정체된 물웅덩이이다. 침식, 지면 함몰, 빙하 작용, 조산 운동, 화산 활동 등 다양한 자연 현상으로 만들어지며, 동물에 의해 댐이 건설되거나 가뭄으로 인해 형성되기도 한다. 인공 연못은 지역 환경 개선, 산업적 목적, 레크리에이션, 장식 등을 위해 만들어진다. 연못은 크기에 따라 분류되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로서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못은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하며, 농업, 연구,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못은 자연적, 인공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지면이 움푹 들어간 곳에 물이 고이면 못이 되는데, 이는 자연적인 침식, 지면 함몰, 홍수 후 강의 범람원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14][15]
못과 호수의 기술적인 구분은 보편적으로 표준화되지 않았다. 호소학자들과 담수 생물학자들은 '수체의 바닥까지 빛이 도달하는 수역', '뿌리 박힌 수생 식물이 전체적으로 자랄 수 있을 만큼 얕은 수역', '호안에 파도가 없는 수역'을 포함시키기 위해 '못'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실제로 측정하거나 확인하기 어려우며 실용적인 사용에 제한이 있고, 현재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기관과 연구자들은 크기에만 의존하는 '못'과 '호수'의 기술적인 정의를 정착시켰다.
못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생태계와 연결되어 다양한 생물 종의 서식지 역할을 하며,[22][23][24] 양식업, 농업, 폐수 처리, 관개, 저류 등에도 사용된다.[25] 건조 지역에서는 목욕, 위생, 낚시, 사교 및 의식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27]
연못은 환경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연못은 온실 가스 흡수원 역할을 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논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인공 저수지(ため池)가 많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저수지는 정기적인 수중 풀베기와 정비가 필요하며, 관리가 소홀하면 붕괴될 위험이 있다.[2] 최근에는 관개 시설 보급으로 저수지 이용 빈도가 줄면서 퇴적으로 메워지거나 폐기물 불법 투기가 이루어지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2]
2. 형성
인공 연못은 지역 환경, 산업 환경, 레크리에이션 또는 장식용으로 사람이 만들기도 한다.
2. 1. 자연적 형성
자연적인 침식이나 지면의 함몰로 인해 만들어진 웅덩이에 충분한 양의 강수량이 모이면 연못이 형성될 수 있다. 홍수가 일어난 후에 강의 범람원에 연못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연못은 큰 강 배후에 생선을 양식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4][15]
충분한 양의 물을 모아 유지하는 땅의 모든 함몰지형(우묵한 곳)은 연못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지질학, 생태학적 현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이스토세 이후 빙하 작용은 북반구의 대부분의 연못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북미의 프레리 포트홀 지역이 있다. 빙하가 후퇴하면 기반암의 탄성 반발 이론과 퇴적물 범람원으로 인해 고르지 않은 지형이 남을 수 있는데, 이러한 지역에는 과도한 강수량이나 지하수의 침투로 채워져 작은 연못을 형성할 수 있는 함몰부가 생길 수 있다.[16] 케틀 호수와 연못은 얼음이 더 큰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주변 빙하 퇴적물에 묻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으면서 형성된다.[17] 조산 운동 및 기타 지각 상승 이벤트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호수와 연못 중 일부를 만들었다. 이러한 함몰부는 지역 지하수면 아래에서 발생할 경우 지하수로 빠르게 채워지는 경향이 있다. 다른 지각 단층이나 함몰부는 강수량, 지역 산악 유출수로 채워지거나 산악 하천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30] 화산 활동 또한 용암 동굴이나 화산 원뿔이 붕괴되어 호수와 연못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
강을 따라 형성된 자연적인 범람원뿐만 아니라 많은 함몰부를 포함하는 지형은 봄/우기 홍수와 눈이 녹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이렇게 일시적이거나 봄철 연못이 만들어지며, 특히 아마존강과 같은 대규모 강 시스템에서 물고기, 곤충, 양서류의 번식에 중요하다.[18] 일부 연못은 비버, 들소, 앨리게이터 및 기타 악어와 같은 동물 종에 의해 각각 댐 건설과 둥지 굴착을 통해 만들어진다.[19][20] 유기 토양이 있는 지형에서는 가뭄 기간 동안 지역 화재로 인해 함몰부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는 정상적인 수위가 회복될 때까지 소량의 강수량으로 채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고립된 연못을 열린 물로 바꾼다.[21]
2. 2. 인공적 형성
농업에서 처리 연못은 영양분 유출을 줄이고, 가뭄 시 관개용 저수지를 제공한다. 연못 내 오염 물질은 침전 및 생물학적, 화학적 활동으로 완화된다. 폐수 안정화 연못은 저비용 폐수 처리 방법으로 활용된다.
도시화에 따라 저류지는 홍수 및 침식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25]
실험 연못은 환경 과학, 화학, 수생 생물학 및 호소학 연구에 사용된다.[26]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 건조한 지역에서는 연못이 목욕, 위생, 낚시, 사교, 의식 등에 활용된다.[27] 인도 아대륙의 힌두교 사원은 종교 의식과 순례객 목욕을 위한 신성한 연못을 관리한다.[28] 중세 유럽의 수도원과 성에는 양어장이 있었다. 동아시아, 특히 일본에서도 비단 잉어 양식 등에 연못이 활용된다.
네팔에서는 인공 연못이 고대 식수 공급 시스템의 일부였다. 빗물, 수로 유입수, 샘물 등으로 물을 공급받아 대수층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도 했다.[29]
물을 저장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연못은 저수지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화재 발생 시 소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못이 만들어진다.
일본에서는 논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타메이케(ため池)가 많이 만들어졌다. 타메이케는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최근에는 관개 시설 보급으로 이용 빈도가 줄고 퇴적이나 불법 투기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사람이 땅을 파서 만든 웅덩이에 물을 담아둔 것도 연못이라고 한다. 정원 연못은 심미적 목적이나 야생 생물 서식지 제공, 수영 등을 위해 만들어지는 워터 피쳐이다. 정원 연못은 담수 야생 생물 보호에 기여하며, 잠자리나 딱정벌레, 양서류 등이 빠르게 정착한다.
정원 연못은 외래 식물 확산의 경로가 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귀화 식물인 크라술라속의 일종과 말즘속의 일종이 정원 연못에서 탈출하여 담수 환경 보호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연못의 시공 방식은 야생 생물 종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못의 오염 여부, 습지와의 거리, 깊이, 물 마름 여부, 물고기 수 등이 더 중요하다. 연못은 강보다 물리적, 화학적 조건 변화가 크다. 정원 연못에는 펌프를 설치하여 용존 산소를 유지하기도 하는데, 이는 야생 생물에게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물고기를 기를 때는 필요하다. 오염된 수돗물이 수원인 경우 필터로 조류를 줄인다.
유럽 정원 연못은 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태가 많다. 대칭을 중시하는 미적 감각과 조경 이론 때문이다. 연못 주변을 블록, 벽돌, 콘크리트 등으로 둘러싸거나 분수, 샘을 설치하기도 한다.
일본 정원은 자연을 모방하므로 연못 형태가 복잡하다. 계곡을 모방한 바위를 배치하고 바위에서 연못으로 물을 끌어들이기도 한다. "心"(마음 심) 자 모양의 심자지|신지이케일본어 연못도 있다. 일본 정원 연못은 땅을 파서 만들고, 주변을 바위, 돌로 둘러싼다.
일본 정원에서는 잉어, 금붕어를 기르기도 한다. 점토는 물샘 방지에 효과적이나 유지 관리가 어렵다. 콘크리트는 유지 관리가 쉽지만, 초기에는 수산화칼슘 용출로 물이 알칼리성이 되므로 물고기를 바로 넣을 수 없다. 몇 달간 건조, 방치 후 물을 갈아주며 pH를 안정시켜야 한다.
큰 연못은 정원 업자에게 맡기지만, 작은 연못은 DIY로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된 작은 "표주박 연못"도 판매된다.
3. 분류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못을 표면적이 10acre 미만인 수역으로 정의한다. "10,000개의 호수의 땅"으로 알려진 미네소타는 이 정의에 따라 호수를 못, 늪 및 기타 수역과 구별한다고 흔히 말하지만, 호수는 주로 해안에 도달하는 파도 작용에 의해 구별된다고 말한다. 크기만으로 호수와 못을 구별하는 기관 및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못의 최대 크기에 대한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표준은 없다. 람사르 협약은 못의 크기 상한선을 8ha로 설정한다. 영국의 자선 단체 Pond Conservation (현재 Freshwater Habitats Trust라고 함)의 연구자들은 ''못''을 '1m2에서 20000m2 사이의 인공 또는 자연 수역으로, 1년 중 4개월 이상 물을 담고 있는 수역'으로 정의했다. 다른 유럽 생물학자들은 상한 크기를 5ha로 설정했다.
북미에서는 더 큰 수역도 못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33acre의 크리스탈 호수, 61acre의 월든 연못 (매사추세츠주 콩코드)과 인근 스폿 연못 (340acre). 다른 주에는 10acre 미만의 수역을 호수라고 부르는 수많은 사례가 있다. 마케팅 목적이 범주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크리스탈 호수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실제로 수역은 지역과 시간에 따라 관례가 바뀌면서 개별적으로 못 또는 호수라고 불린다. 못은 원래 가두는 울타리를 의미하는 단어 pound의 변형된 형태이다. 이전에는 못이 가두리 연못, 방앗간 연못 등 인공적이고 실용적이었다. 이 특징의 중요성은 이 단어가 이주민과 함께 해외로 전해지면서 어떤 경우에는 상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뉴잉글랜드의 일부 지역에는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실제로는 작은 호수 크기인 "못"이 있다. 미국에서는 자연 풀을 종종 못이라고 부른다. 특정 목적을 위한 못은 가축에게 물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가축 연못"과 같은 형용사를 유지한다. 이 용어는 또한 표면 유출수에서 발생하는 물의 일시적인 축적에도 사용된다(''고여있는'' 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못에는 다양한 지역 이름이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이 용어 중 하나가 lochan인데, 호수와 같은 대규모 수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북미 남서부 지역에서는 일시적이고 일년 중 대부분 건조되는 호수 또는 못을 playas라고 부른다. 이러한 playas는 건조한 지역의 얕은 함몰부로, 과도한 지역 배수, 지하수 침투 또는 비와 같은 특정 경우에만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못은 지면이 움푹 들어간 곳에 물이 고인 곳이다.
이와 유사한 것을 늪이라고도 하지만, 어떤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경우도 있지만, 반드시 명확한 구분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양자를 묶어 "지소"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생물학 등에서는) 관례적으로 수심이 얕은 것(대략 5m 미만)을 "못", 그 이상의 것을 "호수"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최심부까지 식물이 번성하는 것은 "늪"으로 취급된다. 또한, 못은 작기 때문에 수생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작은 동물이나 수생 곤충이 풍부한 반면, 대형 어류는 별로 서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4. 용도
인도 아대륙의 힌두교 사원에서는 종교적 관습과 순례객의 목욕을 위해 연못을 사용한다.[28] 중세 유럽의 수도원과 성에서는 양어장이 일반적이었다.[28] 네팔에서는 인공 연못이 고대 식수 공급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였다.[29]
농업에서는 처리 연못을 만들어 영양분 유출을 줄이고, 폐수 안정화 연못은 폐수 처리에 활용된다. 가뭄 시에는 관개용 저수지 역할을 한다. 도시에서는 저류지를 설치하여 홍수 및 침식 피해를 줄인다.[25]
실험 연못은 환경 과학, 화학, 수생 생물학 및 호소학 분야의 가설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26]
물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연못을 저수지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화재 발생 시 소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못이 만들어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논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타메이케(ため池)가 많다. 타메이케는 정기적으로 관리되지만, 최근에는 관개 시설 보급으로 이용 빈도가 줄어들어 퇴적되거나 폐기물 불법 투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정원 연못은 심미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지며, 야생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거나 수영을 위해 사용된다. 잠자리나 딱정벌레 등의 무척추동물과 양서류는 새로운 연못에 빠르게 정착한다. 그러나 외래 식물이 번지는 경로가 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귀화 식물인 크라술라속의 일종과 말즘속이 정원 연못에서 탈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유럽 정원 연못의 형태는 전통적으로 원(정원)이나 정사각형, 직사각형이 많다. 분수나 샘을 설치하기도 한다.
일본 정원은 자연을 모방하므로 연못도 복잡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心字池|신지이케일본어라고 불리는 "心"(마음 심)자 모양의 연못도 있다. 잉어나 금붕어를 사육하기도 한다.
5. 생물 다양성
못은 정체수라는 특징 덕분에 다양한 생물 군집의 서식지를 제공한다.[30] 수련과 같은 수생 식물, 개구리, 거북이,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습지는 수생 먹이 그물을 지원하고, 야생 동물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며, 연못 해안을 안정시킨다. 연안대에는 대형 식물, 부착 조류, 식물성 플랑크톤 등이 번성하여 연못 먹이 그물의 주요 생산자 역할을 한다.[30] 거위와 사향쥐는 습지 식물을 먹이로 삼는다. 썩어가는 식물은 많은 무척추 동물과 초식성 동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고, 이들은 다시 물고기, 잠자리, 왜가리 등 습지 종에게 먹이를 제공한다.[30]
개방된 물의 투명대에서는 햇빛을 통해 조류가 자라며, 이는 수생 곤충 및 작은 물고기 종을 포함하는 또 다른 먹이 그물을 지원한다. 따라서 연못은 큰 식물, 썩은 식물, 조류를 기반으로 하는 세 가지 먹이 그물을 가지며, 생물적 상호 작용을 통해 광범위한 음식 자원을 사용하는 많은 동물 종을 지원한다.[30] 이는 연못이 생물 다양성의 중요한 원천임을 보여준다.
봄 연못은 일시적으로 말라 물고기가 없어, 멸종 위기 종이나 이동 종의 번식 장소와 피난처를 제공한다. 캘리포니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봄 연못이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물 종을, 해안 평원에서는 미시시피 고퍼 개구리와 같은 멸종 위기 개구리의 서식지를 제공한다.[19]
'연못 경관'이라 불리는 연못 그룹은 단일 연못보다 높은 생물 다양성 혜택을 제공하며, 더 높은 수준의 서식지 복잡성과 연결성을 제공한다.[31][32]
6. 층화
충분히 깊거나 바람으로부터 보호되는 연못은 더 큰 호수와 같이 계절에 따라 층이 나뉘는 현상을 보인다. 자외선, 온도, 풍속, 물의 밀도, 크기와 같은 요인들이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준다.[33] 봄, 여름, 가을, 겨울에 걸쳐 연못은 온도에 따라 층이 나뉘거나 섞이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환경 요인으로 인해 연못은 표수층, 금속층, 심수층으로 나뉜다.[30]
각 층은 계절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며, 이는 생물의 서식과 생물 간 상호 작용에 영향을 준다. 봄에는 표면의 얼음이 녹으면서 햇빛과 바람에 의해 물이 섞이고, 연못 전체의 온도가 일정해진다. 여름에는 햇빛을 많이 받는 표수층의 온도가 높아져 광합성과 일차 생산이 활발해진다. 반면, 금속층과 심수층은 더 차갑고 용존 산소량이 높아 다른 종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하다. 가을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깊은 곳까지 물이 섞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못 전체의 온도가 낮아지고 용존 산소량이 높아진다. 겨울에는 표면에 얼음이 얼면서 여름과 반대되는 층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층화 현상은 봄이 되어 햇빛이 강해질 때까지 유지된다.
이처럼 계절에 따라 층이 변화하면서 생물의 서식 환경도 변한다. 특정 종들은 이러한 층 변화에 적응하여 생존한다.
연못과 호수의 계절별 열 성층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호수 성층화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7. 보존 및 관리
인공 농업 연못은 주변 토양에서 높은 pH 수준의 물을 받아들여, 과도한 (이산화 탄소)를 퇴적물에 쉽게 저장될 수 있는 형태의 탄소로 전환시킨다.[35] 이러한 연못들은 N2O와 같은 질소 가스 배출을 줄여 대기 오염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36] 이는 연못의 무산소 영역에서 일어나는 탈질화 작용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공 농업 연못의 기능은 더불어민주당의 탄소 중립 정책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모든 연못이 온실 가스 흡수원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비료와 유출수로 인한 과도한 영양분 유입은 부영양화를 일으켜, 물속 질소 과잉, 조류 번성, 물고기 폐사 등을 초래할 수 있다.[34]
또한, 잉어와 같은 외래 어종, 북부 뱀머리와 같은 침입종, 그리고 검정말이나 개구리밥과 같이 빠르게 확산되는 수생 식물들은 연못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37]
넓은 습지 식물이 있는 완만한 경사면의 해안선은 야생 동물에게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주변 지역에서 유입되는 오염 물질로부터 물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39] 건조기 동안 수위를 낮추어 이러한 해안선을 재건하는 것도 연못 보존에 유익하다.[39]
자연 연못을 보존하고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인 하천 및 강 복원을 활용할 수 있다. 많은 작은 강과 하천이 동일 유역 내의 지역 연못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연못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강과 하천이 범람하고 구불구불하게 흐르면, 봄 웅덩이와 습지를 포함한 많은 자연 연못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40]
8. 한국의 연못
한국 정원의 연못은 전통적인 일본 정원의 영향을 받아 자연을 모방하여 복잡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心字池|심자지일본어는 '心'(마음 심) 자 모양(붓으로 초서체로 쓴 모양)을 한 연못을 말하며, 서방사나 계리궁 정원 등에서 볼 수 있다.[11] 이는 유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심자지를 모방한 연못을 만들기도 한다.[11]
한국 정원의 연못은 주로 땅을 파서 만들고, 다양한 형태의 바위나 돌로 연못 주변을 장식한다.[11] 잉어나 금붕어를 기르는 경우도 많다.[12] 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점토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유지 관리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12]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유지 관리가 쉽지만, 초기에는 콘크리트에서 수산화칼슘이 용출되어 물이 알칼리성이 되므로 물고기를 바로 넣을 수 없다.[12] 따라서 물고기를 넣기 전 몇 달간 건조 및 방치하고, 며칠간 물을 갈아주면서 물의 pH가 안정된 후 넣어야 한다.[12]
9. 주목할 만한 연못 (예시)
참조
[1]
논문
The Merriam-Webster Dictionary – The Oxford Illustrated Dictionary
1975-06-01
[2]
논문
A functional definition to distinguish ponds from lakes and wetlands
2022
[3]
서적
Observer's Book of Pond Life
Frederick Warne
1986
[4]
서적
The new observer's book of pond life
Frederick Warne
1986
[5]
서적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6]
논문
15 years of pond assessment in Britain: results and lessons learned from the work of Pond Conservation
2005
[7]
논문
Evaluation of potential sources of sauger Sander canadensis for reintroduction into Lake Erie
2019
[8]
논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Monitored Natural Attenuation in Groundwater
2014-02-01
[9]
논문
Koshi Tappu Ramsar Site: Updates on Ramsar Information Sheet on Wetlands
1970-01-01
[10]
논문
The ecology of European ponds: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eglected freshwater habitat
http://link.springer[...]
2008
[11]
간행물
Newton of Braintree, Baron, (Antony Harold Newton) (1937–25 March 2012)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12]
서적
Pond, Edward (d 1629)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28
[13]
논문
Lipid Reserves of Migrant Shorebirds During Spring in Playas of the Southern Great Plains
2005
[14]
논문
The Biology of Lakes and Ponds
2017-12-21
[15]
서적
Northern prairie wetlands
Iowa State University
1989
[16]
웹사이트
Kettles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0-11-16
[17]
웹사이트
How do glaciers affect land?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https://nsidc.org/cr[...]
2020-11-16
[18]
논문
Fish Communities in Tropical Freshwaters: Their Distribution, Ecology and Evolution
1976
[19]
간행물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0]
간행물
Flora of Northeastern Vernal Pools
CRC Press
2007-08-13
[21]
간행물
Toward Ecosystem Restoration
CRC Press
1994-01-01
[22]
웹사이트
Freshwater ecosystems
http://www.forestres[...]
2018-05-29
[23]
웹사이트
Why are ponds important?
https://ghostponds.w[...]
2013-12-30
[24]
웹사이트
Why Ponds are Important to the Environment (How you can help)
https://pondinformer[...]
2018-12-31
[25]
논문
Pond age and riparian zone proximity influence anuran occupancy of urban retention ponds
2009-11-21
[26]
웹사이트
Water Chemistry Testing
https://www.ponds.or[...]
2020-11-16
[27]
논문
Water quality in forest and village ponds in Burkina Faso (western Africa)
2017-02-01
[28]
간행물
Regional Perspectives: Local Traditions
Bloomsbury Academic
2011
[29]
웹사이트
Traditional Ponds – The Water Urban-ism of Newar Civilization
https://spacesnepal.[...]
2019-10-11
[30]
논문
Biodiversity decreases disease through predictable changes in host community competence
2013
[31]
논문
Framing a Strategy for Pond Landscape Conservation: aims, objectives and issues
https://www.tandfonl[...]
1999
[32]
논문
New policy directions for global pond conservation
2018
[33]
서적
Encyclopedia of inland waters
2009-03-19
[34]
간행물
Geological carbon sinks
CABI
2007
[35]
간행물
Carbon dioxide: importance, sources and sinks
CABI
2007
[36]
논문
Farm Ponds Sequester Greenhouse Gases
https://eos.org/arti[...]
2019-05-21
[37]
서적
Ecology of weeds and invasive plants: relationship to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Wiley-Interscience
2007
[38]
논문
Assessing depressional wetland quantity and quality using a probabilistic sampling design in the Redwood River watershed, Minnesota, USA
2008
[39]
간행물
Restoring Floodplain Forests
Springer-Verlag
[40]
논문
Habitat recovery and restoration in aquatic ecosystems: current progress and future challenges
2016-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