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평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비판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들로부터 시작되어 마르크스, 푸코 등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해왔으며, 자본주의, 권력, 성차별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비판해왔다. 사회 비판은 학술적 연구, 문학, 예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소설, 영화, 음악 등 예술 작품을 통해 사회 문제를 고발하고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일제 강점기, 분단 현실, 산업화 과정에서의 소외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작품들이 창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페미니즘 소설을 통해 성차별 문제를 공론화하는 등 사회 비판의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신자유주의, 불평등, 기후 변화, 혐오와 차별 등이 주요 비판 대상으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평 - 평론
평론은 예술 작품에 대한 가치 평가를 분석하고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학문으로, 객관 비평부터 인상비평까지 다양한 방법론의 역사적 흐름과 뉴크리티시즘, 역사비평 등의 최근 경향을 포함하여 여러 분야에서의 비평 양상과 주관성, 객관성, 사회적 영향력을 논한다. - 비평 - 평론가
평론가는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를 분석하고 가치 판단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으로, 온라인 평론 활성화 시대에 질적,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정의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정의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좌익 정치 - 자코뱅주의
자코뱅주의는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 클럽에서 시작된 급진 좌파 이념 및 운동으로, 로베스피에르의 지휘 아래 혁명 독재, 중앙집권화, 징병제, 공포정치를 시행하고, 경제 개입과 세속주의를 추진했으며, 이후 여러 좌우파 운동과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좌익 정치 - 좌익 국민주의
좌익 국민주의는 사회주의적 배경을 가진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 국가 주권, 사회적 평등, 국민주권, 민족자결을 중시하며 신자유주의와 초국가적 간섭에 반대한다. 
| 사회 평론 | 
|---|
2. 사회 비판의 기원과 발전
근대 사회 비판은 계몽주의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역사학자 조나단 이스라엘에 따르면, 급진 계몽주의는 바뤼흐 스피노자와 그의 추종자들에게서 기원했다.[1] 장 메리에와 같은 급진적 계몽주의자들은 종교 비판뿐만 아니라 농민의 고통에도 주목했다. 또한, 영국 퀘이커처럼 종교적인 이유로 문명 비판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장 자크 루소는 프랑스 혁명에 영향을 준 그의 정치 철학과 교육학에서 사회 비판을 발전시켰다.
2. 1. 서구의 사회 비판
바뤼흐 스피노자는 신학정치론을 통해 종교적 권위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1] 이마누엘 칸트는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에서 계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존 권위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권리 옹호를 통해 여성 차별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카를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자본주의 체제의 내재적 모순과 문제점을 지적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노예의 길에서 계획 경제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자유 시장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계몽의 변증법을 통해 이성이 도구화되어 사회를 억압하는 문제를 비판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제2의 성을 통해 여성 억압의 문제를 제기했다. 미셸 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근대 사회의 감시 체제와 권력 구조를 비판했다.
3. 사회 비판의 다양한 형태
사회 비판은 학술 영역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잭 런던의 강철 군화, 조지 오웰의 1984,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과 같은 소설들은 사회 문제를 비판한 대표적인 예시이다.[3]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제 폐지 운동에, 업턴 싱클레어의 정글은 식품 안전 관련 법률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문학 작품이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한다.[3]
조지 오웰은 《동물농장》을 통해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의 상황을 풍자적으로 묘사했다. 찰스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에서 인간 내면의 절망과 분노가 어떻게 사람들을 무자비하게 만들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3]
오페라나 클래식 음악뿐만 아니라 펑크 록, 랩 음악에서도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섹스 피스톨스의 "Pretty Vacant"과 투팍의 "Brenda's Got a Baby"가 그 예시이다. 헤비 메탈 및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들도 사회 비판을 음악의 주제로 삼기도 한다.[3]
한국 문학에서도 채만식의 탁류,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 일제 강점기와 분단 현실을 비판한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다. 황석영의 객지,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등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노동자들의 삶을 다루었다. 최근에는 82년생 김지영과 같은 페미니즘 소설이 한국 사회의 성차별 문제를 공론화하기도 했다.
3. 1. 학술적 사회 비판
사회 철학, 정치 경제학, 사회학, 사회 심리학, 정신 분석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회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3] 칼 포퍼와 프랑크푸르트 학파 간의 실증주의 논쟁은 사회 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3. 2. 문학과 예술을 통한 사회 비판
사회 비판은 소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표현된다. 잭 런던의 강철 군화, 조지 오웰의 1984,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 등은 소설을 통해 사회 문제를 비판한 대표적인 작품이다.[3]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제 폐지 운동에, 업턴 싱클레어의 정글은 식품 안전 관련 법률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문학 작품이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한다.[3]조지 오웰은 《동물농장》을 통해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풍자했다. 그는 동물들을 의인화하여 각 동물들을 러시아 역사의 등장인물에 비유했다. 오웰은 훌륭한 의도로 시작하더라도, 본능을 통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조건이 주어진다면 어디에서나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4]
찰스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에서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며, 절망과 분노가 어떻게 사람들을 무자비하고 기회주의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 보여준다. 두 저자 모두 폭력과 "목적을 위해 수단을 정당화"하는 마키아벨리적 태도를 비판하며, 인간 본성의 진화 상태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한다.[3]
오페라 (예: 《요람은 흔들릴 것이다》) 및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13번 "바비 야르"와 같은 클래식 음악에도 사회 비판이 나타난다. 펑크 록과 랩 음악에서도 사회 비판은 흔하게 발견되는데, 섹스 피스톨스의 "Pretty Vacant"과 투팍의 "Brenda's Got a Baby"가 그 예시이다. 블랙 사바스, 메탈리카, 마릴린 맨슨, 나인 인치 네일스 및 메가데스와 같은 헤비 메탈 및 인더스트리얼 록 밴드도 사회 비판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3]
3. 3. 한국 문학과 예술 속 사회 비판
한국 문학에서는 채만식의 탁류,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 일제 강점기와 분단 현실을 비판한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다. 황석영의 객지,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등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노동자들의 삶을 그리며 사회 문제를 제기했다. 최근에는 82년생 김지영과 같은 페미니즘 소설이 큰 반향을 일으키며 한국 사회의 성차별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 기여했다.3. 4. 서구 사상가
- 바뤼흐 스피노자: 신학정치론 (1670년)
 - 이마누엘 칸트: 계몽이란 무엇인가? (1784년)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여성의 권리 옹호 (1792년)
 -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 (1867년)
 - 미하일 바쿠닌: 국가주의와 아나키 (1873년)
 - 프리드리히 니체: 반시대적 고찰 (1873–1876)
 -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1947년)
 -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1949년)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노예의 길 (1944년), 자유헌정론 (1960년)
 - 허버트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1964년)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1975년), 성의 역사 제1권
 -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1979년)
 -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1989년)
 - 노엄 촘스키: 동의 조작 (1988년), ''사람보다 이윤'' (2000년)
 
4. 현대 사회의 주요 비판 대상
현대 사회는 여러 측면에서 비판받고 있다. 주요 비판 대상은 신자유주의와 불평등 심화,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차별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4. 1. 신자유주의와 불평등
노엄 촘스키는 《동의 조작(Manufacturing Consent)》(1988)과 《사람보다 이윤》(Profit over people) (2000)에서 신자유주의가 초래하는 사회적 문제점을 비판한다.[1] 리처드 세넷은 《성격의 부식: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의 개인적 결과》(The corrosion of character. The Personal Consequences Of Work In the New Capitalism) (1998)에서 신자유주의 시대의 노동 환경 변화와 그로 인한 개인의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2] 길베르트 리스트는 《개발, 서구적 신념의 역사》(Le développement, Histoire d’une croyance occidentale) (1996)에서 '개발'이라는 개념 자체가 서구 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신자유주의적 개발 모델이 제3세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한다.[3]4. 2.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
나오미 클라인은 저서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에서 자본주의 체제가 기후 변화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촉구한다. 기후 변화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4. 3. 혐오와 차별
오드르 로드는 1984년 저서 ''아웃사이더의 자매''(Sister Outsider)에서 성별, 인종, 성적 지향 등에 따른 차별과 혐오 문제를 다루었다.[1] 미셸 앙리는 1987년 저서 ''야만''(La barbarie)에서,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은 1988년 논문 ''하위 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에서 억압받는 소수자의 목소리에 주목했다.[2] 주디스 버틀러는 1989년 저서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에서, 모니크 위티그는 1992년 저서 ''스트레이트 마인드 외 에세이''(The Straight Mind and other Essays)에서 성별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주의를 비판했다.[3]레이윈 코넬은 1995년 저서 ''남성성''(Masculinities)에서 다양한 남성성의 존재를 인정하고, 지배적인 남성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4] 리처드 세넷은 1998년 저서 ''성격의 부식: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의 개인적 결과''(The corrosion of character. The Personal Consequences Of Work In the New Capitalism)에서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 환경이 개인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로 인한 소외, 차별 문제를 분석하였다.
노엄 촘스키는 1988년 저서 ''동의 조작(Manufacturing Consent)''과 2000년 저서 ''사람보다 이윤''(Profit over people)에서 주류 언론과 권력 구조가 여론을 조작하여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은폐한다고 비판했다. 길베르트 리스트는 1996년 저서 ''개발, 서구적 신념의 역사''(Le développement, Histoire d’une croyance occidentale)에서, 아르노 그린은 2007년 저서 ''정상성의 광기: 인간 파괴성 이해(The Insanity of Normality: Understanding Human Destructiveness)''에서 발전과 정상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차별과 억압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참조
[1] 
서적
 
Radical Enlightenment: Philosophy and the Making of Modernity 1650-1750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논문
 
Karl Popper and the Frankfurt School
 
http://journal.telos[...] 
1990-12-21
 
[3] 
웹사이트
 
Types of Literary Criticism
 
http://hhh.gavilan.e[...] 
[4] 
연설문
 
Emancipation Proclamation 24주년 기념 연설
 
18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