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카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카누스는 로마 신화의 불과 대장장이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된다. 그의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번개, 불꽃 등과 관련된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카누스는 로마에서 숭배받았으며, 불카날리아 축제를 통해 불의 파괴적인 힘과 비옥하게 하는 힘을 기렸다. 그는 금속 가공과 관련되어 다양한 신과 영웅들을 위한 무기를 제작하는 장인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남성의 생식력과 관련된 신으로도 여겨진다. 불카누스는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셰필드 시의 수호신, 조각상, 가상 행성의 이름 등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파이스토스 - 헤파이스토스 신전
    헤파이스토스 신전은 아테네 아고라에 있는 고대 그리스 신전으로, 금속공예와 불의 신인 헤파이스토스와 아테나 에르가네를 모셨으며, 7세기경 교회로 개조되었다가 현재는 고고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고 아름다운 건축 양식으로 건축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불카누스 - 바론의 대모험
    《바론의 대모험》은 테리 길리엄 감독의 1988년 영화로, 뮌히하우젠 남작이 초인적인 조력자들과 함께 기상천외한 모험을 펼치는 이야기를 상상력 넘치는 영상과 독특한 연출로 그리고 있다.
  • 불카누스 - 환타지아 (영화)
    1940년 월트 디즈니가 제작한 환타지아는 클래식 음악에 맞춰진 8개의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지휘와 딤스 테일러 해설로 음악과 영상의 혁신적인 조화를 이룬 영화이다.
  • 대장장이 남신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 대장장이 남신 - 세케르
    세케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프타, 오시리스와 연관된 신으로, 미라화된 매의 모습으로 멤피스에서 숭배되었으며 농업과 죽은 자의 심판 역할을 했다.
불카누스
신화 정보
유형불, 금속 세공, 대장간의 신
소속디이 콘센테스
거주지불카노 섬 아래
상징대장장이의 망치
배우자베누스
부모유피테르, 유노
형제자매마르스, 미네르바, 헤르쿨레스, 벨로나, 아폴로, 디아나, 바쿠스 등
축제불카날리아
그리스 대응 신헤파이스토스
에트루리아 대응 신세틀란스
이미지
엑소미스(튜닉)와 필로스(원뿔형 모자)를 착용한 불카누스, 베르텔 토르발센 조각
엑소미스(고대 로마의 튜닉)와 필로스(고대 그리스의 원뿔형 모자)를 착용한 불카누스, 베르텔 토르발센 조각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가미네 공원의 불칸 동상
불칸 동상. 이바라키현히타치시 가미네 공원 소재. 히타치시의 자매 도시인 미국앨라배마주버밍햄 시에서 기증함.
로마 신화
주요 원전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디이 콘센테스 (올림포스 12신 상당)유피테르 - 유노
미네르바 - 아폴로
베누스 - 마르스
디아나 - 케레스
불카누스 - 메르쿠리우스
넵투누스 - 베스타
(바쿠스)
기타 신유스티티아 - 쿠피도
우라노스 - 사투르누스
아우로라 - 플루토
야누스 - 포르투나
주요 신전/사적지판테온
베누스와 로마 신전
베스타 신전
사투르누스 신전
메종 카레
일반 정보
라틴어Vulcānus
IPA (라틴어)wʊɫˈkaːnʊs
신전
신전불카날

2. 어원

불카누스라는 이름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로마의 전승은 번개와 관련된 라틴어 단어(fulgur, fulgere, fulmenla)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다시 불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었다.[94] 이러한 해석은 월터 윌리엄 스키트가 어원 사전에서 '광채'를 의미한다고 지지한다.[95]

불카누스의 이름이 라틴어가 아니라 자연과 지하 세계를 관장하는 크레타의 신 벨카노스(Velchanos)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96] 볼프강 마이드는 이 동일시를 '공상허언'이라고 반박했다.[97] 더 최근에는 제라르 카프드빌(Gérard Capdeville)이 크레타의 미노아 신 ''벨카노스''와 에트루리아 신 ''벨칸스'' 사이의 연속성을 찾아 이 어원을 다시 주장하기 시작했다. 미노아 신의 정체성은 불의 지배자인 어린 신이자 위대한 여신과 함께 다니는 것으로 생각된다.[98]

크리스티앙 기용바르크는 불카누스의 기원이 아일랜드어 이름 Olcan (소유격일 때 오검 문자 표기: Ulccagni)과 관련있다고 제안했다. 바실리 아바예프는 불카누스를 나르트 서사시의 대장장이 쿠르달레곤 이름의 변형인 오세트어 Wærgon과 비교했다. ''쿠르달레곤''이라는 일반형에서 이름이 지속적이고 명백한 뜻을 지녔기에(''쿠르드'' 망치+ ''온'' 가족의+ ''알레그'' 나르트 서사시의 가문들 중 하나의 이름), 이 가설은 뒤메질이 받아들이지 않았다.[99]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에 따르면, ''Volcanus''는 '*Volca'라고 불리는 불의 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인도유럽어족에서 신의 영역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접미사 ''-no-''가 붙어 있다. 따라서 ''*Volca''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ulkā''("돌진하는 불꽃") 및/또는 ''várcas-''("광채, 눈부심")와 동족 관계일 수 있다.[8]

3. 숭배

로마인들은 불카누스를 그리스 신화의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했다.[16] 불카누스는 헤파이스토스처럼 금속 세공에서 불의 건설적인 사용과 연관되었지만, 불의 파괴적인 능력과 더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숭배자들은 주로 신이 해로운 화재를 막도록 기원했다.

불카누스의 축제인 불카날리아는 매년 8월 23일에 열렸는데, 이는 여름 더위로 인해 작물과 곡창이 불에 탈 위험이 가장 컸기 때문이다.[1][17] 축제 기간 동안 신을 기리기 위해 모닥불을 만들고, 살아있는 물고기나 작은 동물을 희생물로 던져 인간을 대신하여 태웠다.[18]

볼카날리아는 8월 하반기(8월 21일 콘수알리아, 23일 볼카날리아, 25일 오피콘시비아, 27일 볼투르날리아)의 네 가지 축제 주기의 일부였으며, 그 달의 농업 활동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7월 하반기(7월 19일과 21일 루카리아, 23일 넵투날리아, 25일 푸리날리아)의 축제와 대칭적인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7월의 축제는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숲)과 물(넵투날리아의 표면수와 푸리날리아의 지하수)과 관련된 것이었고, 그 상대적 부족으로 인한 위험의 시기였다. 반면 8월의 축제는 수확한 곡물 저장(콘수알리아)과 인간 사회와 왕권과의 관계(오피콘시비아) 등 인간의 노력의 결과에 바쳐졌으며, 이는 당시 과도한 불(볼카날리아)과 바람(볼투르날리아)의 두 요소의 힘과 건조함에 의해 강화된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했다.[19]

볼카날리아 기간 동안 사람들은 옷과 직물을 햇볕에 말리곤 했다.[20] 이 관습은 불카누스와 신격화된 태양 사이의 신학적 연관성을 반영했을 수 있다.[21] 이날 지켜진 또 다른 관습은 촛불을 켜고 일을 시작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신에 의한 불의 유익한 사용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다.[22] 8월 23일의 볼카날리아 외에도, 매년 두 번 열리는 투빌루스트리아(나팔 정화 의식)의 두 번째 날인 5월 23일도 불카누스에게 신성한 날이었다.[17][23]

루디 불카날리키(Ludi Vulcanalici)는 기원전 20년 8월 23일 단 한 번 불카누스 신전 구역에서 열렸으며, 아우구스투스는 이를 통해 파르티아와의 조약과 기원전 53년 카르해 전투에서 잃었던 군단기의 반환을 기념했다.

flamines minorsla 중 하나인 플라멘은 flamen Vulcanalisla라고 불리며 신의 숭배를 담당했다. 플라멘 볼카날리스는 매년 5월 칼렌다에에 거행되는 여신 마이아에게 바치는 희생을 주관했다.[24]

불카누스는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달래진 신들 중 하나였다.[25] 같은 화재에 대한 대응으로 도미티아누스(황제 81–96)는 퀴리날 언덕에 불카누스를 위한 새로운 제단을 세웠다. 동시에 붉은 황소 송아지와 붉은 멧돼지가 볼카날리아에 바쳐진 희생에 추가되었으며, 적어도 도시의 그 지역에서는 그랬다.[26]

안드레아 만테냐: 파르나스, 불의 신 불카누스

3. 1. 불카날(Vulcanal)

로마시에서 가장 오래된 불카누스의 성소는 불카날이라 불렸으며, 포룸 로마눔에 있는 카피톨리노 언덕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100][101] 로마 왕정 시기인 기원전 8세기경 사비니족의 공동 왕 티투스 타티우스[102]가 지었다고 전해진다. 에트루리아 창자 점쟁이들은 불카누스의 신전이 로마 외곽에 있어야 한다고 보았는데,[103] 이는 불카날이 로마시 경계 밖이나 경계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뒷받침한다.[91]

볼카날리아 축제 때인 8월 23일에 불카누스에게 제물을 바쳤다.[100] 불카누스는 캄푸스 마르티우스에도 기원전 214년까지 신전이 있었다.[91][104]

로마인들은 불카누스를 그리스의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했다.[105] 불카누스는 헤파이스토스처럼 금속 가공에서 불의 사용과 관련이 있었다. 불카날에서 발견된 헤파이스토스를 묘사하는 그리스 도자기 파편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두 신이 이미 그 시기에 연관되었음을 보여준다.[101] 그러나 불카누스는 헤파이스토스보다 불의 파괴적인 능력과 더 강한 연관성을 가졌으며, 그의 숭배자들은 해로운 불을 막아달라고 불카누스에게 요청하는 데 주력했다.

로마에서 불카누스의 주요하고 가장 오래된 신전은 카피톨리움 기슭, 로마 포룸의 북서쪽 모퉁이에 위치한 개방된 공간인 ''볼카날''(Volcanal)이었으며, 신에게 헌정된 공간과 영원한 불꽃이 있었다. 이곳은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신사 중 하나였다.

로마의 전통에 따르면 이 신사는 로물루스에 의해 헌정되었다. 그는 신에게 바쳐진 청동 사두마차를 그 자리에 두었는데, 이는 피데나테스와의 전쟁 전리품이었다. 하지만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해당 전쟁은 로마 건국 16년 후에 일어난 카메리아와의 전쟁이었다. 로물루스는 그곳에 불카누스에게 자신의 조각상과 자신의 성공을 적은 그리스 문자의 비문을 헌정했을 것이다. 플루타르코스는 로물루스가 승리의 면류관을 쓰고 묘사되었다고 말한다. 게다가 그는 대 플리니우스 시대까지 살아있었고 도시만큼 오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성스러운 연꽃 나무를 신전에 심었을 것이다. ''볼카날''은 포룸이 아직 도시 성벽 밖에 있었을 때 건립되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볼카날''은 초기 포룸이 매장지로 사용된 것처럼 화장 장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리비우스는 기원전 189년과 181년에 두 번에 걸쳐 피가 내리는 기적에 대해 언급했다.

''아레아 볼카니''(area Volcani)는 아마도 ''로쿠스 서브스트럭투스''(locus substructus)였을 것이다. 이곳은 코미티움보다 5미터 더 높았으며, 공화정 초기 왕과 집정관들은 로스트라가 건설되기 전에 이곳에서 백성에게 연설했다.

볼카날에는 호라티우스 코클레스의 조각상도 있었는데, 벼락을 맞은 후 ''로쿠스 인페리오르''(locus inferior)인 코미티움에서 이곳으로 옮겨졌다.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일부 점술가들이 기적을 속죄하기 위해 소환되었고, 그들이 로마인에 대한 증오 때문에 햇빛이 닿지 않는 낮은 장소로 조각상을 옮겼다고 적었다. 그러나 사기 행각이 드러나 점술가들은 처형되었다. 나중에 조각상을 더 높은 곳에 두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아레아 볼카니''에 놓였다.

기원전 304년에는 콘코르디아를 위한 사켈룸이 ''아레아 볼카니''에 지어졌는데, 이는 아이딜리스 쿠룰리스 그나이우스 플라비우스에 의해 헌정되었다.

사무엘 볼 플랫너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볼카날''은 주변 건물에 의해 점점 더 침식되어 완전히 덮여 버렸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숭배는 제정 시대 전반기에도 여전히 살아 있었는데, 기원전 9년에 아우구스투스의 헌납물이 발견된 것으로 증명된다.

20세기 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뒤에서 볼카날에 속했던 것으로 보이는 고대 응회암 기초와 콘크리트로 덮이고 붉게 칠해진 3.95m 길이, 2.8m 폭의 암석 플랫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 상단 표면에는 여러 개의 좁은 채널이 파여 있고, 그 앞에는 응회암 슬라브로 만든 배수 채널의 잔해가 있다. 이것이 불카누스 자체의 ''아레아''였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암석에는 손상 및 수리의 흔적이 나타난다. 표면에는 과거에 무덤으로 해석된 둥근 또는 사각형의 구멍이 있다. 특히 폰 둔에 의해 그렇게 해석되었다. 포룸에서 화장 묘가 발견된 후 폰 둔은 볼카날이 원래 시신을 화장하는 장소였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신전은 기원전 215년 이전에 마르티우스 평원의 플라미니우스 서커스 근처에 신을 위해 세워졌으며, 그곳에서 볼카날리아 축제 기간 동안 그를 기리는 경기가 열렸다.

3. 2. 볼카날리아(Vulcanalia) 축제

불카누스의 축제 불카날리아는 매년 8월 23일에 열렸는데, 이는 폭염으로 작물들이 타버릴 위험이 가장 큰 시기였다.[91][106] 축제 기간에는 불카누스를 기리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고, 살아있는 물고기나 작은 동물들을 재물로 던져 인간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107]

불카날리아는 8월 하반기에 농업 활동과 관련된 네 가지 축제 중 하나였다. 이 축제들은 8월 21일의 콘수알리아 (Consualia), 8월 23일의 불카날리아, 8월 25일의 오피콘시비아 (Opiconsivia), 8월 27일의 불투르날리아 (Vulturnalia)였다. 이는 7월 하반기의 루카리아 (Lucaria, 7월 19일과 21일), 넵투날리아 (Neptunalia, 7월 23일), 푸리날리아 (Furrinalia, 8월 25일)와도 유사했다. 7월의 축제들이 통제되지 않는 자연(숲)과 물(넵투날리아는 표면수, 푸리날리아는 지하수)의 상대적 부족으로 발생된 위험한 시기에 열렸던 반면, 8월의 축제들은 수확한 곡물 저장(콘수알리아), 인간 사회 및 왕국과 신들의 관계(오피콘시비아) 등 인간의 노력에 대한 결과에 헌정되었으며, 당시 건조함으로 인해 강해진 불(불카날리아)과 바람(불투르날리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했다.[108]

불카날리아 기간에 로마인들은 의복과 직물을 태양 아래에 걸어두곤 했다.[109] 이는 불카누스와 신성시된 태양 간의 신학적인 연관성을 반영했을 것이다.[110]

이 시기에 로마인들은 촛불을 켜고 일을 시작했는데, 이는 불카누스를 통한 불의 유익한 사용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11] 불카누스는 8월 23일의 불카날리아뿐만 아니라, 5월 23일의 투빌루스트리아(투빌루스트리움, 트럼펫 정화 의식)에서도 신성시되었다.[106][112]

기원전 20년 8월 23일, 불카누스 신전 지구에서 루디 불카날리키 (Ludi Vulcanalici)가 단 한 번 열렸고, 아우구스투스파르티아와의 조약 체결 및 기원전 53년 카레 전투에서 상실한 군단기 회수를 기념하기 위해 벌였다.

3. 3. 기타 숭배 관련 사항

로마인들은 불카누스를 그리스의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했다.[105] 불카누스는 그의 그리스 대응신처럼 금속 가공에서 불의 사용과 관련이 있었다. 불카날에서 출토된, 헤파이스토스를 나타내는 그리스 도자기 파편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두 신이 이미 그 시기에 연관되었음을 보여준다.[101] 그러나 불카누스는 헤파이스토스에 비해서 불의 파괴적인 능력에 더 강한 연관성을 가졌으며, 그의 숭배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해로운 불을 막아달라고 불카누스에게 요청하는 것이었다.

불카누스의 축제 불카날리아는 폭염으로 작물들이 타버릴 위험이 가장 큰 시기인 매년 8월 23일에 열렸다.[91][106] 축제 기간에, 불카누스를 기리기 위해 피워진 모닥불에 살아있는 물고기나 작은 동물들을 제물로 던져 인간 세계에서 섭취될 수 있도록 했다.[107]

불카날리아는 농업 활동과 관련된 8월 하반기의 네 가지 축제 [8월 21일의 콘수알리아 (Consualia), 8월 23일의 불카날리아, 8월 25일의 오피콘시비아 (Opiconsivia), 8월 27일의 불투르날리아 (Vulturnalia)] 중 하나였고, 7월 하반기의 축제 [7월 19일과 21일의 루카리아 (Lucaria), 7월 23일의 넵투날리아 (Neptunalia), 8월 25일의 푸리날리아 (Furrinalia)]와도 유사한 관계였다. 7월의 축제들이 통제되지 않는 자연(숲)과 물(넵투날리아는 표면수, 푸리날리아는 지하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발생된 위험한 시기에 축제를 열었던 한편, 8월의 축제들은 수확한 곡물의 저장(콘수알리아), 인간 사회 및 왕국에 대한 신들의 관계(오피콘시비아)와 함께, 자연에서 인간의 노력에 대한 결과에 헌사한 것들이었으며, 그 당시에 이 모든 것들은 건조할 때 강해진 불(불카날리아)과 바람(불투르날리아)이라는 방대하고 강력한 요소의 위험으로부터 위험하고 보호가 요구되던 것들이다.[108]

불카날리아 기간에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의복과 직물을 태양 아래에 걸어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09] 이 관습은 불카누스와 신성시된 태양 간의 신학적인 연관을 반영했을 것이다.[110]

이 시기에 관찰된 또 다른 관습은 로마인들이 촛불을 켜고 일을 시작해야만 하는 것이었는데, 아마도 불카누스를 통한 불의 유익한 사용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11] 8월 23일의 불카날리아뿐만 아니라, 두 번의 연례 투빌루스트리아 또는 트럼펫의 정화를 위한 의식에서 두 번째에 속하는 5월 23일의 불카날리아에서도 불카누스가 신성시 되었다.[106][112]

기원전 20년 8월 23일, 불카누스 신전 지구에서 ''루디 불카날리키'' (Ludi Vulcanalici)가 단 한 번 열렸고, 파르티아와의 조약 체결 및 기원전 53년 카레 전투에서 상실한 군단기 회수를 기념하기 위해 아우구스투스가 벌였다.

''플라미네스 미노르스''(flamines minors) 중에, ''플라멘 불카날리스'' (flamen Vulcanalis)로 임명된 플라멘은 불카누스의 제식을 맡았다. 플라멘 불카날리스는 매년 5월의 칼렌다이에 열린 마이아 여신의 제물을 바치는 일을 주관했다.[113]

불카누스는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로 기려진 신들 중 하나였다.[114] 그때 같은 화재에 대한 반응으로, 도미티아누스(제위 81–96)는 퀴리날레 언덕에 새로운 불카누스의 신단을 세웠다. 동시에 붉은 수송아지 한 마리와 붉은색 멧돼지를 로마 지역에서 불카날리아에 쓰이는 최소한의 제물로써 추가했다.[115]

4. 신학

불카누스의 본성은 불에 대한 종교적 관념과 관련되어 있다. 로마인은 불카누스를 불의 파괴적인 힘과 비옥하게 만드는 힘 두 가지 모두와 관련시켰다.

불카누스와 베스타 간의 의례 관련에 대한 첫 언급은 기원전 217년의 렉티스테르니움에서 나왔다. 두 신전이 상대적으로 가깝고,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가 두 신의 숭배가 티투스 타이투스가 치른 전투에서 서약한 것을 수행하기 위해 로마에 도입되었다고 언급한 점[129], 바로가 이를 입증한 점[130] 등이 이 관계를 암시한다.

불카누스는 불을 멈추게 하는 여신으로 추정되는 스타타 마테르[131], 마이아[132]와 관련되어 있다.

허버트 제닝스 로즈는 마이아의 이름에 있는 인도 유럽어 어근 *MAG를 관련시켜서 성장과 관련된 여신이라고 해석했다.[133] 마크로비우스는 킨키우스의 의견을 인용, 불카누스의 여성 동반 신이 마이아라고 전한다. 킨키우스는 ''플라멘 볼카날리스''가 5월의 칸렌다이 때 마이아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을 근거로 삼았다. 피소는 불카누스의 동행 신이 마이에스타스라고 주장했다.[134]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마이아가 불카누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로마 성직자들이 사용하는 의례 기도문을 인용해 자신의 의견을 뒷받침했다.[135][136]

불카누스는 티투스 마키우스 플라우투스[137], 아풀레이우스 (불카누스는 아모르와 프시케의 결혼식에서 요리사이다)[138], 요리사와 제빵사 간 소송에 대한 라틴어 문집 속 베스파의 짧은 시[139]에서 입증된 것처럼, 화덕과 관련된 직업(요리사, 제빵사, 과자 제조자)의 수호신이다.

4. 1. 파괴적인 힘

불카누스의 본성은 불과 관련된 종교적 관념과 연결되어 있다. 로마인들은 불카누스를 불의 파괴적인 힘과 비옥하게 하는 힘 모두와 연관시켰다.

첫 번째 측면에서, 불카누스는 수확한 밀을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볼카날리아 축제 때 숭배받았다. 그의 신전은 도시 자체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을 피하기 위해 원래 도시 경계 밖에 위치했다.[27] 그러나 이 힘은 적에게 사용될 경우 유용하다고 여겨졌으며, 불카누스 신전의 위치 선정도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패배한 적들의 무기[28]와 장군들의 헌신 의례에서 바쳐진 무기[29] 역시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한다.

조르주 뒤메질은 이러한 불카누스의 파괴적인 측면을 베다 제의의 세 가지 희생 불 이론에서 세 번째, 즉 방어적인 불과 비교 해석을 통해 연결시켰다.[30] 이 이론에 따르면 종교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불이 필요하다. 토지 소유자의 화로는 정확한 위치에서 지구상에 기준점을 설정하여 하늘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희생의 불은 하늘에 제물을 전달한다. 방어적인 불은 일반적으로 성스러운 공간의 남쪽 경계에 위치하며 악의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로마 시의 영토는 그 자체로 확대된 신전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세 개의 불은 베스타 신전(aedes Vestaela)의 토지 소유자 화로, 각 신전, 제단 또는 성소의 희생의 불, 그리고 불카누스 신전의 방어적인 불로 식별되어야 한다.

불카누스의 또 다른 의미는 남성의 생식력과 관련이 있다. 여러 라틴 및 로마 전설에서 그는 프라이네스테의 창시자인 카이쿨루스,[31] 카쿠스,[32] 로마의 아벤티노 언덕에 살았던 괴물로 변모한 원시 존재 또는 왕, 그리고 로마의 왕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와 같은 유명한 인물들의 아버지이다. 로물루스 탄생 이야기의 변형에서도 불카누스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세부 사항은 동일하다.[33]

익시온의 처벌: 중앙에는 카두케오스를 들고 있는 헤르메스가 있으며, 오른쪽에 유노가 왕좌에 앉아 있다. 그녀 뒤에는 이리스가 서서 손짓을 하고 있다. 왼편에는 불카누스(금발 인물)가 바퀴 뒤에 서서 조작하고 있으며, 익시온은 이미 묶여 있다. 네펠레는 헤르메스 발치에 앉아 있다. 폼페이의 베티의 집에 있는 트리클리니움 동쪽 벽에 있는 네 번째 양식 (서기 60–79년)의 로마 프레스코화


일부 학자들은 불카누스가 프라이네스테의 여신 포르투나 프리미게니아와 페로니아를 임신시킨 알려지지 않은 신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 그는 유피테르의 아버지가 될 것이다.[34] 그러나 이 견해는 여신을 유피테르의 딸(puer Jovisla)이자 어머니(primigeniala, 즉 "원초적인"을 의미)로 연결하는 견해와 상충된다.

위에 언급된 모든 이야기에서 신의 생식력은 집 화로의 불의 힘과 관련이 있다. 카이쿨루스의 경우, 그의 어머니는 화로 근처에 앉아 있는 동안 화로에서 그녀의 자궁에 떨어진 불씨에 의해 임신되었다.[35]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어머니 오크레시아는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내 타나퀼의 명령에 따라 희생 제단의 재에서 기적적으로 나타난 남성 생식기에 의해 임신되었다.[36] 대 플리니우스는 같은 이야기를 전하지만 아버지는 라르 파밀리아리스였다고 말한다.[37] 아이의 머리가 불꽃으로 둘러싸여 해를 입지 않았을 때 그의 신성이 인정되었다.[38]

이러한 신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고고학자 안드레아 카란디니는 카쿠스와 카카가 불카누스와 카이쿨루스의 경우처럼 지역 신적 존재 또는 처녀의 아들이었다고 주장한다. 카쿠스와 카카는 불카누스와 베스타의 투영인 야금 및 가정의 불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전설은 도시 이전 시대의 라티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의미는 매우 명확하다. 신적 차원에서 불카누스는 처녀 여신을 임신시키고 신들의 왕인 유피테르를 낳고, 인간적 차원에서는 지역 처녀(아마도 왕족 혈통)를 임신시키고 왕을 낳는다.[39]

4. 2. 남성의 생식력

불카누스는 남성의 생식력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여러 라틴계 민족과 로마의 전설에서 불카누스는 프라이네스테의 시조 카이쿨루스,[120] 태초의 존재이자 왕이었지만 이후 괴물로 변하여 로마 아벤티누스 언덕에서 살았던 카쿠스,[121] 로마의 왕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와 같은 유명한 인물들의 아버지였다. 로물루스 탄생 설화의 변형 내용에서는 불카누스가 명백하게 언급되지는 않으나 세부 사항이 일치한다.[122]

일부 학자들은 불카누스가 프라이네스테의 여신 포르투나 프리미게니아와 안쿠르 (Anxur)의 여신 페로니아를 임신시킨 정체불명의 신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 불카누스는 유피테르의 아버지가 될 수 있다.[123] 이 관점은 포르투나를 유피테르에게 딸(''puer Jovis'')이자 "근원의"라는 뜻의 ''primigenia''인 어머니로 연결하는 논쟁에 있다.

위에 언급된 모든 이야기들에서 불카누스의 생식력은 집안 화로의 불과 관련되어 있다.

카이쿨루스의 경우, 그의 어머니는 화로 근처에 앉아 있는 동안 화로에서 어머니의 자궁으로 떨어진 작은 불꽃에 의해 임신되었다.[124]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어머니 오크레시아는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내 타나퀼의 명령으로, 제물용 제단에 있던 재에서 기적적으로 나타난 남성 성기에 의해 임신되었다.[125] 대 플리니우스도 같은 이야기를 전하지만, 그 아버지는 라르 파밀리아리스였다.[126] 아이의 신성성은 아이의 머리가 화염에 둘러싸였음에도 어떠한 해를 입지 않고 있을 때 인정되었다.[127]

이 신화들을 비교 분석한 고고학자 안드레아 카란디니는 카쿠스와 카카가 불카누스의 아들이고, 카이쿨루스는 지방의 신적 존재라는 의견을 냈다. 카쿠스와 카카는 불카누스와 베스타를 투영한 야금술과 집안의 불을 상징한다.

이 전설은 라티움 지역이 도시화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의미는 명확하다. 신적 존재인 불카누스는 처녀 여신을 임신시키고 신들의 왕인 유피테르를 낳았으며, 인간의 존재로서 그는 지역의 처녀(아마 왕가의 후손)를 임신시키고 왕을 낳았다는 것을 뜻한다.[128]

5. 그리스 신화와의 관계

그리스 신화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되는 불카누스는 유피테르의 번개 화살을 포함하여 여러 신과 영웅들을 위한 예술, 무기, , 보석, 갑옷 등을 제작하는 장인으로 여겨졌다. 그는 유피테르와 유노의 아들이자 마이아와 비너스의 남편이었다. 그의 대장간시칠리아의 에트나 산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여겨졌다.[56]

피터 테이스의 ''비너스와 불카누스의 대장간''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불카누스의 대장간''(1630)

5. 1. 불카누스 관련 신화 (영어 Wikitext "Greek myths of Hephaestus" 기반)

그리스 신화헤파이스토스와 동일시되는 불카누스는 유피테르의 번개 화살을 포함하여 여러 신과 영웅들을 위한 예술, 무기, , 보석, 갑옷 등을 제작하는 장인으로 여겨졌다. 그는 유피테르와 유노의 아들이자 마이아와 아프로디테(비너스)의 남편이었다. 그의 대장간시칠리아의 에트나 산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여겨졌다.[56]

불카누스는 신들의 왕인 유피테르와 여신들의 여왕인 유노의 아들이었지만, 아기였을 때는 작고 못생긴 데다 얼굴이 빨갛고 울보였다. 유노는 혐오감에 어린 아기를 올림푸스 산 꼭대기에서 던져 버렸다.

불카누스는 하루 낮과 밤 동안 떨어져 바다에 떨어졌고, 물에 부딪히면서 다리 중 하나가 부러져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다. 바다 깊숙이 가라앉은 불카누스는 바다의 님프인 테티스에게 발견되어 그녀의 해저 동굴에서 자랐다.

불카누스는 돌고래를 친구 삼아 진주를 장난감 삼아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이 끝날 무렵, 그는 해변에서 어부의 불씨를 발견하고 꺼지지 않은 석탄에 매료되었다.

불카누스는 이 석탄을 조개껍데기에 넣어 해저 동굴로 가져가 불을 지폈다. 그는 며칠 동안 불을 이용해 철, 은, 금을 녹여 팔찌, 사슬, 칼, 방패 등을 만들었다. 양어머니 테티스를 위해 진주 손잡이가 달린 칼과 숟가락을 만들었고, 자신을 위해 해마가 끄는 은색 전차를 만들었다. 그는 심지어 금으로 만든 여종들을 만들어 시중을 들게 했다.

어느 날, 테티스는 불카누스가 만든 은과 사파이어 목걸이를 착용하고 올림푸스 산에서 열린 파티에 참석했다. 유노는 목걸이의 출처를 물었고, 테티스는 당황했다. 유노는 의심 끝에 자신이 버렸던 아들이 재능 있는 대장장이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노는 불카누스에게 돌아오라고 요구했지만, 불카누스는 거절했다. 대신 그는 유노에게 자개로 상감한 은과 금으로 만든 아름다운 의자를 보냈다. 유노는 기뻐했지만, 앉자마자 숨겨진 스프링이 작동하여 금속 밴드가 튀어나와 그녀를 붙잡았다. 결국 유피테르가 불카누스에게 비너스를 아내로 주겠다고 약속하며 사태를 해결했고, 불카누스는 비너스와 결혼했다.[57]

불카누스는 나중에 시칠리아 섬의 에트나 산 아래에 대장간을 지었다. 비너스가 불성실할 때마다 불카누스는 화가 나서 붉게 달아오른 금속을 두드렸고, 이로 인해 산 정상에서 불꽃과 연기가 솟아올라 화산 폭발을 일으켰다고 한다.[58]

베르길리우스에 따르면 불카누스는 카에쿨루스의 아버지였다.[59]

불의 비밀을 훔친 인류를 벌하기 위해 유피테르는 신들에게 인간을 위한 독이 든 선물을 만들라고 명령했다. 불카누스는 판도라를 점토로 빚어 형태를 부여하고, 올림푸스 산의 다른 신들을 위한 왕좌를 만들었다.

6. 기타


  • 셰필드는 영국의 철강 도시로, 불카누스는 이 도시의 수호신이다. 셰필드 시청 꼭대기에는 불카누스의 조각상이 있다.
  • 앨라배마 주 버밍햄에 있는 불카누스 조각상은 세계에서 가장 큰 주철 조각상이다.[80]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캠퍼스에는 3.6m 높이에 544kg의 불카누스 조각상이 있으며, 학교의 마스코트로 사용된다.[81]
  • 2013년 로이터 통신은 새로 발견된 명왕성의 위성 이름으로 "불카누스"가 제안되었다고 보도했다.[82] "불카누스"가 대중 투표에서 승리했지만, 국제천문연맹은 2013년 6월에 최종적으로 카론, 스틱스, 닉스, 케르베로스, 히드라로 결정했다.[83]
  • "불카누스"라는 이름은 위르뱅 르 베리에가 수성보다 더 가까이 태양을 공전한다고 이론화한 가설 행성 불칸 외에도, 태양계 안팎의 다양한 다른 가상의 행성에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스타 트렉'' 프랜차이즈의 불칸 행성은 40 에리다니 A를 공전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 불카누스는 B.L.A.와 G.B. 갭블러의 소설 ''자동화''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그의 역할은 종종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같지만, 그와 그의 아내(비너스라고 불림)는 여전히 전체 줄거리에서 필수적이다.[84][85]
  • 불카누스는 닐 게이먼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Starz TV 시리즈 ''아메리칸 갓''의 등장인물이다. 그는 소설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이 버전에서는 "총의 신"으로 등장하며, 탄약 공장의 대장간을 화산의 상징적 표현으로 사용한다.[86]
  • 불카누스는 존 프라인의 2018년 앨범 ''The Tree of Forgiveness''에 수록된 "The Lonesome Friends of Science"라는 곡의 등장인물이다.[87]
  • 많은 서방 전투기에 장착된 M61A1 20mm 캐논은 불의 전령으로서 불카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1. 대중문화

셰필드는 영국의 철강 도시로, 불카누스는 이 도시의 수호신이다. 셰필드 시청 꼭대기에는 불카누스의 조각상이 서 있다.

앨라배마 주 버밍햄에 있는 ''불카누스'' 조각상은 세계에서 가장 큰 주철 조각상이다.[80]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캠퍼스에는 3.6m 높이에 544kg의 불카누스 조각상이 있으며, 학교의 마스코트로 사용된다.[81]

2013년 로이터 통신은 새로 발견된 명왕성의 위성 이름으로 "불카누스"가 제안되었다고 보도했다.[82] "불카누스"가 대중 투표에서 승리했지만, 국제천문연맹은 2013년 6월에 최종적으로 카론, 스틱스, 닉스, 케르베로스, 히드라로 결정했다.[83]

"불카누스"라는 이름은 위르뱅 르 베리에가 수성보다 더 가까이 태양을 공전한다고 이론화한 가설 행성 불칸 외에도, 태양계 안팎의 다양한 다른 가상의 행성에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스타 트렉'' 프랜차이즈의 불칸 행성은 40 에리다니 A를 공전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다.

불카누스는 B.L.A.와 G.B. 갭블러의 소설 ''자동화''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그의 역할은 종종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같지만, 그와 그의 아내(비너스라고 불림)는 여전히 전체 줄거리에서 필수적이다.[84][85]

불카누스는 닐 게이먼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Starz TV 시리즈 ''아메리칸 갓''의 등장인물이다. 그는 소설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이 버전에서는 "총의 신"으로 등장하며, 탄약 공장의 대장간을 화산의 상징적 표현으로 사용한다.[86]

불카누스는 존 프라인의 2018년 앨범 ''The Tree of Forgiveness''에 수록된 "The Lonesome Friends of Science"라는 곡의 등장인물이다.[87]

많은 서방 전투기에 장착된 M61A1 20mm 캐논은 불의 전령으로서 불카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Archaic Roman Religion: Volume On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문서 Ancient Rome Warwick Press
[3] 문서 De Lingua Latina
[4] 문서 Lingua Latina
[5] 문서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Benis Language New York
[6] 문서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7] 간행물 Etrusc. Velkhans- Lat. Volcanus
[8]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7-05-24
[9] 문서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10] 문서 Volchanus. Rechérches comparatistes sur le culte de Vulcain Rome
[11] 백과사전 Volcanal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7-28
[12] 서적 Religions of Rome Volume 2: A Sourc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문서
[14] 문서 https://penelope.uch[...]
[15] 문서 Ab Urbe Condita Libri https://www.perseus.[...]
[16] 백과사전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7]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Religion of the Romans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 2007-07-28
[18] 문서 On the Meaning of Words http://remacle.org/b[...]
[19] 문서
[20] 문서 Letters
[21] 문서 Fetes romaine d'étè et d'automne Paris Gallimard
[22] 문서 Letters
[23] 시 Fasti http://www.tonykline[...]
[24] 문서 Saturnalia
[25] 문서 Annals https://www.perseus.[...]
[26] 서적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문서 Questiones Romanae
[28] 문서 Ad Aeneidem
[29] 문서 Ab Urbe Condita Libri
[30] 문서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31] 문서 Origines
[32] 문서 Aeneis
[33] 문서 Romulus
[34] 문서 Fortuna, I, Fortuna dans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Rome
[35] 문서 Aeneis
[36] 서적 Fasti VI 627
[37] 서적 Naturalis Historia XXXVI 204
[38] 서적 Fasti VI 625–636
[39] 서적 La nascita di Roma Turin 1997
[40] 서적 Antiquitates Romanae II 50, 3
[41] 서적 Lingua Latina V 73
[42] 간행물 CIL VI, 00802
[43] 서적 Noctes Atticae XII 23, 2
[44]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Turin 1995
[45] 서적 Saturnalia I 12, 18
[46] 서적 Noct. Att. XIII, 23, 2
[47] 문서
[48] 서적 Aulularia 359
[49] 서적 Metamorphoses VI 24, 2
[50] 문서 Iudicium coci et pistoris iudice Vulcano
[51] 서적 Fabulae 158
[52] 서적 Volcanus. Rechérches comparatistes sur le cult de Vulcain Rome 1994
[53] 서적 Solinus II 9; Arnobius Adversus Nationes III 41, 1; 43, 3
[54] 서적 Hesychius Γ 315 Latte
[55] 간행물 Jeux athlétiques et rituels de fondation 1993
[56] 논문 A message from the 'underground forge of the gods': history and current eruptions at Mt Etna https://onlinelibrar[...] 2021
[57] 웹사이트 Hephaestus and Aphrodite http://www.theoi.com[...] 2020-12-04
[58] 웹사이트 Vulcan https://mythopedia.c[...] 2021-03-24
[59] 서적 Aeneid 7.678–681 https://www.perseus.[...]
[60] 문서
[61] 서적 Romulus 24
[62] 서적 Roman Antitquitites II 54, 2
[63] 서적 The Italic lotus, diospyrus lotus, or melilotus
[64] 서적 Naturalis Historia XVI 236
[65] 서적 La religione romana arcaica Milano Rizzoli 1977
[66] 서적 Altitalische Gräberkunde
[67]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XL 19, 2
[68] 서적 Antiquitates Romanae II 50, 2
[69] 서적 Antiquitates Romanae XI 39, 1
[70] 서적 Publicola, 16
[71] 서적 Noct. Att. IV, 5
[72]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IX 46
[73] 간행물 CIL VI 457
[74] 간행물 Richter BRT iv 15–16
[75] 서적 Italische Gräberkunde i. 413 sqq
[76] 서적 La vita quotidiana a Ostia Roma-Bari 1986
[77] 간행물 AE 1953, 00073
[78] 서적 Geografia. L'Italia V,4,6 Milan 1988
[79] 서적 Nat. Hist. II, 240
[80] 웹사이트 History of Vulcan Park http://www.visitvulc[...] 2008-02-24
[81] 웹사이트 New Vulcan Statue Unveiled http://sai.calu.edu/[...] 2009-10-21
[82] 웹사이트 Vulcan has big lead in bid to name Pluto's newly discovered moons https://www.reuters.[...] 2013-02-20
[83] 뉴스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Decides Against Naming Pluto Moon 'Vulcan'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84] 웹사이트 The Automation Review (Comedic Fantasy) http://www.scifiands[...] 2016-09-22
[85] 간행물 The Automation 2015-Spring
[86] 웹사이트 American Gods Introduces New Character Vulcan, God of Guns http://collider.com/[...] 2016-12-22
[87] 뉴스 John Prine, Who Chronicled the Human Condition in Song, Dies at 73 (Published 2020) https://www.nytimes.[...] 2020-04-08
[88] 문서 高津 1960, p. 60
[89] 문서 稲葉ほか 1999, p. 231
[90] 문서 グラント&ヘイゼル 1988, p. 129
[91] 서적 Archaic Roman Religion: Volume One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사
[92] 서적 Ancient Rome Warwick Press 1986
[93] 서적 De Lingua Latina V, X
[94] 서적 Lingua Latina V, 10
[9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Benis Language New York 1963
[96]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1925
[97] 간행물 Etrusc. Velkhans- Lat. Volcanus 1961
[98] 서적 Volchanus. Rechérches comparatistes sur le culte de Vulcain Rome 1994
[99]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1974
[100] 백과사전 Volcanal http://penelope.uchi[...]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7-28
[101] 서적 Religions of Rome Volume 2: A Sourc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문서 Dionysius of Halicarnassus, II.50.3; Varro V.74
[103] 문서 비트루비우스 1.7; 플루타르코스의 Roman Questions 47 역시 참고
[104] 문서 리비우스, 로마사 24.10.9
[105]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106]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Religion of the Romans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 2007-07-28
[107] 문서 On the Meaning of Words http://remacle.org/b[...] s.v. "piscatorii ludi"
[108] 문서
[109] 문서 Letters
[110] 서적 Fetes romaine d'étè et d'automne Paris Gallimard
[111] 문서 Letters
[112] 문서 파스티 http://www.tonykline[...]
[113] 문서 Saturnalia
[114] 문서 로마 편년사 http://www.perseus.t[...]
[115] 서적 The Roman Empire: Augustus to Hadr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6] 문서 Questiones Romanae
[117] 문서 Ad Aeneidem
[118] 문서 Ab Urbe Condita Libri
[119]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120] 문서 Origines
[121] 문서 Aeneis
[122] 문서 Romulus
[123] 서적 Fortuna, I, Fortuna dans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Rome
[124] 문서 Aeneis
[125] 문서 Fasti
[126] 문서 Naturalis Historia
[127] 문서 Fasti
[128] 서적 La nascita di Roma Turin
[129] 문서 Antiquitates Romanae
[130] 문서 Lingua Latina
[131] 문서 CIL VI, 00802
[132] 문서 Noctes Atticae
[133]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Turin
[134] 문서 Saturnalia
[135] 문서 Noct. Att.
[136] 문서
[137] 문서 Aulularia
[138] 문서 Metamorphoses
[139] 문서 Iudicium coci et pistoris iudice Vulca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