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일 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일 군은 근계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근을 보존하는 반사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는 콕서터 군의 일종이다. 바일 군은 브뤼아 순서를 가지며, 콕서터-딘킨 다이어그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브뤼아 분해, 대수군과의 유사성, 코호몰로지와 관련이 있으며, 리 군, 리 대수, 대칭 공간 등 다양한 수학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한군 - 공간군
    공간군은 결정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230가지 수학적 군으로, 브라베 격자와 결정학적 점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병진 대칭, 점군 대칭 작용, 나사축, 미끄럼면 등의 대칭 작용을 포함하고, 결정 구조 이해와 물리적 성질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유한군 - 라그랑주 정리 (군론)
    라그랑주 정리(군론)는 군 G와 부분군 H에 대해 |G| = |G:H||H|가 성립하며, 유한군 G의 경우 |H|가 |G|의 약수임을 나타낸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바일 군
개요
C₂ 바일 군
C₂ 바일 군
분야군론
정의근계의 대칭군
성질
유형유한군
군 연산함수 합성
예시
Aₙ대칭군 S(n+1)
Bₙ/Cₙ초입방체군
Dₙ짝수 부호 초입방체군

2. 정의

바일 군(Weyl group)은 주어진 근계(root system) \Phi에 대한 반사들로 생성되는 이다. 유클리드 공간 V의 근계 \Phi에 대해, 각 근 \alpha\in\Phi에 수직인 초평면에 대한 반사 s_\alpha들이 존재한다. 이 모든 반사 s_\alpha들로 생성되는 직교군 O(V)의 부분군이 바로 \Phi의 바일 군 W이다. 근계의 정의에 따라 각 반사 s_\alpha는 근계 \Phi를 보존하며, 이로부터 바일 군 W유한군임을 알 수 있다.

바일 군은 리 대수, 리 군, 대칭 공간 등 다양한 수학적 구조에서 나타나며, 각 맥락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10] 특정 구현은 선택에 의존하는데, 예를 들어 리 대수에서는 카르탕 부분 대수의 선택에, 리 군에서는 극대 원환면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리 군 ''G''의 맥락에서는, 원환면 ''T'' < ''G'' (극대가 아닐 수도 있음)가 주어졌을 때, ''T''에 대한 바일 군은 ''T''의 정규화 군 ''N''(''T'') = ''NG''(''T'')을 ''T''의 중앙화 군 ''Z''(''T'') = ''ZG''(''T'')로 나눈 몫군으로 정의된다.

:W(T,G) := N(T)/Z(T)

이 군 ''W''는 유한군이다. 특히 ''T''가 극대 원환면일 경우, ''Z''(''T'') = ''T''가 성립하므로, 몫군 ''N''(''T'')/''T''를 ''G''의 바일 군이라고 하며 ''W''(''G'')로 표기한다. 극대 원환면의 선택은 켤레 동치까지 유일하므로, 바일 군 ''W''(''G'')는 동형 사상 아래 유일하게 결정된다.

리 군의 바일 군과 그에 대응하는 리 대수의 바일 군은 서로 동형이다. 예를 들어, 콤팩트 연결 리 군 ''G''의 바일 군은 그 리 대수의 바일 군과 동형 관계에 있다.

2. 1. 근계의 바일 군

근계는 실수 벡터 공간에서 특정한 성질을 만족시키는 벡터들의 집합이다. 근계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근들을 보존시키는 벡터 공간 반사들의 집합은 합성을 통해 콕서터 군을 이룬다. 이를 근계의 '''바일 군'''이라고 한다.

바일 군은 반사들로 생성되는 콕서터 군이므로, '''길이''' 및 '''브뤼아 순서'''(Bruhat order영어)를 정의할 수 있다. 브뤼아 순서는 바일 군 위에 정의되는 부분 순서이다. 간단히 말해, 바일 군의 두 원소를 반사들의 최소 길이 합성으로 나타냈을 때(g=s_1s_2\cdots s_m, h=t_1t_2\dotsc t_n), g를 나타내는 반사들의 순서열이 h를 나타내는 반사들의 순서열에서 일부를 생략하여 얻어질 수 있다면 (gh의 부분 문자열과 유사한 관계), 브뤼아 순서에 대하여 g\le h이다.

A_2 루트 시스템의 바일 군은 정삼각형의 대칭군이다.


유클리드 공간 V의 근계를 \Phi라고 하자. 각 근 \alpha\in\Phi에 대해, \alpha에 수직인 초평면에 대한 반사를 s_\alpha로 표기하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_\alpha(v)=v-2\frac{(v,\alpha)}{(\alpha,\alpha)}\alpha

여기서 (\cdot,\cdot)V 위의 내적이다. \Phi의 바일 군 W는 모든 반사 s_\alpha (\alpha\in\Phi)에 의해 생성되는 직교군 O(V)의 부분군이다. 근계의 정의에 따라 각 s_\alpha\Phi를 보존하므로, W유한군이다.

예를 들어, A_2 근계의 경우, 근에 수직인 초평면은 직선이며, 바일 군은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의 대칭군이 된다. 군으로서 W는 세 원소에 대한 치환군과 동형이며, 이는 삼각형의 꼭짓점들의 치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W가 근계의 모든 대칭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60도 회전은 근계 \Phi를 보존하지만 W의 원소는 아니다.

A_n 근계의 경우, 벡터 공간 V는 성분의 합이 0인 \mathbb R^{n+1}의 벡터들로 이루어진다. 근은 e_i-e_j,\,i\neq j 형태의 벡터들이며 (e_ii번째 표준 기저 벡터), 이 근에 해당하는 반사는 벡터의 i번째와 j번째 성분을 교환하는 변환이다. 따라서 A_n의 바일 군은 n+1개 원소에 대한 치환군이다.

바일 군에 대한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3]

:'''정리''': 근계 \Phi의 기저를 \Delta라고 할 때, 바일 군은 기저 \Delta에 속하는 근 \alpha들에 대한 반사 s_\alpha들만으로도 생성된다.

즉, 기저에 해당하는 반사들(s_\alpha,\,\alpha\in\Delta)로 생성된 군은 모든 근에 대한 반사들(s_\alpha,\,\alpha\in\Phi)로 생성된 군과 같다.

바일 군은 반사들로 생성되므로 유한 반사군의 한 예이며, 추상적인 군 구조는 유한 콕서터 군에 해당하여 콕서터-딘킨 다이어그램으로 분류될 수 있다. 콕서터 군이라는 것은 바일 군이 특별한 형태의 군의 표현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즉, 각 생성자 s_is_i^2=1을 만족하고, 이 외의 관계식은 모두 (s_i s_j)^{m_{ij}}=1 형태이다. 여기서 생성자는 단순근(기저의 근)에 의해 주어지는 반사들이며, m_{ij}는 두 단순근 ij 사이의 각도가 90도, 120도, 135도, 150도인지에 따라 각각 2, 3, 4, 6이 된다. 이는 딘킨 다이어그램에서 두 노드가 연결되지 않거나, 단순선, 이중선, 삼중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바일 군이 콕서터 군이라는 것은 이러한 관계식들이 바일 군을 정의하는 유일한 관계식이라는 뜻이다.

바일 군은 이러한 표현과 관련하여 브뤼아 순서와 길이 함수를 갖는다. 바일 군 원소의 '''길이'''는 표준 생성자(단순근에 대한 반사)들을 이용하여 해당 원소를 나타내는 가장 짧은 단어의 길이이다. 콕서터 군의 가장 긴 원소는 브뤼아 순서에서 항등원과 반대되는 유일한 원소이다.

2. 2. 리 군의 바일 군

''G''가 연결 콤팩트 리 군이라고 하자. ''G'' 속의 극대 원환면 ''T'' ⊆ ''G''를 고르자. 그렇다면, ''T''에 대한 ''G''의 '''바일 군''' ''W''(''G'',''T'')는 정규화 부분군 N''G''(''T'')와 중심화 부분군 Z''G''(''T'')의 몫군으로 정의된다.

:''W''(''G'',''T'') = N''G''(''T'')/Z''G''(''T'')

여기서 ''T''의 정규화 부분군 N''G''(''T'')와 중심화 부분군 Z''G''(''T'')는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N''G''(''T'') = {''x'' ∈ ''G'' | ''xtx''−1 ∈ ''T'', 모든 ''t'' ∈ ''T''에 대해}

:Z''G''(''T'') = {''x'' ∈ ''G'' | ''xtx''−1 = ''t'', 모든 ''t'' ∈ ''T''에 대해}

연결 콤팩트 리 군 ''G''의 모든 극대 원환면들은 서로 켤레 동치이므로, 바일 군은 군의 동형 아래 유일하게 정의된다. 또한, 극대 원환면 ''T''의 경우 Z''G''(''T'') = ''T''임이 알려져 있어,[5] 바일 군을 ''W'' = N''G''(''T'')/''T''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때 얻어지는 몫군 ''N''(''T'')/''T''를 ''G''의 '''바일 군'''이라고 하며, ''W''(''G'')로 표기한다.

단순 리 군과 단순 리 대수는 근계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경우, 리 군 또는 리 대수의 바일 군은 그 근계의 바일 군과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쌍 (''G'',''T'')에 관련된 근계 Φ는 ''T''가 ''G''의 리 대수에 작용하는 수반 작용의 0이 아닌 가중치로 정의된다. 각 근 α ∈ Φ에 대해, ''T''에 대한 작용이 반사의 형태를 갖는 N(''T'')의 원소 ''x''α를 구성할 수 있으며,[6] 이러한 반사들이 바일 군 N(''T'')/Z(''T'') 전체를 생성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5] 따라서 N(''T'')/''T'' 또는 N(''T'')/Z(''T'')로 정의된 바일 군은 근계 Φ의 바일 군과 동형이다.

바일 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군론적 및 기하학적 맥락(리 대수, 리 군, 대칭 공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이는 모두 해당 대상과 관련된 근계의 바일 군과 동일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4] 이러한 바일 군의 구체적인 실현은 일반적으로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리 대수의 경우 카르탕 부분 대수, 리 군의 경우 극대 토러스의 선택에 의존한다.[4][10]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리 군 ''G''에 대해,[7][11] 극대가 아닐 수도 있는 원환면 ''T'' ⊆ ''G''가 주어지면, 해당 원환면에 대한 바일 군 ''W''(''T'',''G'')는 ''T''의 정규화 부분군 N(''T'') = N''G''(''T'')를 ''T''의 중심화 부분군 Z(''T'') = Z''G''(''T'')로 나눈 몫으로 정의된다.

:''W''(''T'',''G'') := N(''T'')/Z(''T'')

이 군 ''W''(''T'',''G'')는 유한군이며, Z(''T'')는 N(''T'')에서 유한 지수를 갖는다.

''G''가 콤팩트하고 연결된 리 군인 경우, ''G''의 바일 군 ''W''(''G'')는 그 리 대수의 바일 군과 동형이다.

예를 들어, 일반 선형군 ''GL''의 경우, 극대 원환면 중 하나는 가역 대각 행렬의 부분군 ''D''이다. 이때 정규화 부분군 N(''D'')는 일반화된 순열 행렬(순열 행렬과 유사하지만 '1' 대신 임의의 0이 아닌 숫자를 가질 수 있는 행렬)들의 군이며, 바일 군 ''W''(''GL'') = N(''D'')/''D''는 대칭군과 동형이다. 이 특정 경우, 몫 사상 N(''D'') → N(''D'')/''D''는 (순열 행렬을 통해) 분할되므로, 정규화 부분군 N(''D'')는 원환면 ''D''와 바일 군 ''W''(''GL'')의 반직접 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바일 군은 ''GL''의 부분군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몫 사상이 항상 분할되는 것은 아니며, 정규화 부분군 ''N''이 항상 ''W''와 ''Z''의 반직접 곱인 것도 아니고, 바일 군을 항상 ''G''의 부분군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4][10]

3. 바일 방(Weyl Chamber)

A2 루트계에 대한 바일 방. 음영 영역은 기저 \{\alpha_1,\alpha_2\}에 대한 기본 바일 방이다.


\Phi\subset V가 루트계일 때, 각 루트 \alpha \in \Phi에 수직인 초평면을 생각할 수 있다. s_\alpha는 이 초평면에 대한 반사를 나타내며, 바일 군은 모든 s_\alpha들에 의해 생성되는 V의 변환 군이다. 루트에 수직인 초평면들의 집합은 유클리드 공간 V를 여러 개의 연결된 열린 영역으로 나누는데, 이 각 영역을 바일 방(Weyl chamber)이라고 부른다.

만약 특정 단순 루트의 집합 \Delta를 고정하면, \Delta에 연관된 기본 바일 방(fundamental Weyl chamber)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모든 \alpha\in\Delta에 대해 (\alpha,v)>0을 만족하는 점 v\in V들의 집합이다.

반사 s_\alpha,\,\alpha\in\Phi는 루트계 \Phi를 보존하므로, 루트에 수직인 초평면들의 집합 역시 보존한다. 따라서 바일 군의 각 원소는 바일 방들을 다른 바일 방으로 옮기는 순열처럼 작용한다.

오른쪽 그림은 A2 루트계의 예를 보여준다. 루트에 수직인 "초평면"(이 경우, 직선)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60도 각도의 여섯 개 영역이 바일 방이며, 음영 처리된 영역은 그림에 표시된 기저에 해당하는 기본 바일 방이다.

바일 방에 대한 중요한 정리는 다음과 같다.[1]

:'''정리''': 바일 군은 바일 방들의 집합 위에서 자유롭고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즉, 바일 군의 서로 다른 원소는 어떤 바일 방을 항상 서로 다른 바일 방으로 옮기며(자유 작용), 임의의 두 바일 방 C_1, C_2에 대해 C_1C_2로 옮기는 바일 군의 원소가 유일하게 존재한다(추이적 작용). 이 작용이 단순 추이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바일 군의 위수(원소 개수)는 바일 방의 개수와 같다.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2]

:'''정리''': 바일 방 C를 하나 고정하자. 그러면 V 안의 모든 벡터 v에 대해, v의 바일 군에 대한 궤도(orbit)는 C폐포 \bar C 안에 정확히 하나의 점을 포함한다.

임의의 영벡터가 아닌 벡터 v는 유클리드 공간 Vv에 직교하는 초평면 v^{\perp}를 경계로 하는 두 개의 열린 반공간 v^{+}v^{-}로 나눈다. 벡터 v가 어떤 바일 방 안에 속한다면, 어떤 루트도 초평면 v^{\perp} 위에 놓이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루트는 v^{+} 또는 v^{-} 둘 중 하나에 속하게 되며, 만약 루트 \alpha가 한쪽에 속하면 -\alpha는 다른 쪽에 속한다. 이를 이용하여 양의 루트 집합 \Phi^{+} := \Phi \cap v^{+}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루트 \Phi의 정확히 절반으로 구성된다. 물론 \Phi^{+}의 정의는 v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지만, v가 같은 바일 방 안에 있는 동안에는 변하지 않는다.

주어진 양의 루트 집합 \Phi^{+}에 대한 루트계의 (base) 또는 단순 루트 집합\Phi^{+}에 속하는 루트 중에서, \Phi^{+}에 속한 다른 두 루트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는 루트들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결과적으로 바일 방, 양의 루트 집합 \Phi^{+}, 그리고 밑(\Delta)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가 주어지면 다른 것들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바일 군은 이 세 가지 대상(바일 방 집합, 가능한 양의 루트 집합, 가능한 밑 집합) 모두에 단순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A2 루트계의 6개의 바일 방, 벡터 v, 초평면 v^{\perp} (점선), 양의 근 \alpha, \beta, \gamma. 이 경우 밑은 \{\alpha, \gamma\}이다.

4. 콕서터 군 구조

바일 군은 반사에 의해 생성되므로 유한 반사군의 예시이며, 추상적인 군으로서는 유한 콕서터 군에 해당한다. 따라서 콕서터-딘킨 다이어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일 군이 콕서터 군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종류의 군의 표현을 가짐을 의미한다. 각 생성원 s_i는 차수가 2이며(s_i^2 = 1), 이 외의 관계식은 (s_i s_j)^{m_{ij}} = 1 형태이다. 여기서 생성원은 단순근(\alpha_i \in \Delta)에 대응하는 반사 s_{\alpha_i}이고, m_{ij}는 두 단순근 \alpha_i\alpha_j 사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값은 두 근에 대응하는 노드가 딘킨 다이어그램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 연결선 없음 (각도 90°): m_{ij} = 2, 즉 (s_i s_j)^2 = 1 이고 s_is_j는 교환한다.
  • 단일 연결선 (각도 120°): m_{ij} = 3, 즉 (s_i s_j)^3 = 1.
  • 이중 연결선 (각도 135°): m_{ij} = 4, 즉 (s_i s_j)^4 = 1.
  • 삼중 연결선 (각도 150°): m_{ij} = 6, 즉 (s_i s_j)^6 = 1.


콕서터 군의 정의에 따라, 바일 군 W에서 이러한 관계식들(s_i^2 = 1, (s_i s_j)^{m_{ij}} = 1)은 군을 정의하는 유일한 관계식이다.[3]

바일 군은 이러한 콕서터 군 표현과 관련하여 브뤼아 순서(Bruhat ordereng)와 길이 함수(length functioneng)라는 중요한 구조를 갖는다. 바일 군 원소의 길이(Length of a Weyl group elementeng)는 표준 생성원(s_{\alpha}, \alpha \in \Delta)들을 이용해 해당 원소를 표현하는 가장 짧은 단어(곱)의 길이이다. 또한, longest element of a Coxeter groupeng가 유일하게 존재하며, 이는 브뤼아 순서에서 항등원과 가장 멀리 떨어진 원소이다.

5. 브뤼아 분해(Bruhat Decomposition)

''B''가 ''G''의 보렐 부분군, 즉 극대 연결 가해군이고, 극대 원환면 ''T'' = ''T''0가 ''B''에 속하도록 선택되면, 브뤼아 분해

:G = \bigcup_{w\in W} BwB

를 얻게 된다. 여기서 ''W''는 바일 군이다. 이 분해는 깃발 다양체 ''G''/''B''를 슈베르트 세포로 분해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래스만 다양체 참조).

바일 군의 하세 도표 구조는 기하학적으로 이 다양체(또는 이 군의 실수 형태 및 복소수 형태)의 코호몰로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푸앵카레 쌍대성에 의해 제약된다. 따라서, 바일 군의 대수적 성질은 다양체의 위상 공간론적 성질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푸앵카레 쌍대성은 차원 ''k''의 세포와 차원 ''n'' − ''k''의 세포 사이에 대응 관계를 제공한다(여기서 ''n''은 다양체의 차원이다). 가장 낮은 차원(즉, 0차원) 세포는 바일 군의 항등원에 해당하고, 쌍대적으로 가장 높은 차원의 세포는 콕서터 군의 최장 원소에 해당한다.

6. 대수군과의 유사성

대수군과 바일 군 사이에는 여러 유사성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대칭군 Sn의 원소 개수는 계승 ''n''!인 반면, 유한체 Fq 위의 일반 선형군 GLn(Fq)의 원소 개수는 q-계승 [n]q!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대응 관계 때문에, 대칭군은 마치 "원소 1개인 체" field with one elementeng 위의 선형군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원소 한 개 체 이론을 통해 더욱 형식적으로 다루어지며, 이 이론의 맥락에서 바일 군은 원소 한 개 체 위의 단순 대수군으로 간주된다.

7. 코호몰로지(Cohomology)

비가환 연결 콤팩트 리 군 ''G''에 대해, ''G''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 최대 토러스 ''T''를 계수로 하는 바일 군 ''W''의 1차 군 코호몰로지[8] H^1(W; T)정규화 부분군 N = N_G(T)의 외부 자기 동형군 \operatorname{Out}(N) 및 ''G''의 외부 자기 동형군 \operatorname{Out}(G)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9]

:\operatorname{Out}(N) \cong H^1(W; T) \rtimes \operatorname{Out}(G)

여기서 ''G''의 외부 자기 동형군 \operatorname{Out}(G)는 본질적으로 딘킨 도표의 자기 동형에 해당한다. 한편, 군 코호몰로지 H^1(W; T)는 유한 기본 아벨 2-군 (\mathbf{Z}/2\mathbf{Z})^k 형태이며, 단순 리 군의 경우에는 이 군의 위수가 1, 2 또는 4이다. 0차 및 2차 군 코호몰로지 역시 정규화 부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9]

8. 예시



\Phi유클리드 공간 V의 루트 시스템이라고 하자. 각 루트 \alpha\in\Phi에 대해, s_\alpha\alpha에 수직인 초평면에 대한 반사로 나타내며, 이는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주어진다.

:s_\alpha(v)=v-2\frac{(v,\alpha)}{(\alpha,\alpha)}\alpha

여기서 (\cdot,\cdot)V상의 내적이다. \Phi의 바일 군 W는 모든 반사 s_\alpha에 의해 생성된 직교군 O(V)의 부분군이다. 루트 시스템의 정의에 따라 각 s_\alpha\Phi를 보존하므로, W유한군이 된다.

몇 가지 작은 바일 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An 루트 시스템: 이 경우, 벡터 공간 V는 성분의 합이 0인 \mathbb R^{n+1}의 모든 벡터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루트는 e_i-e_j,\,i\neq j 형태의 벡터들이며, 여기서 e_i\mathbb R^{n+1}i번째 표준 기저 벡터이다. 이 루트에 대한 반사는 벡터의 i번째와 j번째 성분을 교환하는 변환이다. 따라서 An의 바일 군은 n+1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S_{n+1}과 동형이다.
  • 예를 들어, A2 루트 시스템의 바일 군은 정삼각형대칭군과 같으며, 이는 3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S_3과 동형이다. (오른쪽 그림 참고) 그러나 이 바일 군이 A2 루트 시스템의 모든 대칭 변환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60도 회전은 루트 시스템을 보존하지만 바일 군의 원소는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A2 참고)
  • 리 대수 \mathfrak{sl}_n: 리 대수 \mathfrak{sl}_n의 바일 군은 n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S_n이다. 이 작용은 카르탕 부분 대수 \mathfrak{h}(대각합(trace)이 0인 대각 행렬들의 집합)에 치환 행렬에 의한 켤레 작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작용은 쌍대 공간 \mathfrak{h}^\ast에 대한 작용을 유도하며, 이것이 바로 바일 군의 작용이다.

8. 1. A1

가장 간단한 (자명군이 아닌) 바일 군은 A_1 근계의 바일 군인 \operatorname W(A_1)이다. 이 군은 원소가 2개인 대칭군 \operatorname{Sym}(2)와 동형이다.

\operatorname W(A_1)은 하나의 기본 반사 a로 생성되며, 군의 원소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 W(A_1)=\{\epsilon,a\}

여기서 \epsilon은 항등원이다.

이 군의 브뤼아 순서에 대한 하세 도표는 다음과 같다.



a

|

ε


8. 2. A2

루트 시스템 A_n벡터 공간 V가 성분 합이 0인 \mathbb R^{n+1}의 모든 벡터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루트는 e_i-e_j,\,i\neq j 형태의 벡터로 구성되며, 여기서 e_i\mathbb R^{n+1}i번째 표준 기저 벡터이다. 이 루트에 대한 반사는 벡터의 i번째와 j번째 성분을 교환하는 변환이다. A_n의 바일 군은 n+1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S_{n+1}과 동형이다.

A_2 루트 시스템은 n=2인 경우이다. 따라서 A_2의 바일 군 W(A_2)는 3개의 원소에 대한 대칭군 S_3 (또는 \operatorname{Sym}(3))와 동형이다. 이 군은 두 개의 기본 반사 a, b로 생성되며, 군의 원소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 W(A_2)=\{\epsilon,a,b,ab,ba,aba=bab\}

여기서 \epsilon은 항등원이다. 이 군은 총 6개의 원소를 가진다.

기하학적으로 A_2 루트 시스템에서 루트에 수직인 초평면은 단순히 선이며, 바일 군은 정삼각형의 대칭군과 같다. 즉,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서로 바꾸는 변환들의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W(A_2)의 브뤼아 순서에 대한 하세 도표는 다음과 같다.



aba

/ \

ab ba

| \/ |

| /\ |

a b

\ /

ε



주의할 점은 A_2의 바일 군이 루트 시스템 \Phi의 전체 대칭군은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60도 회전은 루트 시스템 \Phi를 보존하지만 바일 군 W(A_2)의 원소는 아니다.

8. 3. G2

G_2 근계의 바일 군은 두 개의 기본 반사 a, b로 생성되며, 이 군은 정이이면체군 \operatorname{Dih}(\operatorname{Sym}(6))과 동형이다. 이 바일 군의 관계식과 원소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 W(G_2)=\operatorname{Dih}(\operatorname{Sym}(6))=\langle a,b|1=a^2=b^2=(ab)^6\rangle

:\{\epsilon,a,b,ab,ba,aba,bab,abab,baba, ababa, babab, ababab=bababa\}

이에 대한 브뤼아 순서의 하세 도표는 다음과 같다.



ababab

/ \

ababa babab

| \ / |

| \/ |

| /\ |

| / \ |

abab baba

| \ / |

| \/ |

| /\ |

| / \ |

aba bab

| \ / |

| \/ |

| /\ |

| / \ |

ab ba

| \ / |

| \/ |

| /\ |

| / \ |

a b

\ /

ε


8. 4. A3

A_3 근계의 바일 군 \operatorname W(A_3)대칭군 \operatorname{Sym}(4)와 동형이다. 딘킨 도표의 꼭짓점에 대응하는 각 기본 반사를 순서대로 (a,b,c)라고 할 때, \operatorname W(A_3)의 24개의 원소들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 W(A_3)

=

\begin{matrix}\{\epsilon,\\

a,b,c,\\

ab,ba,ac=ca,bc,cb,\\

abc, bcb, acb, bac, aba, cba,\\

abcb, abac, bacb, bcba, acba,\\

abacb, abcba, bacba,\\

abacba\}

\end{matrix}

9. 목록

단순 근계는 모두 분류되었고, 그 바일 군은 다 알려져 있다. 바일 군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근계리 군바일 군의 크기바일 군
An (n ≥ 1)SU(n+1)(n+1)!Sn+1
Bn (n ≥ 2)SO(2n+1)2n n!(Z2)nSn
Cn (n ≥ 3)USp(2n)2n n!(Z2)nSn
Dn (n ≥ 4)SO(2n)2n−1 n!(Z2)n−1Sn
E6E627×34×5\operatorname{Aut}(\operatorname{PSU}(4;\mathbb F_2))
E7E7210×34×5×7\mathbb Z/2\times\operatorname{PS\Omega}(7;\mathbb F_2)
E8E8214×35×52×7\operatorname O^+(8;\mathbb F_2)
F4F427×32\operatorname O^+(4;\mathbb F_3)
G2G222×3D6



B''n''과 C''n''은 서로 쌍대 근계이므로, 같은 바일 군을 가진다. 번사이드 정리에 따라, F4의 바일 군은 가해군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문서
[8] 문서
[9] 서적
[10] 서적
[11] 문서
[12] 문서
[1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