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혈액 세포 표면의 단백질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혈액 질환이다. PNH는 주로 적혈구의 파괴(용혈)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소변의 붉은 변색, 빈혈, 혈전증, 신부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PIGA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세포막에 GPI 앵커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해 보체계의 공격을 받아 발생하며, 유세포 분석법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과 혈전증 예방을 위한 항응고 요법, 그리고 보체 C5를 억제하는 에쿨리주맙과 같은 표적 치료제를 사용한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유일한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질병 개요
이름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영어 이름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기타 이름발작성 야간 혈색소혈증
Marchiafava–Micheli 증후군
임상 정보
증상알려진 바 없음
합병증알려진 바 없음
발병 시기알려진 바 없음
지속 기간알려진 바 없음
유형알려진 바 없음
원인 및 위험 요소
원인알려진 바 없음
위험 요인알려진 바 없음
진단 및 감별 진단
진단알려진 바 없음
감별 진단알려진 바 없음
예방 및 치료
예방알려진 바 없음
치료알려진 바 없음
약물알려진 바 없음
예후 및 빈도
예후알려진 바 없음
빈도알려진 바 없음
사망알려진 바 없음
추가 정보
관련 분야알려진 바 없음

2. 원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글리코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의 결합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 이로 인해 보체계에 의한 세포 파괴를 막는 분해 촉진 인자(DAF/CD55)와 프로텍틴(CD59/MIRL/MAC-IP)이 부족해져 적혈구가 쉽게 파괴된다.[4][13][5]

용혈 과정에서 방출된 헤모글로빈은 산화 질소와 결합하여 평활근 이완을 방해한다. 이 때문에 식도 경련, 발기 부전,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질산염이나 실데나필(비아그라) 투여로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5] 만성 용혈은 폐 고혈압 및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12]

과거에는 수면 중 혈액의 산성화가 용혈을 악화시킨다는 가설이 있었으나, 모든 PNH 환자에게서 수면 중 용혈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이 가설은 의문시되고 있다.[14]

2. 1. 유전적 요인

모든 세포는 세포막에 부착된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세포와 주변 환경 간의 소통 또는 신호 전달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신호 단백질은 다양한 방식으로 세포막에 물리적으로 부착되며, 일반적으로 글리코지질과 같은 글리코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에 의해 고정된다.[5]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는 혈액 세포 표면에서 이러한 글리코지질-단백질 구조의 조립 결함으로 발생한다.[5]

PNH에서 가장 흔한 결함 효소는 GPI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여러 효소 중 하나인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A(PIGA)이다. PIGA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X 염색체에 위치한다. 남성은 X 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고, 여성은 하나가 X 염색체 불활성화를 통해 비활성화되므로, 성별에 관계없이 각 세포에는 PIGA 유전자의 활성 사본이 하나만 존재한다.[1] PIGA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세포막에서 발현되는 GPI 앵커의 부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가 골수 내 조혈모세포에서 발생하면, 생성되는 모든 세포에도 결함이 발생한다.[5]

세포막에서 GPI에 고정되는 여러 단백질은 보체계에 의한 세포 파괴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앵커가 없으면 보체 단백질에 의해 세포가 더 쉽게 표적이 된다.[4]

2. 2. 보체계와의 관계

모든 세포는 세포막에 부착된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세포와 주변 환경 간의 소통 또는 신호 전달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신호 단백질은 글리코지질과 같은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에 의해 세포막에 고정된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혈액 세포 표면에서 이러한 글리코지질-단백질 구조의 조립 결함으로 발생한다.[5]

PNH에서 가장 흔한 결함 효소는 GPI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여러 효소 중 하나인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A(PIGA)이다. PIGA 유전자는 X 염색체에 위치하며, 돌연변이는 세포막에서 발현되는 GPI 앵커의 부재로 이어진다. 이러한 돌연변이가 골수 내 조혈모세포에서 발생하면, 생성되는 모든 세포에도 결함이 발생한다.[5]

CD55 단백질/분해 촉진 인자 구조


CD59 단백질/프로텍틴 구조


세포막에서 GPI에 고정되는 여러 단백질은 보체계에 의한 세포 파괴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앵커가 없으면 보체 단백질에 의해 세포가 더 쉽게 표적이 된다.[4] 보체계는 선천 면역계의 일부이며, 혈액 세포를 파괴로부터 보호하는 주요 단백질은 분해 촉진 인자(DAF/CD55)와 프로텍틴(CD59/MIRL/MAC-IP)이다. 분해 촉진 인자는 C3-전환 효소의 형성을 방해하고, 프로텍틴은 막 공격 복합체에 결합하여 C9이 세포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5]

3. 증상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의 주요 증상은 적혈구 파괴로 인한 용혈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이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헤모글로빈이 소변으로 배출되어 붉게 변색되는 혈색소뇨가 있다. 이 외에도 빈혈, 혈전증, 만성 신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11][5]

감염, 수면, 임신, 수술 등에 의해 보체 활성이 강해지면서 용혈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고혈압 · 폐고혈압 / 소화기 증상 / 발기 부전 (ED)''': 용혈에 따른 유리 헤모글로빈에 혈액 속의 일산화 질소(NO)가 흡착되어 혈액 내 NO가 고갈된다. 이로 인해 혈관 및 장관 평활근의 수축이 발생하여 고혈압 및 폐고혈압 등의 혈압 이상, 복통, 연하 곤란 등의 소화기 증상, 남성의 경우 발기 부전을 일으킨다.

  • '''만성 신부전''': 용혈에 따른 유리 헤모글로빈으로 인해 헤모시데린이 신장에 침착되면서 만성 신부전을 보인다.

3. 1. 혈색소뇨

헤모글로빈과 헤모시데린이 적혈구 파괴로 인해 소변에 나타나 붉은색으로 보이는 현상이다.[11] 아침에는 소변의 농도가 높아져 색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의 원발성 형태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며, 질병 경과 중 어느 시점에서 이를 인지하게 된다. 그 외 환자들은 피로감, 호흡 곤란, 심계항진과 같은 빈혈 증상을 보인다.[5]

일부 환자들은 복통, 연하 곤란, 연하통 발작, 남성의 경우 발기 부전을 겪기도 하는데, 이는 적혈구 파괴가 빠를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적혈구 파괴 산물에 의한 산화 질소 고갈로 평활근 경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12]

과거부터 병명의 유래이기도 한 특징적인 징후로 "야간·조조의 적갈색 뇨(혈색소뇨)"가 있지만, 실제로는 약 50% 정도라고 한다.

3. 2. 빈혈

적혈구 파괴로 인한 헤모글로빈과 헤모시데린 때문에 소변이 붉게 변색되며, 아침에 소변 농도가 높아지면서 색이 더 뚜렷해진다.[11] 이 외에도 피로감, 호흡 곤란, 심계항진과 같은 빈혈 증상이 나타난다.[5]

3. 3. 혈전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환자의 40%는 질병 과정 중 어느 시점에서 혈전증이 발생한다. 이는 PNH에서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혈전증은 일반적인 부위(다리의 심부 정맥 혈전증 및 혈전이 떨어져 폐로 들어가 발생하는 폐색전증)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PNH에서는 혈전이 더 특이한 부위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정맥(버드-키아리 증후군 유발), 간의 문맥(문맥 혈전증 유발), 상장간막정맥 또는 하장간막정맥(장간막 허혈 유발), 그리고 피부의 정맥 등이다. 드문 형태의 뇌정맥 혈전증은 PNH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뇌졸중의 한 형태이다.[5]

PNH의 병태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부 정맥 혈전증이나 뇌경색, 심근 경색과 같은 혈전증이 많이 발생한다. 혈전증은 PNH 환자의 생명 예후를 규정하는 중요한 인자이기도 하다.

3. 4. 기타 증상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적혈구 파괴로 인해 헤모글로빈과 헤모시데린이 소변에 섞여 나와 붉게 변색되는 것이다. 아침에는 소변 농도가 짙어 색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원발성 형태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며, 질병 경과 중 어느 시점에서 이를 인지하게 된다.[11] 나머지 환자들은 주로 피로감, 호흡 곤란, 심계항진과 같은 빈혈 증상을 겪는다.[5]

일부 환자들은 복통, 연하 곤란, 연하통 발작, 남성의 경우 발기 부전을 겪기도 하는데, 이는 적혈구 파괴가 빠르게 진행될 때 나타난다. 적혈구 파괴 산물에 의해 산화 질소가 고갈되어 평활근 경련이 일어나기 때문이다.[12]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환자의 40%는 질병 과정 중 어느 시점에서 혈전증이 발생한다. 이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혈전은 일반적인 부위(다리의 심부 정맥 혈전증, 폐색전증)뿐만 아니라, 간정맥(버드-키아리 증후군 유발), 간의 문맥(문맥 혈전증 유발), 상장간막정맥 또는 하장간막정맥(장간막 허혈 유발), 피부 정맥 등 특이한 부위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드문 형태의 뇌정맥 혈전증은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뇌졸중의 한 형태이다.[5]

과거부터 병명의 유래가 된 특징적인 징후는 "야간·조조의 적갈색 뇨(혈색소뇨)"이지만, 실제로는 약 50% 정도에서만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감염, 수면, 임신, 수술 등에 의해 보체 활성이 강해지면서 용혈이 발생하여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빈혈''': 용혈성 빈혈로 인해 일반적인 빈혈 증상이 나타난다.
  • '''고혈압 · 폐고혈압 / 소화기 증상 / 발기 부전 (ED)''': 용혈에 따른 유리 헤모글로빈에 혈액 속의 일산화 질소(NO)가 흡착되어 혈액 내 NO가 고갈된다. 이로 인해 혈관 및 장관 평활근의 수축이 발생하여 고혈압 및 폐고혈압 등의 혈압 이상, 복통, 연하 곤란 등의 소화기 증상, 남성의 경우 발기 부전을 일으킨다.
  • '''혈전증''': 병태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부 정맥 혈전증, 뇌경색, 심근 경색과 같은 혈전증이 많이 발생한다. 이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중요한 생명 예후 규정 인자이다.
  • '''만성 신부전''': 용혈에 따른 유리 헤모글로빈으로 인해 헤모시데린이 신장에 침착되면서 만성 신부전을 보인다.

4. 진단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진단에는 혈액 검사가 사용되며, 유세포 분석법이 표준 검사법이다. 과거에는 자당 용해 검사, 햄 산 용혈 검사, 설탕물 검사 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낮은 민감도와 특이성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다.

유세포 분석법은 백혈구적혈구의 CD55 및 CD59 발현 정도를 검사하여 PNH 세포를 I, II, III형으로 분류한다. I형 세포는 CD55 및 CD59가 정상, II형 세포는 감소, III형 세포는 결핍된 수준을 보인다.[5] 플루오레세인 표지 프로에어로리신(FLAER) 검사는 글리코포스파티딜이노시톨 앵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CD59 또는 CD55만을 확인하는 것보다 결함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PNH 진단에 더 자주 사용된다.[3]

그 외에도 NAP 점수 저하, 적혈구막 AchE 활성 저하, 쿰스 검사 음성 등이 진단에 참고될 수 있다.

4. 1. 혈액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을 진단할 때에는 혈관 내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성 빈혈의 특징적인 변화를 확인한다. 이러한 변화에는 헤모글로빈 수치 감소, 젖산 탈수소효소 수치 증가, 빌리루빈 수치 증가(헤모글로빈 분해 산물), 합토글로빈 수치 감소가 포함된다.[5] 골수에서 파괴된 세포를 대체하기 위해 미성숙 적혈구인 망상 적혈구가 증가할 수 있지만, 이는 철 결핍 등 적혈구 생성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 한한다. PNH의 용혈항체에 의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DAT, 또는 직접 쿰스 검사)는 음성으로 나타난다.[5]

재생 불량성 빈혈이 함께 발생하여 백혈구 수치와 혈소판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빈혈은 용혈뿐만 아니라 적혈구 생성 부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

과거에는 환자의 적혈구를 저이온 강도 용액에 넣어 용혈 여부를 관찰하는 자당 용해 검사가 선별 검사로 사용되었다. 이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햄 산 용혈 검사를 통해 확진했다.[3][15] 햄 검사는 적혈구를 약산에 넣는 검사로, 1937년에 토마스 햄 박사가 처음 고안했다. 양성 결과는 PNH 또는 선천성 적혈구 생성 이상 빈혈을 시사했지만, 현재는 낮은 민감도와 특이성으로 인해 PNH 진단에 사용되지 않는다. 1966년에 Robert C. Hartmann영어가 보고한 설탕물(고이온 액)에 환자 혈구를 넣어 용혈을 확인하는 설탕수 검사도 과거에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백혈구적혈구의 CD55 및 CD59에 대한 유세포 분석법이 표준 검사법이다. 이 검사를 통해 적혈구는 I형, II형, III형 PNH 세포로 분류된다. I형 세포는 CD55 및 CD59가 정상, II형 세포는 감소, III형 세포는 결핍된 수준을 보인다.[5] 플루오레세인 표지 프로에어로리신(FLAER) 검사는 글리코포스파티딜이노시톨 앵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CD59 또는 CD55만을 확인하는 것보다 결함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PNH 진단에 더 자주 사용된다.[3]

유세포 분석(FCM)을 통해 적혈구과립구의 "CD55", "CD59" 음성 세포 수의 비율을 검사한다. 과립구(백혈구) 측정이 더 정확하며 해외에서는 일반적이지만, 일본에서는 적혈구 검사만 보험 적용이 되므로 적혈구의 CD55/CD59 검사가 일반적이다. 고감도 FLAER 법을 사용하여 직접 "GPI-AP 결손 혈구"를 검출하고 정량하는 것이 진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그 외에도 NAP 점수 저하, 적혈구막 AchE 활성 저하, 쿰스 검사 음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2. 햄 검사 (Ham test)

1937년 미국의 토머스 헤일 햄(Thomas Hale Ham)이 보고한 검사로(N Engl J Med 1937; 217:915-917), 약산성으로 조절한 혈청(pH 6.5~7.0)에 환자 혈구를 넣으면 용혈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는 검사이다.[3][15] 햄 검사는 적혈구를 약산에 넣는 검사로, 양성 결과(적혈구 취약성 증가)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또는 선천성 적혈구 생성 이상 빈혈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재는 낮은 민감도와 특이성으로 인해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진단에 사용되는 구식이 된 검사법이다.

4. 3. 설탕물 검사 (Sugar water test)

1966년 미국의 로버트 C. 하트만(Robert C. Hartmann)이 보고한 검사로, 설탕물 (고이온 액)에 환자 혈구를 넣으면 용혈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는 검사이다.[3] 과거에는 환자의 적혈구를 저이온 강도 용액에 넣고 용혈 여부를 관찰하는 자당 용해 검사가 선별 검사로 사용되었다.[15]

4. 4. 유세포 분석 (Flow cytometry)

오늘날 표준 검사법은 백혈구적혈구의 CD55 및 CD59에 대한 유세포 분석법이다.[5] 이러한 세포 단백질의 수준에 따라 적혈구는 I형, II형 또는 III형 PNH 세포로 분류될 수 있다. I형 세포는 CD55 및 CD59의 정상 수준을 보이며, II형 세포는 감소된 수준을, III형 세포는 결핍된 수준을 보인다.[5] 플루오레세인 표지 프로에어로리신 (FLAER) 검사는 PNH 진단을 위해 더 자주 사용되고 있다. FLAER은 글리코스파티딜이노시톨 앵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CD59 또는 CD55만을 확인하는 것보다 결함을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3]

유세포 분석 (FCM)을 통해 적혈구과립구의 "CD55", "CD59" 음성 세포 수의 비율을 검사한다. 일본에서는 적혈구 검사만 보험 적용이 되므로 적혈구의 CD55/CD59 검사가 일반적이지만, 용혈이나 수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립구 (백혈구) 측정이 더 정확하며 해외에서는 일반적이다.

고감도 FLAER (fluorescent-labeled inactive toxin aerolysin) 법을 사용하여 직접 "GPI-AP 결손 혈구"를 검출하고 정량하는 것이 진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4. 5. 고감도 유세포 분석

오늘날 표준 검사법은 백혈구적혈구의 CD55 및 CD59에 대한 유세포 분석법이다. 이러한 세포 단백질의 수준에 따라 적혈구는 I형, II형 또는 III형 PNH 세포로 분류될 수 있다. I형 세포는 CD55 및 CD59의 정상 수준을 보이며, II형 세포는 감소된 수준을, III형 세포는 결핍된 수준을 보인다.[5] 플루오레세인 표지 프로에어로리신 (FLAER) 검사는 PNH 진단을 위해 더 자주 사용되고 있다. FLAER은 글리코포스파티딜이노시톨 앵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CD59 또는 CD55만을 확인하는 것보다 결함을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3]

유세포 분석 (FCM)을 통해 적혈구과립구의 "CD55", "CD59" 음성 세포 수의 비율을 검사한다. 일본에서는 적혈구 검사만 보험 적용이 되므로 적혈구의 CD55/CD59 검사가 일반적이지만, 용혈이나 수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립구 (백혈구) 측정이 더 정확하며 해외에서는 일반적이다.

고감도 FLAER (fluorescent-labeled inactive toxin aerolysin) 법을 사용하여 직접 "GPI-AP 결손 혈구"를 검출하고 정량하는 것이 진단 기준으로 사용된다.

5. 분류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진단되는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27]


  • 고전적 PNH (Classic PNH)
  • 다른 특이 골수병의 PNH (PNH in the setting of another specified bone marrow disorder)
  • 무증상 PNH (Subclinical PNH)

5. 1. 전형적인 PNH (Classic PNH)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진단되는 상황에 따라 분류된다.[5] 다른 골수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PNH의 증거가 나타나는 경우를 전형적인 PNH라고 한다.

5. 2. 다른 특정 골수 질환을 동반한 PNH (PNH in the setting of another specified bone marrow disorder)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은 진단되는 상황에 따라 분류되는데, 다른 특정 골수 질환을 동반한 PNH는 재생불량성 빈혈 및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과 같은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이다.[5][27]

5. 3. 무증상 PNH (Subclinical PNH)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진단되는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27]

  • '''무증상 PNH'''(Subclinical PNH): 용혈의 징후 없이 유세포 분석에서 PNH의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6. 역학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드문 질환으로, 연간 100만 명당 1~2명의 발생률을 보인다.[5] 질병 조절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의 예후는 10~20년이다.[19] 많은 사례가 이전에 골수형성이상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 PNH가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DS)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사실은 PNH 환자에게서 백혈병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이는 이유를 설명해주는데, 골수형성이상 증후군이 때때로 백혈병이나 재생 불량성 빈혈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5]

PNH 여성 환자의 25%는 임신 중에 발견된다. 이 그룹은 혈전증 발생률이 높으며, 산모와 아이 모두의 사망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다(각각 20% 및 8%).[5]

일본 후생노동성 지정 난치병 특정 질환이며, 일본 내 환자 수는 약 1,00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7. 치료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치료는 경증의 경우 경과 관찰을 하며, 생명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혈전증에 대한 항응고 요법과 용혈에 대한 대증 요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에쿨리주맙과 같은 표적 치료제 투여도 시행된다. 이 질환에서는 비장 절제술은 시행되지 않는다.


  • 대증 요법
  • 용혈 치료: 스테로이드 (용혈 발작 예방), 합토글로빈 (용혈에 의한 신기능 저하 예방), 적혈구 수혈
  • 항응고 요법: 와파린
  • 표적 치료
  • 에쿨리주맙(솔리리스): 보체 "C5"를 억제하는 인간화 단클론 항체로, 용혈 방지 효과가 크다. "C3"는 억제하지 않으며, 수막염균 등의 감염증 악화 위험성이 있는 부작용이 있다.
  • 조혈모세포 이식: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지만, 표적 치료의 효과가 좋아 최근에는 젊은 환자 등에서 충분히 검토된 후에 시행된다.

7. 1. 급성기 치료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스테로이드가 용혈 위기의 심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수혈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17]

수혈 요법은 심각한 빈혈을 교정하는 것 외에도 골수에서 PNH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고 간접적으로 용혈의 심각성을 감소시킨다. 소변으로의 손실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 결핍이 발생하며, 철 결핍이 있는 경우 치료해야 할 수 있다. 철분 치료는 더 많은 PNH 세포가 생성됨에 따라 더 많은 용혈을 유발할 수 있다.[17]

경증의 경우에는 경과 관찰을 진행한다. 기본적으로 생명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혈전증에 대한 항응고 요법과 용혈에 대한 대증 요법이 중심이 되며, 표적 치료제 투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질환에서는 비장 절제술은 시행되지 않는다.

  • 대증 요법
  • 용혈 치료: 스테로이드 (용혈 발작 예방), 합토글로빈 (용혈에 의한 신기능 저하 예방), 적혈구 수혈
  • 항응고 요법: 와파린
  • 표적 치료
  • 에쿨리주맙(Eculizumab, 솔리리스, Soliris): 보체 "C5"를 억제하는 인간화 단클론 항체로, 용혈 방지 효과가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다. "C3"는 억제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는 수막염균 등의 감염증 악화 위험성이 있다.
  • 조혈모세포 이식: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지만, 위의 표적 치료의 치료 성적이 비교적 양호하며, 최근에는 젊은 환자 등에서 충분히 검토된 후에 시행된다.

7. 2. 만성기 치료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만성 질환이다. 문제가 거의 없는 환자들의 경우, 6개월마다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잠재적인 합병증의 심각성과 위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NH 환자는 혈전증 위험이 높으므로, 큰 클론(백혈구의 50%가 3형)을 가진 환자는 와파린을 이용한 예방적 치료를 통해 혈전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5][18]

혈전증 에피소드는 다른 환자와 동일하게 치료하지만, PNH가 지속적인 근본 원인임을 고려할 때, 혈전증 에피소드 이후 와파린 또는 유사한 약물로 장기간 치료를 지속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5] 경증의 경우에는 경과 관찰을 진행한다. 기본적으로 생명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혈전증에 대한 항응고 요법과 용혈에 대한 대증 요법이 중심이 되며, 에쿨리주맙과 같은 표적 치료제 투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질환에서는 비장 절제술은 시행되지 않는다.

  • 대증 요법
  • 용혈 치료: 스테로이드(용혈 발작 예방), 합토글로빈(용혈에 의한 신기능 저하 예방), 적혈구 수혈
  • 항응고 요법: 와파린
  • 표적 치료
  • 에쿨리주맙: 보체 "C5"를 억제하는 인간화 단클론 항체로, 용혈 방지 효과가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다. "C3"는 억제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는 수막염균 등의 감염증 악화의 위험성이 있다.
  • 조혈모세포 이식: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지만, 위의 표적 치료의 치료 성적이 비교적 양호하며, 최근에는 젊은 환자 등에서 충분히 검토된 후에 시행된다.

7. 2. 1. 에쿨리주맙 (Eculizumab)

에쿨리주맙은 2007년에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치료제로 승인된 약제이다.[1] 에쿨리주맙은 보체 "C5"를 억제하는 인간화 단클론 항체로, 용혈 방지 효과가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C3"는 억제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는 수막염균 등의 감염증 악화 위험성이 있다.[1]

7. 2. 2. 크로발리맙 (Crovalimab)

제시된 자료에는 크로발리맙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7. 2. 3. 다니코판 (Danicopan)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다니코판'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니코판' 섹션에는 해당 약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대신, 원본 소스에 나타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일반적인 치료법에 대한 정보를 섹션 제목과 관련지어 작성하는 것은 현재 지시사항에 위배되므로 어떠한 출력도 할 수 없습니다.

7. 2. 4. 입타코판 (Iptacopan)

제시된 원본 소스에는 '입타코판'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7. 2. 5. 페그세타코플란 (Pegcetacoplan)

주어진 소스에는 '페그세타코플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7. 2. 6. 항응고 요법

PNH 환자는 혈전증 위험이 높아, 큰 클론(백혈구의 50%가 3형)을 가진 환자는 와파린을 이용한 예방적 치료를 통해 혈전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5][18]

혈전증 발생 시 다른 환자와 동일하게 치료하지만, PNH가 지속적인 근본 원인임을 고려할 때, 혈전증 발생 이후 와파린 또는 유사한 약물로 장기간 치료를 지속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5] 경증의 경우에는 경과 관찰을 진행하며, 기본적으로 생명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혈전증에 대한 항응고 요법이 중심이 된다.

7. 2. 7. 조혈모세포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은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지만, 에쿨리주맙과 같은 표적 치료제의 치료 성적이 비교적 양호하여 최근에는 젊은 환자 등을 대상으로 충분히 검토된 후에 시행된다.[1]

참조

[1] 논문 PNH from mutations of another PIG gene 2013-08
[2] 논문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12-05
[3] 논문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https://doi.org/10.1[...] 2014
[4]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Elsevier
[5]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05-12
[6] 논문 How I treat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09-06
[7] 논문 Diseases of complement dysregulation-an overview 2018-01
[8] 뉴스 Alexion Pharmaceuticals ordered to lower price of $500K a year drug in Canada {{!}} CBC News https://www.cbc.ca/n[...] 2018-11-29
[9] 뉴스 British watchdog wants U.S. biotech Alexion to justify cost of drug https://www.reuters.[...] 2014-03-03
[10] 논문 Eculizumab for treating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14-10
[11] 웹사이트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 NORD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https://rarediseases[...] 2016
[12] 논문 The clinical sequelae of intravascular hemolysis and extracellular plasma hemoglobin: a novel mechanism of human disease 2005-04
[13] 웹사이트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https://www.lecturio[...]
[14] 논문 Historical aspects of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defining the disease' 2002-04
[15] 논문 Chronic haemolytic anaemia with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study of the mechanism of haemolysis in relation to acid-base equilibrium
[16] 논문 Thrombosis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13-06
[17]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05-12
[18] 논문 Primary prophylaxis with warfarin prevents thrombosis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2003-11
[19] 논문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from bench to bedside 2011-06
[20] 논문 Paroxysmale Hämoglobinurie https://zenodo.org/r[...]
[21] 논문 Nuovo contributo allo studio degli itteri cronici emolitici
[22] 논문 Anemia emolitica con emosiderinuria perpetua
[23] 논문 Uno caso di anemia emolitica con emosiderinuria perpetua
[24] 문서 Strübing-Marchiafava-Micheli syndrome
[25] 논문 Eine neue form intermittierender haemoglobinurie (Haemoglobinuria paroxysmalis nocturia)
[26] 저널 인용 PNH from mutations of another PIG gene 2013-08-15
[27] 저널 인용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http://bloodjournal.[...] 2017-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